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013A -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013A
KR20190094013A KR1020180013554A KR20180013554A KR20190094013A KR 20190094013 A KR20190094013 A KR 20190094013A KR 1020180013554 A KR1020180013554 A KR 1020180013554A KR 20180013554 A KR20180013554 A KR 20180013554A KR 20190094013 A KR20190094013 A KR 20190094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apping advertisement
zapping
advertisement data
storage
stor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831B1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주)재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플 filed Critical (주)재플
Priority to KR102018001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831B1/ko
Priority to PCT/KR2019/001266 priority patent/WO2019151761A1/ko
Publication of KR2019009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가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상태 변경 조건에 따라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재핑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플레인보다 시각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인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METHOD FOR OPERAT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디지털 형태로 방송 신호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아날로그 방송은 하나의 전파에 하나의 영상만 실을 수 있었고, 음성은 다른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해야만 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전파에 복수의 영상이나 음성을 실을 수 있으며,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도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은 선명한 화질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한편으로 쇼핑, 게임, 인터넷 서핑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시청자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이나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찾거나 현재의 시청 중인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채널을 전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채널 전환 행위를 재핑(Zapping)이라고 한다. 디지털 방송은 압축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전환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압축을 해제하여 처리하는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신호 처리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시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핑 광고 데이터를 미리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재핑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가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상태 변경 조건에 따라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재핑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플레인보다 시각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인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1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2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영역은, 휘발성 메모리이고, 상기 제2 저장영역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1 저장영역 및 상기 제2 저장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2 플레인에 표시된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1 플레인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노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장영역 및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의 저장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 공간이 없으면 상기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부터 삭제할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책은,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포함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핑 광고 데이터의 저장 장소 또는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조건은, 현 방송 채널에서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을 요청하는 채널 전환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응하는 채널 시청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현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시청 조건에 따른 상기 현 방송 채널 및 상기 채널 시청 조건을 감지한 시간에 편성된 재핑 광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는,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하는 조건 감지부, 상기 상태 변경 조건에 따라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복수의 저장부들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저장부들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저장부들에 존재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플레인보다 시각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인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1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2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며, 상기 제1 저장영역은, 휘발성 메모리이고, 상기 제2 저장영역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1 저장영역 및 상기 제2 저장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플레인에 표시된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1 플레인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노출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 이동하여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 공간이 없으면 상기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부터 삭제할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책은,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포함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 또는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조건은, 현 방송 채널에서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을 요청하는 채널 전환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응하는 채널 시청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현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시청 조건에 따른 상기 현 방송 채널 및 상기 채널 시청 조건을 감지한 시간에 편성된 재핑 광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에 재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재핑 데이터에 대해 한정된 저장 공간이 할당되는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한정된 저장 공간의 크기로 인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싱 기능과 버퍼링 기능을 활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의 캐싱 기능을 통해 외부 서버와의 접속 횟수를 줄여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키며, 메모리를 버퍼로 활용하여 저장 공간에 대한 입출력 횟수를 줄여 저장 공간에 대한 부하(load)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컨텐츠가 제공되는 일반적인 비디오 플레인의 하부에 위치하는 백그라운드 플레인에 미리 광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서, 광고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디지털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적용되는 레이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재핑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 제공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 재핑 광고 서버(200), 및 방송 수신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재핑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들 간에는 네트워크(500)가 구성되어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제공한다.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지상파 방송국, 지역 케이블 방송국,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국, 위성 방송국,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채널 전환 신호와 같이 특정 방송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300)로부터 수신하여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요청에 상응하는 방송 컨텐츠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의 제공 과정에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300)가 서버들로부터 압축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을 해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처리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되고, 그에 따라 신호 처리에 따른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 방송 수신 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차를 재핑 시간이라고 일컫는데 결국 이러한 재핑 시간은 방송 컨텐츠 변경 과정에서 눈에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송 채널에서 해당 방송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시청하는 동안에는 방송 컨텐츠의 수신, 해제, 처리 등의 과정이 지연된 재핑 시간을 기준으로 연속되기 때문에 재핑 시간에 따른 불편함이 적다. 그렇지만 하나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다른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방송 컨텐츠를 처리함에 따라 야기된 재핑 시간 동안에 아무런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핑 시간 동안에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화면에 재핑 광고가 노출되도록 한다.
