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860A -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 Google Patents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860A
KR20190091860A KR1020180010947A KR20180010947A KR20190091860A KR 20190091860 A KR20190091860 A KR 20190091860A KR 1020180010947 A KR1020180010947 A KR 1020180010947A KR 20180010947 A KR20180010947 A KR 20180010947A KR 20190091860 A KR20190091860 A KR 2019009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bric
pattern
rolle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9873B1 (en
Inventor
왕기현
Original Assignee
왕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기현 filed Critical 왕기현
Priority to KR102018001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87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8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41P2235/21Scrapers, e.g. absorben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1Printing;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3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applyin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s a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which comprises: a fabric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fabric to the front; a printing roller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abric supply unit in the form of a roller, and for printing a pattern layer on the fabric through a pattern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 adhesive discharging unit discharging an adhesive liquid to the pattern groove through an outlet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printing roller unit; and a post-treatment unit which post-processes and winds up the fabric discharged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Therefore, even though a mixture of the adhesive liquid is precipitated, the mixture can be evenly applied to fabric.

Description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FABRIC SCREEN PRINTING DEVICE}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에 특정 패턴을 인쇄하기 위한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system for printing a specific pattern on the fabric.

원단은 모든 의류의 원료가 되는 천을 뜻하는 것으로 직물 또는 직포라고 한다.Fabric refers to fabric that is the raw material of all garments and is called fabric or woven fabric.

원단은 그 용도 및 재단 방법에 따라 "폭"이 결정되고, 또 그 가공, 취급, 유통상 "필"이라는 단위 길이가 주어진다. 원단은 신생아의 배냇 저고리로부터 시신의 수의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의생활을 꾸며 주는 옷감의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직물의 개발 및 용도 개발에 따라 실내 장식용, 의료용, 운송용 및 산업 자재 등의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원단은 소비재로부터 생산재로 까지 그 용도가 계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The fabric is "width" determined by its use and cutting method, and is given a unit length of "fill" in processing, handling and distribution. The fabric is not only used for the fabrics that decorate the human life, from newborn snorkels to the number of bodies, but also for interior decoration, medical, transportation, and industri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new fabrics. It is used. In other words, the use of fabrics continues to spread from consumer goods to production goods.

최근에는 원단의 사용 용도를 넓히고, 소비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원단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 모양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도록 2차 가공한 입체 원단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정 패턴이 있는 입체 원단의 패턴 영역 위에 여러 종류의 인쇄부재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Recently, in order to broaden the use of the fabric and to have aesthetics for the consumer, there are three-dimensional fabrics which are second-processed so that various patterns of patterns appear continuously on the fabric surf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print a variety of printing members on the pattern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fabric having a specific pattern to further enhance the aesthetic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원단은 종류가 다양하며 특히, 원단에 따라 수성 및 유성으로 인쇄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에 동일한 패턴의 인쇄가 가능하지만 수성 인쇄가 가능한 원단과 유성 인쇄가 가능한 원단에 맞는 장치가 각각 따로 설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abrics are various in type,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int them with water and oil according to the fabric. At this time, the same pattern can be printed, but the water-based printing fabric and the oil-based printing fabric are suitable. The inconvenience is that the devices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즉, 원단의 종류에 따라 인쇄하기 위한 각각의 장치가 필요함으로써, 시설 내 작업 공간을 더욱 많이 차지하게 됨과 동시에 장치를 구입하기 위한 초기 비용 역시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In other words, each device for printing according to the type of fabric is required, which takes up more space in the facility and at the same time the initial cost to purchase the device also increases.

또한, 원단의 상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롤러의 저면에 수용된 접착액 공급부를 롤러가 회전하면서 접착액과 맞닿아 원단의 상면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orm a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the adhesive liquid supply part accommodat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roller may contact the adhesive liquid while the roller rotates to form a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그러나, 원단의 상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종류에 따라 접착액에는 입자가 포함된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을 입히기 위한 롤러의 저면에 수용된 접착액은 시간이 지날수록 입자가 아래로 가라앉게 됨으로써 입자가 골고루 섞이지 않은 상태의 패턴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atter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may be formed of a mixture containing particles in the adhesive liquid, the adhesive liquid accommodated in the bottom of the roller for applying the pattern is that the particles sink down over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attern of the particles are not evenly mix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성인쇄와 유성인쇄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that can selectively use water-based printing and oil-based printing.

본 발명은 혼합물로 형성된 접착액의 입자를 인쇄부에 골고루 도포하기 위한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for uniformly applying the particles of the adhesive liquid formed of the mixture to the printing portion.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는 원단을 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원단 공급 유닛; 상기 원단 공급 유닛의 일측에서 롤러 형태로 배치되며, 예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홈을 통해 상기 원단에 패턴층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롤러 유닛;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의 측면에서 하향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패턴홈에 접착액을 배출하는 접착제 배출 유닛; 및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을 통해 나오는 상기 원단을 후처리 하여 권취하는 후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abric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fabric forward; A printing roller unit disposed in one of the fabric supply units in the form of a roller, for printing a pattern layer on the fabric through a pattern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 adhesive discharging unit discharging the adhesive liquid to the pattern groove through an outlet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printing roller unit; And a post-processing unit for post-processing and winding up the fabric coming out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은 상기 원단의 일면과 접촉하고, 상기 패턴홈을 통해 상기 원단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 롤러부; 및 상기 패턴 롤러부와 대응하는 길이의 롤러 형태로 상기 패턴 롤러부의 상부에서 상기 패턴 인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패턴 인쇄부 방향으로 상기 원단을 가압하기 위한 인쇄 압착부; 상기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인쇄 압착부를 상하 이동하여 상기 패턴 롤러부와 상기 인쇄 압착부의 사이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압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roller unit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abric, the pattern roller for forming a pattern on the fabric through the pattern groove; And a printing press unit arranged to face the pattern printing unit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in the form of a roll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oller unit, and to press the fabric in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printing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rimp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roller and the printing crimping unit by moving the printing presser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fabric.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은 상기 패턴 인쇄부와 대응하는 길이의 롤러 형태로 상기 패턴 인쇄부의 하부에서 상기 패턴 인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패턴 인쇄부 방향으로 상기 원단을 가압하기 위한 수성인쇄 압착부; 및 물이 저장되는 저조 형태로 상기 수성인쇄 압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성인쇄 압착부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저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roller unit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roller of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printing portion to face the pattern printing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pattern printing portion, for pressing the fabric in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printing portion Aqueous printing press; And a bottom portion disposed below the aqueous print press portion in a shape of a bottom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aqueous print press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상기 인쇄 압착부에 대응하는 제1 경로 또는 상기 수성인쇄 압착부에 대응하는 제2 경로 중 하나의 경로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abric is selectively supplied to one of the first path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pressing portion or the second path corresponding to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배출 유닛은 상기 접착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턴 롤러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일측에 상기 패턴 롤러부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패턴홈을 향해 하향으로 형성된 배출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discharge unit has a body formed with the adhesive liquid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part and formed downward toward the pattern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배출 유닛은 상기 패턴 롤러부와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패턴 롤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턴 롤러부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상기 접착액을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접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접착액을 다시 상기 몸체로 상승 이송하기 위한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discharging unit is disposed in the lower sid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oller portion, the transfer portion for transferring the adhesive liquid falling to the lower sid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to the outside; A storage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transfer unit and storing the adhesiv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And a pump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adhesive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ck to th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턴 롤러부 일측에서 상기 패턴 롤러부와 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턴 롤러부 표면에 배출된 접착액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craper which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tern roller part at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part and removes the adhesive liquid dis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ar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배출 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discharging unit further includes an agitator provided in the body to stir the adhesive liqui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은 예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solution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a precipitate is forme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 상기 인쇄 롤러 유닛으로 공급되는 일측면에 배치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가지는 나산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나산형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abric further comprises a threaded roller is disposed on one side that is supplied to the printing roller unit, the threaded member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 롤러 유닛에서 배출된 원단의 이동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원단의 저면에서 상기 원단이 펴지도록 하기 위한 아치형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rc-shaped bar dispos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abric discharged from the printing roller unit, the fabric is unfolded on the bottom of the fabric.

본 발명에 있어서, 원단을 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원단 공급 유닛; 상기 원단 공급 유닛의 일측에서 롤러 형태로 배치되며, 예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홈을 통해 상기 원단에 패턴층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롤러 유닛; 상부에 접착액을 수용하여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패턴홈에 하향 방향으로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고, 일측에 형성된 스크래퍼를 통해 상기 접착액 도포와 동시에 상기 패턴층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도포된 상기 접착액을 제거하는 접착제 제거 유닛; 및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을 통해 나오는 상기 원단을 후처리 하여 권취하는 후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fabric forward; A printing roller unit disposed in one of the fabric supply units in the form of a roller, for printing a pattern layer on the fabric through a pattern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adhesive liquid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and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printing roller unit, a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layer at the same time as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hrough the scraper formed on one side. An adhesive removing unit for removing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area; And a post-processing unit for post-processing and winding up the fabric coming out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제거 유닛은 상부에 접착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퍼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각도가 조절되기 위한 중심축이 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removal unit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liquid on the upper portion,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for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craper; And a rotating shaft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erves as a central axi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제거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스크래퍼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래퍼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removal unit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craper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crap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착 제어부는 고정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제1 경사면을 가지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가지며,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제2 가이드 부재; 및 일측에서 상기 인쇄 압착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인쇄 압착부를 상하 이동 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imping control unit is fixed to the fixed member, the first guide member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A second guide member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printing pressing part at one side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member to move the printing pressing part up and down according to an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member.

