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015A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015A
KR20190092015A KR1020180011285A KR20180011285A KR20190092015A KR 20190092015 A KR20190092015 A KR 20190092015A KR 1020180011285 A KR1020180011285 A KR 1020180011285A KR 20180011285 A KR20180011285 A KR 20180011285A KR 20190092015 A KR20190092015 A KR 2019009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terminal
learning
program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338B1 (ko
Inventor
서정호
김성준
문병찬
최경열
Original Assignee
서정호
문병찬
최경열
김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호, 문병찬, 최경열, 김성준 filed Critical 서정호
Priority to KR102018001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3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은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이 가상 현실 출력으로 형성된 장치 학습프로그램과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영상과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을 연동시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을 증강 현실로 실습되게 하는 장치 실습프로그램이 저장된 교육서버와; 상기 교육서버에 연결되어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VR 단말기와; 상기 교육서버에 연결되어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AR 단말기로; 구성되며, 이를 구동시키는 시스템 구동방법이 포함되어 상기 VR 단말기로 상기 교육서버에 접속하여 기계 장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상기 AR 단말기로 상기 교육서버에 접속하여 기계 장치에 대한 학습내용을 복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가상 현실을 이용한 학습내용을 증강 현실에서 반영하여 자신의 학습 인지수준에 따라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Apparatus trai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VR 단말기로 교육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VR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기계 장치에 대한 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제의 기계 장치 앞에서 AR 단말기로 상기 교육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을 보면서 학습내용을 실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산업 환경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전문 기계 장치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안전하고 빠른 대중 교통수단으로서 선박, 비행기, 철도 또는 지하철과 같은 기계 장치의 이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철도와 지하철에 이용되는 열차와 전동차와 같은 기계 장치의 제작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 비행기, 열차 또는 전동차에서 승객과 화물 운송의 안전 운행을 위하여 장치에 대한 체계화된 검증과 제작 후의 지속적인 유지보수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작 시의 검증 기술과 제작 후의 정비 기술은 장치의 제작 기술보다 느리게 발전하고 있다.
상기 제작 시의 검증 기술은 각각 전동차가 설계한 의도대로 안전하게 제작되었는지 각 항목별로 체계적으로 수치화되어야 하며, 육안으로 확인하여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작 후의 정비 기술도 예를 들어 선박이나 비행기, 전동차의 전장품들 이 각기 제 기능을 발휘하고 있으며 내구성에 문제는 없는지 각 항목별로 체계적으로 수치화되어야 하고,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검증 기술 및 정비 기술은 모두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분야로서 현재와 같은 검수원 또는 정비원 교육 방식으로서는 기계 장치의 기술의 발전 속도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전문 지식을 교육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검증 및 정비 교육을 하는 경우 실제의 선박이나 비행기, 전동차 등을 대상으로 검증 및 정비 교육을 하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제의 선박이나 비행기, 전동차 등이 아닌 책이나 말 또는 화면으로 교육하는 경우 교육의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8-0119025 검증 및 정비 교육용 전동차 가상현실 제공 시스템과 같이 VR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에서의 교육 방법이 소개되거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241120 증강 현실을 이용한 배선 교육 시스템 및 그 교육 방법과 같이 AR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현실에서의 교육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에 의한 방법에 의존한다고 하더라도, 가상 현실의 현실감이 부족하여 학습자의 기억 속에 학습내용이 강렬하게 남지 않고, 증강 현실에 의존한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학습 인지 내용을 반영할 수 없어 교육 효과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8-0119025 검증 및 정비 교육용 전동차 가상현실 제공 시스템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241120 증강 현실을 이용한 배선 교육 시스템 및 그 교육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 현실을 이용한 학습내용을 증강 현실에서 반영하여 자신의 학습 인지수준에 따라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이 가상 현실 출력으로 형성된 장치 학습프로그램과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영상과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을 연동시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을 증강 현실로 실습되게 하는 장치 실습프로그램이 저장된 교육서버와; 상기 교육서버에 연결되어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VR 단말기와; 상기 교육서버에 연결되어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AR 단말기로; 구성되어 상기 VR 단말기로 상기 교육서버에 접속하여 가상현실에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상기 AR 단말기로 상기 교육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계 장치의 증강현실에서 상기 학습내용을 반영하여 실습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에는 상기 VR 단말기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특정 항목에 표시하는 마킹 