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184A -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 - Google Patents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184A
KR20190096184A KR1020180015811A KR20180015811A KR20190096184A KR 20190096184 A KR20190096184 A KR 20190096184A KR 1020180015811 A KR1020180015811 A KR 1020180015811A KR 20180015811 A KR20180015811 A KR 20180015811A KR 20190096184 A KR20190096184 A KR 2019009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onic
component
current
meta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관
박철민
Original Assignee
박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관 filed Critical 박정관
Priority to KR102018001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6184A/ko
Publication of KR2019009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40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조파전류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조파를 완화시킬수 있는 L-C 능동필터와 토르말린 광물체, 고조파 감지센서 및 제어차단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고조파를 저감시킴으로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고조파전류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조파 완화장치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측면 및 내측경계면이 본딩처리된 밀폐공간이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금속성분, 흑운모, 규양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이 도포되어 전류성분이 전도되는 금속전리층; 상기 금속전리층의 상층면에 토르말린 가공체, 페라이트 분말, 흑연분말, 자철석 분말이 혼합되어 위치하는 전자이온 공급체; 및 상기 금속전리층과 상기 전자이온 공급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연산증폭기(Operation Amplifier)와 저역통과필터(Lowpass filter)를 포함하는 LC능동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열경화성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여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HARMONIC CURRENT RELAX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조파전류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조파를 완화시킬수 있는 L-C 능동필터와 토르말린 광물체, 고조파 감지센서 및 제어차단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고조파를 저감시킴으로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고조파전류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시스템 구조 상에서 송전 및 배전모선과 가정용 전기 공급망 사이에서는 변압기나 전력모선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이 존재한다.
고조파는 정현파의 진동수와 N배수로 발생하는 N고조파 형태의 성분이 다수로 발생하여, 이러한 1고조파 및 2고조파, 3고조파, N고조파들은 과열발생 문제와 전력에너지 관점에서 역률손실, 유효전력손실, 공명현상으로 인한 절연파괴 문제를 야기시키는 불안정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최근 사회에서는 대부분의 에너지가 인간의 사용의 편의를 위해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어 사용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전기에너지는 매년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고 화석에너지 자원의 가격 상승등으로 전기 에너지 공급 가격도 상승추세에 있다. 따라서, 사회경제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절감하는 여러 응용 기술들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들은 L-C 필터, RLC 능동필터 등의 주파수 성분필터를 이용하여 고조파를 제거할 수 는 있으나 발열량, 전력소비량이 과다하게 증가하여 내부 부품이 손상되거나, 보호 내구성이 약하여 기능수명이 길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력은 전류, 전압, 역률의 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류의 흐름을 개선하여 전류효율을 향상시켜 전력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117059 (2014.10.07)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0535 (2001.10.04) 공개특허공보 10-2015-0088600 (2015.08.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조파 완화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단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의 전력 송배전선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을 완화시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조파 완화장치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측면 및 내측경계면이 본딩처리된 밀폐공간이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금속성분, 흑운모, 규양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이 도포되어 전류성분이 전도되는 금속전리층; 상기 금속전리층의 상층면에 토르말린 가공체, 페라이트 분말, 흑연분말, 자철석 분말이 혼합되어 위치하는 전자이온 공급체; 및 상기 금속전리층과 상기 전자이온 공급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연산증폭기(Operation Amplifier)와 저역통과필터(Lowpass filter)를 포함하는 LC능동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열경화성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여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C능동필터는 고조파 측정성분값을 입력받아, 정상성분 전류값 또는 역상성분 전류값을 산출하여 제거하는 평활리액터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전리층의 끝단부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할 수 있는 정류어댑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이온 공급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고조파 입력성분 및 고조파 출력성분을 측정하는 고조파 감지센서가 상기 본체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고조파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고조파 출력성분에 대한 노이즈 샘플링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스펙트럼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조파 감지센서는, 상기 고조파 출력성분과 기설정된 고조파 차단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류도통을 