본 발명은 수성 방법과 유성 방법을 하나의 인쇄 장치를 통해 작업이 가능함으로써 각각의 장치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장치 구입비용 절감과 각각의 장치가 차지하는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queous method and the oil method can be operated through a single printing devic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device that requires the purchase of each device separately, and effectively using the working space occupied by each device.

본 발명은 입자가 혼합된 접착액을 패턴 인쇄부의 저면이 아닌 측면에서 도포함으로써 접착액 수용부에 수용된 접착액의 입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닥으로 가라 앉아도 원단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liquid mixed with particles is applied from the side of the pattern printing unit, not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particles of the adhesive liquid accommodated in the adhesive liquid receiving unit may be even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abric even if they sink to the bottom over time. There i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의 (a)는 도 1의 접착제 배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의 (b)는 도 1의 접착제 배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나산형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압착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the adhesive discharge unit of FIG.
(B)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the adhesive discharge unit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threaded roller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imping controller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feature that is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an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otherwise, they may occur out of the order not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3의 (a)는 도 1의 접착제 배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고, 도 3의 (b)는 도 1의 접착제 배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고, 도 4는 도 1의 나산형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adhesive discharging unit of Figure 1, Figure 3 (b)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adhesive discharging unit of Figure 1, Figure 4 is to explain the threaded roller of Figure 1 It is a perspective view for.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는 원단 공급 유닛(100); 인쇄 롤러 유닛(200); 접착제 배출 유닛(300) 및 후처리 유닛(400)을 포함한다.1 to 4,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material supply unit 100; A printing roller unit 200; Adhesive discharge unit 300 and aftertreatment unit 400.

원단 공급 유닛(100)을 통해 공급되는 원단은 인쇄 롤러 유닛(200)을 지나면서 접착제 배출 유닛(300)에서 배출된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후 원단의 건조 및 권취를 하기 위한 후처리 유닛(400)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연속적으로 각각의 공정이 실시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이렇게 순차적인 공정을 거친 원단의 표면에는 특정 패턴층(P2)이 인쇄될 수 있다.The fabric supplied through the fabric supply unit 100 is coated with the adhesive discharged from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while passing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and thereafter, a post-processing unit 400 for drying and winding the fabric. Each process is carried out in succession while being sequentially transferred to a single line and a specific pattern layer P2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which has undergone such a sequential process.

원단 공급 유닛(100)은 원단을 공급하기 위한 롤러의 형태이고, 원단 공급 유닛(100)에 원단이 권취된 상태에서 전방에 있는 인쇄 롤러 유닛(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fabric supply unit 100 may be in the form of a roller for supplying fabric, and may be supplied to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in front of the fabric supply unit 100 in a state where the fabric is wound.

한편,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는 원단을 인쇄 롤러 유닛(200)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는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를 이용하여 원단이 인쇄 롤러 유닛(200)으로 안내될 때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러나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의 이동 방향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G3, G4, and G5 are used to guide the fabric to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and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G3, and G4 are used here. , G5) is designed to move from the front to the rear when the fabric is guided to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G3, G4, G5 to move forward from the rear.

인쇄 롤러 유닛(200)은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공급된 원단의 표면에 예정된 패턴의 패턴층(P2)을 인쇄할 수 있다. 인쇄 롤러 유닛(200)은 원단 공급 유닛(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원단이 인쇄 롤러 유닛(200)의 일면과 접촉되고, 예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홈(P1)에 접착액이 도포되어 접촉된 원단의 일면에 패턴층(P2)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may print the pattern layer P2 of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supplied from the fabric supply unit 100.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abric supply unit 100 so that the fabric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and the fabric is contacted by applying an adhesive liquid to the pattern groove P1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pattern layer P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인쇄 롤러 유닛(200)은 위와 같이 원단의 일면에 패턴층(P2)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 그리고 압착 제어부(260)를 포함한다.The printing roller unit 200 includes a pattern roller unit 220, a printing pressing unit 240, and a pressing control unit 260 for forming the pattern layer P2 on one surface of the fabric as described above.

패턴 롤러부(220)는 롤러의 형태로 형성되고, 예정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홈(P1)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 롤러부(220)는 패턴이 각각 다른 다수개의 패턴 롤러부(220)가 존재하고, 원하는 패턴에 맞춰 사용할 패턴 롤러부(220)로 교체 가능하다.The pattern roller 2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oller, and the pattern groove P1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he pattern roller unit 220 may have a plurality of pattern roller units 220 having different patterns, and may be replaced with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o be used according to a desired pattern.

이때 패턴 롤러부(220)는 바람직하게 외주면에 동판이 구비되어 접착액이 용이 하게 묻도록 한 후 원단에 일면에 접착액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패턴 롤러부(220)와 접촉면을 가지는 원단의 일면을 원단의 상면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pattern roller 2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pper plat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adhesive liquid is easily buried, and can be configured to easily apply the adhesive liquid on one surface to the fabric,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no. Here, one surface of the fabric hav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pattern roller unit 220 will be described as an upper surface of the fabric.

인쇄 압착부(240)는 패턴 롤러부(220)와 마주보는 상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패턴 롤러부(220)와 이격되어 패턴 롤러부(220)와 대응하는 길이의 롤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압착부(240)는 바람직하게 패턴 롤러부(2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원단을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가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inting pressing part 2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attern roller part 2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facing the pattern roller part 220, and may be disposed in the form of a roll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oller part 220. Here, the printing crimping unit 24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o press the original fabric towar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인쇄 압착부(240)는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사이의 통로 이송되는 원단을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가압하여 패턴 롤러부(220)의 패턴홈(P1)에 도포된 접착액이 원단의 상면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간격은 원단이 통과하는 통로 간격을 의미하며 원단의 두께에 따라 소정 간격은 원단의 두께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ing pressing part 240 presses the fabric conveyed between the pattern roller part 220 and the printing pressing part 240 toward the pattern roller part 220 to press the pattern grooves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P1)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Here, the predetermined interval means a passage interval through which the fabric passes, and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va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압착 제어부(260)는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사이 간격, 즉 통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써, 원단의 두께에 따라 통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압착 제어부(260)는 원단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 인쇄 압착부(240)를 패턴 롤러부(220)에서 위쪽으로 제어하여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와의 간격을 넓히고, 반대로 원단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 인쇄 압착부(240)를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아래 쪽으로 제어하여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와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The crimping control unit 260 i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printing crimping unit 240, that is, the gap of the passage, and adjust the passage interva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When the thickness of the fabric is relatively thick, the pressing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upwardly from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o widen th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and vice versa. When the thickness of the fabric is relatively thin,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printing press unit 240 may be narrowed by controlling the printing press unit 240 downward towar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이때 압착 제어부(260)는 전자식을 일례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crimping control unit 260 uses an electronic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도 1의 압착 제어부(27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압착 제어부(270)는 압착 제어부(270)의 일 실시예인 기계식 압착 제어부(270)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imping control unit 270 of FIG. 1. The crimping control unit 270 illustrated i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chanical crimping control unit 270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crimping control unit 270.

도 5를 참고하면, 압착 제어부(270)는 기계식으로 구동되며, 제1 가이드 부재(271)와 제2 가이드 부재(272) 및 이동 부재(27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rimping controller 270 is mechanically driven and may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271, a second guide member 272, and a moving member 273.

제1 가이드 부재(271)는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 부재(11)의 내측에서 인쇄 압착부(240) 보다 하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부재(271)는 원단 공급 유닛을 향해 아래 방향을 가지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은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이동을 상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271 may be fixed to the lower side than the print crimping unit 240 inside the fixing member 11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first guide member 271 may have a first inclined surface having a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far end supply unit. The first inclined surface may serv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upward.

참고로, 고정 부재(11)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쇄 롤러 유닛(200)과 접착제 배출 유닛(300)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xing member 11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and the like.

제2 가이드 부재(272)는 제1 가이드 부재(271)의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가지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맞닿은 상태로 제1 가이드 부재(27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member 272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271,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271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Can be.

예컨대, 제2 가이드 부재(272)는 제2 경사면이 제1 경사면과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2 가이드 부재(272)를 제1 가이드 부재(271)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1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듯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이동은 후술한 회동축(274)을 통해서 제1 가이드 부재(271)를 향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guide member 272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when the second guide member 272 is moved toward the first guide member 271 whil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Can be. For reference, the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may be movable toward the first guide member 271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rotation shaft 274 described later.

