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953A - 음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953A
KR20190097953A KR1020180018014A KR20180018014A KR20190097953A KR 20190097953 A KR20190097953 A KR 20190097953A KR 1020180018014 A KR1020180018014 A KR 1020180018014A KR 20180018014 A KR20180018014 A KR 20180018014A KR 20190097953 A KR20190097953 A KR 20190097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vibration
signal
sou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948B1 (ko
Inventor
권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8001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별 음향 및 진동 특성을 제공하는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음향 표출과 진동 표출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 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전원 상태,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기 통신 기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기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된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 모듈을 통하여 음 방사를 수행하는 음원 방사 모드와, 전화 통화 모드를 수행하되, 사용자별 선택 모드를 저장하고, 음향 변환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선택 모드로 음원 방사 모드 및/또는 전화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음향 변환 장치{ACOUSTIC TRANSDUCER}
본 발명은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별 음향 및 진동 특성을 제공하는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음향 장치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헤드셋, 넥밴드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MP3, 테블렛PC, 노트북 등)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향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음향정보를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 공중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5G LTE(5세대 Long Term Evolution)이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각종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의 음성출력단자와 유선 연결하여 이어폰으로 소리를 출력받는 유선이어폰보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선호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은 음향정보를 외부 공중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이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별 음향 및 진동 특성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5320호
본 발명은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별로 저장된 음향 및 진동 특성에 따른 음향 및 진동 표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음향 표출과 진동 표출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 모듈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전원 상태,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기 통신 기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외부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기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된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 모듈을 통하여 음 방사를 수행하는 음원 방사 모드와, 전화 통화 모드를 수행하되, 사용자별 선택 모드를 저장하고, 음향 변환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선택 모드로 음원 방사 모드 및/또는 전화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별로 저장된 음향 및 진동 특성에 따른 음향 및 진동 표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향 변환 장치에서의 스피커 모듈 내의 스피커부와 수동 진동부의 진동 특성 그래프들이다.
도 3은 도 1의 음향 변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 모듈의 일실시예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음향 변환 장치는 음향 표출과 진동 표출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 모듈(10)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20)와, 전원 상태, 동작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0)와, 전기 통신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0)와,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와, 외부 음향을 획득하는 마이크(6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전기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코딩된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 모듈(10)을 통하여 음 방사를 수행하는 음원 방사 모드와, 전화 통화 모드를 수행하되, 사용자별 선택 모드를 저장하고, 음향 변환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선택 모드로 음원 방사 모드 및/또는 전화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70)로 구성된다. 다만, 표시부(30), 통신부(40), 전원부(50) 및 마이크(6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불과하여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먼저, 스피커 모듈(10)은 입체적 형상을 지니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울림통 기능을 수행하는 인클로저(10a)의 일측면(개구)에 장착되어 제어 모듈(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음압을 생성하여 공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부(12)와, 인클로저(10a)의 타측면(개구)에 장착되어 인클로저(10a) 내부의 공기의 강성을 완화시키며, 제어 모듈(70)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인가 없이도 진동하는 수동 진동부(14)로 구성된다.
스피커부(12)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이기에, 예를 들면, 마이크로스피커에 해당되어, 그 설명은 생략된다. 스피커부(12)는 인클로저(10a)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음을 방사하도록 인클로저(10a)에 장착된다.
수동 진동부(14)는 일정한 중량(mass)와 강성(stiffness)를 지니며, 제어 모듈(70)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공급이 없이 진동하는 소자이다. 수동 진동부(14)는 인클로저(10a)의 타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음을 방사하도록 인클로저(10)의 타측면에 장착된다. 수동 진동부(14)는 돔형태로 구성된 진동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량을 높이기 위해 비중이 높은 철, 구리, 텅스텐 계열의 금속 소재를 진동판에 적층하거나 피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저주파 대역의 음압 특성인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피커부(12)의 공진 주파수보다 수동 진동부(14)의 공진 주파수가 낮도록 제조된다.
