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981B1 - Photo printer - Google Patents

Photo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981B1
KR102023981B1 KR1020170159129A KR20170159129A KR102023981B1 KR 102023981 B1 KR102023981 B1 KR 102023981B1 KR 1020170159129 A KR1020170159129 A KR 1020170159129A KR 20170159129 A KR20170159129 A KR 20170159129A KR 102023981 B1 KR102023981 B1 KR 10202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head
frame
pressing
photo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1113A (en
Inventor
윤희필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7015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98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s, e.g. pressure-on-the pap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35Structure of thermal heads
    • B41J2/33505Constructional details
    • B41J2/33515Hea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의 좌우를 균일한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인쇄품질이 향상되는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는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에 있어서, 양측벽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가 수납되는 용지수납부; 상기 용지수납부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수납된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플래튼롤러;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힌지결합되는 스윙브라켓; 상기 스윙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서 상기 용지에 열을 가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상부에 구비되고, 양측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의 중심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 printer in which printing quality is improved by being able to elastically press the left and right of the head at a uniform pressure.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 printer which prints an image or text by apply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a paper expressing color in response to a heat, comprising: a frame having both side walls formed thereon; A paper storage unit provided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and accommodating the paper; A pickup roller which protru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storage part and supplies the paper accommodated forward; A platen roller coupled to the frame to discharge paper fed by the pickup roller forward; A swing bracket hinged to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A head fixed to the swing bracket and applying heat to the pap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It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head, both sides are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the pressing plate for pressing the center of the head downward; includes.

Description

선형 스프링을 이용한 헤드가압구조를 갖는 포토 프린터{PHOTO PRINTER}Photo printer with head press structure using linear spring {PHOTO PRINTER}

본 발명은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의 좌우를 균일한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인쇄품질이 향상되는 포토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 printer in which printing quality is improved by being able to elastically press the left and right of the head at a uniform pressure.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의 성능이 일반 디지털카메라에 근접하고 있고, 디지털 카메라보다는 늘 휴대하기 쉬운 스마트 기기로 사진을 찍어 추억을 담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별다른 변환작업 없이 사진을 찍고 즉시 출력하길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도 점점 커지고 있다.The performance of cameras mounted on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s approaching that of general digital cameras, and the population that captures memories by taking pictures with smart devices that are always easier to carry than digital cameras is increasing. As a result, consumers' desire to take photographs and print them immediately without any conversion is growing.

이같은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듯 스마트폰 속 사진을 언제 어디서나 바로 인화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 제품이 개시되었다. Reflecting such demands from consumers, photo printer products that can print pictures in a smartphone anytime and anywhere have been disclosed.

이러한 포토 프린터는 여러 유형이 있으나 특히, 제로(Zero) 잉크 방식을 채용한 인화용지를 적용하여 추가로 잉크나 카트리지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비용이 적게 발생하는 포토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 여기서 제로 잉크 방식은 카트리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용지에 포함되어 있어 오로지 열을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다시 말하면,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염료가 용지에 적층되어 있어 헤드의 발열온도 또는 발열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이미지(사진)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것이다. Although there are many types of such photo printers, there is disclosed a photo printer in which a printing paper employing a zero ink method is applied, so that no additional ink or a cartridge is required and thus a maintenance cost is low. Here, the zero ink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color corresponding to a cartridge is included in the paper to express colors using only heat. In other words, dyes expressing color in response to heat are stacked on paper to print an image (photo) or text by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or heating time of the head.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포토프린터(1)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토 프린터(100)는 용지수납부(110)와, 픽업롤러(R1)와 플래튼롤러(R2), 헤드, 스윙브라켓(150)과 가압수단(160)을 포함한다. 1 to 3 show a conventional photo printer 1. As shown, the conventional photo printer 100 includes a paper storage unit 110, a pickup roller (R1) and platen roller (R2), a head, a swing bracket 150 and a pressing means 160. .

상기 용지수납부(110)는 다수의 용지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공간(111)이 형성되며, 상기 용지수납부(110)의 하부에 전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프레임(115)이 결합되는데, 상기 용지수납부(110)와 프레임(115)을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은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aper storage unit 110 is formed with a space 111 for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are accommodated, the frame 115 extending to the front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per storage unit 110, the number of sheets Forming and combining the payment unit 110 and the frame 115 separately is for ease of manufacture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상기 픽업롤러(R1)는 상기 용지수납부(1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적층된 용지 중 최하부에 위치된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ickup roller R1 is a component that protru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storage unit 110 and forwards the paper locat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tacked paper.

