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043A - 자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자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043A
KR20190098043A KR1020190002965A KR20190002965A KR20190098043A KR 20190098043 A KR20190098043 A KR 20190098043A KR 1020190002965 A KR1020190002965 A KR 1020190002965A KR 20190002965 A KR20190002965 A KR 20190002965A KR 20190098043 A KR20190098043 A KR 2019009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ral network
artificial neural
terminals
learning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양현종
장종규
좌혜경
나지현
김영진
정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9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으로서, 복수의 난수가 상기 인공 신경망에 복수회 입력되어 각각 얻어진 복수의 제1 출력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학습하는 단계를 통해 가중치가 갱신된 상기 인공 신경망에 복수의 단말의 신호대간섭잡음비(si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SINR)가 입력되면, 상기 인공 신경망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할당되지 않은 주파수 자원의 비율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출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원 할당 방법{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
본 기재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 인가된 보조 액세스(Long Term Evolution Licensed-Assisted Access, LTE-LAA)에서는 와이-파이(Wi-Fi)와 스몰 셀(small cell)이 공존한다. 지금까지의 스몰셀 환경에서는 기지국 간 정보교환에 기반하여 자원이 할당되었다.
LTE와 Wi-Fi 간에는 서로 정보교환이 불가능하다. LTE-LAA에서는 단말의 평균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정보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에게 같은 양의 주파수 자원(frequency resource)을 할당한다.
LTE-LAA는 촘촘한 셀 환경에서 모든 셀이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이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 실시예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복수의 난수가 상기 인공 신경망에 복수회 입력되어 각각 얻어진 복수의 제1 출력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학습하는 단계를 통해 가중치가 갱신된 상기 인공 신경망에 복수의 단말의 신호대간섭잡음비(si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SINR)가 입력되면, 상기 인공 신경망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할당되지 않은 주파수 자원의 비율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출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성능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에 사용되는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으로부터 자원할당 비율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으로부터 할당하지 않은 자원 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에서 트레이닝 인풋(training input)을 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가중치 학습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주기에 대한 데이터율(data rate)의 기하 평균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기계형 통신 장비(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TC 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UE, MS, MT, AMS, HR-MS, SS, PSS,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B), gNB,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매크로 기지국(mac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NB, eNB, gNB, ABS,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시스템은 좁은 지역 내에서 촘촘하게 배치되어 통신하는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시스템은 LTE와 Wi-Fi가 5GHz 비면허 대역에 공존한다. 기지국 간 정보 교환은 없으며, 비동기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기존의 동기 통신 방법에서 발생하지 않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symbol) 간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단말들의 신호대간섭잡음비(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변하므로, 주어진 평균 SINR 정보만으로는 단말들의 자원 할당량을 결정하기 어렵다.
통신을 시작하기 전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주기(Period)에서 측정된 각 단말이 받는 신호의 평균 SINR값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W는 하나의 주파수 자원 블록 (resource block)의 대역폭을 나타내고, Ec는 모든 주파수 자원 블록들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에 사용되는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신경망은 1개의 입력층(input layer)(10), 4개의 은닉층(hidden layer)(20), 1개의 출력층(output layer)(30)을 포함한다.
입력층(10)의 길이는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단말의 수가 된다. 수학식 1의 벡터 x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의 입력층(10)으로 입력된다.
은닉층(20)의 길이는 각각 20, 40, 40, 40이 된다. 각각의 은닉층(20)을 통과하면 ReLU(Rectified Linear Unit) 함수(function)가 적용되어 음수값이 0이된다. 이를 통해, 신경망의 비선형성이 증가되어 다양한 함수 표현이 가능하다.
출력층(30)에는 (2×단말의 수+2)개의 값이 출력된다. 출력층의 출력값은 두 가지 성질을 나타낸다. 첫번째부터 (단말의 수+1)번째 까지의 출력값은 할당하지 않은 주파수 자원의 비율을 나타낸다. (단말의 수+2)번째부터 (2×단말의 수+2)번째까지의 출력값은 할당하지 않은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낸다.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주파수를 할당하기 전, 출력층(30)의 출력값에 수학식 2의 소프트맥스(softmax) 함수를 적용하여 출력값의 합이 1인 확률의 형태 또는 비율의 형태가 되도록 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는 출력층의 벡터값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를 절반의 길이로 나눈 값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벡터를 소프트 맥스 함수
Figure pat00010
를 통해 합치면 1이 되는 확률의 형태로 변형한 값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Figure pat00011
를 통해 자원할당 비율, 자원할당을 하지 않은 자원 블록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으로부터 자원할당 비율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로서, 수학식 2를 통해 도출된
Figure pat00012
의 값(2b), 즉 확률값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각각의 값들을 100개의 자원 블록에 맞춰서 반올림을 수행한다. 그 결과는 2c와 같으며, 2c에서 마지막 값인 5는 파워를 할당하지 않은(즉, 자원을 할당하지 않은) 자원 블록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으로부터 할당하지 않은 자원 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에서 v로부터 정해진 5개의 자원 블록에 파워를 할당하지 않는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을 통해 최대화하고자 하는 함수는 네트워크 유틸리티 함수(network utility function)로서, 함수값은 네트워크 성능(performance)을 나타낸다. 함수값이 클수록 네트워크 성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유틸리티 함수는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13
여기서,
Figure pat00014
는 자원 블록 할당을 나타내는 변수이고,
Figure pat00015
는 기지국 j가 단말 i를 자원 블록 c 로 서비스할 때의 데이터 전송 속도이다.
