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917A -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 Google Patents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917A
KR20190102917A KR1020180024008A KR20180024008A KR20190102917A KR 20190102917 A KR20190102917 A KR 20190102917A KR 1020180024008 A KR1020180024008 A KR 1020180024008A KR 20180024008 A KR20180024008 A KR 20180024008A KR 20190102917 A KR20190102917 A KR 20190102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rod
upper support
ground
hollo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9746B1 (en
Inventor
김대현
김경업
서혁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46B1/en
Publication of KR2019010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reinforcement foundation, which is possible to be applied to a foundation pile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of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a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The dual reinforcement found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pporter install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hollow penetrating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pile member inser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hollow of the upper supporter, wherein the pile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rod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so as to surround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rod so as to reinforce the insertion rod;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uide members extend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so as to guide ground insertion of the insertion rod to be easily performed.

Description

이중 보강 기초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본 발명은 이중 보강 기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설비나 풍력발전설비의 시공에 있어서 기초 말뚝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중 보강 기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that can be applied as a foundation pile in the construc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r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열을 이용하는 발전방식과 태양광을 이용하는 발전방식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solar cells are classified into a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solar heat and a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solar light.

특히, 태양광을 이용하는 발전방식은 무한한 청정에너지를 이용한 것으로 별도의 에너지나 구동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소규모에서 대규모 시스템의 시공이 간단하고, 환경문제에 따른 설치제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가능성이 무한하지만, 한편으로는 발전량이 일조 시간에 좌우되고, 대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태양광 발전모듈이 필요하며, 상용전력에 비해 고가의 설치 비용이 소요되는 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solar light uses infinite clean energy, it does not require any energy or driving source, and it is easy to construct small to large-scale systems and is not affected by installation restrictions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lthough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on the one h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depends on the amount of sunshine time, a large amount of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is required to obtain a large power, there is a point that expensive installation cost compared to commercial power.

그리고 태양광을 이용하는 발전방식에 사용되는 모듈 거치대는 태양을 따라 거치대가 움직이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고정형, 수동형 또는 자동형 태양 추적식으로 구별이 되고 또한 모듈의 장착에 종속되는지에 따라 독립형, 연계형으로 구별된다.The module holders used in the solar power generation method are classified into fixed, manual or automatic solar tracking type depending on whether the holder moves along the sun. It is distinguished by.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 발전모듈은 임야나 지반에 모듈 거치대의 고정설치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hotovoltaic module had the following problems when fixed installation of the module holder on the forest or ground.

먼저, 종래의 모듈 거치대는 하부 끝단에 콘크리트 기초를 형성하여 임야나 지반에 설치하는데 이때, 임야나 지반의 평탄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conventional module holder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foundation to be installed in the forest or the ground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at work of the forest or the ground is difficult and takes a long time.

그리고 종래의 모듈 거치대가 장착되는 임야나 지반에 침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 기초는 편심되고 그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의 하중은 모듈 거치대에 편심 전달되어 휨으로써 새롭게 모듈 거치대를 장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settlement occurs in a forest or ground where a conventional module holder is mounted, the concrete foundation is eccentric and the load of the photovoltaic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module holder by eccentricity.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는 기성 제품으로 가격이 비싸고, 현장에서 콘크리트 기초를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며 날씨에 따른 작업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crete base is expensive as a ready-made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period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weather is much lower in accuracy when trying to manufacture the concrete base on the site.

한편 태양광 발전의 기초는 장기간 운용(최소 20년 이상)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모듈을 고정하는 기초와 구조물의 지지구조는 대단히 중요하다. 즉 기초의 내구성과 신뢰성은 사업의 계속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unda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based on long-term operation (at least 20 years), the foundation for fixing the module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tructure are very important. In other words,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found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business continuity.

따라서 설치대상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기초의 안정, 지반의 침하, 지진 시의 액상화 등을 검토한 뒤에 기초형식을 결정할 필요가 있고, 기초의 인장강도나 중량이 중요하기 때문에 설치단계에서 반드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f the ground to be installed is fragil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ype of foundation after examining the stability of the foundation, settlement of the ground, liquefaction in the earthquake, etc.,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it at the installation stage because the tensile strength and weight of the foundation are important. There is.

따라서 종래의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에 쓰이는 기초는,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독립된 기초 받침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foundation used in conventional solar power or wind power generation, the independent base support should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o support the panel.

