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428A -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428A
KR20190095428A KR1020197021139A KR20197021139A KR20190095428A KR 20190095428 A KR20190095428 A KR 20190095428A KR 1020197021139 A KR1020197021139 A KR 1020197021139A KR 20197021139 A KR20197021139 A KR 20197021139A KR 20190095428 A KR20190095428 A KR 2019009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parameter set
basic parameter
correspondence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화 리우
화 수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7889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954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9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04W72/048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유연한 랜덤 액세스를 실현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가 사용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랜덤 액세스는 셀룰러 시스템에 구비되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며,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으며, 랜덤 액세스의 성공률은 랜덤 액세스 과정이 순조롭게 완성되는 여부에 의하여 결정된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환경이 보다 복잡하고, 이에 따라 보다 유연한 랜덤 액세스 과정이 필요된다.
보다 유연한 랜덤 액세스를 어떻게 실현하는 것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유연한 랜덤 액세스를 실현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가 사용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와 결합하고, 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메시지는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랜덤 함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한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1 확률값을 확정하는 단계, 및
제 1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확률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2 확률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제 2 대응 관계, 상기 제 2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가 나타내는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3 확률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제 3 대응 관계, 상기 제 3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품질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는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 4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지연 요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량의 범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유형, 적어도 하나의 콜 유형,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페이징 메시지에 의하여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아이들 상태에서 연속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동기화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 핸드 오버를 실시하는 것,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무선 링크에 실패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및 제 5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대응 관계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인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6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품질값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7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7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셀, 추적 영역, 페이징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을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8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8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9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9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10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0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11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에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방식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서로 다른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수량 및 / 또는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서로 다르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나타내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회 선택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은 저번의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 또는 저번의 랜덤 액세스 과정이다.
제 1 양태 또는 그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고,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또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 2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기본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는 제 1 양태 또는 그 선택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 유닛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3 양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고, 해당 메모리는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호출하여 제 1 양태 또는 그 선택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4 양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 1 양태 또는 그 선택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 5 양태는 시스템 칩을 제공하고, 해당 시스템 칩은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코드를 실행하고, 해당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해당 프로세서는 제 1 양태 또는 그 선택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현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실시할 때에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랜덤 액세스를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의해 보다 분명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경우, 창조적인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에서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다음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 전면적으로 설명하고, 분명히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이며,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에서 얻은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다음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을 설명하고, 분명히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이며,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에서 얻은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SM :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 Genera1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장기적 진화형(LTE :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복신(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복신(TDD : Time Division Duplex), 일반 이동 통신 시스템(UMTS :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와이맥스(WiMAX :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 5G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 영역 내에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의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WCDMA 시스템의 기지국(NB : NodeB), LTE 시스템의 진화형 기지국(eNB 또는 eNodeB : Evolutional Node B),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RAN : Cloud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 컨트롤러,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의 공중 이동 통신망 PLMN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하는 것이거나 또는 고정된 것일 수 있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E : User Equipment),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르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설정 프로토콜(SIP :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처리(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변조 복조기에 연결되는 기타 기기, 자동차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5G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엔알(NR : NewRadio)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라고도 부른다.
본 출원의 실시예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 캐리어 간격, 특정 대역폭에서의 서브 캐리어 수량, 물리 리소스 블록 PRB 내의 서브 캐리어 수량,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OFDM 심볼의 길이, OFDM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는 푸리에 변환, 예를 들어 고속 푸리에 변환(FFT : Fast Fourier Transform), 역 푸리에 변환 예를 들어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의 포인트, 전송 시간 간격 TTI의 OFDM 심볼 수량, 특정 시간 길이 내에 포함되는 TTI 수량 및 신호 프리픽스의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 캐리어 간격은 인접한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간격 예를 들어, 15kHz, 60kHz 등이며, 특정 대역폭에서의 서브 캐리어 수량은 예를 들어 각 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수량이며, P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량은 일반적으로 12의 정수배이며, TTI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량은 일반적으로 14의 정수배이며, 일정한 시간 단위 내에 포함되는 TTI 수량은 예를 들어, 1ms 또는 10ms의 시간 길이 내에 포함되는 TTI 수량일 수 있이며, 신호 프리픽스 길이, 예를 들어 신호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시간 길이, 또는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통용 CP 또는 확장 CP를 사용하는 여부 등이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나타내고, 선택 가능하게,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 범위 내에 기타 수량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컨트롤러,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 등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바뀌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및 / 또는"은 단지 관련 타겟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고, 다음의 세 가지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 / 또는 B는 A가 단독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또는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는 일반적으로 전후의 관련 타겟에 있어서 "또는"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200)은 도 1에서 나타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도 1에서 나타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210단계 및 220단계를 포함한다.
