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992A - Hydraulic servo mechanism - Google Patents
Hydraulic servo mechan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8992A KR20190098992A KR1020197019461A KR20197019461A KR20190098992A KR 20190098992 A KR20190098992 A KR 20190098992A KR 1020197019461 A KR1020197019461 A KR 1020197019461A KR 20197019461 A KR20197019461 A KR 20197019461A KR 20190098992 A KR20190098992 A KR 201900989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collar
- spool
- servo mechanism
-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2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manually-operated pilot valves, e.g. joysti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7—Means for damping the valve member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25—Directional control valves, e.g. 4/3-directional control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rvomotor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차량의 제작에 사용되는 방향 제어 밸브의 유압 구동을 위한 서보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대상은, 진동 현상이 없는 면적차 서보기구이다. 면적차 보상 시스템이 제공되고, 또한 서보기구를 따라 존재하는 스풀의 공동부를 구획하는 감소 압력 챔버와 공급 압력 챔버가 적절히 배치된다. 면적차는 감소된 구동 라인에 연결되는 챔버 내부에 있는 스풀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면적 변화부를 통해 얻어진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omechanism for hydraulic drive of a direction control valv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obile vehicle, and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ea difference servomechanism without a vibration phenomenon. An area difference compensation system is provided, and a reduction pressure chamber and a supply pressure chamber are also appropriately arranged which partition the cavity of the spool present along the servo mechanism. The area difference is obtained through an area change formed along the spool inside the chamber connected to the reduced drive li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형 차량의 제작에 사용되는 방향 제어 밸브의 유압 구동을 위한 서보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대상은, 작동자에 의한 추력 일을 감소시켜 서보기구의 진동을 피할 수 있는 유압 서보기구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omechanism for the hydraulic drive of a directional control valv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obile vehicle, and in particul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thrust work by the operator to avoid the vibration of the servomechanism It is a servo mechanism.
서보기구의 작동은 레버 또는 페달로 제어되는 기계적 운동 기구로 이동형 차량을 운전하는 작동자에 의해 수행된다.Operation of the servomechanism is performed by an operator driving a mobile vehicle with a mechanical movement mechanism controlled by a lever or a pedal.
제 1 종래 기술 예가 특허 EP1777419에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스프링 및 스풀(spool) 자체의 전체 직경에 감소 압력이 가해져 발생되는 힘이 그 스풀에 작용하여 작동자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에 저항을 주게 된다. 감소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내부 스프링에 저항해서 작용하여 스풀 자체의 조절을 행하게 된다.A first prior art example is described in patent EP1777419, where a reduc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ntire diameter of the spring and the spool itself so that the force generated acts on the spool to resist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operator. . The force generated by the reducing pressure acts against the inner spring to regulate the spool itself.
상기 서보기구가 제어 신호의 적절한 전달을 위해 대형 기계에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풀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스풀은 더 높은 유량을 분배할 수 있다. 제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그러한 압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증가되면, 동일한 전달을 이루기 위해 작동자가 서보기구에 전달해야 하는 일이 더 커지게 된다.If the servomechanism is to be used in a large machine for prope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it is necessary to use a spool with a larger diameter, which can distribute higher flow rates. While maintaining the control pressure constant, as the area where such pressure acts increases, the work that the operator has to deliver to the servomechanism becomes greater to achieve the same delivery.
많은 제조업자들이 면적차 서보기구를 사용하여 그러한 문제를 없앴는데, 이의 일 예가 문헌 EP1031780 이다.Many manufacturers use area difference servo mechanisms to eliminate such problems, an example of which is document EP1031780.
이러한 종류의 기구에서, 감소 압력은 더 이상 스풀의 전체 직경에 작용하지 않고, 스풀 자체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그러한 압력은 원형 크라운에 가해지게 된다. 스풀 직경을 증가시켜도, 작동자에 저항하여 작용하는 감소 압력으로 인한 추력의 영향이 감소된다.In a mechanism of this kind, the reducing pressure no longer acts on the overall diameter of the spool, an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spool itself, such pressure is applied to the circular crown. Increasing the spool diameter also reduces the influence of thrust due to the reduced pressure acting against the operator.
