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021A - 테모졸로마이드 및 중간체의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테모졸로마이드 및 중간체의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021A
KR20190097021A KR1020197017118A KR20197017118A KR20190097021A KR 20190097021 A KR20190097021 A KR 20190097021A KR 1020197017118 A KR1020197017118 A KR 1020197017118A KR 20197017118 A KR20197017118 A KR 20197017118A KR 20190097021 A KR20190097021 A KR 20190097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ozolomide
aica
carbamoyl
acetonitrile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770B1 (ko
Inventor
오가리 파체코
빈첸초 데 시오
무릴로 마쏘니
레안드로 카마르고
Original Assignee
크리스탈리아 프로듀토스 퀴미코스 파르마세우티코스 엘티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BR102016029945-4A external-priority patent/BR102016029945B1/pt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탈리아 프로듀토스 퀴미코스 파르마세우티코스 엘티디에이 filed Critical 크리스탈리아 프로듀토스 퀴미코스 파르마세우티코스 엘티디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9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을 사용하여 테모졸로마이드 및 카르바모일-AICA 중간체를 양호한 전체 수율 및 고순도로 효율적이고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모졸로마이드 및 중간체의 제조 공정
본 발명은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을 사용하여 테모졸로마이드 및 카르바모일-AICA 중간체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8-카르바모일-3-메틸이미다조[5,1-d]-1,2,3,5-테트라진-4(3H)-원으로 화학적으로 알려진 테모졸로마이드는 구조식 I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1
테모졸로마이드는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약물이며, 특허 US5260291에 처음 기술되었다. 이 문헌은 하기 반응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성 매질에서 아질산나트륨으로 5-아미노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AICA)를 디아조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중간체 디아조늄 염을 얻고, 그 다음 메틸 이소시아네이트로 처리하여 테모졸로마이드를 얻는 공정을 기술한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2
이러한 공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i) 폭발 가능성이 있는 디아조 (5-디아조-1H-이미다졸-4-카르복사미드) 중간체의 합성; (ii) 폭발성 화합물인 메틸 이소시아네이트의 사용은 공기와의 혼합에서 매우 강한 독성이 있으며, 따라서 특히 산업적 규모로는 매우 위험한 취급; 및 iii) 매우 긴 시간이 소모되는 축합반응 (약 20 일).
US6844434는 하기 반응식에 도시된 바와 같이, AICA 히드로클로라이드 염과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메이트의 반응을 포함하여,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중간체를 제공하고, 이어서 메틸 히드라진과 반응하여 히드라진 중간체를 수득하고, 그 다음 테모졸로마이드로 고리화하는 테모졸로마이드 제조 공정을 기술한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3
이러한 방법은 메틸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나, 잠재적으로 발암성 화합물인 메틸히드라진이 사용되고, 쉽게 가수분해될 수 있는 클로로포메이트는 저 수율 반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국제 출원 WO2008038031는 히드라진 중간체 형성 없이, 과잉 금속 할라이드, 예컨대 브롬화 리튬 또는 염화물, 산과 아질산 공급원의 존재하에서, 카르바모일-AICA 중간체의 디아조화 및 고리화를 갖는 테모졸로마이드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이 문헌에 따르면, 카르바모일-AICA는 J. Org. Chem. 1997, 62, 7288-7294에 기술된 바와 같이, 4-니트로페닐 에스테르 중간체를 경유하여 AICA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전체 공정은 하기 반응식 3에 도시된다.
테모졸로마이드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다량의 용매를 필요로 하는 연속 액체-액체 추출기를 사용하는 역류 추출법에 의해 산 용액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다량의 금속 할로겐화물, 특별한 장치(추출기) 및 다량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함으로써,일반적으로 공정이 비싸고, 비경쟁적이고, 산업적 및 환경적 관점에서 실시하기 어렵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4
US8232392 특허는 하기 반응식 4에 따라, 2 단계로 테모졸로마이드를 합성하는 공정을 기술한다.