반대로, 제2 가이드 부재(272)는 제1 가이드 부재(271)를 향해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가이드 부재(271)의 반대방향을 향해 당기면 제1 경사면을 따라 하향 이동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guide member 272 is pull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member 271 while being moved upward toward the first guide member 271, the second guide member 272 may move downwar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이동 부재(273)는 고정 부재(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에 대응하여 고정 부재(11)에서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273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1, and moves upward from the fixing member 11 in response to an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Or move downwards.

다시 말해서, 이동 부재(273)는 제1 경사면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가이드 부재(272)와 달리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other words, unlike the second guide member 272 that moves diagonally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e moving member 273 may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동 부재(273)는 일측에 인쇄 압착부(240)가 회동하기 위한 축과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가이드 부재(272)는 인쇄 압착부(240)가 원단을 가압하기 위해 패턴 인쇄부를 향해 하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수 있다. The moving member 273 may be coupled to the shaft for rotating the print pressing unit 240 on one side.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member 272 may move the print pressing part 240 downward toward the pattern printing part in order to press the fabric.

만약, 패턴 인쇄부와 인쇄 압착부(240) 사이를 통과하는 원단의 두께가 패턴 인쇄부와 인쇄 압착부(240)의 사이 간격보다 두꺼우면 제2 가이드 부재(272)는 이동 부재(273)를 통해 인쇄 압착부(240)를 상향 이동시켜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fabric passing between the pattern printing unit and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printing unit and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the second guide member 272 may move the moving member 273. By moving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upward through it may be to adjust the gap between.

여기서, 제2 가이드 부재(272)와 이동 부재(273)는 서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제2 가이드 부재(272)가 제1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게 상향 이동하더라도 이동 부재(273)는 지면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Here, since the second guide member 272 and the moving member 273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even i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moves upwardly incline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e moving member 273 may move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have.

바람직하게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이동 간격, 즉,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이동에 따른 패턴 인쇄부와 인쇄 압착부(240)의 사이 간격은 원단의 특성상 mm 단위 또는 더 작은 단위로 이동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istance between the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printing unit and the print pressing unit 2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is in mm or smaller due to the nature of the fabric. I can move it.

그리고, 이동 부재(273)의 양측에는 고정 부재(11)에 결합되어 이동 부재(273)가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이탈 방지부재(2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재(275)는 이동 부재(273)의 양측에 고정되어 이동 부재(273)가 고정 부재(11)를 이탈하거나 수직 방향보다 틀어진 각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moving member 273,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75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11 to guide the moving member 273 to move vertically.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75 may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moving member 273 to prevent the moving member 273 from moving away from the fixing member 11 or moving at a different angle than the vertical direction.

회동축(274)은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일측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축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회동축(274)의 끝단에는 회동축(274)을 회동하기 위한 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Rotating shaft 274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and connected to extend in the form of a shaf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274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274 Handles can be formed.

회동 지지부재(276)는 회동축(274)의 연장선상에서 고정 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회동축(274)은 회동 지지부재(276)를 관통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회동축(274)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동축(274)이 관통하는 회동 지지부재(276)의 관통홀에는 회동축(274)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pivot support member 276 is fixedly coupled to the fixed member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pivot shaft 274, and the pivot shaft 274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penetrating the pivot support member 276. The rotating shaft 274 may have a thread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rotating shaft 274 may be 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rotating support member 276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274 passes.

즉, 회동축(274)은 회동 지지부재(276)와 나사 결합되어 제2 가이드 부재(272)를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가이드 부재(271)를 향해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참고로, 회동축(274)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부재(272)의 삽입홀은 회동축(274)의 둘레면적보다 소정의 크기로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회동축(274)이 제2 가이드 부재(272)를 밀어서 제2 가이드 부재(272)가 상향 이동해도 회동축(274)이 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the rotation shaft 274 may be screwed with the rotation support member 276 to push or pull the second guide member 272 toward the first guide member 27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For reference, the insertion hole of the second guide member 272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274 is inserted may be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area of the rotation shaft 274 by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even if the rotation guide 274 pushes the second guide member 272 to move the second guide member 272 upward, the rotation shaft 274 may not be bent.

한편, 압착 제어부(270)는 압력 측정부재(P) 및 압력 지지부재(P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측정부재(P)와 압력 지지부재(PS)는 이동 부재(273)의 이동에 따라 압력을 측정하여 이동 부재(273)의 이동 조절, 즉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사이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crimping controller 27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measuring member P and a pressure supporting member PS. The pressure measuring member P and the pressure supporting member PS measure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73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73, that is, the pattern roller 220 and the print crimp 240. This is to precisely adjust the spacing between.

압력 측정부재(P)는 이동 부재(273)의 일측에 부착되어 이동 부재(27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하며 압력 지지부재(PS)는 압력 측정부재(P)의 하측에서 압력 측정부재(P)와 압력 지지부재(PS)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ure measuring member P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273 and is movabl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273, and the pressure supporting member PS is a pressure measuring member (below the pressure measuring member P). P) and the pressure supporting member PS may be formed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예컨대, 이동 부재(273)가 상향 이동하면 압력 측정부재(P)가 압력 지지부재(PS)로부터 상향 이동하면서 압력 측정값이 감소하고, 반대로, 이동 부재(273)가 하향 이동하면 압력 측정부재(P)가 압력지지대를 향해 하향 이동하면서 압력 측정값이 증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ving member 273 moves upward, the pressure measuring member P moves upward from the pressure supporting member PS, and the pressure measurement value decreases. On the contrary, when the moving member 273 moves downward, the pressure measuring member P The pressure reading may increase as P) moves downwards towards the pressure support.

다시 말해서,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사이 간격에 따라 압력 측정부재(P)의 압력값이 달라지고, 달라진 압력값을 기초로 원단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 측정부재(P)는 아날로그 방식과 전자식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sure value of the pressure measuring member P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 roller 220 and the printing crimping unit 240, and the pattern roller unit ( The gap between the 220 and the print pressing portion 240 may be adjusted. The pressure measuring member P may be used in any one of an analog method and an electronic type.

한편, 인쇄 롤러 유닛(200)은 수성 인쇄가 가능한 수성인쇄 압착부(280) 및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하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조부(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n aqueous printing press portion 280 capable of water-based printing and a bottom portion 282 in which water is sto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portion 280.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패턴 롤러부(220)의 하부에서 패턴 롤러부(220)와 마주보는 상태로 소정의 간격으로 패턴 롤러부(220)와 이격되어 패턴 롤러부(220)와 대응하는 길이의 롤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바람직하게 패턴 롤러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아래에서 위의 방향으로 원단을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가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unit 280 is spaced apart from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tate facing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t a lower por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o correspond to the pattern roller unit 220. It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roller of length. Here,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unit 280 is preferably disposed under the pattern roller unit 220 can press the fabric towar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is It is not.

그리고,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패턴 롤러부(220)와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사이의 통로 이송되는 원단을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가압하여 패턴 롤러부(220)의 패턴홈(P1)에 도포된 접착액이 원단의 상면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간격은 원단이 통과하는 통로 간격을 의미하며 원단의 두께에 따라 소정 간격은 원단의 두께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presses the fabric conveyed betwee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towar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o patter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groove P1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Here, the predetermined interval means a passage interval through which the fabric passes, and 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va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이때, 압착 제어부(260)는 패턴 롤러부(220)와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사이 간격, 즉 통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패턴 롤러부(220)와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통로를 지나는 원단의 두께에 따라 통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control unit 260 may adjust the interval, that is, the passag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unit 280, the passag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unit 280 You can adjust the passage distanc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passing through.

참고로,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벽지와 같은 종이 재질의 원단 표면에 패턴층(P2)을 형성할 때 사용되고, 이때에는 수성용 잉크 또는 수성용 접착액이 사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is used when the pattern layer P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paper material such as wallpaper, and in this case, an aqueous ink or an aqueous adhesive liquid may be used.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하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조 형태의 저조부(282)가 배치될 수 있다. 저조부(282)는 단면이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하부면과 대응하는 반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하부면이 맞닿은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A bottom portion 282 having a bottom shape in which water is stored may be disposed below the aqueous printing press portion 280. The bottom portion 28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whose cross section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queous print pressing portion 280, and may be rotated 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portion 28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수성인쇄 안착부는 패턴 롤러부(220)의 패턴홈(P1)에 도포된 접착액이 원단에 도포될 때 수성 잉크 또는 수성 접착제 등이 원단에 흡수되고, 흡수된 수성 잉크 또는 수성 접착제 등이 원단을 통해 수성인쇄 압착부(280)에 묻어 나올 수 있다.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저조부(282)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표면에 묻은 잉크를 저조부(282)에 저장된 물로 세척할 수 있다.When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s P1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is applied to the fabric, the aqueous printing seating portion absorbs the aqueous ink or the aqueous adhesive into the fabric, and the absorbed aqueous ink or the aqueous adhesive is applied to the fabric. Can be buried in the aqueous printing press portion 280 through.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may rot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282 to wash the ink on the surface with water stored in the bottom portion 282.

