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534A -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534A
KR20190101534A KR1020180021611A KR20180021611A KR20190101534A KR 20190101534 A KR20190101534 A KR 20190101534A KR 1020180021611 A KR1020180021611 A KR 1020180021611A KR 20180021611 A KR20180021611 A KR 20180021611A KR 20190101534 A KR20190101534 A KR 2019010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lectronic device
image processing
processor
cor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763B1 (ko
Inventor
한창수
박현희
임성준
김영조
김재곤
양홍석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763B1/ko
Priority to CN201980014777.4A priority patent/CN111788603A/zh
Priority to EP19757633.3A priority patent/EP3707671B1/en
Priority to US16/275,965 priority patent/US11290641B2/en
Priority to PCT/KR2019/001840 priority patent/WO2019164185A1/en
Publication of KR2019010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7Processing or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4Image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6Imag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warding, urgent or confidential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의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S CORRECTED BY A FIRST IMAGE PROCESSING MODE IN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A SECOND IMAGE PROCESSING MOD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전자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로우(raw)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내장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이용하여 획득된 로우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는 화질 개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로우 이미지를 처리함으로써 화질이 개선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는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절, 컬러 조정(color adjustment)(예: color matrix, color correction, color enhancement), 색 필터 배열 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잡음 감소(noise reduction) 처리 또는 샤프닝(sharpening), 이미지 개선(image enhancement)(예: HDR(high-dynamic-range), face detection 등) 등의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는 압축되고, 압축된 이미지(예: JPEG 형식의 이미지)는 전자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미지 백업 기능 및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 생성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은 영상 매칭 등의 기법과 같이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기 어려운 컴퓨터 기반의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시스템은 머신 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이미지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방식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방식은 예를 들어, ISP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의 성능 또는 알고리즘과 같은 소프트웨어적 성능에 기반할 수 있다. 발전된(advanced)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는 새로운 하드웨어 장치를 장착해야 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새로운 하드웨어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칩(chip) 가격의 증가, 발열 문제, 또는 실장 공간을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에서 지원되는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동안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보정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따라서 표시된 이미지가 보정되는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의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적어도 일부 다른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지 판단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이미지 보정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하고,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은,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의 종류에 기반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장치를 교체하지 않아도 발전된 이미지 처리 방식을 적용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된 이미지 영역 별로 수신함으로써, 이미지가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되는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되는 이미지를 설명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들 간 차분(difference)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 내에서 이미지가 저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처리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처리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차분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 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에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 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애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애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되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되는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identity, 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나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 응답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80)은 렌즈 어셈블리(210), 플래쉬(220), 이미지 센서(230),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 메모리(250)(예: 버퍼 메모리),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렌즈 어셈블리(210)는 이미지 촬영의 대상인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집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메라 모듈(180)은, 예를 들면,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 중 일부는 동일한 렌즈 속성(예: 화각, 초점 거리, 자동 초점, f 넘버(f number), 또는 광학 줌)을 갖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는 다른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속성들과 다른 하나 이상의 렌즈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예를 들면, 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래쉬(22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는 빛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래쉬(220)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예: RGB(red-green-blue) LED, white LED, infrared LED, 또는 ultraviolet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어 렌즈 어셈블리(210)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예를 들면, RGB 센서, BW(black and white) 센서, IR 센서, 또는 UV 센서와 같이 속성이 다른 이미지 센서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센서,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또는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에 포함된 각각의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카메라 모듈(18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렌즈 어셈블리(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230)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미지 센서(230)의 동작 특성을 제어(예: 리드 아웃(read-out) 타이밍을 조정 등)할 수 있다. 이는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움직임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하게 해 준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은 카메라 모듈(18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자이로 센서(미도시) 또는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80) 또는 전자 장치(101)의 그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예를 들면, 광학식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이미지 센서(2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음 이미지 처리 작업을 위하여 적어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에 따른 이미지 획득이 지연되거나,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고속으로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원본 이미지(예: Bayer-patterned 이미지 또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메모리(250)에 저장이 되고, 그에 대응하는 사본 이미지(예: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표시 장치(160)을 통하여 프리뷰될 수 있다. 