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0307A -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0307A
KR20190100307A KR1020197021642A KR20197021642A KR20190100307A KR 20190100307 A KR20190100307 A KR 20190100307A KR 1020197021642 A KR1020197021642 A KR 1020197021642A KR 20197021642 A KR20197021642 A KR 20197021642A KR 20190100307 A KR20190100307 A KR 20190100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release
context release
network side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술 응용 분야에 관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여,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중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통신 기술 응용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 발전 및 과학기술 진보와 더불어, 사용자들은 이동 단말기 접속 기술에 대해 더 높은 요구를 제출하고 있다. 4세대 이동 통신 기술(4rd-Generation; 약칭: 4G)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약칭: LTE) 시스템 및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알려진 유휴(idle) 상태와 연결(connected) 상태를 제외하고 비활성화(inactive) 상태가 도입되었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단말기는 유휴 상태에 있을 때의 이동성 관리방식에 따라, 일정 영역 범위 내에서 측정 전환없이 셀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한편 단말기와 초기 기지국의 관련 컨텍스트는 연결 상태일 경우와 동일하며, 상기 관련 컨텍스트는 각각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에 저장되고(네트워크 측에서 적어도 초기 기지국에 저장됨), 여기서 초기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현재, 네트워크 측이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할 경우, 호출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다시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약칭: RRC) 연결 릴리즈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가 연결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단말기와 초기 기지국의 관련 컨텍스트(Context)를 릴리즈하며, 상응하게, 네트워크 측도 저장된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다.
그러나,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과 단말기는 비교적 많은 메시지를 인터랙션(interacting)하여야만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실현할 수 있고 전반적 과정은 비교적 복잡하다.
현재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이 비교적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인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응용 계층 또는 비접속 계층이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접속 계층을 통해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여기서,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인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한 이후에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송신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여기서,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및/또는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인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을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중의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및/또는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응용 계층 또는 비접속 계층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접속 계층을 통해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여기서,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링 모듈; 및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한 이후에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송신한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여기서,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및/또는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제6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링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중의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및/또는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제4 양태의 어느 하나의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제5 양태의 어느 하나의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을 포함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은 제6 양태의 어느 하나의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은,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고,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특히,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먼저 연결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설명에서 사용되는 첨부 도면을 간단히 소개하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진보성 창출에 힘 쓸 필요 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에 관한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의 실시 환경의 개략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기와 제1 기지국이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을 구축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핵심 관리 기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c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5c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또 다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다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7c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또 다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상술한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명확한 실시예를 나타냈으며,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첨부 도면과 문자 설명은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 구상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과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자, 아래에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에 관한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의 실시 환경의 개략도를 나타냈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 시스템 또는 5G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다양한 이동 통신 시스템이 공존된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실시 환경은 제1 기지국(110), 네트워크 측 기기(120), 핵심 관리 기기(130) 및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40)와 제1 기지국(110)은 통신할 수 있으며, 제1 기지국(110)은 각각 네트워크 측 기기(120) 및 핵심 관리 기기(130)와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 기기(120)와 핵심 관리 기기(130)는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120)는 기지국, 및/또는 핵심망의 관리 기기(예를 들면, 롱 텀 에볼루션 중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또는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초기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핵심 관리 기기(130)는 하나의 서버, 또는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진 서버 클러스터, 또는 하나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센터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핵심 관리 기기는 하나의 범용적 개념일 수 있으며, 하나의 관리 기기일 수 있고, 하나의 관리 기기 클러스터일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관리 기기 클러스터일 수도 있으며, 예시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 상기 핵심 관리 기기는 하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일 수 있고, 하나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클러스터일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 클러스터일 수도 있고, 상기 핵심 관리 기기(130)는 제1 기지국(110) 및/또는 네트워크 측 기기(120)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140)는 스마트폰, 컴퓨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e-리더, 웨어러블 기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측 기기(120)와 단말기(140)에는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관련 컨텍스트는 단말기와 관련된 부분 또는 모든 컨텍스트일 수 있다. 상기 관련 컨텍스트는 단말기와 관련된 현재의 베어러 정보,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약칭: QoS) 정보 및 안전 컨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전 컨텍스트는 네트워크 키 및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약칭: NAS) 일련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환경에서, 핵심 관리 기기(130)와 제1 기지국(110)이 상이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대표하는 기기는 서로 상이하며,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 시스템에서 핵심 관리 기기(130)는 핵심망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약칭: MME)일 수 있고, 제1 기지국(110)은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 약칭: eNB)일 수 있다. 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핵심망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리 기기이며, 제1 기지국(110)은 차세대 기지국(generation Node B; 약칭: gNB)이다.
