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701A -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701A
KR20190099701A KR1020180019468A KR20180019468A KR20190099701A KR 20190099701 A KR20190099701 A KR 20190099701A KR 1020180019468 A KR1020180019468 A KR 1020180019468A KR 20180019468 A KR20180019468 A KR 20180019468A KR 20190099701 A KR20190099701 A KR 2019009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box
pleat
inse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18001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9701A/ko
Publication of KR2019009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박스가 레일부를 따라 절첩되거나 일부 클립의 해체에 따른 회동가능한 구조를 통해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분전작업이나 이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ELECTRIC DISTRIBUTING BOX IN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박스가 레일부를 따라 절첩되거나 일부 클립의 해체에 따른 회동가능한 구조를 통해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분전작업이나 이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한편, 공동주택 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유선 방송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근래에 들어 전기 케이블을 천정에 매달기식으로 배선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선의 분기를 위한 분전함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천정에 설치되는 분전함은 그 분전함 자체의 크기나 위치가 가변적이지 못한 이유로 최초 시공시의 분전작업이나 차후의 유지보수 작업에서 그 분전함 케이스가 작업에 방해를 주는 주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72468호(2010.07.20.)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분전함'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천정에서의 전기 분전 및 이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정에 매설된 나사집(1)과의 볼팅체결을 위한 관통홀(101)이 양측에 형성된 지지패널(10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패널(100)의 하면 양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레일부(110)가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110) 사이에는 배선고정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레일부(110)는 중앙부가 개방된 '┖ ┙'형을 갖고, 상기 배선고정부(120)는 상기 지지패널(100)의 하면에 설치된 나선봉(102)에 나선결합되는 몸통부(121)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121)의 하단에는 전원공급배선(2)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편(122)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부(110)에는 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400)가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더(400)의 각 하단에는 결속블럭(300)이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결속블럭(300)에는 주름을 가져 절첩가능한 복수개의 '∪'형 주름박스(230)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주름박스(230)의 개방된 양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240)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박스(230)에는 상기 전원공급배선(2)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선(3)을 주름박스(230)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장공(231)이 수평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주름박스(230)의 상단부에는 절첩되는 면 상에 주름고정공(232)이 천공 형성되며; 상 결속블럭(300)의 하단부에는 하단면까지 개방된 주름고정슬릿(310)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고정슬릿(3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체결공(320)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주름박스(230)의 상단부는 상기 주름고정슬릿(310)에 삽입된 다음 상기 체결공(320)과 주름고정공(232)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30)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결속블럭(300)의 상단면에는 결속블럭(300) 보다 더 얇은 두께로 돌출된 삽입편(3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34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장착구멍(34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멍(342)에는 탄성고정유닛(350)이 나사체결되며; 상기 탄성고정유닛(350)은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멍(342)에 나사고정되는 'ㄷ' 형상의 고정구(351)와, 상기 고정구(351)의 밀폐면 중심에 관통형성된 돌출안내공(352)과, 상기 고정구(351)의 내부에 장입되고 상기 돌출안내공(352)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353)를 갖는 'ㅓ' 형상의 탄성유동구(354)와, 상기 탄성유동구(354)의 후면에 탄지되는 코일스프링(355)과, 상기 코일스프링(355)을 탄압하면서 상기 고정구(351)의 개방단에 나사체결되는 스프링고정편(35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400)는 사각헤드(410)와, 상기 사각헤드(410)로부터 돌출된 