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130A -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130A
KR20190103130A KR1020190106050A KR20190106050A KR20190103130A KR 20190103130 A KR20190103130 A KR 20190103130A KR 1020190106050 A KR1020190106050 A KR 1020190106050A KR 20190106050 A KR20190106050 A KR 20190106050A KR 20190103130 A KR20190103130 A KR 20190103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tool
receiving
man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경
조재원
이창수
김자애
최미진
배정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0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130A/en
Publication of KR2019010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1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rine and feces-separated toilet bowl having an excreta separation unit. The toilet bowl having a urine and feces separation membrane and for separating urine and feces and generating renewable energy by using the same, comprises: a body unit forming the exterior and having an opening in an upper portion thereof to receive excreta therein; a lid unit having a first surface disposed in a plate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unit and a second surfac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disposed on the body unit to cover the opening; a toilet seat unit disposed between the body unit and the lid unit to span an edge of the opening; an excreta receiving unit positioned on a front end of the body unit and includ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receiving urine through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positioned on a rear end of the body unit and receiving feces through a second opening; and an excreta separa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 separat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Description

대소변 분리형 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 시스템{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Toilet bowl and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소변 분리형 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대소변을 분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생성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ol separate toilet and a manur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ol separate toilet and a manur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to separate the stool and generate renewable energy.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외부로부터 격리된 공간에 변기를 두어 사용자가 대소변을 보도록 하였으며, 남녀 구분에 따라 남자 화장실에는 소변기와 대변기가 설치되며, 여자 화장실에는 대변기가 설치된다. 여기서, 기존의 화장실에 설치된 대변기는 대소변, 즉, 분뇨를 특별히 분리하지 않고 한꺼번에 받아 정화조로 이송하며, 정화조는 단순히 분뇨를 저장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In general, the toilet has a toilet in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toilet, male and female toilets are installed in the urinals and toilets, toilets are installed in women's toilets. Here, the toilet is installed in the existing toilet toilets, that is, without receiving a special separation of manure at a time and transported to the septic tank, the septic tank simply performed the function of storing the manure.

이와 같이, 기존의 화장실은 분뇨를 재활용하지 않으며, 분뇨가 뒤섞여 있어 재활용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소변과 대변을 별도로 분리 처리하여 각각 퇴비나 메탄가스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변 및/또는 대소변의 방뇨 시 소변과 대변이 분리 배출되도록 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As such, the existing toilets do not recycle manure, and manure is mixed and thus difficult to recycle. Therefore, in recent years, separate urine and feces to separate the urine and stool to discharge the urine and stool during urination and / or stool urine for the purpose of separately separating the urine and feces to use as a renewable energy source, such as methane gas There is an active research 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대소변 분리형 변기는, 변기 내부의 세척수에 의해 배출된 소변 및/또는 대변이 세척되는 과정에서, 분뇨가 다량의 물에 희석되어 고농도의 분뇨만을 얻기 어렵고, 이와 같이 다량의 물에 희석된 분뇨는 재생 에너지로 활용이 어럽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ecal separation type toilet, in the process of washing the urine and / or stool discharged by the wash water inside the toilet, the manure is diluted in a large amount of water, it is difficult to obtain only a high concentration of manure, thus diluted in a large amount of wat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d manure is difficult to use as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소변을 분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생성하는 대소변 분리막을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with a urine separation membrane for separating urine and generating renewable energy using the same.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를 갖는, 본체부; 판상 형태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메인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는, 덮개부;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변좌부; 상기 본체부 내의 전단에 위치하며 제1 개구를 통해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 내의 후단에 위치하며 제2 개구를 통해 대변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분뇨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분리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분뇨 분리부를 구비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to form an appearance and to receive the manure therein; A cover portion having a first surface disposed in the plate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disposed on the main body portion to cover the main opening; A toilet sea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lid portion so as to span an edge of the opening; A manure receiving portion located at a front end in said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urine through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located at a rear end in said body portion and receiving a stool through a second opening; And a urine separat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o separat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as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shing water supply uni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unit and supply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uni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 내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shing water supply unit which is located at the front end in the main body portion,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nly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세척수 공급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제2 세척수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척수 공급구는 상기 제1 개구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cond wash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second wash water supply port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is supplied, and the second wash water supply port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open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수용부의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대변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tool discharge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변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수용부에 토출된 대변을 진공으로 상기 대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stool discharge port, and discharges the stoo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ool discharge port to a vacuum.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변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대변 배출구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된 대변을 수집하는 대변 수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tool coll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tool discharge port for collecting the stoo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ool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treatment unit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over unit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uni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발산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반투광성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처리부는 상기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translucent plate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and blocking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terilization treatment portion may b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hol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살균 처리부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덮개부가 닫혔을 때 온(on) 되고, 상기 덮개부가 열렸을 때 오프(off)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treatment part includes an ultraviolet lamp, and the ultraviolet lamp may be turned on when the cover part is closed and turned off when the cover part is open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수용부 내에는 500ml 이하의 봉수가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ess than 500 ml of water may be present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의 전단에 위치하며 제1 개구를 통해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 내의 후단에 위치하며 제2 개구를 통해 대변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분뇨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분리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분뇨 분리부를 포함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상기 제1 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용부에 토출된 대변을 수거하는, 대변 수집부 및 상기 대변 수집부에 수집된 대변을 처리하여 자원으로 재생하는, 자원 재생부를 구비하는, 분뇨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ody portion having an opening in the upper portion to form the appearance and to receive the manure there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located in the front end in the body portion and receiving the urin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located at a rear end in the main body portion to receive a feces through a second opening,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 separat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 feces-removable toilet comprising a manure separator position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s, a stool collecting portion and a stool collected in the stool collecting portion collecting the stool discharg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 manure processing system having a resource regeneration unit for processing and reproducing into a resource is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변 수집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토출된 대변을 진공으로 상기 대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tool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vacuum pump for discharging the stool discharged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ool discharge port in a vacuum.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소변 분리형 변기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대변이 상기 대변 수집부로 수거된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ilet bowl type toilet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washing water supply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washing water The supply part may supply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by supplying the wash water after the feces are collected by the vacuum pump to the fecal collecting par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변 수집부에 수용된 세척수와 대변의 비율은 2:1 내지 3:1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atio of the wash water and feces contained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may be 2: 1 to 3: 1.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소변을 분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생성하는 대소변 분리막을 구비한 변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oilet with a urine separation membrane for separating the urine and generating renewable energy using it.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대소변 분리형 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대소변 분리형 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분뇨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separated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oilet of the toilet separated type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oilet of the toilet separated type of FIG.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ur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s including or have, etc.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n addition, when a part of a film, an area, a component, or the like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as well as being "on" or "on" another part, other films in the middle,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an area | region, a component, etc. are interpos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the reverse order of the described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ilet toilet type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는 본체부(110), 본체부(110) 상에 배치되는 덮개부(120) 및 본체부(110)와 덮개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변좌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111)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부(110) 상부에 형성된 개구(111)를 통해 분뇨를 본체부(110) 내로 토출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체부(110)는 내부에 분뇨를 수용할 수 있는 분뇨 수용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뇨 수용부(140)에는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oilet seat detachabl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cover 120 disposed on the main body 110, and a main body 110 and a cover. The toilet seat 130 is disposed between the 120. The main body 110 may have an opening 1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form an exterior and to receive manure therein. The user may discharge the manure into the body portion 110 through the opening 11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manure container 140 for accommodating manure therein, and the feces and urine may be separated and accommodated in the manure receiving unit 140.

