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044A -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5044A KR20190095044A KR1020180014834A KR20180014834A KR20190095044A KR 20190095044 A KR20190095044 A KR 20190095044A KR 1020180014834 A KR1020180014834 A KR 1020180014834A KR 20180014834 A KR20180014834 A KR 20180014834A KR 20190095044 A KR20190095044 A KR 201900950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case
- coupling
- magnets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스마트폰(100)을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200)에 대한 것이다. 이 발명의 케이스(200)는, 스마트폰(100)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210); 상부는 개방되어 위 오목부(210)에 수납된 스마트폰(100)의 윗면이 드러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220); 위 하우징(220) 바닥면 중심에 위 바닥면의 위아래면을 관통하며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230); 및 위 구멍(230)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밀착되게 배열되어 고정되는 서로 동일한 구성의 결합부(240,24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위 결합부(240,240')는, 위 구멍(230) 보다 직경이 크고 한쪽 면이 구멍(230)의 주변부와 접촉하여 구멍(230)을 덮어주는 원형의 철판(241,241'); 한쪽 면이 위 철판(241,241')의 다른쪽 면과 접촉하여 결합하며 철판(241,241') 보다는 작고 위 구멍(230)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링형의 자석(242,242'); 및 소정의 접착재가 도포된 한 쪽면이 위 자석(242,242')의 다른쪽 면과 결합되고 반대쪽 면엔 다수개의 빨판(244,244')이 형성되어 위 빨판(244,244')들을 소정의 평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부(243,24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스마트폰(100)의 뒷면과 결합되고,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위 케이스(200)를 부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평면과 결합되나 이 경우 임의의 평면이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흡착부(243')가 결합부(240')에서 제거될 수 있고, 결합부(240,240')들은 각각의 자석들(242,242')의 자력에 의해 위 케이스(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위 철판(241,241')들은 각각 테두리 부분이 한 쪽면의 안 쪽으로 오무려진 오목면(245,245')과 반대 쪽의 볼록면(246,246')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위 자석(242,242')은 각각 오목면(245,245')과 접촉하며, 이때 위 오목면(245,245')에는 자석(242,242')이 오목면(245,245')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247)이 구비되어 있고, 위 흡착부(243,243')의 접착재는 철판(241,241')의 볼록면(246,24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운행중인 차량에서 스마트폰 거치대, 네비게이션 거치대, 장식품 걸개 등으로 이용 가능한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마트폰 케이스가 케이스로서의 기능 이외에 어떤 특별한 기능을 갖는 경우가 없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차량 운행 중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전 운행을 위해 별도로 거치대가 팔요하였고, 차량에 장식용으로 매다는 여러가지 장식용품을 차량안에 매달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착용 장치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불필요한 비용이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런 여러가지 기능들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다기능 기기의 출현이 요구되어 왔다.
이 발명은 차량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단순한 케이스의 기능 기외에 여러가지 부가적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해결과제로 삼고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아래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발명에 따위 케이스(200)는,
스마트폰(100)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210);
상부는 개방되어 위 오목부(210)에 수납된 스마트폰(100)의 윗면이 드러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220);
위 하우징(220) 바닥면 중심에 위 바닥면의 위아래면을 관통하며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230); 및
위 구멍(230)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밀착되게 배열되어 고정되는 서로 동일한 구성의 결합부(240,24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위 결합부(240,240')는,
위 구멍(230) 보다 직경이 크고 한쪽 면이 구멍(230)의 주변부와 접촉하여 구멍(230)을 덮어주는 원형의 철판(241,241');