종래 기술의 단점은 상기 서보기구의 제어 운동 기구의 스윙 현상에 관련 있다. 이러한 진동 현상은, 운동 기구의 그러한 스윙을 발생시켜 서보기구를 통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심각한 작동 결함이 될 뿐만 아니라, 작동자의 안전에도 문제가 되는데, 왜냐하면, 그 진동 현상은 서보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의도치 않은 통제 불능의 작동을 야기하기 때문이다.A disadvantage of the prior art is related to the swing phenomenon of the control movement mechanism of the servo mechanism. This vibration phenomenon causes such a swing of the movement mechanism to operate the servo mechanism in an uncontrolled manner, which is not only a serious operating defect, but also a problem for the safety of the operator, because the vibration phenomenon is mounted on the servo mechanism. This can cause unintended operation of uncontrolled vehicles.
면적차 해결책으로 서보기구가 적절히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는 동일한 배출 압력으로 있어야 한다. 사실, 이것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동일한 압력이 잡혀 유지된다면, 전술한 진동이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종래 기술에서는 3개의 해결책을 가정한다:In order for the servo mechanism to function properly as an area difference solution, the chamber opposite the pusher must be at the same discharge pressure. In fact, if this does not happen and the same pressure is kept held, the above-mentioned vibration can be started. To achieve this connection, the prior art assumes three solutions:
- 제 1 해결책은, 서보기구 공동부를 따라, 공급 압력 챔버(P)와 감소 압력 아래에서 스풀을 구획하는 챔버를 삽입하는 것이고, 구멍의 사용에 관련되거나 서보기구 자체의 본체 내부의 배출 라인을 구획하는 것에 관련되지 않으며, 이 경우, 동일한 서보기구 본체에 추가 공동부가 삽입되어, 코어 박스에 내에 형성되거나 중첩될 가공으로 얻어지는 도관 및/또는 통로의 수와 본체 자체의 높이가 증가되며;The first solution is to insert, along the servomechanical cavity, a chamber for partitioning the spool below the supply pressure chamber P and the reducing pressure, and to partition the discharge line, which is related to the use of a hole or inside the main body of the servomechanism itself. In this case, additional cavities are inserted in the same servomechanical body,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nduits and / or passages and the height of the body itself resulting from processing to be formed or superimposed within the core box;
- 제 2 해결책은,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와 서보기구의 본체의 외부 사이의 직접적인 배출 연결부를 서보기구의 하측 부분에 삽입하여, 챔버를 필요한 본체의 배출부 쪽으로만 전달하기 위해 추가 외향 구멍 또는 뚜껑을 삽입하고, 전술한 해결책의 단점이 나타나며;The second solution is to insert a direct discharge connection between the chamber opposite the pusher and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servomechanism into the lower part of the servomechanical, so that an additional outward hole or lid for delivering the chamber only toward the outlet of the required body. And the disadvantages of the solution described above appear;
- 제 3 해결책은 전체 스풀을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을 도입하는 것인데, 이 관통 구멍은 푸시어측 배출 챔버를 그 반대편의 이러한 챔버에 연결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US 4 566 492에 기재되어 있고, 한계는, 상기 용례를 위해 제공되는 수명 사이클의 횟수 아래에서 코어 직경의 피로 파괴를 피하도록 최대 인장 상태(작동 조건 하에서 제한됨)를 보장하기 위해 스풀 코어의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그러한 챔버에 가해진 모든 압력을 배출부 쪽으로 배출하기 위해 스풀을 통과하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구멍을 얻는 것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특허의 해결책과 유사한 해결책은 추가적인 단점을 갖는데, 이 단점은, 공동부 내의 스풀을 구획하는 감소 압력 챔버가 배출 압력의 수준과 공급 압력(P)의 수준 사이에 있기 때문에 나타난다.The third solution is to introduce a through hole across the entire spool, which can connect the pusher side discharge chamber to this chamber on the opposite side, which is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4,566,492, the limit being Relieve all pressure exerted on such chambers while maintaining a sufficient thickness of the spool core to ensure maximum tension (limited under operating conditions) to avoid fatigue failure of the core diameter below the number of life cycles provided for this application. To get a hole with a diameter of sufficient size to pass through the spool for discharge to the side. In addition, a solution similar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has an additional disadvantage, which appears because the reduced pressure chamber which partitions the spool in the cavity is between the level of the discharge pressure and the level of the supply pressure P.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동 서보기구에서, 배출부와 감소 압력 영역을 연결하는 오목부는 공급 압력을 감소 압력 자체에 연결하는 오목부의 칼라 보다 큰 칼라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유로, 공급 압력과 감소 압력 사이의 연결부에서, 면적차가 없는 서보기구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압력차를 유지하기 위해 더 깊은 오목부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데, 하지만, 코어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있으면, 전술한 구조적 한계 때문에 오목부를 원하는 깊이로 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는 구성 한계가 있다.In essence, in the differential servo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recess connecting the outlet and the reducing pressure region is arranged in a collar larger than the collar of the recess connecting the supply pressure to the reducing pressure itself.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use a deeper reces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pply pressure and the reducing pressure to maintain the same pressure difference used in the servo mechanism without area difference, but if there is a through hole having a core diameter, There is a construction limitation that,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make the recess the desired depth.
