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304A -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304A
KR20190101304A KR1020190021033A KR20190021033A KR20190101304A KR 20190101304 A KR20190101304 A KR 20190101304A KR 1020190021033 A KR1020190021033 A KR 1020190021033A KR 20190021033 A KR20190021033 A KR 20190021033A KR 20190101304 A KR20190101304 A KR 2019010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ed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parameter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336B1 (ko
Inventor
황현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110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866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110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8666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3576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866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637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867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63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58671A/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10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04W74/0891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for synchroniz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2069
    • H04L61/20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69Address allocation for group communication, multicast communication or broadcas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92Address allocation by self-assignment, e.g. picking addresses at random and testing if they are already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들이 통제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무선 분산 시스템에는 분산 단말들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없기 때문에, 각 분산 단말들은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로부터 제어되어야 한다.

Description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erminals in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동기식 TDMA(synchronous TDMA) 채널들로 동작하는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참고 문헌 1(출원번호 10-2017-0026778, 접수번호 1-1-2017-0207822-47 동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충돌 회피 방법), 참고 문헌 2(출원번호 10-2015-0187458, 접수번호 1-1-2015-1275581-10, 특정 응용 메시지 채널에서 에스오티디엠에이를 위한 슬롯 제어와 자동 재전송 요구 방법) 및 참고 문헌 3(출원번호 10-2018-0014682, 접수번호 1-1-2018-0131792-95, 동기식 TDMA 시스템에서 복수 채널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기초하여 새로운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단말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널리 상용화된 대표적인 상품이 없는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무선 통신 환경에서의 충돌 제어는 스케쥴링과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스케쥴링은 주로 이동통신 기지국이 단말에게 자원을 충돌 없이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CSMA/CA 는 WIFI 같은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며, 여러 STA 가 AP 와 통신하기 위한 경쟁을 벌일 때 사용된다. 두 방식 모두 중앙 제어국이 있는 통신 환경이다.
반면, 무선 분산 통신 환경에서는 대규모 연결을 위한 효율적인 충돌 회피 방법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대규모 고정 단말이 아닌 대규모 이동 단말을 대상으로 한 통신 환경에서의 충돌 회피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대규모 연결이 필요한 무선 분산 시스템은 충돌 회피가 가능해야만 상용화 될 수 있다. 무선 분산 시스템에서는 제어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국에 의한 스케줄링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CSMA/CA 는 비동기 방식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동기 방식에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CSMA/CA 를 사용하는 WIFI 는 50명 이상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통상적으로 WIFI의 AP 는 사무실에서 20~25 명 정도를 예상해서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천, 수만 명의 대규모 연결이 필요한 동기된 무선 분산 통신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업적 무선 분산 통신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기 위하여, 무선 분산 단말들이 통신 파라미터들을 상황에 맞게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이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분산 단말이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방법은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분산 단말들이 내장하는 단계, 분산 단말들이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분산 단말이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분산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분산 단말은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송신부와 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분산 단말들이 내장하고, 분산 단말들이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및 분산 단말이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사항들은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 및 분산 단말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지 않는 경우, 분산 단말의 기능과 서비스가 제한 또는 중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경우, 미리 정한 기간 동안에 미리 정한 회수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경우, 분산 단말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분산 단말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황임을 판단하고, 분산 단말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분산 단말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및 정보는 무선 분산 통신 채널의 종류와 개수, 각 채널들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매핑된 경쟁 대행 채널 주파수, 예약된 지정 슬롯 정보, 예약된 고정 슬롯 정보, 우선권 설정 슬롯 정보, 슈퍼 프레임 정보, 슬롯 그룹 정보, 변조 오더, 기본 송신 파워, 최대 송신 파워, 암호화 유무 정보, 암호와 방식, 비밀번호 유무, 비밀번호 방식, 위치 특성에 따른 파라미터 값들, 기본 언어 정보, 스마트 폰에서 허용되는 이동 통신 사업자들 정보, 각 서비스에 쓰이는 채널 정보, 최소 서비스 할당 슬롯 수, 최대 서비스 할당 슬롯 수 중의 하나나 그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이 내장하고 있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경우, 분산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내장할 때, 분산 단말의 단말 유형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과 함께 다른 분산 단말 유형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함께 내장하는 단계 및 분산 단말이 내장한 다른 단말 유형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이용하여 분산 단말의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경우, 분산 모뎀을 내장한 이동 통합 단말이 다른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동 통합 단말이 다운로드한 파일을 제공받는 분산 단말을 무선 분산 통신을 통하여 감지하고, 다운로드 받은 내장 파일을 감지한 분산 단말에게 무선 분산 통신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경우, 분산 고정 단말이 이동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동 분산 단말이 분산 통신의 슬롯을 경쟁을 통하여 할당하고, 할당한 슬롯에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 요청을 주변 고정 단말들에게 송신하고, 요청을 수신한 고정 분산 단말들이 요청을 받은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업데이트 요청 단말이 할당한 슬롯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수행하고, 경쟁에서 승리한 고정 분산 단말이 업데이트 요청 단말이 할당한 슬롯으로 응답을 보내고,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요청 단말에게 응답 고정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경우, 분산 고정 단말이 이동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이동 분산 단말이 분산 통신의 슬롯을 경쟁을 통하여 할당하고, 할당한 슬롯에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 요청을 주변 고정 단말들에게 송신하고, 요청을 수신한 고정 분산 단말들이 서로 통신하여 응답을 보낼 단말을 결정하고, 결정된 응답 고정 분산 단말이 요청을 받은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업데이트 요청 단말이 할당한 슬롯에서 응답을 보내고,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요청 단말에게 응답 고정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경우, 통신 제어 파라미터들을 국가 또는 지역에 공통 파라미터들과 변동 파라미터들로 나누고, 국가 또는 지역을 분할하고, 공통 파라미터들에 대한 파일을 하나 생성하고, 변동 파라미터들에 대한 파일은 각각의 분할 지역마다 각각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경우, 기준 우선 순위 보다 낮은 우선 순위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고, 분산 단말의 파라미터 파일에 있는 파라미터로 기준 순위보다 낮은 우선 순위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된 동일한 항목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사용하고, 기준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의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우선 순위보다 낮은 우선 순위의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는 기준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의 상기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기준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의 파라미터 파일은 특정 지역의 계약 파라미터들을 포함한 계약 파라미터 파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경우,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고,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고, 통제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의 본래의 값들과 더 적은 비트 수를 이용하여 파라미터 값에 매핑된 값들이 기록된 변환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고,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매핑된 값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고,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고,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경우, 위치 특성을 반영하는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각 위치 유형마다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고, 위치 유형이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특성을 반영하는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위치 유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경우, 분산 단말이 분산 단말의 위치 유형을 도시, 교외(suburban), 시골, 해안가, 바다, 산, 숲 및 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경우,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고,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경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고, 통신 서비스에 종류에 따라 변동되는 