210단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가 사용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한다.
220단계에서,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메시지는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방법(300) 및 도 4에 나타내는 방법(400)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 및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과 같은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310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채널로 MSG1을 송신하고, MSG1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이다.
320단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MSG1을 수신한 후, 하향 공통 채널(DL-SCH : Downlink share channel)에서 MSG2를 송신하고, 여기서 MSG2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 Random Access Response)이고, RAR 응답은 TA 조정, 상향 허가 명령 및 임시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T-CRNTI : Temporary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즉 CRNTI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MSG2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 Media Access Control) 계층에서 생성되고, DL_SCH 의해 운반되며, 하나의 MSG2 메시지는 동시에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랜덤 액세스 요청 응답에 대응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사용하여 MSG2을 스케줄링하고,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 : Random Access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하여 주소 지정하고, RA-RNTI는 MSG1을 운반하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시간 주파수 리소스 위치에 의하여 확정된다.
선택 가능하게, MSG2는 상향 전송 타이밍 어드밴스, MSG3에 할당한 상향 리소스, 임시 C-RNTI 등을 포함한다.
330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MSG2을 수신한 후, 자신에게 속하는 RAR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신에게 속하는 RAR 메시지로 판단하는 경우 MSG3을 송신하고, 해당 MSG3은 UE -ID를 포함하고, 여기서 해당 MSG3에 의하여 UE의 RRC 계층에서 생성된 RRC Connection Request를 전송하고, 해당 RRC 연결 요청을 상향 공통 채널(UL-SCH : Uplink Shared Channel)의 공통 제어 채널(CCCH : Common Control Channel)에 매핑하여 송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MSG1 및 MSG2는 낮은 계층 메시지이고, 레이어 3(L3 : Layer3)에서 보이지 않아, 신호 추적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첫 번째 시그널링은 MSG3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MSG2을 수신한 후, 그에 의해 할당되는 상향 리소스에서 MSG3를 전송한다.
340단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MSG3 메시지를 수신한 후, MSG4을 송신할 수 있고, 여기서 해당 MSG4는 UE-ID를 포함하고, MSG4에 의하여 RRC 경합 해결(RRC Contention Resolution)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에 의해 생성되고, DL-SCH의 CCCH 또는 전용 제어 채널(DCCH : Dedicated Control Channel)에 매핑되어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MSG4을 수신한 후, 그중에 자신의 UE-ID가 포함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가 성공한다고 판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장면에 대해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각 메시지에 포함되는 내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의 초기 액세스의 경우, MSG3는 UE의 S-TMSI 또는 랜덤 수를 포함하는 RRC 계층에서 생성된 RRC 연결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재확립의 경우, MSG3는 C-RNTI와 PCI를 포함하는 RRC 계층에서 생성된 RRC 연결 재확립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핸드 오버의 경우, MSG3 메시지는 RRC 계층에서 생성된 RRC 핸드 오버 완료 메시지와 UE의 C-RNT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 / 하향 데이터가 도달하는 장면에 있어서, MSG3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C-RNTI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표 1에서 나타내는 서로 다른 장면에 있어서, 경합 판정, 스케줄링 및 C-RNTI를 설명한다.