반응식 4
Figure pct00005
제1 단계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및 아세토니트릴(ACN)의 존재하에 N-숙신이미딜-N'-메틸 카르바메이트와 AICA 염기 반응으로부터 카르바모일-AICA 중간체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단계에서, 테모졸로마이드는 J. Org. Chem. 62, 7288-7294(199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카르바모일-AICA가 테모졸로마이드로 변형되는 것은 아질산나트륨과 타르타르산 존재하에서 카르바모일-AICA 디아조화를 통해 일어난다. 이 반응이 끝나면, 약 50:50의 테모졸로마이드와 아자히포크산틴 부산물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테모졸로마이드는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채워진 XAD 1600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정제된다.
DIPEA 염기와, 흡입에 의해 매우 가연성 및 독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한 것으로 여겨지는 화합물의 사용, 및 카르바모일-AICA를 형성하기 위한 약 16 시간의 반응 시간은 이러한 공정을 산업에서 불리하게 한다.
국제 출원 WO2010140168은 또한 하기 반응식 5에 따른 2 단계의 테모졸로마이드 합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카르바모일-AICA는 메탄올과 같은 알콜성 용매내의 산의 존재하에서, 반응을 완료하는데 약 18 시간이 소요되는 느린 공정으로, 우레아 화합물, 1-메틸-3-카르바모일이미노메틸 우레아와의 아미노 시아노아세트아미드 축합 반응으로부터 제조된다.
반응식 5
Figure pct00006
분명히, 테모졸로마이드 및 테모졸로마이드 제조에서 중요한 중간체인 카르바모일-AICA의 제조를 위한 보다 안전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산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메틸히드라진 및 DIPEA와 같은 위험한 시약의 사용을 회피하면서, 테모졸로마이드 및 카르바모일-AICA 중간체를 우수한 전체 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하기 위한, 산업적으로 실시 가능하고 유리한 개량된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6에 따라 테모졸로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응식 6
Figure pct00007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AICA 염기를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카르바모일-AICA를 제공하는 단계;
(b) 산의 존재하에 카르바모일-AICA를 알칼리 또는 알칼리성 토류 금속 아질산염과 반응시켜 테모졸로마이드를 제공하는 단계.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카르바모일-AICA 중간체는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의 AICA 염기 반응으로부터 제조된다. 이 반응은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이다. 이렇게 얻어진 카르바모일-AICA는 알칼리 또는 알칼리성 토류 금속 아질산염 및 산의 존재하에서, 테모졸로마이드를 얻기 위해 연속적으로 디아조화 및 고리화를 거친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성 금속 아질산염은 아질산나트륨이고, 산은 타르타르산이다. 테모졸로마이드는 이후의 결정화로 정제된다. 바람직하게는, 테모졸로마이드는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채워진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정제되고, 이어서 결정화된다.
카르바모일-AICA 제조에 사용되는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입되거나 아세토니트릴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용매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와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기 반응식 7에 따라 테모졸로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반응식 7
Figure pct00008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a) 아세토니트릴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 중에서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을 수득하는 단계;
(b)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중에서 AICA 염기를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카르바모일-AICA를 제공하는 단계;
(c) 타르타르산 용액의 존재하에서 고체 형태의 반응 매체에 첨가된 아질산나트륨과 카르바모일-AICA를 반응시키고, 반응 종결시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여과하여, 테모졸로마이드와 아자히포산틴을 60:40의 비율로 제공하는 단계;
(d)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을 제공하기 위해
칼럼의 말단에 연결된 탄소 캡슐을 함유하는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채워진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테모졸로마이드를 정제하여,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 및 그 이후의 결정화를 제공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중에서, AICA 염기와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 사이의 반응을 포함하는 카르바모일-AICA 중요 중간체를 제조하는 공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이다.
테모졸로마이드 및 카르바모일-AICA는 양호한 전체 수율 및 고순도로 얻어진다. 테모졸로마이드는 99.98% 이상의 순도로, 그리고 카르바모일-AICA 99.20%의 순도로 수득된다(둘 다 HPLC에 의함).
다음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 첨부된 도면을 설명한다.
도 1 :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에 대한 PDRX.