재핑 광고 서버(200)는 재핑 광고 편성 데이터와 재핑 광고 편성에 필요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며, 실시예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를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재핑 광고 데이터는 컨텐츠, 기업, 제품, 서비스 등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데, 실시예에 따라 재핑 광고 데이터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 재핑 광고 표시 정보, 및 재핑 광고 부가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방송 수신 장치에 전달된 재핑 광고 데이터는 키워드, 그래픽 이미지, 동영상, 음향 등의 형태로 사용자, 즉 시청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재핑 광고 데이터에 있어서, 재핑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entification)와 같은 정보가 재핑 광고 소재 정보이고, 시청자에게 직접 제공될 그래픽 이미지, 동영상, 음향 등의 정보들이 재핑 광고 표시 정보이며, 사용자가 재핑 광고를 선택하는 경우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보다 구체적인 정보들이 재핑 광고 부가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재핑 광고 서버(200)는 광고주로부터 재핑 광고 신청을 받고 재핑 광고에 대한 비용을 산출하여 광고주에게 광고 비용을 청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재핑 광고 서버(200)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재핑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 및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지상파, 위성 또는 케이블 방송의 수신을 위한 셋톱 박스, 셋톱 박스 기능이 내장된 TV, 인터넷 기반의 IPTV를 비롯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수신 모듈이 탑재된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의 디지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주 단말(400)은 재핑 광고를 원하는 광고주가 접속 가능한 단말 장치로,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400)을 통해 재핑 광고 서버(200)에 접속하여 재핑 광고를 신청할 수 있다. 광고주 단말(400)은 재핑 광고 서버(200)가 제공하는 재핑 광고 신청 화면에서, 재핑 광고가 제공되는 채널, 재핑 광고가 제공되는 시간대, 재핑 광고의 교환 주기 등을 결정하여 재핑 광고를 신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고주 단말(400)은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재핑 광고 서버(200)는 광고주 단말(400)의 재핑 광고 신청에 기초하여 특정 광고와 채널, 광고 제공 시간대 등을 매핑하여 광고 편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고 편성 정보는 재핑 광고 서버(200)에 보관되거나 기 설정된 주기로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500)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또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으로서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방송 수신 장치(300), 재핑 광고 서버(200)와 방송 수신 장치(300), 재핑 광고 서버(200)와 광고주 단말(400) 사이의 통신을 매개한다.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300)에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고, 재핑 광고 서버(2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300)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광고주 단말(400)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재핑 광고 서버(200)에 재핑 광고를 신청할 수 있다.
도 2는 디지털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적용되는 레이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복수의 플레인들(BP, VP, GP, CP)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인들은 논리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가지며, 각 플레인들은 수직적인 계층을 가진다. 즉, 각 플레인들은 논리적으로 우선 시청되는 계층이 존재하고, 시청자는 전체 플레인들이 수직적으로 겹쳐져(overlay) 표시되는 화면을 시청하게 된다.
백그라운드 플레인(BP)은 논리적으로 최하부에 위치하는 플레인으로, 디코딩된 비디오나 이미지를 정적으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백그라운드 플레인(BP)은 MPEG-2 i-frame (ISO/IEC 13818-2에 정의됨), JPE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ISO/IEC 10918-1에 정의됨)과 같은 특정한 포맷만을 지원한다.
