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706A - 엑스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706A
KR20190092706A KR1020180011780A KR20180011780A KR20190092706A KR 20190092706 A KR20190092706 A KR 20190092706A KR 1020180011780 A KR1020180011780 A KR 1020180011780A KR 20180011780 A KR20180011780 A KR 20180011780A KR 20190092706 A KR20190092706 A KR 2019009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source
rotating plate
ray
length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706A/ko
Priority to PCT/KR2019/001179 priority patent/WO2019151737A1/ko
Publication of KR2019009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소스를 제 1방향 또는 제 1방향에 대해 수평한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과 엑스선 소스를 제 1방향과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승강 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엑스선 소스는 원통부의 길이의 증감에 의해 제 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엑스선 촬영장치{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엑스선 소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x-ray source)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x-ray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다양한 부위를 영상화할 수 있도록 엑스선 소스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는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테이블 모드, 촬영스탠드에 장착되는 스탠드 모드 또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포터블(portable)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 중 천장에 설치되는 엑스선 촬영장치의 경우, 천장의 높이 또는 엑스선 디텍터의 위치에 따라 엑스선 소스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이동 거리의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천장에 설치되는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엑스선 소스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와 상기 엑스선 소스를 제 1방향 또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수평한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원통부의 길이의 증감에 의해 상기 제 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승강 장치는 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증가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하강하고,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축소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승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원통부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는 상기 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타단이 맞물리도록 나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하측 방향을 향해 나선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이 맞물림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상측 방향을 향해 나선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의 맞물림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승강 장치가 배치되는 이동 캐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의 일단은 상기 이동 캐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의 타단은 상기 엑스선 소스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캐리지의 폭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과 대응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엑스선 소스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 상단까지의 길이의 최소값은 2500mm 이상이다.
또한 상기 엑스선 소스와 상기 승강장치를 연결하는 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승강장치에 대해 상기 엑스선 소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엑스선 소스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승강장치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조인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천장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가 설치되는 엑스선 영상장치는 상기 엑스선 소스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증가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하강하고,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축소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승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원통부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는 상기 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이 맞물리도록 나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타단의 맞물림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승강 장치가 배치되는 이동 캐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캐리지의 폭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과 대응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천장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가 설치되는 엑스선 영상장치는 상기 엑스선 소스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 시 길이가 증가하여 상기 엑스선 소스를 하강시키고 상기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승시키는 원통부를 포함한다.
승강장치는 나선형 승강 형태로 엑스선 소스를 승강시켜 스프링 밸런서 등과 같은 추가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엑스선 소스를 승강시킬 수 있어, 천장에서부터 엑스선 소스까지의 최소 거리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천장에서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 제약을 줄일 수 있다.
승강장치는 나선형 승강 형태로 엑스선 소스를 승강시켜 스프링 밸런서 등과 같은 추가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엑스선 소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가 하강했을 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가 상승했을 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승강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승강장치의 회전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와 승강장치와 촬영스탠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와 승강장치와 촬영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간접변환방식이 적용된 엑스선 디텍터(300)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장치(1)는 가이드레일(40), 이동캐리지(45), 승강장치(100), 구동장치(50), 엑스선 소스(70), 엑스선 디텍터(300), 조작 장치(80),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1)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될 수 있는 촬영테이블(10)과 촬영스탠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0), 이동캐리지(45), 승강장치(100) 등은 엑스선 소스(70)가 천장(C)에 장착되는 천장 장착형 엑스선 소스(70)를 대상체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가이드레일(40)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 1가이드레일(41)과 제 2가이드레일(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레일(41)과 제 2가이드레일(4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가이드레일(41)은 엑스선 촬영장치(1)가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도 3참고)
제 2가이드레일(42)은 제 1가이드레일(41)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 1가이드레일(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1가이드레일(41)에는 제 1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가이드레일(4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 1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1가이드레일(4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1방향(D1)이 정의되고, 제 2가이드레일(4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45)는 제 2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 2가이드레일(4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캐리지(45)에는 제 2가이드레일(4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캐리지(45)는 제 2가이드레일(42)과 함께 제 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2가이드레일(42)을 따라 제 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 승강장치(100)는 이동캐리지(45)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45)의 하측에 위치한다.
