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426A - Linear compressor - Google Patents

Linea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426A
KR20190093426A KR1020180013034A KR20180013034A KR20190093426A KR 20190093426 A KR20190093426 A KR 20190093426A KR 1020180013034 A KR1020180013034 A KR 1020180013034A KR 20180013034 A KR20180013034 A KR 20180013034A KR 20190093426 A KR20190093426 A KR 20190093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housing
heat transfer
transfer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3153B1 (en
Inventor
노기원
최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153B1/en
Priority to EP21154706.2A priority patent/EP3848583B1/en
Priority to EP19152062.6A priority patent/EP3521617B1/en
Priority to CN201920169435.7U priority patent/CN210118233U/en
Priority to US16/265,372 priority patent/US11225958B2/en
Publication of KR2019009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near compressor comprises: a cylinder in which a compression space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is formed; a piston which reciprocates in an axial direction in the cylinder; a mover which is coupled to the piston to transfer a driving force to the piston; a stator in which a cylinder space is formed to enable the cylinder to be inserted to be coupled thereto, and which generates a driving force along with the mover; and a housing in which a sealed inner space is formed, and of which the stator is inserted to be fixed to an inner surface constituting the inner space. Moreover, a heat transfer member can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housing.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 {Linear compressor}Linear compressor {Linear compressor}

본 발명은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compressor.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공기나 냉매 등의 작동 유체를 압축하도록 이루어지는 장치를 말한다. 압축기는 산업 전반이나 가전 제품, 특히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하 '냉동 사이클'로 칭함)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Generally, a compressor refers to a device configured to compress a working fluid such as air or a refrigerant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generator such as a motor or a turbine. Compressors are widely used in the industry or home appliances, especially steam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eezing cycle').

이러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 로터리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로 구분될 수 있다.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이고,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 회전되는 롤러에 의해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스크롤 압축기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크롤이 맞물려 회전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이다.Such a compressor may be classified into a reciprocating compressor, a rotary compressor, and a scroll compressor according to a method of compressing a refrigerant. A reciprocating compressor is a method in which a compression space is formed between a piston and a cylinder and the piston reciprocates linearly to compress the fluid. A rotary compressor is a method in which the fluid is compressed by a roller eccentrically rotated inside the cylinder. A pair of scrolls are engaged to rotate and compress the fluid.

왕복동식 압축기는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냉매를 압축하는 크랭크 방식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진동 방식이 알려져 있다. 진동 방식의 왕복동식 압축기를 리니어 압축기라고 하며, 이러한 리니어 압축기는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데 따르는 기계적인 손실이 없어 효율이 향상되고,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BACKGROUND ART A reciprocating compressor is known to have a crank method of compressing a refrigerant by converting a rotational force of a rotary motor into a linear motion, and a vibration method of compressing a refrigerant using a linear motor hav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oscillating reciprocating compressor is called a linear compressor, and such a linear compressor ha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because there is no mechanical loss associated with converting the rotary motion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한편, 리니어 압축기는 윤활방식에 따라, 오일윤활형 리니어 압축기와 가스형 리니어 압축기로 구분할 수 있다. 오일윤활형 리니어 압축기(오일윤활형 압축기로 약칭함)는 특허문헌1(한국 공개특허공보 KR10-2015-004002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량의 오일이 저장되어 그 오일을 이용하여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를 윤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면, 가스윤활형 리니어 압축기(이하, 가스윤활형 압축기로 약칭함)는 특허문헌2(한국 공개특허공보 KR10-2016-00242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지 않고 압축공간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일부를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유도하여 그 냉매의 가스력으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를 윤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eanwhile, the linear compressor may be classified into an oil lubricated linear compressor and a gas typ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a lubrication method. Oil lubrication type linear compressor (abbreviated as oil lubrication type compressor) is,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015-0040027), a certain amount of oil is stored in the casing and the cylinder and the piston using the oil It is configured to lubricate the liver. On the other hand, a gas lubricated linear compressor (hereinafter, abbreviated as gas lubricated compressor)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KR10-2016-0024217), where oil is not stored in the casing and is discharged from the compressed space. It is configured to guide a part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and lubricate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by the gas force of the refrigerant.

오일윤활형 압축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오일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공급됨에 따라, 실린더와 피스톤이 모터열이나 압축열 등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일윤활형 압축기는 피스톤의 흡입유로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린더의 압축실로 흡입되면서 가열되어 비체적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흡입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oil lubricating compressor can suppress the overheating of the cylinder and the piston by the heat of the motor, the compression, or the like as oil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is supplied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Through this, the oil lubricating compressor can prevent the suction loss from occurring by suppressing the increase of the specific volume by being heated while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ssage of the piston is sucked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of the cylinder.

하지만, 오일윤활형 압축기는, 냉매와 함께 냉동사이클 장치로 토출되는 오일이 압축기로 원활하게 회수되지 않을 경우 그 압축기의 케이싱 내부에서는 오일부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케이싱 내부에서의 오일 부족은 압축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However, in the oil lubricating compressor, when the oil discharged to the refrigeration cycle unit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is not smoothly recovered by the compressor, oil shortage may occur in the casing of the compressor. This may cause the deterioration.

반면, 가스윤활형 압축기는, 오일윤활형 압축기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하고,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를 냉매로 윤활하기 때문에 오일부족으로 인한 압축기의 신뢰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On the other hand, gas-lubricated compressor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can be miniaturized compared to oil-lubricated compressors, and because the lubricant is lubricated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the reliability of the compressor is not reduced due to the lack of oi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윤활형 압축기는, 리니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모터열과 냉매를 압축하면서 발생되는 압축열이 원활하게 냉각되지 못하면서 압축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gas lubrication type compressor has a problem in that the compressor efficiency is lowered while the heat of the motor generated from the linear motor and the heat of compression generated while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re not cooled smoothly.

또, 종래의 가스윤활형 압축기는, 리니어 모터의 스테이터가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이나, 스테이터와 프레임의 접촉면은 가공오차로 인한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 틈새가 일종의 공기층을 형성하면서 모터열이 프레임을 통해 방열되지 못하면서 리니어 모터의 과열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스테이터와 프레임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로 인해 압축기 구동시 스테이터가 떨리면서 프레임에 부딪혀 진동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gas lubricated compressor, the stator of the linear motor is supported on the frame, bu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tator and the frame may have a gap due to a machining error. This gap forms a kind of air layer, and the heat of the motor does not radiate through the frame, causing overheating of the linear motor. Also, the gap between the stator and the frame causes the stator to vibrate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increasing vibration noise. There was also a problem.