사각돌기(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돌기(420)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삽입편고정슬릿(4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에는 삽입편(340)이 끼워지며, 상기 사각돌기(4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통공(44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통공(440)은 사각돌기(420)의 바깥면에서 삽입편고정슬릿(430)을 향해 일정깊이 해제구멍(442)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구멍(442)과 연결되면서 더 큰 직경의 고정구멍(444)이 형성되도록 단차 가공되고, 상기 고정구멍(444)은 상기 돌출부(353)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정에서의 전기 분전 및 이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중 본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중 핀홀, 볼트 및 너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을 구성하는 결속블럭과 슬라이더의 조립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단며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탄성고정유닛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0972468호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중 기본구조는 등록특허에 기재된 내용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은 천정에 고정되는 지지패널(100)과, 지지패널(100)에 크기, 위치 등이 가변적이도록 설치되는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100)은 천정에 매설된 나사집(1)과의 볼팅체결을 위한 관통홀(101)이 양측에 형성되고, 하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되는 레일부(110)와, 레일부(110) 사이에 설치되는 배선고정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레일부(110)는 중앙부가 개방된 '┖ ┙'형을 갖고 배선고정부(120)는 지지패널(100)의 하면에 설치된 나선봉(102)에 나선결합되는 몸통부(121)와, 상기 몸통부(121) 하부 끝단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배선(2)을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탄성편(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지지패널(100)의 구조에 따르면, 천정에 설치된 지지패널(100)의 배선고정부(120)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배선(2)이 탄성편(1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0)는 상측이 레일부(110)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T형 이동부재(210)와, 상기 이동부재(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클립(220)과, 절첩가능하도록 주름을 갖고 상부가 클립(220)을 통해 이동부재(210)와 연결되는 '∪'형 주름박스(230)와, 상기 주름박스(230)의 개방된 양측면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름박스(230)에는 전원공급배선(2)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선(3)을 그 주름박스(230)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장공(231)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210)는 그 상부가 레일부(110)의 개방된 양측면으로 수평하게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되고, 클립(220)은 레일부(110)의 개방된 중앙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이동부재(210)의 하측과 결합되어 주름박스(230)의 상측과 결합되는 한편, 레일부(110)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 주름박스(230) 중 양단을 밀폐시키기 위한 도어(240)는 그 주름박스(230)의 개방된 양측면 각각에 개폐가능해지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 도어(240) 또한 절첩가능한 주름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른 본체부(200)에 의해 주름박스(230)가 레일부(110)를 따라 절첩되거나, 절첩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거나, 주름박스(230) 양단 중 일단에 대향 설치되는 클립을 제외한 타 클립 모두를 해체할 때 그 일단의 클립을 중심으로 주름박스(23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전원공급배선(2)의 소망하는 위치에서 분전작업 수행시 적절히 주름박스(230)의 위치 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작업 수행이 용이해지도록 하며 전원공급배선(2)으로부터 전선(3)을 분기시킨 다음 분기된 전선(3)을 장공(231)을 통해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박스(230)는 단순히 플라스틱류를 재질로 하여 주름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부(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에 볼트(4) 및 너트(5)의 설치를 위한 핀홀(111)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레일부(110)에 복수개의 이동부재(210)를 삽입한 다음 볼트(4) 및 너트(5)를 그 핀홀(111)에 설치함으로써 이동부재(210)가 레일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의 최초 시공은 천정에 지지패널(100)을 고정시키고 배선고정부(120)의 탄성편(122)에 전원공급배선(2)을 위치시킨 다음, 이 전원공급배선(2)의 원하는 위치에서 복수개 전선(3)을 분기시킨 후 레일부(110)에 클립(220)과 연결된 이동부재(210)와 볼트(4) 및 너트(5)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주름박스(230)와 클립(220)을 연결해 나가면서 전선(3)을 주름박스(230)의 장공(231)으로 인출하는 과정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의 유지보수시에는 이상이 있는 부분이나 추가적인 전선의 분기가 필요한 경우, 해당하는 위치의 주름박스(230)를 절첩시켜 그 내부에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예비적으로 설치하여 장공(231)으로부터 인출된 전선(3)이 없는 주름박스(230)에 대해서는 기술된 바와 같이 일단의 클립을 제외한 모든 클립을 해체함으로써 그 주름박스(23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넓은 유지보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주름박스(230)의 파지구조를 더 개량하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술한 클립(220)을 사용할 경우, 클립(220)이 끼워진 링 부분에 국부적인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슬라이딩 동작시 파단될 위험이 있고, 파지하는 면적이 매우 국소적이어서 유동에 따른 진동,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이동부재(210)의 경우에도 레일부(110)는 각형(사각)임에 반해 이동부재(210)는 원형(원반)이어서 유동에 따른 덜거덕거림, 유격에 의해 이동중 걸림현상 발생으로 슬라이딩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이다.