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679A -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679A
KR20190102679A KR1020180023449A KR20180023449A KR20190102679A KR 20190102679 A KR20190102679 A KR 20190102679A KR 1020180023449 A KR1020180023449 A KR 1020180023449A KR 20180023449 A KR20180023449 A KR 20180023449A KR 20190102679 A KR20190102679 A KR 2019010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ntent
media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스타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스타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스타미디어
Priority to KR102018002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2679A/ko
Publication of KR2019010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관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각 참여 제공자의 수익 도모에 더욱 확실하게 연결지을 수 있도록 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간을 반복 또는 정기 운행하는 차량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환경 정보, 사용자 콘텐츠 선택정보, 사용자 개인 인적정보 및 등록 가맹점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에 저장 구축하는 기본정보 구축 단계; 상기 환경 정보,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 개인정보와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사용한 결재이력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가 착용하여 인체정보 취득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치로부터의 신체정보를 수집하는 분석정보 수집 단계;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각 정보를 연계시킨 정보를 선택하여 특정한 템플릿을 통해 해당 사용자 전용의 미디어 콘텐츠로 변환시켜 생성하는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 및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의 미디어콘텐츠를 해당 특정 구간을 반복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맞춤콘텐츠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FITTING MEDIA CONTENTS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GROUP ON SPECIAL ENVIRONMENT}
본 발명은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되 정해진 범위에 한정되는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관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각 참여 제공자의 수익 도모에 더욱 확실하게 연결지을 수 있도록 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6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 No. B0126-16-1021, 과제명: 라이프 스타일 분석 기반 라이프미디어(LifeMedia) 허브 단말 및 서비스 기술 개발(Development of LifeMedia hub terminal and services based on life style analysis)].
최근 인터넷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라는 의미에서 보다는 기업과 개인, 개인과 개인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뉴미디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대중적인 활용에 의해 인터넷 사용자간의 교류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인터넷 비즈니스 업체는 다양한 사이트를 개설하여 사용자들에게 정보교류, 게임, 연예 또는 전자 상거래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한편, 인터넷은 세계 각지의 수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계된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 축적 매체 및 정보 제공매체로 각광받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상에서의 각종 광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즉,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중 가장 괄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로 '광고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는, 오프라인 상의 광고 서비스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광고 게재 후 광고 선호도 파악이 용이하며, 특정 사용자 계층에 집중적으로 광고를 홍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이러한 광고 서비스는, 유선 인터넷에만 국한되지 않고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도 관련 콘텐츠들을 이용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한편, 현재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다수의 유저를 확보한 스마트폰은 모바일기능(통신기능)과 PC기능(운영체제, 어플, 인터넷 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로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어플은 의사소통, 상품구매, 정보전달, 위치추척 등을 가능하게 하여 이러한 스마트폰의 활용을 촉진 시키고 있다.
앞서 인터넷 광고 서비스와 관련하여, 최근 무선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모바일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광고 서비스가 새로운 광고 모델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광고 모델의 경우 소비자에게 손쉽게 다양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나, 오히려 지나친 광고 노출로 인해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하기 어렵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광고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의 현재 위치 및 관심사에 따라 소비자를 위한 맞춤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광고에 자발적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광고 모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맞춤형 광고 모델의 경우 소비자가 서비스 장치가 설치된 특정 장소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한해서 무작위 광고를 제공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일부 적극적인 소비자를 제외하고는 광고 서비스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효율적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비자 각각 뿐만 아니라 공동의 특정 환경에 있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맞춤 광고를 제공하고, 단순한 광고에서 벗어나 콘텐츠 미디어 생성을 통한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사용자는 신문기사, 블로그, 동영상, 사진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TV, 인공지능 스피커, 이북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의 다양한 웹사이트/앱 서비스를 통하여 소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소스에서 취득하는 미디어를 원하는 포맷에 맞추어 소비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95008(2010.11.18.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8979(2009.05.15.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13638(2009.11.02. 공개)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88226(2017.08.01.