비디오 플레인(VP)은 디코딩된 비디오가 출력되는 플레인으로서, 방송 컨텐츠가 출력되는 플레인이다.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복수 개의 비디오 플레인(VP)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비디오가 디코딩되어 각 플레인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PIP (Picture-In-Picture) 기능을 지원하는 칩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본 화면과 별도로 작은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시에 복수의 비디오들이 디코딩되어 시청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스 플레인(GP)은 그래픽 또는 텍스트 기반 정보를 표시하는 플레인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스 플레인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픽스 플레인은 다양한 컬러와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스 플레인은 방송 수신 장치(300)가 제공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VOD 등), 채널 번호, 프로그램 정보, 방송 편성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래픽스 플레인은 비디오 플레인 및 백그라운드 플레인 보다 우선적으로 표시되며, 그래픽스 플레인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만큼 비디오 플레인의 화면을 가리면서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커서 플레인(C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서 플레인(CP)은 하드웨어를 통하여 입력되는 커서를 화면에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플레인으로, 일반적인 TV용 SoC(System On Chip)에서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플레인들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라고 표현하였으나, 시각적으로 보았을 때, 논리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플레인은 논리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플레인을 가리기 때문에, 백그라운드 플레인(BP)은 비디오 플레인(VP), 그래픽스 플레인(GP) 및 커서 플레인(CP)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커서 플레인(CP)은 다른 플레인들(BP, VP, GP)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플레인들 중에서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비디오 플레인(VP)과 재핑 광고 데이터가 표시되는 백그라운드 플레인(BP)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 두 가지 플레인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송 컨텐츠와 재핑 광고 데이터가 서로 논리적으로 상부와 하부에 표시되어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면 재핑 광고 데이터가 가려지고 재핑 광고 데이터는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만 노출되는 것으로 족하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레인들에 표시된 정보들은 방송 수신 장치에서 혼합되어 하나의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300)는 조건 감지부(310), 정보 획득부(320), 저장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건 감지부(310)는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 변경 조건에 따라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태 변경 조건은 방송 수신 장치(300)에 있어서 특정한 조건이 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특정 레이어에 새로운 재핑 광고 데이터가 표시되어야 하거나 갱신되어야 하는 조건에 상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태 변경 조건은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전원 온/오프, 디스플레이 장치(예: TV 등)의 전원 온/오프, 채널 전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 애플리케이션이 송수신하는 정보, 재핑 광고 정보 변경(예: 재핑 광고 편성 정보 업데이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3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되거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조건 감지부(310)는 방송 수신 장치(3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태 변경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재핑 광고 데이터와 방송 데이터가 모두 표시되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표시되어야 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를 식별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건 감지부(310)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태 변경 조건으로 감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 방송 채널에서 다른 방송 채널로 채널을 전환하는 경우, 조건 감지부(310)는 채널 전환 신호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방송 수신 장치(300)가 채널 전환 신호를 수신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채널을 전환할 경우에는 시청자가 채널을 단순히 이동하는 경우로 판단하여 그 이전에 시청하고 있던 채널에 편성된 하나의 재핑 광고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조건 감지부(310)는 이러한 상태를 상태 변경 조건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런데 채널 전환 신호가 입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채널 전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조건 감지부(310)는 시청자가 전환된 해당 채널을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채널에 대하여 편성된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조건 감지부(310)는 채널 전환 신호가 입력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채널 전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를 채널 시청 조건으로 보아 이를 상태 변경 조건으로 판단한다.
실시예에 따라, 재핑 광고 데이터는 각각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에 대하여 특정 시간대별로 편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건 감지부(310)는 채널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광고 편성에 따라 표시된 재핑 광고 데이터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역시 상태 변경 조건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건 감지부(31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방송 예약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한 경우, 방송 수신 장치(300)의 방송 예약 애플리케이션은 예약된 방송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명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조건 감지부(310)는 방송 예약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발생한 명령 신호를 상태 변경 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방송 예약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 컨텐츠로 표시될 수 있고 해당 방송 컨텐츠에 편성된 재핑 광고 데이터가 표시되어야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태 변경 조건이 사용자의 조작 행위인 경우, 조건 감지부(310)는 리모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조건 감지부(310)는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 또는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 또는 재핑 광고에 대한 정보 등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변경 조건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320)는 상태 변경 조건에 따라 방송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방송 컨텐츠 정보 또는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 정보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예: 방송 컨텐츠의 채널 정보, 편성 시간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재핑 광고 소재 정보는 어떠한 재핑 광고가 표시되어야 할지, 즉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태 변경 조건 감지에 따라 재핑 광고를 식별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정보로서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우선 획득하고 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전체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우선 판단한다.