또, 종래의 가스윤활형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압축기본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에 따라, 압축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모터열이나 압축열에 대한 방열효과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압축기의 크기도 증가하고 압축기본체의 규격에 따라 케이싱의 크기를 다르게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가중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gas lubricated compressor, as the compressor main body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on the motor heat or the compression heat generated in the compressor body is lowered, and the size of the compressor is also increased. Since the size of the casing should be provid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compressor main bod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wa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본체와 이를 지지하는 부재 사이에서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압축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모터열과 압축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compressor that can quickly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pressor by minim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mpressor body and the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 본체와 이를 지지하는 부재 사이에서의 접촉력을 높여 압축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모터열 또는 압축열이 신속하게 방열되는 동시에 진동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compressor capable of suppressing vibration noise while simultaneously dissipating motor heat or compression heat generated in the compressor body by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compressor body and the member supporting the compressor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압축기 본체의 규격에 관계없이 지지구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near compressor which can be made compact in size and that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mpressor main body.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니어 모터와 압축유닛로 이루어지는 압축기 본체; 및 상기 압축기 본체를 감싸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or body consisting of a linear motor and a compression unit; And a housing that surrounds and supports the compressor body, and may provide a linear compressor to expose the housing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압축기 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a heat transfer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ressor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그 피스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무버;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실린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버와 함께 구동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 밀봉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상기 스테이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er is formed a compression space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piston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cylinder; A mover coupled to the piston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piston; A stator having a cylinder space formed to insert and couple the cylinder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gether with the mover; A housing in which a sealed inner space is formed and the stato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using in the axi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달 부재의 열전도 계수는 상기 스테이터 또는 상기 하우징의 열전도 계수보다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a heat transfer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tator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stator or the housing.

그리고, 상기 열전달 부재의 탄성 계수는 상기 스테이터 또는 상기 하우징의 탄성 계수보다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odulus of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stator or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에 접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 사이 또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 사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열전달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the first housing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An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in contact with an axial side surface of the stator,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or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stator.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ne side in the direction.

그리고,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부분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portion provid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and a second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one axial side surface of the stator.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be formed in one piece.

그리고,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열전달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열전달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2 열전달부재와 분리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and a second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one axial side of the stator.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그리고, 상기 제1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달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와 독립적으로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rranged radially, and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independentl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tator cores.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는 각각 다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원호 형상으로 적층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주면이 접하는 부위에 스테이터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tator includes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tator cores are laminated with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in an arc shape, the stator at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core abuts Insertion grooves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삽입홈의 곡률은 상기 스테이터 삽입홈을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curvature of the stator insertion groove may be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except the stator insertion groove.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는 각각 다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원호 형상으로 적층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로 돌출되도록 방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tator includes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tator cores are laminated with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in an arc shape,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is formed so as to project between the stator core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Can be.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에 접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에 결합되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the first housing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tor;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 first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in contact with an axial side surface of the stator; And a third housing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housing, wherein the third housing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t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공간의 토출측에 연통되도록 토출관이 결합되고, 상기 제3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흡입관이 결합되며, 상기 토출관과 흡입관이 탄력을 가지는 지지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토출관과 흡입관 중에서 적어도 한 쪽은 상기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A discharge tube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a suction tube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is coupled to the third housing, and the discharge tube and the suction tube are elastic. It is coupled to the bracket,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tube and the suction tube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with the elastic member therebetween.

여기서, 상기 압축공간의 일측에는 그 압축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토출밸브는 상기 스테이터의 실린더 공간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Here, one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mpression space, the discharge valve may be provided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space of the stator.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그 피스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무버;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실린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버와 함께 구동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를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스테이터와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에서 지지부재쪽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er is formed a compression space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piston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cylinder; A mover coupled to the piston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piston; A stator having a cylinder space formed to insert and couple the cylinder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gether with the mover;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tator in the radial and axial directions; And a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support member to transfer heat from the stator to the support member.

여기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보다 열전달계수 또는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eat transfer coefficient or elastic modulus than the support member.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는, 압축기 본체를 감싸 지지하는 하우징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모터열과 압축열을 신속하게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surrounding the compressor main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reby the motor heat and the compression heat generated in the compressor main body can be quickly dissipated.

또, 압축기 본체와 하우징 사이에 열전달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압축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우징으로 신속하게 전달되어 방열되는 동시에, 열전달부재가 탄성을 가짐에 따라 압축기 본체과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heat transfer member between the compressor main body and the housing, heat generated in the compressor main body is quickly transferred to the housing to radiate heat, and as the heat transfer member is elastic, the vibration noise generated between the compressor main body and the housing is reduced. Can be.

또, 압축기 본체를 하우징으로 감싸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압축기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압축기 본체의 규격에 관계없이 지지구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nclosing the compressor main body in the housing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bracket supporting the compressor can be simplified while miniaturizing the compressor, and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compressor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모터에서 아우터 스테이터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
도 4는 도 3에서 아우터 스테이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압축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열전달 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7a는 열전달 부재의 제1 부분을 축방향에서 보인 단면도 및 도 7b는 열전달 부재의 제2 부분을 반경방향에서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열전달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열전달 부재에서 각 스테이터 코어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열전달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하우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부재가 적용되는 리니어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separated from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FIG. 1;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outer stator in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heat transfer member shown in FIG. 5 broken;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member in the radial direc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stator core in the separat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using 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ousing 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near compressor to which th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유체를 토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냉동 사이클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유체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of sucking and compressing a fluid and discharging the compressed fluid.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onent of a refrigeration cycle, hereinafter, the fluid is described by taking a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as an exampl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separated from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0)는, 하우징(110), 구동유닛(120), 압축유닛(130) 및 지지 브라켓(1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linear compres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 drive unit 120, a compression unit 130, and a support bracket 140.

하우징(110)은 대기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구동유닛(120)과 압축유닛(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도록 열전도 계수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as to quick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compression unit 130.

또, 하우징(110)은 중간 하우징(111), 전방 하우징(112), 후방 하우징(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intermediate housing 111, a front housing 112, and a rear housing 113.

제1 하우징을 이루는 중간 하우징(111)은 전후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하우징(111)의 내경은 구동유닛을 이루는 리니어 모터(120)의 외경, 즉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 스테이터(121)는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삽입되어 중간 하우징(1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하우징(111)과 아우터 스테이터(121) 사이에 후술할 열전달 부재(150)가 삽입됨에 따라, 열전달 부재(150)의 두께만큼 중간 하우징(111)의 내경은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constituting the first housing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both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re ope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linear motor 120 constituting the driving unit,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stator 121. Accordingly, the outer stator 121 may be insert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may be fixed by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between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the outer stator 121,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121).

제2 하우징을 이루는 전방 하우징(112)은 중간 하우징(111)의 전방측 개구단을 복개하는 것으로,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12)은 그 일측면이 리니어 모터(120)의 전방측, 즉 스테이터(120a)의 전방면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front housing 112 constituting the second housing covers the front opening end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may be formed in a disc shape. One side of the front housing 112 may be support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of the linear motor 120,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stator 120a.

그리고 전방 하우징(112)의 중앙부분에는 후술할 토출공간의 일부를 이루도록 토출공간부(112a)가 외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공간부(112a)의 중앙에는 토출구(112b)가 형성되고, 토출구(112b)에는 토출관(116)이 연결될 수 있다. 토출관(116)은 후술할 지지 브라켓(140)에 결합되어 압축기 본체(C)를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가지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관(116)이 지지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지지 브라켓과 함께 설명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space portion 112a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front housing 112 to form a part of the discharge space to be described later. A discharge port 112b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pace 112a, and a discharge pipe 116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112b. The discharge pipe 116 may be formed of a pipe having a strength sufficient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140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ort the compressor main body C in the axial direc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pipe 116 is supported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support bracket.