다시 말해서, 패턴 롤러부(220)를 기준으로 패턴 롤러부(220)의 상부에는 인쇄 압착부(24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수성인쇄 압착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원단은 인쇄 압착부(24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를 지나가는 제1 경로와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를 지나가는 제2 경로를 원단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나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int pressing part 2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based on the pattern roller part 220, and the water printing pressing part 28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Here, the fabric is a material of the fabric through the first path pass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print pressing part 240 and the pattern roller 220 and the second path pass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part 280 and the pattern roller 220. Can optionally pass by.

인쇄 압착부(240)와 수성인쇄 압착부(280) 그리고 패턴 롤러부(22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인쇄 압착부(24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를 지나가는 원단은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공급된 원단이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를 지나 인쇄 압착부(24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 즉, 원단이 인쇄 압착부(240)와 패턴 롤러부(220)의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통과하는 제1 경로로 이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int pressing unit 240 and the water-based printing pressing unit 280 and the pattern roller 220 in more detail, first, the fabric pass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print pressing unit 240 an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e original fabric supplied from the silver original fabric supply unit 100 passes through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G3, G4, and G5, that is, the passage of the print pressing unit 240 an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at is, the original fabric The print pressing unit 240 an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may be transported in a first path passing in a forward direction.

그리고,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 즉 제2 경로를 지나는 원단은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공급된 원단이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를 지나지 않고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바로 전방에 배치된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를 지난 이후 후처리 유닛(400)으로 바로 이송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bric pass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portion 280 and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that is, the second path, may include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and G3 supplied from the fabric supply unit 100. Afte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of the water-based printing press unit 280 an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disposed immediately in front of the fabric supply unit 1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4 and G5, it may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post-processing unit 400. have.

이때, 원단은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를 통과한 뒤 수성인쇄 압착부(280)과 후처리 유닛(400) 사이에 배치된 제 7 내지 제9 가이드 롤러(G7, G8, G9)를 통해 후처리 유닛으로 안내되어 이송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abric passes through the passages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an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n the seventh to ninth guide rollers disposed between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and the post-processing unit 400 ( G7, G8, G9) can be guided and transported to the aftertreatment unit.

예컨대, 원단은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부터 인쇄 롤러 유닛(200)까지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를 통해 이송되면서 원단에 텐션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스판 재질의 원단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스판 재질이 아니어서 원단에 텐션이 가해지면 안될 경우에는 원단이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인쇄 롤러 유닛(200)까지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공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bric may be tensioned to the fabric while being transported through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G3, G4, and G5 from the fabric supply unit 100 to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It can be used in the fabric of span material. On the contrary, when the tension is not applied to the fabric because it is not a span material, the fabric may be applied to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G3, G4, and G5 from the fabric supply unit 100 to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Can be supplied immediately without going through.

예를 들어, 벽지와 같은 종이 재질의 원단은 수성의 잉크가 도포 되기 때문에 공정 중 흡수된 수성의 잉크 때문에 젖을 수 있으며, 이때 제1 경로로 이송되면 텐션으로 인해 젖은 부분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벽지와 같은 종이 재질의 원단은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를 지나는 제2 경로로 이송되어 벽지와 같은 종이 재질의 원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bric of a paper material such as wallpaper may be wet due to the aqueous ink absorbed during the process because the aqueous ink is applied, and the wet part may be torn due to the tension when transferred to the first path. Accordingly, the fabric of the paper material such as the wallpaper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path passing through the passages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and the pattern roller 220 to prevent the fabric of the paper material such as the wallpaper from being torn.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벽지와 같은 종이 재질의 원단은 수성 인쇄로 공정 되며, 제2 경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단의 상면에는 패턴 롤러부(220)를 통해 접착액이 도포되고, 접착액이 벽지로 흡수되어 흡수된 접착액이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표면에 묻어 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fabric of the paper material such as wallpaper is processed by water-based printing,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through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the second path, the adhesive liquid wallpaper The adhesive liquid absorbed and absorbed into the surface may be buried on the surfac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만약, 접착액이 흡수된 벽지를 통해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표면에 묻은 접착액을 세척하지 않으면 이후 공급되는 원단의 하부면에는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표면에 묻은 접착액이 이후 공급되는 원단에 도포될 수 있다.If the adhesive liquid is not washed on the surfac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through the wallpaper absorbed by the adhesive liquid, then the adhesive liquid on the surfac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is then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abric. It can be applied to the fabric to be supplied.

따라서,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거하기 위해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일측에는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대응하는 길이로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밀착되는 세척 스크래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세척 스크래퍼는 저조부(282)와 패턴 롤러부(220)의 사이 즉, 수성인쇄 압착부(280)가 저조부(282)를 맞닿은 후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회전하는 방향에서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queous print pressing portion 280, one sid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portion 28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portion 280 and the aqueous printing pressing portion 280 and A close cleaning scraper (not shown) may be formed. Preferably, the cleaning scraper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282 and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queous printing press portion 280 contacts the bottom portion 282 and rotates toward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It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예컨대, 원단이 제2 경로를 통해 이송될 경우, 원단의 상면에는 패턴 롤러부(220)를 통해 접착액이 도포되고,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표면에는 원단이 흡수한 접착액이 표면에 묻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abric is transferred through the second path,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through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adhesive liquid absorbed by the fabric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Can be buried

그리고,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표면에 묻은 접착액을 저조부(282)를 맞닿으면서 회전하여 1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어서,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저조부(282)를 지난 뒤 계속적으로 남아 있는 잔여 접착액 또는 저조부(282)를 지나면서 표면에 묻은 물을 세척 스크래퍼를 통해 2차적으로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표면을 깔끔하게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may rotate the adhesive liquid on the surface while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282 to primarily wash the adhesive liquid. Subsequently, the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secondly passes the remaining adhesive liquid or the storage unit 282 remaining after the bottom portion 282 or the water adhered to the surface through the washing scraper, and then the aqueous printing press portion secondly. The surface of 280 can be cleaned cleanly.

만약, 수성인쇄 압착부(280)는 세척 스크래퍼를 통해 표면에 묻은 물 또는 잔여 접착액을 깔끔하게 제거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수분으로 인한 원단의 찢어짐 또는 잔여 접착액이 원단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세척 스크래퍼는 고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f the water-based printing crimping unit 280 does not cleanly remove water or residual adhesive liquid from the surface through the cleaning scraper, tearing of the fabric due to moisture or application of the residual adhesive liqui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abric may not be achieved. It provides a preventable effect. The cleaning scraper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는 원단이 제1 경로 또는 제2 경로로 외에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공급된 원단이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통로를 지나 바로 후처리 유닛(400)으로 이송되는 제3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al fabric supplied from the original fabric supply unit 100 in addition to the first or second path passes through the passages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A third path that is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post processing unit 400 may be formed.

다시 말해서, 제1 경로는 원단이 패턴 롤러부(2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이때 패턴 롤러부(220)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경로는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를 통하지 않고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통로를 통과하여 제5 가이드레일(G5)를 지나 후처리 유닛(400)까지 직선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패턴 롤러부(220)의 회전 방향은 원단이 제1 경로를 통과할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path is that the original fabric passes from the front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o the rear,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may be the forward direction. The third path passes through the passag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in the fabric supply unit 1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and passes through the fifth guide rail G5. The post processing unit 400 may be transferred in a straight direc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may be preferably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fabric passes the first path.

한편, 패턴 롤러부(220)의 일측에는 패턴 롤러부(220)에 형성된 패턴홈(P1)에 접착액을 배출하는 접착제 배출 유닛(300)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 배출 유닛(300)은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에 배치되어 하향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340)를 통해 패턴 롤러부(220)에 형성된 패턴홈(P1)에 접착액을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착제 배출 유닛(300)의 배출구(340)는 패턴홈(P1) 전체에 접착액을 고루 배출하기 위해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for discharging the adhesive liquid to the pattern groove (P1) formed in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on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may be disposed. The adhesive discharging unit 300 may discharge the adhesive liquid into the pattern groove P1 formed i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340 disposed in a side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in a downward direction. Preferably, the outlet 340 of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may be form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in order to evenly discharge the adhesive liquid to the entire pattern groove (P1).

접착제 배출 유닛(300)은 접착액이 수용되는 몸체(320)와 몸체(320)의 하측에서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하향으로 형성되는 배출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may include a body 320 in which the adhesive liquid is accommodated, and a discharge port 340 formed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320 toward the pattern roller 220.

몸체(320)는 내부에 접착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고,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패턴 롤러부(220) 측면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320 may have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liquid therein,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220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220.