저장부(330)는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330)는 복수의 저장영역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30)에 포함된 저장영역들은 상이한 저장 특성, 예를 들어 저장 공간 용량, 데이터 전송 속도, 액세스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영역(331)은 접근 속도가 빠른 반면 제2 저장영역(332)은 접근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고 제1 저장영역(331)은 전원의 차단 시에 저장되었던 데이터들이 모두 소실되나, 제2 저장영역(332)은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저장되었던 데이터들을 모두 보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저장영역(331)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나 SRAM(Static RAM) 등과 같이 전원을 잃으면 데이터를 소실하지만 빠른 접근 속도를 갖는 저장영역일 수 있다. 제2 저장영역(332)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M), PRAM(Phase-chang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영역(332)은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보존하지만 상대적으로 느린 접근 속도와 낮은 집적도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저장영역(332)에는 방송 수신 장치(300)의 관리를 위한 통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330)의 구획된 하나의 저장영역은 방송 애플리케이션과 관계없이 재핑 광고 데이터만을 위한 저장영역으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부(3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장영역들에는 저장 정책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330)는 저장 정책에 따라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저장 정책에 따라 제1 저장영역(331) 또는 제2 저장영역(332)으로부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 정책은 재핑 광고 데이터의 크기, 재핑 광고 데이터의 편성 빈도, 재핑 광고 데이터의 최초 저장 시점, 재핑 광고 데이터의 노출 빈도, 재핑 광고 데이터의 노출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제1 저장영역(331) 또는 제2 저장영역(332)에 저장할 저장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제1 저장영역(331) 또는 제2 저장영역(332)으로부터 삭제할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제어부(340)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저장부(33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되, 저장부(3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저장영역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재핑 광고 데이터의 저장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검색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플레인(예를 들어, 비디오 플레인)보다 시각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인(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플레인)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40)는 우선적으로 액세스 속도 및/또는 전송 속도가 빠른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제1 저장영역(331)으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 제1 저장영역(331)에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제2 저장영역(332)에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에 모두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340)는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재핑 광고 서버(200)에 대하여 특정한 재핑 광고 소재에 대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요청하는 질의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저장 정책에 따라 수신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음 수신된 재핑 광고 데이터는 검색을 할 때 우선순위가 부여된 바에 따라 제1 저장영역(331)에 우선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재핑 광고 데이터에는 재핑 광고 데이터 정보를 비롯하여 재핑 광고 부가 정보(예: 재핑 광고가 제공되어야 하는 방송 채널, 재핑 광고가 제공되는 광고 시간대, 재핑 광고의 유효 기간, 재핑 광고의 광고주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저장 정책에 따라 향후 재핑 광고 편성에 기초하여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많은 빈도를 가지고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선호 채널에 편성된 재핑 광고에 상응하는 경우, 또는 재핑 광고의 유효 기간이 긴 경우 등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부여된 바에 따라 제1 저장영역(331)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핑 광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300)의 조건 감지부(310)는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S400). 상술한 바와 같이, 상태 변경 조건은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전원 온/오프, 디스플레이 장치(예: TV 등)의 전원 온/오프, 채널 전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 애플리케이션이 송수신하는 정보, 재핑 광고 정보 변경(예: 재핑 광고 편성 정보 업데이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조건 감지부(310)는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함에 따라 발생하는 채널 전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현 방송 채널에서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을 요청하는 채널 전환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태 변경 조건으로 채널 시청 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정보 획득부(320)는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실시예에 따라, 조건 감지부(310)가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한 경우, 정보 획득부(320)가 상태 변경 조건에 대응하여 필요한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재핑 광고 서버(200)로 요청하고,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정보 획득부(320)는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전원이 처음 들어온 경우나 재핑 광고 소재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재핑 광고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정보 획득부(320)는 주기적으로 혹은 기 설정된 시간에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재핑 광고 소재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재핑 광고에 대한 식별 정보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재핑 광고에 대한 편성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감지부(310)는 자신이 감지한 상태 변경 조건과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재핑 광고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재핑 광고 서버(20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광고 편성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조건에 상응하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재핑 광고 서버(200)는 복수 개의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조건 감지부(310)가 채널 시청 조건을 상태 변경 조건으로 감지한 경우, 정보 획득부(320)는 현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획득부(320)가 현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재핑 광고 서버(200)로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현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재핑 광고 소재 정보는 현 방송 채널에 기초하여 채널 시청 조건을 감지한 시간에 편성된 재핑 광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제어부(340)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저장부(33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S420).