네트워크 유틸리티 함수가 신경망의 출력 함수(output function)로 표현되면, 신경망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 하지만, 기지국은 서비스하는 단말의 평균 SINR만 알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유틸리티 함수를 신경망의 출력 함수(output function)로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기재는 강화학습을 통해 신경망이 어느 환경에서도 스스로 학습하여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은, 복수의 난수가 인공 신경망에 복수회 입력되어 각각 얻어진 복수의 제1 출력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학습하는 단계(S100), 학습하는 단계(S100)를 통해 가중치가 갱신된 인공 신경망에 복수의 단말의 신호대간섭잡음비(si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SINR)가 입력되면, 인공 신경망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복수의 단말에게 할당하지 않은 주파수 자원의 비율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S200), 그리고 제2 출력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제1 출력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학습하는 단계(S100)는 단말들의 SINR을 신경망에 입력하기에 앞서 강화학습을 위한 가중치를 갱신하는 단계이다. 가중치 학습을 위해 트레이닝 인풋(training input)이 필요하다. 트레이닝 인풋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인공 신경망에 10개의 무작위의(random) 시드(seed)가 복수회 입력되어 출력된 각각의 제1 출력값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 유틸리티를 구하고, 가장 큰 로컬 네트워크 유틸리티 값을 갖는 시드를 트레이닝 인풋으로 선택한다. 로컬 네트워크 유틸리티는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16
여기서,
Figure pat00017
는 기지국 j가 서비스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로컬 네트워크 유틸리티를 사용하는 이유는 기지국 간 단말에게 전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를 교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선택된 트레이닝 인풋과 출력층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더 큰 값을 러닝(learning)에 사용한다. 트레이닝 인풋은 수학식 5와 같이 수식화될 수 있다.
Figure pat00018
여기서,
Figure pat00019
는 M개의 시드 중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 유틸리티를 가지는 시드의 번호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20
는 가장 큰 네트워크 유틸리티를 가지는
Figure pat00021
번째 시드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22
는 시드
Figure pat00023
의 자원 블록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24
는 시드
Figure pat00025
에서 자원 블록을 할당하지 않은 위치를 벡터 형태로 나타낸 값이다.
Figure pat00026
는 한 실시예로서 각 10개의 시드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27
는 할당하지 않은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낸다.
단말들의 SINR에 대한 신경망의 출력층 결과와 선택된 트레이닝 인풋에 대한 신경망의 출력층 결과를 이용하여 로스 함수(loss function)을 구하고, 로스 함수를 최소화하는 값으로 가중치를 갱신한다.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이용하여 로스 함수를 최소화한다. 로스 함수는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pat00028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에서 트레이닝 인풋을 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한 실시예로서 10개의 시드 중 한 개의 시드를 입력하여 출력된 자원 할당 비율 및 할당되지 않은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 개의 시드는 단말 수만큼의 인풋을 포함한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가중치 학습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S200)는 가중치 학습을 통해 가중치가 갱신된 신경망에 단말들의 SINR을 입력하여 단말들에게 할당하지 않은 주파수 자원의 비율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출력값을 도출한다.
제2 출력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S300)는 도출된 주파수 자원의 비율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장치(1)는, 난수 생성부(210)에 의해 복수의 난수가 인공 신경망에 복수회 입력되어 각각 얻어진, 복수의 제1 출력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학습하는 가중치 학습부(220), 가중치 학습부(220)를 통해 가중치가 갱신된 인공 신경망에 SINR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단말의 SINR이 입력되면, 인공 신경망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복수의 단말에게 할당하지 않은 주파수 자원의 비율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출력값을 도출하는 출력부(240), 그리고 제2 출력값에 기반하여 복수의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부(500)를 포함한다.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510)과 단말(1520)을 포함한다.