덮개부(120)는 판상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개구(111)를 덮도록 본체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120)는 제1 면(120a) 및 제1 면(120a)의 반대측에 제2 면(120b)을 가지며, 제1 면(120a)은 본체부(110)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고, 제2 면(120b)은 외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개구(11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on the body part 110 to cover the opening 111 of the body part 110. The cover part 120 has a first surface 120a and a second surface 120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20a, and the first surface 120a is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10. The second surface 120b may be disposed toward the outside. The cover part 120 may be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opening 111 of the main body part 110.

이러한 덮개부(120)와 본체부(110) 사이에는 변좌부(130)가 개재될 수 있는데, 변좌부(130)는 본체부(110)의 개구(111)에 대응하도록 중앙이 오픈된 형상일 수 있으며, 종래의 변기 시트에 준하는 형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덮개부(120)와 본체부(110)는 서로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비데와 같은 구성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toilet seat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120 and the main body 110, and the toilet seat 13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enter thereof is open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11 of the main body 110. It may b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ilet seat in the conventional. In some cases, the cover 120 and the main body 11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each other, and a configuration such as a bidet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덮개부(120)는 중앙부에 개구(1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개구(121)는 창과 같은 구조를 형성하도록 반투광성 플레이트(122)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2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플레이트(122)는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발산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반투광성 플레이트일 수 있다. 즉, 반투광성 플레이트라고 함은 자외선 파장의 빛은 차단하되, 가시광선 및 적외선 등은 통과시키는 플레이트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육안으로 바라볼 때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변기 내부에 남은 타인의 분뇨 유무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20 may include an opening 121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opening 121 may be closed by the semi-translucent plate 122 to form a window-like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te 12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ssive plate 122 may be a semi-transparent plate that blocks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semi-transmissive plate may be defined as a plate that blocks light of ultraviolet wavelengths but passes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block harmful ultraviolet rays when viewed by the naked eye and indirectly check whether manure is left inside the toilet.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화장실의 경우, 변기의 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 변기 내부에 분뇨가 남아 있는지, 아니면 모두 제거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변기의 커버를 들춰보아야만 한다. 만약 이때 변기 내부에 타인의 분뇨가 남아 있는 경우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으며 다음 사용자에게 매우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서는 덮개부(120)의 중앙부에 본체부(1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홀 및 이를 밀폐하는 투광성의 플레이트(122)가 구비되어 있어, 변기(100)의 덮개부(120)를 덮은 상태로도 본체부(110)의 내부의 상태가 확인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oilet used by several people, if the toilet cover is closed,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ether manure is left inside the toilet or if it has been removed. To check this, the toilet cover must be lifted. do. If manure is left inside the toilet, it is not hygienic and very unpleasant to the next user. Thus, in the toilet toilet separate type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le and a light-transmissive plate 122 for sealing it so as to check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20, the toilet 100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confirmed even when the cover 120 of the cover unit 120 is covered.