기능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마킹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AR 단말기로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구동시킬 때, 상기 특정 항목에서 상기 마킹 내용을 출력시켜 실습 중 학습 내용을 환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에는 상기 VR 단말기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내용을 테스트하고 이를 채점하고, 오답 항목을 선별하는 평가 콘텐츠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평가 콘텐츠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AR 단말기로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구동시킬 때, 상기 평가 콘텐츠에 포함된 오답 항목에서 오답 표시를 출력시켜 실습 중 오답 내용을 환기하면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제1항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VR 단말기를 실행시켜 상기 교육서버에 로그인하고 접속하는 제1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제2 단계; 상기 VR 단말기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교육내용에 따라 장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이를 상기 교육서버에 전달하는 제4 단계; 사용자가 실제의 기계 장치 앞에서 상기 AR 단말기를 실행시켜 상기 교육서버에 로그인하고 접속하는 제5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제6 단계;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을 보면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실습을 실시하는 제7 단계; 상기 장치 실습이 종료되면 이를 상기 교육서버에 전달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VR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실제의 기계 장치 앞에서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을 보면서 학습내용을 실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에는 상기 VR 단말기에서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내용을 평가하고 평가내용을 상기 교육서버에 전송하는 제3-1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는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제3-1 단계에서 평가한 내용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는 제4-1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에는 상기 AR 단말기로 장치 실습프로그램 수행 중 상기 제3-1 단계의 평가 내용을 출력시키는 제7-1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1 단계는 상기 VR 단말기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중 특정 항목에 표시를 마킹시키는 제3-11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제7-1 단계는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 속에 상기 특정 항목 단계에서 상기 마킹을 표시하는 제7-11 단계가 포함되어 증강현실 속에서 실습 중 가상현실 속에서 마킹시킨 학습 내용을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1 단계는 상기 VR 단말기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내용을 테스트하고 학습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선별하는 제3-12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제7-1 단계는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 속에 실습 진행에 따라 상기 학습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출력하는 제7-12 단계가 포함되어 증강현실 속에서 실습 중 가상현실을 통한 학습 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가상 현실을 이용한 학습내용을 증강 현실에서 반영하여 자신의 학습 인지수준에 따라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
도 2는 도 1에 구체적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
도 3은 도 2에 구체적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며, 도 2는 도 1에 구체적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며, 도 3은 도 2에 구체적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으로서, 크게 교육서버(20)와; VR 단말기(10)와; AR 단말기(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육서버(20)에는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이 가상 현실 출력으로 형성된 장치 학습프로그램과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영상과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을 연동시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을 증강 현실로 실습되게 하는 장치 실습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기계 장치는 동력을 이용해서 원재료를 물리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공작장치, 작업기계 등의 기계류·원재료를 화학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화학장치, 냉동장치 등의 장치류 및 컨베이어, 호이스트, 기중기 등 반송설비, 그 외의 부속설비 등, 장치의 운전을 위하여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한 분야의 것이 모두 포함된다.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은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전문지식을 교육시키는 교육 콘텐츠로서, 특히, 자동차 또는 선박의 정비와 같이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이 필수적인 분야의 교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은 VR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을 가상 현실로 출력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은 AR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기계 장치의 증강현실 영상에 실습 내용을 가이드하거나 교육 내용을 출력시키는 교육 콘텐츠이다.
본 발명의 VR 단말기(10)는 상기 교육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가상현실로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가상현실의 기본 개념은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인공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현된 가상의 공간 속에서 사용자의 오감에 직접적으로 연동하여 실제에 근접한 공간적, 시간적인 체험을 가능케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통하여 기계 장치가 구현된 가상의 공간 속에서 들어가 직접 장치를 공간적 시간적으로 체험하면서 학습하게 된다.