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의 예시와 같이, 주름박스(230)의 상단부에는 절첩되는 면 상에 주름고정공(232)이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클립(220) 대신 사각막대 형상의 결속블럭(300)이 구비되는데, 상 결속블럭(300)의 하단부에는 하단면까지 개방된 주름고정슬릿(310)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고정슬릿(3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체결공(320)이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름박스(230)의 상단부는 상기 주름고정슬릿(310)에 삽입된 다음 상기 체결공(320)과 주름고정공(232)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30)에 의해 견고히 결속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면 주름박스(230)의 상단부가 주름고정슬릿(310) 내부에서 면접촉된 상태로 면 고정되기 때문에 기존에 링 형태의 클립에 의해 한 점 고정되는 것과는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현저히 크게 증가되므로 하중이 한 점에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찢어지거나 파단되는 문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결속블럭(300)의 상단면에는 결속블럭(300) 보다 더 얇은 두께로 돌출된 삽입편(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편(34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장착구멍(342)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구멍(342)에는 탄성고정유닛(350)이 나사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고정유닛(350)은 도 6의 예시와 같이,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멍(342)에 나사고정되는 'ㄷ' 형상의 고정구(351)와, 상기 고정구(351)의 밀폐면 중심에 관통형성된 돌출안내공(352)과, 상기 고정구(351)의 내부에 장입되고 상기 돌출안내공(352)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353)를 갖는 'ㅓ' 형상의 탄성유동구(354)와, 상기 탄성유동구(354)의 후면에 탄지되는 코일스프링(355)과, 상기 코일스프링(355)을 탄압하면서 상기 고정구(351)의 개방단에 나사체결되는 스프링고정편(35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고정편(356)은 'ㅕ'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 중앙에 스프링수납홈(357)을 더 갖춤으로써 코일스프링(355)의 일단을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반대면 중심에는 공구홈(358)이 더 요입형성되어 공구, 이를 테면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회전조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53)는 선단이 라운드 가공되어 각진 부분에 접촉되더라도 쉽게 밀려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돌출부(353)가 일체로 형성된 탄성고정구(354)가 고정구(351) 내부에서 코일스프링(355)의 탄지력에 의해 완충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속블럭(300)의 쇄정과 해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동부재(210)는 상술한 원반형 헤드부를 갖는 구조가 아니라 사각 헤드부를 갖는 구조로 바뀌어 상기 레일부(110) 속에서 유동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210)는 사각헤드(410)와, 상기 사각헤드(410)로부터 돌출된 사각돌기(420) 형태의 슬라이더(400)로 대체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돌기(420)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삽입편고정슬릿(4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에는 삽입편(340)이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사각돌기(4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통공(44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과 연통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통공(440)은 사각돌기(420)의 바깥면에서 삽입편고정슬릿(430)을 향해 일정깊이 해제구멍(442)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구멍(442)과 연결되면서 더 큰 직경의 고정구멍(444)이 형성되도록 단차 가공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멍(444)은 상기 돌출부(353)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결속블럭(300)의 삽입편(340)을 상기 슬라이더(400)의 삽입편고정슬릿(430)에 끼워 넣으면 돌출부(353)가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다가 상기 고정구멍(444)과 일치되는 순간 코일스프링(355)의 팽창력에 의해 돌출부(353)가 돌출되면서 고정구멍(444)에 걸리게 되므로 그 순간 삽입편(340)이 삽입편고정슬릿(430)에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결속블럭(300)을 슬라이더(400)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그 상태에서 슬라이더(400)의 사각헤드(410)를 레일부(110)에 끼우면 유동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결속블럭(300)을 해제하고 싶을 때는 핀과 같은 수단을 해제구멍(442)에 넣고 누른다.