본 발명의 목적은, 면적차 보상 시스템, 및 서보기구를 따라 존재하는 스풀의 공동부를 구획하는 감소 압력 챔버와 공급 압력 챔버의 적절한 배치로 유압 서보기구의 작동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working days of the hydraulic servomechanism with the area difference compensation system and the proper arrangement of the supply pressure chamber and the reducing pressure chamber which defines the cavity of the spool present along the servomechanism.
특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구동 감소 라인에 연결되는 챔버 내부의 스풀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변화를 통해 면적차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area difference through the change of the area formed along the spool inside the chamber connected to the drive reduction l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윙 현상을 없애는 것인데, 이 현상은, 전체 스풀을 가로지르고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를 푸시어 자체의 측에 있는 배출 챔버에 연결하는 채널로 일어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the swing phenomenon, which occurs with a channel that traverses the entire spool and pushes the chamber opposite the pusher to the discharge chamber on its s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풀의 제 2 칼라의 직경을 감소시켜 공급 압력 챔버와 감소 압력 챔버 사이의 교차부의 하류에서 면적차를 얻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llar of the spool to obtain an area difference downstream of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supply pressure chamber and the reducing pressure chamber.
이러한 해결책 덕분에, 스풀의 제 1 칼라와 제 2 칼라를 연결하는 코어 길이는, 적절한 압력차를 유지하기 위해 공급 압력과 감소 압력 사이에 더 깊은 연결 오목부를 가질 필요가 있는 제한을 더 이상 갖지 않으며, 그래서, 전체 스풀을 통과하고 코어 직경의 레벨에서 스풀 자체의 인장 한계에 영향을 줌이 없이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를 배출할 수 있게 해주는 충분한 크기의 구멍을 얻을 수 있다. Thanks to this solution, the core length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llars of the spool no longer has the limitation of having to have a deeper connection recess between the supply pressure and the reducing pressure in order to maintain a proper pressure differential.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a hole of sufficient size to pass through the entire spool and push out the chamber on the opposite side without affecting the tension limit of the spool itself at the level of the core diameter.
서보기구의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는 동적 반응이 과도하게 빠르다는 것인데, 서보기구의 스풀의 더 점진적인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복귀가 너무 빠르면 거스릴 수 있음), 서보기구의 감소 압력 챔버와 배출부 사이의 연결부를 좁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중요하고, 이는, 스풀 칼라에 형성되고 내부 도관을 구획하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횡단 구멍에 의해 일어난다.Another undesirable effect of the servomechanism is that the dynamic response is excessively fast, in order to ensure a more gradual return of the spool of the servomechanism (which can be countered if the return is too fast), the reducing pressure chamber and outlet of the servomechanism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narrow the connection between them, which is caused by one or more transverse holes that are formed in the spool collar and are suitable for partitioning the inner conduit.
위의 목적 및 이점 모두는, 아래에 제시된 청구 범위에 제공되어 있는 바를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주제인 진동 감쇠 시스템을 갖는 유압 서보기구로 달성되고 얻어진다.All of the above objects and advantages are achieved and obtained with a hydraulic servomechanism having a vibration damping system which is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characterized by what is provided in the claims set out below.
이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에서 제한적이 아닌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일부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 상세하게 될 것이다.These and other features will be further detail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some embodiments, which are shown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in the figure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가 없는 유압 서보기구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 서보기구의 단면을 도시하며,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는 챔버 자체를 구획하는 횡단 배출 도관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그 도관은 스풀을 구획하는 공급 라인 챔버와 감소 압력 챔버 아래에 위치되는 공동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 서보기구의 다른 단면을 도시하며, 스풀을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를 배출부에 연결한다.
도 4 및 4a는 본 발명의 주제인 면적차 서보기구 및 이의 세부의 단면을 도시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aulic servo mechanism having no are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area difference servo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rein the chamber opposite the push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ransverse discharge conduit which defines the chamber itself, the conduit being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chamber and the reducing pressure which defines the spool. It is arranged along the cavity located below the chamber.
Fig. 3 shows another cross section of the area difference servo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the spool is pushed to connect the opposite chamber to the outlet.
