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678A -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678A
KR20190095678A KR1020180014959A KR20180014959A KR20190095678A KR 20190095678 A KR20190095678 A KR 20190095678A KR 1020180014959 A KR1020180014959 A KR 1020180014959A KR 20180014959 A KR20180014959 A KR 20180014959A KR 20190095678 A KR20190095678 A KR 20190095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self
residential
elderly
question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204B1 (ko
Inventor
우성주
박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1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답변 총합 - (연령-65)* 나이 가중치"의 식에 따라 고령자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dwelling depression index of the elderly based on ego-projected images}
본 발명은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아 투사 이미지를 이용하여 고령자의 주거 환경에 따른 우울 지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의 주거문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주로 노년기의 생리적·신체적 변화를 보완할 수 있는 주거환경 개발에 초점을 두고 주거자의 장애유무 및 연령 등 신체적 조건과 행위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헬스케어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스마트홈 케어 시스템 연구에 집중되어 왔고, 개인의 감성적 만족도에 기반한 수요자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주거환경과 고령자자살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허지정, 최막중, 2013)에서는 고령자의 자실이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사회적 문제임을 인식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이는 개인적 속성까지는 반영하지 못한 통계적 분석의 결과이므로, 추후 고령자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과 환경적 특성을 통합 분석하여 상호영향력을 비교해 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존의 고령자 단독 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다양한 가구형태 중 일부로 고령자 단독 가구를 검토하고 있어 구체적인 삶의 양상이 잘 드러나지 않으므로 단독가구로 생활하는 고령자들의 구체적 일상을 파악하기 위해 양적 자료 분석은 물론 질적 연구를 통해 생활상을 심도 있게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고령자의 우울 등 부정정서에 대한 연구는 과거 노년기의 변화하는 생리·신체적 요인에 중점을 두던 경향에서 최근 경제적·사회적 환경변화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독거고령자의 자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고재욱 등의 연구(2011)를 보면, 자살개념을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그 요인을 정신건강·사회경제적 요인 등 영역별로 파악하여 개인 맞춤형 사례관리서비스를 구축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단독가구 고령자에 관한 국내 특허는 대부분 다양한 감지방법을 활용한 응급상황 판별 및 지원, 스마트홈 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및 진료시스템에 관한 내용으로, 거주자의 감성 측정을 통한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방법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제안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99665호 등에서는 고령자의 욕구 사정에 기초한 복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등록했으며, 몇몇 기업에서 모니터링 중심 시스템 특허가 등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고령자의 주거 환경을 고려하여 감성 측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05494호(공개일자 : 2010.01.15.) 2. 국내등록특허 제10-0799665호(등록일자 : 2008.01.24.)
1.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고령자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저자: 허지정, 최막중, 주택연구 2013년 21권 4호, pp.49-62 ISSN 1226-2676)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령자의 주거 환경에 따른 우울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아 투사 이미지를 기반으로 설문 조사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노화로 인하여 독해력과 집중력이 저하된 고령 응답자에 대한 주거 우울 상태도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 및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및 "
Figure pat00001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는 창문에 기대어 바깥을 바라보는 사람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1 자아 투사 이미지, 지팡이에 기댄 고령자가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바라보는 모습이 그려진 제2 자아 투사 이미지, 거실 소파에 등을 기대고 앉은 고령자가 제3 자아 투사 이미지, 1인용 의자에 옆으로 앉아있는 사람이 그려진 제4 자아 투사 이미지, 집 현관문을 나서는 고령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2층 주택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는 노신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6 자아 투사 이미지, 1층 주택을 벤치에 앉아 멀리서 바라보는 노부부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7 자아 투사 이미지, 창문 앞에 놓인 1인용 쇼파에 앉아 안경을 쓰고 책을 읽고 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8 자아 투사 이미지, 저택 앞에 서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 9 자아 투사 이미지, 및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소정 떨어진 거리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옆모습이 그려진 제10 자아 투사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성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우울감을 5점 척도 형식으로 질의하는 질문 항목들을 상기 제1 내지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나이 가중치는 0.3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기 설정된 주거 우울 등급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상기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에 설문지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사용자 답변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고, "
