KR20190103708A -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 Google Patents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708A
KR20190103708A KR1020180024464A KR20180024464A KR20190103708A KR 20190103708 A KR20190103708 A KR 20190103708A KR 1020180024464 A KR1020180024464 A KR 1020180024464A KR 20180024464 A KR20180024464 A KR 20180024464A KR 20190103708 A KR20190103708 A KR 2019010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nsing pattern
roll
sensing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923B1 (ko
Inventor
이의철
Original Assignee
(주)크레이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이더스 filed Critical (주)크레이더스
Priority to KR102018002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923B1/ko
Priority to CN201880037541.8A priority patent/CN110709039A/zh
Priority to US16/619,783 priority patent/US20200163805A1/en
Priority to EP18813083.5A priority patent/EP3636234A4/en
Priority to SG11201911739WA priority patent/SG11201911739WA/en
Priority to PCT/KR2018/006212 priority patent/WO2018225977A1/ko
Priority to JP2020517269A priority patent/JP2020524063A/ja
Publication of KR2019010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1Treating webs, e.g. for giving them a fibrelike appearance, e.g. by embo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5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 A61F2013/5106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for rendering the surface hydrophilic
    • A61F2013/5106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for rendering the surface hydrophilic by hydrophilisation with plasma or corona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판 형상의 제1 시트를 코로나 처리하여 상기 제1 시트의 일면에 대한 물과의 접촉각을 낮추는 전처리 단계; 상기 코로나 처리를 통해 친수성이 높아진 상기 제1 시트의 일면에 물이 포함된 도전성 잉크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것으로 상기 배설물의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METHOD FOR FABRICATING ABSORBENT ARTICLE AND PATTERN ROL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된 배설물을 받아내는 흡수 용품의 제조 방법 및 패턴 롤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는 고령자나 신체 장애자 등이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실금용 팬츠 등이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어느 것이나 착용자의 생활 습관이나 간호 레벨에 따라 구별되어 쓰여지고 있다.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는, 고령자나 신체 장애자 등과 같이 자력으로의 배설 행위가 곤란한 사람에 대해 그 배설물을 누설하지 않고 유지 흡수함으로써, 배설 등을 위한 보조구로서 또는 간호용 위생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소변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소변을 감지하고 관리하는 수단 및 해당 수단을 제조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6464호에는 남성의 주요 부위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고 있으나, 소변을 관리하는 수단, 해당 수단을 제조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6464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 기능을 갖는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싱 패턴이 형성된 패턴 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판 형상의 제1 시트가 감긴 소스 롤로부터 상기 제1 시트를 푸는 풀림 단계; 상기 소스 롤로부터 풀린 상기 제1 시트에 배설물의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 상기 센싱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1 시트를 감아 센싱 패턴 롤을 형성하는 감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 롤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에 프린팅 또는 코팅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연장되는 센싱 패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축이 정의될 때, 상기 센싱 패턴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가상축을 기준으로 감긴 센싱 패턴 롤;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패턴의 말단은 상기 센싱 패턴 롤의 외면에 노출된 상기 제1 시트의 말단과 일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단말부의 감지 신호가 흐를 수 있는 센싱 패턴이 배설물을 받는 흡수 용품에 형성될 수 있다.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 용품에는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재질의 제1 시트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시트는 매끈한 표면으로 인해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도전성 잉크의 흡착이 어려울 수 있다. 도전성 잉크가 정상적으로 흡착되지 않으면 센싱 패턴을 통해 흐르는 감지 신호의 배설물 감지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설정 간격, 설정 폭, 설정 폭을 만족하는 센싱 패턴을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해, 제1 시트에 대한 도전성 잉크의 흡착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따르면, 도전성 잉크가 인쇄되는 제1 시트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가함으로써, 물이 포함된 도전성 잉크의 흡착도가 개선될 수 있다.
그 결과, 설정 간격, 설정 폭을 갖는 복수의 센싱 패턴이 정확하게 제1 시트에 형성될 수 있다. 설정 간격, 설정 폭에 맞게 형성된 복수의 센싱 패턴은 제1 시트를 적신 배설물을 감지하는 높은 정밀도의 센서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제1 시트가 감긴 제1 위치의 소스 롤을 풀어 제2 위치의 센싱 패턴 롤에 되감으며, 소스 롤과 센싱 패턴 롤 사이에 연속된 제1 시트를 코로나 처리하고 센싱 패턴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 롤이 입력되고 센싱 패턴 롤이 출력되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이 되므로, 롤 상태로 제1 시트의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지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배설물을 감지하는 단말부의 단자의 간격에 맞게 복수의 센싱 패턴을 형성하고, 단말부의 안내부에 맞게 표시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1 시트를 이용하는 흡수 용품의 센싱 패턴은 표시선에 의해 단말부의 단자에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흡수 용품보다 넓은 폭의 제1 시트 상에 복수의 센싱 패턴을 형성하고 슬리팅함으로써, 한번에 복수개의 흡수 용품용 제1 시트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턴 롤은 센싱 패턴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제1 시트가 복수 회수로 감긴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패턴 롤에 감긴 제1 시트를 이용해서 기저귀 등의 흡수 용품을 생산하면 배설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 기능을 갖는 흡수 용품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수 용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시트부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센싱 패턴과 표시선이 함께 형성된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턴 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센싱 패턴 롤에 제1 시트가 감기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은 제1 시트(110)를 제공하는 풀림 단계(S 510), 제1 시트(110)를 코로나 처리하는 전처리 단계(S 580), 제1 시트(110)에 센싱 패턴(200)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제1 시트(110)에 표시선(300)을 형성하는 표시선 형성 단계(S 540), 센싱 패턴(200) 또는 표시선(300)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S 550), 넓은 폭을 갖는 제1 시트(110)를 작은 폭을 갖는 복수의 제1 시트(110)로 슬리팅(slitting)하는 슬리팅 단계(S 560), 센싱 패턴(200)이 형성된 형성된 제1 시트(110)를 감아 센싱 패턴 롤 b를 형성하는 감김 단계(S 570)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림 단계(S 510)는 제1 시트(110)를 준비 및 제공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제1 시트(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재질의 비닐,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시트(110)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110)는 흡수 용품에서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는 배설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배설물은 대변, 소변, 땀, 생리혈, 눈물, 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배설물을 받기 위해 흡수 용품은 대소변을 받는 기저귀 또는 패드, 사용자 신체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고 땀을 받는 패치, 생리혈을 받는 생리대, 눈물을 받는 안대, 침 등을 받는 마스크 등의 시트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시트부(100)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고 대소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각 구성은 생리대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시트부(10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시트(110)는 폴리에틸렌 분말을 성형해서 형성될 수 있다.
