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370A -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370A
KR20190097370A KR1020180016705A KR20180016705A KR20190097370A KR 20190097370 A KR20190097370 A KR 20190097370A KR 1020180016705 A KR1020180016705 A KR 1020180016705A KR 20180016705 A KR20180016705 A KR 20180016705A KR 20190097370 A KR20190097370 A KR 20190097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icture
hologram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914B1 (ko
Inventor
유재희
Original Assignee
유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희 filed Critical 유재희
Priority to KR102018001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14B1/ko
Priority to PCT/KR2019/001175 priority patent/WO2019156409A1/ko
Publication of KR2019009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45Multiplexing processes, e.g. aperture, shift, or wavefront multiplexing
    • G02B27/229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268Holographic stereogr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구비된 투명한 상현(像現)면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게 하는 제 1 및 제 2홀로그램 유니트와, 서로 다른 2개의 영상 소스들을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에 각기 인가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보는 이가 위치하게 되는 전방을 향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소스들에 대하여,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각각 동시에 표현되어야 하는 제 1 및 제 2픽처 간의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그 영역이 관찰자의 시점에서 중첩 표시되지 않게 하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써, 시각적 표현요소가 중첩되지 않는 방식으로 2개의 영상이 겹쳐지게 되어, 보는 이에게 하나의 완전한 홀로그램 영상으로 지각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Floating-type hologram displaying apparatus using multi-layered displaying planes and multi-video processing method for said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의 상(像)이 공간에 표현되게 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또한 일부에서는 실험적으로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영상을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은, 양안의 시차로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양안 시차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안경 방식(shutter glass method), 무안경 방식, 완전 3차원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안경 방식은, 좌우 영상을 선별할 수 있는 별도의 안경을 착용하여야만 영상을 입체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이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안경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장시간 사용 시에는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무안경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리어나 렌티큘러 렌즈 등을 표면에 구비함으로써 영상을 좌우 구분하여 표시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안경 방식에 비해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지만, 보는 이에게 아무런 제한없이 완전한 3차원 영상을 구현하기에는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
완전한 3차원 방식의 하나인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술은, 실사 기반의 입체상을 재현하여 관찰자에게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홀로그래피 기술은, 기존의 스테레오 방식이 입체 영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한계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궁극적인 입체 영상 기술임은 분명하지만, 기술적 구현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여 실제의 제품으로는 현재까지 시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홀로그래피의 구현에서의 어려움들 중의 일 예로, 홀로그램(hologram)을 만들기 위해서는 빛을 공간에 넣어서 정보 신호로 바꾸어주는 공간 광변조기가 수천 개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선명한 실시간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고선명 TV보다 25만 배나 더 선명한 초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엄청난 데이터 처리 성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는 이가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영상이 완전히 입체적으로 지각될 수 있게 하는 상업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는 가능하지가 않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3차원 영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활용 분야가 많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손쉽게 구현 가능한 대안적 기술이 도입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플로팅(floating) 홀로그램 방식이다.
도 1은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에 의해 영상이 관찰자에게 보여지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에는,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와, 연직면에 대해 약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반투과 미러(2)가 사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1)로부터 하방으로 투사된 영상은, 상기 반투과 미러(2)에 의해 반사되어, 관찰자(3)의 양안(兩眼)으로 입사됨으로써, 관찰자는 디스플레이(1)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방에 표시된 것(4)으로 지각하게 된다.
또한, 관찰자는 위와 같이 표현되는 영상(4)을 반투과 미러(2) 후방에 구비된 배경(5)에 놓여진 것으로 지각하게 되는데, 그 배경을 검게 해 두면, 밝은 영상(4)이 공간 상에 표현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평면 상의 영상을 어느 정도 3차원적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영상의 표현 방식도, 공간 상에 표현되는 영상이 궁극적으로는 평면이므로, 즉 관찰자의 양안과 상까지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므로,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으로 표현되는 영상의 입체감을 향상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영상을 시점(視點)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서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보는 이가 영상에서 깊이감을 지각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에 의해 서로 개별적으로 표현되는 다중 영상이 시각적으로 상호 간섭되지 않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에 의한 다중 영상의 깊이감이 그 다중 영상에 대해 의도된 시청거리에서의 차이에 근거해서 조절되게 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에 대한 입체적 실재감(實在感)에 보다 유사하게 지각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으로 다중 영상을 표현하는 것이 보다 좁은 공간의 물리적 점유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적하는 바의 상기 장치를 통해 서로 겹쳐져 표시됨으로써 입체감이 향상되어 표현될 수 있는 다중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구비된 상현(像現)면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게 하는 홀로그램 유니트를 2개 이상 포함하고, 또한 서로 다른 2개의 영상 소스들을 상기 2개 이상의 홀로그램 유니트 중 제 1유니트와 제 2유니트에 각기 인가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관찰자가 위치하게 되는 전방을 향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이 더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소스들에 대하여,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각각 동시에 표현되어야 하는 제 1 및 제 2픽처 간의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그 영역이 관찰자의 시점에서 중첩 표시되지 않게 하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2개 이상의 홀로그램 유니트의 각 상현면에 표현되는 영상이 상기 전방에서 서로 겹쳐서 보일 수 있도록, 후방에 홀로그램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는 홀로그램 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후방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전방으로 투과할 수 있는 투명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픽처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에, 상기 제 2픽처는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표현되어야 하는 픽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픽처내의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픽처내의 제 2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되면, 상기 제 2픽처에서 적어도 그 중첩되는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제 2표현 객체의 제거되지 않은 잔여 영역과 제거된 영역 간의 경계에 대해서는 블러(blur)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표현 객체의 경계에서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속하는 구간에 대해서도 블러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제 1표현 객체와 동일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픽처내의 표현 객체에 대해서 그 경계를 확장하여 상기 제 2픽처 내의 표현 객체와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되, 그 경계를 확장하는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상현면 간에 이격된 상기 간격의 크기에 따라, 또는 상기 제 1상현면으로부터 관찰자가 위치하도록 의도된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하여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 확인에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현 객체의 경계를 확장할 때, 상기 제 1픽처내의 표현 객체의 경계선이 수직을 이루는 부분에 대해서는 경계선이 수평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해당 경계를 확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픽처내의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픽처내의 제 2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될 때, 그 중첩된 영역이 상기 제 2표현 객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기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이 되는 조건이 성립되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2픽처에서 상기 제 2표현 객체를 제거함과 함께, 중첩되지 않는 상기 제 2표현 객체의 부분은 상기 제 1픽처에 삽입하는 상현면 전환의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조건이 성립된 상태가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거나 상기 조건이 성립된 후 지정된 시간 이후에도 여전히 그 조건이 성립될 때 상기 상현면 전환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상현면 전환을 수행한 후에는, 지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되어도 상기 제 2표현 객체를 상기 제 2픽처로 되돌리는 상현면 복원의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유니트의 후방에 제 3의 상현면이 배치되어 있고, 또 다른 영상 소소내의 제 3픽처가 상기 제 1픽처의 표시 시점과 동시에 상기 제 3의 상현면에 표현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상현면 전환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표현 객체가 합쳐져 만들어진 상기 제 1픽처 상의 합(union)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 3픽처의 표현 객체와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그 합 영역이 관찰자의 시점에서 중첩 표시되지 않게 하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유니트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의 광 투과율이 α일 때,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의 영상 표시에서의 밝기의 1/α배 밝도록 자신의 상현면에 영상을 표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영상 소스들에 대하여 지정된 시청거리 차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 사이의 상기 간격을 조정하여 설정하거나, 상기 제 2픽처내의 표현 객체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픽처가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서 표현되는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 또는 스크린과,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미러 또는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영상 소스들에 대해 지정된 시청거리 차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유니트 또는 상기 제 2유니트에 속하는 상기 영상 재현부와 상기 상현면간의 거리를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유니트 또는 상기 제 2유니트가,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투사하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소스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표현 객체에 대하여, 그 표현 객체가 투사되는 특정 면(plane)까지의 투사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임의의 표현 객체의 형태를 왜곡시킨 영상 신호를 만들어서 상기 영상 재현부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면은, 상기 상현면이거나, 또는 상기 상현면이 투영될 영상이 표시되는 별도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관찰자의 시선에 수직인 임의의 연직면과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의 각각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의 영상으로 변환하고, 그 영상을 상기 특정 각도를 입사각으로 하여 자신의 상현면에 투사함으로써 자신의 상현면에 의해 상기 전방에서 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각도는 40o ~ 50o 범위내의 또는 45o 이하의 임의 각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가로 또는 세로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연직면을 기준으로 45o 보다 작은 특정 각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연직면을 기준으로 45o 보다 작은 특정 각만큼 틀어져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전방에서 볼 때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의 후방에 배치된 광 블로킹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픽처내의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픽처내의 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될 때는, 상기 제 1표현 객체가 상기 제 2픽처내의 시각적 표현요소와 상기 전방에서 중첩되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1표현 객체와 동일한 형태의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전방으로의 광투과를 차단시키는 블로킹(blocking) 객체를 상기 광 블로킹면에 형성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 1표현 객체의 경계를 확장하여 상기 대상 영역을 정하되, 그 경계를 확장하는 폭을,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광 블로킹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의 앞 또는 뒤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표현되는 영상이, 상기 