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181B1 -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181B1
KR101288181B1 KR1020110055613A KR20110055613A KR101288181B1 KR 101288181 B1 KR101288181 B1 KR 101288181B1 KR 1020110055613 A KR1020110055613 A KR 1020110055613A KR 20110055613 A KR20110055613 A KR 20110055613A KR 101288181 B1 KR101288181 B1 KR 101288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information
keyword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591A (ko
Inventor
구교식
정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더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더플래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더플래닛
Priority to KR102011005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18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여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용자의 행동 패턴 또는 사용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소통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ING FOR TARGET CONSUMER}
본 발명은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여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용자의 행동 패턴 또는 사용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소통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텔레비전 광고나 인터넷 배너 광고는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를 상대로 만들어진다. 이에 반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지금, 모바일 광고 시장은 본격적으로 성장 곡선을 가속화할 준비를 하고 있다. 모바일 광고 형태는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통화 연결음, 이모티콘 등의 단편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매력적인 애플리케이션이나 리치미디어를 활용한 지능화된 형태로 진화해가고 있다.
통신사들도 모바일 광고 시장의 선점을 위해 모바일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광고뿐만 아니라 정교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한 광고를 내놓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사와 마트가 서로 제휴하여 사용자가 특정 마트의 매장으로 진입하거나 그 가까운 반경 내에 있을 때 할인 정보와 사용 가능한 쿠폰이 전송된다.
이런 예를 통해, 모바일 광고는 일반적인 TV 광고나 웹을 통한 광고와는 차별화되기 때문에 광고 시장에서 강력한 잠재력 있다. 다만, 현재 모바일 광고를 보면 여전히 광고주가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단방향성 광고 형태가 대부분이다. 사용자의 관심사나 행동 패턴 분석을 통해 사용자와 광고주와의 연결 관계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특정 광고주가 광고 제공 대상인 사용자에게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모바일 광고를 제공하는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바일 광고 서비스는 사용자 관심 기반의 광고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모바일 광고 서비스는 사용자 관심을 수집하거나 분석하고 그 분석된 사용자 관심 기반의 광고를 사용자 단말과 연결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광고 서비스도 웹에서와 마찬가지로 무작위로 광고를 뿌려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그동안 무분별한 광고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의 관심과 무관하게 노출된 광고를 접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모바일 광고는 단발성으로 전송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의 특성상 많은 광고 메시지보다 한 줄의 랜덤 푸시(Random Push) 형태의 광고가 전송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하단에 단발성으로 한 줄 광고를 접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모바일 광고 서비스는 특정 광고주가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광고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소통 관계 구축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와 모바일 광고주 간의 상호 작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광고주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다. 광고주는 복수의 사용자 관심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취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광고주는 사용자 관심 기반에 맞게 새롭게 갱신된 모바일 광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여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용자의 행동 패턴 또는 사용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소통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장치는,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오퍼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광고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관심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상기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등록부;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상기 생성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는 광고 매칭부; 및 상기 산출된 광고 랭킹에 따라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오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되,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광고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데이터 등록부, 광고 매칭부 및 광고 추천부를 포함한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등록부가 상기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수신 및 등록 단계; 상기 데이터 등록부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관심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상기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는 키워드별 벡터 생성 단계;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상기 생성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는 광고 매칭 단계; 및 상기 광고 추천부가 상기 산출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되,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광고 추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여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용자의 행동 패턴 또는 사용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소통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관심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된 사용자 관심 기반의 광고를 등록된 광고와 매칭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광고를 개인별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소통 관계를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 구축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 카테고리 또는 맞춤 매장을 등록하고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는 복수의 광고 오퍼를 제공하면서도 실질적으로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적절한 광고 오퍼를 받도록 구축 관계를 관리하면서도 구축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발성의 랜덤 푸쉬 형태의 광고가 아닌 전면 수취 방식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광고주의 복수의 광고 오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광고 주목도 및 광고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광고주는 종래의 모바일 광고와는 달리 단기간 이벤트성 광고를 쉽게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적재적소에 맞는 광고 오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데이터 등록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광고 매칭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4b 및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매칭부에 적용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 및 광고 키워드별 벡터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광고 추천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맞춤형 광고 페이지를 구축하는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광고 제공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광고 오퍼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
도 13 및 도 14 는 도 9의 광고 제공 페이지의 갱신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광고 오퍼 화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사용자의 정보공유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성 행사에 대한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10)은 복수의 광고 서버(102)와,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광고 서버(102)와 연결되어 상호 타겟팅된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광고 오퍼(Offer)를 사용자 단말(101)로 제공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를 포함한다.