한편 도 3를 참조하면, 덮개부(120)의 제1 면(120a)에는 본체부(11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23)는 덮개부(120)의 개구(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처리부(123)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외선 램프는 덮개부(120)가 닫혔을 때 온(on)되고, 덮개부(120)가 열렸을 때 오프(off)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a sterilization treatment part 123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120a of the cover part 120. The sterilization treatment part 123 may be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opening 121 of the cover part 120. The sterilization processing unit 123 may include an ultraviolet lamp, and the ultraviolet lamp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when the cover part 120 is closed and to be turned off when the cover part 120 is opened.

도 2는 도 1의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덮개부(12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oilet seat type toilet 100 of FIG. 1. In FIG. 2, the lid part 120 is closed.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는 본체부(110) 내부에 소변 및/또는 대변을 수용하는 분뇨 수용부(140)를 구비한다. 분뇨 수용부(140)는 본체부(110) 내의 전단(110a)에 위치하며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141) 및 본체부(110) 내의 후단(110b)에 위치하며 대변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의 전단(110a)이라고 함은 사용자가 변좌부(130)에 착석했을 때 바라보는 정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의 후단(110b)은 전단(110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1 and 2 together,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nure receiving unit 140 for receiving urine and / or stool in the body portion (110). The manure receiving part 140 is located at the front end 110a in the main body part 110 and is located at the first receiving part 141 for accommodating urine and the rear end 110b in the main body part 110 to receive feces. It may include two receiving portion 142. Here, the front end 110a of the main body 110 may be understood to mean a front face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30, and the rear end 110b of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front end ( It may be understood as a par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110a).

제1 수용부(141)는 제1 개구(143)를 통해 소변을 제1 수용부(141) 내로 소변을 수용할 수 있고, 제2 수용부(142)는 제2 개구(144)를 통해 제2 수용부(142) 내로 대변을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수용부(141)는 본체부(110) 전단(110a)에 위치하고, 제2 수용부(142)는 본체부(110) 후단(110b)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사람의 신체 구조와 관련된다. 즉, 사용자가 변좌부(130)에 착석했을 때, 소변은 압력에 의해 본체부(110)의 전단(110a)을 향해 토출되는 반면, 대변은 중력에 의해 바닥면(146)을 향해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서는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전단(110a)에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141)를 배치되고, 본체부(110)의 후단(110b)에는 대변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142)를 배치된다.The first receiving portion 141 may receive urine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41 through the first opening 143,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42 may make urine through the second opening 144. The feces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42.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110a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is located at the rear end 110b of the main body part 110, which is a human body. It is related to the structure. That is,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30, urine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end 110a of the body portion 110 by pressure, while the feces are discharg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46 by gravity. Therefore, in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 first receiving portion 141 for receiving urine at the front end (110a) of the body portion 110 to separate the stool and urine, the body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is disposed at the rear end 110b of the part 110 to accommodate the feces.

제1 수용부(141)의 제1 개구(143)는 제2 수용부(142)의 제2 개구(144)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수용부(141)는 액체 형태의 소변을 수용하는데 반해, 제2 수용부(142)는 고체 형태의 대변을 수용해야 하는바, 제2 개구(144)가 제1 개구(14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제2 수용부(142) 역시 제1 수용부(141)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opening 143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opening 144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This is becaus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receives urine in liquid form, whereas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should accommodate feces in solid form, so that the second opening 144 is larger than the first opening 143. It is preferable to form large. In addition, for the same reaso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may also be larger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제1 수용부(141)는 소변 배출 수로(14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소변 배출 수로(145)는 지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지면과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 소변 배출 수로(145)를 통해 소변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42)는 바닥면(146)을 구비하며 제2 수용부(142)로 토출된 대변은 바닥면(146)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may include a urine discharge channel 145, and the urine discharge channel 145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Urine may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rine discharge channel 145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the grou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46, and the feces discharg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may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146.