전방에서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을 보는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로 이동되어 보이게 하는,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 시트(sheet)와 같은 상(像) 편향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 또는 스크린과,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미러 또는스크린으로 투영시키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로써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니트 세트 외에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세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세트의 각각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서 전과 후로 상현면들이 구비되고, 이 상현면들에 수직인 가상 직선이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의 각 상현면에 수직인 가상 직선과 수평적으로 일정 각도 틀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세트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화면에 수직인 가상선이 다른 방향에서 상기 전방을 향하도록 회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 1유니트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의 픽처들에 대해서, 상하를 반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상현면 상을 전후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 1유니트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 또는 스크린과,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상기 상현면으로 투사하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유니트의 상기 상현면은 광 투과성을 갖지 않으며,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상현면은, 상기 전방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기 상현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유니트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거리에서 보여지도록 의도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소스들을 획득하는 1단계와, 상기 영상 소스들에서, 임의의 제 1영상 소스와 그 제 1영상 소스보다 후방에서 표시되도록 의도된 임의의 제 2영상 소스의 조합에 대하여, 동시에 표시되어야 할 표현 객체들 간에, 상기 제 1영상 소스가 표시되는 면의 전방에서 볼 때 서로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영상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2단계와, 상기 영상 소스들에 대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간격을 두고서 서로 겹쳐져서 보이도록 의도된 영상물들을 출력하거나 또는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는, 상기 제 1영상 소스내의 임의의 제 1픽처와, 그 제 1픽처와 동시에 표현되어야 하는 상기 제 2영상 소스내의 제 2픽처 간에 표현 객체가 영역 중첩되는 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그 중첩되는 영역을 상기 제 2픽처 상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영상 처리부가 행하는 전술한 다양한 동작들이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에서 적절한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홀로그램 영상이 각기 표시되는 배열된 상현면들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장소와는 별개의 공간에서, 별도의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의 영상을 보는 이가 그 영상에서 깊이감을 지각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된 입체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서는, 그 깊이감이 복수 영상이 획득된 촬영 거리에서의 차이에 비례되게 함으로써, 실제의 영상 촬영 시의 감흥에 보다 근접하는 입체감을 보는 이로 하여금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깊이감을 주는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작은 부피로써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다 넓은 범위의 영상 소소들의 촬영상의 실제 거리차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에 의해 영상이 표현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와 2b,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만들어져 관찰지에게 보이게 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 후로 위치하는 상현(像現)면들에 각기 표시되는 표현 객체들 간에 영역 중첩될 때 각 표현 객체를 처리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현 객체간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표현 객체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폭이 상현면 간에 이격된 간격 등에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과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역중첩 여부의 확인을 위해 임의 표현 객체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폭이 그 경계선의 방향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현 객체에 대한 상현면 간의 전환 표시가, 지정된 시간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개 이상의 상현면으로써 영상을 중첩하여 다중 홀로그램을 구현한 경우에, 표현 객체간의 영역중첩에 의해 상현면을 전환시켜 표시하게 되면, 그 영역중첩된 표현 객체들에 대해 새로운 경계를 설정함으로써 또 다른 상현면 상의 표현 객체와의 중첩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후치(後置)하는 상현면을 전치(前置) 상현면보다 그 크기를 작게 구성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직면과 이루는 각도가 45o 보다 작게 되도록 배치된 상현면과 그에 따른 영상의 입사와 반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b는, 상현면에의 영상 투사 시에 투사 거리에 따라 표현 객체가 왜곡되어 표현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홀로그램을 표시하는 상현면들 중 적어도 하나가 곡면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치 상현면에 표현되는 객체에 대해, 후방으로부터의 광 투과를 차단하는 블로킹 객체를, 전치 상현면과 후치 상현면 사이에 배치된 광 블로킹면에 생성함에 따라 보여지는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후치 상현면의 전방에 렌티큘라 렌즈 시트를 부가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 후치 상현면의 표현 객체가 시프트되어 보여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후의 상현면에 의해 겹쳐지는 홀로그램 영상을 다중 방향으로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각 상현면들에 대한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이 그 상단 또는 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 홀로그램 유니트의 구조를 각기 예시한 것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동가능하면서 동시에 수평적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 홀로그램 유니트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를 통해 영상을 상현면에 확대 투사하는 방식의 홀로그램 유니트들이, 겹쳐지는 다중 영상 또는 보다 선명한 단일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의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간격을 두고서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들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이하, '다중 홀로그램 장치'로 약칭한다. )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한다.
도 2a에 예시된 다중 홀로그램 장치는, 관찰자의 시선(視線) 방향으로 나란하게 전후로 배치된 2개의 홀로그램 유니트(unit)(101,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홀로그램 유니트는, 홀로그램 영상을 관찰자가 보게되는 면이 되는 반투과 미러(11) ( 관찰자는,이 미러에 의해 보이는 상(像)을 인식하게 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미러 면을 '상현(像現)면'이라 정의한다. )와, 그 반투과 미러를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 예를 들어 40o~50o 범위내의 임의 각( 바람직하게는 45o )으로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프레임(12)과, 상기 반투과 미러(11)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시각적(visual) 신호인 영상을 투사 또는 투영시키는 영상 재현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2)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투과 미러(11)로 영상이 투사 또는 투영될 수 있도록 상부가 일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반투과 미러(11)에서 반사된 영상을 관찰자가 볼 수 있는 방향( 이하, '시선 방향'이라 칭한다. )으로는 전면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후방에 배치된 홀로그램 유니트(102)의 반투과 미러에서 반사된 영상도 또한 상기 반투과 미러(11)로 입사할 수 있도록 후방 또한 전면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배치 구조를 갖는 다중 홀로그램 장치는, 홀로그램 유니트들(101,102)의 각 반투과 미러에 투사되는 영상은 모두 겹쳐져서 보는 이들의 양안에 보여지게 된다. 물론, 후방의 홀로그램 유니트(102)는, 겹쳐서 표시할 영상이나 이미지 등( 또는 그를 표시할 홀로그램 유니트 )이 자신의 후방에 없다면, 반투과 미러대신 광의 투과 특성이 전혀 없는 미러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a에 예시된 다중 홀로그램 장치는, 2개의 홀로그램 유니트(101,102)로써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설명과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3개 이상의 홀로그램 유니트( 즉, 개별적으로 영상이 표현되는 서로 이격 배치된 3개 이상의 상현면들 )를 포함하여,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전후로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당연히 3개 이상의 다중 영상이 겹쳐져서 단일의 영상으로 이용자의 양안( 이하에서는, 이용자의 양안이 있는 가상의 연직면을 '시계면(視界面)'(VP)이라 칭한다. )에 상이 맺히게 된다.
각 홀로그램 유니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 또는 결합됨으로써 다중 홀로그램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 홀로그램 유니트에서 후치(後置)( 여기서 '후치'란, 시계면(VP)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더 멀리 놓인 것을 의미함. 그리고,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놓인 것을 '전치(前置)'라 함. )된 유니트(102)의 영상 재현부(23)는, 전치 유니트(101)의 반투과 미러에서 반사로 소실(消失)되는 밝기를 고려하여, 전치 유니트의 영상 재현부(13)에 비해 영상을 더 밝게 하여 해당 반투과 미러에 투사 또는 투영한다. 예를 들면, 각 홀로그램 유니트의 반투과 미러의 투과율( 또는 감쇄율 )이 모두 50%라고 가정할 때, 후치 유니트의 영상 재현부(23)는 전치 유니트에 비해 200%( 광 투과율의 역(逆) 비율 )의 밝기로 영상을 투사 또는 투영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서로 겹쳐지는 각 영상의 시계면(VP)에서의 밝기는 서로 동등해지게 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로써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구현하는 다중 홀로그램 장치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재현부가 반투과 미러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영상 재현부는 반투과 미러의 하측은 물론, 프레임(12)의 좌 또는 우측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프레임(12)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에 맞게 프레임내의 반투과 미러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45o 틀어져서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됨으로써, 투사 또는 투영되는 영상이 여전히 수평하게 전방으로, 즉 시계면으로 반사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미러나 반투과 미러 대신, 상이 표시되는 일반적인 스크린 또는 반투과성을 갖는 특수 스크린을 적어도 전치된 유니트의 영상 표시면으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반투과성의 특수 스크린이란, 예를 들어, 후방에서 표현되는 또는 반사되는 영상을 일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밀도를 가지면서, 또한 입사광에 의한 상을 표시할 수 있는 연기막 또는 수막(水膜), 그리고 그물망 등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영사막으로서 홀로그램 유니트의 영상 표시면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스크린 또는 전술한 특수 스크린과 같은 영상이 표현되는 막의 경우에는, 관찰자는 그 표현 막에 나타나는 상(像)을 인식하게 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스크린에 대해서도 앞서 정의한 '상현(像現)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상기 영상 재현부(13)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렌즈를 통해 그 영상을 임의 면으로 확대 투사하는 영상 프로젝터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구비된 자체 화면 상에 직접 영상을 표시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LCD, 퀀텀닷 또는 OLED의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unit), 또는 스마트 폰 등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가 홀로그램 유니트의 상현면으로서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으로부터 투영되는 표시 영상을 전방으로 반사되게 한다. 물론, 적어도 전치된 홀로그램 유니트에 대해서는 광에 대한 반투과성을 갖는 미러가 장착된다.
홀로그램 유니트의 상현면이 광을 반사하는 성질의 미러 또는 반투과 미러인 경우에, 앞서 언급한 디스플레이 기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그 미러 등에 투영시킬 수도 있지만, 다르게는, 영상 프로젝터를 통해 일반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그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을 그 미러 등에 투영시킬 수도 있다. 도 2b는 이러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의 (a)는, 영상 프로젝터(111)를 반투과 미러(112)의 하부에서, 반투과 미러(112)의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113)에 영상을 투사시킴으로써, 하부의 반투과 미러(112)에 투영되어 전방으로 반사될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영상 프로젝터(111)에 의해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113)이 곧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과 동일하게 기능한다. 반투과 미러(112)를 기준으로 영상 프로젝터(111)와 스크린(113)은, 도시된 바와 상하로 반전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3개의 구성요소(111,112,113)이 모두 수평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b의 (b)는, 영상 프로젝터(111')를 스크린(113)에 대해 경사진 각으로 배치되게 하여 그 스크린(113)에 영상을 투사하는 구성이며, 도 2b의 (a)와 마찬가지로, 그 스크린(113)에 표시되는 영상이 하부의 미러 또는 반투과 미러(114)에 투영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 구조에서의 스크린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과 동일하게 기능한다.
도 2b의 (b)에 예시된 구성에서의 영상 프로젝터(111')는, 가능한 단거리 프로젝터(short throw projec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예들과는 달리 상현면이 영상 재현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전치되는 영상 재현부가 투명 LCD 또는 투명 OLED 패널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가, 전술한 바의 특수한 영사막을 포함하는 반투과 스크린이나 반투과 미러를 대체하여 영상을 표현하는 화면을 직접 구비하고 있으므로, 홀로그램 유니트에서 반투과 미러나 특수한 영사막 등의 반투과 스크린은 제거된다. 그리고, 각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는 자신의 투명한 화면( 관찰자는 이 화면에 나타나는 상을 직접 인식하게 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 화면 또한 앞서 정의한 '상현면'으로 통합하여 지칭한다. )을 통해 영상을 직접 표현하므로 경사져 배치될 필요없이 시계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각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가 곧 홀로그램 유니트가 된다. 물론, 최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투명일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도 있다.