복수의 광고 서버(102)는 광고주에 의해 올려진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광고 데이터의 등록을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로 요청한다. 이후, 복수의 광고 서버(102)는 광고주에 의해 광고 데이터가 올려지는 경우 그 광고 데이터를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통신망은 복수의 광고 서버(102)와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 간 상호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즉,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CDMA, W-CDMA 등)을 통해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망(인터넷 망, IMS 등), 또는 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통신망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광고 서버(102)에 의해 요청된 광고 데이터를 등록하고, 사용자 관심 및 행동 패턴 기반의 사용자 패턴 및 사용자가 처한 사용자 상황을 인지하여 사용자에 맞는 광고 데이터를 매칭(예컨대, 광고 추천 및 광고 확장 등)하고, 그 매칭 결과에 대응되는 광고 오퍼를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한다.
이러한 광고 매칭 이후에도,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는 일정 기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사용자 관심, 사용자 행동 패턴 또는 사용자 상황 기반으로 광고 오퍼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한다. 여기서, 매칭 과정은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와, 광고 데이터 간의 매칭 과정으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검색한다. 또한,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간의 광고 오퍼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등을 통해서 공유하고, 그 광고 오퍼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생성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로부터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101)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광고 서버(102)에 의해 등록된 광고 데이터 중에서 자신과 매칭되는 맞춤 카테고리 또는 맞춤 매장을 추천받거나 사용자가 지정하여 맞춤형 광고 페이지를 설정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맞춤형 광고 페이지를 통해 해당 광고 오퍼를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1)은 네트워크 기반의 외부 시스템이나 외부 저장매체를 통해 제공받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 제공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PC, 노트북, 스마트 폰, PDA, 네비게이션, PMP, 전자사전, MP3 등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 가능한 장치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데이터 등록부(120), 광고 매칭부(130) 및 광고 추천부(14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과 복수의 광고 서버(102) 간의 데이터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수의 광고 서버(102)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적절한 광고 오퍼(Relevant Advertising Offer)를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웹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사용자 반응 정보나 사용자 공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등록부(120)는 복수의 광고 서버(102)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광고 데이터를 등록한다. 또한, 데이터 등록부(1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다. 데이터 등록부(120)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한다. 데이터 등록부(120)는 광고 매칭부(130)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오퍼 목록을 사용자의 맞춤 카테고리 또는 맞춤 매장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맞춤 카테고리 또는 맞춤 매장의 광고 오퍼 목록이 갱신되는 경우, 데이터 등록부(120)는 그 광고 오퍼 목록을 갱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광고 매칭부(130)는 데이터 등록부(120)에서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등록부(120)에서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광고 매칭부(130)는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한다. 이후, 광고 매칭부(130)는 사용자 정보 중에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수정하고, 광고 랭킹을 다시 산출하여 이전에 산출된 광고 랭킹을 갱신한다.
