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207A -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207A
KR20190101207A KR1020180021267A KR20180021267A KR20190101207A KR 20190101207 A KR20190101207 A KR 20190101207A KR 1020180021267 A KR1020180021267 A KR 1020180021267A KR 20180021267 A KR20180021267 A KR 20180021267A KR 20190101207 A KR20190101207 A KR 20190101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circuit
signal
control unit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1207A/ko
Publication of KR2019010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전력 회로의 누전을 검출하여 누전 검출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변류기; 영상 변류기가 제공하는 누전 검출 신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의 비교에 의해 누전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누전발생 결정시 트립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부; 트립 제어 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 전력 회로의 전력을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부;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 때 여자되는 트립 코일; 및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복수의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항에 의한 전압 신호로서 변환하여 상기 제어 부에 제공하는 감도 선택 회로 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전압 신호로서 상기 제어 부에 제공하는 고정 접속 저항; 상기 고정 접속 저항에 선택적으로 병렬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접속 저항에 병렬로 접속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누전 회로차단기(이하 누전 차단기로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전 차단기의 트립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KR10-1123461 B1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누전 차단기의 감도 설정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도 최소 감도 설정 값이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전 차단기의 감도 설정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할 수 있는 누전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감시 대상인 전력 회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회로의 누전을 검출하여 누전 검출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변류기; 상기 영상 변류기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영상 변류기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누전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누전발생 결정시 트립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부; 상기 제어 부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트립 제어 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전력 회로의 전력을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부; 상기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전원 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 때 여자(MAGNETIZING)되는 트립 코일(TRIP COIL); 및 상기 영상 변류기와 상기 제어 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 변류기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복수의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항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부에 제공하는 감도 선택 회로 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는, 상기 영상 변류기의 출력 단에 병렬로 고정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부에 제공하는 고정 접속 저항; 상기 고정 접속 저항에 선택적으로 병렬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접속 저항에 병렬로 접속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 부는 상기 선택 스위치의 선택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감도 선택을 경보하는 경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되고, 상기 트립 제어 회로는 상기 경보 출력 신호에 따라서 감도 선택을 경보 표시하는 경보 표시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가 제공하는 전압 신호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와, 상기 고정 접속 저항의 저항 값과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저항 값과의 합성 저항 값에 의해 형성되는 전압 신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의 저항 값은 각기 서로 다르며 상기 선택 스위치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증가하게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로타리 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제어 부는,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에 시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고정 접속 저항과 선택된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합성저항과 상기 시험 신호에 의해 형성되며 감도 선택을 나타내는 전압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여부를 결정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하나의 고정 접속 저항과 해당 고정 접속 저항에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을 포함하게 감도 선택 회로 부가 구성되므로,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어도 고정 접속 저항이 하나의 감도 설정 값을 자동적으로 설정시켜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경보 표시 부를 더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의 선택을 하지 않은 경우 제어 부가 이를 감지하여 경보 표시 부를 통해 이를 경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감도 선택 회로 부가 제공하는 전압 신호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와, 상기 고정 접속 저항의 저항 값과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저항 값과의 합성 저항 값에 의해 형성되는 전압 신호이므로,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감도에 따른 전압 신호로서 제어 부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의 저항 값은 각기 서로 다르며 상기 선택 스위치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증가하게 선택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선택 스위치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감도 선택 정보로서 입력 전압 값이 증가하고 사용자가 상기 선택스위치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감도 선택 정보로서 입력 전압 값이 감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로타리 스위치로 구성되므로, 상기 선택 스위치를 시중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로타리 스위치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로타리 스위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용이하게 감도 선택 정보로서 입력 전압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성되므로, 상기 선택 스위치를 시중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슬라이드 스위치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슬라이드 스위치를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여 용이하게 감도 선택 정보로서 입력 전압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제어 부는,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에 시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고정 접속 저항과 선택된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합성저항과 상기 시험 신호에 의해 형성되며 감도 선택을 나타내는 전압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여부를 결정하게 구성되므로, 상기 감도 선택을 나타내는 전압 값을 예컨대 복수의 감도 선택 정보에 대응한 기준전압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어떤 감도 설정 값을 선택했는지를 결정(판단)하고 선택된 감도 설정 값을 감도 선택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트립 제어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 구성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트립 제어 회로 중 감도 선택 회로 부의 상세 구성 예를 보여주는 회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트립 제어 회로 중 제어 부의 감도 설정 동작 및 경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영상 변류기(1), 제어 부(3), 스위칭 소자(4), 전원 부(6), 트립 코일(trip coil)(7) 및 감도 선택 회로 부(2)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부호 8은 R상, S상, T상의 교류 3상에 대해서 각각 마련되고 가동접점,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을 개폐 구동하는 기구 부(mechanism)를 포함하는 개폐기구(switching mechanism)를 지시하며, 해당 개폐기구(8)는 트립 코일(7)의 여자에 따라 개폐기구(8)를 트립(trip)동작하도록 트리거(trigger)하는 트립 기구(trip mechanism)의 트리거 동작에 응답하여 트립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 시험 버튼(5)은 누전 차단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해볼 수 있는 버튼 스위치이다.