특히 태양광 기초를 설치할 경우 일정한 형태의 거푸집을 제작하고, 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중앙에 지지판을 세우고 2~3일간 양생시킨다. 양생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거푸집을 제거하여 기초를 완성하는 형태이다. 제작된 기초받침대를 현장으로 운반하고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원지반을 파내는 터파기 작업을 수행한다. 굴착된 원지반 내에 콘크리트식 기초를 삽입하여 위치시킨 후에 되메우기 및 원지반 다지기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In particular, when installing a solar foundation, form a form of a certain form, and after placing concrete in the form, the support plate in the center and cure for 2-3 days. After the curing time has elapsed, the form is removed to complete the foundation. The foundation foundation is transported to the site and the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to dig the groun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olar panel. After inserting and placing concrete foundations in the excavated disc, backfilling and compacting discs are performed.

이는 콘크리트식 기초를 제작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2~3일간의 양생 기간이 요구되며 콘크리트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콘크리트식 기초의 경우 기초 받침대의 중량이 상당하여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는데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지반교란을 동반하므로 개선이 필요하다.This is a complicate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oncrete foundation, requires a curing period of 2 to 3 days, and requires quality control of the concre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crete foundation, the weight of the foundation pedestal is considerable, it takes a lot of effort and cost to transport it to the site,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ground disturbance.

교란된 지반은 원지반보다 상당히 이완되어 원래의 원지반보다 다짐도가 낮아지므로 기초의 수평지지력이 낮아지고, 강우 시에 흙의 세굴 현상으로 구조물의 전도가 발생하여 패널손상이나 기초 재시공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disturbed ground is considerably relaxed than the original ground, resulting in lower compaction than the original ground, which lowers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the foundation and may cause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panel and re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due to the conduction of the structure due to the scour of the soil during rainfall. .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1988호 : 압입식 화살기초Korean Laid-Open Patent No. 10-2017-0071988: Press-fitted Arrow Foundation

본 발명은 지반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소규모 장비의 조합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지반과의 결착이 더욱 공고하면서도 지반에 대한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 보강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 a way that the construction is press-fitted into the ground to shorten the air, it is possible to construct even in a narrow space by a combination of small-scale equipment, the solidification with the ground can be made more solid yet easy to pull into the grou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본 발명의 이중 보강 기초는 지면에 설치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중공을 통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말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말뚝부재는 소정 직경의 삽입로드와, 상기 삽입로드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삽입로드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로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보강부재와, 상기 삽입로드의 지중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말뚝부재의 하부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삽입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ncludes a top support having a hollow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pi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hollow of the upper support, the pile member is an insertion rod of a predetermined diameter, A reinforcement member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rod to reinforce the insertion rod, and a plurality of extensions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insertion rod in the ground; And two insertion guide members.

상기 보강부재의 내경은 상기 삽입로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로드의 외주면과 보강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재는 상기 삽입로드의 하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로드의 외주면과 보강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져 용접되는 상기 삽입로드와 보강부재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와 삽입로드의 하부를 지지 및 연결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insertion guide member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insertion rod. An insertion part for guiding the insertion, and a reinforcemen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insertion rod by being welded to the insertion rod and the reinforcing member inserted and wel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It is preferable.

상기 상부지지체의 중공부는 소정의 직경으로 상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부중공과, 상기 상부중공의 하단에서 상기 상부중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부지지체의 하면까지 연장되는 하부중공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말뚝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외경이 상기 하부중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로드의 상단에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헤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헤드부의 상단부 외경은 상기 상부중공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llow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is composed of an upper hollow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lower hollow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llow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upper hollow. It is formed, the pile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can pass through the lower hollow, the head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uter diameter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rod is extended,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head portion is It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hollow.

상기 상부지지체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중으로 소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체를 지면에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upper support further includes an upper fix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 predetermined depth to fix the upper support to the ground.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지지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며 상기 상부고정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삽입몸체와, 상기 삽입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홈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삽입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삽입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삽이봄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확장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과 상기 확장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 시 상기 확장부재의 상부가 상기 삽입몸체로부터 벌어지도록 가이드하는 확장가이드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fixing member penetrat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to the lower portion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member and has a lower pointed point, and an elevating groove formed in the insertion body. A lifting member which is screw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sertion body is formed,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ertion body and the upper end can be ope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ing body It may include an expansion member formed so as to interconnect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expansion member, and an extension guide rod for gui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member to open from the insertion body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lowered.