본 발명의 AR 단말기(30)는 상기 교육서버(20)에 연결되어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증강현실에서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실제 물체의 영상에 가상의 영상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볼 수 있으므로 보다 나은 현실감을 가지면서 필요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되는 등의 기술이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AR 단말기(30)로 상기 교육서버(20)에 접속하여 증강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의 안내에 따라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학습 내용을 실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은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통한 학습 내용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에는 상기 VR 단말기(10)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특정 항목에 표시하는 마킹 기능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마킹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특정 항목의 마킹은 사용자가 학습 중 중요 부분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페이퍼 학습 중의 밑줄과 같은 기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AR 단말기(30)로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증강 현실 속에 상기 특정 항목 부분에서 상기 마킹 내용을 출력시켜 학습 내용을 실습 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 장치에 대한 증강현실 속 실습 중에 가상 현실속에서의 학습 내용을 환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은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통한 학습 내용을 반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에는 상기 VR 단말기(10)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내용을 테스트하고 이를 채점하고, 오답 항목을 선별하는 평가 콘텐츠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교육서버(20)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평가 콘텐츠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AR 단말기(30)로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실습하는 기계장치의 증강현실 속에서 상기 평가 콘텐츠에 포함된 오답 항목이 표시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 장치의 증강 현실을 통한 실습 중에 가상 현실에서의 학습 중 오답을 환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상기 VR 단말기(10)로 상기 교육서버(20)에 접속하여 가상현실에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상기 AR 단말기(30)로 상기 교육서버(20)에 접속하여 상기 기계 장치의 증강현실에서 상기 학습내용을 반영하여 실습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단계(S101)는 사용자가 VR 단말기(10)를 실행시켜 상기 교육서버(20)에 로그인하고 접속하는 단계이다.
제1 단계(S101)는 VR 단말기(10)를 통한 교육 준비단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2 단계(S102)는 상기 교육서버(20)에서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제2 단계(S102)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에서 교육받을 기계 장치를 선택하고 특정 교과과정을 선별하여 구동시키면 VR 단말기(10)에서 상기 기계장치가 가상현실로 구현되고 교육과정이 시작된다.
제3 단계(S103)는 상기 VR 단말기(10)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교육내용에 따라 장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즉, 제3 단계(S103)는 가상 현실 속에서 공간적 시간적으로 기계 장치를 체험하면서 전문 지식에 대한 교육을 받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제3 단계(S10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 단말기에서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내용을 평가하고 평가내용을 상기 교육서버에 전송하는 제3-1단계(S103-1)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서 학습한 내용을 증강현실에서 실습하는 것을 기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제3-1단계(S103-1)에 의하여 본 발명은 가상현실의 학습 내용을 평가하여 이를 증강현실에서의 실습시 반영하는 심화학습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3-1 단계(S103-1)의 평가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 단말기(10)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중 특정 항목에 표시를 마킹시키는 제3-11 단계(S103-11)와 상기 VR 단말기(10)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내용을 테스트하고 학습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선별하는 제3-12 단계(S103-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11 단계(S103-11)와 제3-12 단계(S103-12)의 선후 관계는 어느 것이 먼저 실시되어도 무관하지만, 학습의 취지에 따라 통상 제3-11 단계(S103-11)가 선행되고, 제3-12 단계(S103-12)가 후행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단계(S104)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이를 상기 교육서버에 전달하고 로그아웃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S104-1)에서는 만일 제3-1 단계(S103-1)의 평가 내용이 전송되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제3-1 단계(S103-1)에서 평가한 내용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는 제4-1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 제4-1 단계(S104-1)에서는 상기 제3-11 단계(S103-11)와 제3-12 단계(S103-12)의 포함 여부에 따라 상기 제3-11 단계(S103-11)의 마킹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거나, 상기 제3-12 단계(S103-12)의 학습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 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 5 단계(S105)는 사용자가 실제의 기계 장치 앞에서 상기 AR 단말기(30)를 실행시켜 상기 교육서버(20)에 로그인하고 접속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5 단계(S105)는 AR 단말기(30)를 통한 실습 준비단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6 단계(S106)는 AR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교육서버에서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7 