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203A - Photo printer - Google Patents

Photo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203A
KR20190095203A KR1020190091733A KR20190091733A KR20190095203A KR 20190095203 A KR20190095203 A KR 20190095203A KR 1020190091733 A KR1020190091733 A KR 1020190091733A KR 20190091733 A KR20190091733 A KR 20190091733A KR 20190095203 A KR20190095203 A KR 20190095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roller
base
head
paper
photo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 (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to KR102019009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5203A/en
Publication of KR2019009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2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prin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photo printer in which a platen roller is easily detachable for the photo printer to be easily maintained and re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 printer printing an image or a text by applying heat wit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paper expressing a color in response to heat comprises: a base in which the paper is stored; a pickup roller protruding on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to supply the stored paper forwards; a platen roller discharging the paper supplied by the pickup roller forwards; and a head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to apply heat to the paper. The platen roller is provid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ase.

Description

플래튼롤러가 탈부착되는 포토 프린터{PHOTO PRINTER}Photo printer with detachable platen roller {PHOTO PRINTER}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튼롤러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유지보수나 수리가 용이한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 printer having a platen roller easily detachable and easy to maintain or repair.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의 성능이 일반 디지털카메라에 근접하고 있고, 디지털 카메라보다는 늘 휴대하기 쉬운 스마트 기기로 사진을 찍어 추억을 담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별다른 변환작업 없이 사진을 찍고 즉시 출력하길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도 점점 커지고 있다.The performance of cameras mounted on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s approaching that of general digital cameras, and the population that captures memories by taking pictures with smart devices that are always easier to carry than digital cameras is increasing. As a result, consumers' desire to take photographs and print them immediately without any conversion is growing.

이같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듯 스마트폰 속 사진을 언제 어디서나 바로 인화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제품이 개시되었다. Reflecting such demands from consumers, photo printer products that can print pictures in a smartphone anytime and anywhere have been disclosed.

이러한 포토 프린터는 여러 유형이 있으나 특히, 제로(Zero) 잉크 방식을 채용한 인화용지를 적용하여 추가로 잉크나 카트리지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비용이 적게 발생하는 포토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 여기서 제로 잉크 방식은 카트리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용지에 포함되어 있어 오로지 열을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다시 말하면,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염료가 용지에 적층되어 있어 헤드의 발열온도 또는 발열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이미지(사진)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것이다. Although there are many types of such photo printers, there is disclosed a photo printer in which a printing paper employing a zero ink method is applied, so that no additional ink or a cartridge is required and thus a maintenance cost is low. Here, the zero ink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color corresponding to a cartridge is included in the paper to express colors using only heat. In other words, dyes expressing color in response to heat are stacked on paper to print an image (photo) or text by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or heating time of the hea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포토 프린터(100)는 베이스(110)와, 픽업롤러(R1)와 플래튼롤러(R2), 헤드(143), 스윙브라켓(150)과 가압수단(160)을 포함한다. 1 to 3, the conventional photo printer 100 includes a base 110, a pickup roller R1, a platen roller R2, a head 143, a swing bracket 150, and a pressing means ( 160).

상기 베이스(110)는 다수의 용지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용지공급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전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베이스(115)가 결합된다. The base 110 has a paper supply unit 111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and a lower base 115 extending to the front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10.

상기 픽업롤러(R1)는 상기 베이스(110)의 용지공급부(111) 바닥면에 돌출되어 적층된 용지 중 최하부에 위치된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ickup roller R1 is a component that protrud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feeder 111 of the base 110 and forwards the pape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tacked paper.

플래튼롤러(R2)는 상기 픽업롤러(R1)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축이 상기 하부베이스(115)에 결합된다. Platen roller (R2)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the paper supplied by the pickup roller (R1) to the front,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the lower base (115).

상기 플래튼롤러(R2)의 상부에는 헤드(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140)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온도에 대응하는 색을 표현함으로써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화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140)의 상부에는 세라믹판(미도시)이 구비되고, 세라믹판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방열판(141)이 구비된다. The head 140 is provided on the platen roller R2, and the head 140 prints an image or text by express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by apply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paper. A ceramic plat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head 140, and a heat sink 141 made of metal is provided on the ceramic plate.