4 and 4A show a cross section of an area difference servo mechanism and details thereof which are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서보기구의 작동 모드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operating mode of the hydraulic servo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most widely used.
이 유압 서보기구는 본체(1a)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 내부에서 압력 감소 밸브가 작동한다.This hydraulic servo mechanism consists of the
압력 감소 밸브는 스풀(8), 스프링(2a, 2b), 및 플레이트(7)로 이루어지고, 푸시어(4)에 의해 작동되며, 이 푸시어는 구동 운동 기구(20)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캠(5)에 의해 작동된다.The pressure reducing valve consists of a
스풀(8)의 공동부(3)를 구획하는 3개의 중첩 챔버가 본체(1a) 안에 위치하는데, 즉, 한 챔버는 압력 라인(P)에 연결되는 중앙 위치(9)에 있고, 다른 챔버는 배출 라인(T)에 연결되는 상측 위치(6)에 있으며, 마지막 챔버는 하측 위치에 있고, 이 챔버에는 2개의 챔버(12) 사이에 발생되는 감소 압력이 존재한다.Three overlapping chambers which define the
양 챔버는 서보기구의 하측 부분에 위치되는 펌프와 배출부에 각각 연결되기 위한 포트(P, T)에 연결된다.Both chambers are connected to ports P and T for connecting to the pump and the outlet, respectively,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rvomechanism.
구체적으로, 챔버(6)는 챔버 자체의 하측 부분에 위치되는 구멍(10)을 통해 배출 포트(T)에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캠(5)이 푸시어(4)를 아래로 밀면, 푸시어가 플레이트(7)에 작용하게 되며 그래서 스프링(2b)이 압축되고, 이 스프링은 스풀(8)에 작용하여 그 스풀을 작동 위치로 아래쪽으로 밀게 된다.When the
제 1 단점이, 위에서 언급한 작동 동안에, 챔버(12)에 존재하는 조절되는 감소 압력이 스풀면(13)에서 푸시어에 저항하기 때문에 생기는데, 그의 직경이 클수록,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작동은 더 높게 된다.The first drawback is that during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the controlled reduced pressure present in the
종래 가술은, 배출 라인을 따라 더 높은 오일 유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큰 직경을 갖는 직경(13)을 스풀(8)이 필요로 할 때도 작동일을 줄일 수 있는 유압 서보기구를 제공하고,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면적차 서보기구로서의 특징이 도시되어 있다. 본체(1b)에는 3개의 중첩 챔버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데, 즉, 중앙에 위치되는 챔버는 감소 압력(12)에 연결되고, 상측 챔버는 배출부(6)에 연결되며, 하측 챔버는 공급 압력(P(9))에 연결된다. 이전의 해결책과는 달리, 제 4 챔버(21)가 또한 존재하는데, 이 챔버는 스풀(108)의 공동부(3)를 따라 푸시 반대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provides a hydraulic servomechanism that can reduce working days even when the
스풀(108)은 코어(17)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2개의 칼라(14, 18)로 분할되어 있다. 배출부(6)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15)를 통해 상기 감소 압력 챔버(12)에 연결되고, 공급 압력 챔버(9)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19)를 통해 상기 감소 압력 챔버에 연결된다.The
상측 칼라(14)는 하측 칼라(18)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래서, 상측 칼라 영역(16) 및 하측 칼라 영역(25)에 작용하는 감소 압력은 평형을 이루지 않으며, 푸시어(4)가 작동될 때 이 푸시어에 저항하는 상향 추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공급 챔버와 감소 압력 챔버 사이의 압력차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오목부(19)가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칼라(18)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오목부는 더 깊어야 하며, 가공은 스풀 자체의 코어(17)의 직경의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는 구성 한계가 있게 된다.The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서보기구의 구성의 추가 단점은, 챔버(21)에서, 스풀의 하측면(103)에 대한 압력의 개입으로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스풀(108)에 작용하여 서보기구의 제어가 상실된다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챔버(21)는 횡단 도관(23)을 통해 또는 외향 배출 구멍(22)을 통해 배출 라인(10)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전술한 두 조치 중의 하나만으로도 충분함). 이러한 해결책에서는, 도관, 본체 내부의 대응하는 교차부, 외측 연결부 및/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공동부의 갯수와 관련하여 서보기구의 본체(1b) 내부에서 실시의 복잡도가 더 높게 된다.A further disadvantage of the arrangement of the servo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that in the