Figure pat00002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사용자 답변 분석부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령자 주거 우울증 진단을 위한 설문을 진행한 후, 설문 결과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고령자의 주거 환경에 따른 우울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아 투사 이미지를 기반으로 설문 조사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노화로 인하여 독해력과 집중력이 저하된 고령 응답자에 대한 고령자 주거 우울 상태도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는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20)에 설문지 제공부(1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사용자 답변 수신부(12), 및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고, "사용자 답변 총합 - (연령-65)* 나이 가중치"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사용자 답변 분석부(13), 사용자 단말(20) 등의 외부 단말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설치 및 실행하고, 이를 통해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가 제공하는 설문지를 사용자 안내하고,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답변을 획득하여 다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설문 조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대신에, 구글 설문지 등과 같이 포탈 사이트가 제공하는 앱 기능을 차용하여 주거 우울 지수 산출을 위한 설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참고로, 고령자인 경우, 노화로 인하여 독해력과 집중력이 저하되어 문장으로 된 설문 문항보다 자아 투사 이미지를 활용한 질문이 편안함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우울과 주거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질문보다 설문 대상자에게 자아 투사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이미지의 느낌을 물어보는 방식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특히, 고령자 주거 우울과의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자아 투사 이미지들을 도 2에서와 같이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정확한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는 총 10개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I1~I10),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5지 선다형으로 질의하는 질문 항목(①~⑤)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자아 투사 이미지(I1)는 창문에 기대어 바깥을 바라보는 사람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2 자아 투사 이미지(I2)는 지팡이에 기댄 고령자가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바라보는 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3 자아 투사 이미지(I3)는 거실 소파에 등을 기대고 앉은 고령자가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4 자아 투사 이미지(I4)는 1인용 의자에 옆으로 앉아있는 사람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5 자아 투사 이미지(I5)는 집 현관문을 나서는 고령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6 자아 투사 이미지(I6)는 2층 주택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는 노신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7 자아 투사 이미지(I7)는 1층 주택을 벤치에 앉아 멀리서 바라보는 노부부의 뒷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8 자아 투사 이미지(I8)는 창문 앞에 놓인 1인용 쇼파에 앉아 안경을 쓰고 책을 읽고 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 9 자아 투사 이미지(I9)는 저택 앞에 서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제10 자아 투사 이미지(I10)는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소정 떨어진 거리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옆모습이 그려진 이미지이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다수개의 자아 투사 이미지가 총 10개인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주거 우울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자아 투사 이미지의 종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자아 투사 이미지는 남녀 공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남성용 자아 투사 이미지는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을 남성으로 표현하고, 여성용 자아 투사 이미지는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을 여성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설문 대상자가 보다 손쉽게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을 자기 동일시하고, 보다 손쉽게 자신의 심리 상태를 자아 투사 이미지에 투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설문지 제공부(11)는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5지 선다형으로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한다(S1). 이때,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남녀 공용, 남성용, 여성용으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이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설문 대상자의 성별을 문의한 후, 성별에 맞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하도록 한다(S3).
그리고 설문 조사가 완료되어 사용자 단말(20)이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고(S4),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5점 척도 형식으로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도록 한다(S5).
예들 들어, 이하의 표1에서와 같이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4지 선다형으로 질의하는 경우, 사용자가 1번을 선택하면 1점, 2번을 선택하면 2점, 3번을 선택하면 3점, 4번을 선택하면 4점, 5번을 선택하면 5점이 해당 자아 투사 이미지의 개별 점수로 산출되도록 하고, 이들 점수를 자아 투사 이미지 모두에 대해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도록 한다.
I1.
(1) 많이 불행하다 (2) 약간 불행하다 (3) 보통이다 (4) 약간 행복하다 (5) 많이 행복하다
그리고 단계 S6을 통해 사용자 답변 총합이 산출되면, 이하의 수학식 1에 따라 사용자 답변 총합에 기반한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한 후, 사용자 단말(20)에 통보하거나,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의 운영자, 즉 설문 조사자에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한다(S6).