승강장치(100)은 이동캐리지(45)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승강장치(10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 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 3방향(D3)은 제 1방향(D1) 및 제 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승강장치(100)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엑스선 소스(70)는 대상체에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대상체는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장치(1)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될 수 있는 것이면 대상체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x-ray tube)(71)와, 발생된 엑스선을 대상체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72)를 구비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와 승강장치(10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60)가 배치되어 엑스선 소스(70)가 승강장치에 대해 제 4방향(D4)으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엑스선 소스(70)는 제 3방향(D3)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70)는 회전조인트(60)에 의해 검사실의 천장(C)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소스(70)는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인 제 5방향(D5)으로 회전할 수 있다.
떠라서 엑스선 소스(70)는 승강장치(100)와 회전조인트(60)에 의해 연결되어 제 4방향(D4) 및 제 5방향(D5)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소스(70)는 승강장치(100)와 가이드레일(40)에 의하여 제 1방향(D1), 제 2방향(D2) 및 제 3방향(D3)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내지 제 2방향(D2) 및 제 4방향(D4) 내지 제 5방향(D5)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장치(5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치(50)는 전지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고, 모터에는 엔코더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장치(50)는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여 제 1구동장치(51), 제 2구동장치(52), 제 4구동장치(미도시) 및 제 5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방향(D3)으로의 이동은 승강장치(100)에 의해 엑스선 소스(70)가 이동되는 바 제 3방향(D3)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은 구동장치(5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장치(50)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가이드레일(42)을 제 1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제 1구동장치(51)는 제 1가이드레일(4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45)를 제 2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제 2구동장치(52)는 제 2가이드레일(42)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엑스선 소스(70)를 제 4방향(D4)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 4구동장치와 엑스선 소스(70)를 제 5방향(D5)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 5구동장치는 각각 회전조인트(60)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장치(50)와 승강장치(100)는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내지 제 5방향(D5)으로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 등일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의 일 측면에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 장치(8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엑스선 촬영장치(1)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진단을 수행하는 자로서 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등을 포함하는 의료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장치(1)를 사용하는 자이면 모두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전면에는 엑스선이 입사되는 입사면이 마련되고,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에는 감지패널(120)(도2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감지패널(120)에는 엑스선에 감응하는 복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상단 중앙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엑스선 디텍터(300)를 이동시키거나 휴대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촬영 시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촬영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테이블(10)에 장착되는 테이블 모드나 촬영스탠드(20)에 장착되는 스탠드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촬영테이블(10)이나 촬영스탠드(20)에 장착되지 않고 대상체의 위치 및 촬영 부위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는 포터블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특히, 촬영테이블(10)과 촬영스탠드(20)에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각각 구비되는데, 촬영테이블(10)에 구비된 수용부를 제 1수용부(15)로 정의하고, 촬영스탠드(20)에 구비된 수용부를 제 2수용부(25)로 정의한다. 제 2수용부(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지지대(2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 때, 지지대(22)의 길이방향을 제 6방향(D6)으로, 제 6방향(D6)과 수직한 축의 회전방향을 제 7방향(D7)으로 정의한다.
워크스테이션(170)은 입력부(171)와 제 2표시부(172)를 포함하여, 조작 장치(8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각각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 예를 들어 촬영 위치의 선택 명령, 엑스선 촬영의 시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통해 엑스선 촬영 과정에서 얻어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입력부(171)는 스위치, 키보드, 트랙볼, 마우스,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71)가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제 2표시부(17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표시부(172)는 제 1표시부(미도시)와 마찬가지로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이나,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LED) 등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워크스테이션(170)에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나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장치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 역시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워크스테이션(170)에는 엑스선 촬영장치(1)의 주요 구성요소,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엑스선 촬영장치(1)의 동작을 위한 각종 판단을 수행하거나,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워크스테이션(170)은 엑스선이 차단되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S)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엑스선 소스(70) 및 엑스선 디텍터(300)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장치로, 엑스선의 발생을 위해 엑스선 튜브(71)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엑스선의 검출은 엑스선 디텍터(300) 내부의 감지패널(120)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게 한다.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 및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먼저,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에 따라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와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단일 소재의 반도체로 구성되거나,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수광 소자인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단일하게 이용하는 경우이다.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각각 다른 소재로 구성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CCD, CdZnTe 등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Read Out Intergrated Circuit)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스트립 디텍터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및 a-Si 또는 a-Se 플랫 패널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그리고, 감지패널(120)은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에 따라 직접변환방식과 간접변환방식으로 구분된다.