제3 하우징을 이루는 후방 하우징(113)은 중간 하우징(111)의 후방측 개구단을 복개하는 것으로, 형상은 중간 하우징(111)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하우징(111)의 길이가 스테이터(120a)의 길이보다 현저하게 길게 형성되어 후술할 무버(120b)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경우에는 후방 하우징(113)이 전방 하우징(112)과 같은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중간 하우징(111)의 길이가 스테이터(120a)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무버(120b)가 움직일 수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후방 하우징(113)은 일종의 흡입공간을 이루도록 내부공간(101)을 가지는 캡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housing 113 constituting the third housing covers the rear opening end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is formed to b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tator 120a, the rear housing 113 may have sufficient space to allow the mover 120b to be reciprocated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such as the front housing 112. However, when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is form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stator 120a, since the mover 120b needs a space to move, the rear housing 113 may form a suction space. It may be formed in a cap shape having a space 101.

그리고, 후방 하우징(113)의 중앙부분에는 흡입구(113a)가 형성되고, 흡입구(113a)에는 하우징(110)의 흡입공간으로 냉매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관(115)이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115)은 앞서 설명한 토출관(116)과 마찬가지로 지지 브라켓(140)에 결합되어 압축기 본체(C)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10)이 지지 브라켓(140)에 거의 미끄러지게 지지되는 경우 흡입관(115)과 토출관(116)에 걸리는 하중은 경감될 수 있다. 흡입관이 지지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지지 브라켓과 함께 설명한다.In addition, a suction port 113a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housing 113, and a suction pipe 115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13a to allow refrigerant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space of the housing 110. Like the discharge pipe 116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ipe 115 may be formed of a pipe having a strength sufficient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140 to support the compressor body C. However, when the housing 110 is supported to slide almost on the support bracket 140, the load applied to the suction pipe 115 and the discharge pipe 116 may be reduc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pipe is supported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support bracke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유닛(120)과 압축유닛(130)의 배치 형태에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1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elong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but in some cases, the housing 110 may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compression unit 130.

리니어 모터를 이루는 구동유닛(120)은 스테이터(120a) 및 그 스테이터(120a)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무버(1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constituting the linear motor may include a stator 120a and a mover 120b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stator 120a.

스테이터(120a)는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내측에 소정의 공극(120c)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tator 120a may include an outer stator 121 and an inner stator 122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gap 120c inside the outer stator 121.

아우터 스테이터(121)는 코일 권선체(125) 및 코일 권선체(125)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스테이터 코어(126)가 포함되고, 코일 권선체(125)에는 보빈(125a) 및 보빈(125a)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권선코일(125b)이 포함될 수 있다. The outer stator 121 includes a coil winding 125 and a stator core 126 arranged to surround the coil winding 125, and the coil winding 125 includes a bobbin 125a and a bobbin 125a. The winding coil 125b wou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included.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126)는 다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방사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다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내주면의 곡률과 외주면의 곡률이 동일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적층된 라미네이션 블록(lamination block)으로 이루어져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예를 설명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tator core 126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radially, and a lamination block in which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are laminated in an arc shape such that the curv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the same. It may be arranged along. This embodiment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너 스테이터(122)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방사상으로 적층되어 원통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복수 개 의 라미네이션 시트는 전후 양측에 고정링(미부호)이 압입되어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The inner stator 122 may have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radially stack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The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can maintain a cylindrical shape by pressing a fixed ring (unsign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이에 따라, 이너 스테이터(122)의 중심부에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 공간(122a)이 형성되고, 실린더 공간(122a)에는 후술할 실린더(1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 실린더 공간(122a) 중에서 실린더(131)가 삽입되고 남은 공간에는 제1 토출공간(104a)과 제2 토출공간(104b)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 cylindrical cylinder space 122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tator 122, and the cylinder 1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ylinder space 122a.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space 104a and the second discharge space 104b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space after the cylinder 131 is inserted in the cylinder space 122a.

한편,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이너 스테이터(122)는 코일 권선체(125)를 사이에 두고 전후 양쪽이 각각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공극(미도시)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권선 코일체(125)를 사이에 두고 한 쪽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120c)을 형성하는 반면 다른 한 쪽은 서로 연결되어 한 개의 공극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그네트(124a)(124b)는 무버(120b)에 결합될 수도 있고, 스테이터(120a)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한 개의 공극을 가지며 마그네트가 스테이터에 결합되는 리니어 모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Meanwhile,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voids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coil winding body 125 therebetween, and the winding coil body ( One sid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120c), while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one space. In this case, the magnets 124a and 124b may be coupled to the mover 120b or may be coupled to the stator 120a. This embodiment describes a linear motor having one air gap and a magnet coupled to a stator as an example.

공극(120c)을 이루는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폴부(121a)에는 영구자석으로 된 마그네트(124a)(124b)가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폴부(121a)는 마그네트(124a)(124b)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테이터의 조합에 의해 후술할 자기적 스프링의 강성, 알파값(모터의 추력상수 또는 유기전압상수), 알파값 변동율 등이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120a)는 해당 리니어 모터가 적용되는 제품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그 길이나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Magnets 124a and 124b made of permanent magnets may be attached to the pawls 121a of the outer stator 121 forming the voids 120c. The pole part 121a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agnets 124a and 124b. The combination of the stators as described above may determine the stiffness of the magnetic spring, the alpha value (the thrust constant or the induced voltage constant of the motor), the alpha value variation rate,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tator 120a may have its length or shape determined in various range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product to which the linear motor is applied.

마그네트(124a)(124b)는 권선코일(125b)과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The magnets 124a and 124b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the winding coil 125b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motor can be reduced.

또, 마그네트(124a)(124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마그네트(124a) 및 제2 마그네트(124b)가 무버(120b)의 왕복방향(이하, 축방향과 혼용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124a)(124b)는 N극과 S극이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2-폴(2-pole) 마그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s 124a and 124b may have a first magnet 124a and a second magnet 124b having different polarities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mover 120b (hereafter, mixed with the axial direction). . Accordingly, the magnets 124a and 124b may be formed of a 2-pole magnet having N and S poles having the same length on both sides.

본 실시예에서의 마그네트(124a)(124b)는 아우터 스테이터(121)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124a)(124b)는 이너 스테이터(122)에만 구비될 수 있고,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이너 스테이터(122)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magnets 124a and 124b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only in the outer stator 1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agnets 124a and 124b may be provided only in the inner stator 122 and may be provided in both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무버(120b)는 코어홀더(123a) 및 그 코어홀더(123a)에 지지되는 자성체코어(12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ver 120b may include a core holder 123a and a magnetic core 123b supported by the core holder 123a.

코어홀더(123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후술할 피스톤(132)에 결합되고, 타단은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이너 스테이터(122) 사이의 공극(120c)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홀더(123a)는 축방향으로 자유 상태로 놓여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과 같이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The core holder 123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piston 1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eciprocally inserted into the air gap 120c between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Can be. The core holder 123a may be placed in a free state in the axial direction, but in some cases, the core holder 123a may be supported in the axial direction by a spring as shown in FIG. 1.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무버(120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권선코일(125b)과 자석, 그리고 자성체코어(123b)에 의해 형성되는 일종의 자기적 공진스프링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므로, 코어홀더(123a)가 별도의 스프링으로 지지되지 않더라도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압축기의 운반이나 설치 형태에 따라서는 무버(120b)의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코어홀더(123a)의 후방측에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무버 지지스프링(127)으로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mover 120b of the present embodiment reciprocates by a kind of magnetic resonance spring formed by the winding coil 125b, the magnet, and the magnetic core 123b, as described above, the core holder (b) Although 123a) is not supported by a separate spring, the reciprocating motion can be perform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er (120b) depending on the type of transport or installation of the compressor in consideration of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mover support spring 127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in the rear side of the core holder (123a). have.