그러면, 돌출부(353)가 눌리면서 코일스프링(355)은 압축되고, 돌출부(353)는 고정구멍(444)으로부터 분리되므로 결속블럭(300)을 하방향으로 당기면 슬라이더(400)로부터 결속블럭(3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주름박스(230)는 전기설비와 연계 사용되는 것이므로 절연성은 물론 신축성과 내열성, 방염성 및 내구성을 갖출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성형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박스(23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조성물은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1.5중량%와,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1.5중량%와, 수용성 아크릴변성 우레탄-알키드수지 2.5중량%와, 육수화질산아연(Zn(NO3)2ㆍ6H2O) 2.5중량%, 폴리우레탄수지를 데실에테르로 수용화시킨 수지액 3.5중량%와, 아세트산나트륨(CH3COONaㆍ3H2O) 3.5중량%와, 100 마이크론 크기의 미세중공체(microscopic hollow sphere) 분말 4.5중량%와, 디아릴프탈레이트 1.5중량%와, 리그닌 1.5중량%와, 글리세린 2.5중량%, 수산화알루미늄-멜라민 혼합액 1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지며, 1.5mm 두께의 시트상으로 성형된 후 굴곡 가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과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는 항미생물성을 강화시켜 오염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수용성 아크릴변성 우레탄-알키드수지는 점착성을 부여하여 조성물간 바인딩성을 강화하고, 초발수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육수화질산아연은 공융점 형성에 따른 열보지력을 높여 내열 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우레탄수지를 데실에테르로 수용화시킨 수지액은 접착고성성과 내후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울러, 아세트산나트륨은 공융점 형성에 따른 축열성을 강화시켜 내구성과 내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100 마이크론 크기의 미세중공체(microscopic hollow sphere) 분말은 폐쇄 공기층의 세라믹 피막을 형성하여 용융점이 약 1,800℃까지 견딜 수 있는 난연성, 방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디아릴프탈레이트는 접착성과 인성을 개선하여 부착안정성을 포함한 내열성과 치수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리그닌은 수지물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고, 글리세린은 성형체의 연질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수산화알루미늄-멜라민 혼합액은 내열성과 난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산화알루미늄과 멜라민은 대표적인 내열제 및 난연제이고, 폴리우레탄수지는 신축변형성과 점착안정성을 갖는 베이스수지이다.
이러한 주름박스(230)의 내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5cm×5cm×1.5mm의 크기를 갖는 시료를 만들고, 이 시료를 비이커에 넣고 밀봉(60℃)한 다음 5일간 드라이오븐(Dryoven)에 방치한 후 상태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겔화 등 아무런 표면 반응이 없었고, 동일한 크기의 다른 시료를 KS-D-9502(기준 240hr)에 따른 염수분무실험시에도 양호하였다. 따라서, 내구성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한편, 지지패널(100)은 천정에 붙거나 혹은 이격설치되는데, 습기와 먼지 등의 오염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내습성과 방오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패널(100)의 외표면에 세바스산(sebace acid) 10.5중량%와, 2-머캅토벤즈이미다졸(MBI) 2.5중량부%, Si-O-Ti 결합을 갖는 폴리실록산 3.5중량%와, 구형 실리카 15중량%와, 크로뮴오커 3.5중량%와, 크실렌 4중량% 및 나머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제를 도포하여 내습방오강화층을 더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바스산은 이물부착성을 억제하는 기능, 즉 방오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2-머캅토벤즈이미다졸(MBI)은 내크랙성 및 열화 방지를 위해 첨가되며, 폴리실록산은 Ti이 결합되어 있어 낮은 건조온도(상온)에서도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시트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구형실리카는 발수성과 방수성을 증대시켜 방습방오 강화특성을 위해 첨가되고, 크로뮴오커는 적외선 반사율을 증대시켜 내열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크실렌은 분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분산용매이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열반사 특성을 증대시켜 차열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100: 지지패널 200: 본체부
300: 결속블럭 400: 슬라이더

Claims (1)

  1. 천정에 매설된 나사집(1)과의 볼팅체결을 위한 관통홀(101)이 양측에 형성된 지지패널(100)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패널(100)의 하면 양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레일부(110)가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110) 사이에는 배선고정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레일부(110)는 중앙부가 개방된 '┖ ┙'형을 갖고, 상기 배선고정부(120)는 상기 지지패널(100)의 하면에 설치된 나선봉(102)에 나선결합되는 몸통부(121)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121)의 하단에는 전원공급배선(2)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편(122)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부(110)에는 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더(400)가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더(400)의 각 하단에는 결속블럭(300)이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결속블럭(300)에는 주름을 가져 절첩가능한 복수개의 '∪'형 주름박스(230)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주름박스(230)의 개방된 양측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240)가 구비되고; 상기 주름박스(230)에는 상기 전원공급배선(2)으로부터 분기되는 전선(3)을 주름박스(230)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장공(231)이 수평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주름박스(230)의 상단부에는 절첩되는 면 상에 주름고정공(232)이 천공 형성되며;