취급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센싱 패턴(200)이 미형성된 제1 시트(110)가 돌돌 말린 소스 롤 a가 풀림 단계(S 510)에서 준비될 수 있다.
풀림 단계(S 510)는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판 형상의 제1 시트(110)가 감긴 소스 롤 a로부터 제1 시트(110)를 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서 제조되는 제1 시트(110)는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단자(531, 532, 533, 534)가 마련된 단말부(500)가 장착될 수 있는 시트부(10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시트부(100)에는 단말부(500)의 단자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서 감지 신호가 소통되는 센싱 패턴(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센싱 패턴(200)은 도전성 잉크(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감지 신호를 이용해 배설물을 감지하기 위해, 단말부(500)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시트부(100)에는 일부 단자가 접촉되는 양(+) 센싱 패턴(210), 다른 단자가 접촉되는 음(-) 센싱 패턴(220)이 형성될 수 있다.
양 센싱 패턴(210)과 음 센싱 패턴(220)은 서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배설물이 없는 초기 상태에서 양 센싱 패턴(210)으로 인가된 감지 신호는 음 센싱 패턴(220)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만약, 배설물이 양 센싱 패턴(210)과 음 센싱 패턴(220)에 결쳐서 분포하면, 양 센싱 패턴(210)의 감지 신호는 배설물을 타고 음 센싱 패턴(2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음 센싱 패턴(220)으로 전달된 감지 신호를 분석해서 배설물을 감지하거나, 배설물의 양을 판별할 수 있다.
단말부(500)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 각 센싱 패턴(200)의 두께, 폭 등이 설정값을 만족해야 한다. 그런데, 매끈한 표면을 갖는 제1 시트(110)에 설정값을 만족하는 두께, 폭에 맞춰 도전성 잉크(10)를 인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설정값을 만족하는 두께, 폭을 갖는 센싱 패턴(200)이 형성되도록, 센싱 패턴(200)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전에 전처리 단계(S 580)가 수행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 580)는 소스 롤 a로부터 풀린 제1 시트(110)를 코로나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처리 단계(S 580)는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판 형상의 제1 시트(110)를 코로나 처리하여 제1 시트(110)의 일면에 대한 물과의 접촉각을 낮출 수 있다.
코로나 처리는 방전 처리(discharge treatment)에 해당하며, 방전 처리부(370)를 사용하여 코로나염을 발생시키고 그 사이로 제1 시트(110)를 통과시켜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이다. 코로나 처리에 의해 제1 시트(110)의 표면이 산화되어 친수성의 정도를 가리키는 물과의 접촉각이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폴리에틸렌 재질의 제1 시트(110)의 인쇄적성이 크게 향상되므로, 도전성 잉크(10)를 이용해서 설정값의 두께, 폭을 갖는 정밀한 센싱 패턴(200) 형성이 가능하다.
소스 롤 a로부터 풀린 제1 시트(110)를 코로나 처리하는 방전 처리부(370)는 센싱 패턴(200)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부(310, 320)와 소스 롤 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 패턴부는 전처리 단계(S 580)를 통해 친수성이 높아진 제1 시트(110)에 도전성 잉크를 프린팅 또는 코팅해서 센싱 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소스 롤 a로부터 풀린 제1 시트(110)에 배설물의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센싱 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코로나 처리를 통해 친수성이 높아진 제1 시트(110)의 일면에 물이 포함된 도전성 잉크(10)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것으로 배설물의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센싱 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잉크(10)는 전기가 소통되는 카본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등을 포함하는 물질들과 도전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카본계, 폴리머계, 금속 산화물, PEDOT 등의 도전성 물질), 카본계, 폴리머계, 금속 산화물, PEDOT 등의 도전성 물질을 묽게 만드는 용제, 도전성 폴리머의 용매에 해당하는 물 및 아세틸을 포함할 수 있다.
PEDOT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이다.
고분자를 크게 나누면 성능성 고분자와 기능성 고분자로 나눌 수 있다. 성능성 고분자는 고분자의 성질에 유래하는 것으로 기계적 성질 또는 열적 성질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이다. 기능성 고분자란 고분자에 존재하는 작용기에 따라 특수한 성질이 발현되거나, 기능성 물질을 폴리머에 블렌딩함으로써 기능성이 발현되는 고분자이다.
도전성 고분자의 용도를 보면 도전성 성형재료 및 도전성 필름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IC의 운반용, 투명 전극용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 분야는 폴리머에 도전성 부여제를 블렌드하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폴리머는 폴리아세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배설물에 의해 센싱 패턴(200)의 등가 저항이 달라지도록, 배설물을 받는 제1 시트(110)의 배설 영역 k를 관통하는 복수의 센싱 패턴(200)을 서로 이격시켜 제1 시트(110)에 프린팅 또는 코팅할 수 있다. 이때, 각 센싱 패턴(200)은 제1 시트(110)가 소스 롤 a로부터 풀리는 방향을 따라 제1 시트(110) 상에 연속적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제1 시트(110)에 센싱 패턴(200)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부가 소스 롤 a와 센싱 패턴 롤 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시트(110)는 소스 롤 a로부터 연속적으로 풀리면서 센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센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제1 시트(110)에는 센싱 패턴부에 의해 센싱 패턴(200)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제1 시트(110)는 센싱 패턴 롤 b에 연속적으로 감길 수 있다.