단계(S107)는 상기 AR 단말기(30)의 증강현실 출력을 보면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실습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7 단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R 단말기로 장치 실습프로그램 수행 중 상기 제3-1 단계(S103-1)의 평가 내용을 출력시키는 제7-1 단계(S107-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7-1 단계(S107-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11 단계(S103-11)와 제3-12 단계(S103-12)의 여부에 따라, 상기 AR 단말기(30)의 증강현실 출력 속에 상기 특정 항목 단계에서 상기 마킹을 표시하는 제7-11 단계(S107-11) 또는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 속에 실습 진행에 따라 상기 학습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출력하는 제7-12 단계(S107-12)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8 단계(S108)는 상기 장치 실습이 종료되면 이를 상기 교육서버(2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8 단계(S108)에서는 AR 단말기(30)에서 로그아웃하면 전체 교육에 관한 기록과 평가 내용을 교육서버(20)에 전달하여 관리되게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VR 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실제의 기계 장치 앞에서 상기 AR 단말기(30)의 증강현실 출력을 보면서 상기 학습내용이 반영된 실습을 할 수 있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이 제공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VR 단말기
20 : 교육서버
30 : AR 단말기

Claims (7)

  1.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이 가상 현실 출력으로 형성된 장치 학습프로그램과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영상과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을 연동시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교육 내용을 증강 현실로 실습되게 하는 장치 실습프로그램이 저장된 교육서버와;
    상기 교육서버에 연결되어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VR 단말기와;
    상기 교육서버에 연결되어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AR 단말기로;
    구성되어
    상기 VR 단말기로 상기 교육서버에 접속하여 가상현실에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고, 상기 AR 단말기로 상기 교육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기계 장치의 증강현실에서 상기 학습내용을 반영하여 실습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에는 상기 VR 단말기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특정 항목에 표시하는 마킹 기능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마킹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AR 단말기로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구동시킬 때, 상기 특정 항목에서 상기 마킹 내용을 출력시켜 실습 중 학습 내용을 환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에는 상기 VR 단말기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내용을 테스트하고 이를 채점하고, 오답 항목을 선별하는 평가 콘텐츠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교육서버는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평가 콘텐츠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AR 단말기로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구동시킬 때, 상기 평가 콘텐츠에 포함된 오답 항목에서 오답 표시를 출력시켜 실습 중 오답 내용을 환기하면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4. 제1항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VR 단말기를 실행시켜 상기 교육서버에 로그인하고 접속하는 제1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제2 단계;
    상기 VR 단말기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교육내용에 따라 장치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는 제3 단계;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이를 상기 교육서버에 전달하는 제4 단계;
    사용자가 실제의 기계 장치 앞에서 상기 AR 단말기를 실행시켜 상기 교육서버에 로그인하고 접속하는 제5 단계;
    상기 교육서버에서 장치 실습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제6 단계;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을 보면서 상기 기계 장치에 대한 실습을 실시하는 제7 단계;
    상기 장치 실습이 종료되면 이를 상기 교육서버에 전달하는 제8 단계;
    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VR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실제의 기계 장치 앞에서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을 보면서 학습내용을 실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는 상기 VR 단말기에서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내용을 평가하고 평가내용을 상기 교육서버에 전송하는 제3-1단계와;
    상기 제4 단계에는 상기 교육서버에서 상기 제3-1 단계에서 평가한 내용을 상기 장치 실습프로그램에 업데이트시키는 제4-1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에는 상기 AR 단말기로 장치 실습프로그램 수행 중 상기 제3-1 단계의 평가 내용을 출력시키는 제7-1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단계는 상기 VR 단말기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중 특정 항목에 표시를 마킹시키는 제3-11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제7-1 단계는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 속에 상기 특정 항목 단계에서 상기 마킹을 표시하는 제7-11 단계가 포함되어
    증강현실 속에서 실습 중 가상현실 속에서 마킹시킨 학습 내용을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단계는 상기 VR 단말기에 출력되는 가상현실 속에서 상기 장치 학습프로그램의 학습 내용을 테스트하고 학습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선별하는 제3-12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제7-1 단계는 상기 AR 단말기의 증강현실 출력 속에 실습 진행에 따라 상기 학습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출력하는 제7-12 단계가 포함되어
    증강현실 속에서 실습 중 가상현실을 통한 학습 평가 내용 및/또는 오답 항목을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구동방법.