자성체코어(123b)는 다수 개의 자성체시트가 적층되거나 블록으로 제작되어 코어홀더(123a)에 압입될 수 있다. 하지만, 자성체코어(123b)는 코어홀더(123a)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거나, 별도의 고정링(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성체코어(123b)는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이너 스테이터(122)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전자기력에 의하여 코어홀더(123a)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The magnetic core 123b may have a plurality of magnetic sheets stacked or made of blocks to be press-fit into the core holder 123a. However, the magnetic core 123b may be fixed by being bo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holder 123a or by using a separate fixing ring (not shown). Accordingly, the magnetic core 123b may linearly reciprocate with the core holder 123a by mutual electro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120)은, 권선코일(125b)에 전류가 인가되면, 스테이터(120a)에는 자속(magnetic flux)이 형성되고, 전류 인가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과 후술할 무버(120b)의 자성체코어(123b)에 형성되는 자속의 상호 작용에 의해 무버(120b)가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구동 유닛은 기계적인 공진 스프링을 대체하는 자기적 공진 스프링(magnetic resonence spring)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winding coil 125b, a magnetic flux is formed in the stator 120a, and the magnetic flux formed by applying the current will be described later.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magnetic flux formed in the magnetic core 123b of the mover 120b, a force capable of moving the mover 120b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rawing may be generated. As a result, the drive unit of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 magnetic resonence spring to replace the mechanical resonant spring.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120)은 스테이터(120a)와 무버(120b)에 의해 피스톤(132)의 왕복 운동을 위한 추력 및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추력(推力)은 무버(120b)를 운동 방향으로 미는 힘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압축행정에는 상사점을 향하고 흡입행정에는 하사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복원력은 무버(120b)를 기준위치(또는 최초위치) 방향으로 미는 힘을 의미한다. 즉, 복원력은 기준위치에서 그 값이 0이 될 수 있고, 기준위치에서 멀어져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갈수록 각각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the thrust and the restoring force for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132 by the stator 120a and the mover 120b. Here, the thrust (推力) means the force pushing the mover (120b)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specifically acting toward the top dead center for the compression stroke and the bottom dead center for the suction stroke. On the other hand, the restoring force means a force pushing the mover 120b toward the reference position (or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restoring force may be zero at the reference position, and may increase or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ward the top dead center or the bottom dead center, respectively.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스테이터(120a) 및 무버(120b)에는 두 종류의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는 권선코일(125b)을 쇄교하는 자로를 형성하는 자속으로서, 앞서 설명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권선코일(125b)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이너 스테이터(122)를 따라 하나의 루프가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무버(120c)의 압축 및 흡입 행정을 위한 추력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wo types of magnetic fluxes may be formed in the stator 120a and the mover 120b of the present embodiment. One is a magnetic flux forming a magnetic path that bridges the winding coil 125b and may serve to generate the thrust described above. That is, one loop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winding coil 125b, which generates a thrust for the compression and suction stroke of the mover 120c. can do.

다른 하나의 자속은 본 실시예의 마그네트(124a)(124b), 즉 제1 마그네트(124a)와 제2 마그네트(124b)를 맴돌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작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124a)(124b)를 맴도는 자속은, 무버(120b)의 자성체코어(123b)가 기준위치에서 벗어날수록 공극(120c)을 형성하는 스테이터(120a)의 폴부의 측면에 노출되는 양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124a)(124b)를 맴도는 자속이 형성하는 복원력은, 기준위치에서 멀리 벗어날수록 그 절대값이 증가되는 경향을 갖게 된다.The other magnetic flux is formed to revolve around the magnets 124a and 124b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first magnet 124a and the second magnet 124b, and may act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in this embodiment. . The magnetic flux hovering around the magnets 124a and 124b increases as the magnetic core 123b of the mover 120b moves away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o that the amount of exposure to the side of the pole of the stator 120a forming the void 120c increases. Can be. Therefore, the restoring force formed by the magnetic flux hovering the magnets 124a and 124b tends to increase as the absolute value moves away from the reference position.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구동 유닛(120)은, 스테이터(120a)와 무버(120b) 사이에서 왕복방향 중심력(centering force), 즉 무버(120b)가 자기장 안에서 이동할 때 자기적 에너지(자기적 위치 에너지, 자기저항)가 낮은 쪽으로 저장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힘을 왕복방향 중심력이라고 하고, 이 힘은 자기적 공진 스프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무버(120b)가 자기력에 의해 왕복운동을 할 때, 그 무버(120b)는 자기적 공진 스프링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을 축적하고, 이 힘으로 인해 무버(120b)가 공진운동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drive uni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magnetic energy (magnetic potential energy) when the reciprocating centering force between the stator 120a and the mover 120b moves in the magnetic field. The magnetic force is stored in the lower direction, which is called the reciprocating center force, and this force forms a magnetic resonance spring. Therefore, when the mover 120b reciprocates by the magnetic force, the mover 120b accumulates a force to return to the center direction by the magnetic resonance spring, which causes the mover 120b to perform the resonance movement. You can continue to reciprocat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120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 정확하게는 중간 하우징(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ator 12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using, exactly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외주면은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후술할 열전달 부재(150)를 사이에 두고 중간 하우징(111)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전방면은 이너 스테이터(122)의 전방면과 함께 전방 하우징(112)의 후방면에 밀착되거나 또는 후술할 열전달 부재(150)를 사이에 두고 전방 하우징(112)의 후방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이너 스테이터(122)는 중간 하우징(111)과 전방 하우징(112)에 의해 원통 형태의 공극을 유지한 상태에서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열전달 부재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For examp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or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with a heat transfer member 15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112 together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stator 122 or between the front housing 112 with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Accordingly,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may be fixed to the housing by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the front housing 112 in a state of maintaining a cylindrical void. The heat transfer member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압축 유닛(130)은 실린더(131), 피스톤(132), 흡입밸브(133), 토출밸브(13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유닛(130)은 내부공간(101) 내의 냉매를 압축공간(103)으로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공간(104)으로 토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Meanwhile, the compression unit 130 may include a cylinder 131, a piston 132, a suction valve 133, and a discharge valve 134. The compression unit 130 sucks the refrigerant in the internal space 101 into the compression space 103,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into the discharge space 104.

실린더(131)는 이너 스테이터(122)의 실린더 공간(122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압축공간(103)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공간(122a)의 전방측에는 그 내주면에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실린더 공간(122a)의 후방측에는 실린더(131)의 후방단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실린더 스토퍼(135)가 삽입될 수 있다. The cylinder 131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the cylinder space 122a of the inner stator 122, and may form a compression space 103 therein. For example, a coating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space 122a, and a separate cylinder stopper 135 for supporting a rear end of the cylinder 131 on the rear side of the cylinder space 122a. Can be inserted.

실린더 스토퍼(135)는 이너 스테이터(122)의 내주면, 즉 실린더 공간(122a)의 내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모터 효율을 고려하면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실린더 스토퍼(135)는 드로잉(drawing) 공법에 의한 판금 가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도 있다. As the cylinder stopper 13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tator 122,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space 122a, the cylinder stopper 135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but may be more preferably formed of a nonmagnetic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motor efficiency. The cylinder stopper 135 may be formed by sheet metal processing by a drawing method, or may be molded using a mold.

