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843A -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843A
KR20190091843A KR1020180010911A KR20180010911A KR20190091843A KR 20190091843 A KR20190091843 A KR 20190091843A KR 1020180010911 A KR1020180010911 A KR 1020180010911A KR 20180010911 A KR20180010911 A KR 20180010911A KR 20190091843 A KR20190091843 A KR 20190091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air
discharge pipe
housing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우광학전자기술
Priority to KR102018001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843A/ko
Publication of KR2019009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을 양식하는 가두리양식장에 산소 및 새로운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두리 양식장의 그물망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며 동시에, 그물망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의 해수를 그물망 내부공간으로 새롭게 공급함으로써 전복의 폐사율을 낮출 수 있는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는, 가두리양식장(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111)를 갖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흡입관(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배출관(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흡입관(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배출관(150)으로 구성된 멀티공급부(100);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간의 연결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수단(20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며 상기 해수흡입관(120)과 공기흡입관(140)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해수 및 공기를 흡입시키고, 흡입된 해수 및 공기를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으로 배출시키는 피스톤(300); 상기 피스톤(200)과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00)이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구동부(400);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을 각각 연결하여 해수와 공기를 번갈아가며 가두리양식장(1)의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멀티배출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APPARATUS FOR SEAWATER AND OXYGEN SUPPLY OF FLOATING FISH CAGE}
본 발명은 전복과 같은 활동성이 적은 양식물을 양식하는 가두리양식장에 산소 및 새로운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두리양식장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며 동시에, 가두리양식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의 해수를 그물망 내부공간으로 새롭게 공급함으로써 양식물의 폐사율을 낮출 수 있는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다의 산삼이라고 불리우는 전복은 미역이나 다시마를 먹이로 하여 한국과 일본에 분포되어 서식하는 어패류이다.
한국의 남해연안은 바닷물에 담수가 유입되지 않아 수온이 낮고 청정하며 전복의 먹이인 미역이나 다시마의 생식 조건이 알맞아 전복의 자연서식지가 되었다.
이러한 전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00년대부터 전복의 대량 양식화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전복의 대량양식화는 가두리방식을 통해 양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대량으로 전복양식이 진행됨에 따라 전복양식에 적합한 제한된 바다의 면적에 가두리양식장이 크게 늘어나 바다의 조류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바닷물이 고이게 되고, 특히 전복은 어류와 달리 양식장 내부에서의 활동량이 적어 양식과정에서 발생한 전복의 배설물 및 다시마 미역과 같은 먹이(사료)의 찌꺼기 등이 양식장의 그물망에 축적되어 양식장 내부의 산소량이 부족해지고 고인 바닷물이 오염된 상태로 유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바닷물이 고여 오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바닷물에 용존산소량이 부족하게 되어 전복을 포함한 양식물이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가두리양식장에는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59301호(1998.10.26, 에어 교반기)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산소의 공급만으로는 양식물의 폐사율을 현저하게 낮추지는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양식물의 폐사율을 낮추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0851호(2018.01.04, 가두리 양식장)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가두리 양식장은,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며 부이에 의해 부양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프레임;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어망; 상기 어망의 옆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차단막; 상기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며 차가운 해저의 해수를 차단막 내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호스가 구비된 양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해저의 해수를 양식장 내부로 공급하여 양식장의 수온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적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지만,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와, 새로운 바닷물을 공급하기 위한 양수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해야 했으므로 양식장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장치를 구비하는 비용은 물론 인건비를 포함한 시공비 등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와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각각 설치함에 따라 가두리양식장의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9301호(1998.10.26, 에어 교반기) 2)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00851호(2018.01.04, 가두리 양식장)
본 발명의 목적은 전복과 같은 활동성이 적은 양식물을 양식하는 가두리양식장에 산소와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와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함으로써 가두리양식장 구축비용절감과 공간활용 및 시공성이 좋은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는, 가두리양식장(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111)를 갖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흡입관(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배출관(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흡입관(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배출관(150)으로 구성된 멀티공급부(100);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간의 연결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수단(20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며 상기 해수흡입관(120)과 공기흡입관(140)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해수 및 공기를 