각 홀로그램 유니트는, 전술한 바의 다양한 유형의 상현면과 영상 재현부들 중에서 적용 환경에 맞게 선정된 상현면과 영상 재현부로써 구성될 수 있다.
만약, 광을 반사시키는 미러와, 그 미러에 직접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프로젝터로써 홀로그램 유니트를 구성하는 경우라면, 그 영상 프로젝터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LCoS, DMD, LCD 등 )를 거친 광을 확대 투사하는 프로젝션 렌즈(3a)외에, 그 프로젝션 렌즈(3a)의 확대 광에 의한 상(像)을 형성하는 반투명 스크린(3b)과, 그 반투명 스크린(3b)을 투과한 광을 재확대 투사하는 상확대 렌즈(1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반투명 스크린(3b)과 상확대 렌즈(13c)는 그 영상 프로젝터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홀로그램 유니트가 미러가 아닌, 상이 형성되는 스크린으로써 상현면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반투명 스크린(3b)과 상확대 렌즈(13c)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 프로젝터가 그 상현면에 영상을 직접 투사하는 프로젝터로 적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반투명 스크린과 상확대 렌즈의 포함여부를 구분하지 않고 '영상 프로젝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관련된 설명에서 '영상 프로젝터'가 어떤 유형의 상현면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것인 지에 따라, 그 영상 프로젝터의 반투명 스크린과 상확대 렌즈의 포함여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들에서는, 홀로그램 유니트들의 상현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나, 이들 상현면들은 반드시 그렇게 배치될 필요는 없다. 전치된 상현면과 후치된 상현면에 대한 영상 표현방식에 따라 서로 비평행하게, 전방에서 보아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치된 각 영상 프로젝터의 상현면에 대한 입사각에 따라, 후치된 상현면이 전치된 상현면보다 좀더 수직면에 가깝게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후치된 상현면은 미러나 스크린으로, 전치된 상현면은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로 구현함으로써, 수직면에 대해 후치된 상현면은 경사지도록, 전치된 상현면은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중 홀로그램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복수의 영상 소스들(sources)를 수신하거나 저장장치에 기 수록된 복수의 영상 소스들의 데이터를 읽어서, 이 영상 소스들에서 동시점에 표시될 복수의 이미지들에서 서로 영역중첩되는 표현 객체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표현 객체가 있으면 이를 적절히 처리함으로써 중첩된 영역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 과정을 거친 각 영상 소스에 대해, 복수의 영상 재현부(13,23)로 분배하여 인가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표현 객체'란 용어는, 영상 프레임내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는 대상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영상 프레임내에서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또는 시각적 표현요소가 없는 것으로 지정된 특정 단색의( 또는 특정 데이터가 할당된 ) 영역을 배제한 영역이 표현 객체가 되며, 단일의 영상 프레임내에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표현 객체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단일의 영상 프레임내에서 복수의 표현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들 간에 경계가 구분됨으로써 표현영역이 서로 완전히 분리될 때이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에 인가되는 또는 읽혀지는 복수의 영상 소스들은 서로 동일하지 않은 영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서로 다른 촬영 거리에서 각기 촬영하여 얻은 영상 소스들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피사체를 서로 다른 촬영 거리에서 각기 촬영하여 얻은 영상 소스들로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처리부(100)에 의해 처리되어 분배 인가된 2개의 영상 소스들이 각 영상 재현부(13,23)에 의해 반투과 미러( 또는 반투과 스크린 )에 투사 또는 투영되어 표현되는, 즉 이용자의 눈에 보이게 되는 이미지들(41,42)은, 시계면(VP)에서 볼 때 시각적으로 서로 겹치게됨으로써 완전한 하나의 이미지(43)로 지각된다. 여기서 '완전한' 이미지란, 피사체를 촬영하는 시점에, 보는 이들에게 최종적으로 표시되도록 의도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시계면(VP)에서 보이는 완전한 하나의 이미지(43)는 시계면(VP)과의 거리에 있어서 거리차(fD)가 있는 이미지들(41,42)의 합성이므로, 보는 이는 그 합쳐진 이미지(43)에서 깊이감을 느끼게 된다. 즉, 후치 반투과 미러( 후치 반투과 미러와 같이 후치된 상현면을, 본 명세서에서는, '후 상현면'으로 약칭하고, 그 후 상현면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의 프레임 또는 픽처를 '후면 픽처'라 한다. ) 상에 표현된, 즉 후치 반투과 미러에 의해 보이는 표현 객체(411,412)( 본 명세서에서는, 후면 픽처에 포함되어 후 상현면에 표현될 또는 표현된 표현 객체를 '후면 객체'라 칭한다. )가 전치 반투과 미러( 전치 반투과 미러와 같이 전치된 상현면을 본 명세서에서는, '전 상현면'이라 약칭하고, 그 전 상현면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의 프레임 또는 픽처를 '전면 픽처'라 한다. ) 상에 표현된 표현 객체(421)( 본 명세서에서는, 전면 픽처에 포함되어 전 상현면에 표현될 또는 표현된 표현 객체를 '전면 객체'라 칭한다. )보다 더 멀리 있는 상(像)으로 지각하게 된다. 양안에 맺힌 상들(411,412,421)에서 이러한 거리차를 인식함에 따라, 보는 이들은, 위와 같이 겹쳐져 만들어진 완전한 이미지(43)로부터 이전의 단일 상현면에 의한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에서는 느낄 수 없는 깊이감을 지각함으로써 향상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램에 깊이감을 주기 위해서 위와 같이 거리차를 두고서 복수 영상을 각기 표시하고 이들이 서로 겹쳐져 하나의 픽처로 시각적으로 지각되게 할 때, 전면 객체와 후면 객체가 영역 중첩되면, 영상의 입체감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것은 물론 보는 이의 감흥도 반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복수의 영상 소스들간에 동시점에 표시될 때 위치가 중첩되는 표현 객체를 찾아서 중첩 표시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입력되는 또는 읽어 내는 복수의 영상 소스들, 예를 들어 2개의 영상 소스들에서 동시에 표시되어야 하는 양(both) 픽처, 즉 전면 픽처와 후면 픽처를 찾고, 그 양 픽처들에서 표현 객체들을 식별해 낸다.
주어진 전면 또는 후면 픽처내에서의 표현 객체의 식별은, 시간적으로 앞선 이전 픽처 및/또는 이후 픽처들에서 위치 변화가 없거나 또는 위치 이동이 있는 픽셀값들의 영역을 찾고 이들 간에 영역 분리되어 있는지 또는 에지(edge)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 외에, 픽처내에서 임의 영역을 점유하는 표현 객체를 찾는 기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들 중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파악하여 특정되는 표현 객체에 대해서는 연속되는 매 영상 프레임 간의 유사성에 근거해 표현 객체의 동일성이 유지된다.
동시각에 서로 표시되어야 하는 대응 픽처들에서 표현 객체가 찾아지면,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그 찾아진 하나 이상의 전면 객체에 대해서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해당 표현 객체와 위치( 화면 표시되는 프레임 상에서의 위치 )가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 후면 객체가 있는 지를 검사한다. 이 때, 영역 중첩의 확인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전면 객체의 영역은, 도 5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 객체(50)의 실제의 화면 점유영역이 아니고 그 객체의 경계를 객체의 외측으로 확장한 영역(51)( 이하, 이 경계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원래의 객체보다 더 커진 영역을 '목표 존'이라 칭한다. )이다. 즉, 목표 존내에 후면 객체가 일부분이라도 위치하는 지를 검사한다.
이 영역 중첩의 검사 과정에서, 도 5의 (a)에서와 같이, 후면 객체(52)의 일부 영역(53)이 상기 목표 존(51)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해당 영역(53), 즉 상기 목표 존(51)과 위치 중첩되는 후면 객체의 영역(53)( 또는, 중첩되는 영역을 소정의 여유폭만큼 확장한 후면 객체상의 영역 )을 해당 후면 픽처에서 제거한다( 여기서의 '제거'란 시각적으로 표현되지 않게 또는 전면 객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감지되도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영역에 대한 '제거' 또는 '삭제'의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 예를 들어, 후면 픽처에서 그 영역에 대해 블랙(black)에 해당하는 계조값으로 채우거나, 또는 영역 중첩되는 전면 객체의 계조값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계조값으로 채우게 된다. 이 때, 후면 객체(52)의 중첩되는 영역(53)이 제거된 것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도 5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거할 영역(53)에서, 전면 객체(50)의 실제 경계선 까지의 부분(53a)( 즉, 목표 존에서 확장된 영역만의 부분 )을 블러(blur)처리하여 후면 객체(52)의 계조값들이 점진적으로 사라지게 하고, 실제 경계선 안쪽에서 중첩되는 부분(53b)은 후면 픽처에서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객체의 부분만을 블러처리하지 않고, 도 5의 (c)에서와 같이, 전면 픽처에 대해서도 전면 객체(50)의 중첩되는 부분(50a)을 그 전면 객체의 경계를 따라 블러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객체에 대해서도 그 경계를 외측으로 확장하여 영역 중첩을 검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임의의 전면 객체에 대해 만든 목표 존내에, 후면 객체를 확장한 영역의 일부분이라도 위치하는 지를 검사하고, 일부분이라도 위치하면 영역 중첩으로 판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첩되는 영역을 후면 객체에서 제거하는 동작에 의해, 평면적으로 볼 때 전면 객체가 후면 객체에 완전히 속하는 경우에는, 도 5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면 픽처(56)에서 전면 객체( 실제적으로는, 이후에 설명하는 전면 객체에 대한 목표 존 )(55a)에 상응하는 영역(56b)이 제거된다. 즉, 전면 픽처(55)내의 객체(55a)에 상응하는 후면 픽처의 영역(56b)이 블랙 계조값으로 채워진다. 하나의 단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후면 픽처가 전 영역 또는 대부분의 영역에 모두 시각적 표현요소를 갖고 있어서 프레임내에서 부분적으로 시각적 요소를 갖는 전면 픽처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 이와 같은 후면 픽처에서의 전면 객체 전체 영역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거된 전면 객체 영역의 경계에 대한 전술한 바와 같은 블러 처리를 후면 픽처에 대해서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정지 영상, 즉 하나의 저장된 단일 이미지를 후 상현면에 전면 픽처의 배경 등의 용도로 표현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이미지에서 전면 객체에 상응하는 영역을 제거한 픽처를, 전면 픽처의 매 프레임마다 생성하여 동영상 신호로서 후 상현면의 영상 재현부에 인가하게 된다.