상기 상부지지체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네 개의 측면에 각각 두 개씩 상호 이격 형성되며 인접하는 상부지지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돌출형성되되, 네 개의 측면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는 상부지체의 상단과 나란하게 상면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결합부재가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두 개의 제3 측면과 제4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높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상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의 제3 측면과 제4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ppor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wo on each of the four sid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upl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he adjacent upper support is protruded, the two adjacent first side of the four sides and On the second side, a first coupling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parallel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tardation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The third side of the upper support such that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at a point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respectively, on the remaining two third side and the fourth side that are not formed.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fourth side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t is right.

상기 상부지지체들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지지체들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연결로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로드는 일단에 상기 제1 결합부재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3 관통홀을 갖는 제1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4 관통홀을 갖는 제2 결합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ro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upper support so that the upper support can be interconnected in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so that the connecting rod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t one end And a first coupling end having a thir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rod so as to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A second coupling end having a fourth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hole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이중 보강 기초는 지반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져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소규모 장비의 조합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지반과의 결착이 더욱 공고하면서도 지반에 대한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The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hortened by the construction by press-fitting the ground,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y the combination of small-scale equipment, the bond with the ground is more solid, but the retraction to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easily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강 기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중 보강 기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상부지지체를 발췌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말뚝부재의 하단부를 발췌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이중 보강 기초의 단면도,
도 6은 다수의 이중 보강 기초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이중 보강 기초가 연결로드에 의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상부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중 보강 기초의 설치 후 태양광 발전장치가 시공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of Figure 1,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upport,
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end of the pile memb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ouble reinforcement bases are mutually coupl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fixing member,
10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hotovoltaic device is constructed after installation of the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보강 기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 보강 기초(100)는 지중에 삽입 설치되어 발전설비를 시공할 수 있는 기초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상부지지체(110)와, 상부지지체(110)의 중공을 관통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말뚝부재(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to form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on of the power generation equipment, the upper support 110 and the upper support 1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Penetration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hollow of the.

상기 상부지지체(11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육면체 형상이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support 110 is fixed to the ground, has a hexahedron shape, a hollow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formed.

상기 중공은 상부지지체(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부중공(115)과, 상부중공(115)의 하단에서 상부지지체(110)의 하면까지 연장되는 하부중공(116)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hollow consists of an upper hollow 115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110, and a lower hollow 116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llow 115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110. .

상기 하부중공(116)은 상부중공(115)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다. 따라서 상기 상부중공(115)과 하부중공(116)의 경계부에는 직경의 차이에 의해 단턱(117)이 형성된다.The lower hollow 116 is relatively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hollow 115. Therefore, the stepped portion 117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hollow 115 and the lower hollow 116 by the difference in diameter.

상기 상부중공(115)과 하부중공(116)은 후술하는 말뚝부재(150)가 상부지지체(110)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여 지중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말뚝부재(150)의 하부가 통과 가능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upper hollow 115 and the lower hollow 116 has a diameter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150 can pass through the pile member 15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110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It is formed to have.

상기 상부지지체(110)는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으로 삽입되는 상부고정부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재(120)는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지중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지지체(110)를 먼저 지면에 설치하면 상기 상부고정부재(120)가 지중으로 삽입되어 상부지지체(110)의 설치 위치가 고정된다. The upper support 110 is formed with an upper fixing member 120 protruding downward on the low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upper fixing member 120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is pointed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ground. When the upper support 110 is first installed on the ground, the upper fixing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o support the upper suppor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110 is fixed.

도 8 및 도 9에는 상부고정부재(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8 and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fixing member 120.

본 실시예의 상부고정부재(120)는 상부지지체(110)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몸체(121)와, 삽입몸체(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홈(122)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승강부재(123)와, 삽입몸체(1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확장부재(124)와, 승강부재(123)와 확장부재(124)를 연결하는 확장가이드로드(125)를 포함한다.The upper fixing member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p and down along the insertion body 121 and the lifting groove 122 formed in the insertion body 121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110. And an extension guide rod 125 connecting the elevating member 123 formed to be capable of elevating to an elbow, an expansion member 124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body 121, and an elevating member 123 and the expansion member 124. ).

