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361A -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361A
KR20190100361A KR1020197022296A KR20197022296A KR20190100361A KR 20190100361 A KR20190100361 A KR 20190100361A KR 1020197022296 A KR1020197022296 A KR 1020197022296A KR 20197022296 A KR20197022296 A KR 20197022296A KR 20190100361 A KR20190100361 A KR 2019010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head
disturbers
wheels
distur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도지슨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33Toothed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94Height adjustment of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로서, 한 쌍의 회전식 교란기 및 하나 이상의 휠을 포함한다. 교란기들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휠은 전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휠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청소될 바닥과 접촉하고, 그리고 휠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청소기 헤드가 오로지 교란기에 의해서만 바닥 상에 지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는 하우징(housing) 내에 장착된 회전식 교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가 바닥 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하우징이 바닥과 접촉하지 않고 잠재적으로 바닥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아래 부분에 휠(wheel)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불행히도, 휠은 청소기 헤드의 움직임을 전진 및 후진 운동으로만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며, 청소기 헤드는 한 쌍의 회전식 교란기 및 하나 이상의 휠을 포함하며, 교란기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휠은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와 후퇴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휠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청소될 바닥과 접촉하고, 그리고 휠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청소기 헤드가 오로지 교란기에 의해서만 바닥 상에 지지된다.
휠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청소기 헤드는 오로지 교란기에 의해서만 바닥 상에 지지된다. 그 결과, 교란기가 회전할 때, 청소기 헤드와 바닥 사이에는 정지 마찰력이 없다(또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청소기 헤드는 호버링(hovering)하는 것처럼 되며, 바닥 위에서 청소기 헤드를 움직이기 위해 비교적 작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각각의 교란기의 회전은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교란기들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전방 교란기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은 후방 교란기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과는 반대가 된다. 휠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청소기 헤드는 휠에 의해 추가로 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교란기와 바닥 사이에는 정지 마찰력이 없다(또는 비교적 작다). 그러나, 휠은 선형 경로를 따라 청소기 헤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청소기 헤드는 휠의 위치에 따라 2가지 모드, 즉 호버(hover) 모드 및 선형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작동한다고 말할 수 있다. 호버 모드는 청소기 헤드가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청소기 헤드는 전진 및 후진 외에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좁은 틈새 사이에서 청소기 헤드를 움직이거나 또는 가구 밑에서 청소기 헤드를 옆으로 쓸어 내리는 것을 보다 쉽게 만든다. 호버 모드의 단점은 청소기 헤드를 특정 방향으로 조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선형 모드는 청소기 헤드의 이동 방향에 대해 더 양호한 제어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교란기 및 휠은, 서로 평행한 고정된 회전축선들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휠이 전개될 때, 청소기 헤드는 교란기의 회전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한된다. 그 다음, 이것은 청소기 헤드가 청소기 헤드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위치한 2개의 기다란 교란기를 포함할 때, 청소기 헤드가 휠에 의해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한된다는 장점이 있다.