도 2 :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에 대한 IR (KBr).
도 3 :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에 대한 PDRX.
도 4 :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에 대한 IR (KBr).
본 발명은 상기 반응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효율적이고 산업적으로 유리한 테모졸로마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a) AICA 염기를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카르바모일-AICA를 제공하는 단계;
(b) 산의 존재하에 카르바모일-AICA를 알칼리 또는 알칼리성 토류 금속 아질산염과 반응시켜 테모졸로마이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공정은 카르바모일-AICA 중요 중간체를 제공하기 위해 AICA 염기와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의 반응으로부 시작한다. 이 반응은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에서 수행된다. 이 반응은 55℃와 60℃ 사이의 온도에서 약 3 내지 6 시간 동안 일어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은 0℃ 내지 5℃로 냉각되고, 2 시간 후, 여과에 의해 카르바모일-AICA 결정체가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AICA 염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된 카르바모일-AICA는 DIPEA 염기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원위치에 형성된 이미다졸은 반응 시간이 약 16 시간인 EP2151442의 실시 예 1에 기재된 공정과 비교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향해 반응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시키는 염기로서 작용한다.
테오졸로마이드로의 카르바모일-AICA 전환은 문헌 J. Org. Chem. 62, 7288-7294 (199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르바모일-AICA 디아조화 및 고리화 반응은 0℃에서 아질산나트륨과 타르타르산의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반응 종료시, 테모졸로마이드 및 아자히포크산틴이라 불리는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대략 50:50의 비율로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카르바모일-AICA의 테모졸로마이드로의 전환 반응은 알칼리 또는 알칼리성 토류 금속 아질산염 및 산의 존재하에서 하기 반응식 8에 따라 수행되는데, 상기 반응식 8은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개선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성 금속 아질산염은 아질산나트륨이고, 산은 타르타르산이다.
카르바모일-AICA 수용액에 고체 형태의 아질산나트륨이 첨가되고, 반응 매체 온도는 0℃로 유지된다. 이어서, 타르타르산 용액이 발열 반응을 피하기 위해 반응 매체에 서서히 첨가되고, 이는 분해 생성물 형성을 가져온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더 교반한다. 연속적인 카르바모일-AICA 디아조화 및 고리화 후, 반응 혼합물은 6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60℃의 온도로 가열되고, 수득한 현탁액은 바람직하게는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되고, 이는 테모졸로마이드 및 부산물인 아카히포크산틴을 60:40의 비율로 함유하는 용액을 제공한다.
반응식 8
Figure pct00009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디아조화 및 고리화 후, 60℃ 내지 65℃의 온도 상승은 다음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i) 현탁액 여과; ii) 일시적 중간물의 아자히포크산틴으로의 전환; iii) 테마졸로마이드 대 아자히포크산틴의 비율이 50:50에서 60:40으로의 증가; iv) 테모졸로마이드와 아자히포크산틴의 효과적인 분리를 통한 테모졸로마이드의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v) 전체 테모졸로마이드 수율.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은 테모졸로마이드의 정제 및 후속의 결정화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테모졸로마이드는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채워진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정제되고, 이어서 결정화된다.
테모졸로마이드 60% 및 아자히포크산틴 40%를 함유하는 용액은 무기산, 예컨대 염산, 황산 등, 바람직하게는 염산으로 pH 2-3으로 산성화된다. 생성된 테모졸로마이드의 산성 용액은 산성화된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동상 용리(elution)하에서,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충전 된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정제된다. 수득된 용리액은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의 말단에 연결된 탄소 캡슐을 통해 여과되고, 순도 90% (HPLC 분석) 이상의 순도를 갖는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을 제공하고, 이어서 결정화되어 HPLC에 의해 99.98% 이상의 고순도를 달성한다.
