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599A -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 - Google Patents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599A
KR20190093599A KR1020197018738A KR20197018738A KR20190093599A KR 20190093599 A KR20190093599 A KR 20190093599A KR 1020197018738 A KR1020197018738 A KR 1020197018738A KR 20197018738 A KR20197018738 A KR 20197018738A KR 20190093599 A KR20190093599 A KR 2019009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ardized
platform
unmanned
upper side
oil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964B1 (ko
Inventor
크누트 엥게네
Original Assignee
크베르너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베르너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크베르너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9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E21B33/035Well heads; Setting-up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34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of offshor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7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stee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12Underwater drilling
    • E21B7/128Underwater drilling from floating support with independent underwater anchored guide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78Suction piles, suction cans

Abstract

해저면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 및 채택되고 해수면 위로 돌출되는 재킷(10)을 포함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1) [Unmanned Wellhead Platform (UWP)]이 개시된다. 무인 유정 플랫폼은, 재킷(1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측 구조물(1)을 포함한다. 상부측 구조물은 반복적인 장래의 상부측 구조물(3)용으로 맞추어진 표준화된 베이스 개념으로서 설계된다. 각 상부측 구조물(3)은 개발될 유정의 숫자로 맞추어진다. 상부측 구조(3)는 다수 개의 상이하지만 표준화된 구역(4)들로 만들어진다. 각 표준화된 구역(4)은 특정하고 미리 정해진 목적 및 상기 상부측 구조물(3) 내의 위치에 대하여 전용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
본 발명은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 개념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플랫폼들은 해저면 상에 서 있는 재킷(jacket)을 포함한다. 재킷은 바다물을 통하여 연장되고 해수면 위로 돌출된다. 상층부는 재킷의 최상부 상에 탑재된다. 이러한 플랫폼 개념의 목적은 해저의 인프라스트럭춰를 해수면상으로 가져오는 것으로서, 이는 유정, 블로우 아웃 프리벤터 (blow out preventer), 크리스마스 트리 (Xmas trees), 밸브, 액츄에이터 등 및 그 이상의 접근가능한 지점을 만들게 된다.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 용어는 무인 유정 플랫폼, 무인 플랫폼, 원격 조정 플랫폼, 일반적으로 무인 플랫폼, 무인 처리 플랫폼 또는 더 단순한 연안 시설이 될 수 있다.
이들 플랫폼 개념들에 대하여 전형적인 것은 플랫폼에 영구적인 인력이 없다는 점과, 그 개념은 주거지역, 헬리콥터 착륙장 및 구명보트와 같은 전형적인 기능들을 제거하기 위한 선택사양을 허용한다는 점이다. 이들 모든 시설은, 예를 들어 보수유지 활동 시에 무인 유정 플랫폼을 도와주고 작동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서비스 운전 선박 (service operations vessel: SOV) 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해저의 저류원으로부터 탄화수소를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유전을 개발할 때 비용을 절약하기 위한 지속적이면서도 진행적인 요구 및 도전이 있어왔다. 무인 유정 플랫폼의 다소 새로운 개념을 이용하는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야 제안된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해저에 유정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해저 유정의 비용은 최근 수십년간 극단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무인 유정 플랫폼에 대한 전체적인 비용은 비싼 해저 개념과 관련하여 매우 유익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적인 설계 철학은 플랫폼 상의 장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운전 및 보수유지를 위해 플랫폼을 방문할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플랫폼에 대한 방문은 무인 유정의 보수유지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 1년에 1회로 한정하도록 계획되었다. 또한, 만약에 어떤 이유로건 방문시에 누출 및/또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효율적이고도 안전한 대피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WO 2016/122334호 공보에는 해저에 배치된 구조물 상에 지지된 무인 플랫폼이 개시되어 있다. 공보상의 플랫폼 구조는 표준화되어 있어서 다수의 설치 구조물 상에 동일한 플랫폼이 사용될 수 있다.