한편, 전면 객체와 후면 객체간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전면 객체에 대해서 그 경계를 확장하여 목표 존을 설정하는데, 경계 확장 폭은 미리 고정된 값, 예를 들어 지정된 픽셀 수만큼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요인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전면 객체(61)에 대한 목표 존(62)을 설정할 때 적용되는 경계 확장 폭(exG)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전 상현면(60)과 후 상현면(70)간의 간격(fD), 그리고 전 상현면(60)( 또는 후 상현면(70) )에서 시계면(VP)까지의 거리(vD)가 고려되어 상기 확장 폭(exG)이 결정된다. 여기서, 시계면(100)은, 다중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을 보기 위해 전 상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의도된 거리, 예를 들어 최소한의 이격 거리 또는 최적의 화질을 볼 수 있는 적정의 이격 거리에 있는 가상의 연직면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양 상현면(60,70)간의 간격(fD)( 이하, '상(像)간격'이라 칭한다. ) 또는 시계면까지의 거리(vD)에 대한 값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값에 근거하여 상기 확장 폭(exG)을 결정하는데, 상기 상간격(fD)의 경우에는 그 값이 클수록 확장 폭이 큰 값이 되게 하는, 그리고 시계면까지의 거리(vD)의 경우에는 그 값이 클수록 확장 폭은 작은 값이 되게 하는 규칙에 따라 특정 확장 폭을 결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 상간격(fD)과 시계면 거리(vD)의 양 변수를 동시에 반영할 때는 적절한 가중치를 반영하여 확장 폭의 평균값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확장 폭(exG)이 결정되면, 이 확장 폭을 사용하여 해당 전면 객체(61)에 대한 목표 존(62)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목표 존에 중첩되는 부분이 있는 후면 객체(71)가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중첩영역 삭제와 블러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전면 객체에 대하야 그 목표 존을 특정할 때 경계선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해진 확장 폭을 획일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면 객체의 경계선의 방향( 예를 들어, 경계선의 접선 또는 법선의 방향 )에 따라 다른 값의 확장 폭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수직적 확장 폭(exGV)을 수평적 확장 폭(exGH)보다 작은 값, 예를 들어 수평적 확장 폭(exGH)의 1/2, 또는 1/4 등의 비율로 설정하여 각기 적용됨으로써 목표 존(63)이 결정된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7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면 객체(61)의 경계선( 예를 들어, 경계선의 접선 )의 방향을 분석하고, 그 방향이 수평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는 수평적 확장 폭(exGH)만큼 경계를 확장하고, 그 방향이 수직에 가까운 부분에 대해서는 수직적 확장 폭(exGV)만큼 경계를 확장함으로써 목표 존(63)을 특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수평 또는 수직과 소정 각도, 예를 들어 10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사진 경계선에 대해서는 그 경사도에 따른 확장 폭을 결정하여 목표 존의 특정에 적용한다. 도 8은 이러한 확장 폭(exGX) 결정 방식으로 도식적으로 보여 준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전면 객체(81)의 경계 상의 임의 지점(811)( 임의 길이로 구분된 구간의 중간점 )에서의 경사도(812), 즉 기울기(θ)를 확인한 뒤, 그 기울기를 기 지정된 규칙(S80)에 적용함으로써, 수평적 확장 폭(exGH)과 수직적 확장 폭(exGV)의 사이에 속하는 값을 구하고, 그 구한 값을 해당 지점(811)( 또는 그 지점이 속한 소정의 경계선 구간 )에 대한 확장 폭(exGX)으로 적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전면 객체( 또는 목표 존 )와 후면 객체간의 영역중첩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영역 제거 및 블러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후면 객체가 목표 존과 중첩되는 영역이 후면 객체 전체에 대해 지정된 한계 비율, 예를 들어 10% 또는 20% 이상이 되면, 후면 객체의 영역 중첩된 부분이 아닌 그 후면 객체 전체를 후면 픽처에서 제거하고( 즉, 블랙 계조값으로 채우고 ), 전면 픽처상의 동일 위치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는, 후면 객체가 전면 객체와 실제로( 목표 존과 중첩되는 영역이 아닌 ) 중첩되는 영역은 배제하고 중첩되지 않는 부분만을 전면 픽처에 삽입하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후면 객체에 대한 전면 객체의 경계선 주변에서의 블러 처리도 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이 중첩되는 후면 객체를 주어진 기준에 근거하여 전면 픽처에 이동시켜 삽입하게 되면, 그 시점부터 지정된 제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예를 들어 지정된 수만큼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전술한 바와 같은 영역중첩 여부에 따른 처리가 진행될 때까지는, 후면 객체의 전면 객체( 또는 목표 존 )와의 영역 중첩이 한계 비율 이하가 되어도 그 후면 객체를 다시 후면 픽처내의 것으로 되돌리지 않는다.
도 9는 이러한 동작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면 객체의 전면 객체( 또는 목표 존 )와의 영역중첩 정도(90)가 임의 시점(t91)에 주어진 기준치(OvLTH)를 초과하여 후면 객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픽처로 이동 삽입시킨 후에는, 그 시점(t91)부터 주어진 제한 시간(TI _ MIN)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영역중첩 정도(90)가 다시 상기 기준치(OvLTH) 이하가 되더라도(901) 매 영상 프레임( 즉, 매 픽처 )마다 해당 후면 객체를 전면 픽처 상에 삽입하는 동작을 지속함으로써 전 상현면을 통해 계속하여 표현되게 한다(91).
이와 같이, 후면 객체의 상현면을 후면에서 전면으로 전환시켜 표현될 수 있게 한 경우에 일정 제한시간 동안 그 전환표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은, 그 제한시간이 경과한 후 영역중첩 정도(90)가 주어진 기준치(OvLTH) 이하가 됨으로써(t92) 원래의 후면 픽처로 되돌린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그 시점(t92)부터 제한시간(TI _ MIN)이 경과하기 전에는 영역중첩 정도(90)가 다시 기준치(OvLTH) 이상이 되더라도(902) 후면 객체를 전면 픽처에 삽입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객체의 영역중첩 정도가 주어진 기준을 충족하는 또는 충족하지 않는 순간 상현면을 전환시키고 그 순간부터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은 기준의 충족여부와 무관하게 그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전술한 방법 대신, 후면 객체의 영역중첩 정도가 주어진 기준을 만족하는 상태 또는 만족하지 않는 상태가 정해진 제한 시간동안 지속될 때에, 또는 기준이 만족된 후 또는 만족되지 않게 된 후 졍해진 제한 시간 후에도 여전히 동일 상태일 때에 후면 객체의 상현면을 전환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후면 객체에 대한 표시 면의 전환에 있어 시간적 지연을 두는 이유는, 움직임이 빠른 표현 객체가 있을 경우 매우 잦은 표시 면의 전환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런 상황이면 보는 이가 영상의 부분적 깜빡거림(flickering)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지금까지의 표현 객체간의 영역중첩 여부에 따른 처리동작에 대한 구체적 설명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영상 소스가 2개인 것을 전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 그리고 기술적 사상은 이중 영상 소스로 제한되지 않으며, 당연히 3개 이상의 다중 영상 소소들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위에 설명한 영역중첩되는 객체들에 대한 처리는 3개 이상의 다수의 영상 소스들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N( N>2 )개의 상현면이 있을 때, 시계면을 기준으로 제일 가까운 제 1상현면과 그 다음 가까운 제 2상현면에 각각 표현될 양 픽처간에 대해서는 물론, 제 2상현면과 제 3상현면에 표현될 양 픽처간, 또는 제 1상현면과 제 3상현면에 표현될 양 픽처 간의 표현 객체에 대한 영역중첩 확인과 그에 따른 영상처리를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상현면들이 구비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가, 앞서 배치된 상현면과 임의 순서에 있는 후방의 상현면에 의해 각기 표현될 양 픽처에 대해서, 전술한 바의 영역중첩과 관련된 영상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면, 그 구비된 상현면들의 수에 무관하게, 그 장치는 당연히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는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당연히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제 1상현면용 픽처( 이하, '제 1면 픽처'라 함 )와 제 2상현면용 픽처( 이하, '제 2면 픽처'라 함 )간에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기 지정된 기준을 초과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면 픽처내의 표현 객체를 제 1면 픽처내로 삽입함으로써 상현면을 전환시키는 경우에, 그 삽입된 객체와 영역 중첩되는 제 1면 픽처내의 표현 객체에 대한 목표 존을, 그 삽입된 객체의 영역을 고려하여 결정한 후 제 3상현면에 표현될 픽처( 이하, '제 3면 픽처'라 함 )내의 표현 객체와의 중첩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도 10은, 이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면 픽처(1010)내의 표현 객체(1011)가 한계 비율 이상 제 1면 픽처(1000)내의 표현 객체(1001)와 영역 중첩됨으로써 제 1면 픽처(1000)내의 표현 객체(1011')로 삽입하여 상현면을 전환시키는 경우에, 제 1면 픽처의 표현 객체(1001)에 대한 목표 존(1002)은, 그 영역 중첩되어 만들어진 새로운 합(union) 영역(1001')의 경계로부터 현재 설정된 확장 폭을 반영하여 새로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새로이 결정된 목표 존(1002)을 사용하여, 제 3면 픽처내의 표현 객체(1021) 와의 영역중첩 여부의 확인과 그 중첩 정도에 따른 영상 처리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들로써 설명한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으로 다중 영상을 겹쳐서 표현함으로써, 이용자는 영역 중첩되는 부분이 없이 합성된 완전한 홀로그램을 볼 수 있게 되고 서로 다른 깊이의 상(像)에 따른 현저하게 향상된 입체감을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다중 홀로그램의 깊이, 즉 상간격을 위와 같이 고정시키지 않고 적응적으로 조절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는, 동일 피사체 또는 서로 다른 피사체를 서로 다른 촬영거리에서 개별적으로 촬영하여 얻은 영상 소스들 간의 실제의 촬영거리 차이, 또는, 그 촬영거리의 차이에 근거하여 정해진 의도된 시청거리 차이에 따라 홀로그램 유니트간의 간격, 즉 상현면간의 상간격(fD)을 조절한다.