한편, 상기 공간(111)에 적층된 용지를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가압하는 용지가압부재(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용지가압부재(120)는 상기 용지수납부(110)의 측벽 상면에 결합되며 픽업롤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용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지를 가압하게 되면 용지와 픽업롤러(R1) 사이의 마찰력이 커져 픽업롤러(R1)가 회전을 하게 되면 용지 중 최하부에 위치된 용지가 원활하게 전방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provided a paper pressing member 120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paper laminated in the space 111, the paper pressing member 1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paper storage unit 110 It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pickup roller to press the paper downward. As such, when the paper is presse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aper and the pickup roller R1 increases, and when the pickup roller R1 rotates, the pape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paper is smoothly fed forward.

플래튼롤러(R2)는 상기 픽업롤러(R1)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축이 상기 프레임(115)에 결합된다. Platen roller (R2)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the paper supplied by the pickup roller (R1) to the front,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the frame (115).

상기 플래튼롤러(R2)의 상부에는 헤드(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140)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온도에 대응하는 색을 표현함으로써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화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140)의 상부에는 세라믹판(미도시)이 구비되고, 세라믹판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방열판(141)이 구비된다. The head 140 is provided on the platen roller R2, and the head 140 prints an image or text by express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by apply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paper. A ceramic plat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head 140, and a heat sink 141 made of metal is provided on the ceramic plate.

또한 상기 헤드(140)의 발열온도 또는 발열시간을 제어를 위한 PCB(1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방열판(141)의 하면에 헤드(140)와 PCB(142)가 부착되는 것이다. It also includes a PCB 142 for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or heating time of the head 140. That is, the head 140 and the PCB 142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sink 141.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 사이로 용지가 진입하는데, 특히, 상기 헤드(140)는 용지수납부(11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140)는 스윙브라켓(150)의 전측에 형성된 장착부(151)에 결합된다. The paper enters between the head 140 and the platen roller R2. In particular, the head 140 is rotatably mounted instead of being fixed to the paper storage 110. Specifically, the head 14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51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wing bracket 150.

또한 상기 용지가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 사이로 진입할 때 상기 헤드(140)와 플래튼롤러(R2)의 사이 간격이 확장되도록 상기 스윙브라켓(150)의 후측은 상기 용지수납부(110)의 측벽에 형성된 회동축(113)에 결합되는 결합부로서 힌지공(15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when the paper enters between the head 140 and the platen roller R2, the rear side of the swing bracket 150 is the number of sheet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140 and the platen roller R2 is extended. A hinge hole 152 is formed as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pivot shaft 113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lead part 110.

또한 상기 헤드(140)는 용지에 밀착하여 열을 전달하는데, 이와 같이 헤드(140)를 용지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헤드(14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160)은 상기 헤드(140)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161)와, 상기 가압부(161)를 스윙브라켓(150)의 회동축(113)과 동축으로 회동시키는 결합부로서 힌지공(16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ead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per transfer heat, in this way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160 for pressing the head 140 downward in order to contact the head 140 to the paper. The pressing means 160 is a pressing portion 161 for pre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140, and the coupling portion for rotating the pressing portion 161 coaxially with the rotation shaft 113 of the swing bracket 150 Hinge hole 162 is formed.

한편, 상기 가압수단(160)에 의해 상기 헤드(140)가 하방으로 가압되지만, 플레튼롤러(R2)와 헤드(140) 사이에는 용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15)의 선단 상부에는 스토퍼(114)가 돌출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헤드(140)가 장착되는 스윙브라켓(150)의 장착부(151)에는 상기 스토퍼(114)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턱(153)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d 140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ing means 160, but a constant distance must be maintained between the platen roller R2 and the head 140 so that paper can enter. To this end, a stopper 114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frame 115, and correspondingly, the mounting portion 151 of the swing bracket 150 on which the head 140 is mounted is caught by the stopper 114 and lowered further. Locking jaw 153 is formed to prevent it.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수납부(110)의 양측벽에 구비된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스윙브라켓(150)과 가압수단(160)이 스윙 가능하게 구비된다.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swing bracket 150 and the pressing means 160 is provided to swing around the pivot shaft 113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paper storage unit 110.

또한 상기 가압수단(160)에 형성된 가압부(161)를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잡아 당기는 탄성부재(S)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부재(S)의 일측은 가압부(161)에 형성된 연결부(163)에 연결되고, 탄성부재(S)의 타측은 프레임(115)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부(115a)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S) for pulling down the pressing portion 161 formed on the pressing means 160 elastically is provided,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S) is a connecting portion 163 formed on the pressing portion 161.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S)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5a) formed at the tip of the frame (115).