한편, 제1 수용부(141)와 제2 수용부(142) 사이에는 분뇨 분리부(150)가 위치할 수 있는데, 분뇨 분리부(150)를 통해 제1 수용부(141)와 제2 수용부(142)가 정의될 수 있다. 분뇨 분리부(150)를 기준으로 본체부(110)의 전단(110a)에는 제1 수용부(141)가 위치하고, 본체부(110)의 후단(110b)에는 제2 수용부(14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뇨 분리부(150)는 본체부(110) 내부 깊이의 약 2/3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manure separator 15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provided through the manure separating part 150. Unit 142 may be define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110a of the main body part 110 based on the manure separating part 15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110b of the main body part 110. can do. The manure separator 15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about 2/3 of the depth of the main body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본체부(110) 상단에는 본체부(110) 내의 분뇨 수용부(14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160, 170)가 위치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160, 170)는 분뇨 수용부(140)를 세척하기 위한 제1 세척수 공급부(160) 및 소변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141)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 공급부(160, 170)는 상수도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수도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미도시) 또는 버튼(미도시)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분뇨 수용부(140)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60, 17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manure receiving portion 140 in the main body 110. The wash water supply unit 160 or 170 supplies a second wash water supply unit 170 supplying the wash water only to 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160 for washing the manure receiving unit 140 and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where urine is accommodated. It may include.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60 and 170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and the user may operate a valve (not shown) or a button (not shown)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manure receiving unit 140.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제1 세척수 공급부(160)는 제1 수용부(141)와 제2 수용부(142)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세척수 공급부(160)는 사용자가 대변을 배출한 경우 또는 대소변을 함께 배출한 경우에 제1 수용부(141)와 제2 수용부(142) 중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160 may supply wash water for wash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That is, 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160 may supply the wash wat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when the user discharges the stool or discharges the feces together.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세척수 공급부(160)는 후단(110b)으로부터 연장된 제1 세척수 공급로(16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세척수는 본체부(110)의 개구(111) 주변을 따라 본체부(110) 내벽을 타고 분뇨 수용부(140)로 흘러 들어 갈 수 있다. 이때, 분뇨 수용부(140)로 흘러 들어간 세척수는 본체부(110) 내부에 고여있지 않고 본체부(110) 외부로 전부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160 may supply the wash water through the first wash water supply path 161 extending from the rear end 110b, and the wash water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unit 110.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111, the main body 110 may flow into the manure accommodation 140.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manure receiving unit 140 may be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unit 110 without being accumulated in the main body unit 110.

제2 세척수 공급부(170)는 본체부(110) 내의 전단(110a)에 위치하며, 제1 수용부(141)에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세척수 공급부(17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로(171) 및 직접 세척수가 토출되는 제2 세척수 공급구(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세척수 공급구(173)는 제1 세척수 공급부(160)보다 지면으로부터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세척수 공급구(173)는 제1 수용부(141)의 제1 개구(143)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세척수 공급부(170)에서 토출된 세척수는 전부 제1 수용부(14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소변만을 배출한 경우 분뇨 수용부(140) 전체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바, 이때에는 제2 세척수 공급부(170)만을 작동시켜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141)만을 세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뇨 수용부(140) 전체를 세척하는 것에 비해 30% 이하의 세척수만으로 변기를 세정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The second wash water supply unit 170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110a in the main body unit 110, and may supply the washing water only to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The second wash water supply unit 170 may include a second wash water supply path 171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and a second wash water supply port 173 through which the direct wash water is discharged.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second wash water supply port 173 may be located at a lower level from the ground than 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160. In addition,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ort 173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first opening 143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41. Therefore, all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This means that when the user discharges only urine, there is no need to wash the entire manure receiving part 140. In this case, only the first receiving part 141 which receives urine may be operated by operating only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art 170. have. Through this, the toilet can be cleaned with only 30% or less of washing water, compared to washing the entire manure receiving portion 140, thereby saving wa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는 제2 수용부(142)와 연통되어 본체부(110) 후단(110b) 측으로 연장되는 대변 배출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변 배출구(180)는 대변 배출관(미도시)과 연결되어 변기 외부에 위치한 대변 수집부(200, 도 4 참조)에 대변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대변 배출구(180)는 제2 수용부(142)의 바닥면(146)과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ol outlet 180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42 extending to the rear end 110b side of the main body 110. . The stool outlet 180 may be connected to the stool discharge pipe (not shown) to store the stool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see Fig. 4) located outside the toilet. 2 and 3, the stool outlet 180 extends to be horizontal with the bottom surface 146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14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수용부(142)의 바닥면(146)에는 소량의 봉수(w)가 항상 존재할 수 있다. 소량의 봉수(w)는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제2 수용부(142) 내에 항상 고여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수용부(142) 내에 존재하는 봉수(w)는 500ml 이하일 수 있다.이러한 대변 배출구(180)는 진공 펌프(400, 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제2 수용부(142)에 토출된 대변을 진공으로 대변 배출구(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외부로 배출된 대변은 대변 배출구(180)와 연결된 대변 수집부(200)에 저장될 수 있다. 대변 수집부(200)는 예컨대 중간 저장조를 의미할 수도 있고, 재활용을 위해 대변을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부일 수도 있다. 대변 수집부(200)에 저장된 대변은 혐기성 미생물 등을 통해 메탄 가스로 재활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small amount of water w may always be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146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A small amount of water w may be always stuck in the second receptacle 142 even while the user is not using the toilet.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w present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may be 500 ml or less. The feces outlet 180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400 (refer to FIG. 4)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The feces discharged in th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eces outlet 180 in a vacuum. Stool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stored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stool outlet 180.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may mean, for example, an intermediate reservoir, or may be a separate storage unit for storing stool for recycling. Stool stored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may be recycled to methane gas through anaerobic microorganism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는, 종래의 변기들이 변기 내부에 다량의 봉수가 차있고 소변과 대변의 구분 없이 항상 다량의 봉수와 함께 배설물들이 제거되는 것과는 현저히 차별화된 시스템을 구비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y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toilets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ter is filled in the toilet and the excretion is always removed with a large amount of water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urine and feces. With system.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서는, 내부에 극소량의 봉수(w)가 존재하고, 배출된 대변을 극소량의 봉수(w)와 함께 변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변기에서는 대소변 배출 시 약 9L의 물이 사용되고, 종래의 절수형 변기에서는 약 6L의 물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 대변과 함께 배출되는 봉수(w)는 약 500ml 이하이며, 이는 일반적인 변기에 비하여 약 1/15 내지 1/10 수준으로 매우 적은 양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대변은 혐기성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메탄 가스 등의 재생 에너지를 얻는데 활용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toilet toilet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very small amount of water (w) therein, and the discharged fece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with a very small amount of water (w). In the conventional general toilet, about 9L of water is used for urine discharge, and about 6L of water is used in the conventional water-saving toilet.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discharged with the feces (w) is less than about 500ml, which can be seen that a very small amount of about 1/15 to 1/10 level compared to the general toilet. The collected feces can be used to obtain renewable energy such as methane gas using anaerobic microorganisms.