광고 추천부(140)는 광고 매칭부(130)에서 산출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한다. 그리고 광고 추천부(140)는 생성된 광고 오퍼를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1)로 추천한다. 광고 추천부(140)는 추천된 광고 오퍼 목록을 데이터 등록부(120)에 사용자별 맞춤 카테고리 또는 맞춤 매장별로 저장하되, 광고 랭킹이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1)로 추천한다. 광고 추천부(140)는 이러한 광고 추천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에 대응되도록 광고 오퍼를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데이터 등록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등록부(120)는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 사용자 DB(320) 및 광고 DB(3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광고 데이터를 각각 사용자 DB(320) 및 광고 DB(330)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1)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는 각 사용자별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를 갱신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반응 정보 또는 사용자 공유 정보를 사용자 DB(320)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DB(320)는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관심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선택된 맞춤 카테고리 목록 또는 맞춤 매장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및 광고 정보 등록부(310)는 사용자 관심 정보 중에서 맞춤 카테고리 목록 또는 맞춤 매장 목록을 추출하여 사용자별로 등록하고, 맞춤 카테고리 목록 또는 맞춤 매장 목록이 갱신된 경우 이전에 저장된 맞춤 카테고리 목록 또는 맞춤 매장 목록을 갱신하여 저장한다. 사용자 패턴 정보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거나 이용하는 사용자 행동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사용자 상황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101)의 위치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황은 사용자가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의 사용자 상황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01)이 이동된 경로 정보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DB(330)에는 복수의 광고주가 복수의 광고 서버(102)를 통해 등록을 요청한 광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광고 데이터에는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광고가 표시될 광고 내용(예컨대, 광고 이미지, 광고 동영상 및 광고 텍스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광고 데이터에는 광고 서버(102)와 연결가능한 광고 서버(102)의 링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광고 매칭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매칭부(130)는 광고 벡터 생성부(410), 사용자 벡터 생성부(420) 및 광고 랭킹 산출부(430)를 포함한다.
광고 벡터 생성부(410)는 데이터 등록부(120)에서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그 확장된 광고 키워드별로 광고 데이터를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
사용자 벡터 생성부(420)는 데이터 등록부(120)에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
광고 랭킹 산출부(430)는 광고 벡터 생성부(410)에서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사용자 벡터 생성부(420)에서 생성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 간의 매칭 과정을 통해 광고 랭킹을 산출한다.
일예로, 광고 랭킹 산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벡터 생성부(420)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키워드별 벡터값을 추출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는 사용자의 관심을 벡터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 값을 바탕으로 사용자 개인별 랭킹이 산출된다. 여기서, 사용자 키워드에는 운영자에 의해 기정의된 부분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자신의 프로파일, 자주보는 광고와 선호하는 카테고리, 자주 실행하는 앱의 카테고리, 유사한 프로파일의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유추된 카테고리 등이 반영된다.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는 <키워드, 벡터값> 쌍(pair)의 리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 관심(Interest)을 나타내는 컨셉(Concept)이나 해당 컨셉의 속성(Attribute)이 키워드로 표현된다. 만약, 키워드가 컨셉일 경우에는 벡터값(Value)은 "-1.0" 내지 "1.0" 값을 가진다. 키워드가 속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어떤 숫자든지 그 값이 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매칭부에 적용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 및 광고 키워드별 벡터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30대 미혼남성의 프로파일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패턴, 동선, 시간대를 분석한 결과 보여지는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는 도 4b에 나타나 있다.