실린더(131)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131)의 일단(이하, 전방단)은 토출밸브(13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토출밸브(134)를 기준으로 압축공간(103)의 반대쪽에는 그 압축공간(103)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수용되도록 토출공간(104)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공간(104)은 한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토출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ylinder 1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opened, and one end (hereinafter, a front end) of the cylinder 13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ischarge valve 134. The discharge space 104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103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valve 134 to accommodat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ion space 103. The discharge space 104 may be made of one, but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discharge noise, a plurality of discharge spaces 104 may be sequentially communicated.

토출공간(104)은 이너 스테이터(122)의 내부, 즉 실린더 공간(122a)에서 제1 토출공간(104a)이, 이너 스테이터(122)의 외부에서 제2 토출공간(104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출공간(104b)이 이너 스테이터(122)의 외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토출공간(104b)이 외부의 대기중에 노출됨에 따라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낮춰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the discharge space 104, the first discharge space 104a may be formed inside the inner stator 122, that is, the cylinder space 122a, and the second discharge space 104b may be formed outside the inner stator 122. . When the second discharge space 104b is formed outside the inner stator 122, as the second discharge space 104b is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refrigerant may be lowered to increase the compressor efficiency.

실린더(131)에는 그 실린더(131)와 피스톤(132) 사이로 냉매를 안내하는 가스베어링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린더(131)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가스베어링의 일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베어링 구멍(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된 냉매의 일부는 베어링 구멍(131a)을 통해 실린더(131)와 피스톤(132) 사이로 공급되어, 그 실린더(131)와 피스톤(132) 사이를 가스 윤활하게 된다. The cylinder 131 may be formed with a portion of the gas bearing for guiding the refrigerant between the cylinder 131 and the piston 132. That is, a plurality of bearing holes 131a may b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131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part of the gas bearing. Accordingly, a part of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supplied between the cylinder 131 and the piston 132 through the bearing hole 131a, thereby gas lubricating between the cylinder 131 and the piston 132.

피스톤(132)은 그 내부에 흡입유로(102)를 가지며, 전방단은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반면 후방단은 완전히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13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단인 후방단이 코어홀더(123a)와 연결되어 코어홀더(123a)와 함께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piston 132 has a suction passage 102 therein,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front end is partially open while the rear end is fully open. As described above, the piston 132 may have a rear end, which is an open end, connected to the core holder 123a to reciprocate with the core holder 123a.

또, 피스톤(132)의 전방단에는 흡입유로(102)와 압축공간(103) 사이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흡입포트(132a)가 형성되고, 피스톤(132)의 전방면에는 그 복수 개의 흡입포트(13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밸브(13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110)의 내부공간(101)으로 흡입되는 냉매는 흡입밸브(133)를 열면서 그 피스톤(132)의 흡입유로(102)와 흡입포트(132a)를 통해 실린더(131) 사이의 압축공간(103)으로 흡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32a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iston 132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suction passage 102 and the compression space 103, and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s ( A suction valve 133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132a. Accordingly,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inner space 101 of the casing 110 is opened between the cylinder 131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102 and the suction port 132a of the piston 132 while opening the suction valve 133. Can be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103).

흡입밸브(133)는 복수 개의 흡입포트(132a)를 일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흡입포트(132a)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개폐부를 가지는 꽃잎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uction valve 133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to open and close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s 132a collectively, and have a pet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to individually open and close each suction port 132a. It may be formed as.

흡입밸브(134)는 흡입포트(132a)의 위치에 따라 고정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흡입포트(132a)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경우에 흡입밸브(134)의 중앙부가 피스톤(132)의 전방면 중앙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체결될 수 있다. The suction valve 134 has a fixed por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132a. For example, when the suction port 132a is formed at the edg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valve 134 may be fastened by bolts or rivets to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iston 132.

토출밸브(134)는 실린더(131)의 전방면에서 압축공간(10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밸브 스프링(134a)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밸브 스프링(134a)은 스프링 지지부재(13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discharge valve 13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valve spring 134a to open and close the compression space 103 at the front surface of the cylinder 131, and the valve spring 134a is supported by the spring support member 136. Can be.

한편, 지지 브라켓(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관(115)과 토출관(116)이 결합되어 압축기 본체(C)가 지지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수평부(141)의 양단에 각각 수직부(142)(143)를 가지는 요(凹)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racket 140 serves to support the compressor main body C by combining the suction pipe 115 and the discharge pipe 116 and is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141. It may be formed in a yaw-shape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ortion (142, 143).

지지 브라켓(140)의 각 수직부(142)(143)의 양단에는 토출관(116)과 흡입관(115)이 삽입되는 지지구멍(142a)(143a)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구멍(142a)(143a)에는 탄성고무와 같은 완충부재(142b)(143b)를 사이에 두고 토출관(116)과 흡입관(115)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each of the vertical portions 142 and 143 of the support bracket 140, support holes 142a and 143a into which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suction pipe 115 are inserted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holes 142a ( The discharge pipe 116 and the suction pipe 115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143a with the buffer members 142b and 143b such as elastic rubber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전방 완충부재(142b)와 전방 하우징(112)의 사이, 후방 완충부재(143b)와 후방 하우징(113)의 사이에는 각각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1 지지스프링(145)과 제2 지지스프링(14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 본체(C)가 축방향으로 진동을 하더라도 제1 지지스프링(145)과 제2 지지스프링(146)이 이를 탄력적으로 흡수하여 압축기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And between the front buffer member 142b and the front housing 112, between the rear buffer member 143b and the rear housing 113, the first support spring 145 and the second support spring (compression coil spring), respectively ( 146). Accordingly, even if the compressor main body C vibrates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support spring 145 and the second support spring 146 elastically absorb it, thereby minimizing the compressor vibration.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follows.

즉, 구동유닛(120)의 스테이터(120a)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무버(120b)가 아우터 스테이터(121) 이너 스테이터(122) 사이의 공극(120c)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That is, the mover 120b may linearly reciprocate in the air gap 120c between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stator 120a of the driving unit 120.

그러면, 무버(120b)에 연결된 피스톤(132)이 실린더(131)에서 직선으로 왕복 운동을 하면서, 압축공간(103)의 체적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된다. 이때, 피스톤(132)이 후진하여 압축공간(103)의 체적이 증가되면 흡입밸브(133)가 개방되어 흡입유로(102)의 냉매가 흡입포트(132a)를 통해 압축공간(103)으로 흡입되는 반면, 피스톤(132)이 전진하여 압축공간(103)의 체적이 감소되면 피스톤(132)이 압축공간(103)의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 압축된 냉매는 토출밸브(134)를 개방시키면서 제1 토출공간(104a)으로 배출된다.Then, while the piston 132 connected to the mover 120b linearly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131,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space 103 is increased or decreased. At this time, when the piston 132 is reversed and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space 103 is increased, the suction valve 133 is opened so that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flow path 102 is sucked into the compression space 103 through the suction port 132a.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ston 132 is advanced and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space 103 is reduced, the piston 132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ion space 103.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into the first discharge space 104a while opening the discharge valve 134.