이를 위해, 각 홀로그램 유니트는 모터에 의해 그 위치가 레일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최선단의 홀로그램 유니트는 이 이동형 구조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 이 모터의 구동에 따른 홀로그램 유니트의 위치 조정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소소들에 실려 수신되는, 또는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인가되는 거리 차이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100)가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영상 소스들간의 촬영거리 또는 시청거리에 있어서의 차이에 단계적으로 바례하여 상간격(fD)이 설정되도록, 모터를 구동시켜 해당 홀로그램 유니트( 예를 들어, 후치된 홀로그램 유니트 )의 위치, 즉 후 상현면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촬영거리 또는 의도된 시청거리에 있어서의 차이가 더 커지면 그에 따라 후 상현면이 전 상현면으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위치 이동시킨다.
다중 홀로그램에 대한 깊이감이 적응적으로 조절되게 하는 실시예들 중 다른 하나는, 영상 소스들 간의 거리차 정보에 근거하여 후면 픽처( 또는 후면 객체들 )의 크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영상 소스들간의 촬영거리 또는 시청거리에 있어서의 차이가 더 커지면 후 상현면에 표현할 후면 픽처( 또는 그 픽처내의 표현 객체들 )의 크기가 현재보다 더 작아지도록 축소시킨다. 물론, 전면 픽처( 또는 그 픽처내의 표현 객체들 )를 더 크게 확장시킬 수도 있으며, 이 두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다중 홀로그램에 대한 깊이감이 적응적으로 조절되게 하는 실시예들 중 또 다른 하나는, 영상 소스들 간의 거리차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재현부(13 또는 23)와 반투과 미러나 스크린 등인 상현면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거리차 정보가 상대적으로 커지면, 전치된 영상 재현부(13)와 상현면간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영상 재현부의 높이를 재설정하거나, 또는 후치된 영상 재현부(23)와 상현면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영상 재현부의 높이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다중 홀로그램에 대한 깊이감이 적응적으로 조절되게 하는 실시예들 중 또 다른 하나는, 영상 소스들 간의 거리차 정보에 근거하여 후면 픽처의 밝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영상 소스들간의 촬영거리 또는 시청거리의 차이가 더 커지면 후 상현면에 표현할 후면 픽처의 밝기를 현재보다 더 어두워지도록 영상 데이터를 보정한 후 해당 영상 재현부로 출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장치의 모든 홀로그램 유니트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상현면을 가질 수 있지만, 후치된 유니트는 전치된 유니트에 비해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적으로( 또는 세로로, (a)의 경우 ) 또는 수평적으로( 또는 가로로, (b)의 경우 ) 축소된 크기의 상현면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장치는, 후 상현면이 전 상현면에 비해 높이 또는 폭이 더 작은 크기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구비되는 전 상현면과 후 상현면의 상대적인 크기와 그에 따른 배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1에 예시된 실시예는, 후면 픽처가, 전면 픽처의 전체 영역의 일부에 해당하는 표시영역에서만 유효한 표현 객체들을 포함하고 있을 때, 영상 표현에서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영상 재현부로부터 수직적으로( 실시예 (a)의 경우 ) 또는 수평적으로( 실시예 (b)의 경우 ) 투사되는 영상을 전방의 시계면(VP)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또는 시계면에서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상현면들이 45o 경사져 배치됨에 따라 후 상현면(1102,1112)의 전 상현면(1101,1111)과 이격되어야 하는 거리, 즉 상간격을 보다 짧게 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실시예는, 보다 짧은 상간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범위의 영상 소소들간의 촬영거리 또는 의도된 시청거리에 있어서의 차이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중 홀로그램 장치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상현면이 배치되는 경우, 상현면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때에 비해서, (a)의 실시예에서는, 상간격을 최대로 '1 -H_bDP/H_fDP' 비율만큼, (b)의 실시예에서는, 최대로 '1 - W_bDP/W_fDP' 비율만큼 더 짧게 할 수가 있다.
상현면으로서, 영상을 직접 표현할 수 있는 투명 LCD 디스플레이가 아닌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투과 미러나 반투과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그 상현면은 투사되는 영상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수직면에 대해서 또는 수평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45o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배치 구조를 갖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간격( 또는 홀로그램 유니트의 물리적인 크기에서의 폭 )은, 프레임(12)의 기구적인 요소들을 무시하더라도, 표시되는 전면 픽처와 후면 픽처가 서로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상현면의 기울어진 모서리 길이의 0.707 비율 이하로 축소시킬 수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현면에의 영상 입사각이 45o 이하가 되게 함으로써 위 제약 사항에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현부와 상현면의 상호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에 예시된 도면에서, 상현면(1201)은 기준이 되는 연직면(1200)과 45o 이하인 소정 각도(α)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a는 다중 홀로그램 장치를 옆에서 본 측면도(V121)일 수도 있고, 위에서 본 평면도(V122)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를 전제하면, 도 12a는, 상기 상현면(1201)이 상기 기준 연직면(1200)에 대해서 소정 각도(α) 기울어져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를 전제하면, 도 12a는 상기 상현면(1201)이 상기 기준 연직면(1200)에 대해서 소정 각도(α) 틀어져서 지면에는 여전히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2a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재현부(1202)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의 중심선(L01)은 기준 연직면(1200)과 평행을 이루지 않고 '90o - 2α' (α<45o)의 각을 이룬다. 이런 배치 구조로 인하여 상기 영상 재현부(1202)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의 중심선(L01)은 상현면(1201)과 α의 입사각을 이루게 되고, 그 반사되어 진행되는 방향(L02)( 또는 관찰자의 시선 방향 )은 기준 연직면(1200)과 수직이 된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장치도,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갖는 장치와 마찬가지로, 영상을 바로 정면으로 투사함을 의미한다.
도 12a의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갖게 되면, 홀로그램 유니트간의 상간격( 또는 홀로그램 유니트의 물리적인 크기에서의 폭 )은, 프레임의 기구적인 요소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무시할 때 상현면(1201)의 기울어진 또는 틀어진 모서리 길이(ie_L)의 0.707 비율 이하로 축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각도(α)를 30o로 하면, 기울어진 또는 틀어진 모서리 길이(ie_L)의 50%까지 상간격을 최대로 축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영상 재현부가 렌즈를 통해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영상 프로젝터와 그 투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미러 또는 반투과 미러, 또는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이나 반투과 스크린과 같은 상현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영상 프로젝터의 렌즈로부터 상현면까지의 투사거리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의 형태가 왜곡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표현 객체를, 상현면 상에서 투사거리가 더 짧은 영역에 투사하게 되면, 투사거리가 더 긴 영역에 투사할 때보다 표현 객체의 크기가 작아지고, 또한, 하나의 표현 객체의 경우에도, 넓은 영역에 걸쳐서 표현될 때는 투사거리의 차이에 따라 상의 왜곡이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도 12a에서와 같이, 홀로그램 유니트간의 상간격( 결과적으로, 다중 홀로그램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 )을 축소하기 위해, 상현면을 기준 연직면(1200)과 더 작은 각(α)을 이루도록 배치하게 되면, 렌즈로부터의 투사거리의 차이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른 상의 왜곡 현상도 두드러진다.
도 12b는, 이와 같은 상현면의 배치 각도에 따른 상의 왜곡 현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기준 연직면(vPl)에 대해 적정 각(α1)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현면(1220)인 경우에는 상현면의 가상 중심선(vcL)의 상하에 걸쳐서 표시된 표현객체의 상하 간의 크기 차이가 인식되지 않을 정도이지만, 기준 연직면(vPl)에 대해 그 적정 각(α1)보다 더 작은 각(α2)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현면(1230)의 경우에는, 표현객체에서의 동일한 길이의 부분들(1231,1232)이 각기 상하로 표현됨에 있어서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 두드러지게 서로 다른 길이로 나타날 수 있다.
상현면에 직접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외에도, 상현면에 투영할 영상을 별도의 스크린에 경사진 형태로 투사하는 도 2b의 (b)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투사거리의 차이에 의한 상의 왜곡을 사전에 보정한 후에 상현면( 또는 별도의 스크린 )에 투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100)가 영상 소스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표현객체의 화소들에 대해서 해당 영상 프레임 상에서의 위치( 즉, 상현면 상에서의 위치 )에 따라 투사거리를 파악한다. 렌즈의 중심선에 대한 상현면의 배치 관계( 중심선과의 각, 상현면의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 등 )에 대한 정보는 상기 영상 처리부(100)에 기 설정되어 있게 되고, 이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상의 위치에 따른 투사거리를 파악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그 파악되는 투사거리에 비례하여 해당 부분 확대 또는 축소시키게 된다. 확대 또는 축소는, 상현면( 또는 별도 스크린 )과 영상 프로젝터의 배치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도 12b의 예에서는, 확대 또는 축소를 수평적으로만 행하게 된다.
즉, 기 설정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투사거리(refLen)보다 짧은 투사거리인 경우에는 표현객체의 해당 부분을 그 거리차에 대응하는 만큼 수평적으로(hLn) 확대되도록, 기준 투사거리(refLen)보다 긴 경우에는 표현객체의 해당 부분을 그 거리차에 대응하는 만큼 수평적으로(hLn) 축소되도록 함으로써 표현객체의 형태를 왜곡시킨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표현객체들이 포함된 영상 소스에 대해 이렇게 투사거리에 따른 사전 왜곡을 수행한 후에 그 결과의 영상 신호를 해당 영상 재현부에 인가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은, 각 홀로그램 유니트에 의한 상현면이 평면인 것을 전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상현면이 평면인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홀로그램 유니트의 상현면이 영상을 직접 표현할 수 있는 기기, 예를 들어 투명 LCD 디스플레이인 경우라면, 도 1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 상현면(1300)은 평면의 형태를 갖고 후 상현면(1301)은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곡면의 바람직한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면, 즉 관찰자 측으로 불록한 형태이다.
