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565A - 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565A
KR20190101565A KR1020180021687A KR20180021687A KR20190101565A KR 20190101565 A KR20190101565 A KR 20190101565A KR 1020180021687 A KR1020180021687 A KR 1020180021687A KR 20180021687 A KR20180021687 A KR 20180021687A KR 20190101565 A KR20190101565 A KR 20190101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edia art
projection mapping
digita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2534B1 (en
Inventor
허정윤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53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ion mapping method, which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 based on an artist preferred by purchaser. The projection mapp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receiving a digitally processed work from at least one artis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s to generate a digital brochure; (b) determining a media art composed of at least some works through an interaction of a user for the digital brochure; (c) generating a display image related to the media art by determining the type of display equipment installed at the place where the media art is to be displayed; and (d) providing the display image to the display equipment. Therefore, the projection mapp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duce a work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user.

Description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COMPUT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프로젝션 매핑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uter-implementable shopper 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a work through interaction with a user.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은 대상물의 표면에 빛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투사하여 변화를 줌으로써,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이 다른 성격을 가진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프로젝션 맵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2D, 3D의 디지털 이미지 혹은 영상을 제작하거나, 사물의 실제 크기를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와 프로젝터, 컴퓨터 등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다.Projection Mapping is a technology that makes an object appear to have a different personality by projecting an image made of light onto the surface of an object and changing it. Basically, in order to implement projection mapping, software for producing 2D and 3D digital images or images, or converting the actual size of an object, and hardware such as a projector and a computer are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3752(2015.04.02)호는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 대여 및 임차 전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 관리 및 임대 관리 서버에 전시용 디지털 기기가 유무선 통신하여 회원가입되어 임차구매한 회원의 전시용 디지털 기기에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가 전송되고 전시되며,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 대여 기간 만료 후 전시용 디지털 기기에서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가 자동 손괴(損壞)되는 미술품 디지털 이미지 대여 및 임차 전시 시스템을 제공한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33752 (2015.04.02) relates to a digital image rental and lease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for artworks. It provides a digital image rental and rental exhibition system where the digital image of the art is transferred to and displayed on the digital device of the purchased member, and the digital image of the art is automatically destroyed on the digital device for exhibition after the rental period of the digital image rental period.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3752(2015.04.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33752 (2015.04.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implemented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produce a work through interaction with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매자가 직접 작가를 선택하고, 구매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implemented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at allows a buyer to directly select a writer and produce a work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bu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시영상이 재생되는 장소에 맞춰 제작된 전시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implemented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n exhibition image produced according to a place where the exhibition image is played.

실시예들 중에서,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은 (a) 복수의 작품 주제들 각각에 관해 적어도 하나의 작가로부터 디지털 가공된 작품 객체를 수신하여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를 결정하여 상기 미디어 아트에 관한 전시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시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computer-implementable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receiving a digitally processed work object from at least one writer on each of a plurality of work subjects to generate a digital brochure, (b Determining a media art composed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artwork objects through user interaction with the digital brochure; (c) determining a type of display facility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media art is to be displayed. Generating an exhibition image related to the display image; and (d) providing the exhibition image to the display facility.

상기 (a)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가의 참여 과정에서 해당 작품 객체의 사용방식과 사용비용을 결정하여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a)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the use method and the use cost of the object object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the at least one artist and include it in the digital brochure.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해당 작품 객체와 함께 과거에 선택되었던 과거 작품 객체를 결정하여 추천 작품 주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tep (b) may include determining a past work object that was selected in the past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work object each time one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is selected, and providing a recommendation work theme.

상기 (b) 단계는 상기 과거 작품 객체의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에 따라 상기 추천 작품 주제를 상기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마다 가장 다수로 선택되었던 다른 추천 작품 주제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b)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recommended work theme along with the other recommended work theme that has been selected the most per time series flow unit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flow unit of the past work object.

상기 (b) 단계는 현재 선택된 작품 객체들의 작품 주제들 간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재배치될 수 있는 가상 미디어 아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b)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layout between the work subjects of the currently selected work objects and providing virtual media art that can be rearranged through the user's interaction.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시영상의 생성과정에서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을 결제하여 성공적으로 결제되면 상기 전시영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와 연관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includes inserting a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code associated with the display equipment into the exhibition image when the payment is successfully made by paying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in the generation of the exhibition image. It may include.

(e) 상기 디지털 설비와 연관된 관람객 감지 센서를 통해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상기 전시영상에 관한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여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e) detecting a number of viewers of the exhibition image at specific unit periods through a visitor detec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digital facility to determine an incentive regarding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have.