경합 해결 초기 액세스 및 연결 재확립 핸드 오버, 상향 / 하향 데이터가 도달하는 장면
경합 판정 MSG4는 성공적으로 복조한 MSG3 메시지의 카피를 포함하고, UE는 그것을 자신의 MSG3에서 송신한 높은 계층 식별자와 비교하며, 양자가 동일한 경우 경합 성공으로 판정한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PDCCH에서 MSG4를 스케줄링하는 명령어를 수신한 경우, 경합이 성공한다
스케줄링 MSG4는 임시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를 이용하여 스케줄링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C-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를 이용하여 MSG4를 스케줄링한다
C-RNTI MSG2에 의해 송신한 임시 C-RNTI는 경합 성공한 후 UE의 C-RNTI로 업그레이드된다 이전에 단말기 디바이스에 C-RNTI를 할당하고, MSG3에서 그것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경합 해결한 후, 임시 C-RNTI는 회수되고, 단말기 디바이스의 원래 C-RNTI를 계속 사용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방법(300)은 단지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현 방식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4에 나타낸바와 같이 해당 방법(400)은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이고,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410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MSG1를 송신하고, 해당 MSG1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코드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대기하는 데이터 버퍼 상태 정보 및 연결 확립 요구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420단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MSG2를 송신하고, 해당 MSG2는 TA 조정, 상향 허가 명령어 및 T-CRNTI을 포함하고,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의 식별자 정보와 연결 확립 응답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방법(400)은 단지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의 하나의 구현 방식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 1 메시지는 MSG1, MSG2, MSG3 또는 MSG4일 수 있고, 여기서 MSG1, MSG, MSG3 또는 MSG4에 포함된 정보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일 수 있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 과정은 경합에 따른 랜덤 액세스 과정 또는 비 경합에 따른 랜덤 액세스 과정일 수 있고, 여기서 비 경합에 따른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MSG1 메시지 전에 MSG0을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MSG0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MSG1 송신에서 점용하는 리소스 및 MSG1에 포함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해당 비 경합에 따른 랜덤 액세스는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 및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 적용된다.
선택 가능하게, 경합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식은 다음 장면에 응용될 수 있다.
1) RRC_IDLE 상태에서의 초기 액세스,
2) 무선 링크 오류 발생 후의 초기 액세스,
3) RRC_CONNECTED 상태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이 발생할 때 액세스하고, 예를 들어, 상향 비동기화 "non-synchronised"가 발생하거나 또는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PUCCH 리소스가 없는 경우, 즉, 이러한 경우에서 랜덤 액세스 방식이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하는 다른 방식이 없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선택 가능하게, 비 경합에 따른 랜덤 액세스 방식은 다음 장면에 응용될 수 있다.
1) RRC_CONNECTED 상태에서 하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향 비동기화 "non-synchronised"가 발생하면, 데이터 전송에 대해 수신하는 외에 확인할 필요도 있고, 상향 비동기화이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 정보의 수신을 확보할 수 없고, 이때 하향 동기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단말기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를 위한 리소스를 하향 메시지로 통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리앰블 계열 및 송신 타이밍 등이며, 이러한 리소스는 모두 양자에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경합 방식에 의하여 시스템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다.
2) 핸드 오버 과정의 랜덤 액세스에 있어서, 핸드 오버 과정에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고정적인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선택 가능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랜덤 함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한다.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참조하여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어떻게 확정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상기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출하 또는 초기화할 때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1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1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확률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각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할 때 필요한 확률 범위를 설정한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기 전에 랜덤 함수를 사용하여 확률값을 취득하고, 해당 확률값이 속하는 확률 범위에 대응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실현 방식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일부 기본 파라미터 세트의 확률 범위만을 구성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한 확률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해당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타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2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2 대응 관계, 상기 제 2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가 나타내는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제 2 대응 관계를 구성하고, 해당 제 2 대응 관계는 각 단말기 디바이스 레벨에 대응하는 확률 범위 및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 등급 A에 대하여 확률 범위가 0-50인 경우, 기본 파라미터 세트 1을 사용하고, 확률 범위가 51-100인 경우, 기본 파라미터 세트 2를 사용한다.
