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016A -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016A
KR20190094016A KR1020180013564A KR20180013564A KR20190094016A KR 20190094016 A KR20190094016 A KR 20190094016A KR 1020180013564 A KR1020180013564 A KR 1020180013564A KR 20180013564 A KR20180013564 A KR 20180013564A KR 20190094016 A KR20190094016 A KR 20190094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semiconductor
electrode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6036B1 (en
Inventor
이은아
문성민
유효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036B1/en
Publication of KR2019009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lamp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r lamp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r lamp having a light source unit emitting light, the light source unit comprises: a base substrate;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rranged i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provided i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Moreover,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s: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rranged i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overlapp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rrang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arranged to be spaced from the active layer in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a passivation layer arranged i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Specifically,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차량은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나 가스 방전식 램프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vehicle lamps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and a signal function. In general,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have been mainly used, but recently, light emitting diodes (LED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light sources of vehicle lamps.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서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갖추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 패키지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패키지가 아닌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자체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개발 중이다. In the case of a light emitting diode,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minimized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of the lamp,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due to the semi-permanent life, but most of the light emitting diodes are produced in a package form. A light emitting diode (LED) itself, not a package, is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at converts current into light, and is being developed as a light source for display imag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현재까지 개발된 차량용 램프는 패키지 형태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이기에 양산 수율이 좋지 않고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플렉서블의 정도가 약하다는 약점이 존재한다. The vehicle lamps developed to date use light emitting diodes in a package form, and thus have a weak point that the yield is not good and expensive, and the degree of flexibility is weak.

따라서, 최근에는, 패키지가 아닌 반도체 발광소자의 자체를 이용하여 면광원을 제조하여 차량용 램프에 적용하는 시도가 있다.Therefore, recentl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manufacture a surface light source us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tself rather than a package and apply it to a vehicle lamp.

하지만, 차량용 램프는 차량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는 고온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한다.However, since the vehicle lamp is affect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vehicle engine, the vehicle lamp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ust secure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고온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시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amp that can ensure the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s in a vehicle lamp including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휘도가 향상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with improved brightness.

또한, 고온에서의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with improved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s.

또한, 차량용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 공정 마진을 확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secures the process margi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hicle lamp, and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에서 상기 광원부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면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vehicle lamp having a light source unit for emitting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unit is formed on a base substrate,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One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re provided.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는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되는 활성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면에 상기 활성층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도전형 전극,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도전형 전극 및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보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a passivation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In detail, an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wider than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d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제1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 배치되는 제2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passivation layer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overlap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disposed on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may be formed to surround a side of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stack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t is d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연장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example embodiments,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extending from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오버랩된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의 일면에는 상기 제1전극의 일부 및 제2전극의 일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1패시베이션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may be dispos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상기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제2도전형 전극이 적층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may have a side at which the active layer,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re stack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wrap.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연장되는 제1도전형 전극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도전형 전극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extending from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overlap a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도전형 전극과 오버랩된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의 일면에는 상기 제1전극의 일부 및 제2전극의 일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과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2전극, 상기 제1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is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제1도전형 반도체층보다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면적이 더 넓게 형성하여 발광 면적이 넓어지므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높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wider than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area is increased, and thus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high luminance. .

또한,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제1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여 제1도전형 반도체층의 패시베이션층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은 통하여 반도체 발광소자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열의 방출이 원활해질 수 있으며,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방열 성능의 향상으로 고온에서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not having the passivation layer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may facilitate the emission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may be improved. Can be. Furthermore,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s can be ensured 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나아가,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제2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여,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제1전극을 형성하여도 차량용 램프가 구동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 공정 마진이 확보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vehicle lamp can be driven by including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i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orming the first electrode in the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process margin is secu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hicle lamp. In addition,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도 1a는 차량용 램프의 일 실시예로서 리어 램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리어 램프가 발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를 A-A 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를 B-B 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가 고온에서 작동할 때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ar lamp as an embodiment of a vehicle lamp.
FIG. 1B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lamp of FIG. 1A emits light.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light source unit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unit of the vehicle lamp illustrated in FIG. 2A as viewed from the AA plan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describing a light source unit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unit of the vehicle lamp illustrated in FIG. 3A as viewed from the BB plane.
4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when the light source unit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t a high tempera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so, when an element such as a layer, region or substrat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on another element or intermediate elements may be present therebetween. There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램프에는 전조등(헤드 램프), 미등, 차폭등, 안개등, 방향지시등, 제동등(브레이크 램프), 비상등, 후진등(테일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발광이 가능한 장치이기만 하면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Vehicle lamp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headlights (headlamps), taillights, traffic lights, fog lights, turn signals, brake lights (brake lamps), emergency lights, reversing lights (tail lamps),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new product types that will be developed later, as long as they are light emitting devices.