통신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서비스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들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기반으로 통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다른 복수 개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내장하고, 통제된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분산 모뎀에 로딩하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를 로딩할 때,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상기 로딩하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를 로딩하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로 교체하고,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로딩하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지 않은 경우,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를 교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산 단말들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기반으로 통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다른 복수 개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내장하고, 통제된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로부터 분산 모뎀에 실제로 필요한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고, 구성한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분산 모뎀에 로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제된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로부터 분산 모뎀에 실제로 필요한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는 경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고,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각각의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파라미터를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로 교체하고,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각각의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지 않은 경우,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파라미터를 교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들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산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채널과 슬롯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신호등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변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유효 날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복수 개의 고정 방송 슬롯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고정 분산 단말이 이동 분산 단말을 통해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고정 분산 단말이 이동 분산 단말을 통해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분산 단말이 고정 분산 단말을 통해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고정 분산 단말들이 경쟁을 통해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이동 분산 단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고정 분산 단말들이 유선 통신 협상을 통해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이동 분산 단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무선 분산 단말을 위한 복수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복수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로부터 분산 모뎀이 사용하는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존의 CSMA/CA는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만 사용될 수 있었다. 이때, 본 발명의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는 CSMA/CA를 동기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경쟁 대행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주 채널과 부 채널이 하나의 쌍을 이룰 수 있다. 본래의 데이터 채널은 수 MHz 단위의 광대역의 밴드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주 통신 밴드는 그대로 데이터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쟁을 하는 채널은 협대역의 신호를 사용한다. 협대역의 신호로서 주파수 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파수 톤은 수 kHz 에서 수십 kHz 의 밴드폭을 가지기 때문에, 광대역 대역폭의 1/100 이하의 대역폭을 가진다. 일 예로, 10kHz 의 톤 채널과 990kHz의 데이터 채널로 1MHz 대역이 구성된다면, 충돌이 없다는 가정하에서 최대 데이터 채널 사용률은 99%가 된다. 이는 같은 밴드에서 CSMA/CA를 사용할 경우, 최대 채널 사용률이 50% 인 것에 비하여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부 채널은 주 채널과 바로 인접하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부 채널은 주 채널과 떨어진 상태로 할당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e.g 수천 또는 수만)의 단말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복수의 단말들이 경쟁을 수행하는 채널을 데이터 전송 채널과 다르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서, 주파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사용할 슬롯의 앞 슬롯에서 단말들은 사전에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A가 주 채널의 s번 슬롯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단말 A는 경쟁 대행 채널인 s-1번 슬롯에서 미리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 A는 경쟁 대행 채널의 슬롯 내의 부슬롯 번호를 N 이라고 하면, 선택된 부슬롯의 이전 부슬롯까지 캐리어 센싱(carrier sen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수행 결과 검출된 신호가 없으면, 선택한 부슬롯부터 마지막 부슬롯까지 경쟁 톤 신호를 전송하고, 주 채널의 슬롯 s번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때, 일 예로, 단말 A가 수행 결과 검출된 신호가 있는 경우, 단말 A는 경쟁(contention)에서 진 것으로 결정하고, 톤 채널과 주(main) 채널에서 아무런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부슬롯 할당은 하나의 일 실시예일뿐, 특정 숫자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장 낮은 수의 부슬롯을 할당받은 단말은 캐리어 센싱 이후에 경쟁 신호를 전송하고, 주 채널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러한 경쟁 대행 채널의 신호는 주파수 톤 신호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주파수 밴드를 가장 적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하기부터는 경쟁 신호를 톤 신호로 가정하여 지칭한다. 다만, 경쟁 신호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경쟁을 통해, 동일한 슬롯을 선택한 단말들은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상황에서는 500개 중에서 같은 슬롯을 선택한 단말들이 다시 충돌을 피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슬롯 클리어링이라 함은 단말이 슬롯 s 를 지속적으로 충돌 없이 사용하기 위하여, 경쟁 대행 채널의 이전 슬롯 s-1 에서 부슬롯 0번부터 경쟁 신호를 송신하여 주변 단말들이 해당 슬롯 s를 사용하려는 시도를 막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전제로 관련 내용을 서술한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 및 참고 문헌 1 내지 3에 기초하여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일 예로, 분산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 통신의 통제를 위한 제어국이 없이 단말들이 스스로 상황에 맞게 동작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따라서, 분산 통신 시스템의 분산 단말들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들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존 통신 시스템의 통신 파라미터들은 대부분 하드웨어를 구현하는 방법일 수 있다. 즉, 기존 통신 시스템의 파라미터들은 고정적일 수 있다. 일 예로, 동적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동적으로 통신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방법은 방송을 통하여 해당 통신 파라미터를 어떤 것으로 사용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예로, AIS 단말은 자신의 주파수 채널을 DSC 채널 정보를 우선 수신한 후에 결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처럼 동작 파라미터 변경이 가능할 수 있으나, 동적으로 통신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방법은 주파수 채널을 변경 정도의 매우 제한된 경우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적으로 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고정된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파라미터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기존의 통신 파라미터 변경이라는 함은 주파수, 송신 파워 또는 지정 슬롯 정보 정도의 제한된 통신 파라미터를 국가마다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마다 다른 파라미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국가에서 변경하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기존 통신 시스템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무선 분산 통신은 통신 자원의 충돌 경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통신 자원의 충돌에 의하여 무선 데이터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업적 서비스 역시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 및 참고 문헌 1 내지 3에 기초하여 충돌을 감지하고 데이터 안정성이 확보된 환경과, 이 환경에서 다양한 상업적 서비스가 가능한 상황에서 서비스 제공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서비스들을 위해서는 서비스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통신 파라미터가 수정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들과 그렇지 않은 단말들은 통신 파라미터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들은 각자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파라미터를 셋팅하고, 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는 다수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면 경쟁을 수행하는 채널과,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은 다른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별개의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두 채널의 주파수와 매핑 관계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슬롯 클리어링, ACK 클리어링 기법 및 우선권 설정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참고 문헌 3에 기술된 슬롯 구성과 채널 구성들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도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롯 구성은 방송 슬롯과 사용 슬롯이 있고, 채널 구성은 방송 채널, 사용 채널, 혼합 채널이 있다. 방송 슬롯은 지정 방송 슬롯, 고정 방송 슬롯, 일반 방송 슬롯으로 나뉘고, 사용 슬롯도 지정 사용 슬롯, 고정 사용 슬롯, 일반 사용 슬롯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방송 슬롯들로 구성된 채널이며, 사용 채널은 사용 슬롯들로 구성된 채널이며, 혼합 채널은 방송 슬롯과 사용 슬롯이 혼합된 채널이다. 이때, 상술한 슬롯들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상술한 파라미터는 기존 통신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슬롯들과 채널들이 조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산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의 통신 파라미터를 사전에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단말은 고정적인 규칙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즉, 기존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다. 일 예로,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서비스들을 무리없이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통신 파라미터가 수시로 변경될 필요성이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들의 제어를 위한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을 서술한다.