물론 해당 실현 방식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일 단말기 레벨에 대해 일부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대응하는 확률 범위만을 구성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한 확률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대응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타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3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3 대응 관계, 상기 제 3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품질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제 3 대응 관계를 구성하고, 해당 제 3 대응 관계는 각 서비스 품질 레벨에 대응하는 확률 범위 및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레벨 A에 대하여 확률 범위가 0-50인 경우, 기본 파라미터 세트 1을 선택하고, 확률 범위가 51-100인 경우, 기본 파라미터 세트 2를 선택한다.
물론 해당 실현 방식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일 서비스 품질 레벨에 대해 일부 기본 파라미터 세트의 확률 범위만을 구성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한 확률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해당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다른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는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 4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지연 요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량의 범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유형, 적어도 하나의 콜 유형,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지연 요구가 높은 서비스를 개시할 경우, 짧은 TTI 또는 큰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의 송신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MSG1 또는 MSG3을 송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페이징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에서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페이징 메시지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 1 메시지는 MSG2 또는 MSG4일 수 있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MSG1 또는 MSG3에서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아이들 상태에서 연속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동기화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 핸드 오버를 실시하는 것,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무선 링크에 실패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및 제 5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5 대응 관계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인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링크 실패로 인해 RRC 재확립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연결을 조속히 회복하기 위해 짧은 TTI 또는 큰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예를 들어, MSG1 또는 MSG3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핸드 오버할 경우, 핸드 오버 명령어를 수신한 후 먼저 타겟 셀에서 랜덤 액세스를 진행해야 하고, 핸드 오버 지연을 줄이기 위해 짧은 TTI 또는 큰 서브 캐리어 간격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예를 들어, MSG1 또는 MSG3을 송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인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의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6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6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품질값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7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7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셀, 추적 영역, 페이징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시스템 정보의 각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 대응하는 셀, 추적 영역, 페이징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서비스 제공 영역이라 할 수도 있다)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계약 정보 또는 NAS 계층 메시지에 의하여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8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8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기본 파라미터 세트의 시간 범위는 시간 또는 날짜를 단위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매일 0시 -12시에서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1을 사용하고, 기타 시간에서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2를 사용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9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9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기 위한 리소스는 시간 영역, 주파수 영역, 코드 영역 및 공간 영역(예를 들어, 빔) 리소스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10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10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구성하고, 단말기가 랜덤 액세스의 주파수 대역 또는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대응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한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11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에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 1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방식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서, 서로 다른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수량 및 / 또는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서로 다르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나타내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SG2를 전송할 때, MSG1의 전송에 사용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MSG2를 전송하기 위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SG4를 전송할 때, MSG3를 전송하기 위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MSG4를 전송하기 위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MSG3를 전송할 때, MSG2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MSG3의 전송에 사용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MSG2에 포함된 정보가 나타내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MSG3를 전송하기위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저번의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저번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MSG1을 송신할 때, 저번의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신한 MSG1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이번 MSG1 송신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MSG3을 송신할 때, 저번에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신한 MSG3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이번 MSG3 송신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회 선택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일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MSG1를 복수회 송신하고, MSG2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저번의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신한 MSG1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이번 MSG1 송신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일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MSG1를 복수회 송신하고, MSG2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저번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신한 MSG1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이번 MSG1 송신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일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MSG1를 복수회 송신하고, MSG2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미리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MSG1 재송신에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또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 2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기본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 포함된 대응 관계 또는 임계값 등은 미리 구성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출하 시, 초기화 시 구성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계약 정보에 의해 취득한 것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에 포함된 대응 관계 또는 임계값 등은 NAS 계층에 의하여 미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구체적인 상황에 의하여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고정적인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500)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디바이스(500)는 확정 유닛(510) 및 송수신 유닛(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확정 유닛(510)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가 사용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 유닛(520)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메시지는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디바이스(500)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또는,