이후,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예: 사용자 입력 또는 시스템 명령) 메모리(250)에 저장되었던 원본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획득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이미지 센서(230)를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 또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은, 예를 들면, 깊이 지도(depth map) 생성, 3차원 모델링, 파노라마 생성, 특징점 추출, 이미지 합성, 또는 이미지 보상(예: 노이즈 감소, 해상도 조정, 밝기 조정, 블러링(blurring), 샤프닝(sharpening), 또는 소프트닝(softening)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카메라 모듈(18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이미지 센서(230))에 대한 제어(예: 노출 시간 제어, 또는 리드 아웃 타이밍 제어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메모리(250)에 다시 저장 되거나 카메라 모듈(180)의 외부 구성 요소(예: 메모리(130), 표시 장치(160),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프로세서(120)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거나, 프로세서(12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이 프로세서(120)과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그대로 또는 추가의 이미지 처리를 거친 후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각각 다른 속성 또는 기능을 가진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각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로우(raw)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 가전 장치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내장된 프로세서(예: 도 1 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2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를 이용하여 획득된 로우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 전자 장치(101)가 지원하는 이미지 처리 방식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방식은 로우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적 기술 또는 소프트웨어적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방식은 프로세서(예: ISP)의 종류(type), 인식 모듈의 종류, 인코더의 종류, 및 전처리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 장치(101)와 연결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102)를 의미하거나,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획득된 로우 이미지 또는 스몰 로우(small raw)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가 지원하는 이미지 처리 방식은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 처리 방식 및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거나, 이미지를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전자 장치(101)(예: 도 1 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2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는 예를 들어, 사진(picture), 동영상(video), 또는 동영상에 포함되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는 예를 들어, JPEG 형식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3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속성 정보(attribution information) 값(value)
이미지 파일 ID ID_20180108_2215
프로세서 버전 V1.0
카메라 제조사 samsung
카메라 모델명 SM-G9305
촬영 일자 2018-01-18 18:02:05
촬영 모드 Normal
노출 모드 Auto
사진 회전 Normal
측광 모드 Average
ISO 정보 50
노출 시간 1/425 sec
조리개 값(F Number) F/1.7
RAW 이미지 형식 RGB Bayer
영상 size 4032 x 2268
최대 조리개 값 F/1.7
초점 거리 4.2mm
화이트 밸런스 Auto
플래시 사용 Off
TBD -
표 1에 도시된 속성 정보의 값(value)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이 표 1에 도시된 값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에서, 프로세서 버전은 예를 들어, ISP의 종류(또는 버전),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인코더, 전처리부, 또는 인식 모듈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 또는 전송한 이후에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동작 31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적어도 일부 다른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1)의 ISP 종류는 전자 장치(101)의 ISP 종류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1)의 인코더, 전처리부, 또는 인식 모듈의 종류는 전자 장치(101)의 인코더, 전처리부, 또는 인식 모듈의 종류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비교하고,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의 적어도 일부와 다르면,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보정된 이미지는 예를 들어, JPEG 형식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와 전자 장치(101) 간 유선 또는 무선 연결(link)이 끊어지는 경우(disconnected),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101)와 연결이 다시 설정(establish)될 때까지 보정된 이미지를 큐 리스트(queue list)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한 이후에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에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동작 3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는 최신 이미지 처리 방식(예: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별도로 장착하거나 알고리즘을 수정할 필요 없이,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해 보정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400)(예: 도 1의 네트워크 환경(100))은 전자 장치(101)(예: 도 3의 전자 장치(101)) 및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30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및 외부 전자 장치(301)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장치를 포함하고, 외부 전자 장치(301)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별도의 도킹 장치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를 통해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는 외부 전자 장치(301)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통신 모듈(410)(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프로세서(4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2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 메모리(430)(예: 도 1의 메모리(130) 또는 도 2의 메모리(250)), 및 디스플레이(44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로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예: 도 2의 이미지 센서(230)),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예: 도 1의 입력 장치(150)), 및 외부 전자 장치(301)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이용되는 연결 단자(예: USB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410)은 외부 전자 장치(301)로 송신하는 신호 또는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모듈(410), 메모리(430), 및 디스플레이(440)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될(coupled)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피사체에 대한 로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픽셀(pixel)이 R/G1/G2/B 중 하나의 색으로 표현되고, 8 내지 16 비트(bit)-뎁스(depth)로 표현될 수 있는 로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CFA(color filter array) 패턴에 의하여 처리된 Baye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하나의 픽셀에서 세 가지 색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어 구조의 로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하나의 픽셀에서 서로 다른 시차 정보 또는 위상차 정보를 포함하는 DP(dual pixel) 구조의 로우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을 통해 둘 이상의 로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은 예를 들어 듀얼 센서(dual sensor)(예: RGB + RGB, RGB + 모노(mono), wide + tele)를 포함하거나, 어레이 센서(arra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속성 정보 중 이미지 파일 식별자(identifier, ID), 촬영 일자, 촬영 모드, 노출 모드, 사진 회전, 측광 모드, ISO 정보, 노출 시간, 조리개 값, 로우 이미지 형식, 이미지 크기(size), 최대 조리개 값, 초점 거리, 화이트 밸런스, 플래시 사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획득된 로우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로우 이미지를 처리(또는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로우 이미지의 렌즈 왜곡을 보상하거나, 노이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화이트 밸런스 조절, 컬러 조정, 색 필터 배열 보간, 샤프닝, 또는 이미지 개선(image enhancement)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로우 이미지의 데이터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다운 스케일링(down scaling), 다운 샘플링(down sampling), 또는 압축(compression)을 수행할 수 있다. 