휠은 교란기들 사이의 위치에서 청소기 헤드의 양 측면에 위치한 한 쌍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휠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및 교란기는 청소기 헤드에 가해지는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다(tip). 하우징을 젖히면, 교란기 중 하나에 의해 발생된 견인력이 증가하고, 나머지 교란기에 의해 발생된 견인력은 감소한다. 그 결과, 청소기 헤드를 움직이는데 더 작은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이 필요하게 된다. 휠은, 동일한 크기의 미는 힘 및 당김 힘에 응답하여 동일한 정도의 전방 및 후방 젖혀짐이 획득될 수 있도록, 2개의 교란기 사이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는, 교란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및, 교란기들 사이의 위치에서 하우징의 상부에 피봇식으로(pivotally) 부착되는 목부(neck)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청소기 헤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기 위해 목부에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은, 피봇 부착부에서 목부로부터 하우징에 전달된다. 목부는, 종종 기존의 청소기 헤드의 경우와 같이, 하우징의 후방을 향하는 위치에서 피봇식으로 부착된다면, 하우징 및 교란기는 미는 힘에 응답하여 후방으로 젖혀질 가능성이 높게 된다. 그 결과, 전방 교란기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은 감소할 것이고, 후방 교란기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청소기 헤드를 전방으로 밀려고 할 때, 후진 견인력의 순(net) 증가가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 및 교란기는, 청소기 헤드를 후방으로 당기려고 할 때 전진 견인력의 순 증가가 있도록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방으로 젖혀질 가능성이 높게 된다. 견인력의 순 변화량은, 가해지는 힘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청소기 헤드를 움직이기 위해서 더 큰 미는 힘 및 당김 힘이 필요하게 된다. 두 개의 교란기 사이의 위치에서 목부를 하우징에 피봇식으로 부착함으로써, 미는 힘 및 당김 힘에 응답한 하우징 및 교란기의 젖혀짐이 줄어들 수 있다. 그 결과, 청소기 헤드를 전방 및 후방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더 작은 미는 힘 및 당김 힘이 필요하게 된다. 목부는 교란기들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서 하우징의 상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의 수직 성분은 2개의 교란기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고, 따라서 힘의 수직 성분에 의해 하우징에 작용하는 순 토크가 없게 된다.
교란기들은 동일하며,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동일한 교란기를 채택함으로써, 전방 교란기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은, 후방 교란기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과 동일한 크기이고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것은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이 없을 때, 청소기 헤드의 순 움직임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기 헤드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청소기 헤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구동 어셈블리를 도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단면이 도시된 청소기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청소기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평면 A-A에서 청소기 헤드를 통과하는 단면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평면 B-B에서 청소기 헤드를 통과하는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의 청소기 헤드(1)는, 하우징(2), 한 쌍의 교란기(3, 4), 구동 어셈블리(5), 휠 어셈블리(6) 및 목부(7)를 포함한다.
하우징(2)은, 교란기(3, 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챔버(8)를 형성한다. 각 교란기(3, 4)는, 표면을 교란하기 위한 강모(bristle), 플리커 스트립(flicker strip), 또는 다른 수단(12)이 부착되는 기다란 몸체(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다란 몸체(11)는 합성 섬유의 플러시 천(plush)(12)으로 덮힌다. 2개의 교란기(3, 4)는 서로 평행한 회전축선(13, 14)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란기(3, 4)는 바닥으로부터 챔버(8)로 오물을 쓸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의 전방 교란기(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후방 교란기(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어셈블리(5)는 하우징(2) 내에 장착되고, 전기 모터(15) 및, 모터(15)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각각의 교란기(3, 4)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트레인(16)을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5)의 특정한 상세 사항은 본 발명과 관련이 없다. 따라서, 구동 어셈블리(5)는, 두 교란기(3, 4)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되는 단일 모터(15)가 아니라, 각각의 교란기(3, 4)를 각각 구동하는 2개의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어셈블리(5)는, 전기 모터(15)가 아니라, 교란기(3, 4)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를 생성하는 공기 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전기 모터(15)에 의해 발생된 토크는, 벨트 및 풀리(pulley)와 같은 대안적 수단에 의해 교란기(3, 4)에 전달될 수 있다.
휠 어셈블리(6)는 하우징(2)의 양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휠(20, 21)을 포함한다. 휠(20, 21)은 교란기(3, 4)의 회전축선에 평행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각각의 휠(20, 21)은 전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휠 어셈블리(6)는 하우징(2) 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각각의 휠(20, 21)에 연결되고, 작동시 휠(20, 21)을 전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청소기 헤드(1)가 바닥에 놓여있는 경우, 휠(20, 21)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바닥과 접촉하고,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1)의 거동은 휠(20, 21)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목부(7)은 하우징(2)의 상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목부(7)는 교란기(3, 4)의 회전축선(13, 14)에 평행한 피봇 축선(25)을 중심으로 하우징(2)에 대해 회전한다. 목부(7)는 2개의 교란기(3, 4)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서 하우징(2)에 피봇식으로 부착된다. 그 결과, 목부(7)의 피봇 축선(25)은 교란기(3, 4)의 회전축선(13, 14)으로부터 등거리에 있으며, 그 의미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논의된다. 목부(7)는, 목부(7)의 자유 단부에 위치한 배출구(27)로부터 하우징(2)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 포트(9)까지 연장되는 도관(26)을 포함한다. 목부(7)는 전기 단자(28) 및 전기 케이블(29)을 더 포함하며, 전기 케이블은 전기 단자(29)로부터 전기 모터(20)까지, 그리고 액츄에이터까지 연장된다. 목부(7)의 자유 단부는 진공 청소기(도시되지 않음)의 튜브에 부착 가능하다. 튜브는 전기 단자(28)를 통해 모터(20) 및 액츄에이터에 전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청소기 헤드(1)를 움직이는데 이용된다.