또한, 이때 희석된 소량의 봉수(w)는 대변 수집부(200)를 지나 자원 재생부(210)에서 혐기성 미생물들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 사용되어 메탄 생산의 효율을 높여 줄 수 있다. 실험 결과, 만약 이 과정에서 너무 많은 양의 물이 희석되어 넘어오거나 또는 물이 없는 건조한 상태의 분뇨를 사용하면 메탄 수득률이 오히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메탄 수득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량의 봉수(w)로 메탄 수득률을 높이고, 대변을 변기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small amount of water dilution (w) is passed through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in the process of the anaerobic microorganisms decompose organic matter in the resource regeneration unit 210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methane production. Experiments have shown that if too much water is diluted in this process, or if dry manure is used without water, the yield of methane is rather lo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thane yield with the minimum amount of w (w) necessary for efficient methane yield and to easily discharge the feces out of the toilet.

종래에도 사람의 분뇨를 활용하여 재생 에너지를 얻는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수거되는 분뇨들은 봉수 및 세척수와 혼합되어 희석되므로 순수한 분뇨를 얻기 힘들고, 이와 같이 물과 희석된 분뇨들은 재생 에너지로 사용하는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탄 가스 등의 재생 에너지를 생산함에 있어서 소변보다 대변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나, 종래의 변기들은 소변과 대변을 혼합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순수한 대변만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서는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수집하고, 배출된 대변을 물 없이 바로 수집함으로써 순수한 대변만을 얻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변기(100) 내부에 고여있는 봉수가 없어 화장실의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변기(100) 내부를 세척함에 있어서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many techniques for obtaining renewable energy using human manure have been proposed. However, conventionally collected manure is difficult to obtain pure manure because it is mixed with dilution with water and wash water, and thus the manure diluted with water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to use as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although it is more efficient to use feces than urine in producing renewable energy such as methane gas, conventional toilets have a problem in that only pure feces are difficult to obtain because they are discharged by mixing urine and feces. Thus, in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llected by separating the stool and urine, by collecting the discharged stool immediately without water can be used to obtain pure stool.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eal standing inside the toilet 100, the environment of the toilet can be always maintained comfortably, and the urine and feces can be separated and washed in washing the toilet 100 to efficiently save water. Can be.

도 3은 도 1의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toilet of the toilet 100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배출한 소변은 제1 수용부(141)에 수용되고, 대변은 제2 수용부(142)에 수용된다. 사람의 신체 구조 상 소변은 본체부(110) 내의 전단(110a)으로 배출되고, 대변은 본체부(110) 내의 후단(110b)으로 배출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변은 제1 방향(u)을 따라 소변 배출면(147)을 향해 배출된다. 소변 배출면(147)은 제1 수용부(141)의 소변 배출 수로(145)와 유사하게 지면으로부터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소변은 소변 배출면(147)을 따라 제1 수용부(141)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때 소변이 제2 수용부(142)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뇨 분리부(150)의 상부에는 턱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rine discharged by the us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and the stool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as described above. Urine is discharged to the front end (110a) in the body portion 110, the feces is discharged to the rear end (110b) in the body portion 110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body structure. As shown in FIG. 3, urine is discharged toward the urine discharge surface 147 along the first direction u. The urine discharge surface 147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obliquely from the ground similarly to the urine discharge channel 145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41, and the urine may be formed along the urine discharge surface 147. Flows into). In this case, the jaw portion 151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nure separating portion 150 to prevent urine from being passed 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42.