사용자 벡터 생성부(420)는 사용자 키워드에 “중국음식”, “스파게티”, “여친선물”, “여친선물;가격:최대”, “낮잠”, “당구장”, “동창회;약속”, “페이스북”, “사우나”, “위치(위도, 경도)” 등을 포함시킨다. 또한, 사용자 벡터 생성부(420)는 각 키워드에 대한 벡터값을 포함시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
한편, 광고 매칭부(130)의 광고 벡터 생성부(410)는 광고 랭킹 산출을 위해 광고나 앱을 증강화 또는 벡터화 처리한다. <키워드, 벡터값> 쌍으로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는 도 4c에 나타나 있다. 광고 벡터 생성부(410)는 광고 키워드의 강도, 위치, 시간대, 그 외 특정정보(가격)에서 그 값을 산출하여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광고주 북경반점의 탕수육 공짜 광고”에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광고 벡터 생성부(410)는 “광고타이틀: 북경반점 탕수육 공짜”, “광고설명문구: 짜장면 4개 이상 주문시 탕수육 공짜”, “카테고리: 음식업 / 중국음식”, “광고주: 북경반점”로부터 광고 키워드를 산출한다. 이때, 광고 벡터 생성부(410)는 연관어 및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각 키워드의 유사어 및 속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광고 벡터 생성부(410)는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연관어 및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확장시키고 그 확장된 광고 키워드별로 광고 데이터를 벡터화화여 <키워드, 벡터값> 쌍을 생성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광고 추천부의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추천부(140)는 광고 오퍼 생성부(510), 사용자 상황 분석부(520) 및 사용자 패턴 분석부(5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상황 분석부(520)는 데이터 등록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101)의 상황을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1)의 상황을 확인한다. 사용자 상황 분석부(520)는 사용자 단말(101)이 처한 상황, 현재 위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패턴 분석부(530)는 데이터 등록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1)에서의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패턴 분석부(530)는 사용자 패턴 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행동 패턴, 광고 오퍼의 클릭 패턴 등을 분석한다. 사용자 상황 분석부(520)에서 확인된 사용자 단말(101)의 위치를 시간대별로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1)이 자주 머무르는 위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광고 오퍼 생성부(510)는 광고 매칭부(130)에서 갱신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한다. 그리고 광고 오퍼 생성부(510)는 생성된 광고 오퍼를 사용자 상황 분석부(520)에서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상황 또는 사용자 패턴 분석부(530)에서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광고 오퍼를 사용자 단말(101)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추천한다.
광고 오퍼 생성부(510)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로 광고 오퍼를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101)로 전송되도록 한다. 즉, 광고 오퍼 생성부(510)는 사용자 상황 분석부(520) 및 사용자 패턴 분석부(530)에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 및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광고 데이터 중에서 시간대별, 사용자 상황별, 사용자 행동 패턴별로 다른 광고 오퍼를 사용자 단말(101)로 추천한다. 광고 오퍼 생성부(510)는 사용자 상황 분석부(520) 및 사용자 패턴 분석부(530)에서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상황 또는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경우, 광고 오퍼가 사용자 단말(101)에서 이벤트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광고 오퍼를 추천한다. 광고 오퍼 생성부(510)는 광고 오퍼를 사용자별 맞춤 카테고리 또는 맞춤 매장별로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101)로 추천한다.
이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광고 오퍼에 따라 맞춤형 광고 페이지를 구축하고, 구축된 맞춤형 광고 페이지를 갱신하여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페이지를 구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를 서로 다른 사용자 A 및 사용자 B로 나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 A는 34세, 기혼 여성으로 A 지역이 거주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사용자 B는 44세, 기혼 남성으로 B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페이지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맞춤형 광고 페이지를 구축하는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6에는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A는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성별 선택(601)을 "여자", 결혼 여부(602)를 "기혼" 및 생년 월일(603)을 "1977년 5월 19일"로 입력한다. 한편, 사용자 B는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성별 선택(601)을 "남자", 결혼 여부(602)를 "기혼" 및 생년 월일(603)을 "1967년 5월 19일"로 입력한다. 성별 선택(601), 결혼 여부(602) 및 생년 월일(603)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는 입력될 수 있다.
도 7 에는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맞춤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A가 관심이 있을만한 카테고리로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맞춤 카테고리가 추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맞춤 카테고리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에게는 백화점, 명품, 육아동복, 마트, 항공권, 맛집, 스파, 교육 카테고리가 추천되어 있다. 사용자 A가 추천된 맞춤 카테고리 중에서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우선적으로 맞춤 카테고리가 결정된다. 한편, 사용자 B에게는 슈퍼마켓, 골프용품, 탈모, 운동기구/용품, 패밀리 레스트랑, 비뇨기과, 수입차, 창업, 대리운전 등의 맞춤 카테고리가 추천되어 있다. 사용자 B의 성별, 결혼 여부, 생년 월일뿐만 아니라 사용자 B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을 통해서 이러한 카테고리가 추천된다. 사용자 B가 추천된 맞춤 카테고리 중에서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우선적으로 맞춤 카테고리가 결정된다.