청소기의 사용 중에, 청소기 헤드(1)의 배출구(27)에서 발생된 흡입에 의해, 공기가 2개의 교란기(3, 4) 아래에서 챔버(8) 안으로 빨아 당겨지게 된다. 그 챔버에서부터, 공기는 흡입 포트(9)를 통해 그리고 목부(7)의 도관(26)을 따라 빨아 당겨진다. 교란기(3, 4)는, 이들이 회전함에 따라, 오물을 챔버(8) 내로 쓸어 모은다. 그 다음, 챔버(8) 내로 쓸어 모아지는 오물들은 청소기 헤드(1)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에 동반되게 된다.
휠(20, 21)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청소기 헤드(1)는 오로지 교란기(3, 4)에 의해서만 바닥 상에 지지된다. 이는, 청소기 헤드(1)의 다른 부분들이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직 교란기(3, 4)만이 바닥과 접촉하고 각각의 교란기(3, 4)는 섬유의 플러시 천(12)으로 덮인 몸체(11)를 포함하기 때문에, 청소기 헤드(1)가 바닥을 긁거나(scratching) 자국을 남길(marking) 가능성이 줄어든다. 교란기(3, 4)가 회전할 때, 청소기 헤드(1)와 바닥 사이에는 정지 마찰력이 없다(또는 비교적 작다). 그 결과, 청소기 헤드(1)는 호버링하는 것처럼 되며, 청소기 헤드(1)를 움직이기 위해 비교적 작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청소기 헤드(1)는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각각의 교란기(3, 4)의 회전은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2개의 교란기(3, 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전방 교란기(3)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은 후방 교란기(4)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과는 반대가 된다. 또한, 2개의 교란기(3, 4)가 구조적으로 동일하고(즉, 동일한 기다란 몸체(11) 및 교란 수단(12))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때, 전방 교란기(3)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은 후방 교란기(4)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과 동일한 크기이고 반대 방향이다. 그 결과, 청소기 헤드(1)의 순(net) 움직임은 없다.
휠(20, 21)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청소기 헤드(1)는 교란기(3, 4) 및 휠(20, 21) 모두에 의해 바닥 상에 지지된다. 휠(20, 21)과 바닥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교란기(3, 4)는 바닥에 대해 약간 들어 올려져 있다. 다시, 교란기(3, 4)의 회전으로 인해, 교란기(3, 4)와 바닥 사이에는 정지 마찰력이 없다(또는 비교적 작다). 결과적으로, 청소기 헤드(1)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바닥 위에서 조종될 수 있다. 휠(20, 21)은 청소기 헤드(1)의 움직임을 일반적으로 전진-후진 방향으로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청소기 헤드(1)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목부(7)를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거나 비틀면서 좌우로 조종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기 헤드(1)의 순수한 측방향 이동은 휠(20, 21)에 의해 방지된다.