한편, 상술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동기식 TDMA를 사용하는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동기식 TDMA 에서의 통신 자원은 슬롯이다. 일 예로, 하나의 프레임은 1초이고, 1초에 500개의 슬롯 자원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들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분산 시스템에는 분산 단말들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없기 때문에, 각 분산 단말들은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로부터 제어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통신 파라미터는 국가 또는 지역마다 다를 수 있고, 계약 또는 용도에 따라서도 다른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통신 파라미터는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통신 파라미터는 다른 요소에 의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무선 분산 시스템의 파라미터는 매우 유동적이기 때문에 통제된 동작을 위해서는 단말이 주기적으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분산 단말은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분산 단말들은 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매개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단말 중 분산 도로 유닛은 중앙 제어국을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의 업데이트를 쉽게 도와줄 수 있다. 이때, 차량들은 자신의 정보를 암호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참고 문헌 4(출원번호 10-2018-0021102, 접수번호 1-1-2018-0187213-27,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주소를 설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기술되는 공개 신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은 크기가 매우 클 수 있다. 왜냐하면, 포함되는 파라미터가 매우 많고 구성될 수 있는 방법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파일에는 우선 순위가 있어서 활성 파라미터 세트는 우선 순위가 높은 파일이 덮어 쓰는 구조로 관리될 수 있다.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은 기본 파라미터 파일과, 위치의 유형에 따른 위치 유형 파라미터 파일, 계약에 따른 계약 파라미터 파일, 서비스의 특성에 따른 서비스 파라미터 파일, 해당 위치를 분할 지역으로 매핑시키고 관련 파라미터를 기록한 분할 지역 파라미터 파일 및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파라미터 변환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또한,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슬롯 자원 할당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 및 참고 문헌 1에 기초하여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기술들과는 달리 충돌 경쟁을 통하여 슬롯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들 간에 발생하는 충돌에 대한 충돌 확률이 극히 낮아서 수천, 수만 개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WIFI 시스템에서는 50 개의 단말이 동시에 자원 할당을 시도할 때의 자원 충돌 확률은 약 20% 정도일 수 있다. 반면, 상술한 바에 기초하면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50,000 개의 단말이 동시에 자원 할당을 시도해도 그 충돌 확률은 약 2% 정도로 낮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은 채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동기식 TDMA 분산 통신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들이 경쟁을 통해서 슬롯을 할당하는 것은 상술한 경쟁 대행 채널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참고 문헌 1에서 기술된 슬롯 클리어링, ACK 클리어링 기법 및 우선권 설정에 대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도 1을 참조하면, 슬롯 구성은 방송 슬롯과 사용 슬롯이 존재할 수 있고, 채널 구성은 방송 채널, 사용 채널 및 혼합 채널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슬롯은 지정 방송 슬롯, 고정 방송 슬롯 및 일반 방송 슬롯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사용 슬롯도 지정 사용 슬롯, 고정 사용 슬롯 및 일반 사용 슬롯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방송 채널은 방송 슬롯들로 구성된 채널이며, 사용 채널은 사용 슬롯들로 구성된 채널일 수 있다. 또한, 혼합 채널은 방송 슬롯과 사용 슬롯이 혼합된 채널이다.
또한,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을 위한 분산 모뎀은 신호의 변조와 복조에 사용되는 모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기에서 단말은 분산 모뎀을 장착한 분산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분산 모뎀이 장착되면 이것을 ‘스마트 디비아스 분산 단말’ 혹은 ‘통합 단말’ 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에 대해서 다른 명칭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1초이고, 500개의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나의 슬롯은 56개의 부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기의 슬롯 할당 방법은 상술한 참고 문헌 2를 고려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단말이 하나의 슬롯을 할당하여 제 2 단말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제 2 단말도 제 1 단말이 할당한 해당 슬롯을 이용하여 응답을 보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나, 다른 여러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조의 분산 통신 시스템도 가능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 단말들을 통제하는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지국을 대체할 만한 통제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분산 통신은 통신 거리가 제한된 지역 통신이기 때문에 지역마다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통신 파라미터가 필요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각각의 서비스마다 통신 파라미터가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분산 단말들은 각각의 동작을 위해 통신 파라미터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은 주기적 또는 지정된 기간 내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 단말에 내장된 파라미터를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라고 지칭한다. 다만, 이는 설명이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파라미터에 대해서 다른 명칭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일 예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이 업데이트되지 않는 경우,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일 예로, 도 2(a)를 참조하면, 방송 채널의 슬롯 번호 0 에서 신호등 정보 서비스를 새롭게 제공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새롭게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신호등 서비스는 특정 시점부터 새롭게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제공되지 않다가 새롭게 적용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또는 무선 분산 통신 운영 시스템)은 방송 채널의 슬롯 0 번에서 신호등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정보를 통신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새로운 서비스를 고려하여 필요한 정보를 위한 파라미터를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의 모든 무선 분산 단말은 새로운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주기적 또는 지정된 시간 내에 업데이트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업데이트는 상술한 특정 시점 전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 D가 상술한 특정 시점까지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지 않은 경우, 단말 D는 슬롯 0번이 신호등 서비스로 지정 할당되었음을 확인할 수 없다. 즉, 단말 D는 0번 슬롯을 다른 용도를 위해 할당할 수 있다. 반면, 0번 슬롯을 할당한 단말 D의 주변에 있는 다른 분산 단말들인 단말 A, 단말 B 및 단말 C는 슬롯 0번을 신호등 서비스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단말 D 가 슬롯 0 에서 전송하는 신호가 간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말 A, 단말 B 및 단말 C는 신호등 정보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산 단말들이 차량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사람들의 안전에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통신 파라미터에 대해 주기적 또는 일정 시간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은 분산 통신의 지역, 서비스 또는 단말 종류에 따라 다른 파라미터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지역은 방송 채널 ‘0’ 번에서 신호등 정보를 방송하지만, 도 2(b)와 같이 제 2 지역은 ‘1’ 번에서 신호등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c)와 같이 제 3지역은 ‘2’ 번에서 신호등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파라미터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지역에서 신호등 신호의 송신 파워는 25 dBm로 설정되고, 제 2 지역에서 신호등 신호의 송신 파워는 28dBm로 설정되고, 제 3 지역에서 신호등 신호의 송신 파워는 30dBm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지역 내에서 특정 지역에 대해서 신호등 송신 파워가 26dBm로 설정되고, 다른 지역에서는 29dBm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지역 내에서도 특정 영역별로 다른 값들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파라미터 역시 각각의 지역 또는 해당 지역의 특정 영역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통신 파라미터는 해당 분산 단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분산 단말이 차량인 경우(즉, 분산 모뎀이 차에 설치된 경우)의 통신 파라미터는 분산 단말이 스마트 디바이스인 경우(즉, 분산 모뎀이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경우)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분산 단말이 고정된 위치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경우 또는 고정된 위치로서 가전에 설치된 경우에 통신 파라미터는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분산 단말은 같은 통신 방식을 사용하지만 설치되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파라미터의 개수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나 운영자에 의해 통신 파라미터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분산 통신 사업자와 상업적 회사가 맺은 계약에 의해서도 통신 파라미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경우에서 분산 단말이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에서 파라미터 값을 받더라도 이를 수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산 단말의 최대 송신 파워보다 높은 송신 파워를 지시하는 통신 파라미터에 의해 송신 파워가 지시될 수 없다. 즉, 일정한 경우에 분산 단말에 통신 파라미터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분산 단말은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동 분산 단말은 자신이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확인하고, 자신의 단말 유형 및 서비스 유형 등을 고려해서 사용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해야 한다.