도 3에는, 면적차 서보기구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챔버(21)는 스풀(208)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24) 및 챔버(6)를 횡단하는 연속하는 횡단 구멍(26)을 통해 배출 라인(10)에 연결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변화예의 구성 한계는 기계-구조적인 것인데, 사실, 구멍(24)은 챔버(21)의 모든 압력을 배출부(6)에 배출하기에 충분히 커야 하고, 스풀(208)의 코어(17)의 직경은, 적절한 크기의 구멍(24)을 수용하고 또한 위에서 언급된 용례를 위해 제공되는 수명 사이클의 횟수 아래에서 피로 파괴를 피하기 위해 최대 인장 상태(작동 조건 하에서 제한됨)를 보장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 직경의 상한은 스풀(208)의 하측 칼라(18)에 형성되는 오목부(19)의 깊이에 의해 주어진다.3, an area difference servo mechanism is shown in which the
도 2 및 도 3에서, 챔버(6)와 챔버(12) 사이의 연결은 스풀(108, 208)의 상측 칼라(14)에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15)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좁은 통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 스풀(108, 208)의 더 점진적이고 과도하게 빠르지 않은 복귀를 보장하여 작동자에게 주어지는 너무 빠른 동적 상태의 불쾌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감소 압력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2 and 3, the connection betwee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가공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규한 서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도 4의 도움으로 더 잘 설명될 것이며, 이 도는 본 발명의 주제인 유압 면적차 서보기구를 나타낸다.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servomechanism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minimizing machining cost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ill be better explained with the help of Fig. 4, which shows a hydraulic area difference servo mechanism which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d)에는 3개의 중첩 챔버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데, 즉, 중앙에 위치되는 챔버는 공급 압력(9)에 연결되고, 상측 챔버는 배출부(6)에 연결되며, 하측 챔버는 감소 압력(12)에 연결된다.In the
제 4 챔버(21)가 공동부(3)를 따라 정확히 푸시어(4) 반대편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챔버(21)는 작동 상태에서 스풀(308)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도, 공동부(21)는 배출 챔버(6)에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 그러한 연결은 관통 구멍(24) 및 횡단 구멍(26)을 통해 이루어진다.A
스풀(308)은 2개의 칼라를 포함하는데, 상측 칼라는 "314"로 나타나 있고, 하측 칼라는 "318"로 나타나 있으며, 이들 칼라는 스풀 자체의 코어(317)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하측 칼라(318)는 2개의 부분(318a, 318b)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중의 제 1 부분(318a)은 코어(317)에 인접해 있고 상측 칼라(314)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한편, 코어(317)는, 상측 칼라(314)의 직경 및 하측 칼라의 제 1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The
유압 서보기구 자체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면적차는 더 이상 코어에 인접하는 두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두 영역(316, 325)의 차를 통해 얻어지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들 두 영역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공급 챔버(9)와 챔버(12) 사이의 감소 압력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해 더 깊은 오목부(319)를 만들 필요가 더 이상 없는데, 왜냐하면, 그 오목부는 스풀의 더 큰 직경부에 형성되기 때문이며, 코어(317)는 최대 크기 면에서 종래 기술의 이전 경우와 비교하여 덜 엄격한 구성 한계를 갖는다.The area difference used to perform the adjustment of the hydraulic servomechanism itself is no longer obtain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코어(317) 자체 내부의 구멍은, 챔버(21) 내부에 생성되는 압력을 최소의 부하 손실로 배출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hole inside the
칼라(318)의 하측 부분(318b)은 그 칼라의 인접하는 상측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챔버(12) 내부에서 면적 변화부(28)가 칼라(318)에 형성되어 있고, 이 면적 변화부는 칼라의 제 1 부분(318a) 및 제 2 부분(318b) 모두에 대해 협소부를 형성하고, 이제 서보기구의 감소 압력이 그 협소부에 작용한다. 이 면적 변화부는 도 2 및 3에 따른 종래 기술에 따라 얻어지는 서보기구에서 형성되는 면적차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단차부를 형성한다.The
구멍(24)은 종래 기술의 경우 보다 작은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구멍을 통해, 챔버(12)에 존재하는 감소 압력을 챔버(6)에 존재하는 배출부에 연결하고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위에서 언급된 조절은 도관(24)을 구획하는, 스풀(308)의 하측 칼라(318)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횡단 구멍(27)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멍(27)의 치수를 변화시켜, 조절 스풀(308)의 더 점진적이고 과도하지 않게 시기 적절한 복귀를 보장하기 위해 감소 압력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is made by one or more