몸체(320)의 형태는 원형, 사각등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상면에는 접착액을 공급하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액은 몸체(320)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3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몸체(320)의 상부에는 개구부를 덮기 위한 뚜껑이 구비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body 320 is not limited to any one of a circle, a square, and the like,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supply an adhesive liquid. The adhesive liquid may be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320 through the opening of the body 320.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320 may be provided with a lid for covering the opening.

배출구(340)는 몸체(320)의 하부면에서 패턴 롤러부(220)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340)는 패턴 롤러부(220)를 향한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outlet 340 may be formed to face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20, and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e outlet 340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oward the end toward the pattern roller 220.

예컨대, 배출구(340)는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배출되는 출구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몸체(320)에 수용된 접착액이 좁은 간격으로 형성된 배출구(340)(즉,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를 통해 천천히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액은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배출구(340)에서 한번에 많은 양이 배출되지 않고 천천히 배출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let 340 has outlets 34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which outlets are discharg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so that the adhesive liquid accommodated in the body 320 is formed at narrow intervals (ie , And may be slowly discharged through the flat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220. For reference, since the adhesive liquid is viscous, a large amount may be slow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s 34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one time.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배출구(340)는 접착액의 점성에 따라 배출되는 접착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배출구(34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배출구(340)의 측면이 주름 구조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으며 배출구(340)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outlet 340 is folded in a wrinkled structure to adjust the interval of the outlet 340 to adjust the amount of the adhesive liqui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liquid.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outlet 340 is not limited thereto.

배출구(340)는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 중앙으로부터 위측에서 패턴 롤러부(220)의 패턴홈(P1)과 밀착 또는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배출구(340)를 통해 배출되는 접착액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패턴홈(P1)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Discharge port 340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tern groove (P1) of the pattern roller 220 from the center side of the sid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or in a narrow interval, the adhesiv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0 It can be supplied to the pattern groove (P1) without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예컨대, 접착액은 다양한 혼합물로 구성되어 한 곳에 오래도록 저장되면 바닥면에 침전물이 생길 수 있다. 만약 패턴홈(P1)에 공급하는 접착액이 위에서 언급한 저조부(282)의 형태로 저장된 후 회전하는 패턴 롤러부(220)의 일부면에 맞닿은 상태로 도포되면,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접착액의 바닥면에 침전물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dhesive solution may consist of various mixtures, and if stored for a long time in one place, deposits may form on the bottom surface. If the adhesive liquid supplied to the pattern grooves P1 is applied in contact with some surfaces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which is stored after being stored in the form of the above-mentioned bottom part 282, the adhesion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Precipitates may form on the bottom of the liquid.

따라서,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는 하향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340)를 가지는 접착제 배출 유닛(300)은 침전물이 형성된 접착액을 하향으로 형성된 좁은 배출구(340)로 배출하면서 가라앉은 침전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일부는 배출되고 일부는 배출되지 않고 뒤로 밀리려 배출구(340) 내부에 잔류하게 되고, 이후 배출되는 접착액에 다시 혼합되어 패턴홈(P1)에 도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having the discharge port 340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precipitate precipitated while discharging the adhesive liquid with the deposit to the narrow discharge port 340 formed downward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some are discharged and some are not discharged and are pushed back to remain inside the discharge port 340, and then mixed with the discharged adhesive liquid to be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P1. .

한편, 패턴 롤러부(220)의 일측에는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밀착 형성되어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 즉, 패턴홈(P1)을 제외한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긁어서 제거하기 위한 스크래퍼(S)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to remove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that is, the surface except the pattern groove (P1) The scraper S may be disposed.

스크래퍼(S)는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접착제 배출 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패턴 롤러부(200)가 회전하면서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스크래퍼(S)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The scraper (S) is formed in the same length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is disposed below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the pattern roller portion 200 rotates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scraper ( Can be removed via S).

즉, 패턴 롤러부(220)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일측에 배치된 접착제 배출 유닛(300)을 통해 접착액이 패턴홈(P1)에 도포되고, 이어서 패턴 롤러부(220)는 스크래퍼(S)를 통해 패턴홈(P1)을 제외한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이 제거된 상태로 원단의 상면에 접착액을 도포할 수 있다.That is, the pattern roller 220 is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P1 through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disposed on one side in the state of continuously rotating, the pattern roller 220 is then scraper (S) The adhesive liquid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except for the pattern groove P1 is removed.

스크래퍼(S)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롤러부(220)의 일측에서 접착제 배출(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스크래퍼(S)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제 배출 유닛(300)이 배치된 패턴 롤러부(200)의 타측, 즉 패턴 롤러부(220)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S)는 패턴 롤러부(220)의 양 측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scraper S may be disposed below the adhesive discharge 300 at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220 as shown, but the position of the scraper 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is disposed. The other sid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00, that is,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In addition, the scraper 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다른 한편으로, 접착제 배출 유닛(300)은 몸체(320)에 수용된 접착액이 배출구(340)를 통해 패턴홈(P1)에 배출되고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 또는 패턴홈(P1)에서 바닥으로 낙하하는 접착액을 다시 접착제 배출 유닛(300)의 몸체(320)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362)와 저장부(364)와 펌핑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is the adhesive liquid contained in the body 320 is discharged to the pattern groove (P1)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0 and the bottom of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or the pattern groove (P1) It may include a transfer part 362 and the storage 364 and the pumping portion 366 for transferring the adhesive liquid falling to the body 320 of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again.

이송부(362)는 패턴 롤러부(220)에 도포된 접착액이 낙하하는 방향인 패턴 롤러부(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패턴 롤러부(22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part 362 is disposed below the pattern roller part 2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pattern roller part 220 falls, and the pattern roller part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It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220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송부(362)는 위에서 언급한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하부에 배치된 저조부(282)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패턴 롤러부(220)에서 낙하는 접착액을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이송부(362)는 원단이 위에서 설명한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통로인 제1 경로를 지나갈 때 패턴 롤러부(220)의 하부에 부착하여 배치한 후 사용하고, 원단이 패턴 롤러부(220)와 수성인쇄 압착부(280)의 통로인 제2 경로를 지나갈 때는 이송부(362)를 탈착하여 수성인쇄 압착부(280)가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원단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fer part 362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bottom part 282 disposed below the aqueous printing press part 280, and may store the adhesive liquid falling from the pattern roller part 220. For reference, the transfer part 362 is used after the fabric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which is a passage between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and the print pressing portion 240 described above. When the fabric passes the second path, which is a passage betwee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aqueous print press unit 280, the transfer unit 362 is detached and the aqueous print press unit 280 moves towar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Can be pressed.

그리고, 이송부(362)는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저장부(364)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턴 롤러부(220)에서 낙하하여 이송부(362)에 저장된 접착액은 기울어진 이송부(362)에서 저장부(364)를 향해 흘러내려 저장부(364)까지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part 36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torage part 364 formed at one end. The adhesive liquid dropped from the pattern roller 220 and stored in the transfer part 362 may flow down from the inclined transfer part 362 toward the storage part 364 to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part 364.

저장부(364)는 이송부(362)에서 이송된 접착액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장방향의 사각 기둥 형태로 이송부(362)의 끝단에서 하부 방향에 도시되었지만 저장부(364)의 위치 및 형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storage unit 364 is for storing the adhesiv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362. In the drawing, the storage unit 364 is shown in a downward direction at the end of the transfer unit 362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llar in a long direction, bu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storage unit 364 are shown. Is not limited to either.

펌핑부(366)는 패턴 롤러부(220)의 일측에 배치된 몸체(320)와 저장부(364)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에는 배관이 형성될 수 있다. 배관의 일측은 저장부(364)와 연통되고, 타측은 몸체(320)에 연통될 수 있다.The pumping part 36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320 and the storage part 36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and pip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ne side of the pipe may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364, and the other side may communicate with the body 320.

저장부(364)에 연통된 배관은 저장부(364)의 가장 하단에서 연통되며, 저장부(364)의 바닥면은 연통된 배관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된 접착액이 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364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36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364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ommunicating pipe so that the adhesive liquid stored therein flows into the pipe. can do.

펌핑부(366)는 펌핑 작업을 통해 저장부(364)에 저장된 접착액을 다시 몸체(320)로 상승 이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패턴 롤러부(220)의 패턴홈(P1)에 도포된 접착액이 원단에 도포되기 전에 접착액이 낙하할 수 있으며, 낙하하는 접착액은 이송부(362)를 통해 저장부(364)로 모아진 뒤 다시 몸체(320)로 이송되어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 pumping unit 366 may transfer the adhesive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64 back to the body 320 through a pump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adhesive liquid may drop before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P1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is applied to the fabric, and the falling adhesive liquid may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part 364 through the transfer part 362. After being collected and then transported back to the body 320, it may be reused.

접착제 배출 유닛(300)은 접착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380)는 접착제 배출 유닛(300)의 몸체(320) 내부에 배치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몸체(320)의 내주면에 인접한 위치까지지 형성된 다수의 날개가 회전할 수 있다. 교반부(380)는 회전을 통해 몸체(320)의 내부에 저장된 접착액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unit 380 for stirring the adhesive liquid. The stirring unit 380 may be disposed in the body 320 of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and a plurality of wings may be rotated to a position adjacent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320 based on the center. The stirring unit 380 may continuously rotate the adhesive liquid stored in the body 320 through the rotation.