다운 스케일링 또는 다운 샘플링 된 로우 이미지는 스몰 로우 이미지(small raw image)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로우 이미지 또는 스몰 로우 이미지를 압축하고, 압축된 이미지를 통신 모듈(41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로우 이미지와 스몰 로우 이미지를 별도로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로우 이미지는 스몰 로우 이미지에 비하여 용량이 크므로, 프로세서(420)는 스몰 로우 이미지를 전송한 이후에 로우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갤러리를 통해 이미지의 썸네일을 표시하고, 표시된 썸네일 중에서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통신 모듈(410)을 통해,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와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difference image)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간 및 자원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프로세서(420)는 외부 전자 장치(301)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그대로 수신하지 않고, 디스플레이(440)의 크기에 맞추어 크기가 변경된 이미지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보정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보정된 이미지는 예를 들어, JPEG 형식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통신 모듈(41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하다면,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통신 모듈(410)을 통해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에 관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송하고,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이미지가 메모리(43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가 메모리(43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프로세서(420)는 통신 모듈(410)을 통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송함으로써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메모리(43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430)로부터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30)는, 프로세서(420)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30)는 로우 이미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와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460) 및 메모리(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301)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또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개체(entity)이거나, 별도의 개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6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로우 이미지 또는 스몰 로우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460)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460)는 인식 모듈(462), 전처리부(464), 인코더(466), 및 ISP(46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들에 의하여 분산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60)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60)에 포함된 ISP(468)의 버전은 프로세서(420)에 포함된 ISP의 버전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6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46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및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처리부(464)는 로우 이미지를 인식 모듈(462) 또는 ISP(468)로 전달하기 이전에 압축 해제, 화질 개선, 디모자이크(de-mosaic) 처리, 또는 이미지 형식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식 모듈(462)은 이미지(예: 로우 이미지 또는 스몰 로우 이미지)로부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인식 모듈(462)은 논리 모듈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460)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인식 모듈(462)은 예를 들어, 사물 인식, 얼굴 인식, 속도 벡터, 세그먼테이션, 장면 파싱(scene parsing)을 분석할 수 있다. 인식 모듈(462)은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레시피 정보(recipe inf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는 예를 들어, 세그먼트(segments), 레이어, 벡터, 또는 장면 카테고리(scene catego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모듈(462)을 레시피 정보를 ISP(468)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SP(468)는 인식 모듈(462)로부터 수신된 레시피 정보를 이용하여 로우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또는 이미지 보정)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SP(468)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P(468)는 레시피 정보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절, 컬러 조정, 색 필터 배열 보간, 샤프닝, 또는 이미지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SP(468)는 메모리(470)에 저장된 추가 정보(예: 특징 벡터(feature vector))를 이용하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정된 이미지는 예를 들어 YUV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SP(468)는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코더(466)는 이미지를 인코딩 함으로써 이미지 파일(예: JPEG, MPEG, 또는 360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은 사진, 동영상, 또는 동영상의 스틸 이미지에 대한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7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70)는 로우 이미지,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에 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동작들은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4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방법 500의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복수의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된 갤러리에서 썸네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속성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속성 정보를 전송할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interface, UI)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30) 공간이 미리 지정된 임계 값 미만이면, 프로세서(420)는 메모리 상태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하고, 속성 정보를 전송할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간 네트워크가 연결이 끊어지면, 프로세서(420)는 속성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네트워크 연결을 요청하는 UI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동작 505를 수행하지 않고 동작 51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전자 장치(101)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또는 이미지 센서)을 통해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한 이후에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적어도 일부 다른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ISP 버전과 외부 전자 장치(301)의 ISP 버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420)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되는 동안에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20)는 표시된 이미지가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되는 시각적 효과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은 외부 전자 장치(301)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46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자 장치(101)로부터 로우 이미지 또는 스몰 로우 이미지를 수신한 이후의 동작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방법 600의 동작 605에서, 프로세서(46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460)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적어도 일부 다른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60)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로우 이미지 또는 스몰 로우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60)는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60)는 인식 모듈(462)을 통해 로우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처리 함으로써 