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281A - 신경망에 기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경망에 기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281A
KR20190096281A KR1020190011152A KR20190011152A KR20190096281A KR 20190096281 A KR20190096281 A KR 20190096281A KR 1020190011152 A KR1020190011152 A KR 1020190011152A KR 20190011152 A KR20190011152 A KR 20190011152A KR 20190096281 A KR20190096281 A KR 20190096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ediction
frame
inform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현
김연희
석진욱
이주영
임웅
김종호
이대열
정세윤
김휘용
최진수
강제원
김나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6/270,46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41577B2/en
Publication of KR2019009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2Learning methods modifying the architecture, e.g. adding, deleting or silencing nodes or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4Backpropagation, e.g. using gradient desc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생성-부호기 및 생성-복호기를 포함하는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의해 가상 프레임이 생성된다. 가상 프레임은 대상에 대한 인터 예측에서 참조 프레임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가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인터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경망에 기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VIDEO DECODING BASED ON NEURAL NETWORK}
아래의 실시예들은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경망에 기반하는 비디오에 대한 복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지속적인 발달을 통해 HD(High Definition) 해상도를 가지는 방송 서비스가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확산을 통해, 많은 사용자들이 고해상도이며 고화질인 영상(image) 및/또는 비디오(video)에 익숙해지게 되었다.
높은 화질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기관들이 차세대 영상 기기에 대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에이치디티브이(High Definition TV; HDTV) 및 풀에이치디(Full HD; FHD) TV뿐만 아니라, FHD TV에 비해 4배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울트라에이치디(Ultra High Definition; UHD) TV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증대하였고, 이러한 관심의 증대에 따라, 더 높은 해상도 및 화질을 갖는 영상에 대한 영상 부호화(encoding)/복호화(decoding) 기술이 요구된다.
영상 부호화(encoding)/복호화(decoding) 장치 및 방법은 고해상도 및 고화질의 영상에 대한 부호화/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인터(inter) 예측(prediction) 기술, 인트라(intra) 예측 기술 및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인터 예측 기술은 시간적으로(temporally) 이전의 픽처 및/또는 시간적으로 이후의 픽처를 이용하여 대상 픽처에 포함된 픽셀의 값을 예측하는 기술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 기술은 대상 픽처 내의 픽셀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픽처에 포함된 픽셀의 값을 예측하는 기술일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은 출현 빈도가 높은 심볼에는 짧은 코드(code)를 할당하고, 출현 빈도가 낮은 심볼에는 긴 코드를 할당하는 기술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다양한 인터 예측 기술들 및 인트라 예측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실시예는 신경망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신경망을 사용하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대상 프레임의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잔차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잔차 프레임의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잔차 프레임의 특징 벡터를 사용하여 상기 잔차 프레임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특징 벡터 및 상기 대상 프레임의 특징 벡터의 합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대상 프레임의 특징 벡터는 제1 콘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잔차 프레임은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움직임 예측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잔차 프레임의 특징 벡터는 제2 콘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잔차 프레임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는 콘볼루션 롱 쇼트 텀 메모리(Long Short Term Memory; LSTM) 신경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예측 프레임은 디콘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있어서,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프레임을 사용하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프레임은 이전에 복호화된 프레임이 입력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예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상 프레임은 상기 이전에 복호화된 프레임, 잔차 프레임 및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예측 방법은, 네트워크 생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생성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및 상기 가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생성 정보는 특정된 단위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특정된 단위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픽처 파라미터 세트 및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는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생성된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가상 프레임은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은 상기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는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생성된 부호화된 은닉 벡터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예측 방법은, 상기 가상 프레임을 인터 예측의 대상에 대한 참조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프레임은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프레임은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 중 대상 프레임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참조 픽처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프레임은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 중 가장 큰 참조 픽처 인덱스를 갖는 참조 픽처를 대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있어서,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 예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은 보간을 사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간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 및 보외를 사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외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상기 인터 예측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인터 예측을 위한 상기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터 예측의 단위는 프레임 또는 블록일 수 있다.
신경망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및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신경망을 사용하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및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할 때의 영상의 분할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코딩 유닛(CU)이 포함할 수 있는 예측 유닛(PU)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코딩 유닛(CU)에 포함될 수 있는 변환 유닛(TU)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블록의 분할을 나타낸다.
도 7은 인트라 예측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인트라 예측 과정에서 사용되는 참조 샘플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인터 예측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공간적 후보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공간적 후보들의 움직임 정보들의 머지 리스트로의 추가 순서를 나타낸다.
도 12은 일 예에 따른 변환 및 양자화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은 일 예에 따른 대각선 스캐닝을 나타낸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수평 스캐닝을 나타낸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수직 스캐닝을 나타낸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자동 부호기를 나타낸다.
도 19는 일 예에 따른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를 나타낸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의 생성 및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일 예에 따른 생성-부호기의 제1 CNN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3은 일 예에 따른 콘볼루션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24는 일 예에 따른 풀링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25는 일 예에 따른 렐루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26은 일 예에 따른 생성-부호기의 제2 CNN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볼루션 LSTM 신경망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8은 일 예에 따른 생성-복호기의 DNN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9는 일 예에 따른 디콘볼루션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30은 일 예에 따른 언-풀링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의 생성 및 예측을 위한 변형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프레임을 사용하는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특징 도메인에서 가상 프레임을 이용하는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특징 도메인에서 가상 프레임을 이용하는 복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8은 일 예에 따른 적응적 분리가능한 콘볼루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9는 일 예에 따른 복셀 플로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0은 일 예에 따른 콘볼루션 필터 연산에 의한 블록에 대한 예측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실시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예시적 실시예들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component)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의 2개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상기의 2개의 구성요소들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component)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의 2개의 구성요소들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요소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요소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요소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수 개의 구성요소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요소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상기의 특정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예시적 실시예들의 실시 또는 예시적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영상은 비디오(video)을 구성하는 하나의 픽처(picture)를 의미할 수 있으며, 비디오 자체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의미할 수 있으며, "비디오를 구성하는 영상들 중 하나의 영상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비디오(video)" 및 "동영상(motion picture)"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대상 영상은 부호화의 대상인 부호화 대상 영상 및/또는 복호화의 대상인 복호화 대상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대상 영상은 부호화 장치로 입력된 입력 영상일 수 있고, 복호화 장치로 입력된 입력 영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영상", "픽처", "프레임(frame)" 및 "스크린(screen)"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대상 블록은 부호화의 대상인 부호화 대상 블록 및/또는 복호화의 대상인 복호화 대상 블록일 수 있다. 또한, 대상 블록은 현재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의 대상인 현재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어들 "대상 블록" 및 "현재 블록"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블록" 및 "유닛"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블록"은 특정한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영역(region)" 및 "세그먼트(segment)"는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특정한 신호는 특정한 블록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original) 신호는 대상 블록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예측(prediction) 신호는 예측 블록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잔차(residual) 신호는 잔차 블록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특정된 정보, 데이터, 플래그(flag) 및 요소(element), 속성(attribute) 등의 각각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정보, 데이터, 플래그(flag) 및 요소(element), 속성(attribute) 등의 값 "0"은 논리 거짓(logical false) 또는 제1 기정의된(predefined)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말하자면, 값 "0", 거짓, 논리 거짓 및 제1 기정의된 값은 서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정보, 데이터, 플래그(flag) 및 요소(element), 속성(attribute) 등의 값 "1"은 논리 참(logical true) 또는 제2 기정의된(predefined)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말하자면, 값 "1", 참, 논리 참 및 제2 기정의된 값은 서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행, 열 또는 인덱스(index)를 나타내기 위해 i 또는 j 등의 변수가 사용될 때, i의 값은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으며, 1 이상의 정수일 수도 있다. 말하자면, 실시예들에서 행, 열 및 인덱스 등은 0에서부터 카운트될 수 있으며, 1에서부터 카운트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설명된다.
부호화기(encoder): 부호화(encoding)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복호화기(decoder): 복호화(decoding)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유닛(unit): 유닛은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의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들 "유닛" 및 "블록(block)"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 유닛은 샘플의 MxN 배열일 수 있다. M 및 N은 각각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유닛은 흔히 2차원의 샘플들의 배열을 의미할 수 있다.
-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있어서, 유닛은 하나의 영상의 분할에 의해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말하자면, 유닛은 하나의 영상 내의 특정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영상은 복수의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는, 유닛은 하나의 영상을 세분화된 부분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에 대한 부호화 또는 복호화가 수행될 때, 상기의 분할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있어서, 유닛의 종류에 따라서 유닛에 대한 기정의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 기능에 따라서, 유닛의 타입은 매크로 유닛(Macro Unit), 코딩 유닛(Coding Unit; CU),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PU), 잔차 유닛(Residual Unit) 및 변환 유닛(Transform Unit; TU)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기능에 따라서, 유닛은 블록, 매크로블록(Macroblock),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코딩 트리 블록(Coding Tree Block), 코딩 유닛(Coding Unit), 부호화 블록(Coding Block),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 잔차 유닛(Residual Unit), 잔차 블록(Residual Block), 변환 유닛(Transform Unit) 및 변환 블록(Transform Block) 등을 의미할 수 있다.
- 유닛은, 블록과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해, 루마(luma) 성분 블록 및 이에 대응하는 크로마(chroma) 성분 블록, 그리고 각 블록에 대한 구문 요소(syntax element)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 유닛의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유닛은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유닛의 형태는 정사각형뿐만 아니라 직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및 오각형 등 2차원으로 표현될 수 있는 기하학적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 또한, 유닛 정보는 유닛의 타입, 유닛의 크기, 유닛의 깊이, 유닛의 부호화 순서 및 유닛의 복호화 순서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닛의 타입은 CU, PU, 잔차 유닛 및 TU 등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 하나의 유닛은 유닛에 비해 더 작은 크기를 갖는 하위 유닛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깊이(depth): 깊이는 유닛의 분할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닛 깊이는 유닛을 트리 구조로 표현했을 때 유닛이 존재하는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 유닛 분할 정보는 유닛의 깊이에 관한 깊이를 포함할 수 있다. 깊이는 유닛이 분할되는 회수 및/또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 트리 구조에서, 루트 노드(root node)의 깊이가 가장 얕고, 리프 노드(leaf node)의 깊이가 가장 깊다고 볼 수 있다.
- 하나의 유닛은 트리 구조(tree structure)에 기반하여 깊이 정보(depth)를 가지면서 계층적으로(hierarchically) 복수의 하위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말하자면, 유닛 및 상기의 유닛의 분할에 의해 생성된 하위 유닛은 노드 및 상기의 노드의 자식 노드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하위 유닛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깊이는 유닛이 분할된 회수 및/또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하위 유닛의 분할 정보는 하위 유닛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 트리 구조에서, 가장 상위 노드는 분할되지 않은 최초의 유닛에 대응할 수 있다. 가장 상위 노드는 루트 노드로 칭해질 수 있다. 또한, 가장 상위 노드는 최소의 깊이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가장 상위 노드는 레벨 0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 레벨 1의 깊이를 갖는 노드는 최초의 유닛이 한 번 분할됨에 따라 생성된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레벨 2의 깊이를 갖는 노드는 최초의 유닛이 두 번 분할됨에 따라 생성된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 레벨 n의 깊이를 갖는 노드는 최초의 유닛이 n번 분할됨에 따라 생성된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 리프 노드는 가장 하위의 노드일 수 있으며, 더 분할될 수 없는 노드일 수 있다. 리프 노드의 깊이는 최대 레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대 레벨의 기정의된 값은 3일 수 있다.
- QT 깊이는 쿼드 분할에 대한 깊이를 나타낼 수 있다. BT 깊이는 이진 분할에 대한 깊이를 나타낼 수 있다. TT 깊이는 삼진 분할에 대한 깊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샘플(sample): 샘플은 블록을 구성하는 기반(base) 단위일 수 있다. 샘플은 비트 깊이(bit depth; Bd)에 따라서 0부터 2Bd-1까지의 값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
- 샘플은 픽셀 또는 픽셀 값일 수 있다.
- 이하에서, 용어들 "픽셀", "화소" 및 "샘플"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 CTU는 하나의 루마 성분(Y) 코딩 트리 블록과, 상기의 루마 성분 코딩 트리 블록에 관련된 두 크로마 성분(Cb, Cr) 코딩 트리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CTU는 상기의 블록들과 상기의 블록들의 각 블록에 대한 구문 요소를 포함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 각 코딩 트리 유닛은 코딩 유닛, 예측 유닛 및 변환 유닛 등의 하위 유닛을 구성하기 위하여 쿼드 트리(Quad Tree: QT), 이진 트리(Binary Tree; BT) 및 삼진 트리(Ternary Tree; TT)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분할될 수 있다. 또한, 각 코딩 트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분할 방식들을 사용하는 복수 트리(MultiType Tree; MTT)을 이용하여 분할될 수 있다.
- CTU는 입력 영상의 분할에서와 같이, 영상의 복호화 및 부호화 과정에서의 처리 단위인 픽셀 블록을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코딩 트리 블록(Coding Tree Block; CTB): 코딩 트리 블록은 Y 코딩 트리 블록, Cb 코딩 트리 블록, Cr 코딩 트리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주변 블록(neighbor block): 주변 블록은 대상 블록에 인접한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주변 블록은 복원된 주변 블록을 의미할 수도 있다.
- 이하에서, 용어들 "주변 블록" 및 "인접 블록(adjacent block)"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 주변 블록(spatial neighbor block): 공간적 주변 블록은 대상 블록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주변 블록은 공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 대상 블록 및 공간적 주변 블록은 대상 픽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 공간적 주변 블록은 대상 블록에 경계가 맞닿은 블록 또는 대상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 공간적 주변 블록은 대상 블록의 꼭지점에 인접한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 블록의 꼭지점에 인접한 블록이란, 대상 블록에 가로로 인접한 이웃 블록에 세로로 인접한 블록 또는 대상 블록에 세로로 인접한 이웃 블록에 가로로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시간적 주변 블록(temporal neighbor block): 시간적 주변 블록은 대상 블록에 시간적으로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주변 블록은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 시간적 주변 블록은 콜 블록(co-located block; col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 콜 블록은 이미 복원된 콜 픽처(co-located picture; col picture) 내의 블록일 수 있다. 콜 블록의 콜 픽처 내에서의 위치는 대상 블록의 대상 픽처 내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또는, 콜 블록의 콜 픽처 내에서의 위치는 대상 블록의 대상 픽처 내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콜 픽처는 참조 픽처 리스트에 포함된 픽처일 수 있다.
- 시간적 주변 블록은 대상 블록의 공간적 주변 블록에 시간적으로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인터 예측, 인트라 예측, 인터 보상(compensation), 인트라 보상 및 움직임 보상 등의 예측에 대한 기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 하나의 예측 유닛은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파티션(partition)들 또는 하위 예측 유닛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복수의 파티션들 또한 예측 또는 보상의 수행에 있어서의 기반 단위일 수 있다. 예측 유닛의 분할에 의해 생성된 파티션 또한 예측 유닛일 수 있다.
예측 유닛 파티션(prediction unit partition): 예측 유닛 파티션은 예측 유닛이 분할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재구축된 이웃 유닛(reconstructed neighboring unit): 재구축된 이웃 유닛은 대상 유닛의 주변에 이미 복호화되어 재구축된 유닛일 수 있다.
- 재구축된 이웃 유닛은 대상 유닛에 대한 공간적(spatial) 인접 유닛 또는 시간적(temporal) 인접 유닛일 수 있다.
- 재구축된 공간적 주변 유닛은 대상 픽처 내의 유닛이면서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통해 이미 재구축된 유닛일 수 있다.
- 재구축된 시간적 주변 유닛은 참조 영상 내의 유닛이면서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통해 이미 재구축된 유닛일 수 있다. 재구축된 시간적 주변 유닛의 참조 영상 내에서의 위치는 대상 유닛의 대상 픽처 내에서의 위치와 같거나, 대상 유닛의 대상 픽처 내에서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세트(parameter set): 파라미터 세트는 비트스트림 내의 구조(structure) 중 헤더(header)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 세트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V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SPS), 픽처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PPS) 및 적응 파라미터 세트(Adaptation Parameter Set; A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세트는 슬라이스(slice) 헤더 정보 및 타일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부호화 장치는 코딩 유닛의 크기, 예측 모드, 예측 유닛의 크기, 움직임 정보 및, 변환 유닛의 크기 등의 조합을 이용해서 높은 부호화 효율을 제공하기 위해 율-왜곡 최적화를 사용할 수 있다.
- 율-왜곡 최적화 방식은 상기의 조합들 중에서 최적의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각 조합의 율-왜곡 비용(rate-distortion cost)을 계산할 수 있다. 율-왜곡 비용은 아래의 수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율-왜곡 비용이 최소가 되는 조합이 율-왜곡 최적화 방식에 있어서의 최적의 조합으로 선택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1
- D는 왜곡을 나타낼 수 있다. D는 변환 유닛 내에서 원래의 변환 계수들 및 재구축된 변환 계수들 간의 차이 값들의 제곱들의 평균(mean square error)일 수 있다.
- R은 율을 나타낼 수 있다. R은 관련된 문맥 정보를 이용한 비트 율을 나타낼 수 있다.
- λ는 라그랑지안 승수(Lagrangian multiplier)를 나타낼 수 있다. R은 예측 모드, 움직임 정보 및 코드된 블록 플래그(coded block flag) 등과 같은 코딩 파라미터 정보뿐만 아니라, 변환 계수의 부호화에 의해 발생하는 비트도 포함할 수 있다.
- 부호화 장치는 정확한 D 및 R을 계산하기 위해 인터 예측 및/또는 인트라 예측, 변환, 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 역양자화, 역변환 등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은 부호화 장치에서의 복잡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비트스트림(bitstream): 비트스트림은 부호화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의 열을 의미할 수 있다.
파라미터 세트(parameter set): 파라미터 세트는 비트스트림 내의 구조(structure) 중 헤더(header)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 파라미터 세트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픽처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및 적응 파라미터 세트(adaptation parameter s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세트는 슬라이스(slice) 헤더의 정보 및 타일(tile) 헤더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싱(parsing): 파싱은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구문 요소(syntax element)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파싱은 엔트로피 복호화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심볼(symbol): 부호화 대상 유닛 및/또는 복호화 대상 유닛의 구문 요소,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 및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심볼은 엔트로피 부호화의 대상 또는 엔트로피 복호화의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참조 픽처(reference picture): 참조 픽처는 인터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위하여 유닛이 참조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참조 픽처는 인터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위해 대상 유닛이 참조하는 참조 유닛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하, 용어 "참조 픽처" 및 "참조 영상"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참조 픽처 리스트(reference picture list): 참조 픽처 리스트는 인터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참조 영상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 참조 픽처 리스트의 종류는 리스트 조합(List Combined; LC), 리스트 0(List 0; L0), 리스트 1(List 1; L1), 리스트 2(List 2; L2) 및 리스트 3(List 3; L3) 등이 있을 수 있다.
- 인터 예측에는 하나 이상의 참조 픽처 리스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인터 예측 지시자(inter prediction indicator): 인터 예측 지시자는 대상 유닛에 대한 인터 예측의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인터 예측은 단방향 예측 및 양방향 예측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인터 예측 지시자는 대상 유닛의 예측 유닛을 생성할 때 사용되는 참조 영상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인터 예측 지시자는 대상 유닛에 대한 인터 예측 혹은 움직임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예측 블록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참조 픽처 색인(reference picture index): 참조 픽처 색인은 참조 픽처 리스트에서 특정 참조 영상을 지시하는 색인일 수 있다.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MV): 움직임 벡터는 인터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에서 사용되는 2차원의 벡터일 수 있다. 움직임 벡터는 대상 영상 및 참조 영상 간의 오프셋을 의미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MV는 (mvx, mvy)와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mvx는 수평(horizontal)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mvy 는 수직(vertical)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탐색 영역(search range): 탐색 영역은 인터 예측 중 MV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는 2차원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탐색 영역의 크기는 MxN일 수 있다. M 및 N은 각각 양의 정수일 수 있다.
