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110A -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110A
KR20190096110A KR1020180015663A KR20180015663A KR20190096110A KR 20190096110 A KR20190096110 A KR 20190096110A KR 1020180015663 A KR1020180015663 A KR 1020180015663A KR 20180015663 A KR20180015663 A KR 20180015663A KR 20190096110 A KR20190096110 A KR 20190096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on stack
module
interfa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202B1 (ko
Inventor
한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드주
Priority to KR102018001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5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어떠한 외부 디바이스 모듈 각각에 대한 관련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활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USB 디바이스 모듈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안드로이드 기반의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 간의 유에스비(USB) 인식 방법으로서, 개별 통신스택을 갖는 별개의 USB 디바이스 모듈이 연결되며 공통 통신스택을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 단계;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이 연결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는 개별 통신스택 취득 단계;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로부터 얻은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읽어들여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공통 통신스택과 개별 통신스택에 근거하여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연동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USB RECOGINITION METHOD AND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BASED ON ANDROID}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어떠한 외부 디바이스 모듈 각각에 대한 관련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활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는 각종 제품과 연결되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해당 신호는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화면 상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단말기의 제어부는 연결되는 다수개의 구성과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각 구성의 유에스비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유에스비 디바이스(Device#01~03)마다 서로 다른 벤더 아이디(VID/PID#01~03)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벤더아이디(VID/PID), 구체적으로는 VID/PID(Vendor ID/Product ID)로서 제품의 응용은 다르지만 동일한 칩셋(Chip Set)을 사용하는 경우 충돌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조업체에서 벤더아이디(VID/PID)를 해당 디바이스(Device#01~03)에 설치하는 일종의 제품을 구분해주는 아이디이다.
따라서 종래의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방법은 각 유에스비 디바이스(Device#01~03)마다 서로 다른 벤더아이디(VID/PID)를 설정해주고, 각 디바이스(Device#01~03)별로 드라이버(.sys파일#01~03)이나 설치파일(.inf#01~03)을 다르게 구성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제품 디바이스를 단말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어, 단말기에 설치된 드라이버가 접속된 제품 디바이스(외부 악세사리)를 인식하게 되고, 이후 단말기에서 제품 디바이스의 이용을 위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에 접속한 제품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디바이스별로 전용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제품만이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구조로 되어 있어 제품 디바이스의 확장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7341(2011.05.09.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의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어떠한 외부 디바이스 모듈 각각에 대한 관련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활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디바이스 모듈에 그 모듈 고유의 통신스택만을 갖도록 구성시킴으로써 외부 디바이스 모듈의 전기회로적 및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고, USB 디바이스의 용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외부 장치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기 USB 디바이스 모듈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안드로이드 기반의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 간의 유에스비(USB) 인식 방법으로서, 개별 통신스택을 갖는 별개의 USB 디바이스 모듈이 연결되며 공통 통신스택을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 단계;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이 연결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는 개별 통신스택 취득 단계;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로부터 얻은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읽어들여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공통 통신스택과 개별 통신스택에 근거하여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연동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과 USB 인터페이스 모듈 간은 i2c, spi, uart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 각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USB 호스트에 의해 인식되는 통신스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에 구성되고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각각 부여되는 고유 통신스택이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은 상기 개별 통신스택에 대하여 연계되는 하나의 통신스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은 USB PID로 이루어지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은 USB VI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기반의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USB 인식하여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있어서, 공통 통신스택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 시 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동작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공통 통신스택과 연계되는 개별 통신스택을 갖는 USB 디바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로부터 얻은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이 인식하여 그 인식된 공통 통신스택과 개별 통신스택에 근거하여,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에 상응하여 실행되는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과 USB 인터페이스 모듈 간은 i2c, spi, uart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은 USB VID로 이루어지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고유 USB PID로 이루어지며,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유닛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포함된 접속체에 물리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의하면, 공통의 단일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다양한 외부 장치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외부 장치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도별 외부 장치의 회로적 및 소프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USB 디바이스 모듈에 온습도 센서의 디바이스가 적용된 예시를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SB 디바이스 모듈(100)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안드로이드 기반의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안드로이드 장치)(200)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 간의 유에스비(USB) 인식 방법으로서, 개별 통신스택을 갖는 USB 디바이스 모듈(100)이 연결되며 공통 통신스택을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 접속되는 접속 단계;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 