로우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 모듈(462)은 사물 인식 알고리즘, 텍스처 인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로우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460)는 ISP(468)을 통해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15에서, 프로세서(460)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보정된 이미지는 예를 들어, JPEG 형식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와 전자 장치(101) 간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진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1)는 보정된 이미지를 큐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60)가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한 이후에, 프로세서(460)는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메모리(47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a의 실시 예는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되는 이미지를 설명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동작 7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또는 세그먼트)으로 세그먼테이션 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세그먼테이션 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인식된 이미지 영역 별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들을 동시에 보정하거나, 순차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동작 725-1 내지 동작 725-n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보정된 세그먼트들의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세그먼트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하여 보정된 이미지가 합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합성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를 합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가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 701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참조 번호 702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배경 피사체(711)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이 보정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참조 번호 703은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배경 피사체(711)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 및 전경 피사체(713)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이 보정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배경 피사체(711)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이 보정된 이미지, 전경 피사체(712)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이 보정된 이미지, 및 전경 피사체(713)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이 보정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배경 피사체(711)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이 보정된 이미지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20)는 참조 번호 7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배경 피사체(711)가 보정되는 시각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전경 피사체(713)가 보정된 이미지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20)는 참조 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전경 피사체(713)가 보정되는 시각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들 간 차분(difference)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외부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460)가 제1 이미지 처리 방식 및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60)는 인식 모듈(462), 전처리부(464), 인코더(466), 또는 ISP(468)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이미지의 썸네일을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속성 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식별자, 프로세서 버전, 또는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은 적어도 일부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와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간 차분(difference)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82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보정된 이미지들 간 차분 이미지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301) 간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면, 네트워크 연결이 다시 설정될 때까지 차분 이미지를 큐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하여 차분 이미지를 전송한 이후에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 또는 차분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와 차분 이미지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보정하고,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301)가 복수의 이미지 처리 방식들을 지원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모두 수신할 필요 없이 차분 이미지만을 수신함으로써 최신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 내에서 이미지가 저장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이미지의 썸네일을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전자 장치(101)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915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915를 수행하지 않고 동작 92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전자 장치(101)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속성 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식별자 또는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전자 장치(101)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속성 정보는 전자 장치(101)가 지원하는 프로세서(420)의 종류 또는 버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2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수신된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이미지 파일 식별자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요청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파일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외부 전자 장치(301)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요청하는 이미지가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101)는 선택된 썸네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없음을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301) 간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지면, 네트워크 연결이 다시 설정될 때까지 보정된 이미지를 큐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한 이후에 보정된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동작 93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정된 이미지가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 영역 별로 이미지가 보정되는 효과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를 전자 장치(101) 내에 저장할 필요 없이,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통해 보정된 이미지를 외부 전자 장치(301)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101)의 저장 공간 확보 및 최신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는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처리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는 예를 들어, JPEG 형식의 이미지일 수 있다.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301)에게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파일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이전에 메시지를 전송할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01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301)가 지원하는 ISP의 종류 또는 버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가 지원하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외부 전자 장치(301)가 지원하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하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적어도 일부가 다르면, 전자 장치(101)는 최신의 이미지 처리 방식을 제공받기 위하여 동작 1025 내지 동작 1035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0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의 식별자,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 또는 전자 장치(101)가 지원하는 ISP의 종류(또는 버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할 수 있다.