움직임 벡터 후보(motion vector candidate): 움직임 벡터 후보는 움직임 벡터를 예측할 때 예측 후보인 블록 혹은 예측 후보인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의미할 수 있다.
- 움직임 벡터 후보는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motion vector candidate list):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움직임 벡터 후보들을 이용하여 구성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 벡터 후보 색인(motion vector candidate index): 움직임 벡터 후보 색인은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의 움직임 벡터 후보를 가리키는 지시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움직임 벡터 후보 색인은 움직임 벡터 예측기(motion vector predictor)의 색인(index)일 수 있다.
움직임 정보(motion information):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 참조 픽처 색인 및 인터 예측 지시자(inter prediction indicator) 뿐만 아니라 참조 픽처 리스트 정보, 참조 영상, 움직임 벡터 후보, 움직임 벡터 후보 색인, 머지 후보 및 머지 색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merge candidate list): 머지 후보 리스트는 머지 후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리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머지 후보(merge candidate): 머지 후보는 공간적 머지 후보, 시간적 머지 후보, 조합된 머지 후보, 조합 양예측(combined bi-prediction) 머지 후보 및 제로 머지 후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머지 후보는 예측 타입 정보, 각 리스트에 대한 참조 픽처 색인 및 움직임 벡터 등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지 색인(merge index): 머지 색인은 머지 후보 리스트 내의 머지 후보를 가리키는 지시자일 수 있다.
- 머지 색인은 대상 유닛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재구축된 유닛 및 대상 유닛에 시간적으로 인접한 재구축된 유닛 중 머지 후보를 유도한 재구축된 유닛을 지시할 수 있다.
- 머지 색인은 머지 후보의 움직임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변환 유닛(transform unit): 변환 유닛은 변환, 역변환, 양자화, 역양자화, 변환 계수 부호화 및 변환 계수 복호화 등과 같은 잔차 신호(residual signal) 부호화 및/또는 잔차 신호 복호화에 있어서의 기본 유닛일 수 있다. 하나의 변환 유닛은 더 작은 크기의 복수의 변환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스케일링(scaling): 스케일링은 변환 계수 레벨에 인수를 곱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 변환 계수 레벨에 대한 스케일링의 결과로서, 변환 계수가 생성될 수 있다. 스케일링은 역양자화(dequantization)로 칭해질 수도 있다.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 QP): 양자화 파라미터는 양자화에서 변환 계수에 대해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을 생성할 때 사용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양자화 파라미터는 역양자화에서 변환 계수 레벨을 스케일링(scaling)함으로써 변환 계수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값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양자화 파라미터는 양자화 스탭 크기(step size)에 매핑된 값일 수 있다.
델타 양자화 파라미터(delta quantization parameter): 델타 양자화 파라미터는 예측된 양자화 파라미터 및 대상 유닛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분(difference) 값을 의미한다.
스캔(scan): 스캔은 유닛, 블록 또는 행렬 내의 계수들의 순서를 정렬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 형태로 정렬하는 것을 스캔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는, 1차원 배열을 2차원 배열 형태로 정렬하는 것도 스캔 또는 역 스캔(inverse scan)이라고 칭할 수 있다.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 변환 계수는 부호화 장치에서 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계수 값일 수 있다. 또는, 변환 계수는 복호화 장치에서 엔트로피 복호화 및 역양자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계수 값일 수 있다.
- 변환 계수 또는 잔차 신호에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양자화된 레벨 또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 또한 변환 계수의 의미에 포함될 수 있다.
양자화된 레벨(quantized level): 양자화된 레벨은 부호화 장치에서 변환 계수 또는 잔차 신호에 양자화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양자화된 레벨은 복호화 장치에서 역양자화를 수행함에 있어서 역양자화의 대상이 되는 값을 의미할 수도 있다.
- 변환 및 양자화의 결과인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도 양자화된 레벨의 의미에 포함될 수 있다.
넌제로 변환 계수(non-zero transform coefficient): 넌제로 변환 계수는 0이 아닌 값을 갖는 변환 계수 또는 0이 아닌 값을 갖는 변환 계수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넌제로 변환 계수는 값의 크기가 0이 아난 변환 계수 또는 값의 크기가 0이 아닌 변환 계수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양자화 행렬(quantization matrix): 양자화 행렬은 영상의 주관적 화질 혹은 객관적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자화 과정 또는 역양자화 과정에서 이용되는 행렬을 의미할 수 있다. 양자화 행렬은 스케일링 리스트(scaling list)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양자화 행렬 계수(quantization matrix coefficient): 양자화 행렬 계수는 양자화 행렬 내의 각 원소(element)를 의미할 수 있다. 양자화 행렬 계수는 행렬 계수(matrix coefficient)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디폴트 행렬(default matrix): 기본 행렬은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서 기정의된 양자화 행렬일 수 있다.
비 디폴트 행렬(non-default matrix): 비 디폴트 행렬은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서 기정의되어 있지 않은 양자화 행렬일 수 있다. 비 디폴트 행렬은 부호화 장치로부터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가장 가능성있는 모드(Most Probable Mode; MPM): MPM은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는 대상 블록에 관련된 코딩 파라미터 및 대상 블록에 관련된 개체의 속성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MPM들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는 참조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MPM들을 결정할 수 있다. 참조 블록은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참조 블록들은 대상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 및 대상 블록의 상단에 인접한 공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참조 블록들에 대하여 어떠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사용되었는가에 따라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MPM들이 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MPM들은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말하자면,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는 동일한 하나 이상의 MPM들을 포함하는 MPM 리스트를 공유할 수 있다.
MPM 리스트: MPM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MPM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MPM 리스트 내의 하나 이상의 MPM들의 개수는 기정의될 수 있다.
MPM 지시자: MPM 지시자는 MPM 리스트의 하나 이상의 MPM들 중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MPM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M 지시자는 MPM 리스트에 대한 인덱스일 수 있다.
MPM 리스트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MPM 리스트 자체는 부호화 장치로부터 복호화 장치로 전송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MPM 지시자는 부호화 장치로부터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MPM 지시자가 시그널링됨에 따라 복호화 장치는 MPM 리스트의 MPM들 중 대상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될 MPM을 결정할 수 있다.
MPM 사용 지시자: MPM 사용 지시자는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을 위해 MPM 사용 모드가 사용될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MPM 사용 모드는 MPM 리스트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될 MPM을 결정하는 모드일 수 있다.
MPM 사용 지시자는 부호화 장치로부터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시그널링: 시그널링은 정보가 부호화 장치로부터 복호화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시그널링은 정보를 비트스트림 또는 기록 매체 내에 포함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에 의해 시그널링된 정보는 복호화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호화 장치(100)는 인코더, 비디오 부호화 장치 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일 수 있다. 비디오는 하나 이상의 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비디오의 하나 이상의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화 장치(100)는 인터 예측부(110),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참조 픽처 버퍼(19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인트라 모드 및/또는 인터 모드를 사용하여 대상 영상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영상에 대한 부호화를 통해 부호화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유/무선 전송 매체를 통해 스트리밍될 수 있다.
예측 모드로서, 인트라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스위치(115)는 인트라로 전환될 수 있다. 예측 모드로서, 인터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스위치(115)는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 블록이 생성된 후, 대상 블록 및 예측 블록의 잔차(residual)를 부호화할 수 있다.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예측부(120)는 대상 블록의 주변에 있는, 이미 부호화/복호화된 블록의 픽셀을 참조 샘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20)는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공간적 예측을 수행할 수 있고, 공간적 예측을 통해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110)는 움직임 예측부 및 움직임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 움직임 예측부는, 움직임 예측 과정에서 참조 영상으로부터 대상 블록과 가장 매치가 잘 되는 영역을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영역을 이용하여 대상 블록 및 검색된 영역에 대한 움직임 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참조 영상은 참조 픽처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참조 영상에 대한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가 처리되었을 때 참조 픽처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움직임 벡터는 인터 예측에 사용되는 2차원 벡터일 수 있다. 또한 움직임 벡터는 대상 영상 및 참조 영상 간의 오프셋(offset)을 나타낼 수 있다.
움직임 예측부 및 움직임 보상부는 움직임 벡터가 정수가 아닌 값을 가진 경우 참조 영상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해 보간 필터(interpolation filter)를 적용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CU를 기준으로 CU에 포함된 PU의 움직임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의 방법이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mode), 향상된 움직임 벡터 예측(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AMVP) 모드 및 현재 픽처 참조 모드 중 어떠한 방법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고, 각 모드에 따라 인터 예측 또는 움직임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감산기(125)는 대상 블록 및 예측 블록의 차분인 잔차 블록(residual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잔차 블록은 잔차 신호로 칭해질 수도 있다.
잔차 신호는 원 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이(difference)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잔차 신호는 원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이를 변환(transform)하거나 양자화하거나 또는 변환 및 양자화함으로써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잔차 블록은 블록 단위에 대한 잔차 신호일 수 있다.
변환부(130)는 잔차 블록에 대해 변환(transform)을 수행하여 변환 계수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 계수는 잔차 블록에 대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계수 값일 수 있다.
변환부(130)는 변환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정의된 복수의 변환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기정의된 복수의 변환 방법들은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이산 사인 변환(Discrete Sine Transform; DST) 및 카루넨-루베 변환(Karhunen-Loeve Transform; KLT) 기반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잔차 블록에 대한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변환 방법은 대상 블록 및/또는 주변 블록에 대한 코딩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 방법은 PU에 대한 인터 예측 모드, PU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 TU의 크기 및 TU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변환 방법을 지시하는 변환 정보가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변환 스킵(transform skip) 모드가 적용되는 경우, 변환부(130)는 잔차 블록에 대한 변환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변환 계수에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transform coefficient level) 또는 양자화된 레벨이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 및 양자화된 레벨도 변환 계수로 칭해질 수 있다.
양자화부(140)는 변환 계수를 양자화 파라미터에 맞춰 양자화함으로써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level)(말하자면, 양자화된 레벨 또는 양자화된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양자화부(140)는 생성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양자화부(140)에서는 양자화 행렬을 사용하여 변환 계수를 양자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양자화부(140)에서 산출된 값들 및/또는 부호화 과정에서 산출된 코딩 파라미터 값들 등에 기초하여 확률 분포에 따른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비트스트림(bitstream)을 생성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영상의 픽셀에 관한 정보 및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정보에 대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의 복호화를 위한 정보는 구문 요소(syntax el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가 적용되는 경우, 높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적은 수의 비트가 할당될 수 있고, 낮은 발생 확률을 갖는 심볼에 많은 수의 비트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할당을 통해 심볼이 표현됨에 따라, 부호화의 대상인 심볼들에 대한 비트열(bitstring)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통해서 영상 부호화의 압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문맥-적응형 가변 길이 코딩(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VLC) 및 문맥-적응형 이진 산술 코딩(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등과 같은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가변 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Code; VLC) 테이블을 이용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대상 심볼에 대한 이진화(binarization)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대상 심볼/빈(bin)의 확률 모델(probability model)을 도출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도출된 이진화 방법, 확률 모델 및 문맥 모델(context model)을 사용하여 산술 부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을 부호화하기 위해 변환 계수 스캐닝(transform coefficient scanning) 방법을 통해 2차원의 블록의 형태(form)의 계수를 1차원의 벡터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코딩 파라미터는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위해 요구되는 정보일 수 있다. 코딩 파라미터는 부호화 장치(100)에서 부호화되어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로 전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부호화 혹은 복호화 과정에서 유추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호화 장치로 전달되는 정보로서, 구문 요소가 있다.
코딩 파라미터(coding parameter)는 구문 요소와 같이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되고, 부호화 장치로부터 복호화 장치로 시그널링되는 정보(또는, 플래그, 인덱스 등)뿐만 아니라, 부호화 과정 또는 복호화 과정에서 유도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딩 파라미터는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닛/블록의 크기, 유닛/블록의 깊이, 유닛/블록의 분할 정보, 유닛/블록의 분할 구조, 유닛/블록이 쿼드 트리 형태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유닛/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이진 트리 형태의 분할 방향(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이진 트리 형태의 분할 형태(대칭 분할 또는 비대칭 분할), 유닛/블록이 삼진 트리 형태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삼진 트리 형태의 분할 방향(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삼진 트리 형태의 분할 형태(대칭 분할 또는 비대칭 분할 등), 유닛/블록이 복합 트리 형태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복합 트리 형태의 분할의 조합 및 방향(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등), 예측 방식(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 인트라 예측 모드/방향, 참조 샘플 필터링 방법, 예측 블록 필터링 방법, 예측 블록 경계 필터링 방법, 필터링의 필터 탭, 필터링의 필터 계수, 인터 예측 모드, 움직임 정보, 움직임 벡터, 참조 픽처 색인, 인터 예측 방향, 인터 예측 지시자, 참조 픽처 리스트, 참조 영상, 움직임 벡터 예측기,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머지 후보, 머지 후보 리스트, 스킵(skip)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보간 필터의 종류, 보간 필터의 필터 탭, 보간 필터의 필터 계수, 움직임 벡터 크기, 움직임 벡터 표현 정확도, 변환 종류, 변환 크기, 1차 변환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추가(2차) 변환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1차 변환 선택 정보(또는, 1차 변환 인덱스), 2차 변환 선택 정보(또는, 2차 변환 인덱스), 잔차 신호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코드된 블록 패턴(coded block pattern), 코드된 블록 플래그(coded block flag), 양자화 파라미터, 양자화 행렬, 인트라-루프 필터에 대한 정보, 인트라-루프 필터를 적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인트라-루프 필터의 계수, 인트라-루프의 필터 탭, 인트라 루프 필터의 모양(shape)/형태(form),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디블록킹 필터 계수, 디블록킹 필터 탭, 디블록킹 필터 강도, 디블록킹 필터 모양/형태, 적응적 샘플 오프셋을 적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적응적 샘플 오프셋 값, 적응적 샘플 오프셋 카테고리, 적응적 샘플 오프셋 종류, 적응적 루프-내(in-loop) 필터를 적용하는지 여부, 적응적 루프-내 필터 계수, 적응적 루프-내 필터 탭, 적응적 루프-내 필터 모양/형태, 이진화/역이진화 방법, 문맥 모델, 문맥 모델 결정 방법, 문맥 모델 업데이트 방법, 레귤러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 바이패스 모드를 수행하는지 여부, 문맥 빈, 바이패스 빈, 변환 계수, 변환 계수 레벨, 변환 계수 레벨 스캐닝 방법, 영상의 디스플레이/출력 순서, 슬라이스 식별 정보, 슬라이스 타입, 슬라이스 분할 정보, 타일 식별 정보, 타일 타입, 타일 분할 정보, 픽처 타입, 비트 심도, 루마 신호에 대한 정보 및 크로마 신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값, 조합된 형태 또는 통계가 코딩 파라미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측 방식은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인터 예측 모드 중 하나의 예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1차 변환 선택 정보는 대상 블록에 적용되는 1차 변환을 나타낼 수 있다.
2차 변환 선택 정보는 대상 블록에 적용되는 2차 변환을 나타낼 수 있다.
잔차 신호는 원 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분(difference)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잔차 신호는 원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분을 변환(transform)함으로써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잔차 신호는 원 신호 및 예측 신호 간의 차분을 변환 및 양자화함으로써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잔차 블록은 블록에 대한 잔차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래그 또는 인덱스를 시그널링(signaling)한다는 것은 부호화 장치(100)에서는 플래그 또는 인덱스에 대한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encoding)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엔트로피 부호화된 플래그 또는 엔트로피 부호화된 인덱스를 비트스트림(Bitstream)에 포함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복호화 장치(200)에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엔트로피 부호화된 플래그 또는 엔트로피 부호화된 인덱스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entropy decoding)를 수행함으로써 플래그 또는 인덱스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에 의해 인터 예측을 통한 부호화가 수행되기 때문에, 부호화된 대상 영상은 이후에 처리되는 다른 영상(들)에 대하여 참조 영상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된 대상 영상을 다시 재구축 또는 복호화할 수 있고, 재구축 또는 복호화된 영상을 참조 영상으로서 참조 픽처 버퍼(190)에 저장할 수 있다. 복호화를 위해 부호화된 대상 영상에 대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이 처리될 수 있다.
양자화된 레벨은 역양자화부(160)에서 역양자화될(inversely quantized) 수 있고, 역변환부(170)에서 역변환될(inversely transformed) 수 있다. 역양자화부(160)는 양자화된 레벨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함으로써 역양자화된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역변환부(170)는 역양자화된 계수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재구축된 잔차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말하자면, 재구축된 잔차 블록은 역양자화 및 역변환된 계수일 수 있다.
역양자화 및 역변환된 계수는 가산기(175)를 통해 예측 블록과 합해질 수 있다, 역양자화 및/또는 역변환된 계수와 예측 블록을 합함으로써 재구축된(reconstructed)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역양자화 및/또는 역변환된 계수는 역양자화(dequantization) 및 역변환(inverse-trans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행된 계수를 의미할 수 있고, 재구축된 잔차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재구축된 블록은 필터부(180)를 거칠 수 있다. 필터부(180)는 디블록킹 필터(deblocking filter),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SAO), 적응적 루프 필터(Adaptive Loop Filter; ALF) 및 논 로컬 필터(Non Local Filter; NLF)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재구축된 블록 또는 재구축된 픽처에 적용할 수 있다. 필터부(180)는 루프-내(in-loop) 필터로 칭해질 수도 있다.
디블록킹 필터는 블록들 간의 경계에서 발생한 블록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블록에 포함된 몇 개의 열 또는 행에 포함된 픽셀(들)에 기반하여 대상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대상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적용되는 필터는 요구되는 디블록킹 필터링의 강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말하자면, 서로 다른 필터들 중 디블록킹 필터링의 강도에 따라 결정된 필터가 대상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대상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가 적용되는 경우, 요구되는 디블록킹 필터링의 강도에 따라 강한 필터(strong filter) 및 약한 필터(weak filter) 중 하나의 필터가 대상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대상 블록에 수직 방향 필터링 및 수평 방향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수평 방향 필터링 및 수직 방향 필터링이 병행으로 처리될 수 있다.
SAO는 코딩 에러에 대한 보상을 위해 픽셀의 픽셀 값에 적정한 오프셋(offset)을 더할 수 있다. SAO는 디블록킹이 적용된 영상에 대해, 픽셀의 단위로 원본 영상 및 디블록킹이 적용된 영상 간의 차이에 대하여 오프셋을 사용하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을 일정한 수의 영역들로 구분한 후, 구분된 영역들 중 오프셋이 수행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역에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영상의 각 픽셀의 에지 정보를 고려하여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ALF는 재구축된 영상 및 원래의 영상을 비교한 값에 기반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픽셀들을 소정의 그룹들로 분할한 후, 각 분할된 그룹에 적용될 필터가 결정될 수 있고, 그룹 별로 차별적으로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루마 신호에 대하여,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는 CU 별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각 블록에 적용될 ALF 의 모양 및 필터 계수는 블록 별로 다를 수 있다. 또는, 블록의 특징과는 무관하게, 고정된 형태의 ALF가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논 로컬 필터는 대상 블록과 유사한 재구축된 블록들에 기반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재구축된 영상에서 대상 블록과 유사한 영역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유사한 영역의 통계적 성질을 사용하여 대상 블록의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논 로컬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는 CU에 대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블록들에 적용될 논 로컬 필터의 모양들 및 필터 계수들은 블록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 있다.