입력부(20)는 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볼률 상승/하강, 음악 곡 선택/이동, 모드(통화착신 시의 진동 모드/음향 우위 모드/진동-음향 병행 모드, 음원 방사 모드에서의 진동 병행 모드/음향 우위 모드) 선택, 전화 통화 시작 입력, 전화 통화 종료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여 제어 모듈(70)에 인가한다.
또한, 입력부(20)는 사용자별 설정 모드의 저장을 위한 설정 정보 저장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제어 모듈(70)에 인가하고, 제어 모듈(70)은 인가된 설정 정보 저장 입력을 저장한다.
모드 선택 입력에 대해서, 전화 통화 모드의 통화 착신 시에, 진동 모드와, 음향 우위 모드 및 진동-음향 병행 모드가 선택 가능하다. 진동 모드는 스피커부(12)에서의 음향의 방사가 극히 적으며 진동이 발생되며 수동 진동부(14)의 진동 세기가 가장 크게 구현되는 모드에 해당된다. 음향 우위 모드는 스피커부(12)에서의 음향 방사가 크게 구현되고, 스피커부(12)도 진동하나, 수동 진동부(14)의 진동은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 세기보다 상당히 낮은 모드에 해당된다. 진동-음향 병행 모드는 진동 모드와 음향 우위 모드가 함께 수행되는 것으로, 수동 진동부(14)의 진동의 세기가 진동 모드에서의 세기와 같거나 근접하도록 하는 모드에 해당된다.
음원 방사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음향 우위 모드가 구현된다. 음향 우위 모드는 상술된 통화 착신 시의 음향 우위 모드와 동일하다.
음원 방사 모드에서의 진동 병행 모드는 음향 우위 모드로 음향이 방사되는 중에, 수동 진동부(14)의 진동의 세기를 증가시켜 진동을 수행하는 모드에 해당된다.
제어 모듈(7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하여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 신호, 외부 음향 및 사용자 입력 등을 처리한다.
제어 모듈(70)은 마이크(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의 특성인 성문을 추출하고, 추출된 성문을 사용자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에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70)은 추출된 성문을 지닌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 정보 저장 입력을 입력부(2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또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도록 설정 정보를 저정한다. 따라서, 제어 모듈(70)은 이후에 사용자를 음성으로 식별하여, 기저장된 설정 저장에 따른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2는 도 1의 음향 변환 장치에서의 스피커 모듈 내의 스피커부와 수동 진동부의 진동 특성 그래프들이다. 본 그래프들의 X축은 주파수(Hz)이고, Y축은 실효출력(RMS)의 크기에 해당된다.
도 2에서, 그래프(Sa)는 스피커부(12)의 실효 출력 그래프이고, 그래프(Sp)는 수동 진동부(14)의 실효 출력 그래프이다.
그래프(Sa)에서, 스피커부(12)의 고유 주파수 대역(FaO)은 예를 들면, 550~600Hz의 범위이며, 그래프(Sp)에서, 수동 진동부(14)의 고유 주파수 대역(FpO)은 예를 들면, 120~150Hz의 범위이다.
제어 모듈(70)은 모드 변경 및 스피커부(12)의 진동판 변위 제한을 위해 스피커부(12)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한다.
우선 스피커부(12)의 진동판 변위 제한을 위해, 제어부(70)는 수동 진동부(14)의 고유 주파수 대역(FpO) 이하이면서 수동 진동부(14)의 실효 출력이 상당히 가변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컷오프 주파수(Fc1)와, 모드 변경을 위해, 제 1 컷오프 주파수(Fc1)를 초과하면서 스피커 모듈(200)의 진동 특성이 스피커 모듈(200)의 음향 표출 특성보다 우세한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제 2 컷오프 주파수(Fc2)를 저장한다.