한쪽 면이 위 철판(241,241')의 다른쪽 면과 접촉하여 결합하며 철판(241,241') 보다는 작고 위 구멍(230)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링형의 자석(242,242'); 및
소정의 접착재가 도포된 한 쪽면이 위 자석(242,242')의 다른쪽 면과 결합되고 반대쪽 면엔 다수개의 빨판(244,244')이 형성되어 위 빨판(244,244')들을 소정의 평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부(243,243');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스마트폰(100)의 뒷면과 결합되고,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위 케이스(200)를 부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평면과 결합되나 이 경우 임의의 평면이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흡착부(243')가 결합부(240')에서 제거될 수 있고,
결합부(240,240')들은 각각의 자석들(242,242')의 자력에 의해 위 케이스(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위 철판(241,241')들은 각각 테두리 부분이 한 쪽면의 안 쪽으로 오무려진 오목면(245,245')과 반대 쪽의 볼록면(246,24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 자석(242,242')은 각각 오목면(245,245')과 접촉하며, 이때 위 오목면(245,245')에는 자석(242,242')이 오목면(245,245')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247)이 구비되어 있고,
위 흡착부(243,243')의 접착재는 철판(241,241')의 볼록면(246,24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 위 구멍(230)의 직경은 20 내지 30mm이고, 위 비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247)은 비닐코팅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위 자석(242,242')의 일부가 소정 간격으로 끊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위 링형 자석(242')의 안쪽에 금속재질의, 일정 각도 범위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보조거치수단(250)이 구비되어 있어서, 스마트폰(100)을 임의의 수평면 위에 거치하고자 할 때 보조거치수단(250)이 해당 수평면의 바닥과 접촉하여 스마트폰(100)이 수평면 위에 고정되도록 보조거치수단(250)의 양쪽 다리부분(251,252)과 자석(242')의 접촉부분을 중심으로 보조거치수단(250)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위 보조거치수단(250)에 장식용품, 장식용 깜빡이 전등을 포함한 원하는 물품을 끈 또는 다른 소정의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고,
위 결합부(240')는 통상의 차량용 거치대 또는 그 부속품들과 결합이 가능하고,
위 결합부(240') 주위에 스마트폰(100)과 연결되는 각종 줄을 감을 수 있고,
위 결합부(240')는 버스, 열차, 항공기가 포함되는 공공시설의 스마트폰 충전용 설비 주변에 부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는 여러가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여러가지 효과를 갖는다. 즉 이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첫째,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하고,
둘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기능을 수행하고,
셋째, 차량용 장식용품 걸개의 기능을 수행하고,
넷째, 깜빡이 전등 점화용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섯째, 긴 스마트폰 연결용 줄을 감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여섯째, 버스 등의 차량내 충전장치에 스마트폰을 부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일곱째, 기존의 스마트폰용 기기들과의 결합 기능을 가지며 이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200)의 외관도
도 2a는 이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 결합부(240)의 분해된 측면도, 도 2b는 결합부의 정면도, 도2c는 결합부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케이스(200)에 도 2 구성의 결합부(240,240')가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이 발명의 보조거치수단(250)의 일 예시도.
도 5는 스마트폰(100)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 이 발명의 케이스(200)를 차량 계기판에 부착한 예시도.
도 6은 빨판(244,244')을 뺀 상태로 결합부(240)를 금속제 평면에 부착한 케이스의 예시도.
도 7은 이 발명의 케이스에 장식용 줄, 손가락 삽입형 스마트폰 거치대 등을 결합한 상태도.
도 2a는 이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 결합부(240)의 분해된 측면도, 도 2b는 결합부의 정면도, 도2c는 결합부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케이스(200)에 도 2 구성의 결합부(240,240')가 결합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이 발명의 보조거치수단(250)의 일 예시도.
도 5는 스마트폰(100)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로 이 발명의 케이스(200)를 차량 계기판에 부착한 예시도.
도 6은 빨판(244,244')을 뺀 상태로 결합부(240)를 금속제 평면에 부착한 케이스의 예시도.
도 7은 이 발명의 케이스에 장식용 줄, 손가락 삽입형 스마트폰 거치대 등을 결합한 상태도.