센싱 패턴 롤 b는 원기둥 형상의 심지통에 센싱 패턴이 형성된 제1 시트가 감긴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심지통이 배제된 상태에서 센싱 패턴 롤 b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패턴 롤 b에 감긴 제1 시트(110)는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후공정의 커팅부에 의해 흡수 용품의 길이에 맞게 절단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센싱 패턴 롤 b에 무한대 길이의 제1 시트(110)를 감기는 어렵다. 설정 길이 단위로 제1 시트(110)가 절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커팅부에 의해 제1 시트가 절단될 수 있다. 소스 롤 a에 감긴 제1 시트가 제한된 길이를 갖는 경우, 별도의 커팅부를 이용하지 않고도 제한된 길이의 제1 시트가 감긴 센싱 패턴 롤 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시트(110)의 절단 위치에 상관없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부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에 복수의 센싱 패턴이 각각 접촉되도록,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복수의 센싱 패턴(200)을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시트(110)의 절단 위치에 상관없이, 절단된 제1 시트(110)의 말단과 절단된 제1 시트(110)에 형성된 센싱 패턴(200)의 말단이 일치하도록,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제1 시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센싱 패턴(200)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센싱 패턴(200)이 서로 이격된 제1 센싱 패턴과 제2 센싱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센싱 패턴의 말단 및 제2 센싱 패턴의 말단은 모두, 절단된 제1 시트(110)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싱 패턴은 도 4의 양 센싱 패턴(210)을 포함하고, 제2 센싱 패턴은 도 4의 음 센싱 패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배설물을 감지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부(50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간의 간격에 맞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센싱 패턴(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그라비어(Gravure) 인쇄를 통해 제1 시트(110)에 센싱 패턴(200)이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소스 롤 a와 센싱 패턴 롤 b 사이에 배치된 센싱 패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센싱 패턴부는 소스 롤 a로부터 센싱 패턴 롤 b를 향해 이동하는 제1 시트(110)의 경로 상에 마련되고 제1 시트(110)의 이동에 맞춰 회전하는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는 제1 시트(110)의 이동 경로 상에 마련된 제1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320)와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를 이용해서 제1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320)와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로 입력되는 제1 시트(110)에 센싱 패턴(200)을 연속적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할 수 있다.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도전성 잉크(10)가 수용된 제1 잉크통(330), 외주면이 제1 잉크통(330)을 통과하면서 회전하고 외주면에 센싱 패턴(200)의 음각 형상이 형성된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에 대면 배치되는 제1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3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의 외주면에는 복수 단자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격된 복수의 음각 리브에 해당하는 트렌치(trench)(3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트렌치(319)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트렌치(319)는 제1 시트(110)의 길이 방향에 기울어진 여부에 상관없이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의 외주면 상에 처음과 끝이 연속된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렌치(319)는 제1 시트(110)의 폭 방향 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각 트렌치(319)는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의 외주를 따라 끊김없이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319)에 존재하는 도전성 잉크가 제1 시트(110)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될 수 있다.
회전하는 제1 원통판 그라이버 윤전기(310)에 밀착되면서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를 통과한 제1 시트(110)에는 트렌치(319)에 의해 서로 평행한 복수의 센싱 패턴(200)이 끊김없이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잉크통(330)을 경유한 복수의 트렌치(319)에는 도전성 잉크(10)가 담긴 상태가 되고, 해당 도전성 잉크(10)는 대면되는 제1 시트(110)에 인쇄될 수 있다. 음각 리브에 의해 제1 시트(110)에 인쇄된 복수의 센싱 패턴(200)은 복수 단자 간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310)에 대면되는 위치에 외주면에 묻은 도전성 잉크(10)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1 닥터 블레이드(340)(doctor blade), 제1 시트(110)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압동 롤러(35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소스 롤 a로부터 풀린 제1 시트(110)는 각 윤전기의 사이로 입력되고, 각 윤전기의 사이에서 도전성 잉크(10)로 프린팅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제1 시트(110)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된 도전성 잉크(10)는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센싱 패턴(200)을 형성하며 자연 건조되거나 건조부(360)를 통해 강제 건조될 수 있다. 도전성 잉크(10)가 건조된 제1 시트(110)는 센싱 패턴(200)을 갖는 제1 시트(110)가 되며, 센싱 패턴(200)을 갖는 제1 시트(110)는 다시 롤 상태로 말릴 수 있다.
제1 시트(110)가 감긴 소스 롤 a가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위치에 센싱 패턴 롤 b가 배치될 때, 소스 롤 a로부터 풀린 제1 시트(110)는 제2 위치까지 연속되며, 제2 위치에서 센싱 패턴 롤 b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전처리 단계(S 580),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표시선 형성 단계(S 540), 건조 단계(S 550), 슬리팅 단계(S 56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수행되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연속된 제1 시트(110)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시트(110)가 소스 롤 상태로 입력되고, 각종 단계를 거친 제1 시트(110)가 센싱 패턴 롤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제1 시트(110)에 배설물이 묻으면 색깔이 변하는 표시선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를 수행하는 센싱 패턴부와 소스 롤 a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센싱 패턴부와 센싱 패턴 롤 b의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부(410, 4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코로나 처리를 통해 친수성이 높아진 제1 시트(110)의 일면에 물이 포함된 수분 변색 잉크(20)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것으로 배설물이 묻으면 색깔이 변하는 표시선(300)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선(300)은 배설물이 묻으면 색깔이 변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선(300)은 수분 변색 잉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 변색 잉크(20)는 수분의 흡수 정도에 따라 변색되는 CoCL2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안료 외에 수분 흡수 정도에 따라 변색되는 모든 종류의 안료가 가능하며, 여기서 그 안료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그라비어(Gravure) 인쇄를 통해 제1 시트(110)에 표시선(300)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제1 시트(110)의 이동 경로 상에 마련된 제2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420)와 제2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410)를 이용해서 제2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420)와 제2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410)로 입력되는 제1 시트(110)에 표시선(300)을 연속적으로 프린팅 또는 코팅할 수 있다.