상기 실시 환경에서,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유휴 상태, 연결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인 3 가지 상태가 있으며, 여기서 유휴 상태는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지만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약칭: RRC) 연결을 구축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연결 상태는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고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을 구축한 상태를 가리킨다. 비활성화 상태는 유휴 상태와 연결 상태 사이에 있으며, 비활성화 상태에서 단말기의 이동성 관리 방식과 유휴 상태는 동일하며 단말기와 초기 기지국의 관련 컨텍스트는 연결 상태일 경우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140)가 현재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고 가설하면,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에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120)이며,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일정한 영역 범위 내(네트워크 측에 의해 기설정된 하나의 범위) 셀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140)가 현재 위치한 셀이 제1 기지국(110)(상기 제1 기지국(110)은 초기 기지국일 수 있고 초기 기지국이 아닐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음)에 속한다고 가설할 경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한 이후에 단말기(140)는 네트워크 측이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링함으로써 단말기의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120)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네트워크 측이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고,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피드백하며,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단말기 중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접속 계층을 통해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고, 여기서 제1 기지국은 핵심 관리 기기의 허가를 거친 후 다시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핵심 관리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간접적으로 트리거링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직접적으로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양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핵심 관리 기기의 허가를 거친 후 다시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 단말기는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또는 비접속 계층과 같은 상위 계층은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응용 계층은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 상위 계층(즉, 응용 계층은 사용자를 지향하는 것임)으로서 그 주요 임무는 사용자의 응용 프로세스에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응용 계층은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 시 따르는 프로토콜을 규정할 수 있다. 응용 계층이 관리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은 모두 자체의 프로세스에서 실행되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독립적인 가상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다.
프로토콜 스택에서, 비접속 계층의 과정은 단말기(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약칭: UE)라고 부르기도 함)와 핵심망(core network; 약칭: CN)이 처리해야 할 시그널링 과정이다. 무선 리소스 제어와 무선 접속 네트워크 응용 부분(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약칭: RANAP) 계층 및 그 이하의 프로토콜 계층을 접속 계층(Access Stratum; 약칭: AS)이라 부른다. 그들 위의 이동성 관리(Mobile Management; 약칭: MM), 호출 제어(Call Control; 약칭: CC)와 문자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약칭: SMS) 등을 비접속 계층(NAS)이라 부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용 계층은 단말기 중의 네트워크 응용(즉, 네트워크 측과 인터랙션이 필요한 응용, 예를 들면, 인스턴트 메시지 응용)의 실행 상태(구체적으로, 상기 응용의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실행 상태에 따라,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응용이 시작 상태에 있을 경우, 응용 계층은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지 않아도 됨을 결정할 수 있고, 단말기 중 모든 네트워크 응용이 종료 상태에 있을 경우, 응용 계층은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체적인 상황은 하기와 같다.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을 경우, 응용 계층이 현재의 단말기가 웹 브라우저와 같은 특정 네트워크 응용을 시작하였음을 모니터링하였을 경우, 기설정 규칙에 따라, 응용 계층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네트워크 응용을 실행하고 있고, 단말기가 후속적으로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응한 사용자 동작에 응답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응용 계층은 상기 단말기가 후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될 필요 없이 단말기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면 되고,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경우 연결 상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응용 계층이 현재의 단말기가 웹 브라우저와 같은 특정 네트워크 응용을 종료하였음을 모니터링하였을 경우, 기설정 규칙에 따라, 응용 계층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네트워크 응용을 더 이상 실행하지 않고, 단말기가 후속적으로 네트워크 측과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아도 사용자 동작에 응답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응용 계층은 상기 단말기가 후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는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으로써,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연결을 차단하여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비접속 계층은 단말기 중의 비접속 계층 시그널링의 송수신 상태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 상태에 따라,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예를 들면, 단말기에 피송수신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비접속 계층 시그널링이 존재할 경우, 비접속 계층은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에 피송수신 비접속 계층 시그널링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응용 계층은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체적인 상황은 하기와 같다. 비접속 계층에 피송수신 시그널링이 존재할 경우, 단말기와 핵심망이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비접속 계층은 상기 단말기가 후속적으로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는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될 필요 없이 단말기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면 되고, 후속적으로 시그널링을 전송해야 할 경우 단말기는 연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비접속 계층에 피송수신 시그널링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은 현재 시그널링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비접속 계층은 상기 단말기가 현재 시그널링을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결정하므로, 단말기는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으로써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연결을 차단하여 단말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실제 응용에서, 또한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202: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네트워크 측이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기는 접속 계층을 통하여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기는 제1 기지국과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을 구축한 다음이어야만 정보를 인터랙션할 수 있다. 단말기와 제1 기지국의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과정은 도 2b를 참조할 수 있으며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21: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요청(RRC Connection Resume Request)을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기는 미리 수신된 호출 메시지에 따라, 제1 기지국에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2022: 제1 기지국은 단말기에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응답(RRC Connection Resume)을 송신한다.