필터부(180)를 거친 재구축된 블록 또는 재구축된 영상은 참조 픽처 버퍼(190)에 저장될 수 있다. 필터부(180)를 거친 재구축된 블록은 참조 픽처의 일부일 수 있다. 말하자면, 참조 픽처는 필터부(180)를 거친 재구축된 블록들로 구성된 재구축된 픽처일 수 있다. 저장된 참조 픽처는 이후 인터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복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복호화 장치(200)는 디코더, 비디오 복호화 장치 또는 영상 복호화 장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인터 예측부(250), 스위치(245), 가산기(255), 필터부(260) 및 참조 픽처 버퍼(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부호화 장치(100)에서 출력된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고, 유/무선 전송 매체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인트라 모드 및/또는 인터 모드의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장치(200)는 복호화를 통해 재구축된 영상 또는 복호화된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재구축된 영상 또는 복호화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호화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에 따른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로의 전환은 스위치(24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복호화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스위치(245)가 인트라로 전환될 수 있다. 복호화에 사용되는 예측 모드가 인터 모드인 경우 스위치(245)가 인터로 전환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함으로써 재구축된 잔차 블록(reconstructed residual block)을 획득할 수 있고,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재구축된 잔차 블록 및 예측 블록이 획득되면, 복호화 장치(200)는 재구축된 잔차 블록 및 예측 블록을 더함으로써 복호화의 대상이 되는 재구축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확률 분포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심볼들은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quantized transform coefficient level)(말하자면, 양자화된 레벨 또는 양자화된 계수) 형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상술된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은 상술된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의 역과정일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 레벨을 복호화하기 위해 변환 계수 스캐닝 방법을 통해 1차원의 벡터의 형태의 계수를 2차원의 블록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상단 대각 스캔을 이용하여 블록의 계수들을 스캔함으로써 계수들이 2차원 블록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블록의 크기 및/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우상단 대각 스캔, 수직 스캔 및 수평 스캔 중 어떤 스캔이 사용될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양자화된 계수는 역양자화부(220)에서 역양자화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는 양자화된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함으로써 역양자화된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역양자화된 계수는 역변환부(230)에서 역변환될 수 있다. 역변환부(230)는 역양자화된 계수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재구축된 잔차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양자화된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 및 역변환이 수행된 결과로서, 재구축된 잔차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역양자화부(220)는 재구축된 잔차 블록을 생성함에 있어서 양자화된 계수에 양자화 행렬을 적용할 수 있다.
인트라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인트라 예측부(240)는 대상 블록 주변의 이미 복호화된 블록의 픽셀 값을 이용하는 공간적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50)는 움직임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인터 예측부(250)는 움직임 보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인터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움직임 보상부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 버퍼(270)에 저장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는 움직임 벡터가 정수가 아닌 값을 가진 경우, 참조 영상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해 보간 필터를 적용할 수 있고, 보간 필터가 적용된 참조 영상을 사용하여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보상부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CU를 기준으로 CU에 포함된 PU를 위해 사용되는 움직임 보상 방법이 스킵 모드, 머지 모드, AMVP 모드 및 현재 픽처 참조 모드 중 어떤 모드인가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모드에 따라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재구축된 잔차 블록 및 예측 블록은 가산기(255)를 통해 더해질 수 있다. 가산기(255)는 재구축된 잔차 블록 및 예측 블록을 더함으로써 재구축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재구축된 블록은 필터부(260)를 거칠 수 있다. 필터부(260)는 디블록킹 필터, SAO, ALF 및 논 로컬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재구축된 블록 또는 재구축된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 재구축된 영상은 재구축된 블록을 포함하는 픽처일 수 있다.
필터부(260)를 거친 재구축된 영상은 부호화 장치(1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부호화 장치(1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필터부(260)를 거친 재구축된 영상은 참조 픽처 버퍼(270)에 참조 픽처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필터부(260)를 거친 재구축된 블록은 참조 픽처의 일부일 수 있다. 말하자면, 참조 픽처는 필터부(260)를 거친 재구축된 블록들로 구성된 영상일 수 있다. 저장된 참조 픽처는 이후 인터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영상을 부호화 및 복호화할 때의 영상의 분할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유닛이 복수의 하위 유닛들로 분할되는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영상을 효율적으로 분할하기 위해, 부호화 및 복호화에 있어서, 코딩 유닛(Coding Unit; CU)이 사용될 수 있다. 유닛은 1) 영상 샘플들을 포함하는 블록 및 2) 구문 요소(syntax element)을 합쳐서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닛의 분할"은 "유닛에 해당하는 블록의 분할"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복호화의 기반 단위로서 CU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CU는 영상 부호화/복호화에 있어서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 중 하나의 선택된 모드가 적용되는 단위로 사용될 수 있다. 말하자면, 영상 부호화/복호화에 있어서, 각 CU에 대해서 인트라 모드 및 인터 모드 중 어떤 모드가 적용될 것인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CU는 예측, 변환, 양자화, 역변환, 역양자화 및 변환 계수의 부호화/복호화에 있어서 기반 단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300)은 최대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 LCU)의 단위로 순차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 LCU에 대해, 분할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LCU는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유닛의 분할은 유닛에 해당하는 블록의 분할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 분할 정보는 유닛의 깊이(depth)에 관한 깊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깊이 정보는 유닛이 분할되는 회수 및/또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유닛은 트리 구조(tree structure)에 기반하여 깊이 정보를 가지고 계층적으로 하위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하위 유닛은 깊이 정보를 가질 수 있다. 깊이 정보는 CU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깊이 정보는 각 CU마다 저장될 수 있다.
각 CU는 깊이 정보를 가질 수 있다. CU가 분할되면, 분할에 의해 생성된 CU들은 분할된 CU의 깊이에서 1 증가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분할 구조는 LCU(310) 내에서의, 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CU의 분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분포는 하나의 CU를 복수의 CU들로 분할할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분할된 CU들의 개수는 2, 4, 8 및 16 등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분할에 의해 생성된 C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분할에 의해 생성된 CU들의 개수에 따라, 분할 전의 C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분할된 CU는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의 CU들로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재귀적 분할에 의해, 분할된 C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분할 전의 C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CU의 분할은 기정의된 깊이 또는 기정의된 크기까지 재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CU의 깊이는 0 내지 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CU의 크기는 CU의 깊이에 따라 64x64로부터 8x8까지의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LCU의 깊이는 0일 수 있고, 최소 코딩 유닛(Smallest Coding Unit; SCU)의 깊이는 기정의된 최대 깊이일 수 있다. 여기서, LCU는 상술된 것과 같이 최대의 코딩 유닛 크기를 가지는 CU일 수 있고, SCU는 최소의 코딩 유닛 크기를 가지는 CU일 수 있다.
LCU(310)로부터 분할이 시작될 수 있고, 분할에 의해 CU의 가로 크기 및/또는 세로 크기가 줄어들 때마다 CU의 깊이는 1씩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깊이 별로, 분할되지 않는 CU는 2Nx2N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분할되는 CU의 경우, 2Nx2N 크기의 CU가 NxN 크기를 가지는 4개의 CU들로 분할될 수 있다. N의 크기는 깊이가 1씩 증가할 때마다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깊이가 0인 LCU는 64x64 픽셀들 또는 64x64 블록일 수 있다. 0은 최소 깊이일 수 있다. 깊이가 3인 SCU는 8x8 픽셀들 또는 8x8 블록일 수 있다. 3은 최대 깊이일 수 있다. 이때, LCU인 64x64 블록의 CU는 깊이 0으로 표현될 수 있다. 32x32 블록의 CU는 깊이 1로 표현될 수 있다. 16x16 블록의 CU는 깊이 2로 표현될 수 있다. SCU인 8x8 블록의 CU는 깊이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CU가 분할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CU의 분할 정보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1비트의 정보일 수 있다. SCU를 제외한 모든 CU는 분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되지 않는 CU의 분할 정보의 값은 0일 수 있고, 분할되는 CU의 분할 정보의 값은 1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CU가 4 개의 C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에 의해 생성된 4 개의 CU들의 각 C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 전의 CU의 가로 크기의 절반 및 세로 크기의 절반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CU가 4 개의 C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4 개의 CU들의 크기들은 16x16일 수 있다. 하나의 CU가 4 개의 CU들로 분할되는 경우, CU가 쿼드-트리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CU가 2 개의 C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에 의해 생성된 2 개의 CU들의 각 CU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 전의 CU의 가로 크기의 절반 또는 세로 크기의 절반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CU가 2 개의 CU들로 세로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2 개의 CU들의 크기들은 16x32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CU가 2 개의 CU들로 가로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2 개의 CU들의 크기들은 32x16일 수 있다. 하나의 CU가 2 개의 CU들로 분할되는 경우, CU가 이진-트리(binary-tree)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 3의 LCU(310)에는 쿼드-트리 형태의 분할 및 이진-트리 형태의 분할이 모두 적용되었다.
부호화 장치(100)에서, 64x64 크기의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은 재귀적인 쿼드-크리 구조에 의해 더 작은 복수의 CU들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CU는 동일한 크기들을 갖는 4개의 CU들로 분할될 수 있다. CU는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CU는 쿼드 트리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CU에 대한 재귀적인 분할을 통해, 최소의 율-왜곡 비율을 발생시키는 최적의 분할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코딩 유닛(CU)이 포함할 수 있는 예측 유닛(PU)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LCU로부터 분할된 CU 중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CU는 하나 이상의 예측 유닛(Prediction Unit; PU)들로 분할될 수 있다.
PU는 예측에 대한 기본 단위일 수 있다. PU는 스킵(skip) 모드, 인터 모드 및 인트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부호화 및 복호화될 수 있다. PU는 각 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대상 블록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대상 블록은 PU일 수 있다.
CU는 PU들로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CU가 PU들로 분할되지 않는 경우 CU의 크기 및 PU의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스킵 모드에서는, CU 내에 분할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스킵 모드에서는 분할 없이 PU 및 CU의 크기들이 동일한 2Nx2N 모드(410)가 지원될 수 있다.
인터 모드에서는, CU 내에서 8가지로 분할된 형태들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 모드에서는 2Nx2N 모드(410), 2NxN 모드(415), Nx2N 모드(420), NxN 모드(425), 2NxnU 모드(430), 2NxnD 모드(435), nLx2N 모드(440) 및 nRx2N 모드(445)가 지원될 수 있다.
인트라 모드에서는, 2Nx2N 모드(410) 및 NxN 모드(425)가 지원될 수 있다.
2Nx2N 모드(410)에서는 2Nx2N의 크기의 PU가 부호화될 수 있다. 2Nx2N의 크기의 PU는 CU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PU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Nx2N의 크기의 PU는 64x64, 32x32, 16x16 또는 8x8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NxN 모드(425)에서는 NxN의 크기의 PU가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트라 예측에서, PU의 크기가 8x8일 때, 4개의 분할된 PU들이 부호화될 수 있다. 분할된 PU의 크기는 4x4일 수 있다.
PU가 인트라 모드에 의해 부호화될 경우, PU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 효율 비디오 코딩(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기술에서는 35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제공할 수 있고, PU는 35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부호화될 수 있다.
PU가 2Nx2N 모드(410) 및 NxN 모드(425) 중 어느 모드에 의해 부호화될 것인가는 율-왜곡 비용(rate-distortion cost)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2Nx2N 크기의 PU에 대해 부호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호화 연산은 부호화 장치(100)가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각각으로 PU를 부호화하는 것일 수 있다. 부호화 연산을 통해 2Nx2N 크기의 PU에 대한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도출될 수 있다.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부호화 장치(100)가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2Nx2N 크기의 PU의 부호화에 대하여 최소의 율-왜곡 비용을 발생시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NxN으로 분할된 PU들의 각 PU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부호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호화 연산은 부호화 장치(100)가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각각으로 PU를 부호화하는 것일 수 있다. 부호화 연산을 통해 NxN 크기의 PU에 대한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도출될 수 있다.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부호화 장치(100)가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NxN 크기의 PU의 부호화에 대하여 최소의 율-왜곡 비용을 발생시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일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2Nx2N 크기의 PU의 율-왜곡 비용 및 NxN 크기의 PU들의 율-왜곡 비용들의 비교에 기반하여 2Nx2N 크기의 PU 및 NxN 크기의 PU들 중 어느 것을 부호화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CU는 하나 이상의 PU들로 분할될 수 있고, PU도 복수의 PU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PU가 4 개의 P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에 의해 생성된 4 개의 PU들의 각 P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 전의 PU의 가로 크기의 절반 및 세로 크기의 절반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PU가 4 개의 P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4 개의 PU들의 크기들은 16x16일 수 있다. 하나의 PU가 4 개의 PU들로 분할되는 경우, PU가 쿼드-트리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PU가 2 개의 P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에 의해 생성된 2 개의 PU들의 각 PU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 전의 PU의 가로 크기의 절반 또는 세로 크기의 절반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PU가 2 개의 PU들로 세로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2 개의 PU들의 크기들은 16x32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PU가 2 개의 PU들로 가로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2 개의 PU들의 크기들은 32x16일 수 있다. 하나의 PU가 2 개의 PU들로 분할되는 경우, PU가 이진-트리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 5는 코딩 유닛(CU)에 포함될 수 있는 변환 유닛(TU)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변환 유닛(Transform Unit; TU)은 CU 내에서 변환, 양자화, 역변환, 역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 및 엔트로피 복호화의 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 단위일 수 있다.
TU는 정사각형 형태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U의 형태는 CU의 크기 및/또는 형태에 의존하여 결정될 수 있다.
LCU로부터 분할된 CU 중, 더 이상 CU들로 분할되지 않는 CU는 하나 이상의 TU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TU의 분할 구조는 쿼드-트리(quad-tree)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CU(510)가 쿼드-트리 구조에 따라서 한 번 혹은 그 이상 분할될 수 있다. 분할을 통해, 하나의 CU(510)는 다양한 크기의 TU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CU가 2 번 이상 분할될 경우, CU는 재귀적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분할을 통해, 하나의 CU는 다양한 크기들을 갖는 TU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CU는 CU를 분할하는 수직 선 및/또는 수평 선의 개수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TU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CU는 대칭형의 TU들로 분할될 수 있고, 비대칭형의 TU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비대칭형의 TU들로의 분할을 위해, TU의 크기 및/또는 형태에 대한 정보가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는, TU의 크기 및/또는 형태는 CU의 크기 및/또는 형태에 대한 정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CU는 TU들로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CU가 TU들로 분할되지 않는 경우 CU의 크기 및 TU의 크기는 같을 수 있다.
하나의 CU는 하나 이상의 TU들로 분할될 수 있고, TU도 복수의 TU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TU가 4 개의 T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에 의해 생성된 4 개의 TU들의 각 TU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 전의 TU의 가로 크기의 절반 및 세로 크기의 절반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TU가 4 개의 T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4 개의 TU들의 크기들은 16x16일 수 있다. 하나의 TU가 4 개의 TU들로 분할되는 경우, TU가 쿼드-트리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TU가 2 개의 TU들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에 의해 생성된 2 개의 TU들의 각 TU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 전의 TU의 가로 크기의 절반 또는 세로 크기의 절반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TU가 2 개의 TU들로 세로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2 개의 TU들의 크기들은 16x32일 수 있다. 32x32 크기의 TU가 2 개의 TU들로 가로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2 개의 TU들의 크기들은 32x16일 수 있다. 하나의 TU가 2 개의 TU들로 분할되는 경우, TU가 이진-트리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것 외의 다른 방식으로 CU가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CU는 3 개의 CU들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된 3 개의 CU들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는 각각 분할전의 CU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의 1/4, 1/2 및 1/4일 수 있다.
일 예로, 32x32 크기의 CU가 3 개의 CU들로 세로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3 개의 CU들의 크기들은 각각 8x32, 16x32 및 8x3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CU가 3 개의 CU들로 분할되는 경우, CU는 삼진 트리의 형태로 분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예시된 쿼드 트리의 형태의 분할, 이진 트리의 형태의 분할 및 삼진 트리의 형태의 분할 중 하나가 CU의 분할을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분할 방식들이 함께 조합되어 CU의 분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분할 방식들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복합 트리의 형태의 분할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블록의 분할을 나타낸다.
영상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의 과정에서, 도 6과 같이 대상 블록이 분할될 수 있다.
대상 블록의 분할을 위해, 분할 정보를 나타내는 지시자가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대상 블록이 어떻게 분할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분할 정보는 분할 플래그(이하, "split_flag"로 표시), 쿼드-이진 플래그(이하, "QB_flag"로 표시), 쿼드 트리 플래그(이하, "quadtree_flag"로 표시), 이진 트리 플래그(이하, "binarytree_flag"로 표시) 및 이진 타입 플래그(이하, "Btype_flag"로 표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split_flag는 블록이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split_flag의 값 1은 블록이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split_flag의 값 0은 블록이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QB_flag는 블록이 쿼드 트리 형태 및 이진 트리 형태 중 어떤 형태로 분할되는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QB_flag의 값 0은 블록이 쿼드 트리 형태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QB_flag의 값 1은 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QB_flag의 값 0은 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QB_flag의 값 1은 블록이 쿼드 트리 형태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quadtree_flag는 블록이 쿼드 트리 형태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quadtree_flag의 값 1은 블록이 쿼드 트리 형태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quadtree_flag의 값 0은 블록이 쿼드 트리 형태로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binarytree_flag는 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binarytree_flag의 값 1은 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binarytree_flag의 값 0은 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Btype_flag는 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되는 경우, 수직 분할 및 수평 분할 중 어떤 것으로 분할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Btype_flag의 값 0은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Btype_flag의 값 1은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Btype_flag의 값 0은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Btype_flag의 값 1은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블록에 대한 분할 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quadtree_flag, binarytree_flag 및 Btype_flag 중 적어도 하나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2
예를 들면, 도 6의 블록에 대한 분할 정보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split_flag, QB_flag 및 Btype_flag 중 적어도 하나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3
분할 방법은 블록의 크기 및/또한 형태에 따라 쿼드 트리로만 제한될 수 있고, 또는 이진 트리로만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이 적용되는 경우, split_flag는 쿼드 트리 형태로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또는 이진 트리 형태로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블록의 크기 및 형태는 블록의 깊이 정보에 따라서 유도될 수 있으며, 깊이 정보는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블록의 크기가 특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쿼드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된 범위는 쿼드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한 최대 블록 크기 및 최소 블록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쿼트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한 최대 블록 크기 및/또는 최소 블록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비디오, 시퀀스, 픽처 및 슬라이스(또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에 대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는, 최대 블록 크기 및/또는 최소 블록 크기는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에서 기정의된 고정된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의 크기가 64x64의 이상이며, 256x256의 이하인 경우에는 쿼드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plit_flag는 쿼드 트리 형태로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블록의 크기가 특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이진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특정된 범위는 이진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한 최대 블록 크기 및 최소 블록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진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한 최대 블록 크기 및/또는 최소 블록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시퀀스, 픽처 및 슬라이스(또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에 대하여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는, 최대 블록 크기 및/또는 최소 블록 크기는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에서 기정의된 고정된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의 크기가 8x8의 이상이며, 16x16의 이하인 경우에는 이진 트리 형태의 분할만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plit_flag는 이진 트리 형태로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블록의 분할은 이전의 분할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이 이진 트리 형태로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된 블록들이 생성된 경우, 각 분할된 블록은 이진 트리 형태로만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된 블록의 가로 크기 또는 세로 크기가 더 이상 분할될 수 없는 크기에 해당하는 경우 전술된 지시자는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인트라 예측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그래프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의 화살표들은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예측 방향들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화살표에 근접하게 표시된 숫자는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방향에 할당된 모드 값의 일 예를 나타낼 수 있다.