일 실시예로, 제어부(340)는 우선적으로 액세스 속도 및 전송 속도가 빠른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제1 저장영역(331)으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제1 저장영역(331)에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부(340)는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331)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반면 검색 결과 제1 저장영역(331)에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4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제2 저장영역(332)로부터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제2 저장영역(332)에 존재하면, 제어부(340)는 제2 저장영역(332)로부터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에 모두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색된 경우, 제어부(340)는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를 재핑 광고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으며(S430), 요청에 따라 재핑 광고 서버(200)로부터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40).
이 경우, 제어부(340)는 저장 정책에 따라 수신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40)는 수신한 재핑 광고 데이터를 향후 재핑 광고 편성에 기초하여 해당 재핑 광고 데이터가 많은 빈도를 가지고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선호 채널에 편성된 재핑 광고에 상응하는 경우, 또는 재핑 광고의 유효 기간이 긴 경우에 해당하거나 재핑 광고 데이터 자체에 미리 저장영역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에 따라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단계 S420 또는 S440에 의해 획득된 재핑 광고 데이터를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플레인(예를 들어, 비디오 플레인)보다 시각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인(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플레인)에 표시할 수 있다(S450). 이 경우 제2 플레인에 표시된 재핑 광고 데이터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제1 플레인에 표시되고 있는 방송 컨텐츠에 의해 시청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채널 전환 신호가 입력되는 등으로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방송 컨텐츠가 일시적으로 제1 플레인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제2 플레인에 표시된 재핑 광고가 노출된다.
다만, 이러한 상태를 지나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다가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등으로의 상술한 채널 시청 조건이 감지된 경우, 채널 시청 조건을 포함하는 상태 변경 조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방송 컨텐츠가 노출되고 있는 동안 제2 플레인(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플레인)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미리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재핑 광고 데이터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그 시각적 상부에 이미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재핑 광고 데이터의 변경 과정이 노출되지 않는바, 사용자에게 위화감없이 효율적으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재핑 광고 데이터를 변경할 때에는 이미 방송 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되어 처리된 경우이기 때문에 신호 처리의 부하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르면 접근 속도가 빠르고 노출 빈도가 높은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하여 두고 제1 저장영역(331)을 미리 검색하여 해당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제2 저장영역(332)에 대하여 저장되어 있는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재핑 광고 서버(200)에 대하여 재핑 광고 데이터를 질의하는 등으로 네트워크 부하를 높일 필요성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짧은 공백 시간 동안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노출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화면 깜박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짧은 공백 시간 동안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노출하기 위해 발생하는 지나치게 많은 자원의 소모 및 연산 과정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재핑 광고 데이터의 노출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제2 플레인에 표시된 재핑 광고 데이터가 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노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6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40)는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이동한 채널들을 카운트하되, 여기서의 이동한 채널들은 시청한 채널들로 제한할 수 있다. 즉 의미없이 중간에 이동한 채널들은 시청한 채널로 카운트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재핑 광고 데이터는 연속하여 노출되는 것으로 카운트한다. 구체적으로 시청자가 채널 15를 시청하다가 채널 23으로 이동하기 위해 리모컨을 통해 채널 증가 버튼을 입력하여 채널 전환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채널 전환 신호에 따라 채널 16으로 이동하지만,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다시 채널 전환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17로 이동하고 또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다시 채널 전환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18, 채널 19, 채널 20, 채널 21, 채널 22, 채널 23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들 경우에는 채널 전환 신호에 따라 다수의 8번의 채널 이동이 일어나지만 채널 시청 조건을 만족하지는 않고 그에 따라 채널 15에 대해서 편성되었던 재핑 광고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카운트한다. 그러다가 채널 23에 이르러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채널 전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시청자가 채널 23을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 즉 채널 시청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채널 23에 대응되는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2 플레인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청 채널은 채널 15과 채널 23만을 포함하며 결국 한 번의 채널 변경을 통해 채널 15에 대응되는 재핑 광고가 1회 노출되었다고 카운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시청자가 채널을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 채널 전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기 설정된 시간은 3초 내지 4초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출 시간은 채널 15를 벗어나 채널 23을 표시한 시간에 상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40)는 저장 정책에 따라 광고 노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의 저장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70). 