단계2023: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 Complete)를 송신한다.
상기 단계2021 내지 단계2023의 구체적인 과정은 롱 텀 에볼루션 무선 리소스 제어(LTE RRC) 프로토콜: 3GPP36.331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비교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기와 제1 기지국이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의 구축을 완료한 후, 전환 실패, 무선 링크 실패, 무결성 보호 실패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 재구성 실패 등이 나타날 경우, 단말기는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 과정을 트리거링할 것이다. 상기 과정은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을 재구축하기 위한 것이며,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1(signalling radio bearers1; 약칭: SRB1) 작동의 복원 및 안전한 재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기지국은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응답을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응답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응답에 따라, 상응하게 구성될 수 있고 구성이 완료된 후, 제1 기지국에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을 송신하여 제1 기지국이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 과정을 완료하였음을 알린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새로운 시그널링일 수 있으며, 기존의 시그널링을 재활용할 수도 있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이 기존의 시그널링을 재활용할 경우, 한편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프로세스에서의 시그널링과 재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release indication)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완료 메시지다. 다른 한편으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재구축 프로세스에서의 시그널링과 재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다.
여기서, 상기 릴리즈 지시는 네트워크 측이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릴리즈 지시의 형태는 현재의 무선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에 부합될 수 있으며, 상기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메시지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203: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은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여, 핵심 관리 기기에 네트워크 측 기기가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하는 권한부여를 요청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릴리즈 지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204: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생성한다.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핵심 관리 기기는 기설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의 여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예측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과 연결이 차단된 후 다시 연결 시 일으키는 네트워크 리소스 낭비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기구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고 예측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면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는데, 상기 카운트 다운의 지속 시간은 상기 기설정 시간대의 지속 시간과 동일하며, 핵심망이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이전에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기설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핵심 관리 기기가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허용한다고 결정한다고 가설하면,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205: 핵심 관리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송신한다.
핵심 관리 기기와 제1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관련 프로토콜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206: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핵심 관리 기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가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허용하므로,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기지국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한다.
단계207: 네트워크 측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에 따라,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다.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 과정은 실질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삭제하는 과정이며, 구체적으로 관련 프로토콜 중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208: 네트워크 측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후, 제1 기지국에 알리도록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209: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단말기에 알리도록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와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 중의 내용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단계210: 단말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에 따라, 단말기 중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에 따라, 자체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여 자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실제 응용에서 단말기는 자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단계의 선후 순서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단계도 경우에 따라, 상응하게 증감될 수 있고,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임의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된 방법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쉽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 기기는 핵심 관리 기기를 통해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간접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있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 단말기는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301의 구체적인 과정은 단계201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2: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네트워크 측이 단말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302에서의 다른 내용은 단계202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3: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303에서의 다른 내용은 단계203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4: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한다.
선택 가능하게, 도 3b를 참조하면,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41: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핵심 관리 기기는 기설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지의 여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예측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과 연결이 차단된 후 다시 연결 시 일으키는 네트워크 리소스 낭비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고 예측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면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는데, 상기 카운트 다운의 지속 시간은 상기 기설정 시간대의 지속 시간과 동일하며, 핵심망이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이전에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기설정 시간대에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예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핵심 관리 기기가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허용한다고 결정한다고 가설하면, 핵심 관리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단계3042: 네트워크 측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에 따라,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다.