또 다른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의 분산 단말은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 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분산 단말이 홈 가전과 같이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분산 단말은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가전의 경우, 특별한 서비스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바, 가전에 분산 모뎀이 장착되는 경우처럼 특정 분산 단말에 대해서는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경우, 분산 단말은 주기적으로 통신망을 통해 업데이트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관련 분산 통신 사업자는 분산 단말의 주기적 업데이트를 고려하여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주기적으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분산 단말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분산 단말은 복수 개의 기능과 서비스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분산 단말의 기능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신호등 서비스처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분산 단말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는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분산 단말의 업데이트는 서비스 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동작일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분산 단말의 업데이트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비스 또는 기능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경우, 분산 단말은 기설정된 기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는 단말은 의무 업데이트 단말일 수 있다. 즉, 의무 업데이트 단말들은 자신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의무 업데이트 단말들은 업데이트된 파라미터에 대한 사용 기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분산 단말은 업데이트 후에 파라미터 유효 기간 또는 사용 기간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4(a)에서 7월 15일에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를 수행한 경우, 분산 단말은 업데이트된 통신 파라미터에 대해 8월 15일까지 사용 기간을 부여 받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4(b)처럼 한달에 한번 업데이트를 하는 조건이라면, 8월 31일까지 사용 기간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즉, 의무 업데이트 단말들에는 업데이트된 파라미터에 대한 사용 가능 시기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 가능 시기는 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연별로 정해진 회수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 분산 단말이 매월에 업데이트를 한 번 수행하거나 혹은 분기마다 업데이트를 한 번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해당 사용 기간이 도과되는 경우, 분산 단말의 여러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분산 단말의 모든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처럼 주변 단말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서비스가 제공되려면, 모든 분산 단말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반드시 업데이트 되어야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주도 관광지인 에코랜드와 분산 통신 사업자가 서비스 계약을 맺고, 에코랜드 지역에 대하여 2018년 9월부터 고정 방송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의 방송 슬롯 500개 중에서 고정으로 할당 받은 슬롯 번호는 100번에서 299번까지의 200개 슬롯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사업자는 업데이트 서버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정하여, 2018년 9월부터 에코랜드 지역에서 모든 이동 분산 단말의 100번에서 299번까지의 방송 슬롯 송신을 금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이동 단말들은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를 매월 한번 수행해야 한다고 가정하면 사업자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수정을 7월 말까지 수행해야 9월이 시작되기 전까지 모든 이동 단말들이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만약, 위의 예에서 어떤 이동 단말이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한달 이내에 업데이트 하지 않았다면, 해당 단말기의 에코랜드에서 모든 방송 슬롯의 송신이 금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해당 단말은 국내의 모든 지역에서 방송 슬롯의 송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의무 업데이트 단말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다른 단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주기적으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 하는 동작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매우 번거로운 일일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산 모뎀이 스마트 디바이스에 장착된 경우에는 비교적 쉽게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파이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로 잠을 자는 이른 아침이나 늦은 밤 시간에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오랫동안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분산 단말이 통신망에 연결될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 하는 것은 자동으로 수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설치된 분산 단말이나 가게에 고정 설치된 분산 단말의 경우, 분산 단말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업데이트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분산 단말의 지역적 제한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동작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해외 여행시 스마트 디바이스로서 분산 단말 역시 해당 국가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망에 직접 연결이 어려운 분산 단말에 대해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산 단말 중 스마트 디바이스처럼 통신망 연결이 가능한 분산 단말이 통신망에 직접 연결이 어려운 분산 단말을 대신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이를 전달하여 업데이트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연결 수단을 가진 분산 단말이 업데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아닌 다른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후, 분산 단말은 다운로드 받은 다른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해당 분산 단말에게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른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단말이 업데이트 요청 단말과 분산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음이 감지되어야 한다. 이때, 분산 통신에서는 여러 가지 수단으로 이러한 감지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업데이트 요청 단말의 존재가 무선 분산 통신으로 감지된 경우, 업데이트 제공 단말은 무선 분산 통신을 통하여 업데이트 요청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고려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통합 단말은 사전에 해당 업데이트 요청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해당 단말의 대리 업데이트를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분산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업데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고정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S610) 그 후, 이동 분산 단말은 업데이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고정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S620) 그 후, 이동 분산 단말이 해당 고정 단말을 무선 분산 통신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분산 통신의 감지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이동 분산 단말이 고정 분산 단말을 감지하면(S630) 고정 분산 단말에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S640) 이때, 고정 분산 단말은 이동 분산 단말이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분산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이동 분산 단말이 고정 분산 단말을 감지할 때, 사전에 다운로드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 분산 단말은 통신망으로 업데이트 서버에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분산 단말이 해당 고정 단말을 무선 분산 통신을 통해 먼저 감지할 수 있다. (S710) 이때, 이동 분산 단말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수신한 고정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 분산 단말은 고정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S720) 그 후, 이동 분산 단말은 업데이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내장 파라미터 파일을 이동 분산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S730) 그 후, 이동 분산 단말이 해당 고정 단말에게 무선으로 대신 다운로드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S740) 즉, 이동 분산 단말이 고정 단말을 먼저 감지하지만 고정 단말에 대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없기 때문에 이동 분산 단말이 인터넷을 통해 즉시 업데이트 서버에서 고정 단말용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에 이를 고정 단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에 설치된 분산 단말은 고정 단말로서 차량 주인의 스마트 디바이스 분산 단말로부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차량에 설치된 분산 단말은 스마트 단말과 분산 통신을 통해 분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해외 여행의 경우에는 스마트 디바이스 분산 단말이라 하더라도 인터넷에 연결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는 전화 기능만 로밍되고, 해외 데이터 로밍은 금지하여 설정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전에 여행하는 지역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동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수동으로 통신 파라미터를 다운 받는 동작은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 분산 단말이 자동으로 해당 지역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황은 하나의 예시일 뿐, 다른 지역적 제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스마트 디바이스 분산 단말은 지역적 제한에 의해 통신망이 제한됨을 고려하여 사전에 통신 파라미터 정보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분산 단말은 인터넷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이동 단말용 통신 파라미터 파일과 고정 단말용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단말은 이동 분산 단말로부터 자신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하여 업데이트 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고정 단말은 수신한 이동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다른 이동 단말로 다시 전달할 수 있다. 