한편, 상기 가압부(161)의 하면에는 가압돌기(164)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압부(161)와 방열판(141)은 가압돌기(164)에 의해 점접촉을 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161)가 방열판(141)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방열판(141)의 하부에는 헤드(140)가 결합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가압부(161)에 의해 헤드(140)가 플래튼롤러(R2)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projection 16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161. As a result, the pressurizing portion 161 and the heat dissipation plate 141 are in point contact by the pressurizing protrusion 164,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161 presses the heat dissipation plate 141 downward in this state. For reference, the head 1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sink 141 so that the head 140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n roller R2 by the pressing unit 161.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토 프린터는 상기 가압수단(160)을 하방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S)로서 양측에 각각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그런데, 사용 중에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의 탄성계수가 달라질 수 있고, 이 경우, 헤드의 좌우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달라지게 되면 사진의 좌우에 색 편차가 발생하는 등 인쇄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The conventional photo prin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coil springs at both sides as elastic members S for pressing the pressing means 160 downward. However, the elastic modulus of the pair of coil springs may vary due to some cause during use, and in this case, when the pressing force acti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is different, the print quality is deteriorated, such as color devi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cture. There is.

또한 기구적으로도 헤드의 좌우측을 잡아 당기는 코일스프링이 큰 면적을 차지하는 등 다양한 디자인을 구성하는데 제한이 된다. In addition, mechanically, the coil springs pull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occupy a large area, thereby limiting various designs.

제10-2016-116966호No. 10-2016-11696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를 하방으로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포토 프린터의 헤드 가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 pressing structure of a photo printer capable of pressing the head downward sta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의 좌우를 균일한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인쇄품질이 향상되는 포토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 printer that is capable of elastically pressing the left and right of the head at a uniform pressure to improve the print quality.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는 열에 감응하여 색을 발현하는 용지에 소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는 포토 프린터에 있어서, 양측벽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가 수납되는 용지수납부; 상기 용지수납부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수납된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플래튼롤러;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힌지결합되는 스윙브라켓; 상기 스윙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서 상기 용지에 열을 가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상부에 구비되고, 양측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의 중심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 printer for printing an image or text by apply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a paper expressing color in response to heat, the frame having both side walls formed thereon; A paper storage unit provided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and accommodating the paper; A pickup roller which protru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storage part and supplies the paper accommodated forward; A platen roller coupled to the frame to discharge paper fed by the pickup roller forward; A swing bracket hinged to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A head fixed to the swing bracket and applying heat to the pap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It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head, both sides are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the pressing plate for pressing the center of the head downward; includes.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lat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ress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enter.

또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below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가압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is preferably inclin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를 하방으로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tably press the head downward.

특히, 헤드의 좌우를 균일한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인쇄품질이 향상된다.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of the head can be elastically pressed at a uniform pressure to improve the print quality.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포토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포토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1 to 5 show a conventional photo printer.
6 to 9 show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 프린터의 실시예(1)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용지수납부(11)와, 픽업롤러와 플래튼롤러, 그리고 구동계(20)를 포함한다. 6 and 7 show an embodiment (1) of a photo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ame 10, a paper storage unit 11, a pickup roller, a platen roller, and a drive system 20 are included.

상기 용지수납부(11)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벽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용지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The paper storage unit 11 is provided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10,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aper is formed.

상기 픽업롤러(도 2의 'R1'참조)는 상기 용지수납부(11)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수납된 상기 용지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ickup roller (refer to 'R1' in FIG. 2) is a component that protrud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per storage unit 11 and feeds the received paper forward.

상기 플래튼롤러(도 2의 'R2'참조)는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platen roller (refer to 'R2' in FIG. 2) is a component coupled to the frame 10 to discharge paper fed by the pickup roller forward.

상기 플래튼롤러와 픽업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계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계(2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플래튼롤러와 픽업롤러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한다. The drive system for rotating the platen roller and the pickup roller is provided, the drive system 20 includes a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and a plurality of gears for reduc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ransmit to the platen roller and the pickup roller do.

또한 상기 플래튼롤러의 상부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브라켓(30)이 구비된다. 상기 스윙브라켓(30)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핀(h)에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헤드(40)는 상기 스윙브라켓(30)에 고정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is provided with a swing bracket 30 is rotatably coupled. The swing bracket 30 is hinged to the hinge pin (h) provided on each side wall of the frame 10, the head 40 is to be fixed to the swing bracket (30).

따라서 상기 헤드(40)도 상기 플래튼롤러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head 40 is also swingably coupled to the platen roller.

한편, 상기 헤드(40)의 일측은 상기 스윙브라켓(30)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스윙브라켓(30)에 덮히지 않고 노출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head 40 is screwed to the swing bracket 30, the other side is to be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swing bracket (30).