소변이 제1 수용부(141)에 수용되어 소변 배출 수로(145)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고 나면, 제2 세척수 공급부(170)가 작동할 수 있다. 제2 세척수 공급부(170)는 상수도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수도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미도시) 또는 버튼(미도시)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제1 수용부(141)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After urine is receiv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urine discharge channel 145,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art 170 may operate.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and the user may operate a valve (not shown) or a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first receiving part 141.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제2 세척수 공급부(170)의 세척수는 제2 세척수 공급로(171)를 통해 제2 세척수 공급구(173)로 공급된다. 제2 세척수 공급구(173)를 통해 토출된 세척수는 소변 배출면(147)을 세정한 후 제1 수용부(141)로 흘러 들어가 제1 수용부(141)를 세정한다. 제2 세척수 공급부(170)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는 전부 제1 수용부(141)로 흘러 들어가며 제2 수용부(142)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소변만을 배출한 경우 제2 수용부(142)를 포함한 분뇨 수용부(140) 전체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바, 이때에는 제2 세척수 공급부(170)만을 작동시켜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141)만을 세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뇨 수용부(140) 전체를 세척하는 것에 비해 30% 이하의 세척수 만으로 변기를 세정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The washing water of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 is supplied to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ort 173 through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ath 171.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ort 173 cleans the urine discharge surface 147 and then flows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to clea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 flows into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and is not supplied to the second receiving unit 142. When the user discharges only urine, there is no need to wash the entire manure receiving part 140 including the second receiving part 142. In this case, only the first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 operates to receive urine. Only the receiving portion 141 can be washed. As a result, the toilet can be cleaned with only 30% or less of washing water, compared to washing the entire manure receiving part 140, thereby saving water.

대변은 제2 방향(f)을 따라 제2 수용부(142)의 바닥면(146)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42)의 바닥면(146)은 대체로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10)의 후단(110b)으로 연장되는 대변 배출구(180)를 통해 변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 수용부(142)에 배출된 대변은 대변 배출구(180)와 연결된 진공 펌프(400)를 통해 변기 외부에 위치한 대변 수집부(20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서는 물을 이용하기 않고 제2 수용부(142)에 배출된 대변을 진공 펌프(400)를 통해 바로 수집할 수 있다.The feces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46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along the second direction f. The bottom surface 146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is generally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through the feces outlet 180 extending to the rear end 110b of the main body part 110. .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feces discharged to the second receiver 142 may be stored in the feces collector 200 located outside the toilet through the vacuum pump 400 connected to the feces outlet 180. That is, in the toilet toilet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ces discharg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may be directly collected through the vacuum pump 400 without using water.

이와 같이 대변이 변기(100) 외부로 배출되고 나면, 제1 세척수 공급부(160)가 작동할 수 있다. 제1 세척수 공급부(160)의 세척수는 대변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대변이 변기(100) 외부로 배출되고 난 후에 제2 수용부(142)를 세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the stoo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0, the first wash water supply unit 160 may operate. The washing water of the first washing water supply unit 160 is not supplied to discharge the feces out of the toilet, and may serve to clea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 after the fec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0. .

지금까지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를 이용하여 수거한 분뇨를 처리하는 시스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Until now, only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ystem for treating manure collected using such a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분뇨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ur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분뇨 처리 시스템은 전술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를 통해 수집한 대변을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서는, 배출된 대변 자체를 진공에 의해 변기(100)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물과 희석되지 않은 순수한 대변만을 얻을 수 있다. 변기(100) 외부로 배출된 대변은 대변 수집부(200)에 저장될 수 있다. 대변 수집부(200)는 예컨대 정화조일 수도 있고, 재활용을 위한 별도의 저장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manure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feces collected through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in the toilet stool type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d stool itself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0 by vacuum can be obtained only pure stool undiluted with water. Stoo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0 may be stored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may be, for example, a septic tank, or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reservoir for recycling.

대변 수집부(200)에 저장된 대변은 자원 재생부(210)에서 에너지로 재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대변 수집부(200)와 자원 재생부(210)는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변 수집부(200)는 후술할 소변 수집부(300)와는 달리 세척수가 혼합되지 않은 순수한 대변만을 저장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수집된 대변은 혐기성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메탄 가스 등의 재생 에너지를 얻는데 활용할 수 있다.Stool stored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may be recycled as energy in the resource regeneration unit 210. In one embodiment, the stool collection unit 200 and the resource regeneration unit 210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Unlike the urine collec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such a stool collection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ores only pure feces unwashed. The collected feces can be used to obtain renewable energy such as methane gas using anaerobic microorganisms.