실시예들 중에서,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는 복수의 작품 주제들 각각에 관해 적어도 하나의 작가로부터 디지털 가공된 작품 객체를 수신하여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하는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를 결정하는 미디어 아트 결정부, 상기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를 결정하여 상기 미디어 아트에 관한 전시영상을 생성하는 전시영상 생성부 및 상기 전시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하는 전시영상 제공부를 포함한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computer-implementable purchaser preference projection-based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may include a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igitally processed work object from each of a plurality of work subjects and to generate a digital brochur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media art consisting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the user interaction with the brochure, the display image of the media art by determining the type of display equipment installed in the place to display the media art And an exhibition image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exhibition image to the display facility.

상기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가의 참여 과정에서 해당 작품 객체의 사용방식과 사용비용을 결정하여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may determine a usage method and a usage cost of a corresponding object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of the at least one artist, and include the digital brochure in the digital brochure.

상기 미디어 아트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해당 작품 객체와 함께 과거에 선택되었던 과거 작품 객체를 결정하여 추천 작품 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Whenever one of the plurality of artwork objects is selected,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past artwork object that was selected in the past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artwork object to provide a recommended artwork theme.

상기 미디어 아트 결정부는 상기 과거 작품 객체의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에 따라 상기 추천 작품 주제를 상기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마다 가장 다수로 선택되었던 다른 추천 작품 주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may provide the recommendation artwork theme along with the other recommendation artwork theme that has been selected the most per time series flow unit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flow unit of the past work object.

상기 전시영상 생성부는 상기 전시영상의 생성과정에서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을 결제하여 성공적으로 결제되면 상기 전시영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와 연관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The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may insert a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code associated with the display facility to the exhibition image when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successfully pays the copyright cost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xhibition image.

상기 디지털 설비와 연관된 관람객 감지 센서를 통해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상기 전시영상에 관한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여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하는 인센티브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cts the number of viewers of the exhibition image at specific unit periods through a visitor detec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digital facility and determines an incentive regarding copyright costs of writer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a specific embodiment does not mean to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by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A computer-implementable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duce a work through interaction with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는 구매자가 직접 작가를 선택하고, 구매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implementable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may directly select a writer and produce a work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bu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및 장치는 전시영상이 재생되는 장소에 맞춰 제작된 전시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computer-implemented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exhibition image produced according to a place where the exhibition image is play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젝션 매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프로젝션 매핑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미디어 아트의 예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ion mapping system based on a buyer's preferred art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ion preference apparatus based on a buyer preferred writer in FIG. 1.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mapping method performed by the purchaser preference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of FIG. 1.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media art generated by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in FIG. 1.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feature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an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otherwise, they may occur out of the order not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ion mapping system based on a buyer's preferred art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시스템(100, 이하 프로젝션 매핑 시스템)은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 이하 프로젝션 매핑 장치)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하고,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mputer-implementable buyer preference writer-based projection mapping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jection mapping system) includes a buyer preference writer-based projection mapping device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jection mapp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120. And they may be connected via a wireless network.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써, 사용자 단말(12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작가로부터 가공된 복수의 작품 객체들 각각을 데이터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작품 객체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 단말(12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미디어 아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박물관, 야외시설, 전시장 등과 같은 장소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is a computing device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may generate an exhibition imag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data each of a plurality of work objects processed from at least one artist and store them in a database, and generate and provide a digital brochure including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o the user terminal 120. have.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generate media ar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 for the digital brochure, and finally generate an exhibition image that may be displayed in a place such as a museum, an outdoor facility, or an exhibition hall. Can be.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작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작품에 여러 작가들을 모집하여 여러 작가들에게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완성된 작품(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따라 전시영상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allows a user to directly select an artist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and recruits multiple artists to one work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roduce a work to various writers. can do. In addition,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generate different exhibition imag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play equipment installed at the place where the finished work (media art) is to be displayed, and change the exhibition image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media art is to be displayed. It can be displayed.