챔버(6, 9, 12)는 횡으로 본체(1d)를 따라 공동부(3)를 구획하기에 적합한데, 더 상세히 말하면, 챔버(9)(작동 유압 압력을 받음)는 중간 챔버이고, 감소 압력 챔버(12)는 하측 챔버이다.The
챔버(6, 9, 12)의 이러한 배치로, 챔버(21)가 배출부에 적절히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그 챔버의 잔류 압력으로 인해 생기는 진동에 반응이 무딘 유압 면적차 서보기구가 얻어진다.This arrangement of the
추가로, 오목부(319)에 대한 엄격한 깊이 제한이 없이, 코어(317)의 직경은, 작동 조건 하에서 재료 인장의 관점에서 과도한 응력을 받음이 없이 내부 도관(24)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감소 압력과 배출부 사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넓다.In addition, without strict depth limitations on the
1a, 1b, 1c, 1d 본체
2 스프링(2a, 2b)
3 스풀 공동부
4 푸시어
5 캠
6 배출 챔버
7 플레이트
8 스풀
108 스풀
208 스풀
308 스풀
9 공급 챔버(P)
10 배출 도관(T)
12 감소 압력 챔버
13 스풀(8)의 하측 영역
14 상측 칼라
15 상측 칼라 오목부
16 상측 칼라 영역
17 코어 스풀
18 하측 칼라
19 하측 칼라 오목부
20 운동 기구
21 푸시어 반대편의 챔버
22 외향 배출 구멍
23 배출부(10)의 연결 도관
24 관통 구멍
25 하측 칼라 영역
113 스풀(108)의 하측 영역
213 스풀(208)의 하측 영역
313 스풀(308)의 하측 영역
314 상측 칼라
316 상측 칼라 영역
317 스풀(308)의 코어
318 하측 칼라
318a 상측 칼라의 상측 부분
318b 상측 칼라의 하측 부분
319 하측 칼라의 오목부
325 하측 칼라 영역
26 배출부를 구획하는 횡단 구멍
27 감소 압력 조절 구멍
28 면적 변화부1a, 1b, 1c, 1d body
2 springs (2a, 2b)
3 spool cavity
4 pusher
5 cam
6 discharge chamber
7 plates
8 spools
108 spool
208 spool
308 spool
9 Supply chamber (P)
10 exhaust conduit (T)
12 reducing pressure chamber
13 Lower area of the spool (8)
14 upper collar
15 Upper collar recess
16 upper collar area
17 core spool
18 lower collar
19 Lower collar recess
20 exercise equipment
21 Chamber opposite pusher
22 Outward outflow hole
23 Connection conduit of
24 through hole
25 lower collar areas
Lower area of 113
Lower area of 213 spool (208)
Lower area of 313
314 upper collar
316 upper collar area
Core of 317 Spool (308)
318 lower collar
318a upper part of upper collar
318b Lower part of upper collar
319 recess of lower collar
325 lower collar area
26 Cross-holes to compartment outlet
27 reducing pressure adjustment holes
28 area change departments
Claims (8)
a.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3)와 적어도 3개의 챔버(6, 9, 1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1d),
ⅰ. 상기 본체의 제 1 챔버(6)는 상기 본체(1d)의 배출 라인(T)에 연결될
수 있고,
ⅱ. 상기 본체의 제 2 챔버(9)는 공급 압력(P)에 연결될 수 있으며,
ⅲ. 상기 본체의 제 3 챔버(12)는 상기 서보기구에 의해 조절되는
감소 압력이 그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
b. 서로 동축이며 상기 공동부(3)를 따라 자유롭게 병진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어(4)와 플레이트(7);
c. 서로 동축이고 동심인 스프링들(2a, 2b)로서, 각각
ⅰ. 상기 플레이트(7)를 상기 푸시어(4)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ⅱ. 스풀(308)에 작동 추력을 발생시키는 데에 적합한 스프링들(2a, 2b)
- 상기 스풀(308)은 상기 공동부(3)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코어(317)에 의해 분리되는 칼라(314, 318)를 포함함 -; 및
d. 상기 스풀(308)의 아래쪽에서 상기 푸시어(4)의 반대편에 있는 제 4 챔버(21)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구멍(24, 26)이 상기 제 4 챔버(21)를 제 1 챔버(6)에 연결하며,
상기 푸시어(4)가 작동될 때, 상기 제 2 챔버(9)와 제 3 챔버(12)는 하측 칼라(318a)의 제 1 부분을 따라 하나 이상의 오목부(319)를 통해 연통하고,
- 상기 하측 칼라(318)는 적어도 2개의 부분(318a, 318b)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중의 제 1 부분(318a)은 상기 코어(317)에 인접해 있고 상측 칼라(314)와 같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하측 칼라(318)의 제 2 부분(318b)은 인접하는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코어(317)는 상측 칼라(314) 및 제 1 부분(318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 상기 부분들(318a, 318b)은 제 1 부분(318a)과 제 2 부분(318b) 모두에 대해 협소부를 형성하는 면적 변화부(28)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 상기 서보기구는 칼라(318)에서 하나 이상의 구멍(27)을 포함하며, 이들 구멍은 하나 이상의 구멍(24)을 구획하고 또한 상기 챔버(12)를 상기 제 1 챔버(6)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압 서보기구.As the hydraulic servo mechanism 100,
a. At least one body 1d having at least one cavity 3 and at least three chambers 6, 9, 12,
Iii. The first chamber 6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line T of the main body 1d.