또한 상기 헤드(140)의 발열온도 또는 발열시간을 제어를 위한 PCB(1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방열판(141)의 하면에 헤드(140)와 PCB(142)가 부착되는 것이다. It also includes a PCB 142 for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or heating time of the head 140. That is, the head 140 and the PCB 142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141.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 사이로 용지가 진입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헤드(140)는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140)는 스윙브라켓(150)의 전측에 형성된 장착부(151)에 결합된다. The paper enters between the head 140 and the platen roller R2.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140 is not fixed to the base 110 but is rotatably mounted. 14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51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wing bracket 150.

또한 상기 용지가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 사이로 진입할 때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의 사이 간격이 확장되도록 상기 스윙브라켓(150)의 후측은 상기 베이스(110)의 측벽에 형성된 회동축(113)에 결합되는 결합부로서 힌지공(15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when the paper enters between the head 140 and the platen roller R2, the rear side of the swing bracket 150 may extend the base (the bas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140 and the platen roller R2 is extended. Hinge hole 152 is formed a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ivot shaft 113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110.

또한 상기 헤드(140)는 용지에 밀착하여 열을 전달하는데, 이와 같이 헤드(140)를 용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헤드(14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160)은 상기 헤드(140)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161)와, 상기 가압부(161)를 스윙브라켓(150)의 회동축(113)과 동축으로 회동시키는 결합부로서 힌지공(16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ead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per transfer heat, in this way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160 for pressing the head 140 downward in order to contact the head 140 to the paper. The pressing means 160 is a pressing portion 161 for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140, and the coupling portion for rotating the pressing portion 161 coaxially with the rotation shaft 113 of the swing bracket 150 Hinge hole 162 is formed.

이와 같이 가압수단(160)에 의해 헤드(140)를 상부에서 가압하더라도 걸림턱(153)이 베이스(110)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115a)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헤드(140)가 플래튼롤러(R2)와 접하지 않고 간극이 형성된다. In this way, even if the head 140 is pushed by the pressing means 160 from the top, the locking step 153 is caught by the stopper 115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110 so that the head 140 no longer descends. The gap is formed without contacting the roller R2.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토 프린터는 헤드(140)를 조립할 때 플래튼롤러(R2)에 접하지 않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걸림턱(153)과 스토퍼(115a)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극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턱(153)과 스토퍼(115a)의 기구적인 오차로 인해 양측의 간극이 서로 다를 수 있고, 또한 조립 과정에서 설정된 간극과 다르게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In the conventional photo prin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d 140 is assembled, the gap is not fixed because the gap is formed by the locking step 153 and the stopper 115a so as not to contact the platen roller R2. there is a problem. In more detail, due to mechanical errors between the locking step 153 and the stopper 115a, gaps on both sid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gaps are different from the gaps set during the assembly process.

또한 플래튼롤러는 헤드가 가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러버의 형태가 압착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플래튼롤러를 교체해야 하는데, 플래튼롤러의 교체가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platen roller is pressurized because the head is pressurized. In this case, the platen roller needs to be replaced, and the replacement of the platen roller has a very complicated problem.

제10-2016-116966호No. 10-2016-11696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래튼롤러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유지보수나 수리가 용이한 포토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 printer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the platen roller is easily remova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의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 printer which can easily form a gap between the head and the platen roller.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는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수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수납된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플래튼롤러; 및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지에 열을 가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튼롤러는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 printer which prints an image or text by apply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a paper expressing color in response to heat, the base on which the paper is accommodated; A pickup roller which protru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and forwards the received paper; A platen roller for discharging paper supplied by the pickup roller to the front; And a hea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to apply heat to the paper, wherein the platen roller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base.

또한 상기 플래튼롤러의 축에는 링형태의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에는 원주면 중 일부가 선형으로 변형된 디컷(D-cut)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ft of the platen roller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bushing, and the bushing is formed with a d-cut portion in which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linearly deformed.

