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787A -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787A
KR20190098787A KR1020180011151A KR20180011151A KR20190098787A KR 20190098787 A KR20190098787 A KR 20190098787A KR 1020180011151 A KR1020180011151 A KR 1020180011151A KR 20180011151 A KR20180011151 A KR 20180011151A KR 20190098787 A KR20190098787 A KR 2019009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ser terminal
emergency rescue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8787A/ko
Publication of KR2019009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185Signal analysis techniques for reducing or preventing false alarms or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 G08B29/186Fuzzy logic; 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응급 구조 장치(200)가 제공된다. 상기 응급 구조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급 구조 호출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220); 및 상기 통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급 구조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촬영된 응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AN EMERGENCY RESCUE APPARATUS USING REAL-TIME EMERGENCY IMAGE,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급 구조 호출을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자동으로 활성화시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응급 상황을 촬영하는 응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응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집 전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119 구급대, 병원 등 다양한 응급 조치 센터에 연락을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한 사실을 통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는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통해 음성으로 응급 상황을 설명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었고, 따라서 응급 상황의 설명에 장시간의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구조대원(예를 들어, 소방관, 경찰관, 등)가 응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응급 조치가 늦어지거나 부정확하게 대응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응급 상황에 관한 응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구조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응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응급 구조 장치 및 응급 구조 시스템에 관한 요구가 당업계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응급 구조 호출을 발신한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을 응급 구조 장치가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보다 정확한 응급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응급 영상에 기초하여 최적의 응급 조치를 제안함으로써 구조자가 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주변인의 응급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구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급 구조 호출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급 구조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부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촬영된 응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응급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응급 조치를 제안하도록 구성되는 응급조치제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급조치제안부는 복수의 응급 영상을 빅데이터화하고 상기 빅데이터화된 복수의 응급 영상을 인공 지능 기반으로 학습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제안할 응급 조치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유닛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응급조치제안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응급 구조 시스템은, 상기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상기 응급 구조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에 의하면, 응급 구조 호출을 발신한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을 응급 구조 장치가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보다 정확한 응급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응급 영상에 기초하여 최적의 응급 조치를 제안함으로써 구조자가 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주변인의 응급 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과 응급 구조 장치(200)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구조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영상의 실시간 수신 및 그에 따른 즉각적인 응급 조치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과 응급 구조 장치(200)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구조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과 응급 구조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개략적인 블록도 및 응급 구조 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임의의 휴대 전화 통신망을 통해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활용하여 119와 같은 특정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응급 상황을 전달할 수 있고, 출력되는 구조대원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어부(110)와, 통신부(120)와, 카메라부(130)와, GPS부(140)와, 지도부(150)와, 저장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엘리먼트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추가의 다른 엘리먼트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1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통신부(120), 카메라부(130), GPS부(140), 지도부(150) 및 저장부(160)를 총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응급 구조 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2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제어부(110), 저장부(16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사용자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구현될 수 있고, GPS부(140)는 소정의 안테나를 활용하여 인공위성과 실시간으로 통신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로드 및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위 “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단말의 전화번호, 식별 코드 등)를 응급 구조 장치(200)에 전송하고, 응급 구조 장치(200)로부터의 카메라 활성화 조작을 인식하며, 그러한 조작 인식에 따라 카메라부(130)를 활성화하고, GPS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체크하며,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영되는 현재 응급 영상 및 GPS부(140)를 통해 체크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응급 구조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10)가 사용자 단말(1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 정보가 응급 구조 장치(200)에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10)가 응급 구조 장치(200)의 명령을 인식하면 카메라부(130)를 활성화시키고, GPS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체크하며, 응급 상황이 발생한 현재 시각을 체크하고, 그리고 카메라부(130)에 의해 촬영된 현재 응급 상황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응급 구조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지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도부(150)는 소정의 지도를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고, 관리되는 지도에 GPS부(140)를 통해 확인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부(150)는 네비게이션에서 사용되는 지도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를 캡쳐하여 정보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어부(11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가 전송될 때에 지도부(150)에 의해 사용자 위치가 표시된 지도가 응급 구조 장치(200)로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신체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신체 측정부는 구조대원의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 조치를 보다 보완하기 위한 유닛으로서, 예를 들어 부상자의 맥박이 뛰는 피부에 밀착하여 맥박에 의한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부상자의 호흡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등, 부상자의 다양한 신체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응급 구조 장치(200)는 경찰서, 소방서 등에서 구비되는 컴퓨터, 서버 등으로 구현되어 휴대 전화망, 인터넷 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구조 장치(200)는 제어부(210)와, 통신부(220)와, 응급조치제안부(230)와, 저장부(240)와, 관리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되는 응급 구조 장치(200)의 엘리먼트들(210, 220, 230, 240, 250)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추가의 다른 엘리먼트가 더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통신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급 구조 호출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20)의 구현 예는 도 2에 기술된 바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본 단락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10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된 제어부(110)를 사용자가 실행함으로써 응급 구조 호출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급 구조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통신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급 구조 호출이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그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통신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촬영된 응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구조 장치(200)는 통신부(220)에 수신되는 응급 영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응급 조치를 제안하도록 구성되는 응급조치제안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조치제안부(230)는 복수의 응급 영상을 빅데이터(BigData)화하고, 빅데이터화된 복수의 응급 영상을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으로 학습(예를 들어, 기계 학습)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제안할 응급 조치를 생성하는 빅 데이터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응급조치제안부(230)는 복수의 응급 영상을 수집 및 빅데이터화하여 해당 영상이 어떠한 응급 상황에 대한 영상인지를 반복적으로 학습하고, 그에 따른 상황 맞춤형의 응급 조치를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또는 그 주변인에게 제안함으로써 구조대원이 현장에 도달하기 이전에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 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조치제안부(230)는 응급 조치를 제안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100)의 GPS부(140)로부터 도출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조치제안부(230)는 수신되는 실시간 응급 영상을 분석, 학습하여 해당 영상이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긴급 환자에 관한 응급 영상인 것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 주변에 구비된 자동세제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응급 구조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되는 전화번호를 모바일 식별 정보와 매칭할 수 있고, 검색된 모바일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130)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자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위치 및 응급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신체 측정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 신체 상태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으로 판단된 신체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입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파악하고 이를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상 상태인지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10)에 의해 표시되는 비정상 상태의 사용자 정보는 현장에 출동하는 구조 대원에게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현재 위치 주변의 의료 기관에도 함께 전달되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관한 사용자 정보, 단말 식별 정보, 복수의 응급 영상, 각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응급 조치에 관한 정보, 다른 관련 기관(병원, 경찰서, 군부대 등)의 정보(위치, 전화번호,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의 저장부(160) 및 도 3의 저장부(24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응급 구조 장치(200)는 관리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관리부(25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위치 및 응급 영상을 외부 다른 기관(예를 들어, 병원, 경찰서, 군대,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기관이 촬영 영상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함께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병원, 소방서, 경찰, 군부대와 같은 각 기관에서도 URL을 활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응급 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응급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응급 구조 장비를 준비한 상태로 확인된 응급 구조 위치로 신속하게 출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영상의 실시간 수신 및 그에 따른 즉각적인 응급 조치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급 구조 호출이 응급 구조 장치(200)에 전송되면, 응급 구조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촬영된 응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응급 구조 장치(200)의 응급조치제안부(230)는 빅데이터/인공지능학습 기반의 응급 조치를 사용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그 주변인은 구조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부상자를 임시적으로 응급 처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 구조 장치(20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모니터 등을 통해 현장의 응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실시간 응급 구조 상황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에 의하면, 응급 구조 호출을 발신한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영상을 응급 구조 장치가 실시간으로 수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보다 정확한 응급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응급 영상에 기초하여 최적의 응급 조치를 제안함으로써 구조자가 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주변인의 응급 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카메라부
140: GPS부 150: 지도부
160: 저장부 200: 응급 구조 장치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응급조치제안부 240: 저장부
250: 관리부 1000: 응급 구조 시스템