도 1a는 차량용 램프의 일 실시예로서 리어 램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리어 램프가 발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1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ar lamp as an example of a vehicle lamp, and FIG. 1B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lamp of FIG. 1A is emitted.

도 1a를 참조하면, 차량의 리어 램프(100)는 차량의 후면의 양측에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차량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A, rear lamps 100 of a vehicle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a rear surface of a vehicle, thereby forming a rear exterior of the vehicle.

상기 리어 램프(100)는 미등, 방향지시등, 브레이크 램프, 비상등 및 테일 램프 등이 패키지 형태로 조합된 램프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램프(100)는 차량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램프들을 구비하게 된다.The rear lamp 100 may be a lamp in which a tail lamp, a direction indicator lamp, a brake lamp, an emergency lamp, and a tail lamp are combined in a package form. That is, the rear lamp 100 includes a plurality of lamps that selectively emit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vehicle.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램프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 설정된 모양(shape)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일 예로서, 브레이크 램프(100a)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커브드(curved)되도록 형성되어, 브레이크 램프(10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브레이크 램프는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굽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형태의 복잡한 형상은 복수의 발광영역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mps may be formed to emit a predetermined shape. In this example, as an example, the brake lamp 100a is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urved to be curv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brake lamp 100a so as to emit ligh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rake lamp 100a. Can be formed. Furthermore, the brake lamp may be bent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Such a complex shape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도 1b를 참조하면, 형상이 서로 다른 발광영역이 서로 조합되어, 상기 기설정된 모양을 구현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B, light emitting regions having different shap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realize the predetermined shape.

상기 발광영역에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여 구현되는 광원부(10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000)는 프레임을 통하여 차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는 광원부(1000)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일 수 있다.A light source unit 1000 implemented by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area. The light source unit 1000 may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 frame, and the frame may be a base substrate for disposing the light source unit 1000.

상기 광원부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플렉서블 광원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발광영역에 해당하는 발광면을 가지는 면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portion may be a flexible light source portion that can be bent, twisted, folded, or rolled, which can be bent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urface light source having a light emitt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이 경우에, 상기 광원부(10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발광영역의 각각에 배치되거나, 하나의 광원부가 상기 모양 전체를 구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unit 100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disposed in each of the light emitting regions, or one light source unit may be formed to implement the entire shape.

상기 광원부(1000)의 화소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종류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구성되는 발광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3차원의 공간상에서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The pixel of the light source unit 1000 may be implemented by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s one type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for converting current into light. The light emitting diode may b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and thus may serve as a pixel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는 기판,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재,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어느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절연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 insulating member formed to surrou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part of the insulating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member.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휘도가 향상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고, 고온에서의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고, 차량용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 공정 마진을 확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amp with improved brightness in a vehicle lamp, a vehicle lamp with improved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s, a process margi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vehicle lamp, and a vehicle lamp with reduced manufacturing costs. For the purpose 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looks at in more detail.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100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1000)를 A-A 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light source unit 1000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unit 1000 of the vehicle lamp illustrated in FIG. 2A as viewed from the A-A plane.

도 2a와 도 2b의 도시에 의하면,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1000)는 베이스 기판(1010),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재(1030),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을 포함할 수 있다.2A and 2B, the light source unit 1000 of the vehicle lamp is formed to surround the base substrate 1010,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a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105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The insulating member 1030, and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the second electrode 104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be included.

베이스 기판(10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또는 인플렉서블(inflexible)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substrate 10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made flexible or inflexible.