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되 반복되는 환경 패턴을 갖는 특정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자, 부가서비스 제공자, 광고 사업자, 온라인 상품 사업자 등 각 참여 제공자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각 참여 제공자의 수익 도모에 더욱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특정 구간을 반복 또는 정기 운행하는 차량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환경 정보, 사용자 콘텐츠 선택정보, 사용자 개인 인적정보 및 등록 가맹점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에 저장 구축하는 기본정보 구축 단계; 상기 환경 정보,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 개인정보와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사용한 결재이력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가 착용하여 인체정보 취득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치로부터의 신체정보를 수집하는 분석정보 수집 단계;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각 정보를 연계시킨 정보를 선택하여 특정한 템플릿을 통해 해당 사용자 전용의 미디어 콘텐츠로 변환시켜 생성하는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 및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의 미디어콘텐츠를 해당 특정 구간을 반복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맞춤콘텐츠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하나 이상의 출발지와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하나의 출발지와 하나 이상의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목적지와 출발지의 소정 반경 범위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 내의 정보로 한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는 목적지 및 출발지의 소정 반경 범위에 있는 가맹점 정보를 사용자의 결재 정보에 근거하여 가맹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가맹점 정보의 갱신은,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에 의한 결제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결제정보 수신 판단 단계; 상기 결제정보 수신 판단단계에서 결제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는 가맹점 정보 추출 단계;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정보 데이터 추출 단계;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정보 데이터에 대한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갱신 여부 판단 단계; 상기 갱신 여부 판단 단계에서 정보 갱신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수신 판단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정보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맹점 정보를 근거하여 해당 데이터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갱신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갱신 여부 판단 단계에서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은 가맹점 정보와 해당 가맹점 정보에 상응하는 추출된 정보 데이터가 상이한지 여부를 통해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입력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입력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미디어의 내용을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선택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선택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미디어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변환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변환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템플릿을 통해 미디어의 내용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출력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출력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미디어를 특정 포맷으로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는 콘텐츠 소소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콘텐츠 소스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콘텐츠 소스를 입력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소스 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특정 추출 조건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추출 조건을 선택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추출된 콘텐츠의 포맷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변환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특정 변환 포맷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변환 포맷을 변환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변환된 포맷을 갖는 콘텐츠의 출력 타입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특정 출력 타입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출력 타입을 출력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는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는 미디어의 내용을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미디어의 내용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 플러그인에 의해 크롤링되는 미디어 내용이 저장된 다음,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 기간의 미디어 또는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해당 미디어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 플러그인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미디어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미디어의 내용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변환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다른 포멧으로의 변환을 실행한 다음, 다른 포멧으로 변환된 해당 미디어를 저장하고; 상기 다른 포멧으로 변환된 해당 미디어를 특정 출력 타입으로 변환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특정 출력 타입으로의 변환을 실행한 다음, 특정 출력 타입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맞춤 콘텐츠 피드백 단계는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 플러그인에서 표시되는 미디어의 내용은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는 미디어의 내용으로 제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 반경 범위로 특정된 지역과 관련되는 미디어의 내용으로 제한되며, 상기 변환 플러그인은 텍스트 정보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거나, 사진에 필터를 적용하거나, 동영상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플러그인은 미디어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거나, 이북 파일로 저장하거나, 웹페이지를 저장하거나, 트위터로 전송, 드롭박스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출퇴근 통근차량이나 정해진 관광 코스를 운행하는 차량 등과 같이 특정 구간이 반복되는 특정 환경에 있는 사용자 그룹 및 해당 사용자 그룹 내의 사용자 