도 8 에는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 기반의 맞춤 매장을 선택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A의 거주 지역을 기준으로 거리 순이나 매장 인기도 등이 반영된 카테고리가 추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맞춤 매장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매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에게는 거리 순으로 A마트, C매장, A은행, B리테일 등의 매장이 추천되어 있다. 사용자 A는 추천된 매장 중에서 원하는 매장을 선택하여 맞춤 매장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B에게는 Cafe 1320, 팔선생, A식당, A 칼국수, B 칼국수, B식당 등이 거리 순으로 추천되어 있다. 사용자 B는 추천된 매장 중에서 원하는 매장을 선택하여 맞춤 매장을 등록할 수 있다.
도 9 에는 사용자 단말(101)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축된 맞춤형 광고 페이지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추천된 카테고리와 매장 중에서 원하는 매장을 선택하여 맞춤 카테고리와 맞춤 매장을 결정하면 결정된 맞춤 카테고리와 맞춤 매장이 포함된 광고 제공 페이지(My Page)가 구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광고 제공 페이지에는 백화점/면세점(901), 마트, 명품, 유아동복, 화장품, 교육, 항공권 및 맛집에 대한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고, A마트 A지역, A갈비, A명품, B마트 A지역 등의 매장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 B의 광고 제공 페이지에는 골프용품(902), 등산, 주유소, 대리운전, 수입차, 핸드폰, 맛집, 한식에 대한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고, A커피, C백화점 등의 매장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광고 제공 페이지에 있는 각 카테고리나 매장별로 광고 오퍼의 개수가 각 사용자별로 서로 다르게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광고 오퍼의 개수는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광고 오퍼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백화점/면세점(901) 카테고리에 포함된 8개의 광고 오퍼를 확인하기 위해 백화점/면세점(901) 카테고리를 클릭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B는 골프용품(902) 카테고리에 포함된 10개의 광고 오퍼를 확인하기 위해 골프용품(902) 카테고리를 클릭하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 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광고 제공 페이지를 통해 제공된 광고 오퍼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10에는 도 9에서의 광고 제공 페이지의 맞춤 카테고리에 포함된 광고 오퍼 목록이 도시되어 있다.
일예로, 사용자 A는 백화점/면세점(901)의 광고 오퍼 목록을 통해 A 백화점 A 지역점에 대한 광고 오퍼, B 백화점 A화점품 특별 행사에 대한 광고 오퍼(1001), B백화점 수입 명품 아동복 기획전에 대한 광고 오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광고 오퍼 목록 중에서 B 백화점 A화점품 특별 행사에 대한 광고 오퍼(1001)를 클릭하여 해당 광고 오퍼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B는 골프용품 카테고리(902)의 A골프 코리아 특가 세일에 대한 광고 오퍼(1002), A마켓 골프용품 할인 행사에 대한 광고 오퍼, C백화점 골프 전용 선글라스 기획전에 대한 광고 오퍼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B는 광고 오퍼 목록 중에서 A골프 코리아 특가 세일에 대한 광고 오퍼(1002)를 클릭하여 해당 광고 오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 10의 광고 오퍼 목록 중에서 특정 광고 오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각각 클릭한 B 백화점 A화점품 특별 행사에 대한 광고 오퍼(1001)와 A골프 코리아 특가 세일에 대한 광고 오퍼(1002)가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나타나 있다.