단계3042는 상기 단계207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5: 핵심 관리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도 3c을 참조하면,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51: 네트워크 측 기기는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후, 핵심 관리 기기에 알리도록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3052: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핵심 관리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제1 기지국에 알리도록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와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단계306: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306은 상기 단계209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7: 단말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에 따라, 단말기 중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다.
단계307은 상기 단계210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단계의 선후 순서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단계도 경우에 따라, 상응하게 증감될 수 있고,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임의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된 방법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쉽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직접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 단말기는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401의 구체적인 과정은 단계201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402: 단말기는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네트워크 측이 단말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402에서의 다른 내용은 단계202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403: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404: 네트워크 측 기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에 따라,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다.
단계404는 단계207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405: 네트워크 측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405에서의 다른 내용은 상기 단계208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406: 제1 기지국은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406은 상기 단계209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407: 단말기는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에 따라, 단말기 중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다.
단계407은 상기 단계210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단계의 선후 순서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단계도 경우에 따라, 상응하게 증감될 수 있고,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임의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된 방법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쉽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관련 기술에서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된 호출 메시지에 릴리즈 지시를 직접 추가시켜 단말기가 관련 컨텍스트를 직접 릴리즈하여 유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제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이 트리거링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컨텍스트 릴리즈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고,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특히,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먼저 연결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의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50)를 제공하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501)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송신 모듈이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고,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특히,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먼저 연결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의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나아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50)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502)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50)는, 응용 계층 또는 비접속 계층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503)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 모듈(501)은 구체적으로 접속 계층을 통해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다.
여기서,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송신 모듈이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며,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특히,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먼저 연결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의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60)를 제공하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601)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며,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특히,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먼저 연결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의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나아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60)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링 모듈(602); 및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6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으로, 트리거링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모듈(603)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트리거링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모듈(603)은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한 이후에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송신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트리거링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모듈(603)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다.
여기서,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및/또는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70)를 제공하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70)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701)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며,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특히,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먼저 연결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의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한편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링 모듈(702);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7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링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신 모듈(703)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70)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704)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705)을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중의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및/또는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을 제공하며, 단말기와 제1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도 5a 내지 도 5c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지국은 도 6a 내지 도 6b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도 7a 내지 도 7c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은,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이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며,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특히,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컨텍스트 릴리즈 과정에서, 먼저 연결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유휴 상태로 전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의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반적 과정을 간소화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관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10)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10)는 상기 제1 기지국(110), 네트워크 측 기기(120), 핵심 관리 기기(130) 또는 단말기(140)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10)는 프로세서(12)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는 다른 저장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네트워크 기기(10)는 메모리(16), 버스(18) 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16)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는 각각 버스(18)를 통해 프로세서(12)와 연결된다.
메모리(16)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6)는 운영체제(162),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모듈(164)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162)는 실시간 운영체제(Real Time eXecutive; RTX),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윈도우즈(WINDOWS) 또는 OS X 유형의 운영체제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10)가 제1 기지국일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는 송수신 안테나(송신기와 수신기로 간주할 수도 있음)일 수 있으며, 메모리(16)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모듈(164)은 상기 단계203, 단계206, 단계209, 단계303, 단계306, 단계403 또는 단계406 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10)가 단말기일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는 송수신 안테나(송신기와 수신기로 간주할 수도 있음)일 수 있으며, 메모리(16)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모듈(164)은 상기 단계201, 단계202, 단계210, 단계301, 단계302, 단계307, 단계401, 단계402 또는 단계407 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10)가 핵심 관리 기기일 경우, 메모리(16)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모듈(164)은 상기 단계204, 단계202, 단계210, 단계304, 단계305 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전술된 시스템, 기기 및 모듈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에 대해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한 것이며, 3 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하는 3 가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밖에, 본문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예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 구현을 하드웨어를 통해 완료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된 하드웨어를 명령하여 완료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저장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 등일 수 있다.