제어부(34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저장 상태를 변경하거나 외부의 명령에 의해, 또는 상태 변경 조건 감지에 응답하여 해당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40)는 광고 노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하여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하여 요구되는 노출 빈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는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되어 저장되거나, 제1 저장영역(331)에 최초에 저장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가장 마지막에 노출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40)는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공간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저장영역(332)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 공간이 없으면, 제어부(340)는 저장 정책에 따라 제2 저장영역(332)로부터 삭제할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부(340)는 제2 저장영역(332)에 저장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재핑 광고 데이터, 마지막으로 노출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재핑 광고 데이터, 또는 노출 빈도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 또는 유효기간이 만료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332)으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 저장영역(332)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저장영역(331) 또는 제2 저장영역(332)에 저장할 저장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제1 저장영역(331) 또는 제2 저장영역(332)으로부터 삭제할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또는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하는 것을 결정하는 정책을 모두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저장 정책은 광고 노출 정보에 포함된 재핑 광고 데이터의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 또는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저장 정책에 따라 저장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어부(340)는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해 생성된 노출 횟수를 비교하여, 노출 횟수가 적은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대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40)는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해 생성된 노출 시간을 비교하여, 노출 시간이 오래된 순서로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대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정책에 따라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어부(340)는 제2 저장영역(332)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해 생성된 노출 횟수를 비교하여, 노출 횟수가 적은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332)로부터 삭제할 삭제 대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40)는 제2 저장영역(332)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해 생성된 노출 시간을 비교하여, 노출 시간이 가장 오래된 순서로 제2 저장영역(332)로부터 삭제할 삭제 대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에 우선 순위 또는 가중치 등을 정하여 저장 정책을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저장 정책에 따라 제1 저장영역(331)에 저장된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해 생성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을 기반으로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대상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제2 저장영역(332)으로부터 삭제할 삭제 대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저장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 또는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저장 정책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저장영역(331) 및 제2 저장영역(332)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저장 공간에 대한 제약을 극복하고 데이터 저장 및 삭제에 따른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저장 공간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제1 저장영역(331)을 복수 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30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저장 장치인 제2 저장영역(332)에 비해 전송 속도 및 액세스 속도가 빠른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 제1 저장영역(331)을 구비함으로써, 제2 저장영역(332)의 액세스 횟수를 감소시켜 저장 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광고 노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저장영역(332)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대상 데이터 및 제2 저장영역(332)으로부터 삭제할 삭제 대상 데이터를 결정함으로써 저장부(330)가 캐싱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외부 서버(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재핑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가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상태 변경 조건에 따라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재핑 광고 소재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플레인보다 시각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인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1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2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영역은, 휘발성 메모리이고,
    상기 제2 저장영역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1 저장영역 및 상기 제2 저장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제2 플레인에 표시된 재핑 광고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노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장영역 및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의 저장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 공간이 없으면 상기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부터 삭제할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책은,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포함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핑 광고 데이터의 저장 장소 또는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조건은, 현 방송 채널에서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을 요청하는 채널 전환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응하는 채널 시청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현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시청 조건에 따른 상기 현 방송 채널 및 상기 채널 시청 조건을 감지한 시간에 편성된 재핑 광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9. 재핑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태 변경 조건을 감지하는 조건 감지부;