기지국(1510)은, 프로세서(processor)(1511), 메모리(memory)(1512), 그리고 무선 통신부(radio frequency unit, RF unit)(1513)를 포함한다.
메모리(1512)는 프로세서(15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151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13)는 프로세서(1511)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스위치로 입력된 패킷을 프로세서(1511)로 무선 신호를 전달하고, 프로세서(1511)에서 처리된 패킷을 네트워크 스위치의 외부로 출력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151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과정,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15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510)의 동작은 프로세서(15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1520)은, 프로세서(1521), 메모리(1522), 그리고 무선 통신부(1523)를 포함한다. 메모리(1522)는 프로세서(15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세서(152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23)는 프로세서(15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프로세서(1521)는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제안한 기능, 단계, 또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본 기재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은 프로세서(15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1520)의 동작은 프로세서(15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주기(Period)에 대한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의 기하 평균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채널 정보가 계속 달라지기 때문에 항상 같은 자원을 할당하는 기술의 성능도 계속 변하게 된다. 본 기재는 처음에는 약 5.6Mbps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지고, 일정 무선 자원 관리 주기가 지난 이후에는 약 7% 가량 더 높은 5.74Mbps의 네트워크 성능을 가진다. 500개의 시드(seed)를 뿌려 최대 네트워크 유틸리티를 찾는 알고리즘에 따르면 기지국 간 정보 교환이 있는 환경에서 500개의 시드 중 가장 높은 네트워크 유틸리티 함수를 찾는 것이 가능하므로, 약 10%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으로서,
    복수의 난수가 상기 인공 신경망에 복수회 입력되어 각각 얻어진 복수의 제1 출력값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학습하는 단계를 통해 가중치가 갱신된 상기 인공 신경망에 복수의 단말의 신호대간섭잡음비(si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SINR)가 입력되면, 상기 인공 신경망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할당되지 않은 주파수 자원의 비율 및 주파수 자원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출력값을 도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출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KR1020190002965A 2018-02-12 2019-01-09 자원 할당 방법 KR20190098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920 2018-02-12
KR20180016920 2018-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043A true KR20190098043A (ko) 2019-08-21

Family

ID=6780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965A KR20190098043A (ko) 2018-02-12 2019-01-09 자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80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168A (ko) * 2019-03-22 2020-10-06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송신에서의 리소스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71141A1 (en) * 2019-10-10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signa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8947A (ko) 2020-05-13 2021-11-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다중채널 자원할당 방법 및 시스템
US11510068B2 (en) * 2018-06-07 2022-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agent for cell assign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0068B2 (en) * 2018-06-07 2022-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agent for cell assignment
KR20200113168A (ko) * 2019-03-22 2020-10-06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송신에서의 리소스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71141A1 (en) * 2019-10-10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signa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38947A (ko) 2020-05-13 2021-11-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다중채널 자원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8509A (ko) 2020-05-13 2022-05-0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다중채널 자원할당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i et al.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nd power control for LTE-A D2D communication with pure D2D model
Liu et al. Small-cell traffic balancing over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KR20190098043A (ko) 자원 할당 방법
KR101567368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 감소를 위한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EP3138341B1 (en) Method and radio network node for scheduling of wireless devices in a cellular network
Zhao et al. Interference graph based channel assignment algorithm for D2D cellular networks
CN103703834A (zh) 异构移动网络中的ue测量过程
US8843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mmunications
US20130095872A1 (en)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Zhang et al. Resource optimization-bas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hybrid self-organized small-cell network
EP3404976A1 (en) Procedure for managing radioelectric resources in 5g cellular networks aiming at the reuse of resources for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Rony et al. Dynamic spectrum allocation following machine learning-based traffic predictions in 5G
US9538387B2 (en) Radio resource assignment coordination in superdense networks
Cheung et al. Stochastic analysis of two-tier networks: Effect of spectrum allocation
EP2501165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abling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to transfer and/or receive data through multiple frequency bands
EP3050367B1 (en)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hao et al. Locally cooperative traffic‐offloading in multi‐mode small cell networks via potential games
Touati et al. Model-Based optimization for JT CoMP in C-RAN
Sathya et al. Enhanced distributed resource allocation and interference management in LTE femtocell networks
Alquhali et al. Enhanced fractional frequency reuse approach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femtocell networks
Semov et al. Self-resource allocation and scheduling challenges for heterogeneous networks deployment
Amer et al. Association optimization based on access fairness for Wi-Fi networks
Li et al. Artificial neural network aided dynamic scheduling for eICIC in LTE HetNets
EP3251391B1 (en) Co-primary spectrum sharing for 4g/5g small cell base stations with long term fairness criteria
Sun et al. Coverage analysis for ultra-dense networks with dynamic T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