이상 전술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지는 어떠한 수정, 동등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40)

  1.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으로서,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응용 계층 또는 비접속 계층이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접속 계층을 통해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6.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한 이후에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송신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1.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2.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4.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으로서,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은,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상기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8.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중의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20.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로서,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응용 계층 또는 비접속 계층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접속 계층을 통해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4.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5.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로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링 모듈; 및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한 이후에 상기 핵심 관리 기기가 송신한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에 따라, 핵심 관리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권한부여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핵심 관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응답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0.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연결 구축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요청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구축 완료 메시지이거나;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릴리즈 지시에 포함된 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 복원 완료 요청이며,
    상기 릴리즈 지시는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1.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2.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3.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로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송신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단말기의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네트워크 측에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링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한 이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의 릴리즈를 완료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컨텍스트 릴리즈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6.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는,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요청에 따라,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 모듈 -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은 상기 관련 컨텍스트가 저장된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관련 컨텍스트를 릴리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권한부여 응답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7. 청구항 33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요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 중의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해야 함을 결정한 이후에 송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8. 청구항 34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초기 기지국, 핵심망의 관리 기기 및 네트워크 측 중심 제어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셀이 속한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
  39.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으로서,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청구항 25 내지 청구항 3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은 청구항 33 내지 청구항 3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텍스트 릴리즈 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 릴리즈 시스템.
KR1020197021642A 2016-12-29 2016-12-29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 KR20190100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12970 WO2018119853A1 (zh) 2016-12-29 2016-12-29 上下文释放方法、设备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307A true KR20190100307A (ko) 2019-08-28

Family

ID=6271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642A KR20190100307A (ko) 2016-12-29 2016-12-29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128608A1 (ko)
EP (1) EP3562259B1 (ko)
JP (1) JP7013474B2 (ko)
KR (1) KR20190100307A (ko)
CN (1) CN110089193B (ko)
TW (1) TW201824936A (ko)
WO (1) WO2018119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4347A (zh) * 2018-02-14 2020-04-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WO2021229136A1 (en) * 2020-05-13 2021-11-18 Nokia Technologies Oy Prolonging voice service in an active state
CN113438646B (zh) * 2021-06-30 2022-08-2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业务建立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99921C (zh) * 2007-01-19 2009-06-10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缩短用户终端从连接模式返回空闲模式时延的方法
CN101500322B (zh) * 2008-02-02 2012-04-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释放方法
CN101572943B (zh) * 2008-04-28 2011-07-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Mme释放isr情况下空闲态ue上下文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0088794A1 (zh) * 2009-02-03 2010-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演进网络中上下文的方法和系统
WO2012134111A2 (en) * 2011-03-25 2012-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user equipment contex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926112B2 (ja) * 2012-05-14 2016-05-25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管理ノード
CN103067937B (zh) * 2012-12-04 2016-04-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状态信息处理方法与系统
EP2978253B1 (en) 2013-03-20 2020-09-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EP3078236A1 (en) 2013-12-06 2016-10-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ayered connectivity in wireless systems
CN104812070B (zh) * 2014-01-29 2020-03-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ue资源维护和释放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9853A1 (zh) 2018-07-05
EP3562259A4 (en) 2019-12-11
US20200128608A1 (en) 2020-04-23
CN110089193B (zh) 2023-11-10
TW201824936A (zh) 2018-07-01
JP2020504956A (ja) 2020-02-13
EP3562259A1 (en) 2019-10-30
CN110089193A (zh) 2019-08-02
JP7013474B2 (ja) 2022-02-15
EP3562259B1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4692B1 (e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network slice congestion
RU268239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KR102211178B1 (ko)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US11071015B2 (en) Access traffic steering/switching/splitting method in a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WO2018019001A1 (zh) 一种终端状态转换方法及装置
WO2020034791A1 (zh) 一种持续在线pdu会话的管理方法及装置
KR20200038295A (ko) Ue와 네트워크 상태 간의 비 매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51848A (ko)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관련 기기의 모드 스위칭 방법
CN111641582B (zh) 一种安全保护方法及装置
EP3860176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btaining capability information of terminal
US11432355B2 (en) Control plane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EP341368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22024829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KR20200118154A (ko) Rrc 상태 전환 방법, 단말기, cu, du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200004386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90100307A (ko) 컨텍스트 릴리즈 방법, 기기 및 시스템
US118824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ecurity algorith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23179365A1 (zh)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