또한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부싱이 안착되도록 원형으로 개구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끝단까지 연장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폭은 상기 안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ide wall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circularly opened sea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bushing, and a penetr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to the end, the width of the penetrating por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또한 일측에 상기 헤드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브라켓; 상기 스윙브라켓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용지에 밀착시키는 가압수단; 및 상기 스윙브라켓을 하방에서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를 들어 올려 상기 플래튼롤러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편심부가 구비되는 헤드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ead is coupled to one side, the swing bracke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Pressurizing means for pressing the swing bracket downward to closely contact the paper entering between the head and the platen roller; And a head support member having an eccentric portion to support the swing bracket below and to lift the head by rotation to form a gap between the platen roller.

또한 상기 헤드지지부재는 상기 부싱과 일체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ead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shing.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튼롤러가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비되어 유지보수나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n roller is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making it easy to maintain or repair the platen roller.

또한 편심되어 있는 헤드지지부재를 회전시켜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의 간극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orm a gap between the head and the platen roller by rotating the eccentric head support member.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포토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1 to 3 show a conventional photo printer.
4 and 5 show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photo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1)는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photo pri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 printer which prints an image or text by apply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a paper expressing color in response to heat.

상기 포토 프린터(1)는 베이스(10)와, 픽업롤러와, 플래튼롤러(30)와, 헤드(20)를 포함한다. The photo printer 1 includes a base 10, a pickup roller, a platen roller 30, and a head 20.

상기 베이스(10)는 용지가 수납되는 구성요소이다. The base 10 is a component in which paper is accommodated.

상기 픽업롤러(도 3의 'R1' 참조)는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ickup roller (see 'R1' in Fig. 3) is a component for feeding the paper forward.

상기 플래튼롤러(30)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laten roller 30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the paper supplied by the pickup roller to the front.

한편, 상기 헤드(20)는 용지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상기 헤드(20)가 스윙브라켓(도 1의 '150'참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윙브라켓을 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수단(도 1의 '160'참조)과, 상기 가압수단을 하방으로 당기는 스프링(S)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d 20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a certain pressure on the paper. To this end,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head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wing bracket (see '150' of FIG. 1), the pressing means (see '160' of FIG. 1)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swing bracket ), And a spring (S) for pulling the pressing means downward.

즉, 상기 스윙브라켓은 상기 헤드(20)가 전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swing bracket is the head 20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0.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스윙브라켓이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잡아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헤드(20)는 플래튼롤러(30)에 밀착되는 것이다.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head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ten roller 30 because the swing bracket is elastically pulled downward by the spring.

따라서 상기 헤드(20)와 플래튼롤러(30) 사이에 용지가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헤드지지부재(50)가 구비된다. Therefore, the head support member 50 is provided to form a gap between the head 20 and the platen roller 30 so that the paper can easily enter.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플래튼롤러(30)는 상기 베이스(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는 특징이 있다. In particular, the platen roll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10 is detachably provid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플래튼롤러(30)의 축에는 링형태의 부싱(40)이 구비된다. 상기 부싱(40)은 또한 디컷(D-cut)부(41)가 형성되어 원주면 일부가 선형으로 절단되어 있다. 상기 부싱(40)은 상기 플래튼롤러(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4 and 5, the shaft of the platen roller 30 is provided with a ring bushing 40. The bushing 40 is also formed with a D-cut portion 41 so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cut linearly. The bushings 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n roller 3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양측벽에는 상기 부싱(40)이 안착되도록 원형으로 개구된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에서 끝단까지 연장된 관통부(11a)가 형성된다. In addition, both side walls of the base 10 are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11 open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bushing 40 is seated, and a through portion 11a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1 to an end thereof.

상기 관통부(11a)는 상기 디컷부(41)가 통과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관통부(41)의 폭은 상기 안착부(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관통부는 부싱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디컷부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싱은 디컷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enetrating portion 11a is a component for the decut portion 41 to pass through, and the width of the penetrating portion 4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11. In other words,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ushing, 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ecut portions. Therefore, the bushing is a decut portion is formed that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또한 상기 부싱의 일측에는 헤드지지부재가 일체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ead support member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bushing.

상기 헤드지지부재(50)는 상기 스윙브라켓의 하방에서 헤드(2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헤드지지부재(50)는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2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편심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head support member 5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head 20 under the swing bracket. It can be seen that the head support member 50 is formed with an eccentric portion 52 so as to lift the head 20 by rotation.