인트라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는 대상 블록의 주변의 유닛의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변의 블록은 주변의 재구축된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트라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는 주변의 재구축된 블록이 포함하는 참조 샘플의 값 또는 코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 및/또는 복호화 장치(200)는 대상 영상 내의 샘플의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부호화 장치(100) 및/또는 복호화 장치(200)는 대상 영상 내의 샘플의 정보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부호화 장치(100) 및/또는 복호화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재구축된 참조 샘플에 기반하여 방향성 예측 및/또는 비방향성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 블록은 인트라 예측의 수행의 결과로 생성된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예측 블록은 CU, PU 및 TU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예측 블록의 단위는 CU, PU 및 TU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일 수 있다. 예측 블록은 2Nx2N의 크기 또는 NxN의 크기를 갖는,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NxN의 크기는 4x4, 8x8, 16x16, 32x32 및 64x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측 블록은 2x2, 4x4, 8x8, 16x16, 32x32 또는 64x64 등의 크기를 갖는 정사각형의 형태의 블록일 수 있고, 2x8, 4x8, 2x16, 4x16 및 8x16 등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의 블록일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은 대상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대상 블록이 가질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기정의된 고정된 값일 수 있으며, 예측 블록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측 블록의 속성은 예측 블록의 크기 및 예측 블록의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예측 블록의 크기에 관계없이 35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3, 5, 9, 17, 34, 35 또는 36 등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는 비방향성(non-directional) 모드 또는 방향성(directional)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트라 예측 모드는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비방향성 모드들 및 33개의 방향성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비방향성 모드들은 디씨(DC) 모드 및 플래너(Plana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성 모드들은 특정한 방향 또는 특정한 각도를 갖는 예측 모드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는 모드 번호, 모드 값 및 모드 각도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M 개일 수 있다. M은 1 이상일 수 있다. 말하자면, 인트라 예측 모드는 비방향성 모드의 개수 및 방향성 모드의 개수를 포함하는 M 개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블록의 크기 및/또는 색 성분(color component)에 관계없이 M 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블록의 크기와 무관하게, 35 또는 67 중 하나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블록의 크기 및/또는 색 성분의 타입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의 크기가 커질수록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많아질 수 있다. 또는, 블록의 크기가 커질수록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적어질 수 있다. 블록의 크기가 4x4 또는 8x8인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67일 수 있다. 블록의 크기가 16x16인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35일 수 있다. 블록의 크기가 32x32인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19일 수 있다. 블록의 크기가 64x64인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7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색 성분이 루마(luma) 신호인지 아니면 크로마(chroma) 신호인지에 따라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 또는 루마 성분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크로마 성분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값이 26인 수직 모드의 경우, 참조 샘플의 픽셀 값에 기반하여 수직 방향으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값이 10인 수평 모드의 경우, 참조 샘플의 픽셀 값에 기반하여 수평 방향으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전술된 모드 이외의 방향성 모드인 경우에도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는 방향성 모드에 대응하는 각도에 따라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대상 유닛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직 모드의 우측에 위치한 인트라 예측 모드는 수직 우측 모드(vertical-right mode)로 명명될 수 있다. 수평 모드의 하단에 위치한 인트라 예측 모드는 수형 하단 모드(horizontal-below mode)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모드 값이 27, 28, 29, 30, 31, 32, 33 및 34 중 하나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수직 우측 모드들(613)일 수 있다. 모드 값이 2, 3, 4, 5, 6, 7, 8 및 9 중 하나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수평 하단 모드들(616)일 수 있다.
비방향성 모드는 디씨(DC) 모드 및 플래너(plana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씨 모드의 모드 값은 1일 수 있다. 플래너 모드의 모드 값은 0일 수 있다.
방향성 모드는 각진(angula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DC 모드 및 플래너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의 모드는 방향성 모드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가 DC 모드인 경우, 복수의 참조 샘플들의 픽셀 값들의 평균에 기반하여 예측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측 블록의 픽셀의 값은 복수의 참조 샘플들의 픽셀 값들의 평균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 및 각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모드 값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수 있다. 전술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 및 각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모드 값은 실시예,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다.
대상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복원된 주변 블록에 포함되는 샘플들이 대상 블록의 참조 샘플로서 이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주변 블록의 샘플들 중 대상 블록의 참조 샘플로 이용할 수 없는 샘플이 존재하는 경우, 복원된 주변 블록에 포함된 샘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 값을 사용하는 복사 및/또는 보간에 의해 생성된 값이 참조 샘플로 이용할 수 없는 샘플의 샘플 값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복사 및/또는 보간에 의해 생성된 값이 샘플의 샘플 값으로 대체되면, 샘플이 대상 블록의 참조 샘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시, 인트라 예측 모드 및 대상 블록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참조 샘플 또는 예측 샘플 중 적어도 하나에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참조 샘플 또는 예측 샘플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필터의 종류는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대상 블록의 크기 및 대상 블록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필터의 종류는 필터 탭의 개수, 필터 계수의 값 및 필터 강도 중 하나 이상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가 플래너 모드인 경우, 대상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함에 있어서, 예측 대상 샘플의 예측 블록 내 위치에 따라, 대상 샘플의 상단 참조 샘플, 대상 샘플의 좌측 참조 샘플, 대상 블록의 우상단 참조 샘플 및 대상 블록의 좌하단 참조 샘플의 가중치가 부여된 합(weight-sum)을 이용하여 예측 대상 샘플의 샘플 값이 생성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가 DC 모드인 경우, 대상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함에 있어서, 대상 블록의 상단 참조 샘플들 및 좌측 참조 샘플들의 평균 값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대상 블록 내의 특정된 행들 또는 특정된 열들에 대해서는 참조 샘플들의 값들을 이용하는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특정된 행들은 참조 샘플과 인접한 하나 이상의 상단 행들일 수 있다. 특정된 열들은 참조 샘플과 인접한 하나 이상의 좌측 열들일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모드인 경우 대상 블록의 상단 참조 샘플, 좌측 참조 샘플, 우상단 참조 샘플 및/또는 좌하단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예측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전술된 예측 샘플을 생성하기 위해 실수 단위의 보간이 수행될 수도 있다.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대상 블록의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예측될 수 있으며,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가 엔트로피 부호화/복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블록 및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동일하면 기정의된 플래그를 이용하여 대상 블록 및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동일하다는 것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주변 블록들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가리키는 지시자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대상 블록 및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서로 다르면, 엔트로피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정보가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될 수 있다.
도 8은 인트라 예측 과정에서 사용되는 참조 샘플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샘플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재구축된 참조 샘플은 하단 좌측(below-left) 참조 샘플들(831), 좌측(left) 참조 샘플들(833), 상단 좌측(above-left) 코너 참조 샘플(835), 상단(above) 참조 샘플들(837) 및 상단 우측(above-right) 참조 샘플들(83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참조 샘플들(833)은 대상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재구축된 참조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상단 참조 샘플들(837)은 대상 블록의 상단에 인접한 재구축된 참조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상단 좌측 코너 참조 샘플(835)은 대상 블록의 상단 좌측 코너에 위치한 재구축된 참조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좌측 참조 샘플들(831)은 좌측 참조 샘플들(833)로 구성된 좌측 샘플 라인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 샘플들 중에서 좌측 샘플 라인의 하단에 위치한 참조 샘플을 의미할 수 있다. 상단 우측 참조 샘플들(839)은 상단 참조 샘플들(837)로 구성된 상단 샘플 라인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 샘플들 중에서 상단 픽셀 라인의 우측에 위치한 참조 샘플들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 블록의 크기가 NxN일 때, 하단 좌측 참조 샘플들(831), 좌측 참조 샘플들(833), 상단 참조 샘플들(837) 및 상단 우측 참조 샘플들(839)은 각각 N개일 수 있다.
대상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통해 예측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예측 블록의 생성은 예측 블록의 픽셀들의 값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블록 및 예측 블록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참조 샘플은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은 참조 샘플들 및 예측 블록의 픽셀들 간의 의존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된 참조 샘플의 값이 예측 블록의 특정된 하나 이상의 픽셀들의 값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된 참조 샘플 및 예측 블록의 특정된 하나 이상의 픽셀들은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의 직선으로 지정되는 샘플 및 픽셀들일 수 있다. 말하자면, 특정된 참조 샘플의 값은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의 역방향에 위치한 픽셀의 값으로 복사될 수 있다. 또는, 예측 블록의 픽셀의 값은 상기의 픽셀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에 위치한 참조 샘플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드 값이 26인 수직 모드인 경우, 상단 참조 샘플들(837)이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가 수직 모드인 경우, 예측 블록의 픽셀의 값은 상기의 픽셀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직으로 위에 위치한 참조 샘플의 값일 수 있다. 따라서, 대상 블록에 상단으로 인접한 상단 참조 샘플들(837)이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측 블록의 한 행의 픽셀들의 값들은 상단 참조 샘플들(837)의 값들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드 값이 10인 수평 모드인 경우, 좌측 참조 샘플들(833)이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가 수평 모드인 경우, 예측 블록의 픽셀의 값은 상기의 픽셀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좌측에 위치한 참조 샘플의 값일 수 있다. 따라서, 대상 블록에 좌측으로 인접한 좌측 참조 샘플들(833)이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측 블록의 한 열의 픽셀들의 값들은 좌측 참조 샘플들(833)의 값들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모드 값이 18인 경우 좌측 참조 샘플들(833)의 적어도 일부, 상단 좌측 코너 참조 샘플(835) 및 상단 참조 샘플들(837)의 적어도 일부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의 모드 값이 18인 경우, 예측 블록의 픽셀의 값은 상기의 픽셀을 기준으로 대각선으로 상단 좌측에 위치한 참조 샘플의 값일 수 있다.
또한, 모드 값이 27, 28, 29, 30, 31, 32, 33 또는 34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단 우측 참조 샘플들(839) 중 적어도 일부가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드 값이 2, 3, 4, 5, 6, 7, 8 또는 9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단 좌측 참조 샘플들(831) 중 적어도 일부가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드 값이 11 내지 25 중 하나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단 좌측 코너 참조 샘플(835)이 인트라 예측에 사용될 수 있다.
예측 블록의 하나의 픽셀의 픽셀 값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 샘플은 1개일 수 있고,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예측 블록의 픽셀의 픽셀 값은 상기의 픽셀의 위치 및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에 의해 가리켜지는 참조 샘플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픽셀의 위치 및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에 의해 가리켜지는 참조 샘플의 위치가 정수 위치인 경우, 정수 위치가 가리키는 하나의 참조 샘플의 값이 예측 블록의 픽셀의 픽셀 값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픽셀의 위치 및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에 의해 가리켜지는 참조 샘플의 위치가 정수 위치가 아닌 경우, 참조 샘플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2개의 참조 샘플들에 기반하여 보간된(interpolated) 참조 샘플이 생성될 수 있다. 보간된 참조 샘플의 값이 예측 블록의 픽셀의 픽셀 값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말하자면, 예측 블록의 픽셀의 위치 및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에 의해 가리켜지는 참조 샘플의 위치가 2개의 참조 샘플들 간의 사이를 나타낼 때, 상기의 2개의 샘플들의 값들에 기반하여 보간된 값이 생성될 수 있다.
예측에 의해 생성된 예측 블록은 원래의 대상 블록과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말하자면, 대상 블록 및 예측 블록 간의 차이(difference)인 예측 오차(prediction error)가 존재할 수 있으며, 대상 블록의 픽셀 및 예측 블록의 픽셀 간에도 예측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차이(difference)", "오차(error)" 및 "잔차(residual)"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성 인트라 예측의 경우, 예측 블록의 픽셀 및 참조 샘플 간의 거리가 더 멀수록 더 큰 예측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 오차에 등 의해 생성된 예측 블록 및 주변 블록 간에는 불연속성이 발생할 수 있다.
예측 오차의 감소를 위해 예측 블록에 대한 필터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필터링은 예측 블록 중 큰 예측 오차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는 영역에 대해 적응적으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큰 예측 오차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는 영역은 예측 블록의 경계일 수 있다. 또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블록 중 큰 예측 오차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는 영역이 다를 수 있으며, 필터의 특징이 다를 수 있다.
도 9는 인터 예측 과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도시된 사각형은 영상(또는, 픽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화살표는 예측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영상은 예측 방향에 따라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될 수 있다.
각 영상은 부호화 타입에 따라 I 픽처(Intra Picture), P 픽처(Uni-prediction Picture) 및 B 픽처(Bi-prediction Picture)로 분류될 수 있다. 각 픽처는 각 픽처의 부호화 타입에 따라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될 수 있다.
부호화의 대상인 대상 영상이 I 픽처인 경우, 대상 영상은 다른 영상을 참조하는 인터 예측 없이 영상 자체 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 픽처는 인트라 예측으로만 부호화될 수 있다.
대상 영상이 P 픽처인 경우, 대상 영상은 단방향에 존재하는 참조 픽처만을 이용하는 인터 예측을 통해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방향은 순방향 또는 역방향일 수 있다.
대상 영상이 B 픽처인 경우, 대상 영상은 양방향에 존재하는 참조 픽처들을 이용하는 인터 예측 또는 순방향 및 역방향 중 일 방향에 존재하는 참조 픽처를 이용하는 인터 예측을 통해 부호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양방향은 순방향 및 역방향일 수 있다.
참조 픽처를 이용하여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되는 P 픽처 및 B 픽처는 인터 예측이 사용되는 영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아래에서, 실시예에 따른 인터 모드에서의 인터 예측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인터 예측은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인터 모드에서,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 및/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대상 블록에 대하여 부호화 장치(100)에서의 인터 예측 및/또는 움직임 보상에 대응하는 인터 예측 및/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대상 블록에 대한 움직임 정보는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의 각각에 의해 인터 예측 중 도출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복원된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 콜 블록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콜 블록에 인접한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100) 또는 복호화 장치(200)는 공간적 후보(spatial candidate) 및/또는 시간적 후보(temporal candidate)의 움직임 정보를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사용함으로써 예측 및/또는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대상 블록은 PU 및/또는 PU 파티션을 의미할 수 있다.
공간적 후보는 대상 블록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재구축된 블록일 수 있다.
시간적 후보는 이미 재구축된 콜 픽처(collocated picture; col picture) 내의 대상 블록에 대응하는 재구축된 블록일 수 있다.
인터 예측에 있어서,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는 공간적 후보 및/또는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부호화 효율 및 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는 공간적 움직임 정보로 칭해질 수 있다.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는 시간적 움직임 정보로 칭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는, 공간적 후보를 포함하는 PU의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는, 시간적 후보를 포함하는 PU의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후보 블록의 움직임 정보는, 후보 블록을 포함하는 PU의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인터 예측은 참조 픽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참조 픽처(reference picture)는 대상 픽처의 이전 픽처 또는 대상 픽처의 이후 픽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참조 픽처는 대상 블록의 예측에 이용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인터 예측에 있어서, 참조 픽처를 지시하는 참조 픽처 인덱스(또는, refIdx) 및 후술될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등을 이용함으로써 참조 픽처 내의 영역이 특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조 픽처 내의 특정된 영역은 참조 블록을 나타낼 수 있다.
인터 예측은 참조 픽처를 선택할 수 있고, 참조 픽처 내에서 대상 블록에 대응하는 참조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터 예측은 선택된 참조 블록을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의 각각에 의해 인터 예측 중 도출될 수 있다.
공간적 후보는, 1) 대상 픽처 내의 존재하며, 2) 이미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통해 재구축되었고, 3) 대상 블록에 인접하거나, 대상 블록의 코너에 위치한 블록일 수 있다. 여기에서, 대상 블록의 코너에 위치한 블록이란, 대상 블록에 가로로 인접한 이웃 블록에 세로로 인접한 블록 또는 대상 블록에 세로로 인접한 이웃 블록에 가로로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코너에 위치한 블록"은 "대상 블록의 코너에 인접한 블록"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코너에 위치한 블록"은 "대상 블록에 인접한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간적 후보는 대상 블록의 좌측에 위치한 재구축된 블록, 대상 블록의 상단에 위치한 재구축된 블록, 대상 블록의 좌측 하단 코너에 위치한 재구축된 블록, 대상 블록의 우측 상단 코너에 위치한 재구축된 블록 또는 대상 블록의 좌측 상단 코너에 위치한 재구축된 블록일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의 각각은 콜(col) 픽처 내에서 대상 블록에 공간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블록을 식별할 수 있다. 대상 픽처 내의 대상 블록의 위치 및 콜 픽처 내의 식별된 블록의 위치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의 각각은 식별된 블록에 대하여 기정의된 상대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콜(col) 블록을 시간적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기정의된 상대적인 위치는 식별된 블록의 내부의 위치 및/또는 외부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콜 블록은 제1 콜 블록 및 제2 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블록의 좌표들이 (xP, yP)이고, 식별된 블록의 크기가 (nPSW, nPSH)일 때, 제1 콜 블록은 좌표들 (xP + nPSW, yP + nPSH)에 위치한 블록일 수 있다. 제2 콜 블록은 좌표들 (xP + (nPSW >> 1), yP + (nPSH >> 1))에 위치한 블록일 수 있다. 제2 콜 블록은 제1 콜 블록이 가용하지 않을(unavailable) 경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콜 블록의 움직임 벡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의 각각은 콜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스케일(scale)할 수 있다. 콜 블록의 스케일된(scale) 움직임 벡터가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리스트에 저장되는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의 움직임 벡터는 스케일된 움직임 벡터일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콜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비율(ratio)은 제1 거리 및 제2 거리의 비율과 같을 수 있다. 제1 거리는 대상 블록의 참조 픽처 및 대상 픽처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제2 거리는 콜 블록의 참조 픽처 및 콜 픽처 간의 거리일 수 있다.
움직임 정보의 도출 방식은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 모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 예측을 위해 적용되는 인터 예측 모드로서, 향상된 움직임 벡터 예측자(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or; AMVP) 모드, 머지(merge) 모드 및 스킵(skip) 모드 및 현재 픽처 참조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머지 모드는 움직임 머지 모드(motion merge mode)로 칭해질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모드들의 각각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1) AMVP 모드
AMVP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의 주변에서 유사한 블록을 검색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검색된 유사한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예측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 및 예측 블록 간의 차이인 잔차 블록을 부호화할 수 있다.
1-1)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의 작성
예측 모드로서 AMVP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의 각각은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 및 제로 벡터를 이용하여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벡터 및 제로 벡터 중 적어도 하나가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로서 결정 및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및 "움직임 벡터 (후보)"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및 "AMVP 후보"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및 "AMVP 후보 리스트"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 후보는 복원된 공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복원된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공간적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spatial prediction motion vector candidate)라 칭해질 수 있다.
시간적 후보는 콜 블록 및 콜 블록에 인접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콜 블록의 움직임 벡터 또는 콜 블록에 인접한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시간적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temporal prediction motion vector candidate)로 칭해질 수 있다.
제로 벡터는 (0, 0) 움직임 벡터일 수 있다.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는 움직임 벡터의 예측을 위한 움직임 벡터 예측자(motion vector predictor)일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에 있어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는 움직임 벡터 초기 검색 위치일 수 있다.
1-2)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를 사용하는 움직임 벡터의 검색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를 사용하여 검색 범위 내에서 대상 블록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될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의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들 중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 사용할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대상 블록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될 움직임 벡터는 최소의 비용으로 부호화될 수 있는 움직임 벡터일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AMVP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3) 인터 예측 정보의 전송
부호화 장치(100)는 인터 예측을 위해 요구되는 인터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비트스트림의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예측 정보는, 1) AMVP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 2)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 3) 움직임 벡터 차분(MVD: Motion Vector Difference), 4) 참조 방향 및 5) 참조 픽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들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 및 "AMVP 인덱스"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 예측 정보는 잔차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모드 정보가 AMVP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 엔트로피 복호화를 통해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 움직임 벡터 차분, 참조 방향 및 참조 픽처 인덱스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들 중에서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가리킬 수 있다.
1-4)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는 AMVP 모드의 인터 예측
복호화 장치(200)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유도할 수 있고, 유도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에 기반하여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를 사용하여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중에서 대상 블록에 대한 움직임 벡터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들 중에서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가 가리키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를 대상 블록의 예측 움직임 벡터로서 선택할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을 위해 실제로 사용될 움직임 벡터는 예측 움직임 벡터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을 위해 실제로 사용될 움직임 벡터는 및 예측 움직임 벡터 간의 차분을 나타내기 위해 MVD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가능한 작은 크기의 MVD를 사용하기 위해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을 위해 실제로 사용될 움직임 벡터와 유사한 예측 움직임 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MVD는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예측 움직임 벡터 간의 차분일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MVD를 계산할 수 있고, MVD를 엔트로피 부호화할 수 있다.
MVD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수신된 MVD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복호화된 MVD 및 예측 움직임 벡터를 합함으로써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유도(derive)할 수 있다. 말하자면, 복호화 장치(200)에서 도출되는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엔트로피 복호화된 MVD 및 움직임 벡터 후보의 합일 수 있다.