즉, 고정 단말은 다른 이동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전달을 중계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고정 분산 단말은 직접 업데이트 서버와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분산 단말은 스스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획득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복수의 고정 분산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고정 분산 단말들은 통신망을 통해 이동 분산 단말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분산 단말은 고정 분산 단말로부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분산 단말은 고정 분산 단말로부터 분산 통신을 통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분산 단말은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하기 위해 슬롯을 할당하여 내장 통신 파라미터 업데이트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고정 분산 단말은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을 수신한 다음 프레임에서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슬롯 점유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분산 단말이 경쟁을 통해 슬롯을 할당받고, 할당된 슬롯을 통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분산 단말들이 이동 단말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S910) 이때, 고정 분산 단말은 업데이트 서버로부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S920) 그 후, 고정 분산 단말은 이동 분산 단말로부터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930) 이때, 고정 분산 단말은 상술한 요청을 수신한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요청이 수신된 슬롯에 대한 할당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S940) 즉, 고정 분산 단말은 응답을 전송하기 위해 슬롯을 할당받을 필요성이 있는바,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고정 분산 단말이 경쟁을 통해 슬롯을 할당 받은 경우, 고정 분산 단말은 해당 이동 단말에게 무선으로 업데이트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S950)
또한, 일 예로, 고정 분산 단말들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분산 단말들은 상술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어떤 단말이 수행할 지를 유선 통신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고정 분산 단말들은 슬롯 점유를 위한 경쟁을 수행할 필요없이 유선 통신으로 결정된 고정 분산 단말을 통해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분산 단말들은 상호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분산 단말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고정 분산 단말은 업데이트 요청 단말이 할당한 슬롯으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분산 단말들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고정 분산 단말들 중 업데이트 파일을 제공할 고정 분산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이동 분산 단말은 결정된 고정 분산 단말로부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분산 단말들이 이동 단말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업데이트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S1010) 그 후, 고정 분산 단말(또는 고정 분산 단말들)은 업데이트 서버로부터 수신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S1020) 이때, 고정 분산 단말은 이동 분산 단말로부터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1030)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분산 단말들이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고정 분산 단말들은 업데이트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제공할 하나의 고정 분산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S1040) 즉, 별도의 슬롯 할당을 위한 경쟁없이 유선 통신을 통해 결정된 고정 분산 단말이 이동 분산 단말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S1050)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는 wifi direct 또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분산 통신 수단을 통해서도 전달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차량에 설치된 분산 단말의 경우, 분산 도로 유닛에 (RSU: road side unit)에 의해서도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로에 설치된 분산 단말인 RSU는 자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국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중앙 제어국은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제어국은 차량이 사용하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도로의 RSU 에게 전달할 수 있고, 도로의 RSU는 차량의 요청에 의해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분산 통신을 통해 차량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차량에서 사용되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유형은 복수 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분산 단말은 교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차량 통신용 파라미터 파일 뿐만이 아니라, 일반 스마트 디바이스 분산 단말이나 가게의 분산 단말과의 무선 분산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별도로 필요할 수 있다. 즉, 차량 통신용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은 교통 시스템과 차의 운행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파라미터 파일은 차량과 스마트 디바이스가 통신을 수행하거나 차량과 가게의 고정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분산 단말은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설정을 이용하여 가게의 정보를 받아보고 주문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분산 단말에 복수 개의 통신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을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에 기초하여 다른 분산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분산 도로 유닛은 차량용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량용 통신 파라미터 파일은 업데이트 주기도 길고, 파일 크기도 작을 수 있는바, 분산 도로 유닛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분산 도로 유닛은 차량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뿐만 아니라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분산 도로 유닛(또는 RSU)는 분산 단말로서 차량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분산 단말에는 복수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가 분산 단말인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는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통신 파라미터가 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로서 분산 단말은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이 100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하나의 지역(e.g. 하나의 국가 (nation) 또는 하나의 지방 (province))을 10,000개의 지역으로 분할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통신 제어 파라미터 하나가 2 비트인 경우, 전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크기는 2M bits(= 2*100*10000)일 수 있다. 이때,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복수 개의 파라미터를 구별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거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파라미터에 관한 파일 및 변동이 심한 파라미터로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100개의 파라미터 중에서 60개의 파라미터가 해당 지역에서 거의 업데이트되지 않는 고정 값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즉, 이벤트 트리거에 기초하여 상술한 파라미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반면, 나머지 파라미터(e.g. 40개) 파일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파라미터 중 일부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이벤트 트리거링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고, 일부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예에서 40개 파라미터를 가지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크기는 0.8 M bits(= 2*40*10000)일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파라미터를 고려하는 경우에 있어서 파라미터를 구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a를 참조하면 파라미터 파일을 고정 파라미터 및 변동 파라미터(또는 지역 파라미터)로 구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라미터를 고정 파라미터와 각각의 지역별로 구별되는 변동 파라미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파라미터 변경을 허용하고 파일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b를 참조하면, 동일한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파일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가 높은 파일에 있는 파라미터 값이 실제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은 단말(또는 유저)의 위치 또는 단말(또는 유저)가 사용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파라미터가 포함된 기본 파일이 존재하고 우선순위는 ‘0’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와 관련된 파일, 도시 외각과 관련된 파일, 시골과 관련된 파일, 산과 관련된 파일, 바닷가와 관련된 파일, 바다와 관련된 파일이 존재하고 이들의 우선순위가 ‘1’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유저의 위치 또는 