US 2016/0221648호 공보에는 시추 슬롯 (slots) 및 생산 슬롯을 구비한 연안 탄화수소 생산용 부유(浮游) 설비 및, 시추 라이저 (riser)를 통하여 유정을 시추하기 위하여 유정구역 상에서 시추 라이저와 함께 이동가능한 카트가 개시되어 있다.
GB 2515021호는 연안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지지 구조물은 해저에 고정된 한쪽 끝단을 가지는 주된 지지 스트럿 (strut)과, 그 지지 스트럿의 상부로 연장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며, 안내 레일은 프레임워크 (framework) 및 화물을 그 구조물의 상부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그 안내 레일에 미끄럼식으로 탑재될 수 있는 화물을 실은 프레임워크와 공동으로 작업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공보들의 어느 것도 미래의 확장 가능성에 대하여 채택되고 설계된 무인 플랫폼용의 플랫폼 구조를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면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 및 채택되고 해수면 위로 돌출되는 재킷과 상기 재킷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측 구조물을 포함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이 개시된다. 무인 유정 플랫폼은, 상부측 구조물이 반복적인 장래의 상부측 구조물용으로 맞추어진 표준화된 베이스 개념으로서 설계되고, 각 상부측 구조물은 개발될 유정의 숫자로 맞추어지고, 상기 상부측 구조물은 다수 개의 상이하지만 표준화된 구역들로 만들어지고, 각 표준화된 구역은 특정하고 미리 정해진 목적 및 상기 상부측 구조물 내의 위치에 대하여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측 구조물의 표준화된 구역들 중의 몇개는 적어도 하나의 규정된 유정 슬롯을 가지며, 번호가 부여된 각 유정 슬롯은 베이스 상부측 구조물(3)이 구축될 때마다 상부측 구조물 내에서 동일한 위치를 반복적으로 부여받음으로써, 그러한 베이스 상부측 구조물을 "표준화"한다.
많은 표준화된 구역들은, 같은 규격을 가지는 구역들의 집합으로 무리를 짓고 있더라도, 상이한 크기 및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비록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이 상이한 다수 개의 구역들로 분할되어도, 각 구역은 크기 및 의도된 용도와 관련하여 그의 표준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준화된 구역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전용의 유정과 연관된 다양한 구성부분들을 수납 및 장착하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준화된 구역들의 갯수는 표준화된 구조적 구역 및 표준화된 장비 구역들로 그룹화될 수 있다.
각 표준화된 구역은 적어도 2개의 갑판, 또는 선택적으로 각 표준화된 구역들은 3개의 갑판, 즉 저장 갑판, 중간 갑판 및 웨더 갑판에 걸쳐질 수 있다.
또한, 상부측의 구분된 프레임 구조물은 8개, 12개 또는 16개의 전용 유정 슬롯을 포함하며, 각 유정 슬롯은 하나의 각 유정에 대하여 필요한 구성부분을 수납하도록 맞추어진다. 전용 유정 슬롯의 갯수는 어떤 것도 생각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8개, 12개 또는 16개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측 구조물은 재킷의 모서리 레그들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로 수평면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무인 유정 플랫폼에 인접하여 위치되어야 하는 잭-업 리그 (도시않됨)에 대한 접근성 및 도달성과 관련하여 장점을 제공한다. 잭-업 리그의 레그들은 재킷의 모서리 레그에 걸터앉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무인 유정 플랫폼 상부측 구조물 및, 따라서 유정 지역에 가능한한 근접하게 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측 구조물은 가능한 미래의 확장을 위하여 맞추어지고 설계되며, 그러한 확장은 필요에 따라서 한 개 이상의 구조적 구역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이 앞서 일반적인 용어들로 기술된 반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기술 내용에서는 보다 상세하고도 비한정적인 실시예들의 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유정 플랫폼의 모식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무인 유정 플랫폼의 제1 실시예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플랫폼은 8개의 유정 슬롯들을 가진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무인 유정 플랫폼의 제2 실시예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플랫폼은 12개의 유정 슬롯들을 가진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무인 유정 플랫폼의 제3 실시예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플랫폼은 16개의 유정 슬롯들을 가진다.