KR1020180011285A 2018-01-30 2018-01-30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 KR10208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85A KR102083338B1 (ko) 2018-01-30 2018-01-30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85A KR102083338B1 (ko) 2018-01-30 2018-01-30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15A true KR20190092015A (ko) 2019-08-07
KR102083338B1 KR102083338B1 (ko) 2020-03-02

Family

ID=6762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85A KR102083338B1 (ko) 2018-01-30 2018-01-30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6838A (zh) * 2020-09-17 2020-12-22 吉林师范大学 一种虚拟现实培训心理教育教学系统
KR102213592B1 (ko) * 2020-07-27 2021-02-09 렉스아카데미(주)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을 활용한 플랫폼 택시 기사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933A (ko) 2020-12-04 2022-06-13 (주)가치교육컨설팅 증강현실을 활용한 정치교육 방법
KR20240045679A (ko)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태산솔루젼스 공작기계 교육 및 유지보수를 위한 ar/vr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025A (ja) 2006-11-08 2008-05-29 Pentax Corp 拡大表示可能な内視鏡装置および観察装置
KR100929255B1 (ko) * 2008-06-13 2009-12-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입체 콘텐츠 기반 실감형 인터랙티브 기술교육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2783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관리 장치
KR101241120B1 (ko) 2010-12-30 2013-03-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배선 교육 시스템 및 그 교육 방법
KR20150090929A (ko) * 2014-01-28 2015-08-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반의 과학교과 학습시스템
KR20160000346A (ko) * 2014-06-24 2016-01-04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다중 훈련 모드를 갖는 자동차 정비 훈련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025A (ja) 2006-11-08 2008-05-29 Pentax Corp 拡大表示可能な内視鏡装置および観察装置
KR100929255B1 (ko) * 2008-06-13 2009-12-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입체 콘텐츠 기반 실감형 인터랙티브 기술교육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2783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관리 장치
KR101241120B1 (ko) 2010-12-30 2013-03-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배선 교육 시스템 및 그 교육 방법
KR20150090929A (ko) * 2014-01-28 2015-08-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기반의 과학교과 학습시스템
KR20160000346A (ko) * 2014-06-24 2016-01-04 테크빌닷컴 주식회사 다중 훈련 모드를 갖는 자동차 정비 훈련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92B1 (ko) * 2020-07-27 2021-02-09 렉스아카데미(주)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을 활용한 플랫폼 택시 기사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US20220028294A1 (en) * 2020-07-27 2022-01-27 Lecs Academ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ng taxi driver platform using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CN112116838A (zh) * 2020-09-17 2020-12-22 吉林师范大学 一种虚拟现实培训心理教育教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338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338B1 (ko)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장치교육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방법
Uva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patial augmented reality in smart manufacturing: a solution for manual working stations
Arkhypov et al. Methodology of using mobile apps with augmented reality in students' vocational preparation process for transport industry
CN108122447A (zh) 一种基于vr技术的地铁车钩故障状态模拟系统
CN106652645A (zh) 车辆驾驶训练设备、车辆驾驶训练设备的操作方法和装置
CN107066097B (zh) 基于ar增强现实技术的安全风险识别、管控方法及系统
de Albuquerque Wheler et al. Toy user interface design—tools for child–computer interaction
Anwar et al. User-centered design practices in scrum development process: A distinctive advantage?
Fulton et al. Robot communication via motion: a study on modalities for robot-to-human communication in the field
Malle Moral competence in robots?
Song et al. Designing LED lights for a robot to communicate gaze
CN109035949A (zh) 一种基于实物识别的汽修职业维修培训系统
Barbero et al. Strategic learning of simul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in the design and assembly of mechanisms with CAD on a professional Master's degree course
Sottilare et al. Exploring the opportunities and benefits of standards for adaptive instructional systems (AISs)
Mandel et al. Using the crowd to prevent harmful AI behavior
Knauer-Arnold Augmented reality in training processes with Viscopic
Westerfield Intelligent augmented reality training for assembly and maintenance
Grebow et al. Minds at work: Managing for success in the knowledge economy
Roque et al. Using virtual tour behavior to build dialogue models for training review
Beal et al. An Interactive Professional Ethics Case Simulation
US11645937B2 (en) Underground damage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Ciezki et al. The Comprehensive Handling of Safety in an Autonomous Robot Capstone Project
Kamble Coping with IT disruptions-with Behavioral IT® skills
Bitzer et al. Integrated concepts of design education
Horn Study on the effects of robot behaviors and their interactions on human tr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