Figure pat00003
이때, 나이 가중치는 연령으로 인한 일반적 우울감 증가를 상쇄시키기 위한 가중치이다. 이는 설문 데이터로 연구한 결과,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은 연령이 1세 증가함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가 0.32점씩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으로, 예를 들어, 0.32로 사전 정의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주거 우울 지수 자체를 안내하는 대신에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한 후, 이를 사용자, 장치 운영자, 또는 설문 조사자 등에 시청각적으로 안내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답변 분석부(13)는 주거 우울 등급 분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획득 및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주거 우울 등급은 고도, 중도, 경도의 3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고령자주거 우울 지수가 12.87점인 경우에는 고도로, 고령자주거 우울 지수가 12.47점인 경우에는 중도로, 고령자주거 우울 지수가 12.0점인 경우에는 경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거 우울 등급 결과와 사용자 정보를 인근 의료 기관, 복지 기관, 정부 기관 등에 자동 제공함으로써, 인근 의료 기관, 복지 기관, 정부 기관 등이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도 주거 우울 등급이 판정받는 사용자가 파악되면, 정부 기관이 주거 환경 개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원 봉사자가 해당 사용자의 집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복지 기관이 해당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복지 기관에서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절차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의 정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최종적으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통하여 본 발명의 주거 우울 지수가 각각 고도, 중도, 경도 주거 우울유형 집단을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ROC Curve 분석이 진단 척도의 대체 및 타당화에 적용될 때에는 민감도(이를테면, 주거 우울이라고 진단된 사람들을 주거 우울이라고 진단할 확률)와 특이도(이를테면, 주거 우울이 아니라고 진단된 사람들을 주거 우울이 아니라고 진단할 확률)를 분석해서, 하나의 선형적인 값이 얼마나 진단을 예측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거 우울로 정의된 피험자를 '진단'값으로 하고, 나머지를 '비진단' 값으로 하여, 진단 예측에 대한 민감도와, 비진단 예측에 대한 특이도를 각각 살펴보았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게 나타난다면 해당 지수가 주거 우울 진단에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ROC Curve는 척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기반으로 그려진 곡선으로, 곡선이 북서쪽으로 넓게 나타날수록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그 넓이를 AUC(area under the ROC curve)라고 칭한다. 통상 AUC 값이 0.5를 초과하면(ROC Curve가 참조선 상단에 위치하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보며, 실제 정신장애 관련 연구에서는 분야에 따라 0.7 혹은 0.8 이상일 때에 유용한 대체 척도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한국판 정신장애 진단 선별 질문지의 표준화 연구 : 진단적 타당성, 저자: 최형근, 정성원, 조현주, 김정범, 정철호, 학술지정보 : 대한불안의학회지 2013, 9권 1호 참고).
먼저, 고도 주거 우울 유형의 경우, 전체 301명 중 진단 15명, 비진단 286명으로, 주거 우울 지수의 ROC Curve 분석 결과 AUC 값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산출된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주거 우울 지수의 AUC 값은 0.937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거 우울 지수가 고도 주거 우울 유형을 진단하는 최적 절단점은 25.34점으로 민감도 0.933, 특이도 0.881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중도 주거 우울 유형의 경우, 전체 301명 중 진단 40명, 비진단 261명으로, I 및 K 기반 주거 우울 지수의 각각 ROC Curve 분석결과 AUC 값은 도 4의 (b)에서와 같이 산출된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주거 우울 지수의 AUC 값은 0.952으로 아주 높게 나타나며, 주거 우울 지수가 중도 주거 우울 유형을 진단하는 최적 절단점은 24.1점으로 민감도 0.975, 특이도 0.889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도 주거 우울 유형의 경우, 전체 301명 중 진단 56명, 비진단 245명으로, 주거 우울 지수의 ROC Curve 분석결과 AUC 값은 도 4의 (c)에서와 같이 산출된다. 도 4의 (c)를 참고하면, 주거 우울 지수의 AUC 값은 0.972로 나타나며, 주거 우울 지수가 경도 주거 우울 유형을 진단하는 최적 절단점은 23.18점으로 민감도 0.946, 특이도 0.897에 해당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 본 발명의 주거 우울 지수는 각각 주거 우울유형을 진단하는 데에 충분히 대체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도주거 우울유형의 경우 예외값에 해당할 정도로 적은 숫자의 피험자가 해당하므로 대체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경도주거 우울유형까지를 포함한 전체 주거 우울유형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AUC 값이 주거 우울 지수의 경우 0.972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 및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및
    "
    Figure pat00004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는
    창문에 기대어 바깥을 바라보는 사람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1 자아 투사 이미지, 지팡이에 기댄 고령자가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바라보는 모습이 그려진 제2 자아 투사 이미지, 거실 소파에 등을 기대고 앉은 고령자가 제3 자아 투사 이미지, 1인용 의자에 옆으로 앉아있는 사람이 그려진 제4 자아 투사 이미지, 집 현관문을 나서는 고령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2층 주택을 멀리서 바라보고 있는 노신자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6 자아 투사 이미지, 1층 주택을 벤치에 앉아 멀리서 바라보는 노부부의 뒷모습이 그려진 제7 자아 투사 이미지, 창문 앞에 놓인 1인용 쇼파에 앉아 안경을 쓰고 책을 읽고 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8 자아 투사 이미지, 저택 앞에 서있는 고령자의 앞모습이 그려진 제 9 자아 투사 이미지, 및 커텐이 반쯤 쳐진 창문을 소정 떨어진 거리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옆모습이 그려진 제10 자아 투사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에 포함된 사람의 성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문 대상자의 우울감을 5점 척도 형식으로 질의하는 질문 항목들을 상기 제1 내지 제5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할당하여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 가중치는
    0.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거 우울 등급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상기 주거 우울 지수를 주거 우울 등급으로 변환 및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7. 다수의 자아 투사 이미지와,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질의하는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를 사용자 단말에 설문지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거 우울증 진단용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 답변을 수신하는 사용자 답변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답변에 포함된 상기 자아 투사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우울감을 점수 방식으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사용자 답변 총합을 산출하고, "
    Figure pat00005
    "의 식에 따라 주거 우울 지수를 산출하는 사용자 답변 분석부를 포함하는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장치.