도 5는 도 2에서 나타낸 제1 실시예를 위에서 본 모식도로서, 상부 갑판 (웨더 갑판 및 크리스마스 갑판)이 제거된 상태이다.
도 6은 도 3에서 나타낸 제2 실시예를 위에서 본 모식도로서, 상부 갑판 (웨더 갑판 및 크리스마스 갑판)이 제거된 상태이다.
도 7은 도 4에서 나타낸 제3 실시예를 위에서 본 모식도로서, 상부 갑판 (웨더 갑판 및 크리스마스 갑판)이 제거된 상태이다.
도 8a는 상기 플랫폼 상의 다양한 파이프들 및 구성부들의 예시적인 배치를 측면으로부터 본 요부도이다.
도 8b는 상기 플랫폼 상의 다양한 파이프들 및 구성품들의 예시적인 배치를 윗면으로부터 본 요부도이다.
도 9는 전형적인 유전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무인 유정 플랫폼(1)을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한다. 플랫폼, 보다 정확하게는 상부측 구조물(3)은 재킷(10) (도 2)의 상부에 설치된다. 재킷(10)은 레그(9) (도 2)들과 함께 설계되며 해저 상에 지지되도록 채택된다. 재킷(10)은 해저에 흡인버킷(앵커) 또는 파일에 의하여 고정된다. 재킷(10)은 일반적으로 재킷 구조의 정상에서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해수면 위로 돌출하는 트러스(truss) 구조물이다. 다수 개의 라이저 (riser)(2)들이 해저로부터 상부측 구조물(3)로 연장된다.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은 상부 갑판층(6) 전체에 걸쳐서 닿을 수 있는 선회 크레인(5)을 더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은 통상적으로 다수 개의 갑판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갑판)으로 만들어지는 프레임 구성 [도면부호는 마찬가지로 (3)이다]으로서 설계된다. 최하층 갑판은 저장 갑판(D1), 다음은 XMT 갑판(D2), 및 최상부에 웨더 갑판(D3)이다. 최상부 구역은 용이하게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은 표준화된 베이스 개념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그 개념이 반복적인 미래의 사용을 위하여 마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은 운용될 유정의 갯수 및 위치될 구역에 따른 각 프로젝트에 맞출 필요가 있다.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은 요구되는 유정의 갯수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이는 1-16 중의 어느 숫자일 수 있다. 또한, 갑판의 갯수도 조정된다. 갑판의 면적 및 갑판들 사이의 높이도 그에 따라 규정된다.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은 다수 개의 구역(4)들로 분할된다. 각 구역(4)은 크기 및 의도된 용도와 관련하여 표준화되어 있다. 하지만, 많은 구역(4)들이 동일하더라도, 다수의 구역(4)들은 또한 상이하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은 특정한 크기들로 무리를 이루지만, 각 크기는 표준화되어 있다. 각 구역의 크기는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 내의 특별한 소정의 목적 및 위치에 대하여 특정화된 것이다. 목적 및 위치의 예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최상부 프레임 구조물(3)의 웨더 갑판 D3의 3개의 상이한 실시예, 즉 D3', D3", D3'"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다 확실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구조물(3)의 표준화된 구역(4)들의 일부는 규정된 유정 슬롯(1s 내지 8s)를 가진다. 각 유정 슬롯은 고유 번호를 부여받는다. 장차 세워질 8개의 유정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을 위하여, 각각 번호가 부여된 유정 슬롯 (1s 내지 8s)들은,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 내에서 정확하게 같은 위치를 반복적으로 부여받는다. 따라서, 그러한 베이스 상부층 프레임 구조물(3)들은 "표준화된 것"으로 이름이 부여된다.
표준화된 구역(4)들의 수효는, 그 구역들이 다양한 집합으로 상이한 크기 및 구성에 맞추어질 수 있지만, 동일한 구역들의 집합으로 무리지울 수 있다. 2개로 굵직하게 분할된 구역들의 무리는, 예를 들어 "표준화된 구조적 구역" 및 "표준화된 장비 구역"으로 될 수 있다. 도 2에서, 이들은 각각 참조번호(4') 및 참조번호 (4")가 부여되어 있다.