제어 모듈(70)은 모든 모드의 수행 시에 스피커부(12)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서 제 1 컷오프 주파수(Fc1) 미만의 주파수를 제거한 전기 신호를 스피커부(12)에 인가한다. 제어 모듈(70)이 제 1 컷오프 주파수(Fc1) 미만의 주파수를 지닌 전기 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은 하기의 모든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70)은 전화 통화 모드의 통화 착신 시의 진동 모드의 경우, 음향 표출 특성보다는 진동 특성이 우세할 필요가 있기에, 제 1 컷오프 주파수(Fc1)와 제 2 컷오프 주파수(Fc2) 사이의 주파수 영역(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부(12)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 모듈(70)은 음원 방사 모드의 진동 병행 모드 및 전화 통화 모드에서의 착신 시의 진동-음향 병행 모드의 경우, 음원 또는 음향에 대한 전기 신호를 스피커부(12)에 인가하면서 추가적으로 상술된 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부(12)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 모듈(70)은 전화 통화 모드에서의 음향 우위 모드의 경우, 제 2 컷오프 주파수(Fc2)를 초과하는 주파수 영역(음향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부(12)에 인가한다.
또한, 제어 모듈(70)은 음원 방사 모드에서 음향 우위 모드의 경우, 음원 데이터의 전기 신호에서 제 2 컷오프 주파수(Fc2)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전기 신호를 제거하고, 제 2 컷오프 주파수(Fc2)를 초과하는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스피커부(12)에 인가한다.
즉, 제어 모듈(70)은 제 1 컷오프 주파수(Fc1)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음향 및 진동 특성이 표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 2 컷오프 주파수(Fc2)을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음향 표출 특성이 진동 특성보다 우세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 모듈(70)은 전화 통화 모드의 착신 시에는 진동 모드 또는 진동-음향 병행 모드를 수행하다가, 전화 통화이 진행되는 때부터는 진동 모드 및 진동-음향 병행 모드를 종료하고, 제 2 컷오프 주파수(Fc2)을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음향 모드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1의 웨어러블 음향 변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웨어러블 음향 변환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C자 형상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레임 내에 스피커 모듈(200)과 PCB(3200)를 비롯한 각종 전장품들이 배치된다. 프레임은 C자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200)과, 베이스 프레임(1200)에 결합되는 내측 커버(120) 및 외측 커버(130)를 포함한다.
C 자형 베이스 프레임(1200)의 양 단부에 스피커 모듈(200), PCB(3200), 전원부(320)가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내측 커버(120)는 전장품과 C자형 프레임(1200)의 하면, 내측면, 상면을 덮으며, 외측 커버(130)는 내측 커버(120)에 결합되며 전장품과 C자형 프레임(1200)의 외측면을 덮는다.
내측 커버(120)의 상면에는 마이크로 스피커 모듈(200)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방출하는 음향 방출공(122)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통풍홀(124)이 형성된다.
또한, 입력부(20), 표시부(30), 통신부(40) 및 마이크(6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PCB(3200)에 장착된다.
도 4는 도 1의 제어 모듈의 일실시예이다.
제어 모듈(70)은 입력되는 입력 신호(Si)의 성문을 분석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마다의 설정된 모드에 따라 입력 신호(Si)를 그대로 신호 출력부(70c)로 인가하거나 입력 신호(Si)를 처리하여 처리 신호(Sp)를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하거나 신호 생성부(70b)로 신호 생성 명령을 인가하는 신호 처리부(70a)와, 신호 처리부(70a)로부터 신호 생성 명령을 인가 받아 진동 대역 주파수를 포함하는 진동 신호(Sc)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70b), 신호 처리부(70a)로부터의 입력 신호(Si) 및 처리 신호(Sp) 중의 어느 하나의 신호와 신호 생성부(70b)로부터의 진동 신호(Sc)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 신호(So)로 스피커부(12)에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70c)와,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거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70d)를 포함한다.
신호 분석부(70a)는 입력 신호(Si)를 전자적으로 주파수 분포의 시계열적(時系列的) 분해의 결과로 얻어지는 그래프인 성문을 획득한다. 예를 들면, 신호 분석부(70a)는 음성 분석기(소나그래프)를 통해 길이, 높이, 강도 등을 분석하여 시각화된 성문을 획득하며, 이 성문을 통하여 음향 변환 장치의 복수의 사용자들을 구별할 수 있다. 우선, 신호 분석부(70a)는 기준 시간 동안이나 기준 단어량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Si)의 성문을 분석하여, 분석된 성문을 제 1 사용자 정보로 저장부(70d)에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 분석부(70a)는 복수의 사용자마다의 성문을 포함하는 제 1 내지 제 N 사용자 정보(사용자 정보로 통칭됨)를 생성하여 저장부(70d)에 저장한다.