직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이 조사되면 수광 소자 내부에 일시적으로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수광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어 있는 전장에 의해 전자는 양극으로 정공은 음극으로 이동하는 바, 감지패널(120)이 이러한 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직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에 사용되는 물질은 a-Se, CdZnTe, HgI2, PbI2 등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 소스(70)(도1참고)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신틸레이터(scintillator)(380)와 반응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자(photon)를 방출하면 이를 수광 소자가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간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로 사용되는 물질은 a-Si 등이 있고, 신틸레이터(380)로는 박막 형태의 GADOX 섬광체, 마이크로 기둥형 또는 바늘 구조형 CSI(T1) 등이 사용된다. 도 2에서는 감지패널(120)이 수광 소자로 사용된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전하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그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전하누적방식(Charge Integration Mode)과 단일 엑스선 광자에 의해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계수하는 광자계수방식(Photon Counting Mode)으로 구분된다.
감지패널(120)은 상술한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의 검출을 위하여 테이블 모드, 스탠드 모드 또는 포터블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엑스선 소스(70)를 상하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가 하강했을 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가 상승했을 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승강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승강장치의 회전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와 승강장치와 촬영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엑스선 소스와 승강장치와 촬영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승강장치(100)는 엑스선 소스(70)를 지지하는 원통부(110)와 원통부(110)를 원통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베이스부(120)와 원통부(110)를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부(110)는 제 3방향(D3)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구동 모터(130)에 의해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엑스선 소스(7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원통부(110) 중 베이스부(120)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R1)으로 회전될 시 제 3방향(D3)으로 길이가 증가하여 엑스선 소스(70)를 하강시킬 수 있고, 원통부(110) 중 베이스부(120)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될 시 제 3방향(D3)으로 길이가 감소하여 엑스선 소스(7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원통부(110)의 일단은 베이스부(120)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20)를 기준점으로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이동 캐리지(45) 내부에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원통부(110)는 이동 캐리지(45)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고 원통부(110)의 타단과 연결되는 엑스선 소스(70)는 원통부(110)의 길이의 증감에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조인트(60)에 의해 원통부(11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엑스선 소스(70)는 원통부(110)의 타단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원통부(110)는 소정의 폭(W)을 가지고 원통부(110)를 형성하는 회전 플레이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11)는 베이스부(120) 내부에 감겨져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데, 구동 모터(130)에 의해 일 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면서 이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나선 이동되면서 원통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베이스부(120)의 내측에 감겨있는 회전 플레이트(110)를 회전시켜 나선 이동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21)는 구동모터(130)에 연동되어 일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부(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회전 플레이트(110)의 적어도 일부가 일 방향(R1)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선 이동(S1)되거나 반대 방향(R2)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선 이동(S2)되도록 회전 플레이트(1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동모터(130)와 가이드(121)는 구동 벨트(131)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이 가이드(121)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 벨트(131)는 베이스부(12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투과공(122)을 통해 베이스부(120) 외측에 배치되는 구동모터(130)와 베이스부(120)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121)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 벨트(131)는 가이드(121)의 일측과 연결되고, 가이드(121)는 구동 벨트(131)의 회전에 연동되어 가이드(121)가 회전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모터(130)와 가이드(121)는 구동 벨트(131) 외 체인 또는 복수의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전 플레이트(110)에 있어서 베이스부(120) 측에서 감겨있는 부분을 제 1부분(A1)이라고 하고 제 1부분(A1)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 2부분(A2)이라고 정의할 시, 구동모터(130)가 일방향(R1)으로 회전될 때 이에 연동하여 가이드(121)가 일 방향(R1)으로 회전되고,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가이드(121)의 회전에 의해 일 방향(R1)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선 이동(S1)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하측으로 길이가 증가되는 형상으로 원통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모터(130)가 반대방향(R2)으로 회전될 때 이에 연동되어 가이드(121)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고,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반대 방향(R2)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선 이동(S2)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길이가 축소되는 형상으로 원통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일 방향(R1)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선 