삽입몸체(121)는 상부지지체(110)를 관통하며 상부지지체(110)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가 지중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The insertion body 121 penetrates the upper support 110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110. And the lower end is formed pointed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ground.

삽입몸체(12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강부재(123)의 설치를 위해 승강홈(122)이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승강홈(1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interior of the insertion body 121, the lifting groove 122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ifting member 123 to be described later,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fting groove 122.

상기 승강부재(123)는 상기 승강홈(122)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상부지지체(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123)의 상단부는 공구를 이용해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헤드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육각볼트 형상으로 승강부재(123)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통해 승강부재(12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승강부재(123)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부재(123)가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The elevating member 123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into the elevating groove 122, and an upper end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pport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123 is formed with a head so as to easily rotate using a tool,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ifting member 12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 bolt, elevating member 123 through a tool such as a spanner It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lifting member 123 is lowered or rai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ifting member 123.

상기 승강부재(123)의 상단부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드라이버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게 일(一)자 혹은 십(十)자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123 may be formed with a single or cross shaped groove so as to be rotated through a driver.

상기 확장부재(124)는 하단부가 삽입몸체(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가 삽입몸체(1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The expansion member 12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body 121, the upper end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sertion body 121.

상기 확장부재(124)는 확장가이드로드(125)를 통해 승강부재(123)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123)가 하강하면 확장부재(124)는 상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승강부재(123)가 상승하면 확장부재(124)가 삽입몸체(12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The expansion member 12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123 through the extension guide rod 125, when the elevating member 123 is lowered, the expansion member 124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When the elevating member 123 is raised, the expansion member 12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21.

상기 상부지지체(110)를 지면에 설치하기 전에는 확장부재(124)가 삽입몸체(12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부지지체(110)를 지면에 설치하며, 이때 삽입몸체(121)가 지중으로 삽입된다. 삽입몸체(121)가 지중으로 삽입된 후에 상기 승강부재(123)를 하강시켜 확장부재(124)를 벌려주게 되며, 확장부재(124)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력이 상승하게 된다. Before the upper support 1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e expansion member 12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121, and then the upper support 1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 Is inserted underground. After the insertion body 121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elevating member 123 is lowered to open the expansion member 124, and the fixing member 124 prevents the upper support 110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ground. Will rise.

상부지지체(110)를 제거할 때에는 승강부재(123)를 상승시켜 확장부재(124)를 삽입몸체(121)측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When removing the upper support 110, the lifting member 123 may be raised to bring the expansion member 124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ertion body 121, thereby making it easy to withdraw.

상부지지체(110)에는 네 개의 측면에 결합부재(1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support 110 has a coupling member 130 protruding from four sides.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부지지체(110)들이 인접하게 설치될 때, 상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네 개의 측면을 각각 제1 측면(111), 제2 측면(112), 제3 측면(113) 및 제4 측면(114)이라고 하면, 상기 제1 측면(111)과 제2 측면(112)이 상호 인접하고, 제3 측면(113)과 제4 측면(114)이 상호 인접하며, 제1 측면(111)과 제3 측면(113)이 대향되는 위치가 된다.The coupling member 130 i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upper support 110 is installed adjacent, the four sides are respectively the first side 111, the second side 112, the third side 113 ) And the fourth side 114, the first side 111 and the second side 1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third side 113 and the fourth side 114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ide surface 111 and the third side surface 113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1 측면(111)과 제2 측면(112)에는 제1 결합부재(131)가 형성되어 있고, 제3 측면(113)과 제4 측면(114)에는 제2 결합부재(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131)와 제2 결합부재(133)는 모두 상부지지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이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두 개씩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is formed on the first side 111 and the second side 112,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is formed on the third side 113 and the fourth side 114. It is. Both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110 and are formed two by two so as to be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 결합부재(131)와 제2 결합부재(133)는 측면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는 높이가 상호 다른데, 제1 결합부재(131)의 경우 제1 측면(111)과 제2 측면(112)의 상단부와 상면이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 결합부재(133)의 경우에는 상기 제3 측면(113)과 제4 측면(114)에 형성되는데, 상면의 위치가 제1 결합부재(130의 하단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상부지지체(110)들이 상호 결합될 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결합부재(131)의 하부에 제2 결합부재(133)가 포개어 지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며, 제1 결합부재(130와 제2 결합부재(133)에는 각각 포개어 질 때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관통홀(132)과 제2 관통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부재(131)와 제2 결합부재(130제2 결합부재(133)가 포개어 진 후 제1 관통홀(132)과 제2 관통홀(134)을 관통하도록 체결부재(135)를 끼워 상부지지체(110)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have different heights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s. In the cas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1 are formed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1. The upper end and the upper surface are formed to be parallel.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is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113 and the fourth side surface 114,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30. When the adjacent upper supporting members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the coupling is made so that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is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 The first through hole 13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4 are form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en the 13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1 are formed. After the coupling member 130 is overlapped with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the fastening member 135 may be inserted to penetrate the first through hole 13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34 to interconnect the upper supports 110. .