흡착성 중합체 수지의 예로는 Rohm and Haas의 앰버라이트 XAD 1600 및 XAD 1180; 및 미츠비시 HP20L, HP 2055 및 SP825가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의 단계 (a)에서 사용되는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J. Org. Chem. 2012, 77 (22), 10362-1036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아세토니트릴과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이루어진 용매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와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테모졸로마이드 또는 카르바모일-AICA 중간체 제조에서의 그 용도 또는 사용은 현재까지 당해 기술 분야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은 본 발명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결정성 고체이고, 낮은 독성을 가지며, 비-폭발성이고, 쉽게 보관되고, 싸고, AICA 염기와 매우 효과적으로 반응하여, 테모졸로마이 제조에 중요한 중간체인 카르바모일-AICA를 제공할 수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테모졸로마이드의 제조 공정이 제공된다:
(a) 아세토니트릴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 중에서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을 수득하는 단계;
(b)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중에서 AICA 염기를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카르바모일-AICA를 제공하는 단계;
(c) 타르타르산 용액의 존재하에서 고체 형태의 반응 매체에 첨가된 아질산나트륨과 카르바모일-AICA를 반응시키고, 반응 종결시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여과하여, 테모졸로마이드와 아자히포산틴을 60:40의 비율로 제공하는 단계;
(d) 칼럼의 말단에 연결된 탄소 캡슐을 함유하는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채워진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테모졸로마이드를 정제하여,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 및 그 이후의 결정화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공정은 아세토니트릴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 중에서, 카르보닐디 이미다졸과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사이의 반응을 3:1의 부피/부피비로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진행시킴으로써 시작된다. 이어서, 생성된 용액은 아세토니트릴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농축된다. 또한,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은 메탄올과 3%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에서의 용리하에서 실리카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된다. 정제된 생성물을 갖는 분획은 농축되어 잔류물을 수득하고, 수득된 고체는 건조된다.
상기 공정의 제2 단계에서, AICA 염기는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중에서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반응하여, 카르바모일-AICA 중요 중간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이다. 이 반응은 55℃와 60℃ 사이의 온도에서 약 3 내지 6 시간 동안 일어난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5℃로 냉각시키고, 2 시간 후, 여과에 의해 카르바모일-AICA 결정체를 분리시킨다.
테모졸로마이드로의 카르바모일-AICA 전환(디아조화 및 고리화) 및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의한 정제의 단계들이 상기 반응식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카르바모일-AICA 수용액에 고체 형태의 아질산나트륨을 첨가하고, 반응 매체의 온도를 0℃로 유지한다. 이어서, 분해 생성물 형성을 야기할 수 있는 발열 반응을 피하기 위해, 타르타르산 용액이 반응 매체에 서서히 첨가된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더 교반하였다. 카르바모일-AICA의 연속적인 디아조화 및 고리화 후, 반응 혼합물을 6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60℃의 온도로 가열하고, 수득한 현탁액을 바람직하게는 부흐너 깔대기를 통해 여과하여, 테모졸로마이드와 부산물 아자히포크산틴을 60:40 비율로 함유하는 용액을 제공한다.
테모졸로마이드 60% 및 아자히포크산틴 40%를 함유하는 용액은 무기산, 예컨대 염산, 황산 등, 바람직하게는 염산으로 pH 2-3으로 산성화된다. 생성된 테모졸로마이드의 산성 용액은 산성화된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동상 용리(elution)하에서,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충전 된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정제된다. 수득된 용리액은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의 말단에 연결된 탄소 캡슐을 통해 여과되고, 순도 90% (HPLC 분석) 이상의 순도를 갖는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을 제공하고, 이어서 결정화되어 HPLC에 의해 99.98% 이상의 고순도를 달성한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후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은 테모졸로마이드의 이론 중량 대비 30 내지 40 부피로 60℃ 및 25mbar에서 농축되어 현탁액을 제공하고, 이는 5 내지 10℃로 냉각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에 유지되고, 여과된다. 수집된 고체를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얻어진 테모졸로마이드의 결정 형태는 일수화물이며,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그래프에 따른 X-선 회절 패턴(XRD) 및 적외선 스펙트럼(IR)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 조건은 실시 예 4에 상세히 기술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은 테모졸로마이드의 이론 중량 대비 약 5 부피까지 60℃ 및 25mbar에서 농축되어 현탁액을 제공하고, 이는 15 부피의 아세톤 혼합된다.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수득된 현탁액을 5℃로 냉각시키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에 유지시키고, 여과한다. 수집된 고체를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얻어진 테모졸로마이드의 결정 형태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그래프에 따른 X 선 회절 패턴(XRD) 및 적외선 스펙트럼(IR)으로 특징 지워지는 형태 III이다. 반응 조건은 실시 예 5에 상세히 기술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제조된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은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으로 전환될 수 있다(실시 예 6 및 7). 물과 아세톤의 1:3 비율(부피/부피)의 혼합물 중에서의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의 현탁액을 60℃로 가열하고, 0.5 시간 동안 교반한다. 유사-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0℃ 내지 5℃로 냉각시키고, 여과한다. 수집된 고체를 세척 및 건조하여,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AICA 염기와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 반응을 포함하는 카르바모일-AICA 중요 중간체의 제조 공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이다.