참조 방향은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 방향은 참조 픽처 리스트 L0 및 참조 픽처 리스트 L1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참조 방향은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픽처 리스트를 가리킬 뿐, 참조 픽처들의 방향들이 순방향(forward direction) 또는 역방향(backward direction)으로 제한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아닐 수 있다. 말하자면, 참조 픽처 리스트 L0 및 참조 픽처 리스트 L1의 각각은 순방향 및/또는 역방향의 픽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방향이 단방향(uni-direction)이란 것은 하나의 참조 픽처 리스트가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참조 방향이 양방향(bi-direction)이란 것은 2 개의 참조 픽처 리스트들이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말하자면, 참조 방향은, 참조 픽처 리스트 L0만이 사용된다는 것, 참조 픽처 리스트 L1만이 사용된다는 것 및 2 개의 참조 픽처 리스트들 것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참조 픽처 인덱스는 참조 픽처 리스트의 참조 픽처들 중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픽처를 가리킬 수 있다. 참조 픽처 인덱스는 부호화 장치(100)에 의해 엔트로피 부호화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된 참조 픽처 인덱스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2 개의 참조 픽처 리스트가 사용될 경우. 각 참조 픽처 리스트에 대해 하나의 참조 픽처 인덱스 및 하나의 움직임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2 개의 참조 픽처 리스트가 사용될 경우, 대상 블록에 대해 2 개의 예측 블록들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블록에 대한 2 개의 예측 블록들의 평균 또는 가중치가 부여된 합(weighed-sum)을 통해 대상 블록의 (최종적인) 예측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 MVD, 참조 방향 및 참조 픽처 인덱스에 의해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유도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유도된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 인덱스에 기반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측 블록은 참조 픽처 인덱스가 가리키는 참조 픽처 내의 유도된 움직임 벡터가 가리키는 참조 블록일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 자체를 부호화하지 않고, 예측 움직임 벡터 인덱스 및 MVD를 부호화함에 따라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전송되는 비트량이 감소될 수 있고,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대상 블록에 대해서 재구축된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인터 예측 모드에서는, 부호화 장치(100)가 대상 블록에 대한 움직임 정보 자체는 별도로 부호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부호화되지 않고, 재구축된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통해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유도할 수 있는 다른 정보가 대신 부호화될 수 있다. 다른 정보가 대신 부호화됨에 따라, 복호화 장치(200)로 전송되는 비트량이 감소될 수 있고,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직접적으로 부호화되지 않는 인터 예측 모드로서, 스킵 모드(skip mode) 및/또는 머지 모드(merge mode)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때,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는 재구축된 주변 유닛들 중 어떤 유닛의 움직임 정보가 대상 유닛의 움직임 정보로서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식별자 및/또는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2) 머지 모드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도출하는 방식으로서, 머지(merge)가 있다. 머지는 복수의 블록들에 대한 움직임들의 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머지는 하나의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다른 블록에도 함께 적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말하자면, 머지 모드는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유도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머지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는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공간적 후보는 대상 블록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복원된 공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적 주변 블록은 좌측 인접 블록 및 상단 인접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적 후보는 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들 "공간적 후보" 및 "공간적 머지 후보"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 "시간적 후보" 및 "시간적 머지 후보"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을 통해 예측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 및 예측 블록의 차이인 잔차 블록을 부호화할 수 있다.
2-1) 머지 후보 리스트(merge candidate list)의 작성
머지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의 각각은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머지 후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1) 움직임 벡터, 2) 참조 픽처 인덱스, 및 3) 참조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방향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는 머지 후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머지 후보는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말하자면, 머지 후보 리스트는 움직임 정보들이 저장된 리스트일 수 있다.
머지 후보들은 시간적 후보 및/또는 공간적 후보 등의 움직임 정보들일 수 있다. 또한, 머지 후보 리스트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 이미 존재하는 머지 후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머지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머지 후보 리스트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 이미 존재하는 움직임 정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지 후보들은 인터 예측 정보를 유도하는 특정된 모드들일 수 있다. 머지 후보는 인터 예측 정보를 유도하는 특정된 모드를 가리키는 정보일 수 있다. 머지 후보가 가리키는 특정된 모드에 따라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 정보가 유도될 수 있다. 이 때, 특정된 모드는 일련의 인터 예측 정보를 유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된 모드는 인터 예측 정보 유도 모드 또는 움직임 정보 유도 모드일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 내의 머지 후보들 중 머지 인덱스에 의해 선택된 머지 후보가 가리키는 모드에 따라서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 정보가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머지 후보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 유도 모드들은, 1) 서브 블록 단위의 움직임 정보 유도 모드 및 2) 어파인 움직임 정보 유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머지 후보 리스트는 제로 벡터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로 벡터는 제로 머지 후보로 칭해질 수도 있다.
말하자면, 머지 후보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들은, 1)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 2)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 3) 이미 머지 후보 리스트에 존재하는 움직임 정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움직임 정보, 4) 제로 벡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움직임 정보는 1) 움직임 벡터, 2) 참조 픽처 인덱스 및 3) 참조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방향은 인터 예측 지시자로 칭해질 수도 있다. 참조 방향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다. 단방향의 참조 방향은 L0 예측 또는 L1 예측을 나타낼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는 머지 모드에 의한 예측이 수행되기 전에 생성될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의 머지 후보들의 개수는 기정의될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가 기정의된 개수의 머지 후보들을 갖도록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는 기정의된 방식 및 기정의된 순위에 따라서 머지 후보 리스트에 머지 후보를 추가할 수 있다. 기정의된 방식 및 기정의된 순위를 통해 부호화 장치(100)의 머지 후보 리스트 및 복호화 장치(200)의 머지 후보 리스트는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머지는 CU 단위 또는 PU 단위로 적용될 수 있다. CU 단위 또는 PU 단위로 머지가 수행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는 기정의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정의된 정보는, 1) 블록 파티션(partition) 별로 머지를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2) 대상 블록에 대하여 공간적 후보 및/또는 시간적 후보인 블록들 중 어떤 블록과 머지를 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2) 머지 후보 리스트를 사용하는 움직임 벡터의 검색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될 머지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100)는 머지 후보 리스트의 머지 후보들을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들을 수행하고, 머지 후보들에 대한 잔차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과 잔차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최소의 비용을 요구하는 머지 후보를 대상 블록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머지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2-3) 인터 예측 정보의 전송
부호화 장치(100)는 인터 예측을 위해 요구되는 인터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인터 예측 정보에 대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된 인터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엔트로피 부호화된 인터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을 통해, 엔트로피 부호화된 인터 예측 정보가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비트스트림의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예측 정보는, 1)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 및 2) 머지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 예측 정보는 잔차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모드 정보가 머지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에만 머지 인덱스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모드 정보는 머지 플래그일 수 있다. 모드 정보의 단위는 블록일 수 있다. 블록에 대한 정보는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모드 정보는 블록에 대하여 머지 모드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머지 인덱스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머지 후보들 중에서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머지 후보를 가리킬 수 있다. 또는, 머지 인덱스는 대상 블록에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인접한 주변 블록들 중 어떤 블록과의 머지가 수행되는가를 가리킬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머지 후보들 중 가장 높은 부호화 성능을 갖는 머지 후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머지 후보를 가리키도록 머지 인덱스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2-4)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는 머지 모드의 인터 예측
복호화 장치(200)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머지 후보들 중에서 머지 인덱스가 가리키는 머지 후보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머지 인덱스가 가리키는 머지 후보의 움직임 벡터, 참조 픽처 인덱스 및 참조 방향에 의해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특정될 수 있다.
3) 스킵 모드
스킵 모드는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 또는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를 그대로 대상 블록에 적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는 잔차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말하자면, 스킵 모드가 사용될 때, 재구축된 블록은 예측 블록일 수 있다.
머지 모드 및 스킵 모드의 차이는 잔차 신호의 전송 또는 사용의 여부일 수 있다. 말하자면, 스킵 모드는 잔차 신호가 전송 또는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머지 모드와 유사할 수 있다.
스킵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는 공간적 후보 또는 시간적 후보인 블록들 중 어떤 블록의 움직임 정보가 대상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서 이용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비트스트림을 통해 복호화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정보에 대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비트스트림을 통해 엔트로피 부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는 MVD와 같은 다른 구문 요소 정보는 복호화 장치(20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킵 모드와 사용되는 경우, 부호화 장치(100)는 MVD, 코드된 블록 플래그 및 변환 계수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구문 요소를 복호화 장치(200)에 시그널링하지 않을 수 있다.
3-1) 머지 후보 리스트의 작성
스킵 모드 또한 머지 후보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말하자면, 머지 후보 리스트는 머지 모드 및 스킵 모드의 양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머지 후보 리스트는 "스킵 후보 리스트" 또는 "머지/스킵 후보 리스트"로 명명될 수도 있다.
또는, 스킵 모드는 머지 모드와는 다른 별개의 후보 리스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의 설명에서 머지 후보 리스트 및 머지 후보는 스킵 후보 리스트 및 스킵 후보로 각각 대체될 수 있다.
머지 후보 리스트는 스킵 모드에 의한 예측이 수행되기 전에 생성될 수 있다.
3-2) 머지 후보 리스트를 사용하는 움직임 벡터의 검색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될 머지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호화 장치(100)는 머지 후보 리스트의 머지 후보들을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들을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예측에 있어서 최소의 비용을 요구하는 머지 후보를 대상 블록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스킵 모드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3-3) 인터 예측 정보의 전송
부호화 장치(100)는 인터 예측을 위해 요구되는 인터 예측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비트스트림의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예측 정보는, 1) 스킵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 및 2) 스킵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킵 인덱스는 전술된 머지 인덱스와 동일할 수 있다.
스킵 모드가 사용될 경우, 대상 블록은 잔차 신호 없이 부호화될 수 있다. 인터 예측 정보는 잔차 신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비트스트림은 잔차 신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모드 정보가 스킵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에만 스킵 인덱스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머지 인덱스 및 스킵 인덱스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모드 정보가 머지 모드 또는 스킵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에만 스킵 인덱스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스킵 인덱스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머지 후보들 중에서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머지 후보를 가리킬 수 있다.
3-4)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는 스킵 모드의 인터 예측
복호화 장치(200)는 머지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머지 후보들 중에서 스킵 인덱스가 가리키는 머지 후보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스킵 인덱스가 가리키는 머지 후보의 움직임 벡터, 참조 픽처 인덱스 및 참조 방향에 의해 대상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특정될 수 있다.
4) 현재 픽처 참조 모드
현재 픽처 참조 모드는 대상 블록이 속한 대상 픽처 내의 기-복원된 영역을 이용하는 예측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기-복원된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움직임 벡터가 이용될 수 있다. 대상 블록이 현재 픽처 참조 모드로 부호화되는지 여부는 대상 블록의 참조 픽처 인덱스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대상 블록이 현재 픽처 참조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혹은 인덱스가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또는, 대상 블록이 현재 픽처 참조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인지 여부는 대상 블록의 참조 픽처 인덱스를 통해 유추될 수도 있다.
대상 블록이 현재 픽처 참조 모드로 부호화된 경우, 대상 픽처는 대상 블록을 위한 참조 픽처 리스트 내에서 고정된 위치 또는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된 위치는 참조 픽처 인덱스의 값이 0인 위치 또는 가장 마지막의 위치일 수 있다.
대상 픽처가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임의의 위치를 나타내는 별도의 참조 픽처 인덱스가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전술된 AMVP 모드, 머지 모드 및 스킵 모드에서는 리스트에 대한 인덱스를 통해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들 중 대상 블록의 예측을 위해 사용될 움직임 정보가 특정될 수 있다.
부호화 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부호화 장치(100)는 리스트의 요소들 중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에 있어서 최소의 비용을 유발하는 요소의 인덱스만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인덱스를 부호화할 수 있으며, 부호화된 인덱스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리스트들(즉,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및 머지 후보 리스트)은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에서 동일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유도되어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일한 데이터는 재구축된 픽처 및 재구축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로 요소를 특정하기 위해, 리스트 내에서 요소들의 순서는 일정해야 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공간적 후보들을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공간적 후보들의 위치가 도시되었다.
가운데의 큰 블록은 대상 블록을 나타낼 수 있다. 5 개의 작은 블록들은 공간적 후보들을 나타낼 수 있다.
대상 블록의 좌표들은 (xP, yP)일 수 있고, 대상 블록의 크기는 (nPSW, nPSH)일 수 있다.
공간적 후보 A0은 대상 블록의 좌측 하단의 코너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A0은 좌표들 (xP - 1, yP + nPSH + 1)의 픽셀을 차지하는 블록일 수 있다.
공간적 후보 A1은 대상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A1은 대상 블록의 좌측에 인접한 블록들 중 최 하단의 블록일 수 있다. 또는, A1은 A0의 상단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A1은 좌표들 (xP - 1, yP + nPSH)의 픽셀을 차지하는 블록일 수 있다.
공간적 후보 B0은 대상 블록의 우측 상단의 코너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B0은 좌표들 (xP + nPSW + 1, yP - 1)의 픽셀을 차지하는 블록일 수 있다.
공간적 후보 B1은 대상 블록의 상단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B1은 대상 블록의 상단에 인접한 블록들 중 최 우측의 블록일 수 있다. 또는, B1은 B0의 좌측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B1은 좌표들 (xP + nPSW, yP - 1)의 픽셀을 차지하는 블록일 수 있다.
공간적 후보 B2는 대상 블록의 좌측 상단의 코너에 인접한 블록일 수 있다. B2는 좌표들 (xP - 1, yP - 1)의 픽셀을 차지하는 블록일 수 있다.
공간적 후보 및 시간적 후보의 가용성(availability)의 판단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 또는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를 리스트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 또는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가용한지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후보 블록은 공간적 후보 및 시간적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판단은 아래의 단계 1) 내지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1) 후보 블록을 포함하는 PU가 픽처의 경계의 밖에 있으면 후보 블록의 가용성은 거짓(false)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가용성이 거짓으로 설정된다"는 것은 "비가용한 것으로 설정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단계 2) 후보 블록을 포함하는 PU가 슬라이스의 경계의 밖에 있으면 후보 블록의 가용성은 거짓으로 설정될 수 있다. 대상 블록 및 후보 블록이 서로 다른 슬라이스들 내에 위치하면, 후보 블록의 가용성은 거짓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3) 후보 블록을 포함하는 PU가 타일의 경계의 밖에 있으면 후보 블록의 가용성은 거짓으로 설정될 수 있다. 대상 블록 및 후보 블록이 서로 다른 타일들 내에 위치하면, 후보 블록의 가용성은 거짓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4) 후보 블록을 포함하는 PU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이면 후보 블록의 가용성은 거짓으로 설정될 수 있다. 후보 블록을 포함하는 PU가 인터 예측을 사용하지 않으면 후보 블록의 가용성은 거짓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공간적 후보들의 움직임 정보들의 머지 리스트로의 추가 순서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도시된 것처럼, 공간적 후보들의 움직임 정보들을 머지 리스트에 추가함에 있어서, A1, B1, B0, A0 및 B2의 순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A1, B1, B0, A0 및 B2의 순서로, 가용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머지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머지 모드 및 스킵 모드에서의 머지 리스트의 유도 방법
전술된 것과 같이, 머지 리스트 내의 머지 후보들의 최대 개수는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최대 개수를 N으로 표시한다. 설정된 개수는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슬라이스의 슬라이스 헤더는 N을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슬라이스 헤더에 의해 슬라이스의 대상 블록에 대한 머지 리스트의 머지 후보들의 최대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N의 값은 5일 수 있다.
움직임 정보(즉, 머지 후보)는 아래의 단계 1) 내지 단계 4)의 순서로 머지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단계 1) 공간적 후보들 중 가용한 공간적 후보들이 머지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가용한 공간적 후보들의 움직임 정보들은 도 10에서 도시된 순서대로 머지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가용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이미 머지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의 움직임 정보는 머지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은 "중복성 검사"로 약술될 수 있다.
추가되는 움직임 정보들은 최대 N 개일 수 있다.
단계 2) 머지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들의 개수가 N 보다 더 작고, 시간적 후보가 가용하면,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머지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가용한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이미 머지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의 움직임 정보는 머지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3) 머지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들의 개수가 N 보다 더 작고, 대상 슬라이스의 타입이 "B"이면, 조합된 양방향 예측(combined bi-prediction)에 의해 생성된 조합된 움직임 정보가 머지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대상 슬라이스는 대상 블록을 포함하는 슬라이스일 수 있다.
조합된 움직임 정보는 L0 움직임 정보 및 L1 움직임 정보의 조합일 수 있다. L0 움직임 정보는 참조 픽처 리스트 L0만을 참조하는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L1 움직임 정보는 참조 픽처 리스트 L1만을 참조하는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머지 리스트 내에서, L0 움직임 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머지 리스트 내에서, L1 움직임 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조합된 움직임 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조합된 움직임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L0 움직임 정보들 및 하나 이상의 L1 움직임 정보들 중 어떤 L0 움직임 정보 및 어떤 L1 움직임 정보를 사용할 것인가는 기정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조합된 움직임 정보는 머지 리스트 내의 서로 다른 움직임 정보들의 쌍(pair)을 사용하는 조합된 양방향 예측에 의해 기정의된 순서로 생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움직임 정보들의 쌍 중 하나는 L0 움직임 정보고 다른 하나는 L1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우선적으로 추가되는 조합된 움직임 정보는 머지 인덱스가 0인 L0 움직임 정보 및 머지 인덱스가 1인 L1 움직임 정보의 조합일 수 있다. 머지 인덱스가 0인 움직임 정보가 L0 움직임 정보가 아니거나, 머지 인덱스가 1인 움직임 정보가 L1 움직임 정보가 아니면 상기의 조합된 움직임 정보는 생성 및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추가되는 움직임 정보는 머지 인덱스가 1인 L0 움직임 정보 및 머지 인덱스가 0인 L1 움직임 정보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의 구체적인 조합은 비디오의 부호화/복호화 분야의 다른 조합을 따를 수 있다.
이 때, 조합된 움직임 정보가 이미 머지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의 조합된 움직임 정보는 머지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4) 머지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들의 개수가 N 보다 더 작으면,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가 머지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가 제로 벡터인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들의 참조 픽처 인덱스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의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의 참조 픽처 인덱스의 값은 0일 수 있다. 두 번째의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의 참조 픽처 인덱스의 값은 1일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들의 개수는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의 참조 방향은 양방향일 수 있다. 2 개의 움직임 벡터들은 모두 제로 벡터들일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들의 개수는 참조 픽처 리스트 L0 내의 참조 픽처들의 개수 및 참조 픽처 리스트 L1 내의 참조 픽처들의 개수 중 더 작은 것일 수 있다. 또는, 참조 픽처 리스트 L0 내의 참조 픽처들의 개수 및 참조 픽처 리스트 L1 내의 참조 픽처들의 개수가 서로 다를 경우, 하나의 참조 픽처 리스트에만 적용될 수 있는 참조 픽처 인덱스에 대해서는 단방향의 참조 방향이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 및/또는 복호화 장치(200)는 참조 픽처 인덱스를 변경하면서 순차적으로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를 머지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가 이미 머지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의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는 머지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단계 1) 내지 단계 4)의 순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단계들 간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단계들 중 일부는 기정의된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AMVP 모드에서의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의 유도 방법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의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들의 최대 개수는 기정의될 수 있다. 기정의된 최대 개수를 N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기정의된 최대 개수는 2일 수 있다.
움직임 정보(즉,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는 아래의 단계 1) 내지 단계 3)의 순서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단계 1) 공간적 후보들 중 가용한 공간적 후보들이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공간적 후보들은 제1 공간적 후보 및 제2 공간적 후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적 후보는 A0, A1, 스케일된(scaled) A0 및 스케일된 A1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공간적 후보는 B0, B1, B2, 스케일된 B0, 스케일된 B1 및 스케일된 B2 중 하나일 수 있다.
가용한 공간적 후보들의 움직임 정보들은 제1 공간적 후보 및 제2 공간적 후보의 순서로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가용한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이미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의 움직임 정보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말하자면, N의 값이 2인 경우, 제2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제1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와 동일하면 제2 공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되는 움직임 정보들은 최대 N 개일 수 있다.