아울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부지지체(110)들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 결합부재(131)와 제2 결합부재(133)가 직접 포개어질 수 없는 상태에서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로드(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upper support member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irst coupling member 131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cannot be directly stacked on the connection rod 140. ) May be further provided.

연결로드(140)는 상부지지체(110)들이 이격된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일단에 제1 관통홀(132)에 대응하는 제3 관통홀(142)을 가지며, 제1 결합부재(13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단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단에는 제2 관통홀(134)에 대응하는 제4 관통홀(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결합부재(133)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단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ng rod 14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which the upper supporting members 110 are spaced apart, and has a third through hole 1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32 at one end thereof,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A first coupling end 141 tha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131 is formed. In addition, a fourth through hole 14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134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second coupling end portion 143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3 is formed. .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로드(140)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일체형의 부재로 도시되었으나, 상부지지체(110)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단부(141)와 제2 결합단부(143)가 각각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형태로 연결로드(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의 부재가 삽입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들이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rod 140 is shown as an integral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ut the first coupling end 141 and the second coupling end so as to se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pport 110 in various ways The connecting rod 14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wo members 143 formed at each end thereof are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two members may be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member is inserted into any one, the members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coupling position It may be formed as.

상기 말뚝부재(150)는 상술한 것처럼 상부지지체(110)의 중공을 통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말뚝부재(150)는 지중으로 삽입되는 소정 직경의 삽입로드(152)와, 삽입로드(152)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부재(153)와, 삽입로드(152)의 하부로 연장되어 삽입로드(152)의 지중 갑입을 가이드하는 삽입가이드부재(154) 및 삽입로드(152)의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151)를 포함한다. The pile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hollow of the upper support 110 as described above. The pile member 150 has an insertion rod 152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serted into the ground, a reinforcing member 153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rod 152,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rod 152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rod ( Insertion guide member 154 for guiding the underground intake of the 152 and the head portion 151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rod 152.

상기 삽입로드(152)는 지중으로 삽입될 적정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53)는 삽입로드(15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삽입로드(152)의 지중 삽입 과정에서 또는 삽입 후 발전장치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받게 되는 외력에 대하여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The insertion rod 152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proper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reinforcing member 153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152, and reinforces the external force received in the underground insertion process of the insertion rod 152 or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power generator after insertion. It is to.

상기 삽입로드(152)의 외경에 비해 보강부재(153)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크며, 삽입로드(152)의 외주면과 보강부재(153)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153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152,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15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53.

삽입가이드부재(154)는 삽입로드(152)의 하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삽입로드(152)의 지중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부(155)와, 삽입부(155)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삽입로드(152)의 외주면과 보강부재(153)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끼워지는 보강지지부(156)를 포함한다.The insertion guide member 154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rod 152 to guide the underground insertion of the insertion rod 152 and the insertion rod 152 from the top of the insertion portion 155. Reinforcement support portion 156 is fitted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53.

상기 보강지지부(156)의 폭이 상기 삽입로드(152)의 외경과 보강부재(153)의 내경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로드(152)와 보강부재(153) 사이로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며, 보강지지부(156)는 각각 삽입로드(152)와 보강부재(153)에 용접된다. Since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support 15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152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153 is sandwiched between the insertion rod 152 and the reinforcing member 153. The reinforcement support part 156 is welded to the insertion rod 152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153, respectively.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가이드부재(154)가 네 개이지만 상기 삽입가이드부재(15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are four insertion guide members 154, but the number of the insertion guide members 154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dded or subtracted as necessary.