참고로, 교반부(380)는 압착 제어부(260)를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또는 이용자가 직접 회전시켜 수동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380)는 몸체(320)의 내부에서 다수의 팬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구역별로 접착액을 교반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tirring unit 380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mpression control unit 260 or may be manually stirred by rotating the user directly. In addition, the stirring unit 38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fans inside the body 320 can stir the adhesive liquid for each zone.

나산형 롤러(SC)는 제5 가이드 롤러와 패턴 롤러부(220)의 사이에서 원단의 진행 방향 아래에 배치되어 원단이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이송될때 나산형 롤러(SC)의 하면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threaded roller SC is disposed below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abric between the fifth guide roller and the pattern roller 220 so as to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threaded roller SC when the fabric is transferred toward the pattern roller 220. Can be arranged to pass.

즉,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공급된 원단은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G1, G2, G3, G4, G5)를 통해 패턴 롤러부(220)를 향해 안내될 때 제5 가이드 롤러(G5)를 지난 뒤 나산형 롤러(SC)의 하면과 접촉된 후 패턴 롤러부(220)로 안내될 수 있다.That is, the fabric supplied from the fabric supply unit 100 is guided toward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rough the first to fifth guide rollers G1, G2, G3, G4, and G5 to guide the fifth guide roller G5. After passing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aded roller SC may be guided to the pattern roller unit 220.

나산형 롤러(SC)는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산형을 가지는 나산부재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반대 방향을 가지는 나산형 롤러(SC)는 회전할 경우 나산형 부재가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나산형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threaded roller SC may have a threaded member having a threaded shap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a center thereof on a surface thereof. When the threaded roller SC hav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rotates, the threaded member may rotate in a threaded shape toward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따라서, 원단 공급 유닛(100)에서 공급된 원단은 제1 가이드 롤러부터(G1) 제5 가이드 롤러(G5)까지 이송되면서 형성된 주름이 나산형 롤러(SC)를 지나면서 펴진 상태로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의 통로로 이송될 수 있다.Therefore, the fabric supplied from the fabric supply unit 100 has a patterned roller unit in a state in which wrinkles formed while being transported from the first guide roller (G1) to the fifth guide roller (G5) are unfol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eaded roller (SC). 220 may be transferred to the passage of the print pressing unit 240.

이어서, 인쇄 롤러 유닛(200)을 통해 패턴층(P2)이 형성된 원단은 인쇄 롤러 유닛(200)의 전방에 형성된 제6 가이드 롤러(G6)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 경로가 꺾여 후방에 위치한 후처리 유닛(4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원단의 진행 방향인 제6 가이드 롤러(G6)와 후처리 유닛(400)의 사이에는 아치형 바(AG)가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original fabric in which the pattern layer P2 is formed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passes through the sixth guide roller G6 formed in front of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and the rearward path is bent to the rear. And may be transferred to 400. In this case, an arcuate bar AG may be formed between the sixth guide roller G6,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abric is processed, and the post-processing unit 400.

아치형 바(AG)는 원단의 폭 보다 넓은 길이를 가지는 바의 형태로 중심부가 상향으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치형 바(AG)는 인쇄 롤러 유닛(200)을 통과한 원단이 후처리 유닛(400)으로 인입되기 전 아치형 바(AG)를 지나는 주름진 원단을 상향으로 텐션시켜 펴진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arch bar AG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convex upward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leng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abric. The arch bar AG may tension the corrugated fabric passing through the arch bar AG upwardly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post-treatment unit 400 to transfer the fabric passing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in an unfolded state.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나산형 롤러(SC) 및 아치형 바(AG)가 배치되는 위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으며 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원단은 나산형 롤러(SC)의 상부로 지날 수 있으며, 아치형 바(AG)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원단이 아치형 바(AG)의 하부를 지날 수 있다. 원단의 진행 방향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The position where the threaded roller SC and the arc-shaped bar AG of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can be changed. In addition, the fabric may pass to the top of the threaded roller (SC), the arch bar (AG)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downwards, the fabric may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arch bar (A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abric is not limited to any one.

후처리 유닛(400)은 인쇄 롤러 유닛(200)을 통해 패턴층(P2)이 형성된 원단을 건조 및 권취를 하기 위한 것으로, 원단의 패턴층(P2)을 예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건조 시킬 수 있다. 이렇게 건조된 원단은 후처리 유닛(400)에 형성된 롤러를 통해 권취되어 수거 될 수 있다.The post-processing unit 400 is for drying and winding the fabric on which the pattern layer P2 is formed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and may heat and dry the pattern layer P2 of the fabric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abric thus dried may be wound and collected through a roller formed in the aftertreatment unit 400.

후처리 유닛(400)에는 원단에 형성된 패턴층(P2)의 상면에 비즈 등과 같은 다른 접착 부재가 도포될 수 있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The post-processing unit 400 may be a process in which another adhesive member such as beads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layer P2 formed on the fabric.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는 원단 공급 유닛(100); 접착제 제거 유닛(500); 후처리 유닛(400)을 포함한다.A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bric supply unit 100; Adhesive removal unit 500; And a post-processing unit 400.

먼저,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2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원단 공급 유닛(100)과 인쇄 롤러 유닛(200)과 후처리 유닛(400)은 동일한 구성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First, in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al fabric supply unit 100,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and the post processing unit 400 of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2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10)의 접착제 배출 유닛(300)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롤러 유닛(200)은 도 1과 같이,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와 수성인쇄 압착부(280)와 압착 제어부(26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기계식 압착 제어부(270)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dentical in all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adhesive discharge unit 300 of the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as shown in FIG. 1,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may include a pattern roller unit 220, a printing press unit 240, an aqueous printing press unit 280, and a pressing control unit 260, and FIG. 5. It may be configured as the mechanical crimping control unit 270 show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20)는 원단 공급 유닛(100)을 통해 공급되는 원단은 인쇄 롤러 유닛(200)을 지나면서 접착제 제거 유닛(500)에서 배출된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후 원단의 건조 및 권취를 하기 위한 후처리 유닛(400)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연속적으로 각각의 공정이 실시되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순차적인 공정을 거친 원단의 표면에는 특정 패턴층(P2)이 인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supplied through the fabric supply unit 100 is coated with the adhesive discharged from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while passing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Then, after being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post-treatment unit 400 for drying and winding the fabric, it is made of one line in which each process is carried out continuously. P2) can be printed.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패턴 롤러부(220)의 일측에서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밀착 형성되어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으로 접착액을 도포하고, 이와 동시에 패턴홈(P1)을 제외한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긁어서 제거하기 위함 이다.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220 on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220 to apply an adhesive liqui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220, and at the same time, the pattern groove P1. This is to remove by scraping off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except for.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상부에 수용된 접착액을 인쇄 롤러 유닛(200)의 패턴 롤러부(220) 측면에서 패턴홈(P1)에 도포하고, 일측에 형성된 스크래퍼(S1)를 통해 접착액 도포와 동시에 패턴층(P2)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거할 수 있다.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applies the adhesive liquid accommodated in the upper portion to the pattern groove P1 at the side of the pattern roller 220 of the printing roller unit 200, and applies the adhesive liquid through the scraper S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t the same time,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remaining regions except for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layer P2 can be removed.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상부에 접착액을 수용하여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에서 패턴홈(P1)으로 접착액을 하향 방향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패턴 롤러부(220)와 맞닿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에서 하향 방향으로 접착액을 도포하거나 패턴 롤러부(200)와 접착제 제거 유닛(500)가 수직으로 맞닿은 상태에서 접착액을 패턴홈(P1)으로 도포할 수 있다.The adhesive removal unit 500 may receive the adhesive liquid on the upper portion and apply the adhesive liqui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pattern groove P1 at the side of the pattern roller 220.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may adjust the angle of contact with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apply the adhesive liqui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or the adhesive with the pattern roller unit 200 The adhesive liquid may be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P1 in a state where the removal unit 500 abuts vertically.

접착제 제거 유닛(500)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스크래퍼(S1)와 스크래퍼(S1)가 삽입되는 본체(520)와 본체(5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축이 되는 회동축(540)과 스크래퍼(S1)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removal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rein the adhesive removal unit 500 is a shaf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ody 520 and the body 520 into which the scraper S1 and the scraper S1 are inserted. It may include an adjusting unit 56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coaxial 540 and the scraper (S1).

스크래퍼(S1)는 패턴 롤러부(220)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패턴 롤러부(220)가 회전할 때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밀착하여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거할 수 있다. 스크래퍼(S1)는 칼날과 같이 끝단이 날카롭고 패턴 롤러부(220)와 연속적으로 접촉되어도 마모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scraper S1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and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when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rotates.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can be removed. Scraper (S1) may be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trength such that the end is sharp, such as a blade, and does not wear even when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pattern roller 220.