액체 또는 분말 상태의 수분 변색 잉크(20)가 수용된 제2 잉크통(430), 외주면이 제2 잉크통(430)을 통과하면서 회전하고 외주면에 센싱 패턴(200)의 음각 형상이 형성된 제2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410), 제2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410)에 대면 배치되는 제2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4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410)에 대면되는 위치에 외주면에 묻은 수분 변색 잉크(20)의 두께를 조절하는 제2 닥터 블레이드(440)(doctor blade), 제1 시트(110)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압동 롤러(35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를 수행하는 제2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420) 등의 표시부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를 수행하는 제1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320) 등의 센싱 패턴부의 앞 또는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나중에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후에 표시선 형성 단계(S 540)가 수행되고 있다.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단말부(500)의 단자와 제1 시트(110)의 센싱 패턴(200) 간의 정렬을 안내하는 단말부(500)의 안내부(521)와 단자 간의 간격에 맞춰 센싱 패턴(200)으로부터 이격되게 표시선(300)을 형성할 수 있다.
건조 단계(S 550)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 후에 제1 시트(110)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 잉크(10)를 건조부(360)를 이용해서 강제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부(360)는 히터, 열풍 등을 이용해서 센싱 패턴(200)에 묻은 도전성 잉크(10) 또는 수분 변색 잉크(20)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부(360)는 센싱 패턴부와 센싱 패턴 롤 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부(360)는 센싱 패턴 롤 b에 제1 시트(110)가 감기기 전에 제1 시트(110)에 형성된 센싱 패턴(200)을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단계(S 550)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및 표시선 형성 단계(S 540)가 모두 완료된 후에 제1 시트(110)에 대해 수행되며, 추가로,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와 표시선 형성 단계(S 54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처리 단계(S 580),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배설물을 받는 흡수 용품의 폭보다 정수배 이상의 큰 폭을 갖는 제1 시트(110)를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또는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는 제1 시트(110)의 폭 방향 상으로 각 흡수 용품에 대응되는 영역 또는 위치마다 센싱 패턴(200) 또는 표시선(300)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리팅 단계(S 560)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 및 표시선 형성 단계(S 540) 후에 흡수 용품의 폭보다 정수배 이상의 큰 폭을 갖는 하나의 제1 시트(110)를 슬리팅부를 이용해서 슬리팅(slitting)하여 흡수 용품의 제작에 필요한 폭을 갖는 복수의 제1 시트(110)를 형성할 수 있다.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 또는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를 거친 제1 시트(110)가 감겨 센싱 패턴 롤 b를 형성할 때, 슬리팅 단계(S 560)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를 수행하는 센싱 패턴부와 센싱 패턴 롤 b의 사이에 마련된 커터 등의 슬리팅부(380)를 이용해서 수행되거나, 표시선 형성 단계(S 540)를 수행하는 표시부와 센싱 패턴 롤 b의 사이에 마련된 슬리팅(380)를 이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슬리팅 단계(S 560)는 센싱 패턴 롤 b를 커팅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슬리팅부(380)는 센싱 패턴부와 센싱 패턴 롤의 사이에서 센싱 패턴부로부터 상기 센싱 패턴 롤을 향해 이동하는 제1 폭의 제1 시트(110)를 절단해서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복수의 제1 시트(1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슬리팅부(380)는 표시부와 센싱 패턴 롤의 사이에서 표시부로부터 센싱 패턴 롤을 향해 이동하는 제1 폭의 제1 시트(110)를 절단해서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복수의 제1 시트(110)를 형성할 수 있다.
슬리팅부(380)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절단된 제1 시트(110)는 감김 단계(S 570)는 센싱 패턴 롤 b에 감길 수 있다.
슬리팅부(380)에 의해 제2 폭을 갖게 형성된 제1 시트(110)는 제2 폭을 갖는 센싱 패턴 롤 b의 상태로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다음 단계로 이송될 수 있다.
센싱 패턴 형성 단계(S 530)를 거친 제1 시트(110)가 감겨 센싱 패턴 롤을 형성할 때, 흡수 용품을 제조하는 다음 단계를 통해 배설물이 통과하는 재질의 제2 시트(120)가 감긴 서브 롤이 마련될 수 있다.
센싱 패턴 롤로부터 풀린 제1 시트(110)에서 센싱 패턴(200)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일면에 서브 롤로부터 풀린 제2 시트(120)가 대면되게 센싱 패턴 롤과 서브 롤이 설치될 수 있다.
센싱 패턴(200)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제1 시트(110)의 일면에 제2 시트(120)가 대면되도록,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함께 접합 롤러로 진입될 수 있다.
접합 롤러를 이용해서 센싱 패턴(200)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제1 시트(110)의 일면에 제2 시트(120)가 접합될 수 있다.
단말부의 단자는 제2 시트(120) 측에 밀착되고, 제2 시트를 관통해서 제1 시트 상의 센싱 패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시트가 배설물의 일부가 통과하는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부의 단자는 제1 시트(110)에 직접 밀착되면서 제1 시트 상의 센싱 패턴에 접촉될 수 있다.
접합 롤러로부터 출력되고 서로 접합된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배설물을 받는 흡수 용품의 길이에 맞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흡수 용품의 길이에 맞춰 절단된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흡수 용품에 맞게 재단될 수 있다.
흡수 용품에 맞게 재단되고 제1 시트(110)에 접합된 제2 시트(120)의 가운데에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재(150)가 적층될 수 있다.
제2 시트(120)의 가운데에 적층된 흡수재(150) 상에 배설물이 통과하는 재질의 제3 시트(130)를 덮고, 제3 시트(130)의 가장자리를 제2 시트(120)의 가장자리에 접합시키면, 센싱 패턴(200)을 갖는 흡수 용품에 해당되는 시트부(100)가 완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수 용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수 용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는 흡수 용품에 해당하는 시트부(100)의 일 예로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채워지고 대소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를 나타내었다.
기저귀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테이프 파스너(190)가 설치될 수 있다. 테이프 파스너(190)의 테이프는 기저귀의 타측 가장자리에 붙을 수 있다.