흡입시키고, 흡입된 해수 및 공기를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으로 배출시키는 피스톤(300); 상기 피스톤(200)과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00)이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구동부(400);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을 각각 연결하여 해수와 공기를 번갈아가며 가두리양식장(1)의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멀티배출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에 따르면, 가두리양식장에 산소와 새로운 해수를 공급하여 양식물의 폐사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와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각각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여 설치함으로써 양식장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된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는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두리양식장의 공간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설치하므로 시공성이 뛰어나 설치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에 의해 하우징과 피스톤이 냉각되므로 그 하우징 및 피스톤의 열변형과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가 가두리양식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가 가두리양식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는 멀티공급부(100), 유로개폐수단(200), 피스톤(300), 피스톤구동부(400), 멀티배출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멀티공급부(100)는 산소와 새로운 해수를 흡입하여 가두리양식장(1)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가두리양식장(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111)를 갖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흡입관(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배출관(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흡입관(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배출관(15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00)이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기 용이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수흡입관(120)은 기본적으로는 가두리양식장(1)의 외부의 해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층 해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단부를 바다 저면에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해수배출관(130)의 단부는 상기 해수흡입관(120)을 통해 흡입된 해수를 가두리양식장(1)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멀티배출부(500)와 연결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관(140)은 끝단이 해수면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면 되며, 상기 공기배출관(150)은 상기 공기흡입관(14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가두리양식장(1)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멀티배출부(500)와 연결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유로개폐수단(2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간의 연결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해수흡입관(120)을 통해 해수가 흡입될 때에는 상기 해수배출관(130)을 폐쇠하고 반대로 상기 해수배출관(130)을 통해 해수가 배출될 때에는 상기 해수흡입관(120)을 폐쇄하며, 상기 공기흡입관(140)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때에는 상기 공기배출관(150)을 폐쇄하고 반대로 상기 공기배출관(150)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때에는 상기 공기흡입관(140)을 폐쇄하여 해수 및 공기의 흡입과 배출 과정에서 역류를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30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며 상기 해수흡입관(120)과 공기흡입관(140)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해수 및 공기를 흡입시키고, 흡입된 해수 및 공기를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3a 및 도 4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외측으로 상단이 노출되는 피스톤축(310)과 상기 피스톤축(31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1)의 직경에 준하는 크기로 된 피스톤헤드(320)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피스톤헤드(320)는 상기 중공부(111)상에서 상·하로 왕복하되 반드시 상부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해수흡입관(120)과 해수배출관(130)에 미치지 않도록 이동해야 하며, 하부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공기흡입관(140)과 공기배출관(150)에 미치지 않도록 이동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외측으로 상기 피스톤축(310)의 상단이 노출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를 관통하게 되고 이때 형성된 관통공에 해수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피스톤구동부(400)는 상기 피스톤(200)과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00)이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두리양식장(1)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0)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하는 것이며,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일반적인 외부 상용전원을 상기 피스톤구동부(4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거나,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피스톤구동부(4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멀티배출부(500)는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을 각각 연결하여 그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w)와 공기(a)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갈아가며 가두리양식장(1)의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이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는 배출관(52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T자 또는 Y자형으로 된 조인트(510)와, 상기 배출관(520)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에어스톤(530)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스톤(530)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에 따르면, 피스톤 동작에 의해 하나의 멀티공급부에서 해수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해수와 공기를 멀티배출부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어, 가두리양식장에 산소와 새로운 해수를 공급하여 가두리양식장 내부의 수질이 개선되고 용존산소량이 높아지므로 양식물의 폐사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음은 물론, 가두리양식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와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식장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두리양식장의 공간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만을 설치하므로 시공성이 뛰어나 