표준화된 구역들(4)의 적어도 하나는 전용 유전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품들을 수납하고 탑재하도록 채택된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부측 구조물(3)은 재킷 구조(10)의 모서리 레그(9)들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로 수평면내에서 회전된다. 이는 무인 유정 플랫폼(1)에 인접하여 위치될 잭-업 리그 (jack-up rig) (도시않됨)에 대한 접근성 및 도달거리와 관련하여 장점을 가진다. 잭-업 리그의 레그들은 재킷(10)의 모서리 레그(9)들에 걸쳐질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무인 유정 플랫폼 상부 구성(3) 및 유정 지역에 가능한한 가깝게 도달할 수 있다. 자재 취급 플랫폼(11)도 도시된다. 이 플랫폼(11)은 해수면 위의 임의의 높이에 위치된다. 플랫폼(11)은, 더 높은 레벨에 위치된 고정된 설계이거나, 또는 해수면에 더 가까운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임시 플랫폼일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상부측 구조물(3)이 구획될 때에 그 상부측 구조물(3)의 전체 크기에 대해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유정 슬롯(1S 내지 16S)의 갯수이다. 유정 슬롯들은 제조기 (producers), 분사기 (injectors), 융통적인 것 (제조기 및 분사기 양자) 및 불필요한 것 (redundant) 등으로 전용화된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유정 플랫폼은 전형적으로 2개 내지 16개의 유정 슬롯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1S) 내지 (16S)으로 번호가 부여된 유정 슬롯들은 숫자들에 따라서 고정된 위치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10 슬롯의 무인 유정 플랫폼들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롯번호(10)까지의 슬롯 위치들을 배정받는다.
각 유정슬롯은 유정을 제조하거나 또는 분사할 수 있도록 일련의 상부측 구성품들을 가지게 된다. 이는 전형적으로는 유정헤드, XMT (크리스마스 트리), 유량 제어밸브, 유량계 및 분리밸브들이다.
각 유정 슬롯은 전형적으로는 2.5 × 2.5미터이다. 유정헤드 및 XMT 들은 이들 구역 내에 설치된다.
상부측 구조물(3)은 소정의 위치 및 각 구역(4)의 설계로 구역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역(4)들은 상부측 구조물(3) 내의 위치 및 유정 슬롯의 수효에 따라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측 구조물(3)은 20m × 20m 갑판층(6) (도 1) 및 3개의 높이 (갑판들)에 기반을 둘 수 있다. 이것은 2개 내지 8개의 유정을 가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유정의 갯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까지 추가로 확장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도 3의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m × 5.5m 의 구역의 열들로 구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만약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추가적인 유정을 확장하게 되면, 도 4의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m × 5.5m 의 구역의 또다른 열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유정의 갯수에 따라 4개의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구역들의 전형적인 수치들은,
2개 내지 4개의 유정 14 × 14 × 11m (도시않됨)
4개 내지 8개의 유정 20 × 20 × 11m (도 2)
9개 내지 12개의 유정 20 × 25 (남쪽의 외팔보를 포함) (도 3)
13개 내지 16개의 유정 20 × 30 (북쪽의 외팔보를 포함) (도 4)
장비는 표준화된 배치 (예를 들어, 도 6의 분사 시스템)를 가지며, 각 상부측 크기에 대하여 구획화되고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며, 유정의 갯수에 따른 축척을 가진다. 전형적인 구역들/지역들은,
도면에서 제조기 및 분사기들로 나타낸 유정 지역
제조 지역
분사 (WAG)(물 및 가스) 지역
가스 리프트 지역
유압기계들
전자, 장비, 제어, 통신 (EICT)(XMT 갑판, 도시않됨)
자재취급 지역
피깅 (pigging) 작업 장비용 지역
등이다.
예를 들어, 10 슬롯을 가진 무인 유정 플랫폼 상의 물 및 가스/분사 유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가지게 된다.