그러면, 제1 토출공간(104a)으로 배출된 냉매의 일부는 가스베어링을 이루는 실린더(131)의 베어링 구멍(131a)을 통해 그 실린더(131)의 내주면과 피스톤(132)의 외주면 사이로 공급되어, 피스톤(132)을 실린더(131)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반면, 제1 토출공간(104a)으로 토출된 나머지 냉매는 제2 토출구멍(152a)을 통해 제2 토출공간(104b)으로 이동한 후 토출관(116)을 통해 냉동사이클의 응축기로 이동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Then, a part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into the first discharge space 104a is suppli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13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32 through the bearing hole 131a of the cylinder 131 forming the gas bearing. The piston 132 is supported against the cylinder 131.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refrigerant discharged into the first discharge space 104a is moved to the second discharge space 104b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152a and then moved to the condenser of the refrigerating cycle through the discharge pipe 116. You will repeat a series of steps.

이때, 리니어 모터(120)에서는 모터열이 발생하고, 압축공간(103)에서 냉매가 압축되면서 압축열이 발생을 하게 된다. 이 모터열과 압축열은 이너 스테이터(122)를 통해 실린더(131)와 피스톤(132)으로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tor heat is generated in the linear motor 120, the compression heat is generated as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space (103). The motor heat and the heat of compress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ylinder 131 and the piston 132 through the inner stator 122.

그러면 피스톤(132)의 흡입유로(102)로 흡입되는 냉매가 가열되어, 냉매의 비체적이 상승하면서 흡입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Then,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suction flow path 102 of the piston 132 is heated, so that the suction loss occurs while the specific volume of the refrigerant rises, which may lower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as a whole.

여기서, 오일윤활형 압축기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오일이 실린더(131)와 피스톤(132) 사이를 순환하면서 압축유닛(130)의 온도를 낮출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오일베어링이 배제되고 가스베어링이 적용되는 가스윤활형 압축기의 경우에는 고온인 냉매가 실린더(131)와 피스톤(132) 사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압축유닛(130)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게 되어 앞서 설명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상승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 Here, the oil lubricating compressor may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unit 130 while relatively low temperature oil circulates between the cylinder 131 and the piston 132, but oil bearings are excluded and gas bearings are remov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gas lubrication compressor to be applied, a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between the cylinder 131 and the piston 132.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ion unit 130 is further increased,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to be sucked.

다만, 가스윤활형 압축기에서, 본 실시예와 같이 케이싱을 이루는 하우징(110)에 스테이터(120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에는, 스테이터(120a)와 하우징(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그만큼 하우징(110)을 통한 방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However, in the gas lubricating compressor, when the stator 120a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housing 110 forming the casing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stator 120a and the housing 110 is narrowed, and the housing ( Heat dissipation through 110 may be easily performed.

하지만, 스테이터의 외주면 및 측면과 이에 접하는 하우징의 내주면 및 내측면 사이에는 가공오차 또는 조립오차로 인한 미세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모터에서 아우터 스테이터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아우터 스테이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개략도이다.However, fine gaps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de of the stato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 contact with the stator due to processing or assembly errors.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a portion of the outer stator in FIG. 3.

도 3과 같이, 아우터 스테이터(121)를 이루는 각각의 스테이터 코어(126)가 낱장의 라미네이션 시트를 원호 형상으로 적층하여 방사상으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각 스테이터 코어(126)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곡선(R1)이 한 개의 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꽃잎과 같은 복수 개의 곡선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곡선(R2)은 한 개의 원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3, when each stator core 126 constituting the outer stator 121 stacks a lamination sheet in an arc shape and arranges them radially, a curve R1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tator core 126. ) Does not consist of a single circle, but a plurality of curves like petals. On the contrary, the curve R2 conne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is made of one circle.

이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각 스테이터 코어(126)의 외주면이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과 축방향 투영시 한 점에서만 접촉을 하게 된다. 더군다나, 아우터 스테이터(121)를 이루는 스테이터 코어(126)의 외주면은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높이차를 가지면서 곡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 높이차 만큼 중앙부보다 양단으로 갈수록 중간 하우징(111)과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tator core 126 comes into contact only at one point in the axial proje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In addition,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core 126 constituting the outer stator 121 forms a curved surface with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having a height difference, the distance from the middle housing 111 is increased toward both ends than the center portion by the height difference. It will happen.

그러면,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과 아우터 스테이터(126)의 외주면이 실제로 접촉되는 면적은 매우 좁아지게 되어, 리니어 모터에 대한 실질적인 열전도 효과가 매우 미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중간 하우징(111)과 아우터 스테이터 사이에는 일종의 단열층인 공기층이 발생되면서 리니어 모터에 대한 방열 효과가 매우 낮아질 수 있다.Then, the area w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6 are actu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comes very narrow, so that a substantial thermal conduction effect on the linear motor can be made very small. In addition, as the air layer, which is a kind of heat insulation layer, is generated between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the outer stator, the heat dissipation effect on the linear motor may be very low.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스테이터와 하우징(110)의 사이에 열전도성 재질로 된 열전달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부재가 구비된 리니어 압축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열전달 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파단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In view of this, in this embodiment, a heat transfer member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stator and the housing 110.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linear compressor provided with th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heat transfer member shown in FIG.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열전달 부재(150)는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1 부분(150a) 및 아우터 스테이터(121)와 이너 스테이터(122)가 연결된 스테이터(120a)의 전방면을 감싸는 제2 부분(15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and 5,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50a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1 and a stator 120a to which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stator 122 are connected. It may be made of a second portion 150b surrounding the front surface.

제1 부분(150a)은 원통형으로, 제2 부분(150b)은 환형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열전달 부재(150)는 제1 부분(150a)과 제2 부분(150b)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달 부재(150)의 제1 부분(150a)과 제2 부분(150b)을 한 번에 조립할 수 있어 그만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first portion 150a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portion 150b may have an annular disk shape to form a cup. And, as shown in Figure 6,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ortion 150a and the second portion 150b. In this case, the first part 150a and the second part 150b of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may be assembled at a time, and thus the assemblability may be improved.

여기서, 열전달 부재(150)는 아우터 스테이터(121)를 이루는 라미네이션 시트의 열전도 계수보다 높고 하우징(110)의 열전도 계수보다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high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coefficient of the lamination sheet constituting the outer stator 121 and high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coefficient of the housing 110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그리고, 열전달 부재(150)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아우터 스테이터(121)의 외주면과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 또는 스테이터(120a)의 전방면과 전방 하우징(112)의 내측면이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7a는 열전달 부재의 제1 부분을 축방향에서 보인 단면도이고, 도 7b는 열전달 부재의 제2 부분을 반경방향에서 보인 단면도이다.The heat transfer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bu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or the front surface of the stator 120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112 may be more closely contacted. hav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member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스테이터(120a)와 하우징(110)의 사이에 열전도 계수가 높은 열전달 부재(15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스테이터(120a)로 전달되는 모터열이나 압축열이 하우징(110)으로 신속하게 이동함에 함에 따라, 실린더(131)와 피스톤(132)이 과열되는 것을 억제하여 흡입손실이나 압축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리니어 모터(120)의 과열을 방지하여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coefficient is provided between the stator 120a and the housing 110 as described above, the motor heat or the compression heat transferred to the stator 120a is quickly moved to the housing 110. As a result, the cylinder 131 and the piston 1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verheated, thereby preventing the suction loss or the compression loss. In addition, the compressor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linear motor 120.