    상기 상태 변경 조건에 따라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복수의 저장영역들에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저장영역들에 대해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정보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저장영역들에 존재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방송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1 플레인보다 시각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제2 플레인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1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포함된 제2 저장영역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며,
    상기 제1 저장영역은, 휘발성 메모리이고,
    상기 제2 저장영역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가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1 저장영역 및 상기 제2 저장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플레인에 표시된 재핑 광고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을 포함하는 광고 노출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저장된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 이동하여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 이동하여 저장할 저장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상기 재핑 광고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 공간이 없으면 상기 저장 정책에 따라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부터 삭제할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정책은,
    상기 광고 노출 정보에 포함된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 또는 삭제 대상 재핑 광고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조건은, 현 방송 채널에서 다른 방송 채널로 전환을 요청하는 채널 전환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응하는 채널 시청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현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재핑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시청 조건에 따른 상기 현 방송 채널 및 상기 채널 시청 조건을 감지한 시간에 편성된 재핑 광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재핑 광고 소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180013554A 2018-02-02 2018-02-02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205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54A KR102050831B1 (ko) 2018-02-02 2018-02-02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PCT/KR2019/001266 WO2019151761A1 (ko) 2018-02-02 2019-01-30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54A KR102050831B1 (ko) 2018-02-02 2018-02-02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05A Division KR102248200B1 (ko) 2019-11-25 2019-11-25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013A true KR20190094013A (ko) 2019-08-12
KR102050831B1 KR102050831B1 (ko) 2019-12-03

Family

ID=6747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554A KR102050831B1 (ko) 2018-02-02 2018-02-02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0831B1 (ko)
WO (1) WO201915176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696A (ko) * 2002-11-19 2005-08-3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Tv 플랫폼에서 다수의 컨텐츠 유형을 동시에 제공하기위한 방법
KR20090059281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기기 및 그 방법
KR20130026142A (ko) * 2011-09-05 2013-03-13 (주)재플 재핑 데이터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KR20150017337A (ko) * 2012-05-31 2015-02-16 (주)재플 Tv 화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0686A (ja) * 2003-12-26 2005-08-04 Canon Inc 信号出力方法およびチャンネル選択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696A (ko) * 2002-11-19 2005-08-3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Tv 플랫폼에서 다수의 컨텐츠 유형을 동시에 제공하기위한 방법
KR20090059281A (ko) * 2007-12-06 200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기기 및 그 방법
KR20130026142A (ko) * 2011-09-05 2013-03-13 (주)재플 재핑 데이터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KR20150017337A (ko) * 2012-05-31 2015-02-16 (주)재플 Tv 화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831B1 (ko) 2019-12-03
WO2019151761A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7873B2 (en) Providing remote access to segments of a transmitted program
EP2495952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source selection and toggling
KR101706606B1 (ko) Tv 화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30033819A (ko) 방송수신장치, 방송신호 관련 연관정보 제공방법
KR10162981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재핑 광고 제공 방법
US20160219330A1 (en) Commercial-free audiovisual content
KR102248200B1 (ko)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2050831B1 (ko) 방송 수신 장치 동작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20200010549A (ko) 재핑 광고 제공 방법 및 재핑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90105797A (ko) 재핑 광고 제공 방법 및 재핑 광고 제공 시스템
KR101302136B1 (ko) 개별 채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별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US11765425B2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method for providing moving image zapping advertisements thereof, and system providing moving image zapping advertisements
WO2020246644A1 (ko) 재핑 광고 제공 방법 및 재핑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40037533A (ko) 가상 광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U20142062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Source Selection and Toggling
CN104540006A (zh) 数字电视节目相关信息的搜索方法及数字电视接收终端
KR20150101767A (ko) 채널 리스트에 매칭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