한편, 소변은 제1 수용부(141)에 수집되어 변기(100)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소변은 소변 수집부(300)로 수집될 수 있다. 소변 수집부(300)는 예컨대 정화조와 같은 중간 저장조일 수 있다. 이때 소변 수집부(300)는 순수한 대변만 수집되는 대변 수집부(200)와는 달리 소변과 세척수가 동시에 저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rine is collected in the first receiving unit 14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100, the discharged urine may be collected by the urine collection unit (300). The urine collection unit 300 may be, for example, an intermediate reservoir such as a septic tank. At this time, the urine collection unit 300, unlike the fecal collection unit 200 is collected only pure feces may be stored at the same time urine and wash water.

일 실시예로, 소변 수집부(300)는 소변 및 세척수를 소정 처리를 하여 오수와 슬러지를 분류하고, 분류된 오수는 정화하여 중수도(미도시)로 배출하고 슬러지는 하수 처리 시설(310)로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소변 수집부(300)에 수집된 소변 역시 재생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 소변 수집부(300)에 수집된 소변은 인(P)을 분리하여 비료로 만들거나, 혐기성 미생물조에 섞어 메탄 수득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rine collecting unit 300 to classify the sewage and sludge by a predetermined treatment of the urine and washing water, the sorted sewage is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sewerage (not shown) and the sludge to the sewage treatment facility 310 Can be discharged. In another embodiment, urine collected in the urine collecting unit 300 may also be utilized as renewable energy. The urine collected in the urine collection unit 300 may be used 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methane yield by separating phosphorus (P) into a fertilizer or by mixing in an anaerobic microbial tank.

종래에도 사람의 분뇨를 활용하여 재생 에너지를 얻는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수거되는 분뇨들은 봉수 및 세척수와 혼합되어 희석되므로 순수한 분뇨를 얻기 힘들고, 이와 같이 물과 희석된 분뇨들은 재생 에너지로 사용하는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탄 가스 등의 재생 에너지를 생산함에 있어서 소변보다 대변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나, 종래의 변기들은 소변과 대변을 혼합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순수한 대변만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대소변 분리형 변기(100)에서는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수집하고, 배출된 대변을 물 없이 바로 수집함으로써 순수한 대변만을 얻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변기(100) 내부에 고여있는 봉수가 없어 화장실의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변기(100) 내부를 세척함에 있어서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물을 절약할 수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many techniques for obtaining renewable energy using human manure have been proposed. However, conventionally collected manure is difficult to obtain pure manure because it is mixed with dilution with water and wash water, and thus the manure diluted with water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to use as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although it is more efficient to use feces than urine in producing renewable energy such as methane gas, conventional toilets have a problem in that only pure feces are difficult to obtain because they are discharged by mixing urine and feces. Thus, in the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llected by separating the stool and urine, by collecting the discharged stool immediately without water can be used to obtain pure stool.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eal standing inside the toilet 100, the environment of the toilet can be always maintained comfortably, and the urine and feces can be separated and washed in washing the toilet 100 to efficiently save water. Can b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변기
110: 본체부
110a: 전단
110b: 후단
120: 덮개부
123: 살균 처리부
130: 변좌부
140: 분뇨 수용부
141: 제1 수용부
142: 제2 수용부
145: 소변 배출 수로
147: 소변 배출면
150: 분뇨 분리부
160: 제1 세척수 공급부
170: 제2 세척수 공급부
180: 대변 배출구
200: 대변 수집부
210: 자원 재생부
300: 소변 수집부
310: 하수 처리 시설
400: 진공 펌프
100: toilet seat
110: main body
110a: shear
110b: trailing
120: cover part
123: sterilization treatment unit
130: toilet seat
140: manure storage
141: first receiving portion
142: second receiving portion
145: urine drainage channel
147: urine discharge surface
150: manure separator
160: first washing water supply unit
170: second wash water supply unit
180: fecal outlet
200: stool collection unit
210: resource playback unit
300: urine collector
310: sewage treatment facility
400: vacuum pump