단계 2)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들의 개수가 N 보다 더 작고, 시간적 후보가 가용하면,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이 때, 가용한 시간적 후보의 움직임 정보가 이미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의 움직임 정보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3)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의 움직임 정보들의 개수가 N 보다 더 작으면,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가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들의 참조 픽처 인덱스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 및/또는 복호화 장치(200)는 참조 픽처 인덱스를 변경하면서 순차적으로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를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가 이미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움직임 정보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의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는 예측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머지 리스트에 대해 전술된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에 대한 설명은 제로 벡터 움직임 정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전술된 단계 1) 내지 단계 3)의 순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단계들 간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단계들 중 일부는 기정의된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변환 및 양자화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차 신호에 변환 및/또는 양자화 과정을 수행하여 양자화된 레벨이 생성될 수 있다.
잔차 신호는 원본 블록과 예측 블록 간의 차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측 블록은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에 의해 생성된 블록일 수 있다.
잔차 신호는 양자화 과정의 일부인 변환 과정을 통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변환 커널은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타입(type) 2 (DCT-II) 등과 같은 다양한 DCT 커널 및 이산 사인 변환(Discrete Sine Transform; DST) 커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 커널들은 잔차 신호에 대해 분리가능 변환(separable transform) 또는 2차원(2Dimensional; 2D) 비-분리가능 변환(non-separable transform)을 수행할 수 있다. 분리가능 변환은 잔차 신호에 대해 1차원(1Dimensional; 1D) 변환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각각에 수행하는 변환일 수 있다.
1D 변환을 위해 적응적으로 사용되는 DCT 타입 및 DST 타입은 아래의 표 3 및 표 4에서 각각 표시된 것과 같이 DCT-II 외에도 DCT-V, DCT-VIII, DST-I 및 DST-VII를 포함할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04
[표 4]
Figure pat00005
표 3 및 표 4에서 표시된 것과 같이, 변환에 사용될 DCT 타입 또는 DST 타입을 유도함에 있어서 변환 세트(transform set)가 사용될 수 있다. 각 변환 세트는 복수의 변환 후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변환 후보는 DCT 타입 또는 DST 타입 등일 수 있다.
아래의 표 5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수평 방향에 적용되는 변환 세트 및 수직 방향에 적용되는 변환 세트의 일 예를 나타낸다.
[표 5]
Figure pat00006
표 5에서는,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서 잔차 신호의 수평 방향에 적용되는 수직 방향 변환 세트의 번호 및 수평 방향 변환 세트의 번호가 표시되었다.
표 5에서 예시된 것과 같이,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적용되는 변환 세트들이 기정의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는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변환 세트에 포함된 변환을 이용하여 잔차 신호에 대한 변환 및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장치(200)는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변환 세트에 포함된 변환을 이용하여 잔차 신호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 및 역변환에 있어서, 잔차 신호에 적용되는 변환 세트는 표 3, 표 4에서 예시된 것과 같이 결정될 수 있고,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다. 변환 지시 정보는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변환 지시 정보는 잔차 신호에 적용되는 변환 세트가 포함하는 복수의 변환 후보들 중 어떤 변환 후보가 사용되는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블록의 크기가 64x64 이하인 경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표 4의 예에서와 같이 모두 3 개들인 변환 세트들이 구성될 수 있다. 수평 방향의 3 개의 변환들 및 수직 방향의 3 개의 변환들의 조합으로 인한 모두 9 개의 다중 변환 방법들 중에서 최적의 변환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최적의 변환 방법으로 잔차 신호를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수직 변환 및 수평 변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변환 세트에 속한 변환들 중 어떤 변환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엔트로피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부호화 및/또는 복호화를 위해 절삭된 단항(truncated unary) 이진화(binariz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다양한 변환들을 사용하는 방법은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에 의해 생성된 잔차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변환은 1차 변환 및 2차 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잔차 신호에 대해서 1차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변환 계수가 생성될 수 있고, 변환 계수에 2차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2차 변환 계수가 생성될 수 있다.
1차 변환은 주 변환(primary)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1차 변환은 적응적 다중 변환(Adaptive Multiple Transform; AMT)로 명명될 수 있다. AMT는 전술된 것과 같이 1D 방향들(즉,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변환이 적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2차 변환은 1차 변환에 의해 생성된 변환 계수의 에너지 집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변환일 수 있다. 2차 변환도 1차 변환과 마찬가지로 분리가능 변환 또는 비-분리가능 변환일 수 있다. 비-분리가능 변환은 비-분리가능 2차 변환(Non-Separable Secondary Transform; NSST)일 수 있다.
1차 변환은 기정의된 복수의 변환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정의된 복수의 변환 방법들은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이산 사인 변환(Discrete Sine Transform; DST) 및 카루넨-루베 변환(Karhunen-Loeve Transform; KLT) 기반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차 변환은 DCT 또는 DST를 정의하는 커널 함수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을 갖는 변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변환은 아래의 표 6에서 제시된 변환 커널에 따른 DCT-2, DCT-5, DCT-7, DST-1 및 DST-8과 같은 변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 6에서는 복수 변환 선택(Multiple Transform Selection; MTS)에 대한 다양한 변환 타입들 및 변환 커널 함수들이 예시되었다.
MTS는 잔차 신호의 수평 및/또는 수직방향에 대한 변환을 위해 하나 이상의 DCT 및/또는 DST 변환 커널의 조합이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07
표 6에서, i 및 j는 0 이상 N-1 이하의 정수 값일 수 있다.
1차 변환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변환 계수에 2차 변환(secondary transform)이 수행될 수 있다.
1차 변환에서와 같이, 2차 변환에서도 변환 세트가 정의될 수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은 변환 세트를 유도 및/또는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은 1차 변환뿐만 아니라 2차 변환에도 적용될 수 있다.
1차 변환 및 2차 변환은 특정된 대상에 대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변환 및 2차 변환은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성분에 적용될 수 있다. 1차 변환 및/또는 2차 변환의 적용 여부는 대상 블록 및/또는 주변 블록에 대한 코딩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변환 및/또는 2차 변환의 적용 여부는 대상 블록의 크기 및/또는 형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0) 및 복호화 장치(200)에서, 대상에게 사용되는 변환 방법을 지시하는 변환 정보는 특정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 정보는 1차 변환 및/또는 2차 변환을 위해 사용될 변환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변환 정보는 1차 변환 및/또는 2차 변환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차 변환 및 2차 변환의 대상이 대상 블록일 때, 변환 정보가 지시하는 1차 변환 및/또는 2차 변환에 적용되는 변환 방법(들)은 대상 블록 및/또는 주변 블록에 대한 코딩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특정된 대상에 대한 변환 정보는 부호화 장치(100)로부터 복호화 장치(200)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CU에 대하여 1차 변환의 사용 여부, 1차 변환을 가리키는 인덱스, 2차 변환의 사용 여부 및 2차 변환을 가리키는 인덱스 등이 복호화 장치(200)에서 변환 정보로서 유도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CU에 대하여 1차 변환의 사용 여부, 1차 변환을 가리키는 인덱스, 2차 변환의 사용 여부 및 2차 변환을 가리키는 인덱스 등을 나타내는 변환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1차 변환 및/또는 2차 변환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결과 또는 잔차 신호에 양자화를 수행함으로써 양자화된 변환 계수(즉, 양자화된 레벨)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예에 따른 대각선 스캐닝을 나타낸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수평 스캐닝을 나타낸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수직 스캐닝을 나타낸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인트라 예측 모드, 블록 크기 및 블록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우상단(up-right)) 대각선 스캐닝, 수직 스캐닝 및 수평 스캐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스캐닝(scanning) 될 수 있다. 블록은 변환 유닛일 수 있다.
각 스캐닝은 특정된 시작 점에서 시작할 수 있고 특정된 종료 점에서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의 대각선 스캐닝을 이용하여 블록의 계수들을 스캔함으로써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이 1차원 벡터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블록의 크기 및/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대각선 스캐닝 대신 도 14의 수평 스캐닝이나, 도 15의 수직 스캐닝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직 스캐닝은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열 방향으로 스캔하는 것일 수 있다. 수평 스캐닝은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행 방향으로 스캔하는 것일 수 있다.
말하자면, 블록의 크기 및/또는 인터 예측 모드에 따라 대각선 스캐닝, 수직 스캐닝 및 수평 스캐닝 중 어떤 스캐닝이 사용될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대각선 방향,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따라 스캔될 수 있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블록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블록은 복수의 서브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블록은 최소 블록 크기 또는 최소 블록 형태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스캐닝에 있어서, 스캐닝의 종류 또는 방향에 따른 스캐닝 순서는 우선 서브 블록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블록 내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대해 스캐닝의 방향에 따른 스캐닝 순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대상 블록의 크기가 8x8일 때, 대상 블록의 잔차 신호에 대한 1차 변환, 2차 변환 및 양자화에 의해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후, 4 개의 4x4 서브 블록들에 대해 3 가지의 스캐닝 순서들 중 하나의 스캐닝 순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각 4x4 서브 블록에 대해서도 스캐닝 순서에 따라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이 스캐닝될 수 있다.
스캐닝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엔트로피 부호화될 수 있고, 비트스트림은 엔트로피 부호화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는 비트스트림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통해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 생성할 수 있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역 스캐닝(inverse scanning)을 통해 2차원의 블록 형태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역 스캐닝의 방법으로서, 우상단 대각 스캔, 수직 스캔 및 수평 스캔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200)에서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역양자화가 수행될 수 있다. 2차 역변환의 수행 여부에 따라서, 역양자화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결과에 대하여 2차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1차 역변환의 수행 여부에 따라서, 2차 역변환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결과에 대하여 1차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2차 역변환의 수행에 의해 생성된 결과에 대하여 1차 역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복원된 잔차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구조도이다.
부호화 장치(1600)는 전술된 부호화 장치(100)에 대응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600)는 버스(169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처리부(1610), 메모리(1630),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입력 디바이스(1650), UI 출력 디바이스(1660) 및 저장소(storage)(16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장치(1600)는 네트워크(1699)에 연결되는 통신부(1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1630) 또는 저장소(1640)에 저장된 프로세싱(processing) 명령어(instruction)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처리부(1610)는 부호화 장치(1600)로 입력되거나, 부호화 장치(1600)에서 출력되거나, 부호화 장치(1600)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생성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에 관련된 검사, 비교 및 판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말하자면, 실시예에서 데이터 또는 정보의 생성 및 처리와, 데이터 또는 정보에 관련된 검사, 비교 및 판단은 처리부(16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인터 예측부(110),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참조 픽처 버퍼(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110),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참조 픽처 버퍼(190)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으며, 외부의 장치 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부호화 장치(1600)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부호화 장치(16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routine), 서브루틴(subroutine), 프로그램, 오브젝트(object), 컴포넌트(component) 및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등을 포괄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부호화 장치(16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코드(code)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인터 예측부(110), 인트라 예측부(120), 스위치(115), 감산기(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40), 엔트로피 부호화부(150), 역양자화부(160), 역변환부(170), 가산기(175), 필터부(180) 및 참조 픽처 버퍼(190)의 명령어 또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저장부는 메모리(1630) 및/또는 저장소(1640)를 나타낼 수 있다. 메모리(1630) 및 저장소(16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630)는 롬(ROM)(1631) 및 램(RAM)(16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부호화 장치(160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호화 장치(1600)가 갖는 데이터 또는 정보는 저장부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는 픽처, 블록, 리스트, 움직임 정보, 인터 예측 정보 및 비트스트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600)는 컴퓨터에 의해 독출(read)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부호화 장치(1600)가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3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처리부(1610)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600)의 데이터 또는 정보의 통신과 관련된 기능은 통신부(16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620)는 비트스트림을 후술될 복호화 장치(17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구조도이다.
복호화 장치(1700)는 전술된 복호화 장치(200)에 대응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1700)는 버스(179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처리부(1710), 메모리(1730),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입력 디바이스(1750), UI 출력 디바이스(1760) 및 저장소(storage)(17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장치(1700)는 네트워크(1799)에 연결되는 통신부(1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7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1730) 또는 저장소(1740)에 저장된 프로세싱(processing) 명령어(instruction)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처리부(171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처리부(1710)는 복호화 장치(1700)로 입력되거나, 복호화 장치(1700)에서 출력되거나, 복호화 장치(1700)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의 생성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신호, 데이터 또는 정보에 관련된 검사, 비교 및 판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말하자면, 실시예에서 데이터 또는 정보의 생성 및 처리와, 데이터 또는 정보에 관련된 검사, 비교 및 판단은 처리부(1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처리부(171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인터 예측부(250), 스위치(245), 가산기(255), 필터부(260) 및 참조 픽처 버퍼(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인터 예측부(250), 스위치(245), 가산기(255), 필터부(260) 및 참조 픽처 버퍼(270)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으며, 외부의 장치 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복호화 장치(1700)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복호화 장치(17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routine), 서브루틴(subroutine), 프로그램, 오브젝트(object), 컴포넌트(component) 및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 등을 포괄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그램 모듈들은 복호화 장치(170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코드(code)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부(171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인트라 예측부(240), 인터 예측부(250), 스위치(245), 가산기(255), 필터부(260) 및 참조 픽처 버퍼(270)의 명령어 또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저장부는 메모리(1730) 및/또는 저장소(1740)를 나타낼 수 있다. 메모리(1730) 및 저장소(17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730)는 롬(ROM)(1731) 및 램(RAM)(17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복호화 장치(170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호화 장치(1700)가 갖는 데이터 또는 정보는 저장부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는 픽처, 블록, 리스트, 움직임 정보, 인터 예측 정보 및 비트스트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1700)는 컴퓨터에 의해 독출(read)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복호화 장치(1700)가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3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처리부(1710)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1700)의 데이터 또는 정보의 통신과 관련된 기능은 통신부(17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720)는 부호화 장치(1600)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자동 부호기를 나타낸다.
자동 부호기(auto encoder)는 도 1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자동 부호기로부터 콘볼루션 부호기(convolution encoder) 및 콘볼루션 복호기(convolution decoder)가 파생될 수 있다.
자동 부호기의 구조에 따르면, 입력의 차원 및 출력의 차원이 동일하다. 자동 부호기의 목적은 f(x) = x가 성립하도록 f()의 학습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x는 입력 값일 수 있다. 말하자면, 자동 부호기의 목적은 출력되는 예측 값
Figure pat00008
를 입력 값 x에 근사시키는 것일 수 있다.
자동 부호기는 부호기(encoder) 및 복호기(de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기는 입력 값 x에 대하여 출력 값으로서 잠재 변수(latent variable)을 제공할 수 있다. 잠재 변수는 입력 값 x에 대한 특징 벡터(feature vector)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잠재 변수는 복호기로 입력될 수 있다. 복호기는 잠재 변수로부터 형성된 예측 값
Figure pat00009
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예에 따른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를 나타낸다.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의 구조들은 콘볼루션 레이어 및 디콘볼루션 레이어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는 자동 부호기와 유사하게 입력, 특징 벡터 및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는 콘볼루션 레이어 및 풀링(pooling)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로의 입력은 프레임일 수 있고, 콘볼루션 부호기로부터의 출력은 특징 맵(feature-map)일 수 있다.
콘볼루션 복호기는 디콘볼루션(deconvolution) 레이어 및 언-풀링(un-pooling)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콘볼루션 복호기로의 입력은 특징 맵일 수 있고, 콘볼루션 복호기로부터의 출력은 (재구축된) 프레임일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의 구조들에는 콘볼루션의 특징이 반영될 수 있다. 이러한 반영에 따라,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는 더 작은 학습 가중치(weight)를 가질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는 특히 출력 프레임에 대한 옵티컬 플로우(optical flow) 및 카운터 에지(counter edge) 등과 같은 목적 하에서 동작이 수행될 때 유용할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는 콘볼루션 및 풀링을 활용함으로써 차원을 축소할 수 있고, 프레임으로부터 특징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징 벡터는 콘볼루션 부호기의 출력 단에서 생성될 수 있다.
특징 벡터는 원래의 신호의 차원에 비해 더 낮은 차원에서 원래의 신호의 특징을 표현하는 벡터일 수 있다.
콘볼루션 복호기는 디콘볼루션(deconvolution) 및 언-풀링을 활용하여 특징 벡터로부터 프레임을 재구축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의 생성 및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0 및 그 이하의 도면에서, "conv"는 콘볼루션을 나타낼 수 있다. "deconv"는 디콘볼루션을 나타낼 수 있다.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는 잔차 프레임(residual frame)을 이용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잔차 프레임은 비디오의 프레임들 간의 차분(difference)일 수 있다. 이하에서, "잔차 프레임"은 프레임들 간의 차분을 나타내는 "잔차 신호"로 대체될 수 있다.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는 학습을 통해 미래(future) 프레임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래 프레임의 예측은 (이미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다른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미래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말하자면,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는 비디오의 프레임들 간의 차분을 이용하는 학습에 기반하여 미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미래 프레임의 예측은 시간 t가 0 내지 n일때의 프레임들이 주어지면, 시간 tn+1 내지 m일때의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예측에 의해 생성되는 미래 프레임은 예측 프레임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는 생성-부호기(generation-encoder) 및 생성-복호기(generation-de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호기는 생성-부호화(generation-en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생성-부호기는 입력된 비디오로부터 특징 벡터(feature vector)를 생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생성-복호화(generation-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특징 벡터로부터 비디오를 재구축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생성-부호기의 입력은 잔차 프레임일 수 있다. 생성-부호기는 입력된 잔차 프레임의 특징 벡터(feature vector)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이전에 재구축된 프레임에 잔차 프레임을 합함으로써 미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이전에 재구축된 프레임의 특징 벡터 및 잔차 프레임의 예측된 특징 벡터를 합함으로써 합해진 특징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합해진 특징 벡터를 사용하여 미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는,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를 사용하는 비디오 처리 방법 또는 비디오 생성 방법 등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디오의 프레임은 아래의 수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식 2]
x t R w h c
t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말하자면, x t 는 비디오의 프레임들 중 시간 t에서의 프레임을 나타낼 수 있다. 는 w는 프레임의 가로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h는 프레임의 세로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c는 프레임의 색 차원(color dimension)을 나타낼 수 있다.
시간 0로부터 시간 t-1까지의 프레임들로 구성된 비디오는 아래의 수식 3과 같이
Figure pat00010
로 정의될 수 있다.
[수식 3]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에 대한 잔차 비디오
Figure pat00013
는 아래의 수식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식 4]
Figure pat00014
시간 n에 대한 대상 프레임이
Figure pat00015
일 때, 아래의 단계들(2110 내지 2150)에 의한 생성-부호화(generation-encoding) 및 생성-복호화(generation-decoding)을 통해 현재의 시점 n에서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16
이 생성될 수 있다.
아래의 단계들(2110 내지 2150)에 있어서, 생성-부호화는 단계들(2110, 2120 및 2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복호화는 단계들(2140 및 2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10)에서, 생성-부호기는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017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18
를 생성할 수 있다. 특징 벡터
Figure pat00019
는 아래의 수식 5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수식 5]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는 생성-부호기의 제1 콘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을 나타낼 수 있다.
생성-부호기는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022
를 제1 CNN에 입력함으로써, 제1 CNN의 출력인 특징 벡터
Figure pat00023
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예에 따른 생성-부호기의 제1 CNN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2에서는, 시간 t에서의 대상 프레임 x t 에 대한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제1 CNN이 도시되었다. 대상 프레임 x t 의 크기는 [h, w, c]일 수 있다.
생성-부호기의 제1 CNN은 콘볼루션 레이어, 풀링(pooling) 레이어 및 넬루(relu)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콘볼루션 레이어, 풀링 레이어 및 넬루 레이어는 복수일 수 있다.
도 23은 일 예에 따른 콘볼루션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콘볼루션 레이어는 입력된 프레임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필터링의 결과로서 특징 맵(feature map)을 출력할 수 있다. 특징 맵은 다음의 레이어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입력된 프레임이 복수의 레이어들에 의해 연속하여 처리될 수 있다.