유지하는 유지모드와 차단하는 차단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차단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 아연, 납, 크롬, 주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외피막 코팅층이 상기 금속전리층을 도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단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의 전력 송배전선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을 완화시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면이 본 기술을 더욱 잘 예시하기 위해 아래에 간략하게 설명되며, 이는 본 발명의 일부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에 부적절한 제한을 부과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전류 완화장치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조파전류 완화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감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전력저감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본체(10), 금속전리층(11), 전자이온 공급체(12), LC능동필터(13), 평활리액터(133), 고조파 감지센서(14), 제어차단스위치(15)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체(10)는 철, 합금철, 스테인리스 강, 티타늄, 플라스틱, 세라믹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외부환경으로 부터 밀폐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 케이스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또한 공기 및 전자파, 자기장 에너지가 완전하게 차폐될 수 있도록 본딩처리를 하여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한 구성을 설명하면, 본체(10)는 열경화성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에너지, 자기장 에너지, 전류변화에 의한 자기유도 에너지가 내부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폐시킬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구성으로 설명하면, 본체(10)는 원통형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직선반경을 기준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상층단면이 대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각도상태가 0도에서 120도 까지의 범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절첩부의 제한각도를 구성할 수 있다. 상층단면은 외부에서 내부면을 쉽게 가시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투명기능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세라믹 중 하나의 소재를 이용한 상면경계층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면은 이용환경에 따라 공기순환, 습기순환이 될 수 있도록 크기가 밀리미터 또는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형성되는 다수의 마이크로 에어홀이 포함될 수 있는 하면경계층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토르말린 가공체, 페라이트 분말, 흑연분말, 자철석 분말이 혼합되어 위치하는 전자이온 공급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이온 공급체(12)는 수분성분과 접촉하여 자연적으로 미약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토르말린 광물체를 포함하고 있고, 전기분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음이온(전자)를 생성하여, 토르말린 광물체로 부터 전자의 이동이 발생함으로써 전자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르말린 광물체에서 생성된 전자이온이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으로 이동하여 자연적으로 재정렬이 되어 고조파를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이온 공급체(12)는, 토르말린 광물체의 전기분해 반응을 촉진시키는 페라이트 분말, 흑연분말, 자철석 분발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페라이트 분말은, 페라이트 금속을 가루형태로 가공한 요소로 정의할 수 있으며, 900℃ 이하에서 안정한 체심입방결정의 철에 합금원소 또는 불순물이 녹아서 된 고용체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화철계의 자성체 세라믹의 총칭이며 자기특성에 따라 소프트 페라이트, 하드 페라이트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소프트 페라이트의 장점은 금속에 비해 고주파역에서 와전류 손실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하드 페라이트는 영구자석으로써 자계를 발생하는데 쓰이며 자기이방성이 크고, 값이 싼 것이 장점이다. 페라이트 분말은 사용환경에 따라 소프트 페라이트 또는 하드 페라이트 중 하나의 방식을 활용한 페라이트 분말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흑연분말과 자철석분말은 광물자체에 강한 자기장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토르말린의 전기분해 반응으로 인한 전자이동밀도 증강효과를 더 촉진시키는 효과를 기여하기 위해 토르말린 광물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자철석 분말은 마그네타이트 분말로도 명칭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도 강한 자성을 보유한 광물체이다.
다음으로, 본체(10) 내부의 일측면에는 전자파(전자기파)나 자기장에 의한 에너지를 차폐시키기 위해 내벽면과 외벽면 사이의 경계면층에 모가나이트, 알루미나,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말을 사용한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포층은 표면적을 증강시키기 위해 주름 형태를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도포층의 외표면에 세라믹을 포함하는 공간경계층이 더 구성될 수 있다. 공간경계층은 전자이온 공급체(12) 및 금속전리층(11)의 전자이동으로 인해 고조파가 완화되는 에너지 절감효과가 더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도포층에 포함된 알루미나, 고무의 소재가 전기분해로 이해 생성되는 자유전자에너지, 자기장에너지, 전자파 등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기능작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체(10)의 내부에 금속성분이 도포되어 전류성분이 전도되는 금속전리층(11)이 구성될 수 있다.
금속전리층(11)은 외부에서 110V, 220V, 380V 중 하나의 상용전압이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전류가 입력되면, H2O와 같은 물 분자와 토르말린 혼합체, 영구자석 분말가루, 제올라이트 분말가루가 전기화학 반응이 발생하면서 미약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전리층(11)이 전자이온 공급체(12)로부터 발생하는 자유전자운동을 전달시켜 토르말린 혼합체가 고조파를 완화시키는 작용하는데 있어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금속전리층(11)과 전자이온 공급체(12) 사이에 위치하여 연산증폭기(131)와 저역통과필터(132)를 포함하는 LC능동필터(13)가 구성될 수 있다.
LC능동필터(13)는 능동소자와 인덕턴스를 가지는 L,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C에 의해 구성되는 필터회로이다.