본 발명의 공정은 정제된 테모졸로마이드 및 카르바모일-AICA 중요 중간체를 고수율 및 고순도로 수득하기 위한 간단하며 경제적이며 탄탄하며 산업적으로 유리한 합성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최첨단 문제를 극복한다.
하기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된 공정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실시 예 1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 제조
카보닐디이미다졸 7.17g,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70g, 아세토니트릴(ACN) 24ml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MF) 8ml를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에 유지시켰다. 2 시간 후, 수득된 투명한 황색 용액을 40℃에서 감압하에 농축시켜 ACN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오일을 메탄올 및 디클로로메탄 3%의 혼합물 중에서 실리카 칼럼을 통해 정제하고, 정제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30℃에서 진공하에 잔류물로 농축시켜 4.1g의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75% 수율). 융점 = 113-115 °C; 1H RMN (400 MHz, CDCl3) δ 8,14 (brs, 1H), 7,38 (t, 1H), 7,12 (brs, 1H), 6,95 (s, 1H), 3,23 (d, 3H); 13C RMN (100 MHz, CDCl3) δ 150,1, 137,1, 131,4, 117,2 e 28,2.
실시 예 2
카르바모일 - AICA의 제조
아세토니트릴 100mL 중의 20.0g AICA 염기의 현탁액에, 55 내지 60℃로 가열하고,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 30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5 내지 60℃에서 6 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0 내지 5℃로 냉각시켰다. 2 시간 후,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예냉된 물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결정을 50℃에서 6 시간 동안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카르바모일-AICA 23.0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수율 80% 및 HPLC 순도 99.2%). 1H RMN (500 MHz, DMSO): δ 2,84 (d, 3H); 2,50-2,52 (DMSO); 3,35 (H2O); 6,38 (s, 2H); 6,85 (d, 2H); 7,61 (s, 2H); 8,42 (s, 2H). 13C (RMN, 125 MHz, DMSO) δ 26,9; 39,2-40,5 (DMSO); 111,6; 126,5; 143,8; 151,1; 166,7; IR (ATR, cm-1): vmax 3458; 3404; 3348; 3319; 3130; 3068; 2949; 1714; 1645; 1595; 1556; 1530; 1503; 1460; 1452; 1420; 1298; 1248; 1221; 1173; 1076; 955; 827; 745; 698; MS (ESI) 계산된 [C6H9N5O2 + Na]+ = m/z 206,0648; 실측치 m/z = 206,0645.
실시 예 3
카르바모일-AICA의 제조
6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1.0g AICA 염기의 현탁액에, 55 내지 60℃로 가열하고, 1.5g의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5-60℃에서 6 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0-5℃로 냉각시켰다. 2 시간 후,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예냉된 물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결정을 50℃에서 6 시간 동안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카르바모일-AICA 0.8g을 수득 하였다(수율 65% 및 HPLC 순도 95.0%).