커널은 콘볼루션 연산 또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필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콘볼루션 레이어는 커널의 크기만큼의 값들을 하나의 샘플로 축소할 수 있다. 도 23에서, 예시된 커널의 크기는 4x4일 수 있다.
콘볼루션 연산에 있어서 필터에 대하여 스트라이드(stride) 및 패딩(padding)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4는 일 예에 따른 풀링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풀링은 컨벌루션 레이어에서의 연산에 의해 획득된 특징 맵에 대한 서브샘플링(subsampling)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풀링 레이어는 풀링 레이어를 통과하는 특정된 크기의 샘플들에 대해 대표 샘플을 선택할 수 있다.
풀링은 최대 풀링(max pooling) 및 평균 풀링(average pooling)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풀링은 특정된 크기의 샘플들 중 최대 값을 갖는 샘플을 대표 샘플로서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x2의 샘플들에 대해서 샘플들 중 최대 값이 대표 샘플로서 선택될 수 있다.
평균 풀링은 특정된 크기의 샘플들의 평균 값을 대표 샘플로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풀링 레이어로 [h, w, n]의 크기의 값들이 입력될 때, 풀링 레이어를 거쳐 출력되는 값들의 크기는 [h/2, w/2, n]일 수 있다.
도 25는 일 예에 따른 렐루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25에서는 렐루 레이어로 입력되는 값들 및 렐루 레이어로부터 출력되는 값들이 도시되었다.
렐루 레이어는 도 2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비선형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렐루 레이어는 비선형 연산 레이어로 대체될 수 있다.
렐루 레이어는 입력되는 값들에 대하여 전송 함수(transfer function)를 적용함으로써 출력되는 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렐루 레이어로 입력되는 값들의 크기 및 렐루 레이어로부터 출력되는 값들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말하자면, 렐루 레이어를 통과하는 값들의 크기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전술된 콘볼루션 레이어의 연산, 풀링 레이어의 연산 및 렐루 레이어의 연산은 임의의 순서로, 임의의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다시 도 21을 참조한다.
단계(2120)에서, 생성-부호기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24
을 생성할 수 있다.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25
은 아래의 수식 6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수식 6]
Figure pat00026
말하자면, 생성-부호기는 2 개의 프레임들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간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29
를 획득할 수 있다.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30
은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031
및 대상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
Figure pat00032
간의 차이일 수 있다.
또는, 생성-부호기는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033
에 대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움직임 예측을 사용하여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34
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2130)에서, 생성-부호기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35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36
를 생성할 수 있다. 특징 벡터
Figure pat00037
는 아래의 수식 7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수식 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는 생성-부호기의 제2 CNN을 나타낼 수 있다.
생성-부호기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40
를 제2 CNN에 입력함으로써, 제2 CNN의 출력인 특징 벡터
Figure pat00041
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6은 일 예에 따른 생성-부호기의 제2 CNN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6에서는, 시간 t에서의 잔차 프레임 y t 에 대한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제2 CNN이 도시되었다. 잔차 프레임 y t 의 크기는 [h, w, c]일 수 있다.
생성-부호기의 제2 CNN은 콘볼루션 레이어, 풀링 레이어 및 넬루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제1 CNN의 콘볼루션 레이어, 풀링 레이어 및 넬루 레이어에 대한 설명은 제2 CNN의 콘볼루션 레이어, 풀링 레이어 및 넬루 레이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제1 CNN
Figure pat00042
및 제2 CNN
Figure pat00043
의 하이퍼-파라미터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하이퍼-파라미터들은 콘볼루션 레이어, 풀링 레이어 및 렐루 레이어의 1) 개수, 2) 위치, 3) 배열 및 4) 커널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1을 참조한다.
단계(2140)에서, 생성-복호기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44
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45
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46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47
를 사용하여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48
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49
를 생성할 수 있다.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50
는 아래의 수식 8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수식 8]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는 특징 벡터를 시계열(time-series) 상에서 예측하는 콘볼루션 롱 쇼트 텀 메모리(Long Short Term Memory; LSTM) 신경망일 수 있다.
말하자면,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53
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54
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55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56
가 입력된 LSTM 신경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57
는 잔차 프레임에 대하여 시간 n+1에서의 특징 벡터가 예측된 것일 수 있다. 말하자면, 생성-복호기는 생성 부호기로부터 출력된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58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59
을 사용하여 다음의 시간 n+1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60
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140)는 생성-부호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생성 복호화는 단계(2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볼루션 LSTM 신경망의 구조를 나타낸다.
콘볼루션 LSTM 신경망의 입력은 전술된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61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62
일 수 있다. 콘볼루션 LSTM 신경망의 출력은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63
일 수 있다.
일반적인 신경망은 피드-포워드(feed-forward) 신경망으로 칭해질 수 있다. 피드-포워드 신경망에서는 입력 레이어로부터 은닉 레이어를 거쳐 출력 레이어로 연산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입력된 데이터는 신경망 내의 노드들을 한 번씩만 지나갈 수 있다.
반면, 리커런트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는 은닉 레이어로부터 출력된 결과가 다시 은닉 레이어로 입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NN에서는 현재 입력된 데이터 및 과거에 입력된 데이터가 동시에 학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NN에서는, 시점 t-1에서의 출력이 시점 t에서의 출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말하자면, RNN에서는 과거의 시점에서의 잠재 변수 가 미래의 시점에서의 출력에 영향을 주도록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서, RNN은 시계열 정보의 학습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RNN의 학습의 과정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과거에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사라지는 경사도(vanishing gradient)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LSTM은 사라지는 경사도 문제의 극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STM의 구조는 신경망 내에서 오차의 경사도가 시간을 거슬러 흘러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말하자면, LSTM의 구조는 신경망에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가 더 지속적으로 또는 더 크게 신경망의 현재의 출력에 영향을 주게 할 수 있다.
LSTM의 구조는 다수의 게이트(gate)들이 부착된 셀(cell)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셀은 정보의 변경 및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셀에 부착된 게이트의 가중치에 대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셀에 연결된 게이트의 가중치에 의해 어떤 값이 얼만큼 셀에 저장될지가 결정될 수 있고, 언제 셀로부터 정보를 출력하거나, 언제 셀 내의 데이터를 삭제할지가 결정될 수 있다.
콘볼루션 LSTM에서는, 도 2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및 은닉 벡터 간의 연결이 콘볼루션 필터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대체에 의해 콘볼루션 LSTM은 기존의 LSTM에 비해 더 적은 양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학습을 할 수 있고, 지역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다시 도 21을 참조한다.
단계(2150)에서, 생성-복호기는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64
및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065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66
의 합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67
을 생성할 수 있다. 말하자면, 생성-복호기는 특징 영역에서 2 개의 프레임들을 합할 수 있고, 특징 영역에서의 2 개의 프레임들의 합에 대하여 재구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68
은 아래의 수식 9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수식 9]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는 생성-복호기의 디콘볼루션 신경망(Deconvolution Neural Network; DNN)을 나타낼 수 있다.
말하자면,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71
은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72
및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073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74
의 합이 입력된 디콘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75
및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076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077
의 합을 DNN에 입력함으로써 DNN의 출력인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78
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8은 일 예에 따른 생성-복호기의 DNN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8에서는, 생성-복호기의 입력들로서, 특징 벡터
Figure pat00079
및 특징 벡터
Figure pat00080
가 도시되었다. 특징 벡터
Figure pat00081
은 잔차 프레임들에 대한 특징 벡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082
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생성-복호기의 출력으로서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83
이 도시되었다. 생성된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84
의 크기는 [h, w, c]일 수 있다.
생성-복호기의 DNN은 디콘볼루션 레이어, 언-풀링(un-pooling) 레이어 및 넬루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콘볼루션 레이어, 언-풀링 레이어 및 넬루 레이어는 복수일 수 있다.
전술된 제1 CNN의 넬루 레이어에 대한 설명은 DNN의 넬루 레이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29는 일 예에 따른 디콘볼루션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디콘볼루션 레이어는 콘볼루션 레이어의 연산에 반대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디콘볼루션 레이어는 입력된 특징 맵에 대해 콘볼루션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콘볼루션 연산을 통해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프레임의 크기는 스트라이드의 값에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라이드의 값이 1일 경우, 출력되는 프레임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특징 맵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스트라이드의 값이 2일 경우, 출력되는 프레임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특징 맵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의 1/2일 수 있다.
도 30은 일 예에 따른 언-풀링 레이어의 연산을 나타낸다.
도 30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언-풀링 레이어는, 풀링 레이어와는 반대로, 언-풀링 레이어를 통과하는 샘플을 특정된 크기의 샘플들로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풀링 레이어를 통과하는 샘플은 2x2의 샘플들로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풀링 레이어로 [h, w, n]의 크기의 값들이 입력될 때, 언-풀링 레이어를 거쳐 출력되는 값들의 크기는 [h*2, w*2, n]일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의 생성 및 예측을 위한 변형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31에서, 프레임들
Figure pat00085
,
Figure pat00086
,
Figure pat00087
... 은 이미 부호화 또는 재구축이 완료된 이전 프레임들일 수 있다. 이전 프레임들은 현재의 시점 n에서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088
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120)에서, 생성-부호기는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움직임 예측을 사용하여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89
를 생성할 수 있다.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90
은 잔차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생성-부호기는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이 적용된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은 이전의 프레임에 움직임 벡터를 더함으로써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1에서, 프레임들
Figure pat00091
,
Figure pat00092
,
Figure pat00093
...은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이 적용된 프레임들을 나타낼 수 있다.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이 적용되는 경우 전술된 수식 4를 참조하여 설명된
Figure pat00094
에 대한 잔차 비디오
Figure pat00095
는 아래의 수식 1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말하자면, 수식 4의 잔차 프레임 대신 수식 10의 잔차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수식 10]
Figure pat00096
예를 들면, 움직임 예측 및 보상이 적용되는 경우,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097
또는 잔차 신호는
Figure pat00098
Figure pat00099
간의 차이일 수 있다.
또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00
또는 잔차 신호는, 수식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
Figure pat00101
-
Figure pat00102
" 또는 "
Figure pat00103
-
Figure pat00104
" 등과 같은 프레임들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2150)에서, 생성-복호기는 먼저 2 개의 프레임들을 재구축할 수 있고, 재구축된 2 개의 프레임들을 합함으로써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05
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예측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106
에 DNN을 적용하여 재구축된 예측된 잔차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특징 벡터
Figure pat00107
에 DNN을 적용하여 재구축된 대상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복호기는 재구축된 예측된 잔차 프레임 및 재구축된 대상 프레임을 합함으로써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08
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실시예의 부호화 장치의 동작은 부호화 장치에 의한 프레임 또는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계(3210)에서, 부호화 장치(1600)의 처리부(1610)는 생성-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210)는 단계들(2110, 2120 및 2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220)에서, 처리부(1610)는 생성-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220)는 단계들(2140 및 2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210) 및 단계(3220)의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를 통해, 처리부(16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09
및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10
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11
을 생성할 수 있다.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12
은 시간 n-1에 대한 재구축된 프레임일 수 있다.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13
은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14
및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15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여기에서,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16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17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18
은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전술된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119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20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21
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말하자면,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는 실시예에서는 시간 n에서의 데이터(즉, 시간 n에서의 프레임)에 대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22
이 생성되는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가 설명되었고, 도 32를 참조하는 실시예에서는 시간 n-1에서의 데이터(즉, 시간 n-1에서의 디코드된 프레임)에 대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23
이 생성되는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가 설명되었다.
단계(3230)에서, 처리부(1610)는 원 프레임
Figure pat00124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25
에 대한 차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원 프레임
Figure pat00126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27
간의 차분(difference)인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28
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Figure pat00129
는 차분 값일 수 있다.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30
은 아래의 수식 11과 같이 원 프레임
Figure pat00131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32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수식 11]
Figure pat00133
원 프레임
Figure pat00134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35
간의 차분을 계산하는 것은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36
을 사용하여 원 프레임
Figure pat00137
에 대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움직임 예측을 사용하여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38
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240)에서, 처리부(1610)는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39
에 대하여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250)에서, 통신부(1620)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 장치(17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실시예의 복호화 장치의 동작은 복호화 장치에 의한 프레임 또는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계(3310)에서, 복호화 장치(1700)의 통신부(1720)는 부호화 장치(1600)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320)에서, 복호화 장치(1700)의 처리부(1710)는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40
을 생성할 수 있다.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41
은 부호화 장치(1600)에서 생성된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42
이 복호화 장치(1700)에서 재구축된 것일 수 있다.
단계(3330)에서, 처리부(1710)는 생성-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330)는 단계들(2110, 2120 및 2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340)에서, 처리부(1710)는 생성-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340)는 단계들(2140 및 2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330) 및 단계(3340)의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를 통해, 처리부(17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43
및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44
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45
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단계(3330) 및 단계(3340)의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를 통해, 처리부(1710)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46
없이)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47
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48
을 생성할 수 있다.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49
은 시간 n-1에 대한 재구축된 프레임일 수 있다.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50
및 이전에 복호화된 프레임들은 복호화 장치(1700)에서의 비디오의 복호화에 의해 복호화 장치(1700)에서 가용하게 된 재구축된 프레임들일 수 있다.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51
은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52
및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53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여기에서,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54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55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56
은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전술된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157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58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59
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말하자면,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는 실시예에서는 시간 n에서의 데이터(즉, 시간 n에서의 프레임)에 대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60
이 생성되는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가 설명되었고, 도 33을 참조하는 실시예에서는 시간 n-1에서의 데이터(즉, 시간 n-1에서의 디코드된 프레임)에 대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61
이 생성되는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가 설명되었다.
단계(3350)에서, 처리부(1710)는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162
및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63
을 합함으로써 재구축된 프레임
Figure pat00164
을 생성할 수 있다. 재구축된 프레임
Figure pat00165
은 비디오에 대한 복호화에 사용되는 미래 프레임 또는 가상 프레임일 수 있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프레임을 사용하는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가상 프레임을 사용하는 대상에 대한 인터 예측 방법이 설명된다. 대상은 대상 블록 또는 대상 프레임일 수 있다.
단계(3410)에서, 복호화 장치(1700)의 통신부(1720)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네트워크 생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7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네트워크 생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생성 정보는 net_syn_flag와 같은 플래그일 수 있다.
네트워크 생성 정보는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
Figure pat00166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및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67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낼 수 있다.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68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는 전술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생성된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일 수 있다.
네트워크 생성 정보가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
Figure pat00169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임을 나타내는 경우, 통상적인 움직임 보상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생성 정보의 값이 0이면, 네트워크 생성 정보가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
Figure pat00170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생성 정보가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71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임을 나타내는 경우,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72
을 사용하는 움직임 보상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생성 정보의 값이 1이면, 네트워크 생성 정보가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73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된 단위 또는 서로 다른 단위들에 대하여 네트워크 생성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된 단위 또는 서로 다른 단위들은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V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SPS), 픽처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PPS) 및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vps_net_syn_flag는 VPS에 대하여, VPS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
Figure pat00174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및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75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sps_net_syn_flag는 SPS에 대하여, SPS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
Figure pat00176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및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77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pps_net_syn_flag는 PPS에 대하여, PPS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
Figure pat00178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및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79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block_net_syn_flag는 블록에 대하여, 블록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
Figure pat00180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및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81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블록은 코딩 유닛(Coding Unit; CU)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네트워크 생성 정보가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82
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임을 나타내는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들(3420, 3430 및 3440)가 설명된다.
단계(3420)에서, 처리부(1710)는 생성-부호기 및 생성-복호기를 사용하여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83
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420)는 전술된 단계들(3310, 3320, 3330, 3340 및 3350)을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84
은 부호화 장치(1600) 또는 복호화 장치(1700)에서 이전에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85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86
및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87
에 기반하여 생성된 프레임일 수 있다. 또는, 가상 프레임은 이전에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188
및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189
이 입력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생성된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에서, 신경망은 전술된 생성-부호기 및 생성-복호기의 제1 CNN, 제2 CNN 및 DNN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430)에서, 처리부(1710)는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0
을 인터 예측의 대상에 대한 참조 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1710)는 참조 픽처 리스트에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1
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1710)는 참조 픽처 리스트의 참조 픽처들 중 하나의 참조 픽처를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2
으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방향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는 L0 또는 L1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방향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참조 픽처 리스트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참조 픽처 리스트들은 L0 및 L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3
에 의한 참조 픽처의 대체는 아래의 방식 (1) 내지 방식 (5) 등에 이루어질 수 있다.
(1)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4
은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 중 대상 프레임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참조 픽처를 대체할 수 있다. 대상 프레임은 대상 블록을 포함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2)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5
은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 중 가장 큰 참조 픽처 인덱스를 갖는 참조 픽처를 대체할 수 있다.
(3) 양방향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6
은 참조 픽처 리스트들의 각 참조 픽처 리스트에 대하여, 각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 중 대상 프레임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참조 픽처를 대체할 수 있다.
(4) 양방향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7
은 참조 픽처 리스트들의 각 참조 픽처 리스트에 대하여, 각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 중 가장 큰 참조 픽처 인덱스를 갖는 참조 픽처를 대체할 수 있다.
(5)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8
은 가상의 참조 픽처들만을 관리하는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가상의 참조 픽처들은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가상 프레임들일 수 있다.
단계(3440)에서, 처리부(1710)는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199
을 사용하는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17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터 예측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여 대상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예측 정보의 움직임 벡터가 참조하는 참조 픽처는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200
일 수 있다.
단계(3450)에서, 처리부(1710)는 인터 예측의 결과를 사용하여 대상 프레임에 대한 재구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예측에 의해 대상 블록에 대한 재구축된 블록이 생성될 수 있고, 재구축되는 대상 프레임은 재구축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말하자면, 대상 블록에 대한 재구축된 블록이 생성되면서, 대상 프레임에 대해서도 (대상 블록의 영역에 대해서) 재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트스트림은 가상 프레임 사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프레임 사용 정보는 플래그일 수 있다. 단계(3410)에서, 처리부(17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가상 프레임 사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가상 프레임 사용 정보는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201
만으로 대상 프레임이 재구축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프레임 사용 정보가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202
만으로 대상 프레임이 재구축됨을 나타내는 경우,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203
이 재구축된 대상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프레임 사용 정보가 가상 프레임만으로 대상 프레임이 재구축됨을 나타내는 경우, 단계들(3430 및 3440)은 생략될 수 있다.
전술된 단계들(3430 및 3440)의 예측 방법은 인터 예측을 통해 재구축된 블록을 생성하는 비디오 부호화의 원리에 따라서 부호화 장치(1600)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복호화 장치(1700)의 처리부(1710)에 의해 처리되는 것으로 설명된 기능은 부호화 장치(1600)의 처리부(1610)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복호화 장치(1700)에서 특정된 정보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부호화 장치(1600)에 있어서, 이러한 특정된 정보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아니라 부호화 장치(1600) 내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 장치(1600)의 통신부(1620)로부터 복호화 장치(1700)로 전송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특징 도메인에서 가상 프레임을 이용하는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실시예의 단계들(3510, 3520, 3530, 3540 및 3550)는 도 32를 참조하여 전술된
도 32를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동작과는 달리,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될 실시예에서는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04
의 은닉 벡터
Figure pat00205
가 생성될 수 있고, 부호화된 은닉 벡터 정보가 비트스트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3510)에서, 부호화 장치(1600)의 처리부(1610)는 생성-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510)는 단계들(2110, 2120 및 2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520)에서, 처리부(1610)는 생성-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520)는 단계들(2140 및 2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510) 및 단계(3520)의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를 통해, 처리부(16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06
및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07
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08
을 생성할 수 있다.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09
은 시간 n-1에 대한 재구축된 프레임일 수 있다.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10
은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11
및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12
간의 차이일 수 있다.