또한, LC능동필터(13)는 일측에 한 개의 차동 입력과, 한 개의 단일출력을 가지는 연결형 연산증폭기(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산증폭기(131)는 필터회로의 통과에 의한 이득감쇠를 고려하여 높은 전압이득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LC능동필터(13)는 저역통과필터(132)를 활용함으로써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대역의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고조파 성분을 완화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여 고조파를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LC능동필터(13)는 고조파 측정성분값을 입력받아, 정상성분 전류값 또는 역상성분 전류값을 산출하여 제거하는 평활리액터(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평활리액터(133)는 3상 4선식의 전력모선방식에서 검출될 수 있는 피상전력을 위상벡터기준에 따라 정상성분 전류값, 역상성분 전류값, 영상성분 전류값으로 구분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평활리액터(133)는 고조파에 기인하는 정상성분 전류값, 역상성분 전류값을 산출하여 3고조파를 포함한 N고조파 성분을 완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LC능동필터(13)는 전력계통에서 이용되는 대전력 구조에서 대전력을 제어할 경우에는 전류가 ‘0’이 되는 타이밍에 off 되므로, 서지(Surge) 방지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서지는 가정 내 220V가 들어와야 할 전압이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아 수천볼트 등으로도 높이 들어올 수 있는 이상전압을 말하며, 보통 1kV이하 220V, 380V, 440V 등의 저압이 쓰이는 곳에서 발생되는 과전류, 과전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금속전리층(11)의 끝단부는 인가되는 전압이 단상교류 또는 3상교류가 인가되었을때의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할 수 있는 정류어댑터(16)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정류어댑터(16)는 직류전류가 필요한 공급가, 공급지역 또는 초고압직류송전에 필요한 HVDC 송배전선에 이용할 경우 교류성분값을 간편하게 직류성분으로 전환하여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류어댑터(16)는 인가되는 교류고조파 성분이 주파수 대역이 높아 깁스현상이 일어날 정도로 불연속 스펙트럼이 발생할 경우, 직류전류로 전환하여 고조파 전류를 완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이온 공급체(1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고조파 입력성분 및 고조파 출력성분을 측정하는 고조파 감지센서(14)가 본체(10)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조파 감지센서(14)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부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원형 형상이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이 되어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으로, 고조파 감지센서(14)는 고조파 출력성분과 기설정된 고조파 차단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류도통을 유지하는 유지모드와 차단하는 차단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차단스위치(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차단스위치(15)는 고조파를 완화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데, 임피던스나 저항물성값이 0이 되는 순간 공진현상이 발생하여 데드타임이나 미소한 시간에 절연파괴가 일어날 만큼의 대전력이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고조파 성분이 매우 증가하거나, 절연파괴로 인해 내부소자가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차단스위치(15)를 이용하여 전류값이 리미트레벨이 없이 높아지거나 너무 낮아져 0에 가까워져 고조파 발생을 야기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고조파 감지센서(14)와 연결되어, 상기 고조파 출력성분에 대한 노이즈 샘플링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스펙트럼컨버터(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펙트럼컨버터(17)는 1차적으로 고속 푸리에 변환(FFT)방식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DFT)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활용하여 상기 고조파 감지센서(14)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에 포함될 수 있는 노이즈 샘플링데이터를 산출하여 미리 기설정할 수 있는 기준 노이즈고조파 판단데이터와 산출된 고조파 성분의 벡터스펙트럼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스펙트럼컨버터(17)는 산출한 상기 노이즈 샘플링데이터의 특정 대역폭에서 고조파를 증폭시킬수 있는 깁스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류의 정현파 특성을 저해시키는 깁스데이터를 완화시키위해 지연인덕터를 더 포함하여 이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 제어차단스위치(15)는 스펙트럼컨버터(17)로부터 상기 노이즈 샘플링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기준 노이즈데이터와 상기 노이즈 샘플링데이터를 비교하여 샘플링 결과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 내부와 금속전리층(11) 사이에 위치하여, 영구자석 분말가루 또는 제올라이트 분말광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중간경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경계층은, 내부에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는 규조토, 제올라이트, 활성탄소,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체가 혼합되어, 본체(10) 내부의 수분분포가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자이온공급체가 전자이동반응이 더 원활하게 작용되도록 하는 촉매역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간경계층은 영구자석 분말가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구자석 분말가루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안정된 자기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중간경계층은 전자이동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소재로 영구자석이 적절할 수 있고, 필요 실시예에 따라 자철석 분말가루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 아연, 납, 크롬, 주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외피막 코팅층이 상기 금속전리층(11)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피막 코팅층은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금속성분이 부식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외파막 코팅층에 포함된 동, 아연, 납, 크롬, 주석 등의 금속은 산소와 반응하면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부식방지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전력저감장치
10 : 본체
11 : 금속전리층
12 : 전자이온 공급체
13 : LC능동필터
131 : 연산증폭기
132 : 저역통과필터
133 : 평활리액터
14 : 고조파 감지센서
15 : 제어차단스위치
16 : 정류어댑터
17 : 스펙트럼컨버터

Claims (5)