이동(S1)될 시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베이스부(120)에서 하측 방향으로 진행되어 원통부(110) 전체가 하측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반대 방향(R2)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선 이동(S2)될 시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감김이 풀리면서 하측에서 베이스부(120) 방향으로 진행되어 원통부(110) 전체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베이스부(120) 내측에 복수 회 감겨 적층되어 있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 후, 구동 모터(130)에 의해 일 방향(R1)으로 회전되면서 가이드(121)에 의해 베이스부(120) 내부에 감겨있던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풀리면서 하측 방향으로 나선 이동(S1)이동 되고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총 원통부(110)의 길이가 증가되어 원통부(110)의 타단에 배치되는 엑스선 소스(70)가 하강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130)에 의해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면서 가이드(121)에 의해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다시 베이스부(120)를 향해 감기면서 상측 방향으로 나선 이동(S2)되고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총 원통부(110)의 길이가 축소되어 원통부(110)의 타단에 배치되는 엑스선 소스(70)가 상승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에 감겨있던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풀리면서 폭(W) 방향으로 인접한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113)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하측 방향으로 나선 이동(S1)될 시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 방향으로의 일단(112)이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 방향으로의 타단(113)과 결합되면서 계속 나선 이동(S1)될 수 있다.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계속 나선 이동(S1)되면서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나선 이동(S1)의 진행방향인 하측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 측에는 결합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고 타단(113)에는 결합돌기(114)가 삽입되는 결합홈(115)이 형성되어 나선 이동(S1)되는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113)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113)이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상측 방향으로 나선 이동(S2)될 시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113)의 결합이 해제되고, 결합이 해제된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베이스부(120)에 다시 감기면서 계속 상측 방향으로 나선 이동(S2)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하측 방향을 향해 나선 이동(S1)될 시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이(113)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 방향으로 맞물리고,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일단(112)과 타단(113)이 결합된 상태로 원통부(110)의 길이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상측 방향을 향해 나선 이동(S2)될 시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이(113)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 방향으로 맞물림이 해제되고,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는 제 1부분(A1)의 나선 이동(S2) 방향인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원통부(110)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부(110)의 연장 길이(CL)은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의 나선 이동(S1,S2)에 따른 제 2부분(A2)의 이동 정도에 따라 그 길이(CL)가 달라질 수 있다.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계속 하측으로 나선 이동(S1)되어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많이 이동될수록 연장 길이(CL)는 증가하고,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상측으로 계속 나선 이동(S2)되어 제 2부분(A2)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많이 이동될수록 연장 길이(CL)는 축소된다. 또한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최대한 베이스부(120)에 많이 감기게 될 시가 원통부(110)의 연장 길이의 최소길이(CM)가 될 수 있다.
제 1부분(A1)의 회전 플레이트(11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나선 이동(S1,S2)되는 중 원통부(110)는 엑스선 소스(70)와 회전 조인트(60)를 중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엑스선 소스(70)와 회전 조인트(60)의 하중은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 방향으로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113)이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바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113)의 맞물림 결합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단(112)과 타단(113)은 복수의 횟수로 맞물려 결합되며, 특히 나선 형태로 결합되는 바 엑스선 소스(70)와 회전 조인트(60)의 하중이 크더라도 회전 플레이트(111)가 작은 강성으로 형성되어도 용이하게 엑스선 소스(70)와 회전 조인트(60)를 지지할 수 있다.
승강 장치(100) 중 베이스부(120)와 구동 모터(130) 및 원통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이동 캐리지(45)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캐리지(45)는 후술하겠으나 이동 캐리지(45)의 높이(h)가 높을 경우, 엑스선 소스(70)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 거리가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그 높이(h)가 낮을수록 엑스선 촬영장치(1)의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캐리지(45)의 경우 이동 캐리지(45)의 높이(h)는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플레이트(111)의 일부는 베이스부(120) 내측에서 감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베이스부(120)의 최소 높이는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20)가 배치되는 이동 캐리지(45)의 최소 높이(h) 또한 베이스부(120)의 최소 높이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이동 캐리지(45)의 최소 높이(h)는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엑스선 소스를 승강시키는 승장 장치는 보통 상하 방향으로 텔레스코픽이 가능한 포스트 프레임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엑스선 소스를 승강시켰다.
포스트 프레임은 텔레스코픽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엑스선 소스를 승강시켰는데, 엑스선 소스의 하중에 대응하기 위해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는 추가적으로 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였다.