베이스 기판(1010)이 플렉서블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베이스 기판(1010)은 유리나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예를 들어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10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When the base substrate 1010 is made flexible, the base substrate 1010 may include glass or polyimide (PI). In addition, any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n insulating and flexible material. In addition, the base substrate 1010 may be either a transpar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나아가, 베이스 기판(1010)은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 베이스 기판(1010) 최외각에 접착력을 가지는 레이어 또는 소재가 배치되어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substrate 101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 addition, a layer or a material having an adhesive force may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1010 to fix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한편,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 상기 제1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는 활성층(10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일면에는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and an active layer 1054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Can be.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020 and a second electrode 1040.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의 일면상에 형성되는 제1도전형 전극(1052)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의 일면상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 전극(1056)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도전형 전극(1052)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의 일면에 활성층(1054)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a second conductive typ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n electrode 1056. In detail,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1054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보다 구체적으로,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및 제1도전형 전극(1052)은 각각 n형 전극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으며,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은 각각 p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도전형이 p형이 되고 제2도전형이 n형이 되는 예시도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may be n-type electrodes and n-type semiconductor layer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may be p-type, respectively. It can be an electrode and a p-type semiconductor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is p-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is n-type is also possible.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발광소자(1050)에서 발광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도시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의 면적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영역 중 활성층(10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이 적층되지 않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영역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 면적이 넓어지므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1000)는 높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be an area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emitt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The active layer 1054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that is not stacked. Since the light emitting area becomes wider, the light source unit 1000 of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high luminance.

일 실시예에서,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영역 중 활성층(10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이 적층되지 않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영역은 도시의 전면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일부 및 우측에 위치하는 모서리의 일부를 포함하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영역 중 활성층(10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이 적층된 영역은 상기 삼각형 형태의 영역을 제외한 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In detail, an area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in which the active layer 1054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are not stacked among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is at an edge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ity. It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form including a part of and a part of the corner located on the right. Meanwhile, the region in which the active layer 1054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are stacked in the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may have a pentagonal shape except for the triangular region.

따라서,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에 적층되는 제2도전형 전극(1056)의 면적이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영역 중 활성층(10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이 적층되지 않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영역에 배치되는 제1도전형 전극(1052)의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stacked 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is the active layer 1054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in the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It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disposed in the unlaminated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제2도전형 전극(1056)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이 p형 반도체층일 경우 제2도전형 전극(1056)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도전형 전극(1056)은 ITO(Indium Tin Oxide 화합물), IZO(Indium Zinc Oxide 화합물) 및 AZO(Aluminum Zinc Oxide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어 제2전극(104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제2도전형 전극(1056)으로 방출되는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광은 손실되지 않고 방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may be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whe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is a p-type semiconductor layer.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is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O (Indium Tin Oxide Compound), IZO (Indium Zinc Oxide Compound) and AZO (Aluminum Zinc Oxide Compound). 10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light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emitted to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may be emitted without being lost.

나아가, 반도체 발광소자(1050) 상에는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1020)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1도전형 전극(10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전극(1040)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제2도전형 전극(10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부(1000)가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the second electrode 1040 may be disposed o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The first electrode 10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and the second electrode 1040 may be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1000 to operate.

또한, 제1전극(1020)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전극(1040)의 적어도 일부는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은 서로 이격된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040 are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the second electrode 10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패시베이션층(1057)을 구비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057)은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예로서, 패시베이션층(1057)은 실리콘 합성물 또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절연 박막이 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include a passivation layer 1057. The passivation layer 1057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an example, the passivation layer 1057 may be an insulating thin film made of a silicon composite or an oxide.

패시베이션층(1057)은 제1패시베이션층(1057a) 및 제2패시베이션층(105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시베이션층(1057a)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활성층(10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이 적층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assivation layer 1057 may include a first passivation layer 1057a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1057b. The first passivation layer 1057a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the active layer 1054,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stacked thereon.