및 USB 디바이스 모듈(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 접속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는 개별 통신스택 취득 단계;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로부터 얻은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읽어들여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공통 통신스택과 개별 통신스택에 근거하여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400)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연동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과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 간은 i2c, spi, uart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과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 간은 i2c, spi, uart 이외에도 다른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은 상기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USB 디바이스 모듈(100)과 연결되며, 물리적으로 교체가능한 유닛에 포함되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은 온도나 습도 검출, 리모트 컨트롤과 같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교체가능한 외부 접속 유닛에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용도별 USB 디바이스 모듈)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는 해당 외부 USB 디바이스 모듈과 연동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마련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에 마련되는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300)에 마련되는 공통 통신스택은 모두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USB 호스트에 의해 인식되는 통신스택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개별 통신스택은 USB PID(Product ID)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300)의 공통 통신스택은 USB VID(Vender ID)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개별 통신스택은 각각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용도별 USB 디바이스 모듈에 각각 부여되는 고유 통신스택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에 의하면,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만 구성하고 어떠한 용도별 USB 디바이스 모듈을 연결하더라도 해당 용도에 맞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 장치(외부 USB 디바이스 모듈)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USB 디바이스 모듈에 온습도 센서의 디바이스가 적용된 예시를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의 설명에서 상기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드로이드 기반의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안드로이드 장치)(200)에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USB 인식하여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있어서, 공통 통신스택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 시 그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과 연결(예를 들면, i2c, spi, uart와 같은 통신 방식)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공통 통신스택과 연계되는 개별 통신스택을 갖는 USB 디바이스 모듈(1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 마련되며,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디바이스에 상응하여 실행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400);를 포함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로부터 얻은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가 읽어들여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공통 통신스택과 개별 통신스택에 근거하여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400)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usb cdc class(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를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usb host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에 구비되는 공통 통신스택은 usb cdc class(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와 연동되는 USB VID(Vender ID)로 이루어지며,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에 구비되는 개별 통신스택은 고유 USB PID(Product ID)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에 구비되는 개별 통신스택인 USB PID는 후술하겠지만 USB 디바이스 모듈(100)이 각각의 소정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를 갖는 모듈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 각각에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의 USB PID가 부여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과 USB 디바이스 모듈(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닛에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은 소정 동작을 실행하는 개별 디바이스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유닛에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과 통신 연결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식장치에서 usb cdc class를 구현한 공통 통신스택을 갖는 USB 인터페이스모듈 바디(100)는 단일 공통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사용 용도별로 제작된 USB 디바이스 모듈(300)에는 개별 통신스택으로서 상기 공통 통신스택과 연계되는 고유 USB PID(Product ID)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와 USB 디바이스 모듈(100)이 연결(i2c, spi, uart 등의 통신방식)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에 접속되게 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모듈(300)과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제공받게 되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 작동 데이터는 USB 인터페이스 모(300)을 거쳐 휴대용 단말기(100)(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통의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만을 구성하고, 이 공통의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을 통해 어떠한 USB 디바이스 모듈(100)이 연결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200)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안드로이드 기반 애플리케이션)(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온도/습도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에 대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예시한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실시 형태에서는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온습도검출 디바이스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외에도 환경인자검출 디바이스, 원격 제어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USB 인식 장치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100)과 USB 디바이스 모듈(100)은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 구성되는데, 수요처의 니즈 또는 적용 제품(디바이스)에 따라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은 해당 유닛에 교체가능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SB 인식 장치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100)은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구가 마련된 접속체에 구성되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100)은 상기 접속체에 연결(회로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별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촉체와 유닛이 탈부착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마련된 접속체의 일측에 개방구 또는 개폐가능한 커버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개방구 또는 커버 부내 내측에는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300)이 접속될 수 있는 접속용 접속포트가 구성되며, 상기 각 USB 디바이스 모듈(300)에는 상기 접속용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구가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USB 디바이스 모듈(300)이 마련된 유닛이 USB 인터페이스 모듈(100)이 마련된 접속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라도, USB 디바이스 모듈(100)의 유닛이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이 마련된 접속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체를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길(100)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300)과 USB 디바이스 모듈(100) 각각에 구비된 공통 통신스택(VID)과 개별 통신스택(PID)을 읽어들여 자동 인식하고, 이에 따라 VID, PID에 맞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해당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의하면, 공통의 단일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다양한 외부 장치(디바이스 모듈)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외부 장치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용도별 외부 장치의 회로적 및 소프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USB 디바이스 모듈