기저귀의 가운데 양 사이드에는 상측으로 기립되게 형성된 한 쌍의 누설 방지용 커프스(17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시트부(100)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시트부(100)는 배설물의 통과가 제한되는 재질의 제1 시트(110),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1 시트(110)의 일면에 적층되고 배설물이 통과되는 제2 시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00)에는 제2 시트(120)에 대면되는 제1 시트(110)의 일면에 인쇄되는 센싱 패턴(200), 제2 시트(120)에 대면되는 제1 시트(110)의 일면에 인쇄되는 표시선(30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시트(110)의 일면에 형성된 표시선(300)이 제1 시트(110)의 타면에서 육안으로 보이도록, 제1 시트(110)는 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설물의 수분이 표시선(300)에 묻으면 표시선(300)의 색깔이 변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재질의 제1 시트(110)를 통해 표시선(300)의 색깔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배설물의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시트(110)는 시트부(100)의 착용 위치 등을 고려해서 일부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제1 시트(110)는 기본적으로 많은 배설물을 누설 없이 확실하게 받아내기 위해 배설 기관보다 넓은 면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설물의 흡수력을 높이기 위해 흡수재(150)가 추가될 수 있다.
흡수재(150)는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2 시트(120)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흡수재(150)는 솜, SAP(Super Absorbtion Polymer), 티슈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솜 등의 흡수재(150)는 비닐 재질의 제1 시트(110)에 미끄러지기 쉽다. 이때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흡수재(150)를 구성하는 솜 입자, SAP 입자, 티슈 입자가 제1 시트(110)에 대해 고정되지 못하고 위치 변동되어 배설 영역의 어느 한쪽은 흡수재(150)가 텅 비고 다른 쪽은 흡수재(150)가 몰리는 기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흡수재(150) 입자의 위치 변동을 막기 위해 비닐 재질의 제1 시트(110)에 용이하게 접합되는 제2 시트(120)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솜에 접촉되는 상기 제2 시트(120)는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솜의 위치 변동을 제한하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재(150)가 마련된 경우, 제2 시트(120)로부터 흡수재(15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3 시트(130)가 추가될 수 있다.
제3 시트(130)는 사용자에 대면되는 흡수재(150)의 일면에 적층되고, 배설물이 통과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시트(130)의 가운데는 흡수재(150)를 덮으며, 제3 시트(130)의 가장자리는 제1 시트(110) 또는 제2 시트(120)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흡수재(150)가 포함된 시트부(100)의 가운데는 도 4의 C-C' 단면이 개시된 도 5의 (a)와 같이 제1 시트(110), 표시선(300), 제2 시트(120), 흡수재(150), 제3 시트(130)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패턴(200)은 표시선(30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평면상으로 표시선(300)과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시트부(100)의 가장자리는 도 4의 D-D' 단면이 개시된 도 5의 (b)와 같이 제1 시트(110), 표시선(300), 제2 시트(120)가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패턴(200)은 단면상으로 표시선(30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시트부(100) 가장자리의 제2 시트(120) 상에는 제3 시트(130)가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제3 시트(130)는 제1 시트(110) 또는 제2 시트(120)에 대해 흡수재(1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3 시트(130)는 흡수재(150)(150)를 구성하는 솜 입자, SAP 입자, 티슈 입자가 사용자의 신체에 묻거나, 흡수재(150)에 기흡수된 배설물이 사용자의 신체에 되묻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재(150) 및 센싱 패턴(200)은 배설 영역 k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시트(110), 제2 시트(120), 흡수재(150), 제3 시트(130)는 배설 영역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비용 절감을 위해 흡수재(150)는 배설 영역의 크기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수재(150)는 제1 시트(110), 제2 시트(120), 제3 시트(130)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수재(150)의 면적이 작다면, 제3 시트(130)의 가장자리가 제2 시트(120)의 가장자리에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1 시트(110), 제2 시트(120), 흡수재(150), 제3 시트(130)가 순서대로 적층된 시트부(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시트(120), 흡수재(150), 제3 시트(130)는 배설물이 통과되는 재질을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배설 영역에 배설한 배설물은 사용자에 대면되는 제1 시트(110)의 일면으로부터 제3 시트(130)까지 존재할 수 있다.
센싱 패턴(200) 및 표시선(300)은 배설 영역으로 배설된 배설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설물이 존재할 수 있는 제1 시트(110)로부터 제3 시트(130)까지의 구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 패턴(200) 및 표시선(300)은 제2 시트(120)에 대면되는 제1 시트(110)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될 수 있다.
도 6은 센싱 패턴(200)과 표시선(300)이 함께 형성된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하나의 시트부(100)에 대해 센싱 패턴(200)은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싱 패턴(200) 중 일부 센싱 패턴은 단말부(500)의 감지 신호가 인가되는 양(+) 센싱 패턴(210)을 형성하고, 복수의 센싱 패턴(200) 중 다른 센싱 패턴은 감지 신호가 단말부(500)로 다시 돌아가는 음(-) 센싱 패턴(220)을 형성할 수 있다. 양 센싱 패턴(210)과 음 센싱 패턴(220)은 제1 시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시트(110)의 폭 방향 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선(300)은 양 센싱 패턴(210) 및 음 센싱 패턴(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센싱 패턴(200) 사이에 형성된 표시선(300)은 제1 시트(110)의 폭 방향 상으로 가운데에 배치되므로 시인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단말부(500)의 단자는 양 센싱 패턴(210) 및 음 센싱 패턴(220)에 각각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양 센싱 패턴(210)에 접촉된 단자로 감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양 센싱 패턴(210)에 인가된 감지 신호는 양 센싱 패턴(210)으로부터 이격된 음 센싱 패턴(220)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배설물이 양 센싱 패턴(210)과 음 센싱 패턴(220)에 걸쳐서 묻으면, 전기가 소통되는 배설물로 인해 양 센싱 패턴(210)과 음 센싱 패턴(220)은 도통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양 센싱 패턴(210)에 인가된 감지 신호는 배설물을 타고 음 센싱 패턴(220)으로 전달되며, 음 센싱 패턴(220)으로 전달된 감지 신호는 음 센싱 패턴(220)에 물리적으로 접촉된 단자를 통해 단말부(500)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부(500)는 음 센싱 패턴(220)에 접촉된 단자로부터 획득된 감지 신호를 분석해서 배설물의 유무, 배설물의 양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배설물의 낮은 전기 전도도로 인해 배설물이 양 센싱 패턴(210)과 음 센싱 패턴(220)에 결쳐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양 센싱 패턴(210)의 감지 신호가 음 센싱 패턴(220)으로 거의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양 센싱 패턴(210)과 음 센싱 패턴(220) 간의 거리 i가 멀수록 심화될 수 있다.