-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량 제어, 측정 및 분리 밸브의 배치
-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량 제어, 측정 및 분리 밸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물 및 가스 지역내의 매니폴드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구조물은 3개의 갑판레벨인, 저장 갑판(D1), 크리스마스 트리 갑판(D2) 및 웨더 갑판(D3)을 가진다.
저장 갑판(D1) (도 5, 6 및 7) 상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이한 구역 또는 지역들 내에서, 유량 제어, 유량 측정, 분리 밸브, 매니폴드, 가스 리프트 등을 위한 장비들과 함께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은 상부측 프레임 구조물(3)의 저장 갑판의 3개의 상이한 실시예(D1'),(D1"),(D1'")를 개시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상기 도 2 내지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은 웨더 갑판(D3'),(D3"),(D3'")에 대응하는 것이다.
크리스마스 갑판(D2)상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는 전원 (electro), 제어 시스템, 모체 플랫폼으로부터의 엄비리컬 (umbilical)의 입구, 분사 시스템용 장비와 함께 위치된다.
웨더 갑판(D3)은 다양한 유정으로의 접근을 위한 해치(12)들을 가진다. 웨더 갑판(D3)은 유정 영역을 엄폐하고 유정 개입 (well intervention)을 실행하기 위하여 유정에 대한 접속용 기지로서 운용된다. 웨더 갑판(D3)에는 피그 스키더 (pig skidder)용 공간이 있다. 피그 스키더는 저장 갑판(D1) 아래쪽의 라이저(2)들에 접속된 임시 배관 스풀들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피그 스키더는 플랫폼의 설치 후 및 제조/운전 시작 전에 세정의 목적으로 파이프라인 시스템에 넣어지는 플러그 장치를 시동 또는 수납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하나의 글로벌 배치가 도시되며, 여기에 도시된 것은,
-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잭-업 리그(JUR); 시추 및 유정 작업 시의 잠재적인 가스 유출로부터 잭-업 리그(JUR)의 노출을 최소화함.
-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으로부터의 서비스 운전 선박(SOV)의 접근; 예를 들어 동적인 위치설정 (Dynamic positioning: DP) 실패의 경우에 무인 유정 플랫폼과 SOV가 상호 간섭할 위험을 최소화함.
- 잭-업 리그 풋프린트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유선(流線)과 엄비리컬 경로
- SOV로부터의 동시적인 자재 취급을 위한 4개의 가능한 SOV 방향 및 무인 유정 플랫폼에 접속된 워크 투 워크 (walk to work: W2W). 워크 투 워크는 인원 반송용 부유선박과 고정된 설비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한 교량 상륙 시스템임.
- 무인 유정 플랫폼에 인접한 플로우 라인 및 엄비리컬 낙하된 물체 보호가 필요할 수 있음.
접속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최소한으로 유지되며, 라이저 및 J-튜브들만이 필요하다. 상부측은 단일 연안용 리프트용으로 설계된다. 이는, 모든 구성부분들이 설치 및 테스트 준비가 된 것임을 의미한다. 상부측과 재킷 사이의 접속을 완료하는 데에는 연결 스풀 (spool)들 만이 필요할 뿐이다. 연결 스풀들은 육지에서 생산되어 상부측으로 선적된다. 가능한 적용장비들은 연안에서 만들어진다.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EICT 콘테이너이다. 이를 선택한 이유는 EICT 콘테이너 내에서 전기 및 도구 캐비닛을 모아놓기 위함이다. 콘테이너의 크기는 가변적이며, 그것을 포함하게 될 장비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한 콘테이너를 위한 기본적인 위치는 크리스마스 트리 갑판(D2) 상에서 남쪽 방향에 있게 되는데, 그 이유는 노르웨이 연안 해역 상에서는 바람이 자주 북동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그렇게 함으로써 양호한 공기의 방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외부 자재 취급은 잭-업 리그(JUR)로의/로부터의 또는 서비스 작업 선박으로의/으로부터 행해진다. 잭-업 리그(JUR)로의 외부 자재 취급은 잭업 리그(JUR) 상에 위치된 크레인에 의하여 수행되고 전용의 착륙 영역으로는 무인 유정 플랫폼 상에서 수행된다. SOS (subsea on a stick)으로도 불리는 무인 유정 플랫폼으로는, 외부 자재 취급은 SOV 상에 위치된 크레인으로 수행하고 전용의 적재 플랫폼으로는 무인 유정 플랫폼 상에서 수행된다.