개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 취득하고 그에 따른 맞춤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 제공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 부가서비스 제공자, 광고 사업자, 온라인 상품 사업자 등의 적극적 참여를 능동적으로 유도하여 지속시킬 수 있으며, 적극적 소비자의 확보를 통하여 각 참여 제공자의 수익 창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서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 포함되는 가맹점 정보의 갱신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의 미디어콘텐츠 생성 과정에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의 미디어 콘텐츠 생성 과정에서 플러그인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구간을 반복 또는 정기 운행하는 차량의 출발지와 목적지 및 소요 시간에 대한 환경 정보, 사용자 콘텐츠 선택정보(후술될 플러그인 선택 정보, 특정 미디어와 콘텐츠 및 변환 포멧 선택 정보 등), 사용자 개인 인적정보 및 등록 가맹점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또는 라이프스타일 관리 서버)에 저장 구축하는 기본정보 구축 단계(S100); 상기 환경 정보,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 개인정보와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사용한 결재이력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가 착용하여 인체정보(예를 들면, 심박수, 걸음수 등) 취득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치로부터의 신체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분석정보(특정 구간에서의 라이프스타일 정보) 수집 단계(S200);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수집된 각 정보를 연계시킨 정보를 선택하여 특정한 템플릿을 통해 해당 사용자 전용의 미디어 콘텐츠로 변환시켜 생성하는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S300); 및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S300)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의 미디어콘텐츠를 해당 특정 구간을 반복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맞춤콘텐츠 피드백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정보 구축단계(S100)에서 환경 정보는 기업체의 출퇴근용 통근차량과 같이 하나 이상의 출발지(A1, A2, A3)와 하나의 목적지(B)에 대한 정보, 및 각 출발지로부터 목적지(B)까지의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환경 정보로서 기업체의 출퇴근용 통근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위치가 특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사용자(예를 들면, 셀러리맨) 그룹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환경 정보는 기업체의 출퇴근용 통근차량 이외에도, 하나의 출발지(예를 들면, 공항이나 숙소 등)와 하나 이상의 목적지(예를 들면, 유명 관광지, 쇼핑몰 등)를 대상으로 하여 운행하는 여행 안내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소정 구간을 지정하여 운행하는 차량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본정보 구축단계(S100)에서 사용자 개인 인적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마련된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개인정보이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장치에 마련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에 마련된 비콘 등을 통해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에 마련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개인 인적정보로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회원가입 시 개인 기본정보로서 연령, 성별, 연락처, 이용차량 출발지, 거주지역, 관심분야, 콘텐츠 선택 유무(플러그인 자동 선택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개인 인적정보 중 개인 특정정보로서 민감한 정보, 예를 들면 취미, 급여관계, 가족관계, 거주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러한 민감한 정보에 대한 기입이 이루어지는 사용자에게는 일반 가입자와 달리 가맹점 이용시 할인권, 상품권 지급 등 또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이용권 등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정보 구축 단계(S100)는 가맹점 정보로서 가맹점명, 가맹점 위치, 취급 콘텐츠, 취급 품목(메뉴), 품목 가격 등에 대한 가맹점 기본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는 해당 사용자가 결재한 결재 정보에 기반하되,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 반경 범위로 특정된 가맹점에서 결재된 결재 정보, 및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맥박수, 걸음수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특정 영역의 범위(목적지와 출발지의 소정 반경 범위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 내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과 소비 지역의 집중화를 도모할 수 있고, 중앙 관리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이후 과정에서 실행되는 정보의 분석과 콘텐츠 생성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수집된 신체 정보는 후술하는 플러그인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신체 정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주일 또는 한달 동안의 걸음수가 소정 걸음수 미만인 경우, 해당 사용자는 운동부족 상태인 것으로 간주되어, 후술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 소정 범위 내에 있는 헬스클럽 정보 및/또는 필요운동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는 목적지 및 출발지의 소정 반경 범위에 있는 가맹점 정보를 사용자의 결재 정보에 근거하여 가맹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가맹점 정보의 갱신은 결재정보 서버(예를 들면, 신용카드사 서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의 결제(신용카드 결제)에 따라 발생되는 결제정보를 근거로 가맹점 정보가 기록된 중앙 관리 서버의 가맹점 리스트를 갱신함으로써 최신의 데이터로 유지되도록 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가맹점 정보의 갱신 과정에 대하여 도 3을 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서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 포함되는 가맹점 정보의 갱신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가맹점 정보의 갱신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제정보 수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에 의한 결제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210), 상기 단계 S110에서 결제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고(S220),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S230),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정보 데이터에 대한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며(S240), 상기 단계 S140에서 정보 갱신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계 S110으로 진행되고 상기 단계 S140에서 정보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맹점 정보를 근거하여 해당 데이터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것(S250)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S240에서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은 가맹점 정보와 해당 가맹점 정보에 상응하는 추출된 정보 데이터가 상이한지 여부를 통해 판단한다.