나아가, 열전달 부재(150)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압축기의 구동시 무버(120b)와 피스톤(132)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기 진동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이 진동을 열전달 부재(150)가 흡수하여 압축기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전달 부재(150)는 아우터 스테이터(126) 또는 하우징(110)보다 탄성 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when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even when the mover 120b and the piston 132 reciprocate while driving the compressor, compressor vibration occurs while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receives the vibration. Absorber can reduce compressor noise. To this end,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outer stator 126 or the housing 110.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열전달 부재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열전달 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heat transfer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but in some cases,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be independently formed and assembl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을 이루는 제1 열전달부재(151)는 원통형으로, 제2 부분을 이루는 제2 열전달부재(152)는 환형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전달부재(151)와 제2 열전달부재(152)가 독립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열전달부재(151)와 제2 열전달부재(152)를 분리하여 제작 및 조립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constituting the first portion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152 constituting the second portion may have an annular disk shape. In this case, as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152 are formed independently,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152 may be separated and manufactured and assembled.

이에 따라, 제1 열전달부재(151)와 제2 열전달부재(152)는 필요에 따라 두께나 재질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120a)의 외주면은 곡면을 이룸에 따라, 평면을 이루는 스테이터(120a)의 전방면에 비해 조립오차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전달부재(151)의 두께가 제2 열전달부재(15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15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or materials as necessary. For exampl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120a forms a curved surface, an assembly erro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tator 120a forming a plan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152.

또, 제1 열전달부재(151)에 비해 제2 열전달부재(152)가 실린더(131)와 가깝게 위치함에 따라, 실린더(131)를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도록 제2 열전달부재(152)의 열전도 계수가 제1 열전달부재(151)의 열전도 계수에 비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152 is located closer to the cylinder 131 than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the heat conduction coefficient of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152 to rapidly dissipate the cylinder 131.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larg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coefficient of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한편,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열전달부재가 한 개의 원통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열전달 부재에서 각 스테이터 코어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열전달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is formed in one cylindrical shape, but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first heat transfer members may be forme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stator core in the separate heat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전달부재(151)는 스테이터 코어(126)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져, 각 스테이터 코어(126)의 외주면을 독립적으로 감싸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may have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tator cores 126, and may be independently wrapped a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tator core 126.

제1 열전달부재(151)는 각 아우터 스테이터(126)의 외주면만을 감싸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아우터 스테이터(126)에 독립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외주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may be formed flat so as to surround on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uter stator 126, but may be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ide surfaces so as to be independently assembled to each outer stator 126. It may be desirable to be formed in the shape of a magnetic cross section.

그리고, 제1 열전달부재(151)는 각 아우터 스테이터(126)에 독립적으로 조립됨에 따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각각의 아우터 스테이터(126)에 접착되거나, 또는 제1 열전달부재(151)가 탄성을 가지거나 소정의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is independently assembled to each outer stator 126,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is bonded to each outer stator 126 so as to increase coupling force, or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1 is elastic. It may be desirable to have or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igidity.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이 한 개의 원을 가지는 진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아우터 스테이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원을 가지는 비진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하우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들이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one circle, but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non-round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circl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stator. It may be formed.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using 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 중에서 아우터 스테이터(126)의 외주면이 대응하는 부위에 복수 개의 스테이터 삽입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0, a plurality of stator insertion grooves 111a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to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6 corresponds.

스테이터 삽입홈(111a)의 내주면 곡률(R3)은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 곡률(R4)보다는 크고, 아우터 스테이터(126)의 외주면 곡률(R5)과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urvature R3 of the stator insertion groove 111a may be great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urvature R4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urvature R5 of the outer stator 126.

이에 따라,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과 아우터 스테이터(126)의 외주면이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어 그만큼 중간 하우징(111)과 아우터 스테이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그러면, 도 10과 같이 아우터 스테이터(126)와 중간 하우징(111) 사이에 별도의 열전달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아우터 스테이터(126)와 중간 하우징(111) 사이에서의 열전달 효과가 향상되어, 리니어 모터(120)의 열이 하우징을 통해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6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the outer stator may be narrowed. Then, as shown in FIG. 10, the heat transfer effect between the outer stator 126 and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is improve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heat transfer member between the outer stator 126 and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The heat of 120 can quickly dissipate through the housing.

물론, 도 11과 같이,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스테이터 삽입홈(111a)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중간 하우징(111)의 내주면과 아우터 스테이터(126)의 외주면 사이에는 열전도 계수가 높은 열전달 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열전달 부재(15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형상과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용 효과 역시 동일할 수 있다. Of course, as shown in FIG. 11, even when the stator insertion groove 111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 heat transfer member having a high heat conductivity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1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ator 126 ( 150 may be inserted. The heat transfer member 150 may be formed of the same shape and material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effect may be the sam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간 하우징의 내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아우터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 사이가 빈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중간 하우징의 내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간 하우징의 표면적이 확대되어 모터열 또는 압축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stator cores of the outer stator are formed as empty spaces, but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part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Accordingly, the surface area of the intermediate housing can be enlarged to more effectively release the motor heat or the heat of compress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ousing 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 하우징은 그 내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방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part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방열부는 축방향 투영시 원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일조립체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의 내경은 아우터 스테이터의 외경보다 작고 코일조립체의 외경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part may be formed in an arc cross-sectional shape during axial projection, and may protrud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assembly. The inner diameter of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stator and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il assembly.

방열부는 아우터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방열부의 원주방향 양쪽 측면이 스테이터 코어의 원주방향 양쪽 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열전달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part is located between the stator cores of the outer stator, and it may be preferable in terms of heat transfer that both sides of the heat dissipation part are formed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tator c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부만큼 중간 하우징의 표면적이 확대되어 리니어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모터열이나 압축유닛에서 발생되는 압축열이 신속하게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와 피스톤의 과열로 인한 흡입손실 또는 압축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모터의 과열을 억제하여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area of the intermediate housing is increased as much as the heat dissipation unit, so that the heat of the motor generated from the linear motor or the heat of compression generated from the compression unit can be quickly released. Accordingly, the suction loss or the compression loss due to the overheating of the cylinder and the pist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nd the compressor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suppressing the overheating of the motor.