내부 자재 취급은 웨더 갑판으로부터 저장 갑판으로 연장되는, 전형적으로는 2m × 3m 인 수직축 내에서 발생된다.

Claims (11)

  1. 해저면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 및 채택되고 해수면 위로 돌출되는 재킷(10)과 상기 재킷(1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측 구조물(1)을 포함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1)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구조물(1)은 반복적인 장래의 상부측 구조물(3)용으로 맞추어진 표준화된 베이스 개념으로서 설계되고, 각 상부측 구조물(3)은 개발될 유정의 숫자로 맞추어지고, 상기 상부측 구조물(3)은 다수 개의 상이하지만 표준화된 구역(4)들로 만들어지고, 각 표준화된 구역(4)은 특정하고 미리 정해진 목적 및 상기 상부측 구조물(3) 내의 위치에 대하여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측 구조물(3)의 표준화된 구역(4)들 중의 몇개는 적어도 하나의 규정된 유정 슬롯(1s 내지 16s)을 가지며, 각 유정 슬롯은 1 및 그 이상의 각자적이며 독특한 번호를 받으며, 번호가 부여된 각 유정 슬롯(1s 내지 16s)은 베이스 상부측 구조물(3)이 구축될 때마다, 상부측 구조물(3) 내에서 동일한 위치를 반복적으로 부여받음으로써, 그러한 베이스 상부측 구조물(3)을 "표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구역(4)들의 수는, 같은 규격을 가지는 구역(4)들의 집합으로 무리를 짓고 있더라도, 상이한 크기 및 구성을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구역(4)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전용의 유정과 연관된 다양한 구성품들을 수납 및 장착하도록 맞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구역(4)들의 수는 표준화된 구조 구역(4') 및 표준화된 장비 구역(4")으로 그룹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표준화된 구역(4)은 적어도 2개의 갑판에 걸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표준화된 구역(4)은 3개의 갑판, 즉 저장 갑판(D1), 중간 갑판(D2) 및 웨더 갑판(D3)에 걸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의 구역화된 프레임 구조물은 8개, 12개 또는 16개의 전용 유정 슬롯을 포함하며, 각 유정 슬롯은 하나의 각 유정에 대하여 필요한 구성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구조물(3)은 상기 재킷(10)의 모서리 레그(9)들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로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구조물(3)은 가능한 미래의 확장을 위하여 맞추어지고 설계되며, 상기 확장은 필요에 따라서 한 개 이상의 구조적 구역 요소(4)를 부가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해심, 해양 기후 및 해양학적 데이터 (metocean data), 토질 조건 및 무인 플랫폼의 위치에 대하여 요구되는 강도에 대하여 조절된 등변 재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유정 플랫폼.