설치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하우징 및 피스톤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 내부로는 상기 해수흡입관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그 해수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하우징과 피스톤이 냉각되므로 그 하우징 및 피스톤의 열변형과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로개폐수단(200)은, 상기 해수흡입관(12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해수흡입관(120) 상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210)와,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해수배출관(130) 상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220)와, 상기 공기흡입관(14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공기흡입관(140) 상에 설치된 제3체크밸브(230)와, 상기 공기배출관(15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공기배출관(150) 상에 설치된 제4체크밸브(24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체크밸브(210), 제2체크밸브(220), 제3체크밸브(230), 제4체크밸브(240)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피스톤(20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체크밸브(210)와 제4체크밸브(240)가 개방됨과 동시에 제2체크밸브(220)와 제3체크밸브(230)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피스톤(20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체크밸브(210)가 개방되면 상기 해수흡입관(120)을 따라 상기 중공부(111)로 새로운 해수가 유입되고 해수가 유입되는 동안에는 해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체크밸브(220)가 폐쇄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제4체크밸브(240)가 개방되면 상기 중공부(111)에 유입되어 있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관(240)으로 배출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흡입관(140)으로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제3체크밸브(230)가 폐쇄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피스톤(200)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체크밸브(220)와 제3체크밸브(230)가 개방됨과 동시에 제1체크밸브(210)와 제4체크밸브(240)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20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체크밸브(220)가 개방되면 상기 해수배출관(130)으로 상기 중공부(111)에 유입되어 있던 해수가 배출되고 해수가 배출되는 동안에는 상기 해수흡입관(210) 측으로 해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제1체크밸브(210)가 폐쇄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제3체크밸브(230)가 개방되면 상기 공기흡입관(140)을 따라 상기 중공부(111)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에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4체크밸브(240)가 패쇄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체크밸브(210), 제2체크밸브(220), 제3체크밸브(230), 제4체크밸브(240)는 상용화된 어떠한 체크밸브를 사용해도 무방하며 일반적으로는 체크밸브하우징과 그 체크밸브하우징 내부에 비틀림스프링을 매개로 차폐판이 설치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구동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와, 상기 구동모터(410)의 모터축에 축결합되는 크랭크축(420)과, 상기 크랭크축(420)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 슬라이딩축(431)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커넥팅로드(430)와, 상기 슬라이딩축(431)이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홀(441)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피스톤(300)의 상단에 연결된 슬라이딩몸체(44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10)는 가두리양식장(1)에 설치된 전원공급부(10)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축(431)은 상기 슬라이딩홀(441)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전방으로 충분히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로드(430) 및 슬라이딩몸체(440)의 도면에 도시된 형태는 그 커넥팅로드(430) 및 슬라이딩몸체(440)를 형성함에 있어 제조단가를 가장 낮출 수 있는 형태로 된 것일 뿐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몸체(440)와 피스톤(300)과의 연결은 용접방식 볼트체결방식 등 어떠한 연결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410), 크랭크축(420), 커넥팅로드(430), 슬라이딩몸체(440)로 구성된 피스톤구동부(400)는 도 5에 그 작동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0)이 가장 낮은 높이로 하강한 상태를 기본 상태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모터(410)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크랭크축(42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커넥팅로드(430)는 상기 크랭크축(420)에 결합된 상단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축(431)이 상기 슬라이딩홀(441) 상에서 수평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딩하며 그 슬라이딩홀(441)이 형성된 슬라이딩몸체(440)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410)가 일방향으로 180° 회전하게 되면 도 3b와 같이 상기 피스톤(300)이 가장 높은 높이로 상승한 상태가 되며, 180°를 넘어 그 이상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스톤(300)은 다시 하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410)가 단 한 번의 360° 회전만으로 상기 피스톤(3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10)를 구동하는 전력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가두리양식장(1)의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관(140) 상에는 오존공급부(600)가 설치되어 상기 멀티공급부(100)로 유입된 후 상기 멀티배출부(500)로 배출되는 공기에 오존을 포함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오존공급부(600)는 용액의 전기분해나 무성방전(無聲妨電)등을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설치된 오존공급부(600)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610)와 그 오존발생기(610)를 제어하는 오존제어기(620)로 구성하여 가두리양식장(1) 내부의 해수 상태에 따라 상기 오존제어기(620)를 조작하여 오존공급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멀티공급부 110 : 하우징
120 : 해수흡입관 130 : 해수배출관
140 : 공기흡입관 150 : 공기배출관
200 : 유로개폐수단 210 : 제1체크밸브
220 : 제2체크밸브 230 : 제3체크밸브
240 : 제4체크밸브
300 : 피스톤
400 : 피스톤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 크랭크축 430 : 커넥팅로드
440 : 슬라이딩몸체
500 : 멀티배출부

Claims (4)