상기 삽입로드(152)의 상단부에는 헤드부(15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헤드부(151)는 삽입로드(15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head portion 15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rod 152, the head portion 151 is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as it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rod 152.

상기 삽입로드(152)와 보강부재(153)는 상부지지체(110)의 하부중공(116)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중공(11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지만, 헤드부(151)의 상단은 상기 상부중공(115)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말뚝부재(150)를 지중으로 삽입 설치할 때, 헤드부(151)의 상단부가 상부중공(115)과 하부중공(116)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117)에 걸려 헤드부(151)의 삽입이 제한된다. The insertion rod 152 and the reinforcing member 153 is formed to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hollow 116 to pass through the lower hollow 116 of the upper support 110, but the top of the head portion 15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hollow 115. Therefore, when the pile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upper end of the head portion 151 is caught by the step 117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hollow 115 and the lower hollow 116, and the insertion of the head portion 151 is performed. This is limited.

이러한 본 발명의 이중 보강 기초(100)는 시공이 간편하고,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onstruction, can be firmly fixed in the ground.

아울러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태양광 발전장치(200)를 지지하는 지주(210)와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이중 보강 패널은 태양광 발전 시설 외에도 풍력발전기의 기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0 may be fastened with the support 210 for supporting the photovoltaic device 200. Of course, the double reinforcemen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basis of the wind power generator in addition to the solar power plant.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should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set forth herein.

100: 이중 보강 기초
110: 상부지지체 111: 제1 측면
112: 제2 측면 113: 제3 측면
114: 제4 측면 115: 상부중공
116: 하부중공 117: 단턱
120: 상부고정부재 121: 삽입몸체
122: 승강홈 123: 승강부재
124: 확장부재 125: 확장가이드로드
130: 결합부재 131: 제1 결합부재
132: 제1 관통홀 133: 제2 결합부재
134: 제2 관통홀 135: 체결부재
140: 연결로드 141: 제1 결합단부
142: 제3 관통홀 143: 제2 결합단부
144: 제4 관통홀 150: 말뚝부재
151: 헤드부 152: 삽입로드
153: 보강부재 154: 삽입가이드부재
155: 삽입부 156: 보강지지부
100: double reinforcement base
110: upper support 111: first side
112: second side 113: third side
114: fourth side 115: upper hollow
116: lower hollow 117: step
120: upper fixing member 121: insertion body
122: elevating groove 123: elevating member
124: expansion member 125: expansion guide rod
130: coupling member 131: first coupling member
132: first through hole 133: second coupling member
134: second through hole 135: fastening member
140: connecting rod 141: first coupling end
142: third through hole 143: second coupling end
144: fourth through hole 150: pile member
151: head portion 152: insertion rod
153: reinforcing member 154: insertion guide member
155: insertion portion 156: reinforcement support

Claims (7)