상기 디바이스(500)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랜덤 함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1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1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확률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와 적어도 1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2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2 대응 관계, 상기 제 2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가 나타내는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3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3 대응 관계, 상기 제 3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품질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는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제 4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지연 요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량의 범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유형, 적어도 하나의 콜 유형,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페이징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아이들 상태에서 연속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동기화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 핸드 오버하는 것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무선 링크에 실패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및 제 5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5 대응 관계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인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제 6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6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품질값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제 7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7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셀, 추적 영역, 페이징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을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제 8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8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제 9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9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제 10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0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제 11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에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방식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서로 다른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수량 및 / 또는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서로 다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나타내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확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회 선택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한 랜덤 액세스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은 저번의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 또는 저번의 랜덤 액세스 과정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 1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또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 2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고,
상기 송수신 유닛(520)은 또한
상기 제 2 기본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해당 제 1 디바이스(500)는 도 2에 나타낸 방법(200)을 실행하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600)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610) 및 메모리(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620)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고, 해당 프로세서(610)는 해당 메모리(6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디바이스(600)는 송수신기(63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610)는 송수신기(630)와 외부 사이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해당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방법(200)의 제 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구성도이다. 도 7의 시스템 칩(700)은 입력 인터페이스(701), 출력 인터페이스(702)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703)와 메모리(704)는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703)는 상기 메모리(704) 내의 코드를 실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7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방법을 실현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는 각 예시적인 유닛 및 알고리즘의 단계를 결합하고,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의 형식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의 형식으로 실시할지에 대해서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하여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 특정 응용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되어 있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간결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설명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 방법은 단순한 로직 기능 구분이며, 실제로 실현할 때 다른 구분 방법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를 다른 시스템에 통합하거나 집적할 수 있고, 또는 일부 기술 특징을 생략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명시되거나 논의되는 각 구성 부분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복수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 구성 요소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일 수도 있고, 유닛으로 나타낸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일 수도 있어,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여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의하여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은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고,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을 하나의 유닛에 집적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방식으로 실현하고, 게다가 독립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사실상 즉 선행 기술에 대하여 공헌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고, 컴퓨터 디바이스(PC,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으로도 사용할 수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 기억 매체는 USB 메모리, 이동 기억 매체, 읽기 전용 메모리(ROM :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기억 장치(RAM :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에 개시되어있는 범위 내에서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형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허 청구 범위에 준한다.

Claims (52)

  1.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가 사용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메시지는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랜덤 함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1 확률값을 확정하는 단계, 및
    제 1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확률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2 확률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제 2 대응 관계, 상기 제 2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가 나타내는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3 확률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제 3 대응 관계, 상기 제 3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품질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는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0.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 4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지연 요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량의 범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유형, 적어도 하나의 콜 유형,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1. 제 4 항, 제 5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페이징 메시지에 의하여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2.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아이들 상태에서 연속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동기화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 핸드 오버하는 것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무선 링크에 실패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3.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및 제 5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대응 관계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인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4.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6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품질값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5.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7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7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6.