Claims (5)

  1. 응급 구조 장치(200)로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급 구조 호출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220); 및
    상기 통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급 구조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를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210)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촬영된 응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응급 구조 장치(2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220)에 수신되는 상기 응급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응급 조치를 제안하도록 구성되는 응급조치제안부(230)를 더 포함하는,
    응급 구조 장치(2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조치제안부(230)는 복수의 응급 영상을 빅데이터(Big Data)화하고 상기 빅데이터화된 복수의 응급 영상을 인공 지능(AI) 기반으로 학습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제안할 응급 조치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유닛으로서 구현되는,
    응급 구조 장치(2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응급조치제안부(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도록 구성되는,
    응급 구조 장치(2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응급 구조 장치(200); 및
    상기 응급 구조 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을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1000).
KR1020180011151A 2018-01-30 2018-01-30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 KR20190098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51A KR20190098787A (ko) 2018-01-30 2018-01-30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51A KR20190098787A (ko) 2018-01-30 2018-01-30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787A true KR20190098787A (ko) 2019-08-23

Family

ID=6776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151A KR20190098787A (ko) 2018-01-30 2018-01-30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8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376A1 (fr) * 2022-02-03 2023-08-04 Adrien RICCI Procédé de pré-diagnostic lors de situations d’urgences par intelligence artificiel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376A1 (fr) * 2022-02-03 2023-08-04 Adrien RICCI Procédé de pré-diagnostic lors de situations d’urgences par intelligence artificiel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675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emergency dispatch and diagnostics data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11399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9374698B2 (en) Personalize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US20180288224A1 (en) Prioritizing incoming emergency cal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lient devices
US20210154487A1 (en) Device based responder network activation and virtual assistant integration
US104556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lerting a broken pair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CN104123814A (zh) 主动报警方法、装置及系统
KR102013235B1 (ko)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US2019000781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support services
KR20190106483A (ko)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176956A1 (en) Remote controlled medical assistance device
US20190365333A1 (en) Automated smart watch assistance in the event of cardiac arrest
US201402442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Based Remote Mobile Monitoring of a Medical Event
US9380144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ergency mode
JP2018198020A (ja) 救急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005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for an allergic reaction
US20160337830A1 (en) Emergency data gathe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190098787A (ko) 실시간 응급 영상을 활용한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응급 구조 시스템
KR20100005967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US20160022227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Audiovisual Alert to an Emergency Contact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JP2014182654A (ja) 安否確認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安否確認端末
KR20120106326A (ko) 카메라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87528A1 (en) Enhanced gateway safety system
KR20200021671A (ko)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289255B1 (ko) 학교 내 위급상황 알림용 스마트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