사용자 단말(120)은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와 입출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입출력 수단으로써,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입출력 수단을 통해 미디어 아트를 제작하는 작가들을 선택하거나, 작품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corresponds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he projection mapping device 110 and a wired /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PC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device, and input / output means, a smart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ssistant), can be implemented as a tablet PC. 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user interaction with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means.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20 is an input / output means for interacting with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and includes an input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use, a trackball, a touch pad, a graphics tablet, a scanner, a touch screen, a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It may include an output device including a device and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touch screen. The user terminal 120 may select artists for producing media art through input / output means, or select a work object.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작품(미디어 아트)을 제작하기 위한 작가들을 선택할 수 있고,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브로셔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관한 수정, 삭제 또는 객체 추가 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은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로부터 작품 주제를 추천받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20 may select artists for producing a work (media art), and modify, delete, or object about at least one object with respect to the digital brochure provided from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Additional requests may be mad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20 may receive a work theme from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ion preference apparatus based on a buyer preferred writer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 전시영상 생성부(230), 전시영상 제공부(240), 인센티브 결정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2,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a digital brochure generator 210, a media art determiner 220, an exhibition image generator 230, an exhibition image provider 240, and an incentive determiner 250. ) And the controller 260.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는 복수의 작품 주제들 각각에 관해 작가로부터 디지털 가공된 작품 객체를 수신하여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는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에 대한 정보, 작가들이 실제 제작한 작품 객체 등의 정보를 데이터 화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카탈로그 형식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브로셔(digital brochure)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a digital brochure by receiving a digitally processed work object from each author on each of a plurality of work subjects.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10 generates a digital brochure (digital broch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atalog to the user terminal 120 by converting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on the artist producing the work, the work object actually produced by the artist can do.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는 '사과'라는 작품 주제에 관해 작가가 제작한 작품 객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작품 객체를 수집하여 디지털 브로셔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품 주제는 하나의 미디어 아트에 포함되는 작품 중 일부에 해당하고, 작품 객체는 하나의 작품 주제에 포함되는 객체 중 하나에 해당한다. 즉,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미디어 아트를 생성할 수 있고, 미디어 아트는 적어도 하나의 작품 주제를 포함할 수 있고, 작품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작품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품 객체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미디어 아트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고, 프로젝터,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등을 통해 전시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10 may receive a work object produced by the artist on the subject of work 'apple', and collect the received work object to generate a digital brochure. Here, the work subject corresponds to some of the works included in one media art, and the work object corresponds to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one work subject. That is,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generate media art, the media art may include at least one work subject, and the work su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work object. Therefore, the work object may correspond to a part of media art produced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may be manufactured to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a project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or the like.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는 작가의 참여 과정에서 해당 작품 객체의 사용방식과 사용비용을 결정하여 디지털 브로셔에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는 특정 작품 객체가 제작된 사용방식과 해당 작품 객체를 실제 작품에 사용하기 위해 소요되는 사용비용을 포함하는 정보와 함께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10 may determine the use method and the use cost of the corresponding object in the artist's participation process and include it in the digital brochure. That is, 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a digital brochure with information including a usage method in which a specific work object is produced and a usage cost for using the work object in an actual work.

예를 들어,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는 LED을 이용한 가시광선으로 표현되는 작품 객체의 경우, 해당 작품 객체의 사용방식으로써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LED 및 해당 작품 객체의 사용비용으로써 5000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방식은 작가가 해당 작품 객체를 제작한 제작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사용비용은 작가와의 계약을 통해 사전에 결정된 비용 또는 작품 객체를 제작하는데 소요된 비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work object represented by the visible light using the LED is 5,000 won as the usage cost of the LED and the work object emitting the visible light as the method of using the work object. Can be. Here, the method of use may be determined by the production technology in which the artist has produced the object of the work, and the cost of us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cost previously determined through a contract with the artist or the cost of producing the object of work.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되는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 단말(12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 아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특정 작품 객체의 선택, 조합 또는 배치 순서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선택된 작품 객체를 기초로 미디어 아트를 결정할 수 있다.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determine the media art composed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through a user's interaction with the digital brochure. In one embodiment,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determine the media art desired by the us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 for the digital brochu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20. For example,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20 may receive a selection, combination or arrangement order of a specific work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120, and may select media art based on the work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You can decide.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해당 작품 객체와 함께 과거에 선택되었던 과거 작품 객체를 결정하여 추천 작품 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특정 작품 객체가 선택되면, 과거에 해당 작품 객체에 연관된 작품 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determine a past work object that has been selected in the past along with the work object each time one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is selected to provide a recommended work theme. That is, when a specific work objec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provide a work theme related to the work object in the past.