서비스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파일이 존재하고, 각각의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또는 유저)의 위치 속성이 도시인 경우, 기본 파일의 파라미터 중에서 도시 파일에 존재하는 파라미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와 관련된 파일에 있는 파라미터가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기본 파일에서 송신 파워가 23 dBm이고, 도시 파일에서는 송신 파워가 25 dBm으로 설정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단말(또는 유저)의 위치 속성이 도시인 경우, 상술한 파라미터 변경에 기초하여 송신 파워는 25dBm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응급 구조 서비스 파일의 우선 순위가 ‘2’ 이고, 송신 파워가 ‘33dBm’ 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응급 구조 서비스 파일에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변경하고, 단말이 도시에 있다고 하더라도, 단말은 응급 구조 서비스 신호를 33dBm 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파라미터 값은 단말의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파라미터의 변경은 기존 값을 새로운 값으로 치환하는 것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파라미터의 변경은 기존 값에 변화량을 부가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에서 우선 순위가 ‘0’ 인 파일의 송신 파워가 23dBm이고, 우선 순위가 ‘1’인 파일의 송신 파워는 +3dBm 이면, 최종 송신 파워는 26dBm 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파라미터 변환 파일을 추가로 생성하여 파라미터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 채널의 주파수 값은 매우 높은 정밀도에 기초하여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의 주파수 값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비트 수가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송 채널의 중심 주파수가 2785.25 MHz인 경우, 상술한 주파수를 표현하기 위해 20비트 이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방송 채널 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4개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 뿐,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라미터 파일에서는 방송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2 비트로 표현하여, 채널 번호 0번, 1번, 2번 및 3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 변환 파일에서는 방송 채널 번호 0번, 1번, 2번 및 3번이 의미하는 상세 주파수 값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 변환 파일은 하나의 국가 또는 지역에서 하나만 필요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파라미터 변환 파일과 유사한 형태로 위치 유형 파라미터 파일을 이용하여 내장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 지역에 대한 파일로서 분할 지역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분할 지역 파라미터 파일은 각각의 분할 지역의 유형을 지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를 위해서는 현재 단말의 위치와 유형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위치 유형이 설정된 지도 파일을 통해 자신의 위치와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분할 지역의 유형은 도시, 교외(suburban), 시골, 해안가, 바다, 산, 숲 및 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는 하나의 일 예일 뿐, 다른 유형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위치마다 다른 위치 유형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유형 파라미터 파일을 각 위치 유형마다 생성할 수 있다. 즉, 위치 유형에 따라서 파라미터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심에서의 송신 파워와 시골이나 해안가에서의 송신 파워는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심에서는 작은 송신 파워를 가지나, 시골에서는 더 큰 송신 파워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파라미터 변경과 파일 우선 순위를 고려하면, 분할 지역 특성에 맞는 파라미터 값을 분할 지역 파라미터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 지역과 상관 없이 특별하게 지정된 구역에 대한 별도의 파라미터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특별하게 지정된 구역은 복수 개의 요인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특별하게 지정된 구역은 계약에 기초하여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분산 통신 사업자와의 계약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는 계약된 지역을 위한 특별한 파라미터를 계약 파라미터 파일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에코랜드가 시스템을 통해 특별한 지역으로 설정된 경우(즉, 에코랜드가 분산 통신 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경우), 에코랜드 전 지역에서 방송 채널의 방송 슬롯 200 개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약된 지역의 파라미터도 하나의 파라미터 파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계약된 지역의 계약 파라미터들은 해당 지역에서 고정 분산 단말에 의해서 방송 슬롯으로 방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분산 단말은 서비스를 고려하여 사전에 방송 슬롯을 수신해서 계약 지역 여부와 관련 파라미터를 반드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참조해야 할 파라미터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는지에 따라서 파라미터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파라미터 파일이 별도로 생성될 필요성이 있다. 즉, 단말의 위치뿐만 아니라 서비스에 따라서 다른 파라미터가 생성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단말이 해안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근거리 채팅 서비스, 근거리 통화 서비스 또는 구조 요청 서비스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비스는 다른 통신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별 파라미터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할 때 참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서비스 별 파라미터는 현재 설정된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면 적용될 수 있다. 반면, 상술한 서비스 별 파라미터가 현재 설정된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보다 낮으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분산 모뎀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기기처럼 매우 가볍고 작은 분산 단말은 주로 스마트폰 분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 웨어러블 분산 단말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는 일반적인 파라미터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높은 우선 순위의 파라미터 파일에 기초하여 기존 파라미터들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분산 모뎀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모든 파라미터 집합은 ‘활성 파라미터 세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 파라미터 세트는 우선 순위가 낮은 파일의 파라미터부터 우선 순위가 높은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가 순차적으로 오버라이트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파일로부터 실제 사용되는 활성 파라미터 세트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로, 활성 파라미터 세트는 기본 파라미터 파일(base parameter file)로부터 파라미터의 기본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본 파라미터 파일은 국가 또는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두 번째로,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유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지역 파라미터 파일(divided region parameter file)의 현재 위치에 관련되는 파라미터들을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오버라이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확인한 위치 에 대한 위치 유형에 적합한 파라미터들을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오버라이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또는 유저) 가 실행하는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오버라이팅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위치 정보와 위치 유형을 함께 확인하여 오버라이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의 현재 위치가 계약 지역인 경우, 계약된 파라미터(contract parameter)로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오버라이팅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활성 파라미터 세트는 분산 모뎀 내부에만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활성 파라미터 세트는 분산 모뎀 외부에도 존재할 수 있다. 즉, 무선 분산 단말은 분산 모뎀 외부에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고, 필요한 경우 분산 모뎀의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그대로 로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분산 단말은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분산 모뎀 내부에만 가지고 있어서, 필요시마다 분산 모뎀 내부의 파라미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로서 분산 단말이 빠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전에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는 자신의 단말 유형, 자신의 위치 및 사용하려는 서비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유형은 고정적이고, 제공 받을 서비스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 디바이스의 통신 파라미터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분산 단말은 이동 통신 신호나, wifi, GNSS 등을 통해서 자신의 위치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이 빠르게 서비스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위치로부터 자신이 속한 분할 지역을 결정하고, 위치 속성 파일로부터 해당 분할 지역의 통신 파라미터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분산 모뎀에 파라미터가 로딩되어 있거나 또는 사전에 로딩 값이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 따른 파라미터는 위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일부 대체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비스 사용을 입력하면, 분산 단말은 미리 준비된 파라미터 값을 즉시 로딩하거나, 미리 로딩된 파라미터 중에서 서비스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다시 로딩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되는 통신 파라미터는 무선 분산 통신 채널의 종류와 개수, 각 채널들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매핑된 경쟁 대행 채널 주파수, 예약된 지정 슬롯 정보, 예약된 고정 슬롯 정보, 우선권 설정 슬롯 정보, 슈퍼 프레임 정보 및 슬롯 그룹 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통신 파라미터는 각 서비스나 슬롯에서 사용되는 변조 오더, 기본 송신 파워, 최대 송신 파워, 암호화 유무 정보, 암호와 방식, 비밀번호 유무 및 비밀번호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파라미터는 위치 특성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로서 도시, 교외, 시골, 산악 지역, 바다, 바닷가, 숲 및 강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술한 파라미터는 기본 언어 정보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허용되는 이동 통신 사업자들 정보들이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파라미터는 각각의 서비스 별로 각각의 서비스에 쓰이는 채널 정보, 최소 및 최대 서비스 할당 슬롯 수 등이 있다. 