Claims (15)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를 갖는, 본체부;
판상 형태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메인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는, 덮개부;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도록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변좌부;
상기 본체부 내의 전단에 위치하며 제1 개구를 통해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 내의 후단에 위치하며 제2 개구를 통해 대변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분뇨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분리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분뇨 분리부;
를 구비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A main body part having an opening therein to form an appearance and to receive manure therein;
A cover portion having a first surface disposed in the plate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disposed on the main body portion to cover the main opening;
A toilet sea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lid portion so as to span an edge of the opening;
A manure receiving portion located at a front end within said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receiving portion receiving urine through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located at a rear end in said body portion and receiving a stool through a second opening; And
A manure separat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to separate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With a toilet, toilet separated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Locat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wash water supply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ilet stool separate toi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Located in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ash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oilet toilet separated toi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척수 공급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제2 세척수 공급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척수 공급구는 상기 제1 개구보다 높게 위치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wash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econd wash water supply port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is supplied, and the second wash water supply po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수용부의 반대되는 측으로 연장되는 대변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tool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수용부에 토출된 대변을 진공으로 상기 대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tool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stool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the stoo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ool discharge port to a vacuu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대변 배출구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된 대변을 수집하는 대변 수집부를 더 구비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tool coll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tool outlet and collecting stoo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tool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Disposable toilet bowl further comprises a sterilization treatment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for sterilizing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발산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반투광성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 처리부는 상기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cover part is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and includes a semi-translucent plate to block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terilization treatment unit is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hole, toilet bowl separated toi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처리부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덮개부가 닫혔을 때 온(on) 되고, 상기 덮개부가 열렸을 때 오프(off) 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rilization treatment unit includes an ultraviolet lamp, wherein the ultraviolet lamp is turned on when the lid is closed and turned off when the lid is opened.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 내에는 500ml 이하의 봉수가 존재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toilet of the toilet is separable toilet seat of 500ml or less present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분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의 전단에 위치하며 제1 개구를 통해 소변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 내의 후단에 위치하며 제2 개구를 통해 대변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분뇨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분리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분뇨 분리부;를 포함하는, 대소변 분리형 변기;
상기 제1 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용부에 토출된 대변을 수거하는, 대변 수집부; 및
상기 대변 수집부에 수집된 대변을 처리하여 자원으로 재생하는, 자원 재생부;
를 구비하는, 분뇨 처리 시스템.
A body part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to form an appearance and to receive manure therein, located at a front end in the body part, at a first receiving part receiving urine through a first opening and at a rear end in the body part A manure separating part comprising a second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stool through a second opening and a manure separat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to separate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receiving part; Toilet bowl, including;
A stool collector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o collect feces discharg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resource reproducing unit for processing the feces collected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and reproducing the resource;
Comprising a, manure processing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수집부는 상기 제1 수용부에 토출된 대변을 진공으로 상기 대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분뇨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ool colle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vacuum pump for discharging the stool discharg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ool discharge port to a vacuu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분리형 변기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대변이 상기 대변 수집부로 수거된 후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하는, 분뇨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toilet separate type toilet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washing water supply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to the vacuum pump The feces are collected by the stool collection unit by supplying wash water to wash at least on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manure treatment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수집부에 수용된 세척수와 대변의 비율은 2:1 내지 3:1인, 분뇨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ratio of wash water and feces contained in the stool collection unit is 2: 1 to 3: 1, manure treatment system.
KR1020190106050A 2019-08-28 2019-08-28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1031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50A KR20190103130A (en) 2019-08-28 2019-08-28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50A KR20190103130A (en) 2019-08-28 2019-08-28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851A Division KR20190063060A (en) 2017-11-29 2017-11-29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130A true KR20190103130A (en) 2019-09-04

Family

ID=6795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050A KR20190103130A (en) 2019-08-28 2019-08-28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1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0272B2 (en) Urine-feces separation toilet bowl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CN208792450U (en) A kind of water-saving public lavatory of vacuum
CN101858100A (en) Washing water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CN102160767A (en) Environment-friendly public toilet without consuming water, having no odor and separating excrement from urine
CN103924655A (en) Sewage disposal system
KR20190103130A (en) Toilet bowl with a feces separator and excreta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CN2526370Y (en) Flushing-type excrement-urine separating toilet
KR101542646B1 (en) Feces and urine separate draining type toilet bowl and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10338692B (en) Automatic and independent excrement and urine packaging waterless closestoo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5577054U (en) Mobile toilet
CN108867789A (en) A kind of water-saving public lavatory of vacuum
CN108439701A (en) A kind of zero-emission sewage disposal system for the processing of lavatory fecaluria
CN101748778B (en) Recycle treatment device of household sewage water
CN208545801U (en) A kind of toilet bowl sewage lifter
WO2021174534A1 (en) Integrated excrement steam cyclical treatment device
CN201176631Y (en) Cycling water flushing urinal for males
CN101182723B (en) Circulation type water washing urinal for males
CN215105826U (en) Special toilet for female urination
CN206245411U (en) A kind of Domestic water recovering utility
CN205548434U (en) Internal circulation water -free toilet
CN101899857A (en)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treating sanitary wastewater of toilet stool
CN215858031U (en) Water replenishing device for toilet collection
CN214400115U (en) Intelligent domestic sewage treatment and recycling system
CN202078253U (en) Non-water and odorless urine and excrement separation environmentally-friendly public toilet
CN211776100U (en) Environment-friendly public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