양 센싱 패턴(210)에 인가된 감지 신호가 배설물을 타고 음 센싱 패턴(220)으로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표시선(300)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양 센싱 패턴(210) 및 음 센싱 패턴(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선(300)은 양 센싱 패턴(210) 및 음 센싱 패턴(2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표시선(300)은 감지 신호가 소통되는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선(300)이 배재된 상태에서 감지 신호가 통과해야 할 거리가 i일 때, 폭 w를 갖는 도전성 재질의 표시선(300)이 각 센싱 패턴(200) 사이에 배치되면, 감지 신호가 통과해야 할 거리는 i에서 w를 뺀 값으로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센싱 패턴(200)에 걸쳐 존재하는 배설물의 저항값이 표시선(300)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감소된 저항값으로 인해 감지 신호는 용이하게 음 센싱 패턴(2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전성 재질의 표시선(300)이 각 센싱 패턴(200)의 사이에 배치되면, 배설물의 양이 감지 신호를 전달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미하더라도 표시선(300) 및 센싱 패턴(200)에 의해 배설물이 확실하게 감지될 수 있다.
한편, 표시선(300)은 시트부(100)와 단말부(500) 간의 정렬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단말부(500)에는 센싱 패턴(200)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단자, 제1 시트(110)의 폭 방향 상으로 단자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센싱 패턴(200)에 단자가 정렬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5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표시선(300)은 센싱 패턴(200)에 단자가 정렬될 때, 안내부에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선(300)에 안내부(521)를 정렬시키면, 단말부(500)의 단자는 자연스럽게 센싱 패턴(200)에 정렬될 수 있다.
안내부(521)의 정렬을 가이드하도록, 표시선(300)은 초기 상태에서 제1 시트(110) 및 제2 시트(120)와 다른 색깔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선(300)에 따르면, 단자와 센싱 패턴(200) 간의 정렬을 위해 센싱 패턴(200)을 유색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표시선(300)이 추가되면, 센싱 패턴(200)은 흰색 또는 무색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시트부(100)에 착탈되기 위해 단말부(500)에는 시트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는 제1 착탈부(510) 및 제2 착탈부(58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착탈부(510)에는 시트부(10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519)가 마련될 수 있다.
단말부(500)의 제1 착탈부(510)에서 안착부(519)에 형성된 단자, 예를 들어 제1 단자(531), 제2 단자(532), 제3 단자(533), 제4 단자(534)는 시트부(100)를 사이에 두고 각 단자를 덮는 제2 착탈부(58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제1 단자(531) 또는 제2 단자(532)는 양 센싱 패턴(210)에 감지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3 단자(533) 또는 제4 단자(534)는 음 센싱 패턴(220)으로부터 되돌아온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단자가 제2 착탈부(580)에 의해 가려진 시점부터 온전히 감각에 의존해서 센싱 패턴(200)과 단자 간의 정렬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안내부(521)는 각 단자를 덮은 제2 착탈부(58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착탈부(580)에 의해 각 단자가 덮인 상태에서 안내부(521)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에 노출된 안내부(521)를 표시선(300)에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제1 시트(110)의 폭 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 ② 상으로, 안내부(521)와 각 단자 간의 거리는 표시선(300)과 각 센싱 패턴(200) 간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521)가 표시선(300)에 정렬되게 시트부(100)에 대한 단말부(500)의 위치가 조절되면, 각 센싱 패턴(200)과 각 단자는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다.
단말부(500)에는 센싱 패턴(200)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단자가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단자의 개수는 센싱 패턴(200)의 개수보다 1개 이상 많을 수 있다.
단자와 센싱 패턴(200)은 시트부(100)에 단말부(500)가 장착될 때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센싱 패턴(200) 각각에 적어도 단자 1개씩이 물리적으로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설정 간격만큼 이격된 2개의 센싱 패턴(200)이 시트부(100)에 마련될 때, 단말부(500)에는 2개의 센싱 패턴(200)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2개의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단자가 특정 센싱 패턴(200)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 나머지 단자는 자연스럽게 다른 센싱 패턴(200)에 정렬되고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단자와 센싱 패턴(200) 간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단자와 센싱 패턴(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패턴 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패턴 롤은 감김 단계(S 570)를 거쳐 형성된 센싱 패턴 롤 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패턴 롤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시트(110), 제1 시트(110)에 프린팅 또는 코팅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연장되는 센싱 패턴(200), 제1 방향에 수직한 가상축 o를 기준으로 감긴 센싱 패턴 롤 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턴 롤 b는 원기둥 형상의 심지통에 센싱 패턴이 형성된 제1 시트가 감긴 것일 수 있다. 심지통은 필요에 따라 센싱 패턴 롤 b의 형성 이후 제거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1 시트(110)를 펼쳤을 때, 제1 시트(11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소스 롤 a로부터 공급되는 제1 시트의 제한된 길이 또는 커팅부의 절단에 의해 센싱 패턴 롤 b에 감긴 제1 시트의 길이는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시트의 말단은 센싱 패턴 롤 b의 외주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센싱 패턴의 말단은 센싱 패턴 롤 b의 외주면에 노출된 제1 시트의 말단과 일치될 수 있다.
제1 시트의 말단과 일치된 센싱 패턴 롤 b에 따르면, 제1 시트의 말단을 잘라내지 않고 제1 시트의 말단을 그대로 이용해서 정상적인 흡수 용품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재료의 낭비가 방지된다.
또한, 제1 시트의 말단과 일치하는 센싱 패턴의 말단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제2 시트 등과의 정렬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센싱 패턴 롤 b에 형성된 센싱 패턴(200)은 배설물의 감지를 위해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센싱 패턴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패턴 롤 b에 감긴 센싱 패턴(200)은 제2 방향에 수직하게 센싱 패턴 롤 b를 바라봤을 때 서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센싱 패턴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우, 센싱 패턴 롤 b에 센싱 패턴이 복수로 적층되더라도 서로 겹쳐진 센싱 패턴으로 인해 제2 방향에 수직하게 센싱 패턴 롤 b를 바라봤을 때 오직 2개의 센싱 패턴만 보일 수 있다.