또한, 단계(3510)의 생성-부호화를 통해 처리부(16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13
을 사용하여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14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15
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520)의 생성-복호화를 통해 처리부(16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16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17
를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18
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19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20
,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21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22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23
은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전술된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224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25
,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226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27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28
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말하자면,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는 실시예에서는 시간 n에서의 데이터(즉, 시간 n에서의 프레임)에 대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29
이 생성되는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가 설명되었고, 도 35를 참조하는 실시예에서는 시간 n-1에서의 데이터(즉, 시간 n-1에서의 디코드된 프레임)에 대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30
이 생성되는 생성-부호화 및 생성-복호화가 설명되었다.
단계(3530)에서, 처리부(1610)는 원 프레임
Figure pat00231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32
에 대한 차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원 프레임
Figure pat00233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34
간의 차분(difference)인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35
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Figure pat00236
는 차분 값일 수 있다.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37
은 전술된 수식 11과 같이 원 프레임
Figure pat00238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39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원 프레임
Figure pat00240
및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41
간의 차분을 계산하는 것은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242
을 사용하여 원 프레임
Figure pat00243
에 대한 움직임 예측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움직임 예측을 사용하여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44
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3540)에서, 처리부(1610)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45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46
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생성-부호기의 제2 CNN을 사용하여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47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48
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540)는 단계(2130)을 포함할 수 있고, 생성-부호기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49
를 제2 CNN에 입력함으로써, 제2 CNN의 출력인 특징 벡터
Figure pat00250
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550)에서, 처리부(1610)는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51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52
에 대하여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부호화된 특징 벡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610)는 부호화된 특징 벡터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560)에서, 통신부(1620)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 장치(17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특징 도메인에서 가상 프레임을 이용하는 복호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33를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동작과는 달리, 도 36를 참조하여 설명될 실시예에서는 부호화된 은닉 벡터 정보가 비트스트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은닉 벡터의 도메인(domain)에서, 재구축된 은닉 벡터
Figure pat00253
및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54
의 은닉 벡터
Figure pat00255
를 합할 수 있다. 재구축된 은닉 벡터
Figure pat00256
및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57
의 합에 대해 디콘볼루션을 적용함으로써 재구축된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58
이 생성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예에서, 가상 프레임의 생성과 관련하여 도 33을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가상 프레임의 생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4를 참조하여 전술된 실시예에서, 가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는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생성된 부호화된 은닉 벡터 정보일 수 있다.
단계(3610)에서, 복호화 장치(1700)의 통신부(1720)는 부호화 장치(1600)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부호화된 특징 벡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620)에서, 복호화 장치(1700)의 처리부(1710)는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재구축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259
을 생성할 수 있다. 재구축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260
은 부호화 장치(1600)에서 생성된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61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62
이 복호화 장치(1700)에서 재구축된 것일 수 있다.
단계(3630)에서, 처리부(1710)는 생성-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630)는 단계(2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630)의 생성-부호화를 통해, 처리부(17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63
및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64
을 사용하여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65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66
를 생성할 수 있다.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67
은 시간 n-1에 대한 재구축된 프레임일 수 있다.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68
은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69
및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70
간의 차이일 수 있다.
여기에서,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71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72
및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73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74
은 도 21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전술된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275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276
및 대상 프레임
Figure pat00277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78
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단계(3640)에서, 처리부(17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79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80
및 재구축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281
를 합함으로써 차분 합을 생성할 수 있다. 차분 합은 특징 벡터들 간의 움직임 보상의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말하자면, 차분 합은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82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83
에 대하여 재구축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284
에 의한 움직임 보상이 특징 도메인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단계(3650)에서, 처리부(17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85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86
및 재구축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287
의 합을 사용하여 재구축된 프레임
Figure pat00288
을 생성할 수 있다. 재구축된 프레임
Figure pat00289
은 복호화에 사용되는 미래 프레임 또는 가상 프레임일 수 있다.
처리부는 디콘볼루션을 사용하여 재구축된 프레임
Figure pat00290
을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710)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291
의 특징 벡터
Figure pat00292
및 재구축된 특징 벡터
Figure pat00293
의 합을 DNN에 입력함으로써 DNN의 출력인 재구축된 프레임
Figure pat00294
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 예측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의 인터 예측 방법은 부호화 장치(1600) 또는 복호화 장치(17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처리부는 부호화 장치(1600)의 처리부(1610) 또는 복호화 장치(1700)의 처리부(1710)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3710)에서, 처리부는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은 보간(interpolation)을 사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간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 및 보외(extrapolation)를 사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외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의 보간은 비디오 프레임들 중 대상 프레임의 이전의 프레임들 및 대상 프레임의 이후의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대상 프레임을 예측하는 방법일 수 있다. 대상 프레임은 현재의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의 보간은, 시간 t-1에서의 프레임 x t- 1 및 시간 t+1에서의 프레임 x t +1이 주어졌을 때, 시간 t에서의 프레임 x t 를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프레임 x t 는 전술된 수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비디오의 보외는 비디오 프레임들 중 현재 프레임의 이전의 프레임들 및 현재 프레임을 사용하여 미래의 프레임을 예측하는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의 보외는 0 내지 n의 시간들에서의 프레임들이 주어졌을 때, n+1 내지 m의 시간들에서의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처리부는 인터 예측의 방향에 따라서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방향은 순방향, 역방향 및 양방향 중 하나일 수 있다.
처리부는 가상 프레임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에 따라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가상 프레임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프레임 및 잔차 프레임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3720)에서, 처리부는 선택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단위는 프레임 또는 블록일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단위가 프레임인 경우 인터 예측에 의해 예측 프레임이 생성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단위가 블록인 경우 예측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의 선택 및 인터 예측에 대해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부호화 장치(1600)는 비트스트림을 복호화 장치(17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인터 예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 정보는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 예측 정보는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1700)는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여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600)는 인터 예측 정보에 대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호화된 인터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부호화된 인터 예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 장치(17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부호화된 인터 예측 정보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여 인터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된 인터 예측 및 잔차 블록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3720)의 이후에, 처리부는 인터 예측에 의해 생성된 예측 블록에 재구축된 잔차 블록을 합함으로써 재구축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재구축된 잔차 블록은 1) 비트스트림 내의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앙자화된 레벨에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적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2) 비트스트림 내의 정보를 사용하는 신경망을 사용하는 변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방향에 따른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의 선택
1) 순방향 예측에 대한 선택
인터 예측의 방향이 순방향일 경우, 처리부는 보외를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측 프레임은 미래에 대한 가상 프레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 예측의 방향이 순방향일 경우, 처리부는 콘볼루션 부호기, 콘볼루션 복호기 및 LSTM에 기반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보외를 통해 예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도 20 등을 참조하여 전술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일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는 도 20 등을 참조하여 전술된 생성-부호기일 수 있다. 콘볼루션 복호기는 도 20 등을 참조하여 전술된 생성-복호기일 수 있다. LSTM은 도 20 등을 참조하여 설명된 LSTM 신경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도 31 등을 참조하여 전술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일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기는 도 31 등을 참조하여 전술된 생성-부호기일 수 있다. 콘볼루션 복호기는 도 31 등을 참조하여 전술된 생성-복호기일 수 있다. LSTM은 도 31 등을 참조하여 설명된 LSTM 신경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 예측의 방향이 순방향일 경우, 처리부는 LSTM 없이 CNN을 사용하는 보외를 통해 예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적응적 CNN은 CNN을 사용하여 커널의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종단 간 학습(end-to-end learning)을 통해 프레임의 예측 및 픽셀의 보간(또는, 보외)를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다.
처리부는 적응적 CNN의 분리가능한(separable) 구조 또는 복셀 플로우(voxel flow)를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 프레임의 생성에 있어서, 부호화 장치(100)의 참조 픽처 버퍼(190) 또는 복호화 장치(200)의 참조 픽처 버퍼(270)에 저장된 이전의 프레임들
Figure pat00295
,
Figure pat00296
,
Figure pat00297
...을 이용하여 생성된 현재의 시점에 대한 프레임
Figure pat00298
가 예측 프레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참조 픽처 버퍼(190)는 복호화된 픽처 버퍼(Decoded Picture Buffer; DPB)로 칭해질 수도 있다.
도 38은 일 예에 따른 적응적 분리가능한 콘볼루션의 구조를 나타낸다.
콘볼루션 부호기 및 콘볼루션 복호기에 프레임들
Figure pat00299
,
Figure pat00300
,
Figure pat00301
... 이 입력됨에 따라 콘볼루션 필터 커널 K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고, 학습에 의해 프레임
Figure pat00302
이 예측될 수 있다.
도 39는 일 예에 따른 복셀 플로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복셀 플로우의 생성-부호기 및 생성-복호기에 프레임들
Figure pat00303
,
Figure pat00304
,
Figure pat00305
... 이 입력됨에 따라 옵티컬 플로우 F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고, 학습에 의해 프레임
Figure pat00306
이 예측될 수 있다.
옵티컬 플로우는 프레임들 간에서 발생하는 픽셀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픽셀에 대한 움직임 벡터일 수 있다. 픽셀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옵티컬 플로우를 생성하는 딥러닝 구조를 통해 비디오가 생성될 수 있다. 2 개의 프레임들 및 옵티컬 플로우를 이용하여 2 개의 프레임들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2 개의 프레임들 및 옵티컬 플로우를 이용하여 2 개의 프레임들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외가 수행될 수 있다.
(2) 역방향 예측에 대한 선택
인터 예측의 방향이 역방향일 경우, 처리부는 전술된 1) 콘볼루션 부호기, 콘볼루션 복호기 및 LSTM에 기반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보외 또는 2) CNN을 사용하는 보외를 사용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방향이 역방향일 경우, 순방향에 비해 전술된 보외에 대한 입력이 변경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방향이 역방향일 경우, 시간 n에 대한 프레임
Figure pat00307
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부호화 장치(100)의 참조 픽처 버퍼(190) 또는 복호화 장치(200)의 참조 픽처 버퍼(270)에 저장된 프레임들 중 프레임
Figure pat00308
보다 이후의 프레임인 프레임들
Figure pat00309
Figure pat0031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3) 양방향 예측에 대한 선택
인터 예측의 방향이 양방향일 경우, 처리부는 보간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는 CNN을 사용하는 보간을 통해 예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는 적응적 CNN의 분리가능한(separable) 구조 또는 복셀 플로우(voxel flow)를 사용하는 보간을 통해 예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방향이 양방향일 경우, 시간 n에 대한 프레임
Figure pat00311
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Figure pat00312
및 프레임
Figure pat00313
이 CNN에 입력될 수 있고, CNN으로부터 예측 프레임인 프레임
Figure pat00314
이 출력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단위에 따른 인터 예측
(1) 프레임 단위 예측
도 32, 도 33,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부호화 장치(1600)에서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315
및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316
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317
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예측 프레임
Figure pat00318
에 기반하여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319
및/또는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320
의 은닉 벡터
Figure pat00321
가 생성될 수 있다.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또는 부호화된 은닉 벡터 정보가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 장치(1600)로부터 복호화 장치(1700)로 전송될 수 있다. 복호화 장치(1700)에서는,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322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323
및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324
을 사용하거나,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325
, 잔차 프레임
Figure pat00326
및 재구축된 은닉 벡터
Figure pat00327
을 사용하여 재구축된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328
이 생성될 수 있다.
인터 예측에 의해 생성되는 예측 프레임은 재구축된 복호화된 프레임
Figure pat00329
일 수 있다.
(2) 블록 단위 예측
(2-1)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는 예측
움직임 예측 및 보상에 있어서, 블록에 기반한 움직임 예측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도 34를 참조하여 전술된 것과 같이,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에 있어서, 일반적인 재구축된 프레임이 아닌, 선택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의해 생성된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330
이 참조 프레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말하자면,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 정보는 가상 프레임
Figure pat00331
을 참조 프레임으로서 가리킬 수 있다.
(2-2) 콘볼루션 필터 기반 예측
움직임 예측 및 보상에 있어서 도 37을 참조하여 설명된 CNN을 이용하는 콘볼루션 연산을 통해 블록에 대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의 프레임의 블록이 콘볼루션 필터 커널을 통과함으로써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0은 일 예에 따른 콘볼루션 필터 연산에 의한 블록에 대한 예측을 나타낸다.
도 40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이전 프레임 X 1의 블록 I 1이 콘볼루션 필터 커널 P 1을 통과함으로써 대상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
Figure pat00332
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전 프레임 X 1의 블록 I 1이 콘볼루션 필터 커널 P 2를 통과함으로써 대상 블록 I에 대한 예측 블록
Figure pat00333
가 생성될 수 있다.
블록 I 1 및 블록 I 2 은 대상 블록 I의 콜 블록일 수 있다. 말하자면, 블록 I 1의 이전 프레임 X 1 내에서의 위치는 대상 블록 I의 대상 프레임 내에서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블록 I 2의 이전 프레임 X 2 내에서의 위치는 대상 블록 I의 대상 프레임 내에서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블록 I 1의 크기는 대상 블록 I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블록 I 1의 크기 및 블록 I 2의 크기는 콘볼루션 필터의 스트라이드 및 크기를 고려하여 대상 블록 I의 크기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인터 예측을 사용하는 대상 블록의 부호화에 있어서, 전술된 예측 방식들에 의한 율-왜곡 비용들이 계산될 수 있으며, 가용한 예측 방식들 중 가장 작은 율-왜곡 비용을 갖는 예측 방식이 대상 블록의 부호화를 위한 최종의 예측 방식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전술된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에 대하여 전술된 예측 방식들에 따른 예측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를 사용하여 전술된 블록 I 1 및 블록 I 2 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I 1는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 v일 수 있다. 블록 I 2는 -v일 수 있다. -v는 대상 블록을 기준으로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 v의 위치의 반대의 위치에 있는 블록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블록 I 1는 제1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 v일 수 있다. 블록 I 2는 제2 움직임 벡터 예측 후보 w일 수 있다.
이 때, 인터 예측 정보는 예측 방식 결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방식 결정 정보는 전술된 (2-1)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는 예측 및 (2-2) 콘볼루션 필터 기반 예측 중 어느 것이 인터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예측 방식 결정 정보는 (2-1)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는 예측 및 (2-2) 콘볼루션 필터 기반 예측을 포함하는 복수의 예측 방식들 중 대상 블록의 인터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예측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비트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고, 비트스트림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대상 프레임의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잔차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잔차 프레임의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잔차 프레임의 특징 벡터를 사용하여 상기 잔차 프레임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특징 벡터 및 상기 대상 프레임의 특징 벡터의 합을 사용하여 예측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프레임의 특징 벡터는 제1 콘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생성되는, 비디오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차 프레임은 상기 대상 프레임에 대한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는 움직임 예측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비디오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차 프레임의 특징 벡터는 제2 콘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생성되는, 비디오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차 프레임에 대한 예측된 특징 벡터는 콘볼루션 롱 쇼트 텀 메모리(Long Short Term Memory; LSTM) 신경망에 의해 생성되는, 비디오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프레임은 디콘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생성되는, 비디오 처리 방법.
  7.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프레임을 사용하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프레임은 이전에 복호화된 프레임이 입력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예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레임은 상기 이전에 복호화된 프레임, 잔차 프레임 및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예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생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생성 정보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부호화된 정보가 원래의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및 상기 가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 중 어느 것인가를 나타내는, 예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생성 정보는 특정된 단위에 대하여 사용되고,
    상기 특정된 단위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픽처 파라미터 세트 및 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예측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는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생성된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인, 예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레임은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재구축된 예측 잔차 프레임은 상기 부호화된 예측 잔차 프레임 정보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 역양자화 및 역변환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예측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정보는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생성된 부호화된 은닉 벡터 정보인, 예측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레임을 인터 예측의 대상에 대한 참조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예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레임은 참조 픽처 리스트에 추가되는, 예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레임은 상기 참조 픽처 리스트 내의 참조 픽처들 중 가장 큰 참조 픽처 인덱스를 갖는 참조 픽처를 대체하는, 예측 방법.
  17.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인터 예측을 위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 예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은 보간을 사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간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 및 보외를 사용하여 가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보외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인터 예측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들 중 상기 인터 예측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인터 예측을 위한 상기 비디오 생성 네트워크가 선택되는, 인터 예측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예측의 단위는 프레임 또는 블록인, 인터 예측 방법.
KR1020190011152A 2018-02-08 2019-01-29 신경망에 기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96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70,468 US10841577B2 (en) 2018-02-08 2019-02-07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video decoding based on neura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28 2018-02-08
KR20180015928 2018-02-08
KR20180133499 2018-11-02
KR1020180133499 2018-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81A true KR20190096281A (ko) 2019-08-19

Family

ID=6780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152A KR20190096281A (ko) 2018-02-08 2019-01-29 신경망에 기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6281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71A (ko) * 2019-10-30 2021-05-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장치 및 이의 이상 상황 탐지 방법
WO2021118285A1 (ko) * 2019-12-11 2021-06-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심층 신경망 모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113057A (ko) * 2020-03-05 2021-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축 신경망 내에서의 패딩/트리밍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N113542758A (zh) * 2020-04-15 2021-10-22 辉达公司 生成对抗神经网络辅助的视频压缩和广播
KR20220005383A (ko) * 2020-07-06 2022-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KR20220005386A (ko) * 2020-07-06 2022-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WO2022031115A1 (ko) * 2020-08-06 2022-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인터 예측을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WO2022065977A1 (ko) * 2020-09-28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계수 딥러닝 기반 인터 예측 방법
WO2023056449A1 (en) * 2021-09-30 2023-04-06 Bytedance Inc.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video processing
WO2023136673A1 (ko) * 2022-01-13 2023-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11769276B2 (en) 2020-03-05 2023-09-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ing padding/trimming in compression neural network
US11862183B2 (en) 2020-07-06 2024-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using neural network model, and devices for performing the methods
WO2024010208A1 (ko) * 2022-07-05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Ai 부호화/복호화를 이용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71A (ko) * 2019-10-30 2021-05-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장치 및 이의 이상 상황 탐지 방법
WO2021118285A1 (ko) * 2019-12-11 2021-06-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심층 신경망 모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769276B2 (en) 2020-03-05 2023-09-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ing padding/trimming in compression neural network
KR20210113057A (ko) * 2020-03-05 2021-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축 신경망 내에서의 패딩/트리밍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N113542758A (zh) * 2020-04-15 2021-10-22 辉达公司 生成对抗神经网络辅助的视频压缩和广播
KR20220005383A (ko) * 2020-07-06 2022-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KR20220005386A (ko) * 2020-07-06 2022-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US11862183B2 (en) 2020-07-06 2024-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using neural network model, and devices for performing the methods
WO2022031115A1 (ko) * 2020-08-06 2022-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인터 예측을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WO2022065977A1 (ko) * 2020-09-28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계수 딥러닝 기반 인터 예측 방법
WO2023056449A1 (en) * 2021-09-30 2023-04-06 Bytedance Inc.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video processing
WO2023136673A1 (ko) * 2022-01-13 2023-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WO2024010208A1 (ko) * 2022-07-05 2024-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Ai 부호화/복호화를 이용하여 영상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15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video decoding based on neural network
KR102427789B1 (ko)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96281A (ko) 신경망에 기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및 비디오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64440B1 (ko) 양방향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262554B1 (ko) 예측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07761A (ko) 참조 블록을 사용하는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40066144A (ko) 채널들 간의 선택적인 정보 공유를 사용하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62273A (ko) 영상 변환 신경망 및 영상 역변환 신경망을 이용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07762A (ko) 블록 형태에 기반한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2402539B1 (ko) 양방향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190116067A (ko) 딥 러닝에 기반하여 생성된 참조 프레임을 이용하는 인터 예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36316A (ko) 참조 블록을 사용하는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190107581A (ko) 인트라 예측 모드의 유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09376A (ko) 인터 예측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50433A (ko) 신경망을 사용하여 영상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1898A (ko) 기하학적 분할을 사용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90091217A (ko) 시간적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및 영상 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42675B1 (ko) 양자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89685A (ko) 분할을 사용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210070942A (ko) 영역 차등적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210063276A (ko) 움직임 예측 모델을 사용하는 비디오 처리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230170597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20230148749A (ko) 머신 비전을 위한 피쳐 맵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240038636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220057437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