상기 단계 S240과 단계 S250의 처리 과정을 음식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정보 데이터로서, ID가 <2662748>, 가맹점의 이름이 <A>, 가맹점의 전화번호는 <02-312-0000>, 가맹점의 주소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신동>, 카테고리는 <01-03>, 위치는 <010100002?gt;, 생성일자는 <2013-03-28 02:53:?gt;, 업데이트 일자는 <2014-01-16 20:03:?gt;이며, 제2 정보 데이터로서, ID가 <6696015>이고, 가맹점의 이름이 <B>, 가맹점의 전화번호는 미기재, 가맹점의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카테고리는 <01-01>, 위치는 <010100002?gt;, 생성일자는 <2013-03-28 21:54:?gt;, 업데이트 일자는 <2013-10-01 21:42: >인 경우로 한다.
신용카드 결제에 따라 발생되는 결제정보는 가맹점 이름, 가맹점 전화번호, 가맹점 주소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맹점의 이름은 <A>이고, 가맹점의 전화번호는 <02-312-0000>이며, 가맹점의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일 때, 결제에 따라 발생되는 가맹점의 이름 및 가맹점의 전화번호가 제1 정보 데이터의 가맹점의 이름 및 가맹점의 전화번호에 각각 일치하므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ID가 <2662748>인 가맹점이 ID가 <6696015>인 위치로 이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가맹점에 대하여 ID와 이전 위치를 갱신하게 되며, 또한, ID가 <6696015>인 가맹점 <B>를 폐점 처리함으로써 정보 데이터를 최신화 처리한다.
상기 가맹점 정보의 갱신은 가맹점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시설명칭, 주소, 대표 전화번호, 특징, 주차대수, 시설물의 특성에 따른 특징(골프장의 경우 홀 수, 헬스장의 경우 시설품목, 샤워 시설 등), 시설물의 사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가맹점 정보의 갱신은, 카드 가맹점 관리모듈에서 결제정보와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합한 정보를 동시에 추출하여 갱신여부를 판단하고, 정보 갱신 여부에 따라 정보 데이터를 갱신 처리하거나 기각 처리함으로써, 기존에 구축된 중앙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최신으로 갱신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의 가맹점의 정보를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수집된 각 정보를 연계시킨 정보를 선택하여 특정한 템플릿을 통해 해당 사용자 전용의 미디어 콘텐츠로 변환시켜 생성하는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S300)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의 미디어콘텐츠 생성 과정에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의 미디어 콘텐츠 생성 과정에서 플러그인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각 플러그인(plug-in) 또는 플러그인 프로그램(plug-in program)은 웹 브라우저의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웹 브라우저의 일부로서 쉽게 설치되고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독립적으로는 실행되지 못하고 브라우저와 함께 동작한다는 특성을 가진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브라우저에 의해 자동으로 인식되고, 기능도 현재 나타나고 있는 주 HTML 파일 내에 통합된다. 마치 웹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며, 멀티미디어를 웹에서 구현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S300)는,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고, 신문기사, 신간 도서정보, 유튜브의 특정 채널의 영상 등과 같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미디어의 내용을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플러그인의 선택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단계 S310). 상기 입력 플러그인에서 표시되는 미디어의 내용은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제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 반경 범위로 특정된 지역과 관련되는 미디어의 내용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 S310은 계속 업데이트되는 미디어의 내용을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입력 플러그인이 선택되고, 상기 입력 플러그인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문사의 기사를 선택할 것인지, 방송사 뉴스를 선택할 것인지, 클라우드의 사진을 선택할 것인지, 쿠폰 정보를 선택할 것인지, 날씨 정보를 선택할 것인지, 운동 정보를 선택할 것인지 등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계 S310에서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20). 상기 단계 S320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될 때까지 대기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 플러그인 정보가 저장된다(단계 S330).
여기에서, 상기 단계 S310 및 단계 S320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최초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콘텐츠가 미리 선택되어 있는 경우(미리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기반하여 입력 플러그인 자동 선택), 단계 S310 및S320은 생략되고, 해당 선택된 특정 콘텐츠가 단계 S330에서 저장된 후 다음 과정을 자동으로 바로 진행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 플러그인의 선택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표시된다(단계 S340). 상기 선택 플러그인은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미디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단계 340은 상기 입력 플러그인에 의해 크롤링되는 미디어 내용이 수동(또는 자동) 선택된 후,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미디어를 선택하는 선택 플러그인이 선택된다. 상기 선택 플러그인의 선택은 최근 3일간의 미디어, 또는 3년전 오늘의 미디어,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미디어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택된 선택 플러그인은 특정 키워드(관련분야, 맛집, 운동, 건강 등)를 포함하는 신문사의 기사를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 S340에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미디어가 선택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50). 단계 S350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미디어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특정 미디어가 선택될 때까지 대기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미디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 플러그인 정보가 저장된다(단계 S360).