스프링 밸런서는 엑스선 소스와 대응되는 하중을 가지는 무게체를 포함하여 엑스선 소스와의 무게 중심을 맞춰 특정 위치로 포스트 프레임이 텔레스코픽되어도 엑스선 소스의 하중에 의해 엑스선 소스가 특정 위치에서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의 경우 스프링 밸런서가 이동 캐리지에 배치되는데 이동 캐리지는 스프링 밸런서에 의해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포스트 프레임이 최소 길이로 형성되어도 이동 캐리지의 높이가 높아 엑스선 소스가 소정의 높이 이상 상승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1)는 승강장치(100)가 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캐리지(45)의 높이(h)가 종래의 이동 캐리지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이동 캐리지(45)의 높이(h)는 최소 회전 플레이트(111)의 폭(W)의 길이만큼 최소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천장에 엑스레이 촬영장치(1)가 설치될 시 천장(C)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0)에 엑스선 소스(70)가 설치되고, 엑스선 소스(70)가 가이드 레일(40)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여 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바닥(B)에서부터 천장(C)까지의 층고 높이(L1)에 의해 엑스선 소스(70)가 승강되면서 촬영을 할 수 있는 촬영 거리(L3)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 거리(L3)는 층고 높이(L1)와 촬영스탠드(20)에 의해 이동되는 엑스선 디텍터(300)의 이동거리(L2)에 의해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 거리(L3)는 바닥(B)에서부터의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하강거리(L5)에 의해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 거리(L3)는 천장(C)에서부터의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 거리(L4)에 의해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촬영 거리(L3)는 층고 높이(L1)와 엑스선 디텍터(300)의 이동거리(L2)와 바닥(B)에서부터의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하강거리(L5) 및 천장(C)에서부터의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 거리(L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하강거리(L5)와 최대 상승거리(L4)는 대략 콜리메이터(72)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계산될 수 있다.
촬영거리(L3)는 적어도 엑스선 디텍터(300)의 이동거리(L2)와 대응되거나 엑스선 디텍터(300)의 이동거리(L2)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야 엑스선 촬영장치(1)의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엑스선 디텍터(300)의 이동거리(L2)보다 촬영거리(L3)가 짧게 형성되는 경우, 엑스선 촬영장치(1)가 촬영을 할 수 없는 구간이 발생하게 되어 추가적인 엑스선 촬영장치를 더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특정 구간에서 엑스선 촬영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하강거리(L5)는 바닥(B)에서부터 엑스너 소스(70) 사이의 거리 또는 콜리메이터(72)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로 일반적으로 디텍터(300)의 이동거리(L2)의 최하부에 맞춰 계산될 수 있다.
다만,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의 경우, 층고 높이(L1)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대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가 소정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경우, 엑스선 디텍터(300)의 이동거리(L2)보다 촬영거리(L3)가 짧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를 최대한 짧게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1)는 이동 캐리지(45)의 높이(h)가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에 따른 이동 캐리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를 축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캐리지(45)의 내부에 종래의 이동 캐리지와 달리 스프링 밸런서가 구비되지 않아, 이동 캐리지(45)의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승강장치(100)의 경우 스프링 밸런서 없이 엑스선 소스(7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승강장치(100)의 구성이 간단하여 이동 캐리지(45)의 높이(h) 자체가 상술한 바와 같이 낮게 형성될 수 있어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의 포스트 프레임의 경우 포스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포스트 길이에 의해 엑스선 소스의 최대 상승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각각의 포스트 길이를 짧게 형성할 경우, 포스트 프레임의 크기 자체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강성 문제에 의해 포스트 프레임이 지지되는 이동 캐리지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각각의 포스트는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에서 엑스선 소스(70)를 승강시키는 원통부(110)의 경우 원통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 캐리지(45)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어 원통부(110)의 연장길이의 최소길이(CM) 자체가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보다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1)의 경우 층고 높이(L1)가 낮게 형성되어도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소정의 촬영거리(L3)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는 대략 2500m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승강장치(100)가 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지 않는 바 승강장치(100)의 총 하중이 종래의 승강장치와 대응되는 구성 대비 줄어들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엑스선 소스(70)를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으로 이동시킬 시 적은 힘으로 엑스선 소스(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테이블(10)의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촬영을 진행할 시 층고 높이(L1)보다 촬영 테이블(10)의 상단(T)에서부터 천장(C)까지의 높이가 더 작게 형성되어,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가 길게 형성될 시 엑스선 소스(70)의 전체 이동거리(L6) 중 실질적으로 엑스선 소스(70)가 이동되는 거리가 짧게 형성되어 엑스선 촬영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1)의 경우 종래의 엑스선 촬영장치 대비 엑스선 소스(70)의 최대 상승거리(L4)가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엑스선 소스(70)가 실제로 이동되는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엑스선 촬영장치 10: 촬영테이블
15: 제 1수용부 20: 촬영스탠드
22: 지지대 25: 제 2수용부
40: 가이드레일 41: 제 1가이드레일
42: 제 2가이드레일 45: 이동캐리지
60: 회전조인트 70: 엑스선 소스
71: 엑스선 튜브 72: 콜리메이터
80: 조작 장치 100: 승강장치
110: 원통부 111: 회전 플레이트
120: 베이스 130: 구동 모터

Claims (20)