동작 103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한 이후에 보정된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정된 이미지가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 영역 별로 이미지가 보정되는 효과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력 소모 또는 자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처리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보정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15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 및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처리 방식 및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적어도 일부 다르면, 전자 장치(101) 및 외부 전자 장치(301)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1120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하고, 동작 1125에서 전자 장치(101)에게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3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하면, 외부 전자 장치(301)는 동작 113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한지 여부를 플래그(flag) 데이터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동작 113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이 동일하면, 외부 전자 장치(301)로부터 중복된 이미지를 수신함으로써 저장 공간이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차분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이미지(1201)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이미지(1202)는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1)(또는 프로세서(460))는 제1 이미지(1201)와 제2 이미지(1202)간 차이를 이용하여 차분 이미지(1203)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제2 이미지(1202)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지 않고, 차분 이미지(1203)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또는 프로세서(420))는 수신된 차분 이미지(1203) 및 제1 이미지(1201)를 이용하여 제2 이미지(1202)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2 이미지(1202)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01)(예: 도 3의 전자 장치(101))는, 이미지 센서(1321)(예: 도 2의 이미지 센서(230) 또는 도 2의 카메라 모듈(180)), ISP(1323)(예: 도 4의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1325)(예: 도 4의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0)는, 인식 모듈(1331)(예: 도 4의 인식 모듈(462)), ISP(1333)(예: 도 4의 프로세서(460) 또는 ISP(468)) 및 저장소(1335)(예: 도 4의 메모리(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모듈(1331)은 논리 모듈일 수도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1300)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SP (1333) 또한 외부 전자 장치(1300)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1300)의 프로세서가 인식과 이미지 처리를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1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예: 도 4의 통신 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0)는 전자 장치(101)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21) 는, 외부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로우 이미지(1322)(원시 이미지, raw image)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21)는, 로우 이미지(1322)를 ISP(1323)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1321)는 스몰 로우 이미지(1321)를 생성하여 이를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센서(1321)가 아닌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가 스몰 로우 이미지(1321)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생성된 스몰 로우 이미지(1321)를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21)는, 로우 이미지(1322)를 압축된 상태로 상기 ISP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1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21)는, 로우 이미지(1322)의 일부 처리를 위해 압축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321)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0)의 인식 모듈(1331)은 통신 모듈을 통하여 스몰 로우 이미지(1321)를 획득할 수 있으며, 스몰 로우 이미지(132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을 세그먼테이션할 수 있다. 인식 모듈(1321)은 세그먼테이션 결과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영역 각각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 모듈(1321)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이미지 영역과 연관된 정보, 예를 들어 이미지 영역의 좌표 정보 또는 인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정 영역 정보(1332)가 생성될 수 있다. 보정 영역 정보(1332)는 전자 장치(101)로 송신될 수 있다. ISP(1323)는 보정 영역 정보(1332)를 이용하여 로우 이미지(1322)를 보정(예: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에 따른 이미지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1324)가 생성될 수 있다. 보정된 이미지(1324)는, 예를 들어 YUV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보정된 이미지(1324)는 메모리(1325)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보정된 이미지(1324)는 예를 들어 JPEG 방식에 따라 압축될 수 있으며, 압축된 이미지가 메모리(1325)에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321)로부터 제공되는 로우 이미지(1322)는 스몰 로우 이미지(1321)와 별도로 외부 전자 장치(1300)로 송신될 수 있다. 로우 이미지(1322)는, 스몰 로우 이미지(1321)에 비하여 용량이 크므로, 스몰 로우 이미지(1321)가 우선 외부 전자 장치(1300)로 송신되며, 이후 로우 이미지(1322)가 외부 전자 장치(130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P(1323)가 로우 이미지(1322)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동안에 로우 이미지(1322)가 외부 전자 장치(1300)로 송신될 수도 있다. 로우 이미지(1322)는, 이미지 센서(1321)에 의하여 생성된 그대로 외부 전자 장치(1300)로 업로드될 수도 있으며, 또는 렌즈 왜곡 보상 또는 노이즈 제거가 수행된 전처리 영상이 업로드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전처리는 외부 전자 장치(13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0)는, Demosaic 처리 또는 이미지 포맷 변형, 또는 영상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0)의 ISP(1333)는, 수신된 로우 이미지(1322)를 보정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300)는 기존에 생성하였던 보정 영역 정보(1332)를 이용하여 로우 이미지(1322)를 보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확장된 보정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로우 이미지(1322)를 보정할 수도 있다. 