센싱 패턴(200)이 형성된 제1 시트(110)가 복수 회수로 감긴 센싱 패턴 롤 b에는 반지름 방향을 따라 제1 시트(110)가 복수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적층된 제1 시트와 제1 시트의 사이에 센싱 패턴이 적층될 수 있다. 센싱 패턴의 적층 회수 또는 센싱 패턴 롤 b에 센싱 패턴이 감긴 회수는 제1 시트의 적층 회수 또는 센싱 패턴 롤 b에 제1 시트가 감기 회수 이하일 수 있다. 왜냐하면,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의 초기에 소스 롤 a의 제1 시트를 일부 풀어서 센싱 패턴 롤 b에 최초로 감는 과정에서 일부 제1 시트가 센싱 패턴의 형성없이 센싱 패턴 롤 b에 감길 수 있기 때문이다.
흡수 용품 제조 방법의 초기에 소스 롤 a로부터 풀리고 센싱 패턴 롤 b에 최초로 연결되는 제1 시트의 시단부터 센싱 패턴을 형성하면, 센싱 패턴은 센싱 패턴 롤 b에 제1 시트가 감긴 회수만큼 센싱 패턴 롤에 감길 수 있다.
도 8은 센싱 패턴 롤에 제1 시트가 감기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센싱 패턴 롤 b는 센싱 패턴(200)이 센싱 패턴 롤 b의 안쪽(중심)을 향하고 제1 시트(110)가 센싱 패턴 롤의 바깥쪽(외부)을 향하게 제1 시트(110)가 감긴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패턴(200)이 제1 시트(110)에 의해 덮인 상태가 되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센싱 패턴(200)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도전성 잉크 20...수분 변색 잉크
100...시트부 110...제1 시트
120...제2 시트 130...제3 시트
150...흡수재 170...커프스
190...파스너 200...센싱 패턴
210...양 센싱 패턴 220...음 센싱 패턴
300...표시선
310...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 319...트렌치
320...제1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
330...제1 잉크통 340...제1 닥터 블레이드
350...압동 롤러 360...건조부
370...방전 처리부 380...슬리팅부
410...제2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
420...제2 평판 그라비어 윤전기
430...제2 잉크통 440...제2 닥터 블레이드
500...단말부 510...제1 착탈부
519...안착부 580...제2 착탈부
521...안내부 531...제1 단자
532...제2 단자 533...제3 단자
534...제4 단자

Claims (18)

  1. 배설물의 통과가 적어도 일부 제한되는 판 형상의 제1 시트가 감긴 소스 롤로부터 상기 제1 시트를 푸는 풀림 단계;
    상기 소스 롤로부터 풀린 상기 제1 시트에 배설물의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 형성 단계;
    상기 센싱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1 시트를 감아 센싱 패턴 롤을 형성하는 감김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에 상기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부가 상기 소스 롤과 상기 센싱 패턴 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시트는 상기 소스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센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센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상기 제1 시트에는 상기 센싱 패턴부에 의해 상기 센싱 패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 패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상기 제1 시트는 상기 센싱 패턴 롤에 연속적으로 감기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상기 배설물에 의해 상기 센싱 패턴의 등가 저항이 달라지도록, 상기 배설물을 받는 상기 제1 시트의 배설 영역을 관통하는 복수의 상기 센싱 패턴을 서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제1 시트의 절단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부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에 복수의 상기 센싱 패턴이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복수의 상기 센싱 패턴을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의 절단 위치에 상관없이, 절단된 상기 제1 시트의 말단과 절단된 상기 제1 시트에 형성된 상기 센싱 패턴의 말단이 일치하도록,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센싱 패턴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센싱 패턴은 서로 이격된 제1 센싱 패턴과 제2 센싱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싱 패턴의 말단 및 상기 제2 센싱 패턴의 말단은 모두 절단된 상기 제1 시트의 말단에 위치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시트의 일면에 상기 감지 신호가 소통될 수 있는 도전성 잉크를 프린팅 또는 코팅하는 것으로 상기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상기 소스 롤과 상기 센싱 패턴 롤 사이에 배치된 센싱 패턴부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센싱 패턴부는 상기 소스 롤로부터 상기 센싱 패턴 롤을 향해 이동하는 상기 제1 시트의 경로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시트의 이동에 맞춰 회전하는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트렌치(trench)가 형성되고,
    각 트렌치는 상기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의 외주를 따라 끊김없이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에 존재하는 도전성 잉크가 상기 제1 시트의 일면에 프린팅 또는 코팅되고,
    회전하는 상기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를 통과한 상기 제1 시트에는 상기 트렌치에 의해 서로 평행한 복수의 상기 센싱 패턴이 끊김없이 연속되게 형성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제1 시트의 길이 방향에 기울어진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제1 원통판 그라비어 윤전기의 외주면 상에 처음과 끝이 연속된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트렌치는 상기 제1 시트의 폭 방향 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롤로부터 풀린 상기 제1 시트를 코로나 처리하는 전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를 코로나 처리하는 방전 처리부는 상기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센싱 패턴부와 상기 소스 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 패턴부는 상기 전처리 단계를 통해 친수성이 높아진 상기 제1 시트에 도전성 잉크를 프린팅 또는 코팅해서 상기 센싱 패턴을 형성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센싱 패턴부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시트에 도전성 잉크를 프린팅 또는 코팅해서 상기 센싱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센싱 패턴부와 상기 센싱 패턴 롤의 사이에 건조부가 배치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센싱 패턴 롤에 상기 제1 시트가 감기기 전에 상기 제1 시트에 형성된 상기 센싱 패턴을 건조시키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에 배설물이 묻으면 색깔이 변하는 표시선을 형성하는 표시선 형성 단계가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표시선 형성 단계는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를 수행하는 센싱 패턴부와 상기 소스 롤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센싱 패턴부와 상기 센싱 패턴 롤의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부에 의해 수행되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상기 배설물을 받는 흡수 용품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제1 시트를 대상으로 수행되고,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는 상기 제1 시트의 폭 방향 상으로 각 흡수 용품에 대응되는 영역마다 상기 센싱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센싱 패턴 형성 단계를 수행하는 센싱 패턴부와 상기 센싱 패턴 롤 사이에 배치된 슬리팅부를 이용해서 상기 흡수 용품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하나의 제1 시트를 슬리팅(slitting)하여 상기 흡수 용품의 제작에 필요한 폭을 갖는 복수의 제1 시트를 형성하는 슬리팅 단계가 마련된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이 통과하는 재질의 제2 시트가 감긴 서브 롤을 마련하고,