본체(520)는 스크래퍼(S1)가 삽입 또는 돌출되기 위한 것으로 패턴 인쇄 롤러 유닛(200)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내부에 스크래퍼(S1)가 삽입될 수 있다.The main body 520 is for inserting or protruding the scraper S1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printing roller unit 200 so that the scraper S1 may be inserted therein.

조절부(560)는 본체(520)의 일측에서 스크래퍼(S1)와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스크래퍼(S1)가 본체(520)에서 삽입 및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560)의 회전이라 함은 쉽게 말해서 본체(5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한 핸들로 형성되어 핸들의 회전을 뜻하며, 핸들과 스크래퍼(S1)는 나사산이 형성된 축으로 서로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에 따라 돌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The adjusting unit 560 may be connected to the scraper S1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520 to adjust the degree of insertion and protrusion of the scraper S1 from the main body 520 through rotation.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unit 560 is easily described as a rotatable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520, and means the rotation of the handle. The handle and the scraper S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readed shaft to rotate the handle. Depending on the protruding or inserting can be.

조절부(560)는 보다 쉽게 스크래퍼(S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520)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스크래퍼(S1)와 연결될 수 있다.The adjusting unit 56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520 to more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scraper S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craper S1.

회동축(540)은 본체(520)의 후면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본체(520)는 회동축(54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 할 수 있다. 회동축(540)은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의 일측에서 볼트 너트와 같이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520)를 예정된 각도로 조절한 후 본체(520)가 회동되지 않도록 나사를 조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회동축(540)은 본체(520)의 각도가 조절되기 위한 중심축이 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540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520, and the main body 520 may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540. The rotating shaft 540 may be coupled through a screw such as a bolt nut at one side of the origi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after adjusting the main body 520 at a predetermined angle, tighten the screw so that the main body 520 is not rotated. . That is, the rotation shaft 540 may be a central axi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ain body 520.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패턴 롤러부(220)의 일측에 배치되고, 패턴 롤러부(220)의 타측에는 서브 스크래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스크래퍼는 접착액이 수용될 필요가 없으므로 스크래퍼(S1)의 단일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a scraper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e scraper may be formed in a single configuration of the scraper S1 since the adhesive liquid does not need to be accommodated.

예컨대, 접착제 제거 유닛(500)이 접착액 도포와 동시에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거한 뒤 서브 스크래퍼가 패턴홈(P1)이 원단에 맞닿기 전에 다시 한번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removes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at the same time as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he scraper is once again before the pattern groove P1 contacts the fabric.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220 may be removed.

일 예로,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원단이 제1 경로로 인쇄 압착부(240)와 패턴 롤러부(220)의 통로를 통과할 때, 본체(520)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스크래퍼(S1)가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removal unit 500 is a scraper (S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520 when the fabric passes through the passage of the printing pressing portion 240 and the pattern roller 220 in the first path It may be disposed to abut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220.

이때, 접착제 제거 유닛(500)의 스크래퍼(S1)는 패턴 롤러부(220) 측면의 중심부분에 맞닿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래퍼(S1)가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에 맞닿기 때문에 본체(520)의 상부에 형성된 접착액 수용부에 수용된 접착액이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즉, 패턴홈(P1)을 제외한 표면)에는 도포되지 않고 패턴홈(P1)에만 접착액이 도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raper S1 of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Since the scraper S1 abuts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220, the adhesive liquid accommodated in the adhesive liquid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52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220 (ie, the pattern grooves). The surface of the surface excluding P1) may be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P1 only without being applied.

다시 말해서, 패턴 롤러부(220)가 회전할 때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 중심에 스크래퍼(S1)가 밀착되어 맞닿고 스크래퍼(S1)의 위에는 몸체(320)에 수용된 접착액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퍼(S1)는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 중심에 배치될 때 패턴 롤러부(220)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pattern roller unit 220 rotates, the scraper S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adhesive liquid contained in the body 320 may flow on the scraper S1. have. In this case, when the scraper S1 is disposed at the side center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the scraper S1 may most effectively remove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그리고, 스크래퍼(S1)를 기준으로 스크래퍼(S1)보다 상향에 위치한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는 접착액이 도포되면서 패턴홈(P1)에 접착액이 도포될 수 있다. 이어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패턴 롤러부(220)는 스크래퍼(S1)를 지나는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이 스크래퍼(S1)로 인해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liquid may be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P1 while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positioned above the scraper S1 based on the scraper S1. Subsequently, the continuously rotating pattern roller unit 220 may have an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passing through the scraper S1 due to the scraper S1.

즉, 패턴 롤러부(220)는 패턴홈(P1)에만 접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패턴 롤러부(220)와 인쇄 압착부(240)를 통과하는 원단의 일면에 패턴층(P2)을 형성할 수 이다. 이때, 도 1에서 설명한 이송부(362)와 저장부(364)와 펌핑부(366)가 동일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펌핑부(366)는 본체(520)의 수용부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pattern roller unit 220 rotates in a state where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only to the pattern grooves P1 to form the pattern layer P2 on one surface of the fabric passing through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nd the printing pressing unit 240. It is possible to form. In this case, the transfer part 362, the storage part 364, and the pumping part 366 described in FIG. 1 may be included in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pumping part 366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of the main body 520.

한편,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축(540)을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removal unit 50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through the rotating shaft 540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거할 때 서브 스크래퍼만 사용한다면 접착제 제거 유닛(500)의 스크래퍼(S1)는 패턴 롤러부(220)와 맞닿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접착액만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only a scraper is used to remove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as described above, the scraper S1 of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may be aligned with the pattern roller unit 220. It is possible to supply only the adhesive liqui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out touching.

이때에는, 접착제 제거 유닛(500)의 각도를 하향, 즉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아래를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desirable to adjust the angle so that the angle of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is downward, that is,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즉,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회동축(540)을 통해 접착제 제거 유닛(500)이 패턴 롤러부(220)의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부(560)를 통해 스크래퍼(S1)를 패턴 롤러부(220)의 하부 표면에 근접하도록 더욱 돌출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adjusts the angle so that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faces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hrough the rotation shaft 540, and the scraper S1 through the adjusting unit 560. ) May be further protruded to approach the lower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ortion 220.

따라서,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과 인접한 상태에서 접착액이 아래로 낙하하는 손실을 최소화한 상태로 패턴홈(P1)에 접착액을 도포할 수 있다. 이어서, 패턴 롤러부(220)는 서브 스크래퍼에 의해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이 제거된 상태로 원단에 패턴층(P2)을 형성하 수 있다.Therefore,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may apply the adhesive liquid to the pattern groove P1 in a state in which the loss of the adhesive liquid falls downward in a state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Subsequently, the pattern roller unit 220 may form the pattern layer P2 on the fabric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is removed by the scraper.

참고로, 접착제 제거 유닛(500)은 패턴 롤러부(220)의 하부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다시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 중심에 맞닿기 위해서는 회동축(540)을 통해 본체(520)를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 중심을 바라보도록 조절하고, 스크래퍼(S1)가 패턴 롤러부(220)의 측면 중심과 맞닿도록 조절부(560)를 통해 스크래퍼(S1)를 삽입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adhesive removing unit 500 may pattern the main body 520 through the rotation shaft 540 in order to contact the side center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again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part 220. The scraper S1 may be inserted through the adjuster 560 so that the scraper S1 may be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220.

본 발명의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2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접착제 제거 유닛(500)을 통해 접착액의 침전물을 다시 섞은 상태에서 패턴 롤러부(220)의 패턴홈(P1)에 접착액을 도포함과 동시에 패턴 롤러부(220)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액을 제거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fabric screen printing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dhesive solution in the pattern groove P1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in a state in which the precipitates of the adhesive solution are mixed again through the adhesive removal unit 500 having an adjustable angl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unit 220 to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원단 공급 유닛
200: 인쇄 롤러 유닛
300: 접착제 배출 유닛
400: 후처리 유닛
100: fabric supply unit
200: printing roller unit
300: adhesive discharge unit
400: post-processing unit

Claims (15)