Can,
Ii. The second chamber 9 of the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ressure (P),
Iii. The third chamber 12 of the main body is controlled by the servo mechanism
The reducing pressure is configured to act on it;
b. At least one pusher (4) and a plate (7) coaxial with each other and freely translatable along the cavity (3);
c. Springs 2a and 2b which are coaxial and concentric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Iii. Keep the plate 7 pressed against the pusher 4,
Ii. Springs 2a and 2b suitable for generating actuating thrust on spool 308
The spool 308 is slidable inside the cavity 3,
Also includes collars 314 and 318 separated by core 317; And
d. A fourth chamber 21 opposite the pusher 4 at the bottom of the spool 308,
One or more holes 24, 26 connect the fourth chamber 21 to the first chamber 6,
When the pusher 4 is actuated, the second chamber 9 and the third chamber 12 communicate through one or more recesses 319 along the first portion of the lower collar 318a,
The lower collar 318 consists of at least two parts 318a and 318b, the double first part 318a being adjacent to the core 317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upper collar 314 , The second portion 318b of the lower collar 318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adjacent portion 318a, and the core 317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collar 314 and the first portion 318a. Has a small diameter,
Said portions 318a, 318b are separated by an area change portion 28 which forms a narrow portion for both the first portion 318a and the second portion 318b;
The servomechanism comprises at least one hole 27 in the collar 318, which defines one or more holes 24 and also allows the chamber 12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hamber 6. Consisting of hydraulic servo mechanism.
상기 공동부(3)를 구획하는 상기 3개의 챔버(6, 9, 12)는 횡으로 상기 본체(1d)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챔버(9)는 중간 위치에 있고, 감소 압력의 제 3 챔버(12)는 3개의 챔버들 중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서보기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three chambers 6, 9, 12, which define the cavity 3, are laterally arranged along the body 1d, and the second chamber 9 i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and is of reduced pressure. The third chamber (12) is the lowest of the three chambers, the servo mechanism (100).
상기 제 2 챔버(9)와 제 3 챔버(12)를 연결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319)는 하측 칼라(318)에서 상측 칼라와 같은 직경을 갖는 부분(318a)에 형성되어 있는, 서보기구(100).The method of claim 1,
The one or more recesses 319 connecting the second chamber 9 and the third chamber 12 are formed in a portion 318a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upper collar in the lower collar 318. 100.
상기 상측 칼라(31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6)을 포함하는 서보기구(100).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ervo mechanism (100) comprising a hole (26) formed in the upper collar (314).
상기 스풀(308)을 따라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24)을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칼라(318)에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27) 및 상기 칼라(314)에 있는 구멍(26)은 가변적인 직경을 가지고 있는, 서보기구(100).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or more holes 27 in the collar 318 and holes 26 in the collar 314, configured to define one or more holes 24 extending axially along the spool 308. ) Has a variable diameter, the servo mechanism (100).
상기 제 2 챔버(9)는 상기 상측 칼라(314)의 구멍(26)과 하측 칼라(318)의 구멍(27)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서보기구(100).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second chamber (9) is arrange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hole (26) of the upper collar (314) and the hole (27) of the lower collar (318).
상기 스풀은 상기 하측 칼라(318)의 제 2 부분(318b)과 푸시어(4) 반대편의 단부 사이의 길이에서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있는, 서보기구(100).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pool has a constant diameter in length between the second portion (318b) of the lower collar (318) and the end opposite the pusher (4).