사용자 식별의 경우, 신호 분석부(70a)는 마이크(6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Si)를 분석하여 성문을 획득하고, 저장부(70d)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들의 성문 각각을 판독하고, 판독된 성문 각각과 획득된 성문을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기준 비율 이상 일치하는 성문의 사용자 정보를 결정한다. 신호 분석부(70a)는 결정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또한, 신호 분석부(70a)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설정 정보 저장 입력을 획득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면, 신호 분석부(70a)는 식별된 사용자가 입력부(20)를 통하여 설정 정보 저장 입력하면,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설정 정보는 통화착신 시의 진동 모드, 음향 우위 모드 및 진동-음향 병행 모드 중의 하나의 모드와, 음원 방사 모드에서의 진동 병행 모드 및 음향 우위 모드 중의 하나의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포함한다.
신호 분석부(70a)는 데이터 프로세서에 저장되거나 메모리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분석부(70a)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부(70d)로부터 판독하여, 설정 정보에 포함된 모드들이 수행되도록 한다.
신호 분석부(70a)는 설정 정보에 포함된 모드들을 하기와 같이 수행한다.
신호 분석부(70a), 신호 생성부(70b) 및 신호 출력부(70c)는 데이터 프로세서에 저장되거나 메모리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분석부(70a)는 통신부(4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 신호(Si)에서, 제 1 컷오프 주파수(Fc1) 미만의 주파수를 제거하여 신호 출력부(70c)로 인가하는 과정을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또한, 설정 정보에 저장된 모드가 전화 통화 모드의 통화 착신 시의 진동 모드의 경우, 신호 분석부(70a)는 입력 신호(Si)인 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신호 생성 명령을 신호 생성부(70b)에 인가하다. 신호 생성부(70b)는 신호 생성 명령에 따라 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진동 신호(Sc)를 생성하여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하고, 신호 출력부(70c)는 수신된 진동 신호(Sc)를 전기 신호(So)로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진동 모드가 수행된다.
또한, 설정 정보에 저장된 모드가 전화 통화 모드에서의 착신 시의 진동-음향 병행 모드의 경우, 신호 분석부(70a)는 입력 신호(Si)인 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신호 생성 명령을 신호 생성부(70b)에 인가하고, 음향 우세 주파수 영역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Sp)를 생성하여 신호 출력부(70c)로 인가한다. 신호 생성부(70b)는 신호 생성 명령에 따라 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진동 신호(Sc)를 생성하여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하고, 신호 출력부(70c)는 수신된 진동 신호(Sc)와 전기 신호(Sp)를 합하여 전기 신호(So)로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진동-음향 병행 모드가 수행된다.
또한, 설정 정보에 저장된 모드가 음원 방사 모드의 진동 병행 모드의 경우, 신호 분석부(70a)는 통신부(40)부터 음원 또는 음향 신호인 입력 신호(Si)를 수신하여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코딩된 입력 신호(Si)를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하고, 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신호 생성 명령을 신호 생성부(70b)에 인가한다. 신호 생성부(70b)는 신호 생성 명령에 따라 진동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진동 신호(Sc)를 생성하여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하고, 신호 출력부(70c)는 수신된 입력 신호(Si)와 진동 신호(Sc)를 합하여 전기 신호(So)로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진동 병행 모드가 수행된다.
또한, 설정 정보에 저장된 모드가 전화 통화 모드에서의 음향 우위 모드의 경우, 신호 분석부(70a)는 통신부(40)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Si)에서 제 2 컷오프 주파수(Fc2) 이하의 신호를 제거하고, 제 2 컷오프 주파수(Fc2)를 초과하는 주파수 영역(음향 우세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Si)를 생성하여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한다. 신호 출력부(70c)는 스피커부(12)에 인가한다.