사용자가 시험 버튼(5)을 누르면, 제어 부(3)로부터 시험 신호(인위적으로 누전을 검출하도록 하는 신호)가 영상 변류기(1)에 인가되어 영상 변류기(1)로부터 누전 검출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이렇게 인위적으로 검출된 누전 검출 신호가 제어 부(3)에 입력되면, 제어 부(3)가 스위칭 소자(4)를 턴 온(turn on)시키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누전 차단기가 트립 동작을 하면 트립 제어 회로는 정상 상태인 것이고, 누전 차단기가 트립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 트립 제어 회로는 비정상(고장)인 상태인 것이다.
영상 변류기(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 통상 ZCT로 약칭됨)(1)는 누전 감시 대상인 전력 회로(도 1에서 R, S, T로 표기된 각각의 상 별 선로 참조)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회로의 누전을 검출하여 누전 검출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 부(3)는 감도 선택 회로 부(2)를 통해서 영상 변류기(1)의 출력에 접속된다.
제어 부(3)는 영상 변류기(1)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의 비교에 의해 누전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누전발생 결정시 트립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 소자(4)는 예컨대 싸이리스터(thyristor)와 같이 게이트 제어신호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되는 반도체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4)는 제어 부(3)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트립 제어 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된다.
전원 부(6)는 상기 전력 회로의 교류 전력을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회로 부로서 예컨대 다이오드 브릿지(diode bridge) 정류회로와 정류회로의 출력전압을 강압하여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압 저항을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트립 코일(7)은 스위칭 소자(4)와 전원 부(6) 사이에 설치되어, 스위칭 소자(4)가 온(ON) 상태일 때 여자(MAGNETIZING)되는 코일이다.
감도 선택 회로 부(2)는 영상 변류기(1)와 제어 부(3) 사이에 접속된다.
감도 선택 회로 부(2)는 영상 변류기(1)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복수의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항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부(3)에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감도 선택 회로 부(2)는 하나의 고정 접속 저항(2a)과,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 및 선택 스위치(2c)를 포함하게 구성된다.
고정 접속 저항(2a)은 영상 변류기(1)의 출력 단에 병렬로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고정적으로 접속된다는 것은 후술하는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과 달리 영상 변류기(1)의 출력 단에 항상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이 영상 변류기(1)의 출력 단에 접속되지 않더라도, 고정 접속 저항(2a)은 영상 변류기(1)가 출력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부(3)에 제공한다.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은 고정 접속 저항(2a)에 선택적으로 병렬로 접속 가능하다.
감도 선택 회로 부(2)가 제어 부(3)에 제공하는 전압 신호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와, 고정 접속 저항(2a)의 저항 값과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저항 값과의 합성 저항 값에 의해 형성되는 전압 신호이다.
선택 스위치(2c)는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 접속 저항(2a)에 병렬로 접속하는 수단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선택 스위치(2c)는 로타리 스위치(rotary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타리 스위치는 예컨대 C&K 사의 M시리즈, A시리즈 등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선택 스위치(2c)는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스위치는 예컨대 NKK SWITCHES 사의 AS 시리즈, CS 시리즈 등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다.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의 저항 값은 각기 서로 다르며 선택 스위치(2c)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증가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어 부(3)는 감도 선택 회로 부(2)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의 비교하여 누전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기준 값은 누전발생을 결정하기 위한 문턱 값(threshold value)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미리 설정되어 제어 부(3)가 포함하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 부(3)는 기준 값 발생 회로 부와 접속되어 해당 기준 값 발생 회로 부로부터 기준 값을 입력 받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부(3)는, 감도 선택 회로 부(2)에 일정한 전기량을 갖는 시험 신호를 출력하고, 고정 접속 저항(2a)과 선택된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 중 어느 하나의 합성저항과 상기 시험 신호에 의해 형성되며 감도 선택을 나타내는 전압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여부를 결정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전압 값은 시험 신호와 고정 접속 저항(2a)의 저항 값 만에 의한 전압 값으로 미리 측정되어 저장되는 전압 값과, 시험 신호와 고정 접속 저항(2a)과 선택 접속 저항(2b)의 각각과의 합성저항에 의한 전압 값으로 미리 측정되어 저장되는 전압 값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 부(3)는 선택 스위치(2c)의 선택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사용자에게 감도 선택을 경보하는 경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부(3)의 기능에 대응해서 상기 트립 제어 회로는 상기 경보 출력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감도 선택을 경보 표시하는 경보 표시 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 표시 부(9)는 부저(buzzer), 램프(lamp),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트립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1에서 R, S, T로 표기된 각각의 상 별 선로(상 별 전력회로)중 적어도 어느 한 상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영상 변류기(1)에서 해당 누전을 검출하여 누전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해당 누전 검출 신호는 감도 선택 회로 부(2) 중 고정 접속 저항(2a)과 선택된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 중 어느 하나의 합성저항 또는 고정 접속 저항(2a)만에 의해서 검출된 누전 량을 나타내는 전압 신호로서 제어 부(3)에 전달된다.