상기 상측 칼라(314) 및 하측 칼라(318)는 상기 코어(317)에 인접하는 두 단부에 배치되는 대응 영역(316, 325)을 규정하고, 이들 영역(316, 325)은 동일한 표면적을 가지고 있는, 서보기구(100).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upper collar 314 and the lower collar 318 define corresponding regions 316, 325 disposed at two ends adjacent to the core 317, which regions 316, 325 have the same surface area. , Servo mechanism 1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T102016000127801A IT201600127801A1 (en) | 2016-12-16 | 2016-12-16 | HYDRAULIC SERVO WITH DIFFERENTIAL AREA |
IT102016000127801 | 2016-12-16 | ||
PCT/IB2017/058017 WO2018109743A1 (en) | 2016-12-16 | 2017-12-15 | Hydraulic servomechanis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8992A true KR20190098992A (en) | 2019-08-23 |
KR102661223B1 KR102661223B1 (en) | 2024-04-25 |
Family
ID=5854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9461A KR102661223B1 (en) | 2016-12-16 | 2017-12-15 | hydraulic servo mechanism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1223B1 (en) |
CN (1) | CN110088486B (en) |
IT (1) | IT201600127801A1 (en) |
WO (1) | WO2018109743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6492A (en) * | 1983-02-15 | 1986-01-28 | Rexroth Sigma | Fluid distributing device, more especially for remote control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593265B1 (en) * | 1986-01-17 | 1988-04-22 | Rexroth Sigma | PRESSURE HYDRAULIC FLUID DISTRIBUTOR |
CN1172522A (en) * | 1994-11-14 | 1998-02-04 | 株式会社小松制作所 | Hydraulic pilot valve |
JPH08159331A (en) * | 1994-12-08 | 1996-06-21 | Komatsu Ltd | Hydraulic pilot valve |
JPH08303408A (en) * | 1995-04-28 | 1996-11-19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Pressure reducing valve type pilot valve device |
FR2793532B1 (en) * | 1999-05-12 | 2001-08-03 | Mannesmann Rexroth Sa | FLUID DISTRIBUTOR DEVICE, PARTICULARLY FOR HYDRAULIC REMOTE CONTROL |
JP5238739B2 (en) * | 2010-02-26 | 2013-07-17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Operating device |
CN103256270A (en) * | 2013-05-24 | 2013-08-21 | 平原机器厂(新乡) | Pedal pilot valve |
CN104214409B (en) * | 2014-07-11 | 2017-01-04 | 柳州柳工液压件有限公司 | The positioner of hand reducing pressure formula proportional pilot valve |
-
2016
- 2016-12-16 IT IT102016000127801A patent/IT201600127801A1/en unknown
-
2017
- 2017-12-15 WO PCT/IB2017/058017 patent/WO201810974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12-15 CN CN201780078099.9A patent/CN110088486B/en active Active
- 2017-12-15 KR KR1020197019461A patent/KR1026612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6492A (en) * | 1983-02-15 | 1986-01-28 | Rexroth Sigma | Fluid distributing device, more especially for remote contr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1223B1 (en) | 2024-04-25 |
IT201600127801A1 (en) | 2018-06-16 |
CN110088486B (en) | 2021-04-20 |
WO2018109743A1 (en) | 2018-06-21 |
CN110088486A (en) | 2019-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32227B2 (en) | Pressure control valve with asymmetric valve actuation structure | |
JP5848721B2 (en) | Buffer valve | |
JPH11247802A (en) |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system having priority in detecting load | |
WO2012124386A1 (en) | Control valve | |
JP2683244B2 (en) | Control valve | |
US6212886B1 (en) | Hydraulic drive system and directional control valve apparatus in hydraulic machine | |
US20180172146A1 (en) | Valve body for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
WO2021059614A1 (en) | Flow control valve | |
JP3337121B2 (en) | Pilot valve | |
KR20190098992A (en) | Hydraulic servo mechanism | |
KR101861462B1 (en) | Valve structure | |
KR20170052685A (en) | Load sensing valve device | |
CN214577994U (en) | Load-sensitive multi-way valve reversing linkage | |
TWI771044B (en) | Gas cylinder | |
KR102005159B1 (en) | Time delay valve for swivel motor | |
JP6721349B2 (en) | Pilot type solenoid valve | |
JP2017026015A (en) | Valve body of hydraul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80083366A (en) | Flow divider | |
US11846368B2 (en) | Hydraulic pilot valve | |
US4041836A (en) | Open circuit type acceleration/deceleration device | |
CN114688118A (en) | Load-sensitive multi-way valve reversing linkage | |
WO2023189986A1 (en) | Flow rate control valve | |
JP2019196777A (en) | Spool valve | |
KR101925516B1 (en) | Hydraulic pressure valve of assistance brake apparatus for vehicle | |
JPS6139551B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