또한, 일 예로, 다른 정보에 대한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단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110),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및 송신부(110)와 수신부(12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송신부(110) 및 수신부(12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 장치, 기지국 또는 그 밖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슬롯을 선택하고,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은 프로세서(130)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일 수 있으며, 추가 구성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단말 장치는 드론, 차량, IoT 디바이스 및 기타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기초하여 드론 간 충돌 회피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에 기초하여 차량 간 통신에 기초하여 차량 간의 충돌 회피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가전 기기로서 복수의 기기들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충돌 회피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술한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단말
110 : 송신부
120 : 수신부
130 : 프로세서

Claims (20)

  1.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단말이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상기 분산 단말들이 내장하는 단계;
    상기 분산 단말들이 상기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산 단말의 기능과 서비스가 제한 또는 중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미리 정한 기간 동안에 미리 정한 회수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무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분산 단말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황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무선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분산 단말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상기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및 정보는 무선 분산 통신 채널의 종류와 개수, 각 채널들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매핑된 경쟁 대행 채널 주파수, 예약된 지정 슬롯 정보, 예약된 고정 슬롯 정보, 우선권 설정 슬롯 정보, 슈퍼 프레임 정보, 슬롯 그룹 정보, 변조 오더, 기본 송신 파워, 최대 송신 파워, 암호화 유무 정보, 암호와 방식, 비밀번호 유무, 비밀번호 방식, 위치 특성에 따른 파라미터 값들, 기본 언어 정보, 스마트 폰에서 허용되는 이동 통신 사업자들 정보, 각 서비스에 쓰이는 채널 정보, 최소 서비스 할당 슬롯 수, 최대 서비스 할당 슬롯 수 중의 하나나 그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내장하고 있는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내장할 때, 상기 분산 단말의 단말 유형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과 함께 다른 분산 단말 유형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함께 내장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한 다른 단말 유형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이용하여 상기 분산 단말의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분산 모뎀을 내장한 이동 통합 단말이 다른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이동 통합 단말이 상기 다운로드한 파일을 제공받는 상기 분산 단말을 무선 분산 통신을 통하여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받은 내장 파일을 상기 감지한 분산 단말에게 상기 무선 분산 통신을 통해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분산 고정 단말이 이동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이동 분산 단말이 분산 통신의 슬롯을 경쟁을 통하여 할당하고, 상기 할당한 슬롯에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 요청을 주변 고정 단말들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수신한 고정 분산 단말들이 상기 요청을 받은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 단말이 할당한 슬롯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경쟁에서 승리한 고정 분산 단말이 상기 업데이트 요청 단말이 할당한 슬롯으로 응답을 보내는 단계; 및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요청 단말에게 상기 응답 고정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분산 고정 단말이 이동 분산 단말의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이동 분산 단말이 분산 통신의 슬롯을 경쟁을 통하여 할당하고, 상기 할당한 슬롯에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업데이트 요청을 주변 고정 단말들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수신한 고정 분산 단말들이 서로 통신하여 응답을 보낼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응답 고정 분산 단말이 상기 요청을 받은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에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 단말이 할당한 슬롯에서 응답을 보내는 단계; 및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 요청 단말에게 상기 응답 고정 단말이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통신 제어 파라미터들을 국가 또는 지역에 공통 파라미터들과 변동 파라미터들로 나누는 단계;
    상기 국가 또는 지역을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파라미터들에 대한 파일을 하나 생성하고, 상기 변동 파라미터들에 대한 파일은 상기 각각의 분할 지역마다 각각의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기준 우선 순위보다 낮은 우선 순위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산 단말의 파라미터 파일에 있는 파라미터로 상기 기준 순위보다 낮은 우선 순위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된 동일한 항목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사용하고, 상기 기준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의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우선 순위보다 낮은 우선 순위의 상기 파라미터 파일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는 상기 기준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의 상기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의 파라미터 파일은 특정 지역의 계약 파라미터들을 포함한 계약 파라미터 파일인,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단계;는
    통제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의 본래의 값들과 더 적은 비트 수를 이용하여 상기 파라미터 값에 매핑된 값들이 기록된 변환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상기 매핑된 값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단계;는
    위치 특성을 반영하는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각 위치 유형마다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유형이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특성을 반영하는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유형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분산 단말의 위치 유형을 도시, 교외(suburban), 시골, 해안가, 바다, 산, 숲 및 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분산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복수 개로 생성하는 단계;는
    통신 서비스에 종류에 따라 변동되는 통신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서비스 파라미터 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들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기반으로 통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우선 순위가 다른 복수 개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내장하는 단계; 통제된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분산 모뎀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를 로딩할 때,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상기 로딩하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를 상기 로딩하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로 교체하고,
    상기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상기 로딩하는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지 않은 경우, 상기 이미 로딩된 파라미터를 교체하지 않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단말들이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기반으로 통신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는
    우선 순위가 다른 복수 개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내장하는 단계;
    통제된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로부터 분산 모뎀에 실제로 필요한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한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분산 모뎀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된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로부터 상기 분산 모뎀에 실제로 필요한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내장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 파라미터 세트 구성 단계;에서 상기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각각의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파라미터를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로 교체하고,
    상기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각각의 파라미터의 우선 순위가 상기 통신 파라미터 파일의 우선 순위보다 낮지 않은 경우, 상기 활성 파라미터 세트에 설정된 파라미터를 교체하지 않는, 분산 통신 파라미터 결정 방법.