제어 부(3)는 감도 선택 회로 부(2)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의 크기(전압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의 비교하여 누전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상기 누전 검출 신호의 크기(전압 크기)가 미리 설정된 상기 기준 값과 같거나 그 보다 크다면, 제어 부(3)는 누전발생을 결정하고 트립 제어 신호를 스위칭 소자(4)에 출력한다.
이에 스위칭 소자(4)가 턴 온되면, 전원부(6)와 트립 코일(7) 및 스위칭 소자(4)의 폐회로가 구성되고 따라서 트립 코일(7)이 전원부(6)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여자된다.
이러한 트립 코일(7)의 여자는 미 도시한 트립 기구의 아마추어(armature)를 자기(磁氣) 흡인력에 의해 이동시키고 해당 아마추어가 개폐기구(8)를 트립(trip)동작하도록 트리거함으로써, 개폐기구(8)가 상기 전력 회로를 개방하는 트립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개폐기구(8)의 트립 동작으로 상기 전력 회로가 차단되면, 누전은 중단되고 누전 발생의 원인을 찾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감도 설정 및 경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에서, 제어 부(3)은 설정 입력이 있는 지 확인한다.
이러한 확인은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2c)를 통해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시험 버튼(5)를 눌렀을 때, 제어 부(3)에 입력되는 감도 선택 회로 부(2)로부터의 설정 전압 신호를 근거로 제어 부(3)가 확인할 수 있다. 즉, 설정 전압 신호가 있으면 단계 S1에서 “예”인 것인고, 설정 전압 신호가 없으면 단계 S1에서 “아니오”인 것이다.
단계 S1에서 “아니오”인 경우 단계 S1의 확인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단계 S1에서 “예”인 경우, 제어 부(3)는 단계 S2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 전압 신호에 따른 설정 입력 값(감도 선택 값)이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값(기준 전압 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설정 입력 값은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2c)에 의해 어느 하나의 선택 접속 저항(2b)을 선택한 경우 시험 신호와 고정 접속 저항(2a)과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2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 저항에 의해 형성되는 전압 신호가 나타내는 전압 값이다.
또한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기준 값(기준 전압 값)은 각각의 선택 접속 저항(2b)과 고정 접속 저항(2a)의 합성 저항과 상기 시험 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전압 값과 같은 제 2 기준 전압 값들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 전압 값들은 당연히 선택 접속 저항(2b)의 개수에 대응하게 설정되어 제어 부(3)가 포함하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접속 저항(2b)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제 2 기준 전압 값들은 4개가 된다.
단계 S2에서 “예”인 경우 즉, 설정 입력 값이 상기 복수의 제 2 기준 전압 값들 중 어느 하나와 같거나 미리 결정된 허용가능 차이내의 값인 경우, 단계 S3로 진행하여 해당 설정 입력 값을 제 2 기준 전압 값들 중 해당하는 어느 하나인 것으로 제어 부(3)가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4에서 제어 부(3)는 결정된 제 2 기준 전압 값들 중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값을 최종 설정 입력 값으로서 제어 부(3)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하고, 감도 설정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 S2에서 “아니오”인 경우 즉, 설정 입력 값이 상기 복수의 제 2 기준 전압 값들 중 어느 하나와 같지 않고 미리 결정된 허용가능 차이 내에 있지 않은 값인 경우, 제어 부(3)는 단계 S2-1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선택 접속 저항(2b)을 선택하지 않은 것인지 확인한다.
이러한 선택 접속 저항(2b)의 선택 여부에 대한 확인은 제어 부(3)가 설정 입력 값을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전압 값과 비교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준 전압 값은 시험 신호와 고정 접속 저항(2a)만에 의해 형성되는 전압 신호가 나타내는 전압 값과 같은 값으로 미리 측정하여 저장해둔 값이다.