또한, 설정 정보에 저장된 모드가 음원 방사 모드에서 음향 우위 모드의 경우, 신호 분석부(70a)은 음원 데이터의 전기 신호인 입력 신호(Si)에서 제 2 컷오프 주파수(Fc2) 이하의 주파수를 지닌 전기 신호를 제거하고, 제 2 컷오프 주파수(Fc2)를 초과하는 주파수 영역만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Si)를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한다. 신호 출력부(70c)는 수신된 전기 신호(Si)를 전기 신호(So)로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음향 우위 모드가 수행된다.
또한, 신호 분석부(70a)는 전화 통화 모드의 착신 시에는 진동 모드 또는 진동-음향 병행 모드를 수행하다가, 전화 통화이 진행되는 때부터는 진동 모드 및 진동-음향 병행 모드를 종료하기 위해 신호 생성부(70b)로 신호 생성 종료 명령을 인가하고, 제 2 컷오프 주파수(Fc2)을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Si)를 신호 출력부(70c)에 인가한다. 신호 생성부(70b)는 신호 생성 종료 명령에 따라 진동 신호(Sc)의 생성 및 인가를 종료하고, 신호 출력부(70c)는 수신된 전기 신호(Si)를 전기 신호(So)로 스피커부(12)에 인가하여, 음향 모드가 수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 입력부 30: 표시부
40: 통신부 60: 마이크
70: 제어 모듈

Claims (1)

  1. 음향 변환 장치
KR1020180018014A 2018-02-13 2018-02-13 음향 변환 장치 KR10239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14A KR102398948B1 (ko) 2018-02-13 2018-02-13 음향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14A KR102398948B1 (ko) 2018-02-13 2018-02-13 음향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53A true KR20190097953A (ko) 2019-08-21
KR102398948B1 KR102398948B1 (ko) 2022-05-18

Family

ID=6780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14A KR102398948B1 (ko) 2018-02-13 2018-02-13 음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9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258A (ja) * 2003-09-30 2005-04-21 Daiichikosho Co Ltd 指紋識別機能付きカラオケマイク
KR20120027097A (ko) * 2010-09-10 2012-03-21 온 세미컨덕터 트레이딩 리미티드 진동 스피커의 구동 제어 회로
KR20160043161A (ko) * 2014-10-10 2016-04-21 주식회사 이엠텍 진동 기능을 지닌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전기 기기
KR101755320B1 (ko) 2016-05-17 2017-07-19 주식회사 블루콤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258A (ja) * 2003-09-30 2005-04-21 Daiichikosho Co Ltd 指紋識別機能付きカラオケマイク
KR20120027097A (ko) * 2010-09-10 2012-03-21 온 세미컨덕터 트레이딩 리미티드 진동 스피커의 구동 제어 회로
KR20160043161A (ko) * 2014-10-10 2016-04-21 주식회사 이엠텍 진동 기능을 지닌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전기 기기
KR101755320B1 (ko) 2016-05-17 2017-07-19 주식회사 블루콤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948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28685B2 (en) Hearing aid system for estimating acoustic transfer functions
US111157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hearing
CN108076419A (zh) 线性谐振致动器控制器
US11356783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own voice processor
CN115152246A (zh) 一种声学输出系统、方法和设备
JP2020120332A5 (ko)
JP6268033B2 (ja) 携帯端末
CN109286881A (zh) 组合式相位塞及其应用在压缩驱动器与扬声器
US9467759B2 (en) Speaker box
US11589173B2 (en) Hearing aid comprising a record and replay function
CN105554663B (zh) 用于估计听力装置的反馈通路的听力系统
CN104053103B (zh) 压电扬声器
CN205491103U (zh) 微型扬声器
KR102398948B1 (ko) 음향 변환 장치
US20110142271A1 (en) Method for frequency transposition in a hearing aid and hearing aid
KR20190097952A (ko) 음성 비서 기능 활성화를 위한 음향 변환 장치
KR101990812B1 (ko) 웨어러블 음향 변환 장치
CN110149576B (zh) 可穿戴声换能器
JP2016144134A (ja) 音声解析装置、音声解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203446009U (zh) 一种多媒体音箱
KR101874752B1 (ko) 음원에 대응하는 형태변형 스피커
KR101971608B1 (ko) 웨어러블 음향 장치
CN208015988U (zh) 电子设备
CN11161503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90056215A (ko)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