또한, 제1패시베이션층(1057a)은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패시베이션층(1057b)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1057a may be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Meanwhile,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1057b may be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도 2a를 참조하면, 제1패시베이션층(1057a)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우측면을 감싸고, 상기 우측면과 수직을 이루는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의 일면의 우측 모서리와 후면의 모서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도체 발광소자(1050) 특성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first passivation layer 1057a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right sid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and to surround the rear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right side. 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may be formed to cover the right edge of one surface and the edge of the rear surface.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may be stabilized.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만이 적층된 좌측 모서리는 패시베이션층(1057)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1000)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의 좌측 면은 통하여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열의 방출이 원활해질 수 있으며,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방열 성능의 향상으로 고온에서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The left edge on which only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is stacked may be formed without the passivation layer 1057.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unit 1000 of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moothly discharge heat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through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improv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more,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s can be ensured 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한편,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 경계에 배치되는 제2패시베이션층(1057b)을 구비하여,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제1전극(1020)을 형성하여도 차량용 램프가 구동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 공정 마진을 확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passivation layer 1057b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is provided to overlap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Since the vehicle lamp may be driven even when the first electrode 102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process margi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vehicle lamp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2패시베이션층(1157b)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의 경계에서 활성층(10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이 적층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패시베이션층(1157b)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의 경계에서 연장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2A and 2B,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1157b may include an active layer 1054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1055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tacked side. In addition,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1157b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extend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It may be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또한,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과 오버랩된 영역에 형성된 제2패시베이션층(1057b)의 일면에는 제1전극(1020)의 일부 및 제2전극(104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04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1057b formed in the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한편, 제1도전형 전극(1052), 제2도전형 전극(1056) 및 패시베이션층(1057)의 배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들의 적층 순서가 패시베이션층(1057)이 배치된 다음 제1도전형 전극(1052) 및 제2도전형 전극(1056)이 배치된다. 또한, 제1도전형 전극(1052) 및 제2도전형 전극(1056)이 배치된 다음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이 배치된다.Meanwhil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and the passivation layer 1057 will be described. The stacking order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the passivation layer 1057, and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7 are arranged.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are disposed.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are disposed, and then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the second electrode 1040 are disposed.

따라서, 제1도전형 전극(1052)은 제1전극(1020)과 제1도전형 반도체층(1053)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패시베이션층(1057b)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may be dispos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3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1057b.

또한, 제2도전형 전극(1056)은 제2전극(1040)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1055) 일면의 적어도 일부, 제1패시베이션층(1057b)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패시베이션층(1057b)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1056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040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055,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assivation layer 1057b,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1057b. It may be dispos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나아가,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은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부재(1030)의 일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부재(1030)는 고분자 소재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또는 폴리메틸페닐실록산(polymethylphenylsiloxane, PMP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1030)는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기판(101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first electrode 1020 and the second electrode 1040 may be formed to extend to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member 1030 formed to surround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In one embodiment, the insulating member 1030 may include polydimethylsiloxane (PDMS) or polymethylphenylsiloxane (PMPS) as a polymer material. In addition, the insulating member 1030 may serve to fix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to the substrate 1010.

상기 절연부재에 관한 위 열거 사항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부재(1030)는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감싸고, 광원부(100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그 재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enumeration regarding the insulating member is mere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sulating member 1030 surrounds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1050 and is not limited in material if it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0.

이하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In other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e foregoing example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200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살펴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2000)를 B-B 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light source unit 2000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source unit 2000 of the vehicle lamp illustrated in FIG. 3A as viewed from the B-B plane.

도 3a와 도 3b의 도시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2057)은 제1패시베이션층(2057a) 및 제2패시베이션층(205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시베이션층(2057a)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2053), 활성층(20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2055)이 적층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3A and 3B, the passivation layer 2057 may include a first passivation layer 2057a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2057b.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057a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3, the active layer 2054,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5.

또한, 제1패시베이션층(2057a)은 제2도전형 반도체층(2055)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패시베이션층(2057b)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2053)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2055)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057a may be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5.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057b may be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3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5.

제2패시베이션층(2157b)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2053)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2055)의 경계에서 활성층(2054), 제2도전형 반도체층(2055) 및 제2도전형 전극(2056)이 적층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패시베이션층(2157b)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2053)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2055)의 경계에서 연장되는 제1도전형 전극(1052)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도전형 전극(1056)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157b has an active layer 2054,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5, and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3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5. 2056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tacked side. In addition,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157b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1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extend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3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5. It may be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type electrode 1056.

또한, 제2도전형 전극(2056)과 오버랩된 영역에 형성된 제2패시베이션층(2057b)의 일면에는 제1전극(2020)의 일부 및 제2전극(204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2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4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057b formed in the reg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2056.

한편, 제1도전형 전극(2052), 제2도전형 전극(2056) 및 패시베이션층(2057)의 배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들의 적층 순서가 제1도전형 전극(2052) 및 제2도전형 전극(2056)이 배치된 다음 패시베이션층(2057)이 배치된다. 또한, 패시베이션층(2057)이 배치된 다음 제1전극(2020) 및 제2전극(2040)이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2052,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2056 and the passivation layer 2057, the stacking order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2052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2057 2056 is disposed and then passivation layer 2057 is disposed. In addition, after the passivation layer 2057 is disposed, the first electrode 2020 and the second electrode 2040 are disposed.