예를 들어,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사용자 단말(120)이 '바다'라는 작품 주제에 관한 특정 작품 객체를 선택한 경우, 과거 작품 객체 중에 작품 주제인 '바다'와 함께 선택되었던 또다른 작품 주제 '배'을 결정하여, '배'을 포함하는 작품 주제를 추천 작품 주제로써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20 selects a specific work object related to the work theme of 'sea',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20 selects another work that was selected together with the work theme 'sea' among the past work objects. By determining the theme 'ship', a work theme including 'ship'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20 as a recommended work theme.

다른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사용자 단말(120)이 특정 작품 주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경우, 다른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해당 작품 주제를 선택했을 때 함께 결정되었던 다른 작품 주제를 추천 작품 주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사용자 단말(120)이 '동물'이라는 작품 주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경우, 과거 '동물'을 작품 주제로 선택했던 다른 사용자 단말(120)이 다수로 선택한 '식물'이라는 작품 주제를 추천 작품 주제로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120 has a high interest in a specific work theme,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selects another work theme that was determined together when selecting the work theme from another user terminal 120. Can be provided as a recommended work theme.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20 has a high interest in a work theme of 'animal',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20 may have a large number of other user terminals 120 that have previously selected 'animal' as a work theme. You can provide a work theme of your choice 'Plant' as a recommended work theme.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과거 작품 객체의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에 따라 추천 작품 주제를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마다 가장 다수로 선택되었던 다른 추천 작품 주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과거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선택되었던 작품 객체의 시계열적인 흐름에 따라 가장 다수로 선택되었던 다른 작품 주제를 추천 작품 주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미디어 아트를 제작하는 디지털 기술의 개발되고, 예술 작품에 사용되는 매체 환경 및 소재가 다양화되는 변화에 맞춰 달라지는 작품 객체의 변화 흐름에 맞는 작품 주제를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해당 작품 객체의 시계열적인 흐름에 따라 가장 많이 선택을 받은 작품 주제를 주된 작품 주제로 판단하여 추천 작품 주제로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provide the recommendation work theme along with the other recommended work theme that has been selected the most per time series flow unit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flow unit of the past work object.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provide another work theme that has been selected the most as the recommended work theme according to a time series flow of the work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in the past. That is, the media art deciding unit 220 is adapted to the flow of change of the object of the work that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for producing media art over time, and the media environment and material used in the art work is diversified The theme of the work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the work theme that is most selected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flow of the work object as the main work theme, and provide the recommended work theme to the user terminal 120.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현재 선택된 작품 객체들의 작품 주제들 간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재배치될 수 있는 가상 미디어 아트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선택된 작품 객체들의 작품 주제들 간의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 주제들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는 제1 내지 제3 작품 주제들이 일렬로 배치된 레이아웃을 사용자 단말(12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제1 및 제2 작품 주제들은 겹치도록 배치하고, 제3 작품 주제는 제1 및 제2 작품 주제들과 특정 간격 이상 떨어져 배치되도록 제1 내지 제3 작품 주제들 간의 레이아웃을 재배치한 가상 미디어 아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generate a layout between the work subjects of the currently selected work objects and provide virtual media art that may be rearranged through user interaction.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may generate a layout between the work subjects of the work object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and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work subject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 For example,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arranges the first and second artwork subjects to overlap each other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 in a layout in which the first to third artwork subjects are arranged in a line. The third work theme may provide a virtual media art in which the layout between the first to third work themes is re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work them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를 결정하여 미디어 아트에 관한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로부터 최종적으로 결정된 미디어 아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에 맞게 해당 미디어 아트에 관한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실내 미술관에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하고자 한다면, 해당 미술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예: 프로젝터, 전광판, 레이저빔, 홀로그램 등)에 따라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exhibition image generating unit 230 may generate the exhibition image regarding the media art by determining the type of display facility installed at the place where the media art is to be displayed. In one embodiment,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230 may receive the media art finally determined from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20, and the display image generation unit 230 is related to the media art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equipment installed in the place to display the media art An exhibition image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if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ng unit 230 intends to display the media art in an indoor art gallery,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230 may generate the exhibition imag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play equipment (eg, a projector, a display board, a laser beam, a hologram, etc.) installed in the museum. Can b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전시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장소 또는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에 맞춰 해당 미디어 아트를 변형하여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전시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장소가 실내 공간에서 야외 무대로 변경되는 경우, 기존의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도 함께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되는 장소의 공간 크기 및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에 맞춰 미디어 아트를 변형하여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ng unit 230 may generate the exhibition image by modifying the media art in accordance with the place to display the exhibition image or the type of display equipment. For example, the exhibition image generator 230 may change the type of existing display equipment when the place where the exhibition image is to be displayed is changed from an indoor space to an outdoor stage. The exhibition art can be generated by transforming the media art according to the type of display equipment.