이 발명은, 스마트폰(100)을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200)에 대한 것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200)의 구성의 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마트폰(100)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210);
상부는 개방되어 위 오목부(210)에 수납된 스마트폰(100)의 윗면이 드러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220);
위 하우징(220) 바닥면 중심에 위 바닥면의 위아래면을 관통하며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230); 및
위 구멍(230)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밀착되게 배열되어 고정되는 서로 동일한 구성의 결합부(240,24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위 결합부(240,240')는 도 2와 도 3에서 처럼,
위 구멍(230) 보다 직경이 크고 한쪽 면이 구멍(230)의 주변부와 접촉하여 구멍(230)을 덮어주는 원형의 철판(241,241');
한쪽 면이 위 철판(241,241')의 다른쪽 면과 접촉하여 결합하며 철판(241,241') 보다는 작고 위 구멍(230)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링형의 자석(242,242'); 및
소정의 접착재가 도포된 한 쪽면이 위 자석(242,242')의 다른쪽 면과 결합되고 반대쪽 면엔 다수개의 빨판(244,244')이 형성되어 위 빨판(244,244')들을 소정의 평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부(243,243');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스마트폰(100)의 뒷면과 결합되고,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위 케이스(200)를 부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평면과 결합되나 이 경우 임의의 평면이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6에서 처럼 흡착부(243')가 결합부(240')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40,240')들은 각각의 자석들(242,242')의 자력에 의해 위 케이스(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도 3 참조), 위 철판(241,241')들은 각각 테두리 부분이 한 쪽면의 안 쪽으로 오무려진 오목면(245,245')과 반대 쪽의 볼록면(246,246')으로 이루어져 있고, 위 자석(242,242')은 각각 오목면(245,245')과 접촉하며, 이때 위 오목면(245,245')에는 자석(242,242')이 오목면(245,245')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247)이 구비되어 있고, 위 흡착부(243,243')의 접착재(248)는 철판(241,241')의 볼록면(246,24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 위 구멍(230)의 직경은 20 내지 30mm이고, 위 비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247)은 비닐코팅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200)는 결합부(240,24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서, 위 자석(242,242')의 일부가 소정 간격으로 끊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링의 끊어진 틈새로 도 4와 같은 모양의 보조거치수단(250)의 다리들(251,252)을 통과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이 발명에서, 위 링형 자석(242')의 안쪽에 금속재질의, 일정 각도 범위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보조거치수단(250)이 구비되어 있어서, 스마트폰(100)을 임의의 수평면 위에 거치하고자 할 때 보조거치수단(250)이 해당 수평면의 바닥과 접촉하여 스마트폰(100)이 수평면 위에 고정되도록 보조거치수단(250)의 양쪽 다리부분(251,252)과 자석(242')의 접촉부분을 중심으로 보조거치수단(250)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 다리들의 끝 부분은 각각 링형 자석(242,242')의 내측에 탄성과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이 발명에서는, 위 보조거치수단(250)에 장식용품, 장식용 깜빡이 전등을 포함한 원하는 물품을 끈 또는 다른 소정의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고, 위 결합부(240')는 통상의 차량용 거치대 또는 그 부속품들과 결합이 가능하고, 위 결합부(240') 주위에 스마트폰(100)과 연결되는 각종 줄을 감을 수 있고, 위 결합부(240')는 버스, 열차, 항공기가 포함되는 공공시설의 스마트폰 충전용 설비 주변에 부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이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보조거치수단(250)과의 결합에 의해,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기능을 수행하고, 보조거치수단(250)이 차량용 장식용품 걸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40')에 소형의 깜빡이 전등(예로서, LED 램프)을 부착함으로써 장식 또는 포시램프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어폰 줄과같이 긴 스마트폰 연결용 줄을 결합부(240')에 감아서 긴 줄의 불편함을 제거해주고, 버스, 열차, 항공기 등의 충전용 설비에 스마트폰 충전잭을 연결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케이스를 충전용 설비에 부착시켜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해주고, 기존의 다양한 스마트폰용 기기들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이로 인한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결합부(240')에 스피너젯과 같은 놀이기기를 결합하여 성인과 아동들이 함께 놀이를 즐길 수도 있는 등 이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200)는 결합부(240,240')를 구비하고 있어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발명에서는 결합부(240,240')를 구비한 케이스(200)가 기존 케이스들에 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 또한 중요한 것은 흡착부(243')를 필요에 따라 결합부(24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이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 발명은 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차량, 철도, 항공기, 웨어러블 컴퓨터 등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크다.