KR1020197018738A 2016-12-09 2017-12-11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 KR102449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61956A NO343938B1 (en) 2016-12-09 2016-12-09 Unmanned wellhead platform
NO20161956 2016-12-09
PCT/EP2017/082159 WO2018104546A1 (en) 2016-12-09 2017-12-11 Unmanned or remotely operated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599A true KR20190093599A (ko) 2019-08-09
KR102449964B1 KR102449964B1 (ko) 2022-10-05

Family

ID=6065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738A KR102449964B1 (ko) 2016-12-09 2017-12-11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934798B2 (ko)
EP (1) EP3551806B1 (ko)
KR (1) KR102449964B1 (ko)
BR (1) BR112019011856B1 (ko)
CA (1) CA3045966A1 (ko)
CY (1) CY1124660T1 (ko)
DK (1) DK3551806T3 (ko)
EA (1) EA037894B1 (ko)
LT (1) LT3551806T (ko)
MX (1) MX2019006599A (ko)
MY (1) MY195586A (ko)
NO (1) NO343938B1 (ko)
PL (1) PL3551806T3 (ko)
WO (1) WO2018104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6502B (en) * 2017-09-15 2021-06-09 Equinor Energy As Offshore wellhead platform
EP3705628A1 (en) * 2019-03-05 2020-09-09 Ørsted Wind Power A/S Offshore substation topside
CN110254648B (zh) * 2019-05-13 2020-12-15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利用dp协助船舶进出港的控制系统
CN110239676B (zh) * 2019-05-13 2020-12-15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实现自动控制进出港的科学考察船
GB2588602B (en) * 2019-10-25 2022-02-23 Equinor Energy As Operation of an unmanned production platfor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6326A (ko) * 1997-04-15 2001-01-26 데니스 피. 산티니 부유형 바지 플랫폼 및 그것의 조립 방법
KR20120056502A (ko) * 2010-11-25 2012-06-04 에이티에스파이론 (주)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16078662A1 (en) * 2014-11-20 2016-05-26 Maersk Drilling A/S A 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a method of using such a unit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a unit
US20160221648A1 (en) * 2011-10-18 2016-08-04 Total Sa Floating offshore facility and a method for drilling a we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021A (en) * 2013-06-10 2014-12-17 Renewable Hydrocarbons Ltd Access support for offshore installations
NO344478B1 (en) * 2015-01-30 2020-01-13 Kvaerner As Offshore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material handl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6326A (ko) * 1997-04-15 2001-01-26 데니스 피. 산티니 부유형 바지 플랫폼 및 그것의 조립 방법
KR20120056502A (ko) * 2010-11-25 2012-06-04 에이티에스파이론 (주)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20160221648A1 (en) * 2011-10-18 2016-08-04 Total Sa Floating offshore facility and a method for drilling a well
WO2016078662A1 (en) * 2014-11-20 2016-05-26 Maersk Drilling A/S A 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a method of using such a unit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a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11856A2 (pt) 2019-10-29
NO20161956A1 (en) 2018-06-11
MX2019006599A (es) 2019-08-01
MY195586A (en) 2023-02-02
EP3551806B1 (en) 2020-07-29
CA3045966A1 (en) 2018-06-14
BR112019011856B1 (pt) 2023-04-04
EA201991333A1 (ru) 2019-10-31
WO2018104546A1 (en) 2018-06-14
LT3551806T (lt) 2020-11-10
US10934798B2 (en) 2021-03-02
KR102449964B1 (ko) 2022-10-05
EA037894B1 (ru) 2021-06-02
NO343938B1 (en) 2019-07-15
CY1124660T1 (el) 2022-03-24
PL3551806T3 (pl) 2021-04-19
US20190301259A1 (en) 2019-10-03
DK3551806T3 (da) 2020-10-26
EP3551806A1 (en)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964B1 (ko) 무인 또는 원격조정 플랫폼
KR101952355B1 (ko) 부유식 해양 설비 및 웰 시추 방법
EP1097287B1 (en) Floating spar for supporting production risers
KR20130138853A (ko) 단일 장소에서 해양 플랫폼으로부터 다수의 해저 유정을 시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459437B2 (ko)
US20120055680A1 (en) Blow-out preventer, and oil spill recovery management system
CN106741688B (zh) 一种水下组合式生产输送立管系统及其安装方法
KR20150097964A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2087176B1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01541312B1 (ko) 시추 장비 테스트 시스템
KR20150049957A (ko) 테스트 웰헤드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20160022563A (ko) 해양 시추 설비
KR20140122163A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Mueller et al. Buoyant Tower: Drilling and Production
KR20130021925A (ko) 분출방지장치 테스트 장비를 보관하는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BR112019027704A2 (pt) estrutura flutuante de manuseio e içamento tubular vertical contínuo
OA16883A (en) A floating offshore facility and a method for drilling a w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