실시 예 4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의 제조
500 mL의 물과 40 g의 카르바모일-AICA를 2 리터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아질산나트륨 15.8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타르타르산 용액(물 100 mL 중 34 g)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 60℃로 조절하고, 현탁액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뜨거운 물로 세척하였다. 테모졸로마이드 60% 및 아자히포크산틴 40%을 함유하는 여과액을 pH 2-3으로 산성화시키고, 산성화된 수용액과 에탄올과 함께 수지를 통해 용리시켰다. 용리액은 칼럼 배출구에 연결된 탄소 필터를 통해 정화되어, 90% 이상의 순도(HPLC)를 갖는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테모졸로마이드의 이론 중량에 대비 30 내지 40 부피로 60℃ 및 25mbar에서 농축시켜, 미세 결정체를 갖는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현탁액을 5 내지 10℃로 냉각시키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산성화된 물로 세척하고, 수집된 결정체를 50℃에서 4 시간 동안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20 g의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을 99.9% 순도(HPLC)의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7% 수율). DRXP (2θ): 9,385, 11,863; 14,676; 16,826; 18,406; 18,565; 20,322; 28,232 ± 0,2°(도 1). IV (cm-1) 3421; 3348; 1739; 1670; 1598; 1562; e 1408 (도 2).
실시 예 5
테모졸로마이드 III 형의 제조
250 mL의 물 및 20 g의 카르바모일-AICA를 교반(250 rpm)하에서 2 L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아질산나트륨 7.92g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타르타르산 용액(50 mL 중 17 g)을 반응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고, 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더 교반하였다. 온도를 60℃로 상승시키고, 현탁액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고, 잔류물을 뜨거운 물로 세척하였다. 테모졸로마이드 60% 및 아자히포크산틴 40%를 함유하는 여액을 18.5% HCl로 pH 2.2로 산성화시키고, 산성화된 물과 에탄올의 용액과 함께 1.2 BV/hr의 유동으로 앰버라이트 XAD 1600 수지를 통해 용리시켰다. 용리액은 칼럼 배출구에 연결된 탄소 필터를 통해 정화되어, 90% 이상의 순도(HPLC)를 갖는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이론적인 테모졸로마이드 중량 대비 5 부피로 60℃ 및 25 mbar에서 농축시켜 현탁액을 수득하였다. 15 부피의 아세톤을 현탁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켰다. 1 시간 후, 현탁액을 5℃로 냉각시키고,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산성화된 수용액과 아세톤(1:3)으로 2 회 세척하고, 생성된 고체를 50℃에서 4 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켜, 99.99% 순도(HPLC)의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을 수득하였다(38% 수율). DRXP (2θ) : 5.509; 10.909; 13.308; 14.725; 16.325; 16.836; 18.033; 19.122; 19.582; 20.725; 21.560; 23.806; 25.235; 26.480; 28.765; 29.843 ± 0.2 °(도 3). IR (cm-1) : 3417; 3385; 1757; 1730; 1676; 1598; 1568 e 1402 (도 4).
실시 예 6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의 제조
2 L 반응기에서, 244 ml의 아세톤(15 부피)와 82 ml의 물(5 부피)을, 실온에서 16.4 g의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0℃로 가열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유사-용액)을 1 시간 동안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0 내지 5℃에서 1 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2 시간 후, 현탁액을 여과하고, 수집된 고체를 50 mL의 아세톤으로 2 회 세척하고, 45℃ 및 25 mbar에서 5 시간 동안 건조시켜, 12.7 g의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을 수득하였다(77.0% 수율, 99.99% 순도). RDXP (2θ) : 5.475; 10.883; 13.278; 14.706; 16.285; 16.813; 18.010; 19.101; 19.549; 20.705; 21.533; 23.775; 25.227; 26.462; 28.754; 29.815 ± 0.2 °. IR (cm-1) : 3417, 3385, 1757, 1730, 1676, 1598, 1568, 1402.