여기에서, 상기 단계 S340 및 단계 S350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최초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미디어가 미리 선택되어 있는 경우(미리 선택된 특정 미디어에 기반하여 선택 플러그인 자동 선택), 단계 S340 및S350은 생략되고, 해당 선택된 특정 미디어는 단계 S360에서 저장된 후 다음 과정을 바로 진행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변환 플러그인 선택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 단말장치에 표시된다(단계 S370). 변환 플러그인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미디어의 내용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선택 플러그인이 선택된 후, 지정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미디어의 내용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 플러그인이 선택된다. 상기 변환 플러그인의 선택은 텍스트 정보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거나, 사진에 필터를 적용하거나, 동영상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등의 변환 플러그인이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신문사의 기사를 동영상으로 변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단계 S370에서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변환 포맷이 선택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80). 단계 S380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변환 포맷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특정 변환 포맷이 선택될 때까지 대기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변환 포맷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변환 플러그인 정보가 저장된다(단계 S390).
여기에서, 상기 단계 S370 및 단계 S380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최초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변환 포멧이 미리 선택되어 있는 경우(미리 선택된 특정 변환 포멧에 기반하여 변환 플러그인 자동 선택) 단계 S370 및S380은 생략되고, 해당 선택된 특정 미디어는 단계 S390에서 저장된 후 다음 과정을 바로 진행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출력 플러그인 선택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 단말장치에 표시된다(단계 S391). 출력 플러그인은 미디어를 특정 포맷(특정 출력 타입)으로 변환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변환 플러그인이 선택된 후, 미디어를 특정 포맷으로 변환 및 전송하는 출력 플러그인이 선택된다. 상기 출력 플러그인의 선택은 미디어를 동영상 파일(mp4)로 저장하거나, 이북 파일(epub)로 저장하거나, 웹페이지(html)를 저장하거나, 트위터로 전송, 드롭박스(dropbox)에 저장하는 등의 출력 플러그인이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택된 출력 플러그인은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신문사의 기사가 동영상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mp4 파일로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391에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출력 타입이 선택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92). 단계 S391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출력 타입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특정 출력 타입이 선택될 때까지 대기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출력 타입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 플러그인 정보가 저장된다(단계 S393).
여기에서, 상기 단계 S391 및 단계 S392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S200)에서 최초 사용자 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출력 타입이 미리 선택되어 있는 경우(미리 선택된 특정 출력 타입에 기반하여 출력 플러그인 자동 선택) 단계 S391 및S392는 생략되고, 해당 선택된 특정 출력 타입은 단계 S393에서 자동 저장되게 되며, 이후 맞춤콘텐츠 피드백 단계(S400)를 통해 해당 출력 타입을 갖는 콘텐츠(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 범위 내)가 사용자에게 전송되게 된다.