전면 객체와 후면 객체가 서로 영역 중첩됨에 따라 후 상현면에서 삭제된 후면 픽처의 일부 영역 또는 후면 객체의 영역은, 보는 이의 시선이 시계면의 정중앙에서 이격된 위치일수록 시각적으로 지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런데, 도 13a에 에시된 바와 같이 후 상현면(1301)을 곡면 형태로 구비하게 되면, 보는 이가 좌우로 또는 상하로 위치 이동하여(1311) 영상을 보게 되더라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되는 영상의 평면적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후 상현면(1301)에서 삭제된 후면 픽처의 일부 영역 또는 후면 객체의 영역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1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 상현면(1320)과 후 상현면(1321) 모두가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전 상현면(1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 측에서 보아 오목한 형태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램 유니트에서 곡면 형태로 구비되는 상현면에 대해서, 수평적 곡률(CH)이 수직적 곡률(CV)보다 더 크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보는 이들이 위치하는 범위가 상하보다는 좌우가 훨씬 더 넓기 때문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영상 소스들을 다중 배열된 상현면들에 각기 표시함으로써 서로 겹치게 하여 시각적으로 완전한 단일 화면을 표현함에 있어서, 전면 객체와 후면 객체 간에 서로 영역 중첩되는 후면 객체( 또는 전면 객체와 영역중첩되는 후면 픽처의 부분 )에 대해서는 그 중첩 영역을 해당 픽처에서 삭제한 후면 픽처를 만들어 해당 상현면을 통해 표현되게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픽처에 대해서 중첩된 객체 또는 중첩된 영역을 처리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 대신, 전면 객체의 영역을 블로킹(blocking)하는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 픽처에 대해서, 전면 픽처내의 표현 객체와 중첩되는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블로킹 영상이 표현되는 상현면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상현면들이 구비되어 완전한 홀로그램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영상 처리부(100)에 제공되는 영상 소스들에 의한 픽처들이 각기 표시되는 전 상현면(1400)과 후 상현면(1410) 외에, 블로킹 픽처가 표시됨으로써 영역을 선택적으로 광차단시키는 광 블로킹면(1420)이 추가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광 블로킹면(1420)은 투명 LCD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로써 구현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전 상현면(1400)과 후 상현면(14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사되는 영상을 반사시키는 반투과 미러나 투사되는 광의 상을 형성하는 반투과 스크린일 수도 있고, 또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자체적으로 표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도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상기 광 블로킹면(1420)은, 최대한 상기 전 상현면(140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즉, 전 상현면에 표시되는 표현 객체와 광 블로킹면에 만들어지는 블로킹 객체 간의 거리 차를, 물리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근접되어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전 상현면에 표현될 픽처내의 표현 객체(1401a)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목표 존을 설정한 후, 그 목표 존을 블로킹 객체(1421a)로 표현한 픽처(1421)을 생성하여(S141) 상기 광 블로킹면(1420)에 형성되게 한다(S142).
여기서, 블로킹 객체(1421a)란, 상기 광 블로킹면(1420)에서 그 후방( 즉, 후 상현면 )으로부터의 빛이 전방으로 투과되지 않게 차단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색상( 예를 들어, 흑색 )으로 표현되는 객체를 의미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러한 차단 특성을 위해 광의 편광을 제어하는 해당 영역에 대한 신호의 세트(set)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부(100)에 의해 생성되는 블로킹 픽처는, 블로킹 객체를 배제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 그 후방의 빛이 전방으로 투과되는 투명 특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픽처가 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100)가 전면 객체(1401a)로부터 블로킹 객체(1421a)를 생성할 때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전면 객체에 대한 경계를 객체 외측으로 확장하고 그 확장된 목표 존을 블로킹 객체로 대체하게 되는데, 이 때 확장하는 폭은, 상기 전 상현면(1400)과 광 블로킹면(1420) 사이의 간격(Bgp)에 따라 결정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Bgp)이 좁으면 경계의 확장 폭은 수 픽셀(pixel) 정도로 작게 결정하고, 간격이 넓으면 10 픽셀 이상 좀 더 크게 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하는 블로킹 객체에 대해서 그 경계선에 대해서 블러 처리를 할수도 있다. 이 경우, 블러시키는 폭도 상기 전 상현면(1400)과 광 블로킹면(1420) 사이의 간격(Bgp)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간격(Bgp)이 넓으면 그에 비례하여 넓어지는 규칙에 따라 블러시키는 폭도 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면 객체에 대하여 블로킹 객체를 광 블로킹면(1420)에 표현하게 되면, 전면 객체가 표현된 영역에 대해서는 후 상현면(1410)에 표현된 어떠한 표현 객체도 함께 중첩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지각되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깊이의 다중 홀로그램 영상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혼동을 주지 않고 입체적인 단일의 영상으로 지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는 이의 시점이 전후 좌우로 이동할 때에도, 전면 객체를 확장하여 전면 객체에 근접하게 생성시킨 블로킹 객체로 인해, 전면 객체의 경계 부분에 후 상현면(1410)의 픽처가 시각적으로 중첩되는 경우도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관찰자가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할 때, 전면 객체에 의해 가려졌던 후면 픽처의 영역이 새로이 보이거나 또는 가려지게 됨으로써, 관찰자는 도 14와 같이 제공되는 다중 홀로그램 영상으로부터 보다 향상된 입체감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전 상현면 후방에 광 블로킹면을 구비하는 대신, 후 상현면애 대한 시선 방향의 각도에 따라 다른 상(像)이 보일 수 있게 하는, 예를 들어 렌티귤러 렌즈 시트(sheet)와 같은 상 편향 수단을 후 상현면의 전면 또는 전방에( 또는, 상현면의 유형에 따라서는 그 후면에 부착한 채로 )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 편향 수단은, 후 상현면에 맺혀지는 상들에 대한 시선 방향을 3방향( 중앙, 좌측, 우측 )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하여 편향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홀로그램 장치에서의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후 상현면 상에서의 표현을 위해 입력된 픽처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 상현면에 표현될 픽처와의 표현 객체 중첩여부에 따른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상 편향 수단이 구분하는 시선 방향 범위의 수(Nv)에 따라, 영상신호 처리된 후면 픽처에 대해서 좌와 우로 시프트(shift) 시킴으로써( 또는 동일 방향에 대해서도 크기를 달리하여 시킴으로써 ) Nv 개의 편향 픽처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렇게 생성된 각 편향 픽처를 스트립(strip)들로 슬라이스한 후, 각 편향 픽처의 스트립들을 순차적으로 인터레이싱함으로써 하나의 픽처( 이하, '다향용 픽처'라 칭한다 )를 완성하여 후 상현면의 영상 재현부에 인가하게 된다.
도 15는, 상기 상 편향 수단이 시선 방향을 3개( 중앙방향, 좌측방향, 우측방향 )로 구분하는 조건 하에서의 본 실시예에 따른 표현 객체에 대한 영상처리 및 표시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전면 픽처의 표현 객체(1501)와 후면 픽처의 표현 객체(1502) 간에 영역중첩되어, 그 중첩된 영역(1510)을 후면 객체(1502)에서 제거하였을 때는, 그 중첩영역이 제거된(1510a) 후면 객체(1502')의 픽처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향용 픽처를 생성한다. 즉, 중앙방향, 좌측방향 그리고 우측방향에서의 시선에 대한 3개의 픽처들이 인터레이싱된 픽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다향용 픽처가 후 상현면 상에 표현되어 있을 때, 보는 이가 임의의 축(Iax)( 예를 들어, 상현면의 가운데 수직선 )을 기준으로 중앙부에서 좌측으로(1521) 또는 우측으로(1522) 이동하게 되면, 그에 따라 우측으로(Rs) 또는 좌측으로(Ls)으로 시프트된 후면 픽처가 시각적으로 지각된다.
따라서, 관찰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또는 서로 다른 시선 방향에 있는 관찰자들에 대해서도, 특정 방향( 예를 들어, 중앙 )에서 보아 중첩영역이 제거된(1510a) 후면 객체(1502')와 전면 객체 간에 일부 영역이 중첩되어 보이거나, 또는 그 경계 간의 간극이 넓어져 보이게 되는 현상은 억제된다.
지금까지 다양한 실시예들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다중 홀로그램 장치는, 다중 방향에 대해 각기 영상이 겹쳐서 보일 수 있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6은 이에 따라 구성된 다중 홀로그램 장치의 상현면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90도의 각으로 각기 서로 다른 4 개의 지향 방향(1621,1622)( 전후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현면들에 수직인 가상 직선의 수평투영된 방향 )으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예의 장치는, 일체로 구성된 후방 표시 다면체(1610)가 4개의 각 방향에 대한 후 상현면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당연히 서로 분리된 형태로 각 방향의 후 상현면들이 배치,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다중 방향으로 겹쳐진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도 16의 실시예와는 달리, 지향하는 방향(1621,1622)이 서로 90도가 아닌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향하는 방향이 각기 60도씩, 또는 120도씩 서로 틀어진 형태로 전 상현면과 후 상현면의 조합들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의 상기 영상 처리부(100)가 행하는 동작은,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표시를 위한 복수의 상현면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열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와는 별개인 다중영상 신호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중영상 신호처리 장치가, 스튜디오와 같은 특정 공간에서 서로 다른 피사체를 서로 다른 촬영거리에서 개별적으로 촬영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은 복수의 영상들을 각기 입력받아, 그 입력되는 영상 소스들에서 동시점에 표시될 복수의 이미지들에서 서로 영역중첩되는 표현 객체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표현 객체가 있을 때는 이를 전술한 다양한 방식들에 따라 적절히 처리하여 중첩된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다중 홀로그램 영상을 위한 영상물들을 만들수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복수의 영상물들은, 별도의 저장매체에 수록되어 오프라인 상에서 복수의 영상 재현부가 구비되어 있는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기기까지 전달됨으로써 그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읽어 내는 판독기(reader)에 의해, 또는 임의의 서버 상에 저장되어 요청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됨으로써 데이터 수신기(receiver)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 영상 재현부에 복수의 영상물이 분배되어 해당 영상물의 데이터가 인가되면, 서로 겹쳐서 표시됨으로써 입체감이 향상된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현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영상 재현부가, 앞서 언급한 바의 반투과 미러 등에 영상을 투영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예를 들어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기기로 구성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다중 홀로그램 장치의 복수개의 홀로그램 유니트들 중에서 적어도 전치되는 홀로그램 유니트가,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회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7 내지 19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른 홀로그램 유니트의 구조 및 구성을 각기 예시한 것으로서, 도 17은 디스플레이 기기(1710)가 반투과성의 스크린을 형성하는 반투과 미러(1720)의 상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홀로그램 유니트에 대한 예이고, 도 18은 디스플레이 기기(1810)가 반투과 미러(1820)의 하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홀로그램 유니트에 대한 예이다.