  1.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측면 및 내측경계면이 본딩처리된 밀폐공간이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금속성분, 흑운모, 규양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이 도포되어 전류성분이 전도되는 금속전리층;
    상기 금속전리층의 상층면에 토르말린 가공체, 페라이트 분말, 흑연분말, 자철석 분말이 혼합되어 위치하는 전자이온 공급체; 및
    상기 금속전리층과 상기 전자이온 공급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연산증폭기(Operation Amplifier)와 저역통과필터(Lowpass filter)를 포함하는 LC능동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열경화성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여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전류 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C능동필터는 고조파 측정성분값을 입력받아, 정상성분 전류값 또는 역상성분 전류값을 산출하여 제거하는 평활리액터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전리층의 끝단부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할 수 있는 정류어댑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전류 완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이온 공급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고조파 입력성분 및 고조파 출력성분을 측정하는 고조파 감지센서가 상기 본체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고조파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고조파 출력성분에 대한 노이즈 샘플링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스펙트럼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전류 완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감지센서는,
    상기 고조파 출력성분과 기설정된 고조파 차단기준값을 비교하여, 비교결과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류도통을 유지하는 유지모드와 차단하는 차단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차단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전류 완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동, 아연, 납, 크롬, 주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외피막 코팅층이 상기 금속전리층을 도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조파전류 완화장치.
KR1020180015811A 2018-02-08 2018-02-08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 KR20190096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11A KR20190096184A (ko) 2018-02-08 2018-02-08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11A KR20190096184A (ko) 2018-02-08 2018-02-08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84A true KR20190096184A (ko) 2019-08-19

Family

ID=6780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11A KR20190096184A (ko) 2018-02-08 2018-02-08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61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6712A (zh) * 2020-11-24 2021-02-12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滤波器加装位置确定方法以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35Y1 (ko) 2001-06-29 2001-10-19 최길수 고조파 및 에너지 절감장치
KR20140117059A (ko) 2013-03-26 2014-10-07 김영화 전력절감장치
KR20150088600A (ko) 2014-01-24 2015-08-03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자원 채굴기용 소비 전력 절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535Y1 (ko) 2001-06-29 2001-10-19 최길수 고조파 및 에너지 절감장치
KR20140117059A (ko) 2013-03-26 2014-10-07 김영화 전력절감장치
KR20150088600A (ko) 2014-01-24 2015-08-03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자원 채굴기용 소비 전력 절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6712A (zh) * 2020-11-24 2021-02-12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滤波器加装位置确定方法以及装置
CN112366712B (zh) * 2020-11-24 2023-08-22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滤波器加装位置确定方法以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kart et al. Overview and comparison of grid harmonics and conducted EMI standards for LV converters connected to the MV distribution system
CN105448502B (zh) 一种绝缘铁氧体磁芯变压器型高压电源
KR20190096184A (ko) 고조파전류 완화 장치
Zhang et al. Frequency-time domain characteristics of radiated electric fields in a multi-terminal MMC-HVDC station
KR20190096176A (ko) 전력저감장치
Buzdugan et al. Power Quality versus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in Adjustable Speed Drives
CN105137166A (zh) 电力系统励磁涌流识别方法
Lim et al. Enhanced plasma generation in capacitively coupled plasma using a parallel inductor
KR101875691B1 (ko) 사이리스터 고조파 절감장치
Lu et al. Numerical analysis of magnetic-shielding effectiveness for magnetic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N209880350U (zh) 一种抗直流分量互感器用复合磁芯
CN208401392U (zh) 一种户内高压交流金属封闭环网开关设备
Kher et al. Electromagnetic modelling of three phase UHVDC valve casing
JP3219427U (ja) 高周波電磁気加熱装置付き湯沸し器
JP5139136B2 (ja) 誘導加熱装置
Hu et 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near-field electromagnetic disturbances in UHVDC converter valve
CN204347081U (zh) 一种电力系统测量电缆单端屏蔽套
CN210579898U (zh) 电磁辐射屏蔽观察箱
Kocatepe et al. Analysis of magnetic field effects of underground power cables on human health
US9660604B2 (en) Efficient passive broadband gyrator
Afzelius et al.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Dept. of Applied Electrical Engineering, Gothenburg, Sweden
CN202352388U (zh) 一种可抑制高次谐波的变频电缆
Graubner et al. Practical examples of magnetic field measurements in industrial and environmental surroundings
CN206594559U (zh) 一种线性稳压电源
Gauper et al. Power supply aspects of semiconduc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