청소기 헤드(1)는 휠의 위치에 따라 2가지 모드, 즉 호버 모드 및 선형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작동한다고 말할 수 있다. 호버 모드는 청소기 헤드(1)가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청소기 헤드(1)는 전진 및 후진 외에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좁은 틈새 사이에서 청소기 헤드(1)를 움직이거나 또는 가구 밑에서 청소기 헤드(1)를 옆으로 쓸어 내리는 것을 보다 쉽게 만든다. 호버 모드의 단점은 청소기 헤드(1)를 특정 방향으로 조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선형 모드는 청소기 헤드(1)의 이동 방향에 대한 더 양호한 제어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휠(20, 21)은 청소기 헤드(1)의 이동을 전진-후진 방향으로 제한하도록 작용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 헤드(1)를 더 잘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 중에 두 모드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의 핸들 상에 제공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청소기 헤드(1)를 전방으로 움직일 때, 청소기 헤드(1)의 목부(7)에 미는 힘이 가해진다. 미는 힘은, 피봇 부착부에서 목부(7)로부터 하우징(2)에 전달된다. 하우징(2)에 가해지는 미는 힘은 수직 성분 및 수평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 수직 성분은 하방으로 작용한다. 목부(7)는 2개의 교란기(3, 4)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서 하우징(2)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수직 성분은 2개의 교란기(3, 4) 사이에 고르게 분포된다. 그 결과, 순 토크는 수직 성분에 의해 발생되지 않는데, 순 토크가 발생되면 하우징(2) 및 교란기(3, 4)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수평 성분은 청소기 헤드(1)가 전방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수평 성분은 하우징(2) 및 교란기(3, 4)가 약간 전방으로 젖혀지도록 한다. 이 젖혀짐은, 미는 힘의 수평 성분이 바닥의 운동 마찰력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젖혀짐의 정도는, 어떠한 젖혀짐도 전방 교란기(3)의 압박을 통해서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다. 그러나, 비록 작지만 젖혀짐의 결과로서, 전방 교란기(3)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은 더 이상 후방 교란기(4)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과 동등하지 않으며, 대신 약간 더 크다. 그 결과, 청소기 헤드(1)를 전방으로 움직이기 위해 요구되는 미는 힘은 더 작게 된다. 실제로, 청소기 헤드(1)의 특성(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1)의 중량, 각각의 교란기(3, 4)에 의해 발생된 견인력) 및 바닥의 표면 타입에 따라, 순 전진 견인력은 운동 마찰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이 경우, 청소기 헤드(1)는 초기 미는 힘에 응답하여 전방으로 추진될 것이다.
청소기 헤드(1)를 후방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당김 힘이 목부(7)에 가해질 때 유사한 거동이 발생한다. 다시, 당김 힘은 피봇 부착부에서 목부(7)로부터 하우징(2)에 전달되고, 수직 성분 및 수평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 이제, 수직 성분이 상방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다시 목부(7)은 2개의 교란기(3, 4)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서 하우징(2)에 피봇식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수직 성분은 2개의 교란기(3, 4)에균등하게 전달된다. 수평 성분은 청소기 헤드(1)가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바닥으로부터의 운동 마찰력으로 인해, 수평 성분은 하우징(2) 및 교란기(3, 4)가 후방으로 약간 젖혀지도록 한다. 젖혀짐의 결과로서, 후방 교란기(4)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은 전방 교란기(3)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청소기 헤드(1)를 후방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더 작은 당김 힘이 요구된다. 또한, 순 후진 견인력이 운동 마찰력보다 크면, 청소기 헤드(1)는 초기 당김 힘에 응답하여 후방으로 추진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거동은 휠(20, 21)의 위치에 관계없이 발생한다. 그러나, 휠(20, 21)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거동은 커진다. 그 이유는, 휠(20, 21)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교란기(3, 4)가 바닥으로부터 더 들어 올려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하우징(2) 및 교란기(3, 4)는 동일한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에 응답하여 더 큰 각도로 젖혀질 수 있다. 더 큰 각도로 젖혀짐으로써, 전방 교란기(3)의 전진 견인력과 후방 교란기(4)의 후진 견인력 사이의 차이가 더 커진다. 그 결과, 휠(20, 21)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청소기 헤드(1)를 전방/후방으로 움직이기 위해 더 작은 미는 힘/당김 힘이 요구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휠(20, 21)은 하우징(2)의 양 측면에 위치한다. 