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셀, 추적 영역, 페이징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8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8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9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9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1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10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0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11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에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방식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1.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수량 및 / 또는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2.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나타내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3.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4.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회 선택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은 저번의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 또는 저번의 랜덤 액세스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6. 제 3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또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 2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기본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27.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제 1 메시지가 사용하는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확정 유닛, 및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제 2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제 1 메시지는 4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또는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또는,
    상기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랜덤 함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이전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미리 구성된 복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에서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1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1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확률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3.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2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2 대응 관계, 상기 제 2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레벨 정보가 나타내는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4.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랜덤 함수에 의하여 제 3 확률값을 취득하고,
    제 3 대응 관계, 상기 제 3 확률값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품질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확률 범위 및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5.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는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6. 제 30 항, 제 31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전송 대기 서비스의 지연 요구, 전송 대기 서비스의 데이터 량의 크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의 콜 유형,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베어러,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데이터 스트림 및 전송 대기 서비스가 소속된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제 4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 레벨, 적어도 하나의 지연 요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량의 범위,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유형, 적어도 하나의 콜 유형,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7. 제 30 항, 제 31 항,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페이징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전송 대기 서비스의 서비스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8.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초기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아이들 상태에서 연속 상태로 전환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동기화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리소스를 요청하는 것,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셀 핸드 오버하는 것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무선 링크에 실패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39. 제 30 항, 제 31 항 또는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트리거 요인 및 제 5 대응 관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5 대응 관계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요인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0.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제 6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현재 링크 품질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6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 품질값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1.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제 7 대응 관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7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2. 제 30 항, 제 31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현재 소재 셀, 추적 영역, 페이징 영역 또는 서비스 영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3.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제 8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 시간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8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4.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제 9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9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범위와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5.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제 10 대응 관계 및 상기 제 1 메시지의 전송에 사용되는 리소스의 소재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0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6.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제 11 대응 관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실행에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1 대응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랜덤 액세스 방식과 적어도 하나의 기본 파라미터 세트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7. 제 30 항, 제 31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수량 및 / 또는 송수신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8.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의 히스토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가 나타내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49.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전송되는 메시지가 사용하는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50.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확정 유닛은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회 선택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송신한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미리 구성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 또는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사용된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상기 제 1 기본 파라미터 세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51. 제 49 항 또는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랜덤 액세스 과정은 저번의 액세스 성공한 랜덤 액세스 과정 또는 저번의 랜덤 액세스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52. 제 29 항 내지 제 5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또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기 위한 제 2 기본 파라미터 세트를 나타내고,
    상기 송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 2 기본 파라미터에 의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197021139A 2017-01-05 2017-01-05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95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70329 WO2018126417A1 (zh) 2017-01-05 2017-01-05 用于随机接入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428A true KR20190095428A (ko) 2019-08-14

Family

ID=6278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139A KR20190095428A (ko) 2017-01-05 2017-01-05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11197326B2 (ko)
EP (2) EP3557938B1 (ko)
JP (1) JP7203736B2 (ko)
KR (1) KR20190095428A (ko)
CN (1) CN110073711B (ko)
AU (1) AU2017391792B2 (ko)
BR (1) BR112019012954A2 (ko)
CA (1) CA3049281C (ko)
ES (1) ES2887009T3 (ko)
IL (1) IL267852B2 (ko)