로우 이미지(1322)는, 스몰 로우 이미지(1321)에 비하여 해상도가 높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1300)의 ISP(1333)는 고해상도 이미지로부터 보다 상세한 확장된 보정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SP(1333)는, 기존에 생성된 보정 영역 정보와 로우 이미지(1322)를 함께 이용하여 확장된 보정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ISP(1333)는 확장된 보정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로우 이미지(1322)를 보정함으로써, 고해상도 이미지(high qualityimage)(1334)를 획득할 수 있다. 고해상도 이미지(1334)는 외부 전자 장치(1300)의 저장소(133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1)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통신 모듈(예: 도 4의 통신 모듈(410)),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30)),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메모리(430)), 및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의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3의 외부 전자 장치(301))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의 종류,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identifier), 또는 상기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종류,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결정하도록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된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제2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속성 정보와 상기 제2 속성 정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상기 제 2 이미지 처리 방식의 차이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속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difference image)를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차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다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정과 관련된 효과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이미지의 로우 이미지(raw image)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로우 이미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통신 모듈(예: 도 4의 통신 모듈(410)),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30)),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메모리(430)), 및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적어도 일부 다른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지 판단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이미지 보정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의 종류,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와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가 적어도 일부 다르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차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다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되는 효과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301))는, 메모리(예: 도 4의 메모리(470)), 및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6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하고,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은,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의 종류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를 생성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분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제2 속성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속성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의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의 종류,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identifier), 또는 상기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종류,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결정하도록 상기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된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제2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속성 정보와 상기 제2 속성 정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상기 제 2 이미지 처리 방식의 차이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속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difference image)를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차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다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정과 관련된 효과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상기 이미지의 로우 이미지(raw image)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로우 이미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이미지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적어도 일부 다른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지 판단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이미지 보정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의 종류,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와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가 적어도 일부 다르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차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다면,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되는 효과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외부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속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하고,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은,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의 종류에 기반하는, 외부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보정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세그먼테이션 된 이미지 영역 별로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외부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보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보정된 상기 이미지 간 차분 이미지를 생성하고, 및
    상기 전자 장치에게, 상기 차분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외부 전자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미지 처리 방식과 관련된 제2 속성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속성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외부 전자 장치.