따라서, 제1도전형 전극(2052)은 제1전극(2020) 및 제2패시베이션층(2057b)과 제1도전형 반도체층(2053)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20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20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2057b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3.

또한, 제2도전형 전극(2056)은 제2전극(2040), 제1패시베이션층(1057a) 및 제2패시베이션층(1057b)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2055)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2056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040, the first passivation layer 1057a,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1057b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055. Can b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부가 고온에서 작동할 때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when the light source unit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t a high temperatur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인 실시예(a)와 비교예(b)의 110℃의 고온에서 2,000시간 동안 작동할 때 휘도를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a)의 경우 비교예(b)보다 고온에서의 휘도의 변화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brightness when operating for 2,000 hours at 110 ℃ high temperature of Example (a) and Comparative Example (b) that is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Example (a),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luminance at high temperature is small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b).

상세하게, 차량용 램프는 차량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는 고온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는 110℃의 고온에서 2,000시간 동안 차량용 램프를 작동하여 휘도의 변화로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a)가 비교예(b)보다 더 우수한 고온에서 휘도 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수 있다.In detail, since the vehicle lamp is affected by heat generated from the vehicle engine, the vehicle lamp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ust secure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 which is operated by the vehicle lamp for 2,000 hours at a high temperature of 110 ° C. to change the brightness. Can be evaluated as It can be seen that Example (a) has luminance performance at higher temperatures better than Comparative Example (b).

실시예(a)는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보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1패시베이션층 및 제2패시베이션층을 가지고, 상기 제1전극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비교예(b)는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보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면적이 동일하고, 반도체 발광소자의 감싸는 패시베이션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mbodiment (a) has a larger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a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has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and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the same as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has a passivation layer surround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vehicle lamp us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Claims (11)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면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는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배치되는 활성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면에 상기 활성층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도전형 전극;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도전형 전극; 및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보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In the vehicle lamp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for emitting light,
The light source unit
A base substrate;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on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conductive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act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e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Having a passivation layer,
The lamp of claim 2, wherein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전극의 적어도 일부는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lamp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제1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 배치되는 제2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passivation layer,
A first passivation layer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nd a second passivation layer dispos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i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o surround the side in which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stack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연장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extending from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as to.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오버랩된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의 일면에는 상기 제1전극의 일부 및 제2전극의 일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상기 제1패시베이션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상기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제2도전형 전극이 적층된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may be formed to surround a side of the active layer,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stack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경계에서 연장되는 제1도전형 전극 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도전형 전극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is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extending from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 전극과 오버랩된 영역에 형성되는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의 일면에는 상기 제1전극의 일부 및 제2전극의 일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과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2전극, 상기 제1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제2패시베이션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일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onductive electrode may includ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Is dispos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conductive electrode may include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passivation layer,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KR1020180013564A 2018-02-02 2018-02-02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526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64A KR102526036B1 (en) 2018-02-02 2018-02-02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64A KR102526036B1 (en) 2018-02-02 2018-02-02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16A true KR20190094016A (en) 2019-08-12
KR102526036B1 KR102526036B1 (en) 2023-04-26

Family

ID=6762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564A KR102526036B1 (en) 2018-02-02 2018-02-02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03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057A (en) * 2007-11-01 2010-06-29 파나소닉 주식회사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87466A (en) * 2009-01-28 2010-08-05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fabricating the same
KR20170072669A (en) * 2015-12-17 2017-06-2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Compact light emitting diode chip,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057A (en) * 2007-11-01 2010-06-29 파나소닉 주식회사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87466A (en) * 2009-01-28 2010-08-05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ethod fabricating the same
KR20170072669A (en) * 2015-12-17 2017-06-2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Compact light emitting diode chip,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036B1 (en)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329B2 (en) Vehicle lighting
JP6196086B2 (en) Organic EL panel and vehicle lamp
US20170016587A1 (en) Vehicular lamp
US10914445B2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614182B1 (en) Headlight having a plurality of luminescent diode emitters
CN112219060A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with same
KR102498211B1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9511707B2 (en) Vehicular lamp
CN110005997B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7092B1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20190217768A1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11384130B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light-emitting panel and an inorganic light-emitting diode
KR102526036B1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486969B1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084703B1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2020027744A (en)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US20180313514A1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13574314B (en) Lamp for vehicle
KR102111460B1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6975603B2 (en) Luminescent device
KR20200010890A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20210351228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8243494A (en) Organic el module
KR20190083567A (en) C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11859786B2 (en)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