상기 각 단계에서 입력 플러그인, 선택 플러그인, 변환 플러그인 및 출력 플러그인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이 생성된다.즉, 사용자에 따라 어떠한 미디어를 선택하도록 입력 플러그인을 설정할 것인지, 선택된 미디어에서 어떠한 콘텐츠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된 콘텐츠를 어떠한 타입으로 변환할 것인지, 변환된 콘텐츠를 어떠한 타입으로 출력할 것인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따라 전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제공되는 또는 미리 설정된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액션, 즉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자유롭게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3일간의 신문기사 중에서 <맛집이나 건강> 키워드가 포함된 것을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트위터에 업로드하도록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자신이 지난주에 찍은 사진(예를 들면, 이용 후기)들에 필터를 적용하여 pdf를 만들어 개인 클라우드에 저장하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최근 몇일간의 차량 목적지와 출발지의 주변 정보를 전자책으로 변환하여 개인 클라우드에 저장하도록 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자동 생성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소스에서 취득하는 미디어를 원하는 포맷에 맞출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신문기사, 블로그, 동영상, 사진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TV, 인공지능 스피커, 이북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의 다양한 웹사이트/앱 서비스를 통하여 본인에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출퇴근 통근차량이나 정해진 관광 코스를 운행하는 차량 등과 같이 특정 구간이 반복되는 특정 환경에 있는 사용자 그룹 및 해당 사용자 그룹 내의 사용자 개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분석 취득하고 그에 따른 맞춤 미디어 콘텐츠를 생성 제공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 부가서비스 제공자, 광고 사업자, 온라인 상품 사업자 등의 적극적 참여를 능동적으로 유도하여 지속시킬 수 있으며, 적극적 소비자의 확보를 통하여 각 참여 제공자의 수익 창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기본정보 구축 단계
S200: 분석정보 수집 단계
S300: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
S310: 입력 플러그인 선택 화면 표시 단계
S320: 특정콘텐츠 선택 단계
S330: 입력 플러그인 정보 저장 단계
S340: 선택 플러그인 선택 화면 표시 단계
S350: 특정미디어 선택 단계
S360: 선택 플러그인 정보 저장 단계
S370: 변환 플러그인 선택 화면 표시 단계
S380: 특정 변환포멧 선택 단계
S390: 변환 플러그인 정보 저장 단계
S391: 출력 플러그인 선택 표시 단계
S392: 특정 출력 타입 선택 단계
S393: 출력 플러그인 정보 저장 단계
S400: 맞춤 콘텐츠 피드백 단계

Claims (6)

  1. 특정 구간을 반복 또는 정기 운행하는 차량의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환경 정보, 사용자 콘텐츠 선택정보, 사용자 개인 인적정보 및 등록 가맹점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에 저장 구축하는 기본정보 구축 단계;
    상기 환경 정보,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 개인정보와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사용한 결재이력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관심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가 착용하여 인체정보 취득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치로부터의 신체정보를 수집하는 분석정보 수집 단계;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각 정보를 연계시킨 정보를 선택하여 특정한 템플릿을 통해 해당 사용자 전용의 미디어 콘텐츠로 변환시켜 생성하는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 및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의 미디어콘텐츠를 해당 특정 구간을 반복하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맞춤콘텐츠 피드백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하나 이상의 출발지와 하나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하나의 출발지와 하나 이상의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목적지와 출발지의 소정 반경 범위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 내의 정보로 한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는 목적지 및 출발지의 소정 반경 범위에 있는 가맹점 정보를 사용자의 결재 정보에 근거하여 가맹점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가맹점 정보의 갱신은
    사용자의 신용카드 사용에 의한 결제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결제정보 수신 판단단계;
    상기 결제정보 수신 판단단계에서 결제정보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를 추출하는 가맹점 정보 추출 단계;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정보 데이터 추출 단계;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정보 데이터에 대한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갱신 여부 판단 단계;
    상기 갱신 여부 판단 단계에서 정보 갱신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수신 판단단계로 진행되고 상기 정보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맹점 정보를 근거하여 해당 데이터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처리하는 갱신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갱신 여부 판단 단계에서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은 가맹점 정보와 해당 가맹점 정보에 상응하는 추출된 정보 데이터가 상이한지 여부를 통해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입력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입력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미디어의 내용을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선택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선택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미디어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변환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변환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템플릿을 통해 미디어의 내용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출력 플러그인 정보를 갖는 출력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미디어를 특정 포맷으로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는
    콘텐츠 소소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하나 이상의 특정 콘텐츠 소스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콘텐츠 소스를 입력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소스 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콘텐츠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특정 추출 조건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추출 조건을 선택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추출된 콘텐츠의 포맷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변환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특정 변환 포맷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변환 포맷을 변환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변환된 포맷을 갖는 콘텐츠의 출력 타입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플러그인 선택을 위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특정 출력 타입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특정 출력 타입을 출력 플러그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콘텐츠 생성 단계는
    상기 분석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는 미디어의 내용을 크롤링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미디어의 내용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 플러그인에 의해 크롤링되는 미디어 내용이 저장된 다음, 사용자가 지정한 기준에 따라 소정 기간의 미디어 또는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해당 미디어를 저장하고;