KR1020180021611A 2018-02-23 2018-02-23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95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1A KR102495763B1 (ko) 2018-02-23 2018-02-23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201980014777.4A CN111788603A (zh) 2018-02-23 2019-02-14 用于以第二图像处理方案在外部电子设备中校正以第一图像处理方案校正的图像的电子设备和方法
EP19757633.3A EP3707671B1 (en) 2018-02-23 2019-02-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corrected in first image processing scheme i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second image processing scheme
US16/275,965 US11290641B2 (en) 2018-02-23 2019-02-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corrected in first image processing scheme i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second image processing scheme
PCT/KR2019/001840 WO2019164185A1 (en) 2018-02-23 2019-02-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corrected in first image processing scheme i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 second image processing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611A KR102495763B1 (ko) 2018-02-23 2018-02-23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534A true KR20190101534A (ko) 2019-09-02
KR102495763B1 KR102495763B1 (ko) 2023-02-06

Family

ID=6768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11A KR102495763B1 (ko) 2018-02-23 2018-02-23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90641B2 (ko)
EP (1) EP3707671B1 (ko)
KR (1) KR102495763B1 (ko)
CN (1) CN111788603A (ko)
WO (1) WO20191641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875A1 (ko) * 2019-12-20 2021-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9099B (zh) * 2019-08-30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电子设备及云服务器
JP7325281B2 (ja) * 2019-09-20 202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726516A (zh) * 2019-10-23 2020-09-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
JP7458806B2 (ja) * 2020-02-06 2024-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14845035B (zh) * 2021-01-30 2024-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布式拍摄方法,电子设备及介质
CN113051154A (zh) * 2021-03-02 2021-06-29 长沙景嘉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显卡绘制功能的正确性验证方法及相应装置
CN115460443A (zh) * 2021-06-09 2022-12-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图像采集设备、视频数据处理及显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5001A (ja) * 2006-02-10 2007-08-2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US20080158612A1 (en) * 2006-11-29 2008-07-03 Masajiro Iwasaki Data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20150161755A1 (en) * 2013-12-11 2015-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US20170078562A1 (en) * 2014-05-05 2017-03-1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evice with a camera and a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4865B2 (en) * 2010-09-28 2013-01-29 Microsoft Corporation Data simulation using host data storage chain
JP6136086B2 (ja) * 2011-12-28 2017-05-3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WO2016013885A1 (en) * 2014-07-25 2016-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triev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678843B2 (en) * 2015-01-06 2020-06-09 Maxell, Ltd.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CN104932659B (zh) 2015-07-15 2020-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显示系统
KR20170097980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컨텐트 그룹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664240B2 (ja) 2016-03-09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並びに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169894B2 (en) * 2016-10-06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building images based on historical image data
KR20180051202A (ko) * 2016-11-08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87043B1 (ko) 2017-05-22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5001A (ja) * 2006-02-10 2007-08-23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US20080158612A1 (en) * 2006-11-29 2008-07-03 Masajiro Iwasaki Data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gistra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20150161755A1 (en) * 2013-12-11 2015-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image processing
US20170078562A1 (en) * 2014-05-05 2017-03-1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evice with a camera and a 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875A1 (ko) * 2019-12-20 2021-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7671A1 (en) 2020-09-16
WO2019164185A1 (en) 2019-08-29
US11290641B2 (en) 2022-03-29
US20190268536A1 (en) 2019-08-29
EP3707671A4 (en) 2020-12-09
KR102495763B1 (ko) 2023-02-06
CN111788603A (zh) 2020-10-16
EP3707671B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763B1 (ko) 제1 이미지 처리 방식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제2 이미지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서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85360B1 (ko)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95753B1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원시 이미지를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516482B2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compress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0885609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 based on priorit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2397924B1 (ko) 이미지 보정 방식 및 이미지의 특징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92631A (ko) 슬로 모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30264B1 (ko)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082612B2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thereof
KR102609734B1 (ko) 전자 장치 및 이미지의 전송 상태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보정하는 방법
US11308593B2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composite image and method thereof
US10970587B2 (en) Electronic device for notifying of update of image signal process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330227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mpressing image acquired by using camera,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124045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data associated with control of image capture, on basis of size of image data and size of data associated with control of image captur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102608127B1 (ko)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477443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image compression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553150B1 (ko) 외부 전자 장치와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2365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ompressing image on basis of attributes of imag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