  1.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를 제 1방향 또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수평한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원통부의 길이의 증감에 의해 상기 제 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지 않는 엑스선 영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증가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하강하고,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축소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승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원통부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는 상기 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타단이 맞물리도록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하측 방향을 향해 나선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이 맞물림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결합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상측 방향을 향해 나선으로 이동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의 맞물림에 의해 지지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승강 장치가 배치되는 이동 캐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의 일단은 상기 이동 캐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의 타단은 상기 엑스선 소스와 연결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캐리지의 폭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소스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까지의 길이의 최소값은 2500mm 이상인 엑스선 영상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소스와 상기 승강장치를 연결하는 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승강장치에 대해 상기 엑스선 소스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엑스선 소스를 결합시키는 엑스선 영상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인트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승강장치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조인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4. 천장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가 설치되는 엑스선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소스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 3방향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스프링 밸런서를 포함하지 않는 엑스선 영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증가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하강하고, 상기 원통부의 길이가 축소될 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승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원통부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는 상기 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이 맞물리도록 나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소스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과 타단의 맞물림에 의해 지지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승강 장치가 배치되는 이동 캐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캐리지의 폭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폭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엑스선 영상장치.
  20. 천장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가 설치되는 엑스선 영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소스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 시 길이가 증가하여 상기 엑스선 소스를 하강시키고 상기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엑스선 소스를 상승시키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KR1020180011780A 2018-01-31 2018-01-31 엑스선 촬영장치 KR20190092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80A KR20190092706A (ko) 2018-01-31 2018-01-31 엑스선 촬영장치
PCT/KR2019/001179 WO2019151737A1 (ko) 2018-01-31 2019-01-28 엑스선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780A KR20190092706A (ko) 2018-01-31 2018-01-31 엑스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706A true KR20190092706A (ko) 2019-08-08

Family

ID=6747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780A KR20190092706A (ko) 2018-01-31 2018-01-31 엑스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92706A (ko)
WO (1) WO20191517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308B1 (ko) * 2011-04-04 2012-07-24 (주)비멤스 마모그래피의 유방압박판승강장치
KR101452617B1 (ko) * 2013-03-08 2014-10-22 박미경 미세먼지 제거용 진공청소기
KR20150021189A (ko) * 2013-08-20 2015-03-02 박대기 쓰레기 압축기
KR101626760B1 (ko) * 2014-11-04 2016-06-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세싱 보드,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의료용 진단 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09617A (ko) * 2016-07-19 2018-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선 촬영 장치, 방사선 조사 장치, 방사선 검출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737A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9072B1 (en) X-ray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x-ray imaging system
US11369327B2 (en) X-ray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x-ray imaging system
US10561385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3244B1 (ko)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025647B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784567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の線量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106098B (zh) X光成像装置、控制x光成像装置的方法及x光成像系统
CN212489932U (zh) Ct检查装置
KR20190092706A (ko) 엑스선 촬영장치
US20180008216A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7080304A (ja)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及び架台移動装置
JP7262960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撮影計画装置
US10379437B2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0200805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その昇降制御方法
JP7224944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医用寝台装置、及び医用寝台装置用操作装置
KR20180006268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KR20160059929A (ko) 엑스선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11138A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272722A (ja) 撮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