    상기 선택 플러그인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미디어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미디어의 내용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변환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다른 포멧으로의 변환을 실행한 다음, 다른 포멧으로 변환된 해당 미디어를 저장하며;
    상기 다른 포멧으로 변환된 해당 미디어를 특정 출력 타입으로 변환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플러그인이 자동 실행되어 특정 출력 타입으로의 변환을 실행한 다음, 특정 출력 타입으로 변환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맞춤 콘텐츠 피드백 단계는 상기 변환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 플러그인에서 표시되는 미디어의 내용은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는 미디어의 내용으로 제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 반경 범위로 특정된 지역과 관련되는 미디어의 내용으로 제한되며,
    상기 변환 플러그인은 텍스트 정보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거나, 사진에 필터를 적용하거나, 동영상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플러그인은 미디어를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거나, 이북 파일로 저장하거나, 웹페이지를 저장하거나, 트위터로 전송, 드롭박스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KR1020180023449A 2018-02-27 2018-02-27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KR20190102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49A KR20190102679A (ko) 2018-02-27 2018-02-27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49A KR20190102679A (ko) 2018-02-27 2018-02-27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679A true KR20190102679A (ko) 2019-09-04

Family

ID=6795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449A KR20190102679A (ko) 2018-02-27 2018-02-27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26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775A1 (ko) * 2020-06-17 2021-12-23 구효정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8443A (ko) 2020-06-23 2021-12-31 인포뱅크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내 탑승객 선호 콘텐츠 표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979A (ko) 2007-11-12 2009-05-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망에서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3638A (ko)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다날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95008B1 (ko) 2008-06-25 2010-11-18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광고 삽입 콘텐츠 및 광고 삽입 콘텐츠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방법
KR20170088226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스마트구루 이동형 비콘 장치를 활용한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979A (ko) 2007-11-12 2009-05-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망에서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3638A (ko)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다날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95008B1 (ko) 2008-06-25 2010-11-18 주식회사 이베이지마켓 광고 삽입 콘텐츠 및 광고 삽입 콘텐츠를 이용한 콘텐츠서비스 방법
KR20170088226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스마트구루 이동형 비콘 장치를 활용한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775A1 (ko) * 2020-06-17 2021-12-23 구효정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5913A (ko) * 2020-06-17 2021-12-24 구효정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지능화 정보 공유 기반의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8443A (ko) 2020-06-23 2021-12-31 인포뱅크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내 탑승객 선호 콘텐츠 표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3894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107407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terprise branded application frameworks for mobile and other environments
Larivière et al. Value fusion: The blending of consumer and firm value in the distinct context of mobile technologies and social media
WO2019171128A1 (en) In-media and with controls advertisement, ephemeral, actionable and multi page photo filters on photo, automated integration of external contents, automated feed scrolling, template based advertisement post and actions and reaction controls on recognized objects in photo or video
WO2019193407A1 (en) Presenting structured contents with search results, generating feeds &amp; establishing communication based on search activities and enabling search result item associated user actions and reactions
US20190384616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changing mobile commerce elements within native application instantly without code build
KR102071069B1 (ko) O2o 기반 온라인 예약 및 광고를 이용한 오프라인 상품판매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077689A (zh) 提供广告服务至装置的系统和方法
US10346871B2 (en) Automatic targeting of content by clustering based on user feedback data
KR20200052680A (ko)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커머스 플랫폼 시스템
US20150302475A1 (en) Managing, publishing and tracking content for virtual store display windows
KR20190102679A (ko) 특정 환경의 사용자 그룹에 기반한 맞춤 미디어콘텐츠 서비스 방법
US2020011106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 creative over a network
US20130211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marketplace
Dow et al. A location-based mobile advertisement publishing system for vendors
KR20200131809A (ko) 고속 및 안전한 콘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
KR102238438B1 (ko) 규격화된 광고상품을 이용한 광고상품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288181B1 (ko)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39499A1 (en) Calendar Management with Online Marketing Interface
US20190139094A1 (en) Presenting content to an online system user assigned to a stage of a classification scheme and determining a value associated with an advancement of the user to a succeeding stage
KR101625513B1 (ko) 컨텐츠를 이용한 고객 확보 및 확장을 위한 광고방법
JP2012221360A (ja) 購買行動に関して影響力のある情報配信者(インフルエンサー)に対して広告情報を提供することができるシステム
US20150127422A1 (en) Social Network Marketing System and Method
KR101603962B1 (ko) 개인 미디어 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Karpunin et al. Digital Techn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