MX (1) MX2019008091A (ko)
MY (1) MY202268A (ko)
PH (1) PH12019501593A1 (ko)
RU (1) RU2742048C1 (ko)
SG (1) SG11201906263PA (ko)
TW (1) TWI751258B (ko)
WO (1) WO2018126417A1 (ko)
ZA (1) ZA2019048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8078B (zh) * 2016-12-26 2019-03-1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前传网络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JP2020036058A (ja) 2017-01-10 2020-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8633104B (zh) * 2017-03-20 2020-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用户设备、基站以及随机接入系统
JP7037635B2 (ja) * 2017-08-04 2022-03-16 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 データ送信方法、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11304237B2 (en) * 2017-11-28 2022-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with different TTI durations
CN110351708B (zh) * 2018-04-03 2020-11-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标识上报的方法、设备和介质
CN111757528B (zh) * 2019-03-29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及通信装置
CN114503771B (zh) * 2019-09-27 2023-10-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在随机接入过程中监控窗口的终止
CN113260078A (zh) * 2020-02-07 2021-08-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上报方法、接收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669167A (zh) * 2020-05-26 2023-01-31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002872A (zh) * 2021-03-02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800B1 (ko) * 2003-11-12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단계의 서비스 품질을 구현하는이동통신단말과 그 방법
KR101062098B1 (ko) 2006-10-03 2011-09-0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의 시스템 액세스에 대한 랜덤 액세스 시그널링 전송
DK2213013T3 (en) * 2007-10-31 2017-02-06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SELECTION OF SENDING MODE IN A RANDOM ACCESS PROCEDURE
CN101453778A (zh) 2007-11-28 2009-06-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及装置
EP2107838A1 (en) 2008-04-03 2009-10-07 Alcatel Lucent Method for configuring a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020269B2 (ja) * 2009-02-09 2012-09-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BRPI1012092B8 (pt) 2009-05-25 2022-09-27 Sharp Kk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método de comunicação sem fio, aparelho terminal, e aparelho de comunicação
CN102083228B (zh) * 2010-02-11 2015-05-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中继系统的随机接入方法和设备
AU2010345902B2 (en) * 2010-02-12 2015-06-04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2948233A (zh) 2010-06-21 2013-02-2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中寻呼的方法和装备
US20120033613A1 (en) 2010-08-04 2012-02-09 National Taiwan University Enhanced rach design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CN102387600B (zh) 2010-09-06 2014-03-26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宽带集群通信系统中随机接入的方法
CN102572913B (zh) 2010-12-08 2015-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测量方法及通信系统以及相关设备
CN102695285B (zh) 2011-03-21 2014-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载波场景下随机接入方法及装置
EP2826288B1 (en) * 2012-03-16 2018-12-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andom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systems
KR102039065B1 (ko) 2012-05-08 2019-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큰 셀 반경을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랜덤 액세스 채널 구조
WO2015002432A1 (ko) * 2013-07-01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JP6114468B2 (ja) * 2013-07-19 2017-04-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15012666A1 (ko) * 2013-07-26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tc를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204599B2 (ja) * 2013-09-16 2017-09-2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ランダムアクセスにおいてリソースを事前決定するための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US10098156B2 (en) * 2013-12-30 2018-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MTC device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according to plurality of parameter sets
JP6441373B2 (ja) * 2014-02-28 2018-12-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低い遅延を有する上向き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US10034308B2 (en) * 2014-03-11 2018-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temporary identifier to terminal in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MY180548A (en) 2014-08-15 2020-12-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upporting random access and paging procedures for reduced capability wtrus in an lte system
EP3627961B1 (en) * 2015-03-25 2021-05-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nitoring ue reach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GB2537178A (en) * 2015-04-10 2016-10-1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JP6624604B2 (ja) * 2016-02-05 2019-12-25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ップリンクサブキャリア間隔指示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
US11388754B2 (en) * 2016-06-06 2022-07-1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random access procedures
CN107690173B (zh) * 2016-08-05 2020-01-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随机接入方法和设备
WO2018027923A1 (en) * 2016-08-12 2018-02-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ccess via anchor carrier
KR20180021628A (ko) * 2016-08-22 201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블록 인덱스 삽입 방법 및 장치
WO2018062771A1 (en) * 2016-09-29 2018-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528387A (zh) * 2016-11-09 2023-08-01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基站以及系统
WO2018086600A1 (en) * 2016-11-11 2018-05-17 Chou Chie Ming Data packet delivery in rrc inactive state
US20190356449A1 (en) * 2016-12-27 2019-11-21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7500060A (zh) * 2016-12-30 2024-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道的资源指示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73711A (zh) 2019-07-30
IL267852B2 (en) 2023-05-01
WO2018126417A1 (zh) 2018-07-12
CA3049281A1 (en) 2018-07-12
AU2017391792A1 (en) 2019-08-08
ZA201904826B (en) 2020-12-23
JP7203736B2 (ja) 2023-01-13
EP3893592A1 (en) 2021-10-13
JP2020504981A (ja) 2020-02-13
MY202268A (en) 2024-04-22
PH12019501593A1 (en) 2020-02-24
CA3049281C (en) 2023-01-03
IL267852B1 (en) 2023-01-01
IL267852A (en) 2019-10-31
TWI751258B (zh) 2022-01-01
US11197326B2 (en) 2021-12-07
US20190350005A1 (en) 2019-11-14
US20220061103A1 (en) 2022-02-24
EP3557938A1 (en) 2019-10-23
RU2742048C1 (ru) 2021-02-02
TW201826867A (zh) 2018-07-16
EP3557938A4 (en) 2019-12-11
CN110073711B (zh) 2020-12-25
BR112019012954A2 (pt) 2019-11-26
EP3557938B1 (en) 2021-07-07
SG11201906263PA (en) 2019-08-27
ES2887009T3 (es) 2021-12-21
MX2019008091A (es) 2019-09-04
AU2017391792B2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6438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US202200611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ndom access
EP3641408B1 (e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19051806A1 (zh)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15142239A1 (en) A network node, a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for random access
KR20210034010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AU2017427860A1 (en) Method for paging, and access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JP7297866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及び関連機器
KR20210040069A (ko) 무작위 접속 방법,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10040111A (ko) 정보 전송 방법,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JP7023977B2 (ja) 端末装置がネットワーク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2022504026A (ja) リソース指示方法、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KR20210146974A (ko) 채널 전송 방법,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US202202871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