또한, 휠(20, 21)은 2개의 교란기(3, 4)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는 휠(20, 21)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2) 및 교란기(3, 4)가 미는 힘 및 당김 힘에 응답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계속하여 젖혀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생각할 수 있는 바로는 청소기 헤드(1)가 휠의 다른 배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1)는, 하우징(2)의 각 측면에 위치한 한 쌍의 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쌍은 전방 교란기(3)의 전방에 위치한 제1 휠과 후방 교란기(4)의 후방에 위치한 제2 휠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휠(20, 21)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미는 힘 또는 당김 힘에 응답하여 하우징(2) 및 교란기(3, 4)가 젖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의 예로서, 청소기 헤드(1)는 예를 들어 하우징(2)의 뒤쪽 또는 2개의 교란기(3, 4) 사이의 하우징(2)의 중심에 위치되는 기다란 롤러와 같은 단일 휠을 포함할 수 있다. 휠의 갯수와 위치에 관계없이, 휠은 휠이 바닥과 접촉하는 전개 위치와 휠이 바닥에서 들어 올려지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계속하여 움직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청소기 헤드(1)는 계속해서 호버 모드 및 선형 모드를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휠(20, 21)은, 전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전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직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휠(20, 21)은 대안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대안적인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휠(20, 21)은 수직으로 위아래로 움직이기보다는, 비행기의 앞쪽 랜딩 기어와 유사한 움직임으로 상하로 피봇팅 또는 스윙할 수 있다. 또한, 휠(20, 21)의 움직임은 전기적 작동보다는 기계적 작동을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2개의 교란기(3, 4)는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것은 교란기(3, 4)가 회전할 때, 전방 교란기(3)에 의해 발생된 전진 견인력이 후방 교란기(4)에 의해 발생된 후진 견인력과 동일한 크기이고 반대 방향이 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각할 수 있는 바로는, 청소기 헤드(1)는 구조적으로 상이한 교란기 및/또는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교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상이한 교란기가, 동일한 크기이고 반대 방향인 견인력을 계속하여 생성할 수 있는 것도 상당히 가능하다.

Claims (7)

  1.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로서,
    한 쌍의 회전식 교란기 및 하나 이상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교란기들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휠은 전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휠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청소될 바닥과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휠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청소기 헤드가 오로지 교란기에 의해서만 바닥 상에 지지되도록 하는, 청소기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기 및 휠은 서로 평행한 회전축선들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청소기 헤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교란기들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청소기 헤드의 양 측면에 위치한 한 쌍의 휠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교란기들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청소기 헤드.
  5.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헤드는 상기 교란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교란기들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피봇식으로(pivotally) 부착되는 목부(neck)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교란기들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되는, 청소기 헤드.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기들은 동일하며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청소기 헤드.
KR1020197022296A 2017-01-09 2017-12-14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KR20190100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00330.2A GB2558598B (en) 2017-01-09 2017-01-09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1700330.2 2017-01-09
PCT/GB2017/053747 WO2018127680A1 (en) 2017-01-09 2017-12-14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361A true KR20190100361A (ko) 2019-08-28

Family

ID=5846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296A KR20190100361A (ko) 2017-01-09 2017-12-14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192836A1 (ko)
EP (1) EP3565448A1 (ko)
JP (1) JP2018110855A (ko)
KR (1) KR20190100361A (ko)
CN (1) CN108283463A (ko)
AU (1) AU2017391051A1 (ko)
CA (1) CA3049304A1 (ko)
GB (1) GB2558598B (ko)
RU (1) RU2019124487A (ko)
WO (1) WO2018127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472A (zh) * 2018-12-17 2019-02-15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组件及吸尘器