일 실시예에서,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전시영상의 생성과정에서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을 결제하여 성공적으로 결제되면 전시영상에 디스플레이 설비와 연관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코드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DRM는 디지털 권리 관리에 해당하고, 해당 작품을 제작한 작가가 그들이 배포한 디지털 자료나 하드웨어의 사용을 제어하고,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로써,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DRM 코드가 삽입된 전시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디스플레이 설비 외에 다른 디스플레이 설비를 통해 해당 전시영상의 재생이 불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ng unit 230 pays the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xhibition image, and if the payment is successfully paid,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ng unit 230 inputs a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code associated with the display equipment. Can be inserted. Here, the DRM corresponds to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the artist who produced the work controls the use of digital materials or hardware distributed by them and uses only for the intended purpose. The exhibition image generator 230 In addition to a display facility for displaying an exhibition image in which a DRM code is inserted, the display image may not be reproduced through another display facility.

일 실시예에서,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제작된 미디어 아트에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을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시영상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선택된 작품 객체를 제작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을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다수의 작가들과 사용자들 간의 인터랙션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다수의 작가들에게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에게는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해당 작가들이 제작한 작품에 관한 저작권 비용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230 may allow the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produced media art to be settled through crowdfunding. That is,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230 may process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who produced the work object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crowdfunding.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provides a plurality of writers with an opportunity to create a work, and gives users a chance to enjoy the work in producing various work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a plurality of writers and users. Copyright fees for works produced by the artists to provide the user can be settled through crowdfunding.

전시영상 제공부(240)는 전시영상 생성부(230)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된 전시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시영상 제공부(240)는 DRM 코드를 포함하는 전시영상을 해당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할 수 있고, 해당 디스플레이 설비 외에 다른 디스플레이 설비를 통한 해당 전시영상의 재생을 제한할 수 있다.The exhibition image providing unit 240 may receive the exhibition image finally generated by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ng unit 230 and provide it to the display facility. In one embodiment, the exhibition image providing unit 240 may provide an exhibition image including a DRM code to the display facility, and may limit the reproduction of the exhibition image through another display facility besides the display facility.

인센티브 결정부(250)는 디지털 설비와 연관된 관람객 감지 센서를 통해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전시영상에 관한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여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센티브 결정부(250)는 전시영상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수를 산출하여 관람객의 수에 따라 해당 미디어 아트를 제작한 작가들에게 저작권 비용에 대한 인센티브를 결정할 수 있다. 인센티브 결정부(250)가 인센티브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The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50 may determine the incentive regarding the copyright cost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by detecting the number of viewers regarding the exhibition image at specific unit periods through a visitor detec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digital facility. In one embodiment, the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50 may calculate the number of viewers who watch the exhibition image to determine the incentive for the copyright cost to the artists who produced the media art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ers.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incentive by the incentive determiner 2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제어부(240)는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 전시영상 생성부(230), 전시영상 제공부(240) 및 인센티브 결정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10,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20,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230, exhibition image providing unit 240 and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incentive determiner 250 may be controlled.