100: 스마트폰
200: 스마트폰 케이스
210: 스마트폰 케이스의 오목부
220: 스마트폰 케이스 하우징
230: 스마트폰 케이스 구멍
240: 케이스 안쪽의 결합부
240': 케이스 바깥쪽의 결합부
241: 결합부(240)의 원형 철판
241': 결합부(240')의 원형 철판
242: 결합부(240)의 자석
242': 결합부(240')의 자석
243: 결합부(240)의 흡착부
243': 결합부(240')의 흡착부
244: 결합부(240)의 빨판
244': 결합부(240')의 빨판
245: 원형 철판(241)의 오목면
245': 원형 철판(241')의 오목면
246: 원형 철판(241)의 볼록면
246': 원형 철판*241')의 볼록면
247: 자석의 미끄러짐 방지수단
248: 접착재
249: 빨판밑면
250: 보조거치수단
251,252: 보조거치수단의 다리
200: 스마트폰 케이스
210: 스마트폰 케이스의 오목부
220: 스마트폰 케이스 하우징
230: 스마트폰 케이스 구멍
240: 케이스 안쪽의 결합부
240': 케이스 바깥쪽의 결합부
241: 결합부(240)의 원형 철판
241': 결합부(240')의 원형 철판
242: 결합부(240)의 자석
242': 결합부(240')의 자석
243: 결합부(240)의 흡착부
243': 결합부(240')의 흡착부
244: 결합부(240)의 빨판
244': 결합부(240')의 빨판
245: 원형 철판(241)의 오목면
245': 원형 철판(241')의 오목면
246: 원형 철판(241)의 볼록면
246': 원형 철판*241')의 볼록면
247: 자석의 미끄러짐 방지수단
248: 접착재
249: 빨판밑면
250: 보조거치수단
251,252: 보조거치수단의 다리
Claims (5)
- 스마트폰(100)을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200)에서,
위 케이스(200)는,
스마트폰(100)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210);
상부는 개방되어 위 오목부(210)에 수납된 스마트폰(100)의 윗면이 드러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220);
위 하우징(220) 바닥면 중심에 위 바닥면의 위아래면을 관통하며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230); 및
위 구멍(230)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밀착되게 배열되어 고정되는 서로 동일한 구성의 결합부(240,24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위 결합부(240,240')는,
위 구멍(230) 보다 직경이 크고 한쪽 면이 구멍(230)의 주변부와 접촉하여 구멍(230)을 덮어주는 원형의 철판(241,241');
한쪽 면이 위 철판(241,241')의 다른쪽 면과 접촉하여 결합하며 철판(241,241') 보다는 작고 위 구멍(230)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링형의 자석(242,242'); 및
소정의 접착재가 도포된 한 쪽면이 위 자석(242,242')의 다른쪽 면과 결합되고 반대쪽 면엔 다수개의 빨판(244,244')이 형성되어 위 빨판(244,244')들을 소정의 평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흡착부(243,243');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스마트폰(100)의 뒷면과 결합되고, 결합부(240')의 빨판(244')은 위 케이스(200)를 부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평면과 결합되나 이 경우 임의의 평면이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흡착부(243')가 결합부(240')에서 제거될 수 있고,
결합부(240,240')들은 각각의 자석들(242,242')의 자력에 의해 위 케이스(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위 철판(241,241')들은 각각 테두리 부분이 한 쪽면의 안 쪽으로 오무려진 오목면(245,245')과 반대 쪽의 볼록면(246,24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 자석(242,242')은 각각 오목면(245,245')과 접촉하며, 이때 위 오목면(245,245')에는 자석(242,242')이 오목면(245,245')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247)이 구비되어 있고,
위 흡착부(243,243')의 접착재(248)는 철판(241,241')의 볼록면(246,24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제 1항에서, 위 구멍(230)의 직경은 20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위 비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247)은 비닐코팅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제 1항에서, 위 자석(242,242')의 일부가 소정 간격으로 끊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제 3항에서, 위 링형 자석(242')의 안쪽에 금속재질의, 일정 각도 범위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보조거치수단(250)이 구비되어 있어서, 스마트폰(100)을 임의의 수평면 위에 거치하고자 할 때 보조거치수단(250)이 해당 수평면의 바닥과 접촉하여 스마트폰(100)이 수평면 위에 고정되도록 보조거치수단(250)의 양쪽 다리부분(251,252)과 자석(242')의 접촉부분을 중심으로 보조거치수단(250)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제 4항에서, 위 보조거치수단(250)에 장식용품, 장식용 깜빡이 전등을 포함한 원하는 물품을 끈 또는 다른 소정의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고,
위 결합부(240')는 통상의 차량용 거치대 또는 그 부속품들과 결합이 가능하고,
위 결합부(240') 주위에 스마트폰(100)과 연결되는 각종 줄을 감을 수 있고,