WO2020213075A1 (ja) * 2019-04-16 2020-10-22 バルミューダ株式会社 掃除機
WO2020235032A1 (ja) * 2019-05-22 2020-11-26 バルミューダ株式会社 スティック型の掃除機
CN113891672A (zh) * 2019-06-07 2022-01-04 三菱电机株式会社 吸尘器头以及电动吸尘器
EP4037534A1 (en) 2019-10-02 2022-08-10 Dyson Technology Limited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588093B (en) 2019-10-02 2021-12-2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588094B (en) * 2019-10-02 2021-12-22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GB2590657B (en) * 2019-12-23 2022-04-27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USD948823S1 (en) * 2020-01-03 2022-04-12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head
USD950175S1 (en) 2020-01-03 2022-04-26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head
JP7488668B2 (ja) * 2020-03-02 2024-05-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22099106A (ja) * 2020-12-22 2022-07-0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D935121S1 (en) * 2021-02-04 2021-11-02 Shenzhen Hanfu Trading Company Cleaner head
GB2619035A (en) * 2022-05-24 2023-11-29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4452C (ko) * 1966-02-18
JPS49134167A (ko) * 1973-04-25 1974-12-24
JPS5970653U (ja) * 1982-11-02 1984-05-1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4542556A (en) * 1984-02-06 1985-09-24 Hightec Manufacturing Corporation Carpet vacuum, cleaning, and dyeing apparatus
US5077863A (en) * 1990-10-31 1992-01-07 Racine Industries, Inc. Carpet cleaning machine with perimeter vacuum capability
JP3140338B2 (ja) * 1995-08-08 2001-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込口体
JPH11197071A (ja) * 1998-01-09 1999-07-27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
WO1999037198A1 (en) * 1998-01-23 1999-07-29 Interface, Inc. Combination carpet cleaning brush unit, vacuum and pile lifter
JP2003052586A (ja) * 2001-08-20 2003-02-25 Takeshi Wami 対向する強制回転ローラーによる掃除桟の捕塵部
KR100470557B1 (ko) * 2002-03-04 2005-03-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먼지 털이용 회전롤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조립체
US7150068B1 (en) * 2002-08-12 2006-12-19 Gary Dean Ragner Light-weight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CN200980638Y (zh) * 2006-10-01 2007-11-28 史益民 一种扫地机
WO2008098855A1 (de) * 2007-02-16 2008-08-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ürstenkopf eines reinigungsgeräts sowie reinigungsgerät mit einem solchen bürstenkopf
CN104887157B (zh) * 2015-06-25 2017-07-07 陈佳伟 一种双辊擦式地面杂质污水可回收擦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7680A1 (en) 2018-07-12
CA3049304A1 (en) 2018-07-12
RU2019124487A (ru) 2021-02-09
US20180192836A1 (en) 2018-07-12
EP3565448A1 (en) 2019-11-13
RU2019124487A3 (ko) 2021-02-09
CN108283463A (zh) 2018-07-17
GB2558598B (en) 2019-07-10
GB2558598A (en) 2018-07-18
JP2018110855A (ja) 2018-07-19
GB201700330D0 (en) 2017-02-22
AU2017391051A1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0361A (ko)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US11712139B2 (en) Surface cleaning head with leading roller
CN102599849B (zh) 机器人吸尘器
US4654927A (en) Side sweeping brushing vacuum machine
KR101489562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EP2649920A1 (en) Dual-purpose vacuum cleaner
CN101720199B (zh) 地板清洁机
KR102498187B1 (ko) 로봇 집진기 및 자주식 기기
WO2020213653A1 (ja) 掃除機
JP2000102499A (ja) 回転ブラシ付き掃除機
JP7150169B2 (ja) 真空掃除機のための清掃ヘッド
CN104274125A (zh) 电动吸尘器的吸口体和使用它的电动吸尘器
US10631694B2 (en) Autonomous cleaner
US3056152A (en) Electrically propelled household devices
KR102309306B1 (ko) 로봇 청소기
JP4537274B2 (ja) 電気掃除機
CN220293554U (zh) 清洁机器人
KR102280194B1 (ko) 로봇 청소기
WO2023144501A1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JPH0817758B2 (ja) 電気掃除機
JP2022550883A (ja) 真空掃除機のための掃除機ヘッド
JPH04288110A (ja) 床用吸込具
KR200396028Y1 (ko) 청소 로봇의 구동부 소음저감장치
JPH0755213B2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H04282120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