    상기 센싱 패턴 롤로부터 풀린 상기 제1 시트에서 상기 센싱 패턴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일면에 상기 서브 롤로부터 풀린 상기 제2 시트가 대면되게 상기 센싱 패턴 롤과 상기 서브 롤을 설치하며,
    상기 센싱 패턴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제1 시트의 일면에 상기 제2 시트가 대면되도록,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함께 접합 롤러로 진입시키고,
    상기 접합 롤러를 이용해서 상기 센싱 패턴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제1 시트의 일면에 상기 제2 시트를 접합시키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롤러로부터 출력되고 서로 접합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상기 배설물을 받는 흡수 용품의 길이에 맞춰 절단하고,
    상기 흡수 용품의 길이에 맞춰 절단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상기 흡수 용품에 맞게 재단하며,
    상기 흡수 용품에 맞게 재단되고 상기 제1 시트에 접합된 상기 제2 시트의 가운데에 상기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적층하고,
    상기 제2 시트의 가운데에 적층된 상기 흡수재 상에 상기 배설물이 통과하는 재질의 제3 시트를 덮고, 상기 제3 시트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2 시트의 가장자리에 접합시키는 흡수 용품 제조 방법.
  14.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에 프린팅 또는 코팅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연장되는 센싱 패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축이 정의될 때, 상기 센싱 패턴이 프린팅 또는 코팅된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가상축을 기준으로 감긴 센싱 패턴 롤;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패턴의 말단은 상기 센싱 패턴 롤의 외주면에 노출된 상기 제1 시트의 말단과 일치되는 패턴 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센싱 패턴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싱 패턴 롤에 감긴 상기 센싱 패턴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센싱 패턴 롤을 바라봤을 때 서로 겹쳐지게 형성된 패턴 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 롤은 상기 센싱 패턴이 상기 센싱 패턴 롤의 안쪽을 향하고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센싱 패턴 롤의 바깥쪽을 향하게 상기 제1 시트가 감긴 것인 패턴 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복수 회수로 감긴 상기 센싱 패턴 롤에는 반지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시트가 복수로 적층되고,
    서로 적층된 제1 시트와 제1 시트의 사이에 상기 센싱 패턴이 적층된 패턴 롤.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턴은 상기 센싱 패턴 롤에 상기 제1 시트가 감긴 회수만큼 상기 센싱 패턴 롤에 감기는 패턴 롤.
KR1020180024464A 2017-06-05 2018-02-28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KR102121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64A KR102121923B1 (ko) 2018-02-28 2018-02-28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CN201880037541.8A CN110709039A (zh) 2017-06-05 2018-05-31 吸收用品的制造方法
US16/619,783 US20200163805A1 (en)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ption product
EP18813083.5A EP3636234A4 (en)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PTION PRODUCT
SG11201911739WA SG11201911739WA (en) 2017-06-05 2018-05-31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ption product
PCT/KR2018/006212 WO2018225977A1 (ko) 2017-06-05 2018-05-31 흡수 용품 제조 방법
JP2020517269A JP2020524063A (ja) 2017-06-05 2018-05-31 吸収用品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64A KR102121923B1 (ko) 2018-02-28 2018-02-28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08A true KR20190103708A (ko) 2019-09-05
KR102121923B1 KR102121923B1 (ko) 2020-06-11

Family

ID=6794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464A KR102121923B1 (ko) 2017-06-05 2018-02-28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9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616A (en) * 1994-12-02 1996-10-22 Kimberly-Clark Corporation Substrate printed by a single substrate, repeat-pass printing process
JP2008520399A (ja) * 2004-11-23 2008-06-19 ピレス,エッチ.,ジョージ 衛生的発信器付きの賢い使い捨ておむつ
KR20110107330A (ko) * 2008-12-31 2011-09-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원격 탐지 시스템
JP2012223386A (ja) * 2011-04-20 2012-11-15 Awajitec:Kk 水分センサー
KR101246464B1 (ko) 2006-09-27 2013-03-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616A (en) * 1994-12-02 1996-10-22 Kimberly-Clark Corporation Substrate printed by a single substrate, repeat-pass printing process
JP2008520399A (ja) * 2004-11-23 2008-06-19 ピレス,エッチ.,ジョージ 衛生的発信器付きの賢い使い捨ておむつ
KR101246464B1 (ko) 2006-09-27 2013-03-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KR20110107330A (ko) * 2008-12-31 2011-09-30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용품용 원격 탐지 시스템
JP2012223386A (ja) * 2011-04-20 2012-11-15 Awajitec:Kk 水分セン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923B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9375A1 (en)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multi-layered printed absorbent article
CN107072836B (zh) 用于制备图案化开孔纤维网的方法
US10307299B2 (en) Method of producing a multi-layered printed absorbent article
US59001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bsorbent materials in an absorbent product
US6645330B2 (en) Method of mak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graphics using ultrasonic thermal imaging
US71726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graphics into absorbent articles
KR20190103708A (ko) 흡수 용품 제조 방법 및 패턴 롤
US2020016380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ption product
KR102121916B1 (ko) 흡수 용품 및 흡수 용품 제조 방법
US20150051564A1 (en) Printed wetness and health indicators o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RU27500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лексографической печати и способ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ечатания н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 полотнах материалов, имеющих разную толщину
EP418001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anitary articles, method for applying a glue pattern on a web, and related apparatuses
US20210267820A1 (en) Formed film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same
WO2021096512A1 (en) Formed films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