상기 헤드지지부재(50)는 상기 베이스(10)의 양측벽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head support member 50 is rotatably provided at both side walls of the base 10.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이 플래튼롤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지만, 이와 달리 플래튼롤러의 일단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착부도 베이스의 일측벽에만 형성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bushing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but alternatively, the bushings may be provided only at one end of the platen roller. In this case,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only on one side wall of the bas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플래튼롤러(30)가 베이스(1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A process in which the platen roller 30 is mounted on the bas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먼저, 상기 플래튼롤러(30)의 양측에 구비된 부싱(40), 특히, 디컷부(41)가 상기 관통부(11a)를 통과할 수 있도록 플래튼롤러(30)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디컷부(41)가 상기 관통부(11a)를 통과하여 부싱(40)이 안착부(11)에 안착된다(도 6 참조). First, the platen roller 30 is rotated so that the bushings 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n roller 30, in particular, the decut portion 41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a. In this state, the decut portion 41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a so that the bushing 4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 (see FIG. 6).

다음으로, 상기 플래튼롤러(30)를 90˚회전시켜 디컷부(41)가 상하에 위치되고, 관통부(11a)가 형성된 전면에는 부싱(40)의 원호부(디컷부가 아닌 원주면)가 위치되도록 한다. Next, the platen roller 30 is rotated 90 degrees so that the decut portion 41 is positioned up and down, and an arc porti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ther than the decut portion) of the bushing 4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where the through portion 11a is formed. To be located.

이와 같이 플래튼롤러(30)를 회전시키게 되면, 부싱(40)의 원호부는 상기 관통부(11a)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플래튼롤러(30)가 베이스(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platen roller 30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c portion of the bushing 40 cannot pas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a, the platen roller 30 is stably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10. You can do it.

또한, 플래튼롤러(30)의 교체나 수선을 위해 탈거해야 할 경우에는 다시 플래튼롤러(30)를 90˚회전시켜 디컷부(41)가 관통부(11a)가 형성된 전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laten roller 30 needs to be removed for replacement or repair, the platen roller 30 is rotated 90 ° so that the decut portion 41 is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where the through portion 11a is formed.

이 상태는 부싱(40)의 원호부가 상하에 위치되게 되며, 상기 디컷부(41)가 관통부(11a)를 통과하여 플래튼롤러(30)를 베이스(10)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the circular arc portion of the bushing 40 is positioned up and down, and the decut portion 41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1a to remove the platen roller 30 from the base 1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헤드와 플래튼롤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A process of forming a gap between the head and the platen ro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상기 편심부(52)가 베이스(10)에 결합된 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헤드지지부재(50)가 회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헤드(20)와 플래튼롤러(R2) 사이의 간극(d1)을 설정할 수 있다. Since the eccentric portion 52 is eccentric from the shaft coupled to the base 10, the head support member 50 is rotated so that the gap d1 between the head 20 and the platen roller R2 as necessary. ) Can be set.

또한 이와 같이 설정된 간극(d1)이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헤드지지부재(50)에는 원호 형태의 장공(53)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53)을 통과하여 베이스(10)의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핀(54)이 구비된다. 상기 장공(53)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고정핀(54)이 베이스의 측벽에 느슨하게 결합 상태에서도 상기 헤드지지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gap d1 set as described above from being arbitrarily changed, an arc-shaped long hole 53 is formed in the head support member 50, and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10 through the long hole 53. The fixing pin 54 is provided. The long hole 53 is formed in an arc shape in order to rotate the head support member 50 even when the fixing pin 54 is loosely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즉, 헤드지지부재(50)를 회전하여 헤드(20)와 플래튼롤러(30) 사이에 간극(d1)을 형성한 다음, 고정핀(54)을 체결하여 상기 헤드지지부재(5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다. That is, the head support member 50 is rotated to form a gap d1 between the head 20 and the platen roller 30, and then the fixing pin 54 is fastened to further support the head support member 50. It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abnormally.