실시 예 7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의 제조
100 mL 반응기에서, 18 mL의 아세톤(9 부피) 및 6 mL의 물(3 부피)을, 실온에서 2.0 g의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0℃로 가열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에 유지시켰다. 생성된 현탁액(유사-용액)을 실온으로 1 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0-5℃로 1 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2 시간 후, 현탁액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2 mL의 아세톤으로 2 회 세척하였다. 고체를 45℃ 및 25 mbar에서 5 시간 동안 건조시켜, 1.64 g의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을 수득하였다(82.0% 수율, 99.99% 순도) DRXP (2θ) : 5.512; 10.923; 13.323; 14.739; 16.328; 16.848; 18.048; 19.128; 19.585; 20.727; 21.569; 23.812; 25.254; 26.491; 28.779; 29.849 ± 0.2 °. IR (cm-1) : 3417, 3385, 1757, 1730, 1676, 1598, 1568 및 1402.

Claims (17)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테모졸로마이드의 제조 공정:
    (a) AICA 염기를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카르바모일-AICA를 제공하는 단계;
    (b) 산의 존재하에 카르바모일-AICA를 알칼리 또는 알칼리성 토류 금속 아질산염과 반응시켜 테모졸로마이드를 제공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공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인 공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인 공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알칼리성 금속 아질산염은 고체 형태로 반응 매체에 첨가된 아질산나트륨인 공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산은 타르타르산인 공정.
  7. 제 1 항에 있어서, 테모졸로마이드의 정제 및 그 이후의 결정화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상기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은 아세토니트릴 및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 중에서 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공정.
  9.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테모졸로마이드의 제조 공정:
    (a) 아세토니트릴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 중에서 카르보닐디이미다졸을 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을 수득하는 단계;
    (b)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중에서 AICA 염기를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카르바모일-AICA를 제공하는 단계;
    (c) 타르타르산 용액의 존재하에서 카르바모일-AICA를 고체 형태의 반응 매체에 첨가된 아질산나트륨과 반응시키고, 반응 종결시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여과하여, 테모졸로마이드와 아자히포크산틴을 60:40의 비율로 제공하는 단계;
    (d) 칼럼의 말단에 연결된 탄소 캡슐을 함유하는 흡착성 중합체 수지로 채워진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통해 테모졸로마이드를 정제하여,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 및 그 이후의 결정화를 제공하는 단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인 공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인 공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의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상기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은 테모졸로마이드의 이론 중량에 대해 30 내지 40 부피로 60℃에서 농축되고, 그 후 냉각되어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의 결정체를 제공하는 공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의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후에, 상기 정화된 테모졸로마이드 용액은 테모졸로마이드의 이론 중량에 대해 약 5 부피까지 60℃에서 농축되고, 15 부피의 아세톤과 혼합되고, 그 후 냉각되어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의 결정체를 제공하는 공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모졸로마이드 일수화물은 물과 아세톤의 1:3 비율 혼합물 중에서 선택적으로 현탁되고, 60℃로 가열되고, 그 후 냉각되어 테모졸로마이드 형태 III을 제공하는 공정.
  15. 아프로틱 극성 유기 용매 중에서, AICA 염기와 N-메틸카르바모일이미다졸 사이의 반응을 포함하는 카르바모일-AICA의 제조 공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인 공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인 공정.
KR1020197017118A 2016-12-20 2017-12-19 테모졸로마이드 및 중간체의 제조 공정 KR102550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02016029945-4A BR102016029945B1 (pt) 2016-12-20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temozolomida e de um intermediário
BRBR1020160299454 2016-12-20
PCT/BR2017/050393 WO2018112589A1 (en) 2016-12-20 2017-12-19 Process for preparing temozolomide and an intermedia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021A true KR20190097021A (ko) 2019-08-20
KR102550770B1 KR102550770B1 (ko) 2023-06-30

Family

ID=6262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118A KR102550770B1 (ko) 2016-12-20 2017-12-19 테모졸로마이드 및 중간체의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65209B2 (ko)
EP (1) EP3559001B1 (ko)
KR (1) KR102550770B1 (ko)
CN (1) CN110177792B (ko)
ES (1) ES2919330T3 (ko)
IL (1) IL267491B (ko)
MX (1) MX2019007198A (ko)
WO (1) WO2018112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27856A1 (es) * 2021-12-06 2024-03-06 Cristalia Produtos Quim Farmaceuticos Ltda Proceso para la preparación de temozolomid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031A1 (en) * 2006-09-29 2008-04-03 Cipla Limited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mozolomide and analogs
US20100036121A1 (en) * 2008-08-07 2010-02-11 Chemi S.P.A. Process for preparing temozolomide
WO2010036121A2 (en) * 2008-09-24 2010-04-01 Moss Maritime As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ga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291A (en) 1981-08-24 1993-11-09 Cancer Research Campaign Technology Limited Tetrazine derivatives
MXPA03006402A (es) 2001-01-18 2003-10-15 Schering Corp Sintesis de temozolomida y analogos.