원단을 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원단 공급 유닛;
상기 원단 공급 유닛의 일측에서 롤러 형태로 배치되며, 예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홈을 통해 상기 원단에 패턴층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롤러 유닛;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의 측면에서 하향 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패턴홈에 접착액을 배출하는 접착제 배출 유닛; 및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을 통해 나오는 상기 원단을 후처리 하여 권취하는 후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A fabric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fabric to the front;
A printing roller unit disposed in one of the fabric supply units in the form of a roller, for printing a pattern layer on the fabric through a pattern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 adhesive discharging unit discharging the adhesive liquid to the pattern groove through an outlet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printing roller unit; And
And a post-processing unit for post-processing and winding up the fabric coming out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은
상기 원단의 일면과 접촉하고, 상기 패턴홈을 통해 상기 원단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패턴 롤러부; 및
상기 패턴 롤러부와 대응하는 길이의 롤러 형태로 상기 패턴 롤러부의 상부에서 상기 패턴 인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패턴 인쇄부 방향으로 상기 원단을 가압하기 위한 인쇄 압착부;
상기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인쇄 압착부를 상하 이동하여 상기 패턴 롤러부와 상기 인쇄 압착부의 사이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압착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inting roller unit
A pattern roller uni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abric and forming a pattern on the fabric through the pattern groove; And
A printing press part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pattern roller part so as to face the pattern printing part in the form of a roll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oller part, for pressing the fabric in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printing part;
And a press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roller unit and the printing pressing unit by moving the printing pressing unit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abric.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은
상기 패턴 인쇄부와 대응하는 길이의 롤러 형태로 상기 패턴 인쇄부의 하부에서 상기 패턴 인쇄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패턴 인쇄부 방향으로 상기 원단을 가압하기 위한 수성인쇄 압착부; 및
물이 저장되는 저조 형태로 상기 수성인쇄 압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성인쇄 압착부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저조부를 더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inting roller unit
An aqueous printing press unit arranged in a rolle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printing unit so as to face the pattern printing unit under the pattern printing unit, and pressurizing the fabric in the direction of the pattern printing unit; And
The bottom of the water-based printing pressing portion in the form of a low water reservoir is stored, further comprising a bottom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based printing pressing portion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상기 인쇄 압착부에 대응하는 제1 경로 또는 상기 수성인쇄 압착부에 대응하는 제2 경로 중 하나의 경로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abric is
And is selectively supplied to one of the first path corresponding to the printing press and the second path corresponding to the aqueous print press.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배출 유닛은
상기 접착액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패턴 롤러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일측에 상기 패턴 롤러부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패턴홈을 향해 하향으로 형성된 배출구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adhesive discharge unit
A body in which the adhesive liquid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and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pa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downwardly toward the patter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ttern roller;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배출 유닛은
상기 패턴 롤러부와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패턴 롤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턴 롤러부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상기 접착액을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접착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접착액을 다시 상기 몸체로 상승 이송하기 위한 펌핑부를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adhesive discharge unit
A transfer part disposed below the pattern roller part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roller part,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adhesive liquid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pattern roller part to the outside;
A storage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transfer unit and storing the adhesive liquid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unit; And
And a pumping part for transferring the adhesive liquid stored in the storage back to the body.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롤러부 일측에서 상기 패턴 롤러부와 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턴 롤러부 표면에 배출된 접착액을 제거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side of the pattern roller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tern roller, and comprises a scraper for removing the adhesive liquid dis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pattern roller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배출 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adhesive discharge unit
Is provided inside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stirring unit for stirring the adhesive liquid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은
예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liquid is
A precipitate is 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 상기 인쇄 롤러 유닛으로 공급되는 일측면에 배치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가지는 나산부재가 각각 형성되는 나산형 롤러를 더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abric is disposed on one side that is supplied to the printing roller unit, further comprising a threaded roller formed with a threaded member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롤러 유닛에서 배출된 원단의 이동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원단의 저면에서 상기 원단이 펴지도록 하기 위한 아치형 바를 더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abric discharged from the printing roller unit, further comprising an arched bar for extending the fabric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abric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제어부는
고정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제1 경사면을 가지는 제1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가지며,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는 제2 가이드 부재; 및
일측에서 상기 인쇄 압착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인쇄 압착부를 상하 이동 시키기 위한 이동 부재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rimp control unit
A first guide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fixed member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A second guide member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Coupled with the printing pressing portion on one sid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member includes a moving member for moving up and down the printing press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second guide member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원단을 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원단 공급 유닛;
상기 원단 공급 유닛의 일측에서 롤러 형태로 배치되며, 예정된 패턴으로 형성된 패턴홈을 통해 상기 원단에 패턴층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롤러 유닛;
상부에 접착액을 수용하여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패턴홈에 상기 접착액을 하향 방향으로 도포하고, 일측에 형성된 스크래퍼를 통해 상기 접착액 도포와 동시에 상기 패턴층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도포된 상기 접착액을 제거하는 접착제 제거 유닛; 및
상기 인쇄 롤러 유닛을 통해 나오는 상기 원단을 후처리 하여 권취하는 후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A fabric supply unit for continuously supplying fabric to the front;
A printing roller unit disposed in one of the fabric supply units in the form of a roller, for printing a pattern layer on the fabric through a pattern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adhesive liquid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and the adhesive liquid is applied to the pattern groove from the side of the printing roller unit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layer is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adhesive liquid through a scraper formed on one side. An adhesive removing unit for removing the adhesive liquid applied to the area; And
And a post-processing unit for post-processing and winding up the fabric coming out through the printing roller unit.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제거 유닛은
상부에 접착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래퍼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각도가 조절되기 위한 중심축이 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adhesive removal unit
A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part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the adhesive liquid and having an inner space therein for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craper; And
Is forme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including a rotation axis which is a central axi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ain body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제거 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상기 스크래퍼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래퍼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원단 스크린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adhesive removal unit
It is connected to the scraper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craper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KR1020180010947A 2018-01-29 2018-01-29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KR102029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47A KR102029873B1 (en) 2018-01-29 2018-01-29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47A KR102029873B1 (en) 2018-01-29 2018-01-29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860A true KR20190091860A (en) 2019-08-07
KR102029873B1 KR102029873B1 (en) 2019-11-08

Family

ID=6762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947A KR102029873B1 (en) 2018-01-29 2018-01-29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87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8885A (en) * 2022-07-21 2022-09-06 广州喜龙服饰有限公司 Prevent heat transfer device that surface fabric is discounted
KR102493713B1 (en) * 2021-12-03 2023-01-30 손원식 Steel fabric pattern forming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872B1 (en) * 2022-12-02 2023-02-16 주식회사 천운패키지 A folding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adhesive vinyl wrapping pap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691A (en) * 2002-01-31 2003-08-05 Toppan Printing Co Ltd Automatic recovering and washing apparatus for printing coating solution of printing coater
JP2006281103A (en) * 2005-03-31 2006-10-19 Toppan Printing Co Ltd Ink supply apparatus, pattern formation method, pattern formation apparatus, color filter formation method, and pattern formation apparatus
KR20110001930A (en) * 2009-06-30 2011-01-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k supply device for printed electronic of large area gravure printer
JP2013043752A (en) * 2011-08-24 2013-03-04 Fujifilm Corp Paper conveyance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4061515A (en) * 2012-09-19 2014-04-10 Korea Inst Of Machinery & Materials Integrated co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691A (en) * 2002-01-31 2003-08-05 Toppan Printing Co Ltd Automatic recovering and washing apparatus for printing coating solution of printing coater
JP2006281103A (en) * 2005-03-31 2006-10-19 Toppan Printing Co Ltd Ink supply apparatus, pattern formation method, pattern formation apparatus, color filter formation method, and pattern formation apparatus
KR20110001930A (en) * 2009-06-30 2011-01-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k supply device for printed electronic of large area gravure printer
JP2013043752A (en) * 2011-08-24 2013-03-04 Fujifilm Corp Paper conveyance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4061515A (en) * 2012-09-19 2014-04-10 Korea Inst Of Machinery & Materials Integrated coat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713B1 (en) * 2021-12-03 2023-01-30 손원식 Steel fabric pattern formingn device
CN115008885A (en) * 2022-07-21 2022-09-06 广州喜龙服饰有限公司 Prevent heat transfer device that surface fabric is discou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873B1 (en)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873B1 (en) Fabric screen printing device
EP1577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nkjet printing of materials, particularly sheet-like materials such as fabrics, hides or the like
RU2108956C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pplication of glue to roll material winding core
JP20085264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ating fluid pattern
EP1405721A1 (en) Intaglio printing press
US4343260A (en)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state material onto a surface of a cloth or the like
JPH0238712B2 (en)
US64880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 and priming extrusion head
JPH09187740A (en) Drum surface wiping apparatus
KR20160019148A (en) Contact washing apparatus
EP294438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transparent endless belt for rapid uv polymerization of the paint that coats products with a mainly flat surface
CN203510916U (en) Full automatic flat screen printing proofing machine
CN206373031U (en) A kind of coating machine
CN210171829U (en) LED lamp strip is equipment of gluing in batches
KR101705941B1 (en) Roll printing apparatus and roll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US63861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ink fountain in rotary printing machine
US20150352832A1 (en) Liquid transfer device
KR20020004535A (en) apparatus for liquid coating
JP5988734B2 (en) Method of operating an anilox printing unit and printing press with an anilox printing unit
KR20210035459A (en) High viscous material providing and drying apparatus
KR20100101231A (en) Print apparatus
JP2951637B1 (en) Corrugated sheet printing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ink supply unit of the printing machine
JP2948570B1 (en) Corrugated sheet printing machine
CN205183049U (en) Prevention leakage oil coating unit
CN219898890U (en) Spreading machine with self-clean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