지면에 설치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중공을 통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말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말뚝부재는 소정 직경의 삽입로드와,
상기 삽입로드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삽입로드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로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보강부재와,
상기 삽입로드의 지중 삽입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말뚝부재의 하부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삽입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강 기초.
An upper support install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hollow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To include a pi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rough the hollow of the upper support,
The pile member has an insertion rod of a predetermined diameter,
Reinforcing member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rod to reinforce the insertion rod,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insertion guide members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le member to guide the ground insertion of the insertion rod to facili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내경은 상기 삽입로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로드의 외주면과 보강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재는 상기 삽입로드의 하부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로드의 외주면과 보강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끼워져 용접되는 상기 삽입로드와 보강부재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와 삽입로드의 하부를 지지 및 연결하는 보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강 기초.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is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The insertion gu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rod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to guide the insertion;
And a reinforcement support part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ro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and welded to the insertion rod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to support and connect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insertion r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의 중공부는 소정의 직경으로 상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상부중공과, 상기 상부중공의 하단에서 상기 상부중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부지지체의 하면까지 연장되는 하부중공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말뚝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외경이 상기 하부중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로드의 상단에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헤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헤드부의 상단부 외경은 상기 상부중공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강 기초.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low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is composed of an upper hollow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lower hollow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llow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upper hollow. Formed,
The pile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can pass through the lower hollow, and i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that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outer diameter extends upward on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rod,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hollow.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지중으로 소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체를 지면에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강 기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upper support further includes an upper fix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fixed to the ground to fix the upper support to the groun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지지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며 상기 상부고정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는 삽입몸체와,
상기 삽입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홈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삽입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삽입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삽이봄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확장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과 상기 확장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 시 상기 확장부재의 상부가 상기 삽입몸체로부터 벌어지도록 가이드하는 확장가이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강 기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fixing member penetrat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to the lower portion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member and has a lower pointed body formed therein;
An elevating member which is screwed to be capable of elevating up and down along an elevating groove formed in the insertion body;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body,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sertion body and the upper end is formed so that the shovel can be ope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ring body,
Dual reinforcement foundation comprising the extension guide rod inter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expansion member, and guides the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member to be opened from the insertion body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lower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네 개의 측면에 각각 두 개씩 상호 이격 형성되며 인접하는 상부지지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돌출형성되되,
네 개의 측면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는 상부지체의 상단과 나란하게 상면이 형성되고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결합부재가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두 개의 제3 측면과 제4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높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상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의 제3 측면과 제4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결합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강 기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support is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Two each formed on the four si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upling member for projecting the interconnection of the adjacent upper support is formed,
The first coupling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parallel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receptacle and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s disposed at two adjacent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of the four side surface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upper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remaining two third side and the fourth side surface where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not formed at a point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respectively.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third and four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pport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들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지지체들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의 연결로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연결로드는 일단에 상기 제1 결합부재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3 관통홀을 갖는 제1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4 관통홀을 갖는 제2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강 기초.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ro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upper support so that the upper support can be interconnected in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at one end so as to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a first coupling end having a thir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Double reinforcement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and having a fourth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KR1020180024008A 2018-02-27 2018-02-27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KR102109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008A KR102109746B1 (en) 2018-02-27 2018-02-27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008A KR102109746B1 (en) 2018-02-27 2018-02-27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917A true KR20190102917A (en) 2019-09-04
KR102109746B1 KR102109746B1 (en) 2020-05-12

Family

ID=6795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008A KR102109746B1 (en) 2018-02-27 2018-02-27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7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647A (en) * 2008-08-26 2010-03-08 장현준 The stabilization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lope stabilization equipment for soil nail, and this
KR101107591B1 (en) * 2011-06-01 2012-01-25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Position indicating apparatus pile driver
JP2013127178A (en) * 2011-12-19 2013-06-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Tip diameter enlarged pile
KR20170071988A (en) 2015-12-16 2017-06-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ess type arrow found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4647A (en) * 2008-08-26 2010-03-08 장현준 The stabilization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lope stabilization equipment for soil nail, and this
KR101107591B1 (en) * 2011-06-01 2012-01-25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Position indicating apparatus pile driver
JP2013127178A (en) * 2011-12-19 2013-06-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Tip diameter enlarged pile
KR20170071988A (en) 2015-12-16 2017-06-2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ess type arrow fou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746B1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63B1 (en) The foundation for installation of a solar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879141B1 (en)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olar photovoltaic apparatus
CN105464106A (en) Pile coupler
KR101885873B1 (en) Support structure using micro file
US20140215953A1 (en) Solar panel mounting stand installation method, pile and solar panel mounting stand
KR100905069B1 (en) Solar beam module support fundamental file
CN201966835U (en) Stent structure for photovoltaic module
KR101632150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olar light panel
KR101109137B1 (en) Solar power pla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at
JP2014077319A (en) Solar panel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olar panel frame
KR20190102917A (en) Reinforced Dual Structure Pile
KR101353488B1 (en) Multiple supporting file foundation
JP3181892U (en) Solar cell power generator
JP2013118238A (en) Support cradle structure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frame and support metal fitting
JP3178582U (en) Solar panel mounting device
KR20170071988A (en) Press type arrow foundation
KR102449783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JP3172512U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KR101807837B1 (en) The fundamental construction method of solar beam module support
KR20210062825A (en) Foundation work method for installation of prop of solar power device
KR20200110912A (en) Solar-cell power generation apparatus base structure using PHC file
CN216664110U (en) A reinforced structure for existing stake of existing building
CN206472085U (en) The structure-improved of adjustable solar board mount
JP2008101445A (en) Built-up foundation and earth anchor
CN212278174U (en) Pressure-setting type truss photovoltaic track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