KR1020180014959A 2018-02-07 2018-02-07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207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59A KR102073204B1 (ko) 2018-02-07 2018-02-07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59A KR102073204B1 (ko) 2018-02-07 2018-02-07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78A true KR20190095678A (ko) 2019-08-16
KR102073204B1 KR102073204B1 (ko) 2020-02-04

Family

ID=6780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59A KR102073204B1 (ko) 2018-02-07 2018-02-07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2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754A (ko)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5751A (ko)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거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055B1 (ko) 2022-01-25 2023-03-20 안지윤 초진 환자의 설문 정보 기반 환자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65B1 (ko) 2007-04-10 2008-01-3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복지 서비스를 위한 욕구 사정 예측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005494A (ko)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47931A (ko) * 2008-10-30 2010-05-11 (주)지온소프트 결심보완 온라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5297A (ko) * 2011-03-15 2012-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서 반응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101258978B1 (ko) * 2010-08-05 2013-05-02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심리치유를 위하여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1664862B1 (ko) * 2015-01-27 2016-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트레스 평가방법
KR101814706B1 (ko) * 2015-05-11 2018-01-04 정영진 심리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65B1 (ko) 2007-04-10 2008-01-3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노인 복지 서비스를 위한 욕구 사정 예측 방법 및 상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005494A (ko) 2008-07-07 2010-01-15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47931A (ko) * 2008-10-30 2010-05-11 (주)지온소프트 결심보완 온라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8978B1 (ko) * 2010-08-05 2013-05-02 마인드프리즘 주식회사 심리치유를 위하여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20120105297A (ko) * 2011-03-15 2012-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서 반응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101664862B1 (ko) * 2015-01-27 2016-10-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트레스 평가방법
KR101814706B1 (ko) * 2015-05-11 2018-01-04 정영진 심리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지역의 주거환경 특성이 고령자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저자: 허지정, 최막중, 주택연구 2013년 21권 4호, pp.49-62 ISSN 1226-267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754A (ko)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5751A (ko) 2020-07-31 2022-02-0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거복지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204B1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stean et al.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ors, and family relationships among Latina/o immigrants.
Nota et al. Employer attitudes towards the work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Rabbi et al. Passive and in-situ assessment of mental and physical well-being using mobile sensors
Hardy et al. The impact of psychological distress on absence from work.
Goodman et al. Population mean scores predict child mental disorder rates: validating SDQ prevalence estimators in Britain
KR102073204B1 (ko) 자아 투사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Dickinson et al. Quantifying the physical, social and attitudinal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oren et al. The development and cross-validation of a self-report inventory to assess pure-tone threshold hearing sensitivity
Roh et al. Living arrang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KR20200001777A (ko) 우울증 발병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우울증 발병 예측 디바이스
Adamson et al. The psychosocial versus material hypothesis to explain observed inequality in disability among older adults: data from the West of Scotland Twenty-07 Study
Chan et al. Personal, environmental, and service-delivery determinants of employment quality for st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consumers: A multilevel analysis
Flamme et al. Short-term variability of pure-tone thresholds obtained with TDH-39P earphones
Ziemssen et al. Development of the multiple sclerosis (MS) early mobility impairment questionnaire (EMIQ)
KR102211391B1 (ko) 고령자 대상 인지장애 조기 검진 및 커뮤니티케어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terson et al. Nonverbal behavioral indicators of negative affect in couple interaction
Pan et al. Quality of urban life among older adults in the world major metropolises: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Schein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panded hearing loss scale questionnaire
Woo et al. Perceived social position of Asian Americans: Neighborhood context and social comparison
KR102071604B1 (ko) Khtp 이미지 기반으로 한 고령자의 주거 우울 지수 산출 방법 및 장치
Carso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aediatric version of the Khalfa Hyperacusis Questionnaire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Mokkink et al. Improving the qua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Dutch scales of the Communication Profile for the Hearing Impaired using item response theory
Opoku-Ware et al. Modeling the structural effects of residential instability, family disruptions, and social support on neighborhood crime perceptions: A partial test of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US20230197274A1 (en) Server and method for classifying mental state
Malkina-Pykh et al. Integrated modelling for delineating index of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predictors and method of response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