    상 결속블럭(300)의 하단부에는 하단면까지 개방된 주름고정슬릿(310)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고정슬릿(3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체결공(320)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주름박스(230)의 상단부는 상기 주름고정슬릿(310)에 삽입된 다음 상기 체결공(320)과 주름고정공(232)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30)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결속블럭(300)의 상단면에는 결속블럭(300) 보다 더 얇은 두께로 돌출된 삽입편(34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34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장착구멍(34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멍(342)에는 탄성고정유닛(350)이 나사체결되며;
    상기 탄성고정유닛(350)은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구멍(342)에 나사고정되는 'ㄷ' 형상의 고정구(351)와, 상기 고정구(351)의 밀폐면 중심에 관통형성된 돌출안내공(352)과, 상기 고정구(351)의 내부에 장입되고 상기 돌출안내공(352)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353)를 갖는 'ㅓ' 형상의 탄성유동구(354)와, 상기 탄성유동구(354)의 후면에 탄지되는 코일스프링(355)과, 상기 코일스프링(355)을 탄압하면서 상기 고정구(351)의 개방단에 나사체결되는 스프링고정편(35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400)는 사각헤드(410)와, 상기 사각헤드(410)로부터 돌출된 사각돌기(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돌기(420)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삽입편고정슬릿(4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에는 삽입편(340)이 끼워지며, 상기 사각돌기(4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통공(44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고정슬릿(430)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통공(440)은 사각돌기(420)의 바깥면에서 삽입편고정슬릿(430)을 향해 일정깊이 해제구멍(442)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구멍(442)과 연결되면서 더 큰 직경의 고정구멍(444)이 형성되도록 단차 가공되고, 상기 고정구멍(444)은 상기 돌출부(353)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KR1020180019468A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KR20190099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68A KR20190099701A (ko)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468A KR20190099701A (ko)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01A true KR20190099701A (ko) 2019-08-28

Family

ID=6777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468A KR20190099701A (ko) 2018-02-19 2018-02-19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9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867A (ko) * 2020-03-31 2021-10-08 (주)다우티이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전선 보호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68B1 (ko) 2010-05-31 2010-07-27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분전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68B1 (ko) 2010-05-31 2010-07-27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분전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867A (ko) * 2020-03-31 2021-10-08 (주)다우티이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전선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6529C2 (ru) Электрифицированные соединители нижней части каркаса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US9109365B2 (en) Insulated cover for attic openings
US7183503B2 (en) Recessed in-floor fitting
KR20190099701A (ko) 공동주택 전기 분전함
WO2020113915A1 (zh) 一种拉手组件和淋浴房
US6365831B1 (en) Electrical box
KR100960653B1 (ko)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 방지용 배전함체
JP2018193854A5 (ja) ユニットハウスの壁面構造
US20120186871A1 (en) Adjustable electrical box
US7604209B2 (en) Support for luminaire
KR101578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US7484979B2 (en) Hub assembly
KR10198581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지지구
KR102177410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케이블 보호장치
KR200328226Y1 (ko) 전선고정용클립
US20160177598A1 (en) Locking device
US11946836B2 (en) Suction particle detection system having a wall or ceiling feedthrough
EP2157370A2 (en) Adaptable insert
JP2000283363A (ja) 埋込み型ガス栓の取付け構造及び取付け方法
KR100660133B1 (ko) 벽면에 설치되는 공동주택용 통합 전선 보호덕트
JP3487174B2 (ja) 間仕切り壁
JP5777864B2 (ja) 軒天井材の支持金物及び軒天井材の取付構造
JP5324948B2 (ja) 天井又は壁用の建築用パネル
TWM655436U (zh) 監視器電盒結構
CN212615528U (zh) 智能风机电控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