  20.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분산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산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파일을 상기 분산 단말들이 내장하고,
    상기 분산 단말들이 상기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에 기초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및
    상기 분산 단말이 상기 내장된 통신 파라미터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까지 업데이트하는, 분산 단말.
KR1020190021033A 2018-02-22 2019-02-22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309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02A KR20180058667A (ko) 2018-02-22 2018-02-22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주소를 설정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
KR1020180021102 2018-02-22
KR1020180021101 2018-02-22
KR1020180021101A KR20180058666A (ko) 2018-02-22 2018-02-22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180035762A KR20180058669A (ko) 2018-03-28 2018-03-28 사물 자동 인식 및 제어 방법
KR1020180035762 2018-03-28
KR1020180046372A KR20180058672A (ko) 2018-04-20 2018-04-20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다대다 통신 방법
KR1020180046372 2018-04-20
KR1020180046371 2018-04-20
KR1020180046371A KR20180058671A (ko) 2018-04-20 2018-04-20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ack 응답을 수행하는 일대다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304A true KR20190101304A (ko) 2019-08-30
KR102309336B1 KR102309336B1 (ko) 2021-10-06

Family

ID=6768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33A KR102309336B1 (ko) 2018-02-22 2019-02-22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330201B2 (ko)
KR (1) KR102309336B1 (ko)
WO (1) WO20191643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521A (ko) * 2019-09-27 2021-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기 무선 분산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1523389B2 (en) 2019-09-27 2022-12-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synchronized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230049967A (ko) 2021-10-07 2023-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신뢰 필드를 이용한 패킷의 무결성 검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3573A1 (en) * 2020-04-08 2021-10-13 Mitsubishi Electric R & 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device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642A (ko) * 2007-10-12 2009-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Fota 수행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JP2013175079A (ja) * 2012-02-27 2013-09-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WO2017197063A1 (en) * 2016-05-11 2017-11-16 Idac Holdings, Inc. Distributed control in wireles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1808B2 (ja) * 1999-12-24 2007-11-21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管理装置及び移動局装置
JP4512143B2 (ja) * 2008-02-21 2010-07-28 株式会社トヨタIt開発センター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100132752A (ko) * 2009-06-10 2010-12-20 (주)자이네스 데이터베이스 분산을 통한 서비스 성능 향상을 위한 질의 데이터 분산 처리시스템
US9894561B2 (en) * 2014-05-23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soft time division multiplexing in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CN104167822B (zh) * 2014-09-02 2016-05-11 科大智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配网自动化终端装置的参数配置方法
JP6497345B2 (ja) * 2016-03-22 2019-04-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線リソース割当装置、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642A (ko) * 2007-10-12 2009-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Fota 수행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기
JP2013175079A (ja) * 2012-02-27 2013-09-0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WO2017197063A1 (en) * 2016-05-11 2017-11-16 Idac Holdings, Inc. Distributed control in wireless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521A (ko) * 2019-09-27 2021-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기 무선 분산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11523389B2 (en) 2019-09-27 2022-12-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synchronized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20230049967A (ko) 2021-10-07 2023-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신뢰 필드를 이용한 패킷의 무결성 검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30201B2 (ja) 2023-08-21
JP2023162230A (ja) 2023-11-08
KR102309336B1 (ko) 2021-10-06
JP2021515451A (ja) 2021-06-17
WO2019164328A1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336B1 (ko)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US10623926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V2X communication
CN109075908B (zh) 车联网设备之间的反馈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9075921B (zh) 车联网设备之间的反馈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356798B2 (en) Frame structure, a device for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a device for send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a method for receiving or sending a communication signal
TWI571153B (zh) 用於一無線通訊系統之基地台及裝置對裝置使用者裝置
EP3267748B1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0602554B2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managing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WO2017128275A1 (zh) 用于副链路数据传输的方法以及终端
US10015828B2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provid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P25862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d/or implementing control channels in white space
CN116600392A (zh) 执行副链路操作的方法和用户设备以及控制该设备的设备
US2013014212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existence management
WO2017091980A1 (zh) 无线资源调度的方法、装置和系统
US107016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72033B2 (en) Method and appartus for advertising on basis of area using device-to-device discovery
TW201513720A (zh) 裝置對裝置使用者裝置及基地台
KR20190030711A (ko) D2d에서의 서브프레임 리소스들의 인덱싱
JP6942835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リソースを識別して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30156790A1 (en) Resource selection based on latency requirements
CN115136683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针对设备到设备通信的待感测资源的方法和设备
JP2021504997A (ja) 同期送信キャリア選択
CN109328478A (zh) 资源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10178404B (zh) 一种资源使用方法、相关装置及系统
EP2984894B1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managing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