도 12에는 도 11의 광고 오퍼에 대한 맞춤 매장 등록 버튼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1)을 통해 광고 오퍼를 제공한 매장 또는 카테고리를 맞춤 매장 또는 맞춤 카테고리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사용자 단말(101)의 화면에 도시된 "+"버튼을 이용하여 B백화점을 자신의 맞춤 매장으로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사용자 B는 A골프 코리아를 자신의 맞춤 매장으로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 는 도 9의 광고 제공 페이지의 갱신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장 또는 카테고리 등록 버튼이나 삭제 버튼을 통해 맞춤 매장 또는 맞춤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A의 광고 제공 페이지(1301)는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A의 광고 제공 페이지를 사용자 A가 카테고리 및 매장뿐만 아니라 매장 및 카테고리 순서 등을 변경한 것이다. 이와 동일하게 사용자 B의 광고 제공 페이지(1302)를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B의 광고 제공 페이지에 비해서 맞춤 매장이나 맞춤 카테고리가 변경되고 순서가 변경되어 있다.
도 14에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 제공 페이지의 최적화된 화면이 나타나 있다.
사용자가 광고 제공 페이지를 통해 광고 오퍼를 제공받고 맞춤 카테고리 및 맞춤 매장을 지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정 기간(예컨대, 몇 달, 몇 주 등) 이후에 사용자 A의 광고 제공 페이지(1401)는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광고 제공 페이지에 비해서 맞춤 매장 및 맞춤 카테고리가 변경되고 순서도 변경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 B의 광고 제공 페이지(1402)도 맞춤 카테고리 및 맞춤 매장이 변경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광고 오퍼 화면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사용자의 정보공유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는 34세 기혼 여성으로 A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광고 추천부(140)는 사용자 A가 오후 3시경(1501)에 항상 맞춤 매장 중에서 A마트 A지역점의 광고 오퍼를 클릭하는 것을 사용자 패턴 정보로부터 확인한다. 이러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광고 추천부(140)는 오후 3시경에 맞춤 매장 중에서 A마트 A지역점에 대한 이벤트 팝업 형태의 광고 오퍼(1502)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101)로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A는 사용자 A의 행동 패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1)에 이벤트 팝업 형태로 제공된 광고 오퍼(1502)를 클릭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광고 추천부(140)는 사용자 B가 오전 11시경(1503)에 A해장국의 광고 오퍼를 클릭하는 것을 사용자 패턴 정보로부터 확인한다. 광고 추천부(140)는 오전 11시경(1503)에 맞춤 매장 중에서 A해장국에 대한 이벤트 팝업 형태의 광고 오퍼(1504)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사용자 단말(101)로 제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는 사용자 단말(101)에 표시된 이벤트 팝업 형태의 광고 오퍼(1502)를 클릭하여 A마트 A지역에 대한 광고 오퍼(1601)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 B는 사용자 단말(101)에 표시된 이벤트 팝업 형태의 광고 오퍼(1504)를 클릭하여 A해장국에 대한 광고 오퍼(1602)를 확인하게 된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반응 정보 및 사용자 공유 정보에 대한 일실시예 예시도이다.
사용자 A가 사용자 단말(101)에 표시된 A마트에 대한 광고 오퍼를 확인하고 그 광고 오퍼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좋아요" 버튼(1701)으로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해당 광고 오퍼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1)은 해당 광고 오퍼에 대한 사용자 반응 정보를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의 데이터 등록부(120)는 사용자 반응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DB(32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반응 정보는 "1702" 화면과 같이 이전부터 사용자가 "좋아요"라는 사용자 반응으로 사용자 DB(320)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 B가 사용자 단말(101)에 표시된 A해장국에 대한 광고 오퍼를 확인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시킬 수 있다. 사용자 B가 사용자 단말(101)에 표시된 A 소셜 버튼(1703)이나 B 소셜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101)은 A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접속하여 A해장국에 대한 광고 오퍼가 사용자 공유 정보로 게시한다.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 공유 정보를 데이터 등록부(120)로 전송한다. 데이터 등록부(120)는 수신된 사용자 공유 정보를 사용자 DB(320)에 저장한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성 행사에 대한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식당의 광고주가 아침 식사 시간 이후 11시~12시 사이에 모객을 위해 당일 할인 행사를 기획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A 식당의 광고주 단말은 11시~12시 사이의 할인 행사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1801).