도 17에 예시된 홀로그램 유니트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710)가, 데크(1700)의 선단부에서 상방으로 길게 수직돌출된 양 지지대(1701)의 상단 홈들에 양측 돌기가 끼워져서 그 홈들의 연장선을 축(rax1)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양 지지대(1701)의 관통홈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710)의 양 측면의 홈에 끼워진 고정구(170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710)가 반투과 미러(1720)의 상부에서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상태는 다중 영상을 겹치게 하여 입체감을 높이는 방식으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의 (a)와 같은 고정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702)를 잡아당기게 되면, 그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710)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rax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현면이 되는 화면이 시계면과 평행하게 된다. 즉, 그 상현면에 수직인 가상선의 방향이, 보는 이들에 대한 의도된 위치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710)가 표시하는 영상을 그 전방에 있는 이용자가 직접( 즉, 반사에 의하지 않고 ) 볼 수 있게 된다.
도 18에 예시된 홀로그램 유니트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1810)가 데크(1800)의 안쪽 양 측면에 형성된 홈들에 양측면의 돌기가 끼워져서 그 홈들의 연장선을 축(rax2)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데크(1800)의 후단에서 관통 슬릿을 통해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기기(1810)의 하단을 받치는 박편(180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810)가 반투과 미러(1820)의 하부에서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박편(1802)를 후방으로 인출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810)가 박편(1802)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810)는,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rax2)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수평으로 있던 상현면, 즉 화면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시계면과 평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810)가 표시하는 영상을 그 전방에 있는 이용자가 직접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세워진 상태는, 데크(1800)에서 상방으로 다소 돌출된 양 지지 플레이트(1801)의 관통홈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810)의 양 측면의 홈(1811)에 끼워지는 고정구(1803)에 의해 고정된다.
도 17 및 18에 예시된 홀로그램 유니트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양측면 간을 잇는 축( 즉, 상단 또는 하단의 모서리에 근접된 그 모서리에 평행한 축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구조이지만, 다르게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좌단부 또는 우단부의 상하면 간을 잇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회동 구조는, 측면에서 영상을 투사하여 전방으로 반사시키도록 상현면들이 배치된 도 11의 (b)에서와 같은 경우에 적용된다.
한편, 도 18에 예시된 홀로그램 유니트에 대해서는, 다중 홀로그램 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영상 처리부(100)가 영상을 상하로 반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810)에 인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는, 도 18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직접 전방에 있는 이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때는 도 18의 (a)의 상태일 때와 영상의 상하가 반전되어 표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홀로그램 유니트를 포함하는 다중 홀로그램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는, 필요시에, 즉, 도 18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를 수직으로 고정시킨 후에, 상기 영상 처리부(100)가 제공하는 메뉴 화면 또는 버튼 등을 통해 '반전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영상 처리부(100)는 해당 디스플레이 기기(1810)에 제공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서 상하를 반전시키는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도 19에 예시된 홀로그램 유니트는, 도 17 및 18에 예시된 유니트들과는 달리, 디스플레이 기기(1910)가 반투과 미러(19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면서 동시에 그 반투과 미러(1920) 상부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는 상태로 장착된다.
도 19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반투과 미러(1920)가,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가이드 월(wall)(1941)을 양 측에 구비한 장착대(1940)에 끼워져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기기(1910)는, 그 양 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가이드 월(1941)의 내측에 형성된 레일 홈(1941a)에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910)는,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의 돌기가 상기 레일 홈(1941a)의 후단에 위치한 채로, 상기 장착대(1940)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910) 사이를 지지하는 고정암(1922)에 의해 반투과 미러(1920)의 상부에서 수평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대(1940)와 데크(1900)도 서로 대응되는 원형의 요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장착대(1940)는 그 요홈의 축(rax3)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대(1923)에 의해 데크(1900)에 지지됨으로써 데크(1900)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진 상태가 유지된다.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홀로그램 유니트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923)의 받침 상태를 해제시켜서 상기 장착대(1940)가 상기 회전축(rax3)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데크(1900)에 밀착안착되게 한 후에, 상기 고정암(1922)의 지지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9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이 있을 때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910)의 양 측면의 돌기가 상기 레일 홈(1941a)의 전단 벽에 각기 밀착될 때까지 상기 레일 홈(1941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렇게 전방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월(1941)의 상측으로 다소 돌출 형성된 결착 돌기(1941b)의 관통 홈을 통해 상기 고정암(1922)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링(1922a)까지 고정구(1942)가 삽입됨으로써, 데크(1900)의 선단으로 이동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9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910)의 화면이 시계면과 평행하게 되어 그 전방에 있는 이용자가 표시 영상을 직접 볼 수 있게 된다.
다중 홀로그램 장치에서, 적어도 전치된 홀로그램 유니트가, 도 17 내지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가 선택적으로 수직 배치될 수 있는 장착 구조를 가지게 되면, 그 다중 홀로그램 장치를 운영하는 사용자는, 주변이 밝아서, 반투과 미러에 반사시키는 방식에 의한 다중 영상의 플로팅 홀로그램이 이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선명하지 못한 상황일 때, 제일 선두에 위치하는 홀로그램 유니트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수직으로 세워서 그 디스플레이 기기가 표현하는 영상을 이용자들이 직접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상현면들의 영상이 서로 겹치게 하여 다중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단일 상현면의 영상만을 보다 선명하게 제공하는 선택적 방식은, 영상 재현부가,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아닌 렌즈를 통해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영상 프로젝터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이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홀로그램 유니트들을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예시된 2개의 홀로그램 유니트들 중에서 전치된 유니트의 상현면인 반투과 스크린(2010)( 반투과 미러일 수도 있다. )은, 전상단을 축(rax4)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후치된 유니트는 광 투과성이 전혀 없는 스크린이나 미러( 이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에 맞는 영상 프로젝터가 구비된다. )를 상현면으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 20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주변의 밝기에 따라서, 각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다중 영상을 겹치게 하여 입체감을 높이는 방식으로 홀로그램을 제공하거나, 또는 전치된 반투과 스크린(2010) 등을 상부로 젖힌 개방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후치된 프로젝터에 의해 후 상현면(2020)에 투사된 영상 또는 그 상현면으로부터 반사된 영상만을 이용자가 위치하는 전방에서 볼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때는, 전방과 상기 후 상현면(2020) 사이를 전치된 반투과 스크린(2010) 등이 가로막지 않기 때문에 그 반투과 스크린(2010) 등에 의한 광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밝은 영상을 전방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20에 예시된 바와 달리, 전치되는 홀로그램 유니트는, 전치된 상현면이 후하단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도 있고, 도 11의 (b)와 같이 상현면들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배열된 상현면들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k: 홀로그램 유니트 11: 반투과 미러
12: 프레임 13, 23: 영상 재현부
100: 영상 처리부 111,111': 영상 프로젝터
112: 반투과 미러 113: 스크린
114: 미러 또는 반투과 미러 1201: 상현(像現)면
1202: 영상 재현부 1400: 전(前) 상현면
1410: 후(後) 상현면 1420: 광 블로킹면
1421: 블로킹 픽처

Claims (38)

  1.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구비된 상현(像現)면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게 하는 홀로그램 유니트를 2개 이상 포함하고, 또한
    서로 다른 2개의 영상 소스들을 상기 2개 이상의 홀로그램 유니트 중 제 1유니트와 제 2유니트에 각기 인가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관찰자가 위치하게 되는 전방을 향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이 더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소스들에 대하여,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각각 동시에 표현되어야 하는 제 1 및 제 2픽처 간의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그 영역이 관찰자의 시점에서 중첩 표시되지 않게 하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또한 구성되며,
    상기 2개 이상의 홀로그램 유니트의 각 상현면에 표현되는 영상이 상기 전방에서 서로 겹쳐서 보일 수 있도록, 후방에 홀로그램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는 홀로그램 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후방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전방으로 투과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픽처내의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픽처내의 제 2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되면,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표시되어야 하는 상기 제 2픽처에서 적어도 그 중첩되는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제 2표현 객체의 제거되지 않은 잔여 영역과 제거된 영역 간의 경계에 대해서는 블러(blur)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표현 객체의 경계에서 상기 중첩되는 영역에 속하는 구간에 대해서도 블러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되는 영역은, 상기 제 1표현 객체와 동일한 영역인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픽처 간의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에 표현되어야 하는 상기 제 1픽처내의 표현 객체에 대해서는 그 경계를 확장하여 상기 제 2픽처 내의 표현 객체와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되, 그 경계를 확장하는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상현면 간에 이격된 상기 간격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여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 확인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픽처 간의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에 표현되어야 하는 상기 제 1픽처내의 표현 객체에 대해서 그 경계를 확장하여 상기 제 2픽처 내의 표현 객체와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되, 그 경계를 확장하는 폭은, 상기 제 1상현면으로부터 관찰자가 위치하도록 의도된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하여 표현 객체의 영역중첩 여부 확인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표현 객체의 경계를 확장함에 있어서, 상기 제 1픽처내의 표현 객체의 경계선이 수직을 이루는 부분에 대해서는 경계선이 수평을 이루는 부분에 비해 더 큰 폭으로 해당 경계를 확장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픽처내의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픽처내의 제 2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될 때, 그 중첩된 영역이 상기 제 2표현 객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기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이 되는 조건이 성립되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표현되어야 하는 상기 제 2픽처에서 상기 제 2표현 객체를 제거함과 함께, 중첩되지 않는 상기 제 2표현 객체의 부분은 상기 제 1픽처에 삽입하는 상현면 전환의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니트의 후방에 제 3의 상현면이 배치되어 있고, 또 다른 영상 소소내의 제 3픽처가 상기 제 1픽처의 표시 시점과 동시에 상기 제 3의 상현면에 표현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상현면 전환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표현 객체가 합쳐져 만들어진 상기 제 1픽처 상의 합(union)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 3픽처의 표현 객체와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그 합 영역이 관찰자의 시점에서 중첩 표시되지 않게 하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니트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의 광 투과율이 α일 때,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의 영상 표시에서의 밝기의 1/α배 밝도록 자신의 상현면에 영상을 표현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영상 소스들에 대해 지정된 시청거리 차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 사이의 상기 간격을 조정하여 설정하거나, 