위 결합부(240')는 버스, 열차, 항공기가 포함되는 공공시설의 스마트폰 충전용 설비 주변에 부착가능한 것이 특징인,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834A KR102028277B1 (ko) | 2018-02-06 | 2018-02-06 |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834A KR102028277B1 (ko) | 2018-02-06 | 2018-02-06 |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5044A true KR20190095044A (ko) | 2019-08-14 |
KR102028277B1 KR102028277B1 (ko) | 2019-10-02 |
Family
ID=6762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834A KR102028277B1 (ko) | 2018-02-06 | 2018-02-06 |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82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7673A (ko)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에스랩 | 반려동물용 빗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6506Y1 (ko) * | 1999-07-29 | 2000-02-15 | 송민섭 | 공기흡착구를이용한소지품부착구 |
KR20100003687A (ko) * | 2008-07-01 | 2010-01-11 | 조한중 | 자석식 패스너모듈 |
KR101146442B1 (ko) * | 2010-04-30 | 2012-05-18 | 세훈 고 | 휴대용 단말기 커버 |
KR20140003807A (ko) * | 2012-06-29 | 2014-01-10 | 유근황 | 고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
KR20170083978A (ko) * | 2017-03-30 | 2017-07-19 | 김건 | 흡착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
KR20170108902A (ko) * | 2017-08-31 | 2017-09-27 | 김건 | 충격 흡수력이 강화된 흡착식 핸드폰 케이스 |
-
2018
- 2018-02-06 KR KR1020180014834A patent/KR1020282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6506Y1 (ko) * | 1999-07-29 | 2000-02-15 | 송민섭 | 공기흡착구를이용한소지품부착구 |
KR20100003687A (ko) * | 2008-07-01 | 2010-01-11 | 조한중 | 자석식 패스너모듈 |
KR101146442B1 (ko) * | 2010-04-30 | 2012-05-18 | 세훈 고 | 휴대용 단말기 커버 |
KR20140003807A (ko) * | 2012-06-29 | 2014-01-10 | 유근황 | 고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
KR20170083978A (ko) * | 2017-03-30 | 2017-07-19 | 김건 | 흡착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 케이스 |
KR20170108902A (ko) * | 2017-08-31 | 2017-09-27 | 김건 | 충격 흡수력이 강화된 흡착식 핸드폰 케이스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종래에는 이 발명과 같은 차량용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특허문헌이 없었다고 판단된다.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7673A (ko)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디에스랩 | 반려동물용 빗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8277B1 (ko) | 2019-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64788B2 (ja) | 磁性支持部材が設けられた固定装置を有する携帯用電子機器支持用装置 | |
US20110024470A1 (en) | Handheld device holder for vehicle's steering wheel | |
US10444603B2 (en) | Combinational electronic apparatus | |
US20140054338A1 (en) | Vacuum Mount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16023662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Cell Phone or Similar Item in a Vehicle | |
CN102756695A (zh) | 固定在车内后视镜上具有充电扩音功能的手机支架装置 | |
KR102028277B1 (ko) | 다기능 스마트폰 케이스 | |
RO130497A2 (ro) | Kit auto inteligent pentru fixarea unui dispozitiv electronic | |
WO2013189415A2 (zh) | 通用车载装置 | |
GB2477102A (en) | Gadget grip or support with flexible legs | |
US10736408B2 (en) | Audio cable holder | |
CN214523653U (zh) | 整合电源的车用避光垫 | |
KR20130006987U (ko) | 이륜차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 |
CN209692842U (zh) | 一种手机壳支架 | |
CN210201887U (zh) | 一种新型无线取电炫彩手机保护套 | |
KR101902424B1 (ko) | 스마트폰 거치대 | |
CN207099135U (zh) | 磁吸背夹式车载手机支架 | |
JP2542472Y2 (ja) | 車載用マイクロホンの取付構造 | |
CN205447539U (zh) | 一种led汽车尾灯装置及其安装基座 | |
KR200444347Y1 (ko) | 차량 내부환경을 고려한 핸드폰 걸이장치 | |
US20190054865A1 (en) | Combinational electronic apparatus | |
CN218661582U (zh) | 一种用于内后视镜的固定结构、内后视镜及车辆 | |
CN202435755U (zh) | 一种平板显示设备保护装置 | |
CN213228979U (zh) | 后视镜收纳装置 | |
CN210380987U (zh) | 一种手机壳的可活动指环扣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