한편, 상기 헤드지지부재(50)를 베이스(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전지그(55)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그(55)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드지지부재(50)에 형성된 기어치(51)와 치합시킨 후,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헤드지지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rotating jig 55 may be used as a means for facilitating the rot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d support member 50 is attached to the base 10. Gear jig is formed on the rotary jig 55 to engage the gear teeth 51 formed on the head support member 50, and then rotate the head support member 50 by rotating it.

상기 회전지그(55)는 설정대로 헤드(20)와 플래튼롤러(30) 사이의 간극(d1)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로서, 포토 프린터의 제조공정에서 이용하는 것일 뿐, 포토프린터의 구성이 아니다. The rotary jig 55 is a tool for forming the gap d1 between the head 20 and the platen roller 30 as set, and is used onl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hoto printer, and is not a configuration of the photo printer.

1: 포토프린터
10: 베이스
20: 헤드
30: 플래튼롤러
40: 부싱
41: 디컷부
50: 헤드지지부재
51: 기어치
52: 편심부
53: 장공
54: 고정핀
55: 회전지그
1: photo printer
10: base
20: head
30: platen roller
40: bushing
41: decut part
50: head support member
51: gear tooth
52: eccentric
53: longman
54: push pin
55: rotating jig

Claims (4)

양측벽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벽에 각각 원형으로 개구된 안착부;
상기 베이스의 측벽 전단에서 상기 안착부까지 수평으로 개구되며, 상기 안착부의 직경보다 폭이 작은 관통부;
양축이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는 플래튼롤러;
상기 플래튼롤러의 축에 결합되며, 링형태로 형성되어 원주면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부싱; 및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은 원주면이 선형으로 변형되어 형성되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디컷(D-cut)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컷부와 관통부가 평행하게 정렬될 때, 상기 플래튼롤러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A base on which both side walls are formed;
Seating portions each opened in a circular shape on both side walls of the base;
A penetrating opening horizontally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ase to the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ing portion;
A platen roller having both shafts mounted to the seating portion;
A bushing coupled to the shaft of the platen roller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And a head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The bushing is formed by linearly deform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air of D-cut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are formed.
And the platen roller is removed from the seating portion when the decut portion and the through portion are aligned in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서로 평행한 상기 디컷부 사이에 마주보는 한 쌍의 원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shing is a photo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arc portions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decut portion parallel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폭은 상기 원호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한 쌍의 디컷부 사이의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width of the penetrat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arc portion, the photo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decu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컷부와 관통부가 평행하게 정렬되지 않을 경우, 상기 플래튼롤러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탈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laten roller is not removed from the seating portion when the decut portion and the through portion are not aligned in parallel.
KR1020190091733A 2019-07-29 2019-07-29 Photo printer KR201900952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33A KR20190095203A (en) 2019-07-29 2019-07-29 Photo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33A KR20190095203A (en) 2019-07-29 2019-07-29 Photo prin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154A Division KR102023978B1 (en) 2017-10-18 2017-10-24 Photo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203A true KR20190095203A (en) 2019-08-14

Family

ID=6762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33A KR20190095203A (en) 2019-07-29 2019-07-29 Photo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520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66A (en) 2015-03-31 2016-10-10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Inspection Device for Angular Velocity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966A (en) 2015-03-31 2016-10-10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Inspection Device for Angular Velocity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19B1 (en) Photo printer
JP2005313420A (en) Sublimation type printer
KR102023978B1 (en) Photo printer
KR20190095203A (en) Photo printer
US10086624B2 (en) Photo printer
US10086630B2 (en) Photo printer
KR102023982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KR102131940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KR101982666B1 (en) Photo printer
US11117397B2 (en) Photo printer
KR102047522B1 (en) Photo prin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47524B1 (en) Photo printer
KR102047525B1 (en) Photo printer with line type spring
US11117398B2 (en) Photo printer
KR102023981B1 (en) Photo printer
KR102023980B1 (en) Photo print
US10245855B2 (en) Photo printer
JP2007268878A (en) Thermal printer
KR102047523B1 (en) Photo prin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90063324A (en) Photo printer
KR20190063322A (en) Photo printer
JP2005313419A (en) Sublimation type printer
KR20190056625A (en) Photo printer with cleaning member for platen roller
JP2005313422A (en) Thermal transfer printer
JP2009184156A (en) Thermal transfer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