단계 S2-1에서 “예”인 경우 즉, 설정 입력 값이 제 1 기준 전압 값과 같거나 제 1 기준 전압 값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허용가능 차이내의 값인 경우, 제어 부(3)는 사용자가 선택 접속 저항(2b)을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1에서 “아니오”인 경우, 에러인 상태로서 제어 부(3)는 단계 S1로 복귀한다.
단계 S2-2에서 제어 부(3)는 제 1 기준 전압 값을 기본 설정 입력 값으로서 제어 부(3)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 단계 S2-3에서 제어 부(3)는 경보 표시 부(9)에 경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감도 설정을 위한 설정 입력 값 미 설정 상태임을 경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하나의 고정 접속 저항과 해당 고정 접속 저항에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을 포함하게 감도 선택 회로 부가 구성되므로,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어도 고정 접속 저항이 하나의 감도 설정 값을 자동적으로 설정시켜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영상 변류기 2: 감도 선택 회로 부
2a: 고정 접속 저항 2b: 선택 접속 저항
2c: 선택 스위치
3: 제어 부 4: 스위칭 소자
5: 시험 버튼 6: 전원 부
7: 트립 코일 8: 개폐기구
9: 경보 표시 부

Claims (7)

  1. 누전 차단기에 있어서,
    누전 감시 대상인 전력 회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 회로의 누전을 검출하여 누전 검출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변류기;
    상기 영상 변류기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영상 변류기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의 비교하여 누전발생 여부를 결정하며, 누전발생 결정시 트립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트립 제어 신호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전력 회로의 전력을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전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 때 여자(MAGNETIZING)되는 트립 코일(TRIP COIL); 및
    상기 영상 변류기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 변류기가 제공하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복수의 저항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항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감도 선택 회로 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는,
    상기 영상 변류기의 출력단에 병렬로 고정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누전 검출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고정 접속 저항;
    상기 고정 접속 저항에 선택적으로 병렬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 접속 저항에 병렬로 접속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누전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가 제공하는 전압 신호는,
    상기 누전 검출 신호와, 상기 고정 접속 저항의 저항 값과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저항 값과의 합성 저항 값에 의해 형성되는 전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의 저항값은 각기 서로 다르며 상기 선택 스위치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증가하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로타리 스위치(rotary switch)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는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는,
    상기 감도 선택 회로 부에 시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고정 접속 저항과 선택된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의 합성저항과 상기 시험 신호에 의해 형성되며 감도 선택을 나타내는 전압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 값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선택 접속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여부를 결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는 상기 선택 스위치의 선택이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감도 선택을 경보하는 경보 출력 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되고,
    상기 트립 제어 회로는 상기 경보 출력 신호에 따라서 감도 선택을 경보 표시하는 경보 표시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KR1020180021267A 2018-02-22 2018-02-22 누전 차단기 KR20190101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67A KR20190101207A (ko) 2018-02-22 2018-02-22 누전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267A KR20190101207A (ko) 2018-02-22 2018-02-22 누전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207A true KR20190101207A (ko) 2019-08-30

Family

ID=6777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267A KR20190101207A (ko) 2018-02-22 2018-02-22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12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2692C (en)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arc fault test and/or ground fault test failure indicator
US8232804B2 (en) Time alert device for use together with an earth leakage protection device
EP2020069B1 (en) An earth leakage protection device with time alert feature
JP6173118B2 (ja) 漏電遮断器
US6744254B2 (en) Breaker failure annunciator system
KR101759598B1 (ko) 변류기 2차 회로 개방 감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계전기
JP2005158559A (ja) 漏電遮断器
KR100342096B1 (ko) 반도체 과부하 계전기
US4466042A (en) Trip indicator assembly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
KR100923684B1 (ko)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8866484B2 (en) Method for tes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electromagnetic tripping of a switch, in particular of a circuitbreaker for low voltages
KR100978269B1 (ko) 3상용 누전 차단기의 구동 회로
US7420343B2 (en) Current limiting DC motor starter circuit
EP0079271B1 (fr) Disjoncteur de branchement à controle de la puissance souscrite par un module pilote
KR101764777B1 (ko) 교육용 차단기 특성 시각화 장치
KR100810503B1 (ko) 누전차단기 시험기기
KR20190101207A (ko) 누전 차단기
KR101234819B1 (ko) 직류 누전차단기
JP4053294B2 (ja) 漏洩電流計測表示装置付漏電遮断器
KR101509667B1 (ko) 무극성 누전차단기
US8243409B2 (en) Protective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RU21997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исправности максимальных защит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AU2019447727A1 (en) Electric line (L) pro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leakage fault, a short-circuit, fault, an overcurrent fault and an arc fault
RU22297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изоляции и тока утечки в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ах
KR102465612B1 (ko) 순시 차단용 열동형 누전 차단기 및 그를 포함하는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