상기 제 2픽처내의 표현 객체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픽처가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서 표현되는 밝기를 조절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 또는 스크린과,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미러 또는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서로 다른 2개의 영상 소스들에 대해 지정된 시청거리 차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유니트 또는 상기 제 2유니트에 속하는 상기 영상 재현부와 상기 상현면간의 거리를 조정하여 설정토록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 또는 상기 제 2유니트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투사하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소스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표현 객체에 대하여, 그 표현 객체가 투사되는 특정 면(plane)까지의 투사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임의의 표현 객체의 형태를 왜곡시킨 영상 신호를 만들어서 상기 영상 재현부에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면은, 상기 상현면이거나, 또는 상기 상현면이 투영될 영상이 표시되는 별도의 스크린인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관찰자의 시선에 수직인 임의의 연직면과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의 각각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의 영상으로 변환하고, 그 영상을 상기 특정 각도를 입사각으로 하여 자신의 상현면에 투사함으로써 자신의 상현면에 의해 상기 전방에서 볼 수 있게 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각도는 45o 이하의 각도인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가로 또는 세로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은, 상기 연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각도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연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각도 틀어져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제 2유니트의 상현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의 형태를 갖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의 후방에 배치된 광 블로킹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픽처내의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픽처내의 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될 때는, 상기 제 1표현 객체가 상기 제 2픽처내의 시각적 표현요소와 상기 전방에서 중첩되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1표현 객체와 동일한 형태의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전방으로의 광투과를 차단시키는 블로킹(blocking) 객체를 상기 광 블로킹면에 형성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표현 객체의 경계를 확장하여 상기 대상 영역을 정하되, 그 경계를 확장하는 폭은, 상기 제 1유니트의 상현면과 상기 광 블로킹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의 앞 또는 뒤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에 표현되는 영상이, 상기 전방에서 상기 제 2유니트의 상현면을 보는 방향에 따라 좌 또는 우로 이동되어 보이게 하는 상(像) 편향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 또는 스크린과,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미러 또는 스크린으로 투영시키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거나,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기로써 구성된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니트 세트 외에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세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세트의 각각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서 전과 후로 상현면들이 구비되고, 이 상현면들에 수직인 가상 직선이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의 각 상현면에 수직인 가상 직선과 수평적으로 일정 각도 틀어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세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적어도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화면에 수직인 가상선이 다른 방향에서 상기 전방을 향하도록 회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 1유니트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인가하는 영상 신호의 픽처들에 대해서는, 상하를 반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상현면 상을 전후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 1유니트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니트와 상기 제 2유니트는 각각, 상기 상현면에 해당하는 미러 또는 스크린과,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시각적 신호인 영상으로 변환하여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상기 상현면으로 투사하는 영상 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유니트의 상기 상현면은 광 투과성을 갖지 않으며,
    상기 제 1유니트의 상기 상현면은, 상기 전방과 상기 제 2유니트의 상기 상현면 사이를 가로막지 않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유니트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29.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현될 복수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거리에서 보여지도록 의도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상 소스들을 획득하는 1단계와,
    상기 영상 소스들에서, 임의의 제 1영상 소스와 그 제 1영상 소스보다 후방에서 표시되도록 의도된 임의의 제 2영상 소스의 조합에 대하여, 동시에 표시되어야 할 표현 객체들 간에, 상기 제 1영상 소스가 표시되는 면의 전방에서 볼 때 서로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영상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2단계와,
    상기 영상 소스들에 대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간격을 두고서 서로 겹쳐져서 보이도록 의도된 영상물들을 출력하거나 또는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는, 상기 제 1영상 소스내의 임의의 제 1픽처와, 그 제 1픽처와 동시에 표현되어야 하는 상기 제 2영상 소스내의 제 2픽처 간에 표현 객체가 영역 중첩되는 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그 중첩되는 영역을 상기 제 2픽처 상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픽처 상에서 제거되는 영역이, 상기 제 1픽처내의 표현 객체와 동일한 영역인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는, 상기 제 1픽처와 상기 제 2픽처 간에 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되면, 상기 제 2픽처의 표현 객체에서 제거되지 않은 잔여 영역과 제거된 영역 간의 경계에 대해서는 블러(blur)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에서는, 상기 제 1픽처와 상기 제 2픽처 간에 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되는 지를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 제 1픽처내의 표현 객체에 대해서는 그 경계를 확장하여 상기 제 2픽처 내의 표현 객체와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3.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는, 상기 제 1픽처와 상기 제 2픽처 간에 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될 때, 그 중첩된 영역이 상기 제 2픽처내의 해당 표현 객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기 지정된 일정 비율 이상이 되는 조건이 성립되면, 상기 제 2픽처에서 상기 해당 표현 객체를 제거함과 함께, 중첩되지 않는 상기 해당 표현 객체의 부분을 상기 제 1픽처에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는, 상기 해당 표현 객체의 부분을 상기 제 1픽처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 1픽처의 표현 객체와 합쳐져 만들어진 상기 제 1픽처 상의 합(union) 영역에 대하여, 상기 영상 소스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3영상 소스내에서 상기 제 1픽처와 동시에 표시될 제 3픽처의 표현 객체와의 영역중첩 여부를 확인하고, 영역중첩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그 중첩되는 영역을 상기 합 영역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영상 처리는, 상기 조건이 성립된 상태가 지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거나 상기 조건이 성립된 후 지정된 시간 이후에도 여전히 그 조건이 성립될 때 상기 삽입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에는, 지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되어도 상기 해당 표현 객체를 상기 제 2픽처 내로 복원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6.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는, 상기 제 1픽처내의 제 1표현 객체와 상기 제 2픽처내의 표현 객체가 서로 영역중첩될 때, 상기 제 1표현 객체가 상기 제 2픽처내의 시각적 표현요소와 중첩되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제 1표현 객체와 동일한 형태의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전방으로의 광투과를 차단시킬 수 있는 블로킹(blocking) 객체를 포함하는 픽처를 생성하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7.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영상신호 처리는, 상기 제 2픽처에 대해서, 그 픽처내의 표현 객체가 좌와 우로 각기 이동된 픽처들을 포함하는 3개 이상의 편향 픽처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각 편향 픽처를 일정 크기씩 인터레이싱하여 다향용 픽처를 얻은 후 그 다향용 픽처가 상기 제 2픽처를 대체하여 상기 제 2영상 소스에 포함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38.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제 1영상 소스와 상기 제 2영상 소스에 대해 의도된 시청거리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영상 소스와 상기 제 2영상 소스 간의 밝기 차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제 1영상 소스 또는 상기 제 2영상 소스의 밝기를 변화시키는 영상신호 처리를 더 수행하는 것인 다중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방법.
KR1020180016705A 2018-02-12 2018-02-12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KR10204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05A KR102042914B1 (ko) 2018-02-12 2018-02-12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PCT/KR2019/001175 WO2019156409A1 (ko) 2018-02-12 2019-01-28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05A KR102042914B1 (ko) 2018-02-12 2018-02-12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70A true KR20190097370A (ko) 2019-08-21
KR102042914B1 KR102042914B1 (ko) 2019-11-08

Family

ID=6780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705A KR102042914B1 (ko) 2018-02-12 2018-02-12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135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66B1 (ko) * 2007-05-23 2010-04-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09955A (ko) * 2010-07-23 2012-02-02 주식회사 모든넷 포인터 트래킹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2909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17908A (ko) * 2014-08-07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9193A (ko) * 2014-08-11 2016-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43623A (ko) * 2016-12-05 2016-12-1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무안경 3d 영상을 이용한 적층형 홀로그램 구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66B1 (ko) * 2007-05-23 2010-04-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09955A (ko) * 2010-07-23 2012-02-02 주식회사 모든넷 포인터 트래킹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2909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17908A (ko) * 2014-08-07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9193A (ko) * 2014-08-11 2016-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43623A (ko) * 2016-12-05 2016-12-14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무안경 3d 영상을 이용한 적층형 홀로그램 구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135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914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2558B1 (ja) 三次元表示方法及び装置
USRE39342E1 (en) Method for producing a synthesized stereoscopic image
EP2188672B1 (en) Generation of three-dimensional movies with improved depth control
JP4712872B2 (ja) 多次元画像化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879198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509487B2 (ja) 立体視画像のブラー強化
Schmidt et al. Multiviewpoint autostereoscopic dispays from 4D-Vision GmbH
US20100091012A1 (en) 3 menu display
JP2826710B2 (ja) 2眼式立体画像表示方法
JP3452244B2 (ja) 3次元表示方法及び装置
WO2019156409A1 (ko)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KR19990053446A (ko) 다중 액정 슬리트를 이용한 3차원 입체 화상 생성 장치
KR102042914B1 (ko)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US8717425B2 (en) System for stereoscopically viewing motion pictures
KR20090026876A (ko) 3차원 입체영상 부양 확대 장치
KR102172329B1 (ko) 다중 배열된 디스플레이 면을 이용한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를 위한 다중영상 생성방법
KR100274624B1 (ko) 적층액정디스플레이를이용한3차원입체화상생성장치
Surman Stereoscopic and autostereoscopic displays
McKay et al. Membrane-mirror-based display for viewing 2D and 3D images
JP4481275B2 (ja) 3次元映像情報の伝送方法
Dolgoff Real-depth imaging: a new 3D imaging technology with inexpensive direct-view (no glasses) video and other applications
KR101345129B1 (ko) 3차원 입체 영상 표시 및 기록 장치
KR100939080B1 (ko) 합성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합성 영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07017558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3464633B2 (ja) 三次元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