또한 상기 스윙브라켓(30)의 전측에는 가압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압플레이트(50)는 양측에 체결공(5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벽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late 5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wing bracket (30). That is, the pressing plate 50 is fastened to the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51 is formed is screwed to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10 is fixed.

따라서 상기 헤드(40)의 일부는 상기 스윙브라켓(30)에 고정되고, 헤드(40)의 나머지부분은 상기 가압플레이트(50)의 하방에 위치되되, 상기 헤드(40)는 상기 가압플레이트(50)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간격 이격설치된다. Therefore, a portion of the head 40 is fixed to the swing bracket 30,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ead 40 is located below the pressing plate 50, the head 40 is the pressing plate 50 It is not fixed to) but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플레이트(50)의 중심에는 용지 진행방향에 대하여 후측으로, 다시 말하면 용지 수납부(11)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52)가 형성된다. 8 and 9, a pressing portion 52 protruding to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paper moving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paper storing portion 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ssing plate 50.

상기 가압부(52)의 하부에는 가압돌기(53)가 형성되어 있어 이격된 상기 헤드(40)에 접하면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A pressing protrusion 53 is formed below the pressing portion 52 to elastically press the head 40 while contacting the head 4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특히, 상기 가압부(52)는 상기 가압플레이트(50)의 몸체와 평행하지 않고, 끝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몸체의 저면(50a)보다 가압부의 끝단의 저면(52a)이 더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sing portion 52 is not parallel to the body of the pressing plate 50, it is inclined downward inclined toward the end. In other words, the bottom surface 52a of the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50a of the body of the pressing plate.

이와 같이 가압부(52)가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가압돌기(53)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40)를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pressing portion 52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pressing protrusion 53 is provided to press the head 40 elastically downward.

1: 실시예
10: 프레임
11: 용지수납부
20: 구동계
30: 스윙브라켓
40: 헤드
50: 가압플레이트
51: 체결공
52: 가압부
53: 가압돌기
1: Example
10: frame
11: paper storage
20: drive system
30: Swing Bracket
40: head
50: pressing plate
51: fastener
52: pressurization
53: pressurizing protrusion

Claims (3)

양측벽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 사이에 구비되며, 바닥면에 픽업롤러가 돌출되는 용지수납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공급된 용지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플래튼롤러;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힌지결합되는 스윙브라켓;
후측이 상기 스윙브라켓의 저부에 고정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고 양측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전측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A frame on which both side walls are formed;
A paper storage unit provided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and having a pickup roller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thereof;
A platen roller coupled to the frame for discharging paper fed by the pickup roller to the front;
Swing brackets hinged at both ends of both sides of the frame;
A head having a rear side fixed to the bottom of the swing bracket; And
And a pressing plat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of the body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frame, and a pressing portio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body to press the front side of the head. prin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ing unit is a photo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2,
A photo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KR1020170159129A 2017-11-27 2017-11-27 Photo printer KR1020239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29A KR102023981B1 (en) 2017-11-27 2017-11-27 Photo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29A KR102023981B1 (en) 2017-11-27 2017-11-27 Photo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13A KR20190061113A (en) 2019-06-05
KR102023981B1 true KR102023981B1 (en) 2019-09-23

Family

ID=6684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29A KR102023981B1 (en) 2017-11-27 2017-11-27 Photo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98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543Y2 (en) * 1991-03-18 1997-05-21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Print head pre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785B1 (en) 2015-03-31 2016-10-31 대한민국 Inspection Device for Angular Velocity Sensor
KR101907533B1 (en) * 2016-06-01 2018-12-19 디에스글로벌(주) Engine for photo pri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543Y2 (en) * 1991-03-18 1997-05-21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Print head pr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13A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183B1 (en) Photo printer
KR102023981B1 (en) Photo printer
KR102131940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KR102047525B1 (en) Photo printer with line type spring
KR102047524B1 (en) Photo printer
US10086624B2 (en) Photo printer
KR102023982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US10086630B2 (en) Photo printer
KR102047522B1 (en) Photo prin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47526B1 (en) Photo printer
KR102023980B1 (en) Photo print
KR200490094Y1 (en) Printing Paper Pressurising Device
US10245855B2 (en) Photo printer
KR101982666B1 (en) Photo printer
KR102047523B1 (en) Photo prin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23978B1 (en) Photo printer
KR20190056625A (en) Photo printer with cleaning member for platen roller
KR102055010B1 (en) Photo printer with geared motor
KR20190063324A (en) Photo printer
KR102150860B1 (en) Photographic paper feeding apparatus
KR20190095203A (en) Photo printer
KR20190063322A (en) Photo printer
JP2005324379A (en) Sublimation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