  1. 가두리양식장(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111)를 갖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흡입관(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해수배출관(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흡입관(14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중공부(111)와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배출관(150)으로 구성된 멀티공급부(100);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간의 연결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해수흡입관(120), 해수배출관(130), 공기흡입관(140), 공기배출관(150)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수단(20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며 상기 해수흡입관(120)과 공기흡입관(140)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해수 및 공기를 흡입시키고, 흡입된 해수 및 공기를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으로 배출시키는 피스톤(300);
    상기 피스톤(200)과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200)이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피스톤구동부(400);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공기배출관(150)을 각각 연결하여 해수와 공기를 번갈아가며 가두리양식장(1)의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멀티배출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양식장용 해수 및 산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개폐수단(200)은, 상기 해수흡입관(12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해수흡입관(120) 상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210)와, 상기 해수배출관(13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해수배출관(130) 상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220)와, 상기 공기흡입관(14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공기흡입관(140) 상에 설치된 제3체크밸브(230)와, 상기 공기배출관(150)과 하우징(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공기배출관(150) 상에 설치된 제4체크밸브(240)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20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체크밸브(210)와 제4체크밸브(240)가 개방되어 상기 해수흡입관(120)을 통해 상기 중공부(111)로 새로운 해수가 유입되고 상기 중공부(111)에 유입되어 있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관(240)으로 배출되며, 동시에 제2체크밸브(220)와 제3체크밸브(230)가 폐쇄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해수배출관(130)으로 해수가 배출되지 않고 공기가 배출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흡입관(140)으로 공기가 역류하지 않게 되며,
    상기 피스톤(200)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체크밸브(220)와 제3체크밸브(230)가 개방되어 상기 중공부(111)에 유입되어 있던 해수가 상기 해수배출관(130)으로 배출되고 상기 공기흡입관(140)을 통해 상기 중공부(111)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동시에 제1체크밸브(210)와 제4체크밸브(240)가 폐쇄되어 해수가 배출되는 동안에는 상기 해수흡입관(210)으로 공기가 역류하지 않고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공기배출관(150)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양식장용 해수 및 산소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구동부(400)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구동모터(410)의 모터축에 축결합되는 크랭크축(420)과, 상기 크랭크축(420)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에 슬라이딩축(431)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커넥팅로드(430)와, 상기 슬라이딩축(431)이 끼워져 상기 구동모터(410)가 구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축(431)이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홀(441)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피스톤(300)의 상단에 연결된 슬라이딩몸체(4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양식장용 해수 및 산소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140) 상에는 오존공급부(600)가 설치되어 상기 멀티공급부(100)로 유입된 후 상기 멀티배출부(500)로 배출되는 공기에 오존을 포함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양식장용 해수 및 산소공급장치.
KR1020180010911A 2018-01-29 2018-01-29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 KR20190091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11A KR20190091843A (ko) 2018-01-29 2018-01-29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11A KR20190091843A (ko) 2018-01-29 2018-01-29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843A true KR20190091843A (ko) 2019-08-07

Family

ID=6762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911A KR20190091843A (ko) 2018-01-29 2018-01-29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8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1544A (zh) * 2019-11-28 2020-02-11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养殖网箱的饵料自动回收装置
WO2020187211A1 (zh) * 2019-03-18 2020-09-24 梁荷 一种宽阔水面零碳耗动力泵送装置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01U (ko) 1998-07-01 1998-10-26 김대현 에어 교반기
KR20180000851A (ko) 2016-06-24 2018-01-04 박기철 가두리 양식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01U (ko) 1998-07-01 1998-10-26 김대현 에어 교반기
KR20180000851A (ko) 2016-06-24 2018-01-04 박기철 가두리 양식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7211A1 (zh) * 2019-03-18 2020-09-24 梁荷 一种宽阔水面零碳耗动力泵送装置及应用
CN110771544A (zh) * 2019-11-28 2020-02-11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养殖网箱的饵料自动回收装置
CN110771544B (zh) * 2019-11-28 2021-08-31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养殖网箱的饵料自动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9447B (zh) 一种可以防止海生物附着的海水养殖网箱
CN107439448B (zh) 一种海水养殖网箱
CN107372261B (zh) 一种改良结构的海水养殖网箱
KR20190091843A (ko) 가두리양식장용 산소 및 해수공급장치
US10729110B2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farming of fish
JP2021029243A (ja) 自動的且つ定期的に給餌できる知能型養魚池
NO20211497A1 (en) Submersible fish farm
CN106719242A (zh) 一种双室水产养殖鱼池
CN112314496B (zh) 一种利用波浪能的水产养殖装置
CN101422139B (zh) 一种带有进水增速装置的养鱼设备
KR101988497B1 (ko) 가두리양식장 산소공급장치
KR20100030057A (ko) 태양광 발전 호소 수질 순환장치
CN111691382A (zh) 一种用于大黄鱼围栏养殖设施的死鱼打捞装置
US20240164352A1 (en) Submersible fish farm
CN112009345B (zh) 一种海鲜物流运输箱
CN113040087B (zh) 一种养殖工船养殖舱起捕系统及方法
CN111642439B (zh) 一种便于定量提取的活鱼暂养和转运网箱
CN114208758A (zh) 一种鱼菜共生生态循环养殖系统
JP2008220204A (ja) 水産物水上養殖設備および水産物水上養殖方法
CN211532220U (zh) 一种自动补水的水生植物种植设备
CN218681417U (zh) 一种稻虾养殖用害虫防治装置
CN107535412A (zh) 一种水力自循环发电曝气水族箱
CN219175175U (zh) 一种池塘生态养殖用漂浮物清理装置
CN216164461U (zh) 一种沉浮升降式海上水产养殖网箱
CN117356501A (zh) 一种金枪鱼养殖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