그리고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할인 행사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오퍼를 생성하고 선정된 광고 대상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로 그 생성된 광고 오퍼를 발송한다(1802).
이후, 광고 오퍼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광고 오퍼를 표시하고 해당 광고 오퍼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해 공유하기 위해서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해당 광고 오퍼를 게시하고 그 게시 정보가 사용자 공유 정보로서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에 전송된다(1803).
A 식당의 광고주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100)에 저장된 사용자 반응 정보 또는 사용자 공유 정보를 통해 광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1804). 이후, A 식당의 광고주는 동일한 할인 행사를 차주에 진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데이터 등록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DB(330)에 등록한다(S1902).
데이터 등록부(120)는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DB(320)에 등록한다(S1904).
그리고 데이터 등록부(120)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한다(S1906).
이후, 광고 매칭부(130)는 데이터 등록부(120)에서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S1908).
광고 매칭부(130)는 데이터 등록부(120)에서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한다(S1910).
광고 매칭부(130)는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생성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한다(S1912). 광고 매칭부(130)는 판단된 매칭 결과가 변경됨에 따라 광고 랭킹을 다시 산출하여 갱신할 수 있다.
광고 추천부(140)는 광고 매칭부(130)에서 산출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한다(S1914).
광고 추천부(140)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확인한다(S1916).
광고 추천부(140)는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한다(S1918).
광고 추천부(140)는 생성된 광고 오퍼를 사용자 상황 또는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추천한다(S1920).
한편,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을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생 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 매체는 각 재생 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여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용자의 행동 패턴 또는 사용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와 광고주 간의 소통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1: 사용자 단말 102: 광고 서버
100: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데이터 등록부 130: 광고 매칭부
140: 광고 추천부 310: 사용자 및 광고 등록부
320: 사용자 DB 330: 광고 DB
410: 광고 벡터 생성부 420: 사용자 벡터 생성부
430: 광고 랭킹 산출부 510: 광고 오퍼 생성부
520: 사용자 상황 분석부 530: 사용자 패턴 분석부

Claims (17)

  1.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오퍼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광고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관심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상기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등록부;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상기 생성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는 광고 매칭부; 및
    상기 산출된 광고 랭킹에 따라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오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되,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광고 추천부
    를 포함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등록부는,
    사용자 DB 및 광고 DB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된 광고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DB 및 상기 광고 DB에 각각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광고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상기 광고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 반응 정보 또는 사용자 공유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매칭부는,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상기 확장된 광고 키워드별로 광고 데이터를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는 광고 벡터 생성부;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벡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상기 생성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 간의 매칭 과정을 통해 광고 랭킹을 산출하는 광고 랭킹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벡터 생성부는,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연관어 및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확장시키고 상기 확장된 광고 키워드별로 광고 데이터를 벡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랭킹 산출부는,
    상기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상기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 간의 매칭 결과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에 대한 광고 랭킹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 분석부;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부; 및
    상기 생성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광고 오퍼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오퍼 생성부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정보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벤트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오퍼 생성부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광고 오퍼 조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
  10. 통신 인터페이스부, 데이터 등록부, 광고 매칭부 및 광고 추천부를 포함한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광고 서버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등록부가 상기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등록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수신 및 등록 단계;
    상기 데이터 등록부가 상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관심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 패턴 정보 및 상기 설치된 광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의 사용자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단계;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는 키워드별 벡터 생성 단계;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생성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상기 생성된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매칭하여 광고 랭킹을 산출하는 광고 매칭 단계; 및
    상기 광고 추천부가 상기 산출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되,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광고 추천 단계