WO2010140168A1 (en) 2009-06-03 2010-12-09 Ind-Swift Laboratories Limited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temozolomide
CN103626772B (zh) * 2012-08-24 2016-08-17 国药一心制药有限公司 一种替莫唑胺及中间体的合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8031A1 (en) * 2006-09-29 2008-04-03 Cipla Limited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mozolomide and analogs
US20100036121A1 (en) * 2008-08-07 2010-02-11 Chemi S.P.A. Process for preparing temozolomide
WO2010036121A2 (en) * 2008-09-24 2010-04-01 Moss Maritime As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ga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62, 7288-7294 (19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0088A1 (en) 2020-06-18
BR102016029945A2 (pt) 2018-07-17
IL267491A (en) 2019-08-29
KR102550770B1 (ko) 2023-06-30
CN110177792A (zh) 2019-08-27
EP3559001A4 (en) 2020-08-26
EP3559001A1 (en) 2019-10-30
IL267491B (en) 2021-01-31
ES2919330T3 (es) 2022-07-26
US10865209B2 (en) 2020-12-15
MX2019007198A (es) 2019-10-21
CN110177792B (zh) 2022-03-04
WO2018112589A1 (en) 2018-06-28
EP3559001B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0554B1 (en) A carboxamide derivative and its diastereomers in stable crystalline form
US8232392B2 (en) Process for preparing temozolomide
CA2664052C (en)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mozolomide and analogs
JP6811717B2 (ja) トピロキソスタット及びその中間体の調製のための方法
KR102550770B1 (ko) 테모졸로마이드 및 중간체의 제조 공정
WO2007121466A2 (en) Process for preparing rimonabant
EP0481118B1 (en) A method for producing butyl 3'-(1H-tetrazol-5-yl) oxanilate
US8431609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yrazole derivatives
BR102016029945B1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temozolomida e de um intermediário
KR102201609B1 (ko) 날데메딘의 제조방법
US4794182A (en) 2-Alkyl-4-amino-5-aminomethylpyrimidines
EP3245190B1 (en) Method for preparing 4-cyanopiperidine hydrochloride
JP2717995B2 (ja) 1,2,3−トリアゾールの製法
WO2023102627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mozolomide
KR100352924B1 (ko) 5-아미노피라졸-4-카르복시산에스테르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H072742A (ja) 4−アミノ−3−メチル−N−エチル−N−(β−ヒドロキシエチル)アニリン硫酸塩の新規製造法
CN114560862A (zh) 一种吡咯并[1,2-a]喹喔啉-4(5h)-酮及其衍生物的合成方法
CN112759556A (zh) 一锅法制备5-巯基-1,2,3-三唑钠盐的合成方法
EP1879869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ecursors of 5-alkylthioalkylamino-1-phenyl-pyrazoles
KR101325589B1 (ko) 1-알킬-2-(2-아미노에틸)피롤리딘의 제조방법
KR20210065111A (ko) 히드라진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합성 방법
JP5071689B2 (ja) 3−アルコキシカルボニル−6,7−クロロメチレンジオキシクマ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839928A (zh) 用于制备3-[5-氨基-4-(3-氰基苯甲酰基)-吡唑化合物的合成方法
KR20040005012A (ko) 2-아미노-4-클로로-5-니트로-6(1h)-피리미디논의 제조방법
KR20070065654A (ko) POCl3와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이용한염소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