도 3은 도 1에 있는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젝션 매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프로젝션 매핑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미디어 아트의 예시 도면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mapping method performed by the purchaser preference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of FIG. 1.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media art generated by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복수의 작품 주제들 각각에 관해 적어도 하나의 작가로부터 디지털 가공된 작품 객체를 수신하여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10).Referring to FIG. 3,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generate a digital brochure by receiving a digitally processed work objec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subjects from at least one artist (step S310).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미디어 아트를 제작하는 작가들에 관한 정보, 해당 작가들이 과거에 제작했던 작품들에 관한 정보, 작가들이 작품 객체를 제작할 때 사용된 사용방식 및 사용 비용에 대한 모든 정보를 데이터화 하여 수집할 수 있다.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210)를 통해 작가, 작품 주제, 작품 객체를 제작한 방식 또는 작품 객체를 제작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기초로 분류된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rtists who produce media art, information about works that the artists have made in the past, usage methods and cost used when the artists create the object of the work. All information about can be collected by data.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generates a digital brochure classified based on a writer, a work subject, a method of producing a work object, or a cost required to produce a work object through the digital brochure generator 210 to generate a user terminal 120. ) Can be provided.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20).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determine the media art composed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artwork objects through the user's interaction with the digital brochure (step S320).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결정된 작품 객체들을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우선적으로 작품 주제를 선택하도록 하여 해당 작품 주제에 연관된 디지털 브로셔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20)과의 인터랙션 과정에서 특정 작품 객체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미디어 아트 결정부(220)로부터 추천받은 다른 작품 주제에 연관된 작품 객체들을 참고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아트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determine the media art including the work objects determin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20.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preferentially select a work theme from the user terminal 120 to provide a digital brochure related to the work theme, and add a specific work object in an interaction process with the user terminal 120. Deletion or modification can be performed. The user terminal 120 may determine the final media art by referring to the work objects related to other work subjects recommended by the media art determiner 220.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해'에 해당하는 작품 주제에 작가 A, 작가 B 및 작가 C가 제작한 작품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원기둥'에 해당하는 작품 주제에 작가 1, 작가 2가 제작한 작품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과의 인터랙션을 통해 특정 작가가 제작하는 작품 객체 각각에 관한 구체적인 제작과정 및 제작방식 등을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 terminal 120 may select a work object produced by the writer A, the writer B, and the writer C in the work theme corresponding to the year, and the writer in the work theme corresponding to the cylinder 1 In addition, you can select a work object produced by Writer 2.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determine a specific production process, a production method, and the like for each work object produced by a specific artis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를 결정하여 미디어 아트에 관한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30).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generate a display image regarding the media art by determining the type of display facility installed at the place where the media art is to be displayed (step S330).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전시영상 생성부(230)를 통해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에 맞는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전시영상이 전시되는 환경에 따라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다르게 적용하여 전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generate an exhibition image suitable for the type of display facility installed at a place to display the media art through the exhibition image generator 230. That is,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generate the exhibition image by applying a method of displaying media ar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exhibition image is displayed.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전시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40).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provide an exhibition image to the display facility (step S340).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전시영상 생성부(230)로부터 최종적으로 생성된 전시영상을 수신하여 전시영상 제공부(240)를 통해 해당 전시영상을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전시영상 생성부(230)로부터 DRM 코드가 삽입된 전시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특정 디스플레이 설비에만 재생 가능하도록 설정된 해당 전시영상을 디스플레이 설비를 통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receive the finally generated exhibition image from the exhibition image generating unit 230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image to the display facility through the exhibition image providing unit 240. In this case,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receive an exhibition image in which the DRM code is inserted from the exhibition image generator 230, and play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image set to be reproduced only in a specific display facility through the display facility. .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디지털 설비와 연관된 관람객 감지 센서를 통해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전시영상에 관한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여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50).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determine the incentive regarding the copyright cost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by detecting the number of viewers for the exhibition image at specific unit periods through a visitor detec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digital facility (step S350). ).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션 매핑 장치(110)는 인센티브 결정부(250)를 통해 특정 시간마다 전시영상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수에 따라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할 수 있다. 인센티브 결정부(250)는 전시영상을 재생하는 장소에 설치된 관람객 감지 센서(예: CCTV)를 통해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전시영상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수를 검출할 수 있고,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인센티브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110 may determine an incentive regarding copyright costs of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ers who watch the exhibition image at a specific time through the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50. The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50 may detect the number of viewers who watch the exhibition image at specific unit periods through a visitor detection sensor (for example, a CCTV)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exhibition image is reproduced, an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Incentives can be determined

[수학식][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I는 인센티브에 해당하고, Nvisitor는 관람객의 수, Ncriterion는 기준 관람객의 수에 해당하고, F(v)는 기준 관람객의 수를 초과한 관람객의 수에 따라 인센티브를 산출하는 함수에 해당한다.Where I is the incentive, N visitor is the number of visitors, N criterion is the number of reference visitors, and F (v) is a function that calculates the incentive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s exceeding the number of visitors. Corresponds to