    를 포함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 단계는,
    상기 데이터 등록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반응 정보 또는 사용자 공유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별 벡터 생성 단계는,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확장시키고 상기 확장된 광고 키워드별로 광고 데이터를 벡터화시켜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는 광고 벡터 생성 단계; 및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추출된 사용자 관심 정보, 사용자 패턴 정보 또는 사용자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벡터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벡터 생성 단계는,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등록된 광고 데이터의 키워드를 연관어 및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확장시키고 상기 확장된 광고 키워드별로 광고 데이터를 벡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랭킹 산출 단계는,
    상기 광고 매칭부가 상기 광고 키워드별 벡터와 상기 사용자 키워드별 벡터 간의 매칭 결과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광고 키워드별 벡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광고 키워드별 벡터에 대한 광고 랭킹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추천 단계는,
    상기 광고 추천부가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확인하는 사용자 상황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을 확인하는 사용자 패턴 분석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광고 랭킹에 따라 광고 오퍼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광고 오퍼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오퍼 제공 단계는,
    상기 광고 추천부가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정보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벤트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오퍼 제공 단계는,
    상기 광고 추천부가 상기 확인된 사용자 상황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행동 패턴이 기설정된 광고 오퍼 조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광고 오퍼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KR1020110055613A 2011-06-09 2011-06-09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8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13A KR101288181B1 (ko) 2011-06-09 2011-06-09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13A KR101288181B1 (ko) 2011-06-09 2011-06-09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91A KR20120136591A (ko) 2012-12-20
KR101288181B1 true KR101288181B1 (ko) 2013-07-19

Family

ID=4790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613A KR101288181B1 (ko) 2011-06-09 2011-06-09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572B1 (ko) * 2017-07-21 2022-11-30 십일번가 주식회사 사용자 의도 프로파일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51255A (ko) 2017-11-06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74861B1 (ko) * 2019-05-07 2022-03-17 주식회사 엘토브 O2O(On-line to Off-line) 기반 고객 맞춤 정보를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15062B1 (ko) * 2019-08-12 2021-10-20 와짱주식회사 상황인지 데이터의 사례학습기반 추론에 따른 광고추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5298A (ja) * 2005-08-19 2009-02-05 ビーアイエイピ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ユーザに関心を引くアイテムを推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10043365A (ko) * 2009-10-21 2011-04-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문맥광고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5298A (ja) * 2005-08-19 2009-02-05 ビーアイエイピ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ユーザに関心を引くアイテムを推奨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10043365A (ko) * 2009-10-21 2011-04-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문맥광고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91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Marketing insights for mobile advertising and consumer segmentation in the cloud era: AQ–R hybrid methodology and practices
CN107203894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Ghose et al. How is the mobile Internet different? Search costs and local activities
US10110413B2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 social network system about activities from another domain
AU2010276541B2 (en) Advertising as a real-time video call
WO2013070687A1 (en) Identifying a same user of multiple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web page visits, application usage, location, or route
KR102199197B1 (ko) 신상정보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Brabazon et al. Digital Wine: How QR Codes Facilitate New Markets for Small Wine Industries
KR101288181B1 (ko) 양방향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63094B2 (en) Light-life system and application
USRE49889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CN114245165A (zh) 直播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644822B1 (ko) 설문 제공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69459B1 (ko)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1787042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Kini et al. Changing attitudes toward location-based advertising in the USA and Finland
Uitz et al. Consumer acceptance of location based services in the retail environment
Koutsiouris et al. Classifying, profiling and predicting user behavior in the context of location based services
Ružić et al. Development of mobile marketing in croatian tourism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Bhatia et al. Targeted advertising using behavioural data and social data mining
AU2011101398B4 (en) Electronic Promotional System
KR20190079589A (ko) 광고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40021122A (ko) 메시징 서비스 앱과 연동된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방법
Azımı Factors affecting intentions and attitudes of afghan and Turkish consumers towards mobile marketing applications
KR20130111051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