물론, 이 경우에도 아우터 스테이터와 중간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열전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른 기본적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heat transfer member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stato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using. The basic configuration or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nea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토출밸브가 실린더 공간에 위치하는 소위 매입형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것이나, 도 13에서와 같이 토출밸브(134)가 실린더 공간(122a)의 외부에 위치하는 리니어 압축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이나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대동소이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토출밸브(134)가 실린더 공간(122a)의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토출공간(104)이 리니어 모터(120)의 범위 밖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토출공간(140)을 형성하는 전방 하우징(112)이 외부와 접하는 표면적이 확대되면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ischarge valve is for a so-called embedded linear compressor in which the discharge valve is located in the cylinder space, but the same applies to the linear compressor in which the discharge valve 134 is located outside the cylinder space 122a as shown in FIG. Can be applied.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r operation and effects thereof are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discharge valve 134 is located outside the cylinder space 122a, the discharge space 104 is located outside the range of the linear motor 120, thereby forming the discharge space 140. The heat dissipation effect may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the surface area of the front housing 112 which contacts the outside is increased.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압축기 본체를 하우징으로 감싸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하는 동시에 지지 브라켓으로 하우징을 지지함으로써, 압축기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압축기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압축기 본체의 규격에 관계없이 지지구조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ompressor body is wrapped around the housing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housing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the compressor while miniaturizing the compressor. Regardless, the support structure can be used universally.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흡입관과 토출관을 지지 브라켓에 결합하여 압축기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관과 토출관은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들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are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to support the compressor body as an example, but in some cases,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members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It may b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르게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differentl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110: 하우징 101: 하우징의 내부공간
103: 압축공간 104a,104b: 토출공간
111: 중간 하우징 112,113: 전방,후방 하우징
120: 리니어 모터 120a: 스테이터
120b: 무버 121: 아우터 스테이터
122: 이너 스테이터 122a : 실린더 공간
126: 스테이터 코어 130: 압축 유닛
131: 실린더 132: 피스톤
133: 흡입밸브 140: 지지 브라켓
150: 열전달부재 151: 제1 부분(제1 열전달부재)
152: 제2 부분(제2 열전달부재)
110: housing 101: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3: compression space 104a, 104b: discharge space
111: intermediate housing 112, 113: front, rear housing
120: linear motor 120a: stator
120b: Mover 121: outer stator
122: inner stator 122a: cylinder space
126: stator core 130: compression unit
131: cylinder 132: piston
133: suction valve 140: support bracket
150: heat transfer member 151: first portion (first heat transfer member)
152: second portion (second heat transfer member)

Claims (16)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그 피스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무버;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실린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버와 함께 구동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 및
밀봉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상기 스테이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우징;를 포함하는 리니어 압축기.
A cylinder in which a compression space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s formed;
A piston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cylinder;
A mover coupled to the piston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piston;
A stator having a cylinder space formed to insert and couple the cylinder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gether with the mover; And
And a housing in which a sealed inner space is formed and the stato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달 부재의 열전도 계수는 상기 스테이터 또는 상기 하우징의 열전도 계수보다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A heat transf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thermal conductivity coefficient of the heat transfer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higher than that of the stator or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의 탄성 계수는 상기 스테이터 또는 상기 하우징의 탄성 계수보다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elastic modulus of the heat transfer member is a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stator or the housing.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에 접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 사이 또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 사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상기 열전달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housing,
A first housing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And
An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in contact with an axial side surface of the stator.
And at least one of the heat transfer member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or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one axial side surface of the st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부분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t transf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portion provid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and a second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one axial side surface of the stator.
And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formed in one pie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열전달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열전달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2 열전달부재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t transfer member is provided as a first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and a second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one axial side of the stator.
And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heat transfer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달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heat transfer member is a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전달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와 독립적으로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stator comprises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rranged radially,
And a plurality of first heat transfer members to independentl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tator co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는 각각 다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원호 형상으로 적층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외주면이 접하는 부위에 스테이터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or includes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tator cores is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are laminated in an arc shape,
And a stator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w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core is in contac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삽입홈의 곡률은 상기 스테이터 삽입홈을 제외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urvature of the stator insertion groove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except the stator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터 코어는 각각 다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원호 형상으로 적층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로 돌출되도록 방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or includes a plurality of stator core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tator cores is a plurality of lamination sheets are laminated in an arc shape,
And a heat dissipation part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protrude between the stator co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축방향 일측면에 접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단부에 결합되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A first housing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 first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in contact with an axial side surface of the stator; And
And a third housing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st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공간의 토출측에 연통되도록 토출관이 결합되고, 상기 제3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공간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흡입관이 결합되며,
상기 토출관과 흡입관이 탄력을 가지는 지지 브라켓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토출관과 흡입관 중에서 적어도 한 쪽은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2,
A discharge tube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and a suction tube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is coupled to the third housing.
And the discharge tube and the suction tub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 support bracket having elasticity, and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tube and the suction tube is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with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간의 일측에는 그 압축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토출밸브는 상기 스테이터의 실린더 공간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compression sp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mpression space,
The discharge valve is a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space of the stator.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그 피스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무버;
상기 실린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실린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버와 함께 구동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를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스테이터와 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에서 지지부재쪽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A cylinder in which a compression space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s formed;
A piston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cylinder;
A mover coupled to the piston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piston;
A stator having a cylinder space formed to insert and couple the cylinder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with the mover;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tator in the radial and axial directions; And
And a heat trans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support member to transfer heat from the stator to the support memb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보다 열전달계수 또는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heat transfer member is a linear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eat transfer coefficient or elastic modulus than the support member.
KR1020180013034A 2018-02-01 2018-02-01 Linear compressor KR102043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34A KR102043153B1 (en) 2018-02-01 2018-02-01 Linear compressor
EP21154706.2A EP3848583B1 (en) 2018-02-01 2019-01-16 Linear compressor
EP19152062.6A EP3521617B1 (en) 2018-02-01 2019-01-16 Linear compressor
CN201920169435.7U CN210118233U (en) 2018-02-01 2019-01-30 Linear compressor
US16/265,372 US11225958B2 (en) 2018-02-01 2019-02-01 Linea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34A KR102043153B1 (en) 2018-02-01 2018-02-01 Linear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426A true KR20190093426A (en) 2019-08-09
KR102043153B1 KR102043153B1 (en) 2019-11-11

Family

ID=6761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034A KR102043153B1 (en) 2018-02-01 2018-02-01 Linea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1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37B1 (en) * 2020-01-20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res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09B1 (en) * 2001-02-03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JP2005195022A (en) * 2004-01-06 2005-07-21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JP2008240574A (en) * 2007-03-26 2008-10-09 Jtekt Corp Centrifugal compressor
KR20140037686A (en) * 2012-09-19 201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iprocating compres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09B1 (en) * 2001-02-03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Linear compressor
JP2005195022A (en) * 2004-01-06 2005-07-21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JP2008240574A (en) * 2007-03-26 2008-10-09 Jtekt Corp Centrifugal compressor
KR20140037686A (en) * 2012-09-19 201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iprocating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37B1 (en) * 2020-01-20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153B1 (en)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083B1 (en)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KR20180092630A (en) Linear compressor
US11566611B2 (en) Linear compressor with a cylinder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having bent portions
US10903732B2 (en) Moveable core-type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moveable core-type reciprocating motor
US11225958B2 (en) Linear compressor
KR102043153B1 (en) Linear compressor
US10989183B2 (en)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reciprocating motor
KR102122096B1 (en) A linear compressor
KR101981103B1 (en) Linear compressor
KR101978964B1 (en) Linear compressor
KR100597299B1 (en) Oil pumping apparatus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990061B1 (en) Linear compressor
US20230175497A1 (en) Linear compressor
KR102432495B1 (en) Linear compressor
KR100550764B1 (en) Oil valve assembly of reciprocating compressor
CN112628117B (en) Linear compressor
KR20130092036A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2231177B1 (en) Compressor
US20230332597A1 (en) Oil feeder and linear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US20220069689A1 (en)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linear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KR20190142097A (en) Linear compressor
KR20190046200A (en) Linear compressor
KR20230147336A (en) Driving unit and linear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KR20180094291A (en) Linear compressor
KR20160004505A (en) Leaner compressor and leaner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