일 실시예에서, 인센티브 결정부(250)는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전시영상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여 특정 기준 관람객의 수보다 적거나 같은 경우에는 인센티브가 0에 해당하고, 특정 기준 관람객의 수보다 큰 경우에는 검출된 관람객의 수에서 기준 관람객의 수의 차이만큼 인센티브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센티브 결정부(250)는 10분마다 전시영상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고, 기준 관람객의 수가 10명이라 가정하면, 10분동안 관람객의 수가 10명 이하인 경우에는 인센티브가 0으로 결정될 수 있고, 관람객의 수가 15명인 경우에는 5명에 해당하는 비용을 인센티브로 결정할 수 있다. 인센티브 결정부(250)는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과의 계약을 통해 관람객 한 명당 인센티브 기준 단가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고, 기준 관람객의 수가 초과된 이후에는 특정 단위 기간마다 기준 관람객의 수를 증가시켜 인센티브 단가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50 detects the number of viewers who watch the exhibition image for each specific unit period, and if the numb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specific reference visitors, the incentive is 0, and the specific reference viewers If the number is larger than the number, the incentive may be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detected visitors and the number of reference viewers. For example, if the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50 detects the number of visitors who watch the exhibition image every 10 minutes and assumes that the number of reference visitors is 10, the incentive is 0 when the number of visitors is 10 or less for 10 minutes. If the number of spectators is 15, a cost corresponding to 5 persons may be determined as an incentive. The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50 may determine an incentive reference price per visitor in advance through a contract with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and increase the number of reference viewers in a specific unit period after the number of reference viewers is exceeded. Incentive unit prices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프로젝션 매핑 시스템
110: 프로젝션 매핑 장치 120: 사용자 단말
210: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 220: 미디어 아트 결정부
230: 전시영상 생성부 240: 전시영상 제공부
250: 인센티브 결정부 260: 제어부
100: projection mapping system
110: projection mapping device 120: user terminal
210: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220: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230: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240: exhibition image providing unit
250: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260: control unit

Claims (13)

(a) 복수의 작품 주제들 각각에 관해 적어도 하나의 작가로부터 디지털 가공된 작품 객체를 수신하여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를 결정하여 상기 미디어 아트에 관한 전시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시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a) receiving a digitally processed work object from at least one author on each of a plurality of work subjects to generate a digital brochure;
(b) determining media art composed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artwork objects through user interaction with the digital brochure;
(c) generating a display image related to the media art by determining a type of display facility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media art is to be displayed; And
and (d) providing the exhibition image to the display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가의 참여 과정에서 해당 작품 객체의 사용방식과 사용비용을 결정하여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And determining a usage method and a usage cost of the corresponding object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t least one artist, and including the same in the digital broch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해당 작품 객체와 함께 과거에 선택되었던 과거 작품 객체를 결정하여 추천 작품 주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Whenever one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work object is selected, determining the past work object that was selected in the past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work object to provide a recommendation work subject based on the computer-implementable buyer preferred artist Projection mapping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과거 작품 객체의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에 따라 상기 추천 작품 주제를 상기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마다 가장 다수로 선택되었던 다른 추천 작품 주제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tep (b)
And providing the recommended work subject along with the other recommended work subjects that were selected the most per time-series flow unit according to the time-series flow unit of the past work object. 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현재 선택된 작품 객체들의 작품 주제들 간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재배치될 수 있는 가상 미디어 아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b)
And generating a layout between artwork themes of currently selected artwork objects and providing virtual media art that can be repositioned through the user's intera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전시영상의 생성과정에서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을 결제하여 성공적으로 결제되면 상기 전시영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와 연관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And inserting a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code associated with the display equipment into the exhibition image when the exhibition fee is successfully paid by paying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Projector mapping method based on computer feasible buyer preference.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디지털 설비와 연관된 관람객 감지 센서를 통해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상기 전시영상에 관한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여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 detecting a number of viewers of the exhibition image at specific unit periods through a visitor detec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digital facility to determine incentives for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A computer-implementable buyer-preferred auth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복수의 작품 주제들 각각에 관해 적어도 하나의 작가로부터 디지털 가공된 작품 객체를 수신하여 디지털 브로셔를 생성하는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통해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 미디어 아트를 결정하는 미디어 아트 결정부;
상기 미디어 아트를 디스플레이 할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설비의 종류를 결정하여 상기 미디어 아트에 관한 전시영상을 생성하는 전시영상 생성부; 및
상기 전시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에 제공하는 전시영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
A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igitally processed work objec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 subjects from at least one artist and generate a digital brochure;
A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 media art composed of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artwork objects through user interaction with the digital brochure;
An exhibition image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display image related to the media art by determining a type of display facility installed at a place to display the media art; And
And a computer-implemented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device including an exhibition image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exhibition image to the display facilit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브로셔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가의 참여 과정에서 해당 작품 객체의 사용방식과 사용비용을 결정하여 상기 디지털 브로셔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gital brochure generation unit
A computer-implemented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ethod of use and a cost of the corresponding work object are determined and included in the digital brochure dur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t least one artis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아트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작품 객체들 중 하나가 선택될 때마다 해당 작품 객체와 함께 과거에 선택되었던 과거 작품 객체를 결정하여 추천 작품 주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Whenever one of the plurality of work objects is selected, a computer-implementable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recommended work subject by determining a past work object that was selected in the past together with the work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아트 결정부는
상기 과거 작품 객체의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에 따라 상기 추천 작품 주제를 상기 시계열적인 흐름 단위마다 가장 다수로 선택되었던 다른 추천 작품 주제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edia art determination unit
A computer-implemented buyer-preferred artist-based projection mapping apparatus for providing the recommended work subject along with other recommended work subjects that are selected the most per time-series flow unit according to the time-series flow unit of the past work object.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영상 생성부는
상기 전시영상의 생성과정에서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을 결제하여 성공적으로 결제되면 상기 전시영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설비와 연관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코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exhibition image generator
The computer-implementable shopper comprising inserting a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code associated with the display facility in the display image upon successful payment by paying copyright costs of the artist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display image. Preferred author-based projection mapp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설비와 연관된 관람객 감지 센서를 통해 특정 단위 기간들마다 상기 전시영상에 관한 관람객의 수를 검출하여 해당 미디어 아트와 연관된 작가들의 저작권 비용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하는 인센티브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구매자 선호 작가 기반의 프로젝션 매핑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incentiv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cts the number of viewers of the exhibition image at specific unit periods through a visitor detection sensor associated with the digital facility to determine incentives related to copyright costs of writers associated with the media art. A writer-based projection mapping device that allows a computer to perform as possible.