200: 휴대용 단말기
300: USB 인터페이스 모듈
400: 연동 애플리케이션

Claims (5)

  1. 하기 USB 디바이스 모듈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안드로이드 기반의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 간의 유에스비(USB) 인식 방법으로서,
    개별 통신스택을 갖는 별개의 USB 디바이스 모듈이 연결되며 공통 통신스택을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 단계;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이 연결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는 개별 통신스택 취득 단계;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로부터 얻은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읽어들여 인식하는 인식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공통 통신스택과 개별 통신스택에 근거하여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연동 앱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과 USB 인터페이스 모듈 간은 i2c, spi, uart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 각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USB 호스트에 의해 인식되는 통신스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에 구성되고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각각 부여되는 고유 통신스택이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은 상기 개별 통신스택에 대하여 연계되는 하나의 통신스택으로 이루어지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은 USB PID로 이루어지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은 USB VID로 이루어지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4. 안드로이드 기반의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USB 인식하여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에 있어서,
    공통 통신스택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 시 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동작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공통 통신스택과 연계되는 개별 통신스택을 갖는 USB 디바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로부터 얻은 개별 통신스택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이 인식하여 그 인식된 공통 통신스택과 개별 통신스택에 근거하여,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에 상응하여 실행되는 해당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과 USB 인터페이스 모듈 간은 i2c, spi, uart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통신스택은 USB VID로 이루어지고,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개별 통신스택은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고유 USB PID로 이루어지며,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유닛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이 포함된 접속체에 물리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KR1020180015663A 2018-02-08 2018-02-08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KR10202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63A KR102027202B1 (ko) 2018-02-08 2018-02-08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63A KR102027202B1 (ko) 2018-02-08 2018-02-08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10A true KR20190096110A (ko) 2019-08-19
KR102027202B1 KR102027202B1 (ko) 2019-10-01

Family

ID=6780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63A KR102027202B1 (ko) 2018-02-08 2018-02-08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92A (ja) * 2006-11-02 2008-05-22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110047341A (ko)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지인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퓨터 접속 방법
KR101487763B1 (ko) * 2013-08-06 2015-01-2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Usb통신을 이용한 스마트기기와 주변기기의 동기화 및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92A (ja) * 2006-11-02 2008-05-22 Sony Corp 通信方法および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110047341A (ko)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지인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퓨터 접속 방법
KR101487763B1 (ko) * 2013-08-06 2015-01-29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Usb통신을 이용한 스마트기기와 주변기기의 동기화 및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202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911C2 (ru) Двусторонний разъем дл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9722376B2 (en)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device
US10719145B1 (en) Enable single and dual active pens on a dual-screen device
RU2729057C2 (ru) Моби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с дополнительными функциями и способы их реализации
US10503683B2 (en) Service redirect over USB Type-C
US7921233B2 (en) Signal converter for an all-in-one USB connector that includes USB 2.0, USB 3.0 and eSATA
CN110023920B (zh) 主机检测usb集线器
EP343524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9471660B (zh) 扩展坞装置、电子装置及mac位址复制方法
CN111386433A (zh) 电器及其控制方法
KR102027202B1 (ko)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방법 및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인식장치
KR20200058157A (ko) Iv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698850B2 (en) Multimode audio accessory connector
CN110800168B (zh) 改变连接器中包括的端子的阻抗的方法和装置
US11349516B2 (e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ray for loading SIM card is inserte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24833A1 (ko)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1487763B1 (ko) Usb통신을 이용한 스마트기기와 주변기기의 동기화 및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KR102204053B1 (ko)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US20140201420A1 (en) Transmission interface system with detection function and method
KR102618386B1 (ko) 보안 요소를 통해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106776400A (zh) 电子设备及其电路、转接设备及其电路和信号控制系统
CN113659663A (zh) 充电装置
US20170097817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nstalling application into personal computer
US20100023668A1 (en) Computer system having multi-function card reader module with pci express interface
US20080091399A1 (en) Driverless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