KR1020180021687A 2018-02-23 2018-02-23 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2092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87A KR102092534B1 (en) 2018-02-23 2018-02-23 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87A KR102092534B1 (en) 2018-02-23 2018-02-23 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65A true KR20190101565A (en) 2019-09-02
KR102092534B1 KR102092534B1 (en) 2020-03-24

Family

ID=6795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87A KR102092534B1 (en) 2018-02-23 2018-02-23 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53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059A (en) * 2003-12-04 2005-06-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Controlling access to wirelessly broadcast electronic work
KR20090028847A (en) * 2007-09-14 2009-03-20 최필호 Call option tra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number of cinema audience
KR20150018121A (en) * 2013-08-09 2015-02-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GIS based festival vistor stat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50033752A (en) 2013-09-23 2015-04-02 김경중 Loan system of Digital image Work of art
KR20160079380A (en) * 2014-12-26 2016-07-06 (주) 노브 Projecting method of visual image using proj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059A (en) * 2003-12-04 2005-06-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Controlling access to wirelessly broadcast electronic work
KR20090028847A (en) * 2007-09-14 2009-03-20 최필호 Call option tra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number of cinema audience
KR20150018121A (en) * 2013-08-09 2015-02-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GIS based festival vistor stat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50033752A (en) 2013-09-23 2015-04-02 김경중 Loan system of Digital image Work of art
KR20160079380A (en) * 2014-12-26 2016-07-06 (주) 노브 Projecting method of visual image using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534B1 (en)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0934B2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Dangelmaier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upport for discrete manufacturing system simulation
EP2499635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tem image in a contextual environment
US11263358B2 (en) Rapid design and visualization of three-dimensional designs with multi-user input
US10192321B2 (en) Multi-style texture synthesis
CN103390075A (en) Comparing virtual and real images in a shopping experience
CA2927447A1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JP2006228231A (en) Three-dimensional image special effect representing method and device, vrml node and generation method for it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Kondermann Ground truth design principles: an overview
CN114187023A (en) Commodity object analysis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Manovich et al. Visualizing change: Computer graphics as a research method
KR102092534B1 (en) Computer-executable purchaser preferring creator-based projection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Fleming Advanced 3D photorealism techniques
Fleming 3D photorealism toolkit
KR20200068921A (en)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virtual reality gallery management method
Loviscach Motion blur for textures by means of anisotropic filtering
Furferi et al. Enhancing traditional museum fruition: current state and emerging tendencies
CN114967914A (en) Virtual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Vusić et al.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nd computer graphics: The case of the stolen paintings
Putro et al. Development of Appli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s A Learning of History and Culture in Architecture Case Study Pathok Negoro Mosques Yogyakarta
Menaguale Digital twin and cultural heritage–The future of society built on history and art
Williams et al. Neuro-curation: A case study on the use of sonic enhancement of virtual museum exhibits
Cardoso Lumion 3D Best Practices
Syahputra et al. Visualization of Virtual House Model on Property Brochure Using Augmente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