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168A - 다기능 커팅머신 - Google Patents

다기능 커팅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168A
KR20190091168A KR1020180010275A KR20180010275A KR20190091168A KR 20190091168 A KR20190091168 A KR 20190091168A KR 1020180010275 A KR1020180010275 A KR 1020180010275A KR 20180010275 A KR20180010275 A KR 20180010275A KR 20190091168 A KR20190091168 A KR 20190091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utting
main body
ratchet gear
scre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혁
Original Assignee
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혁 filed Critical 조혁
Priority to KR102018001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168A/ko
Publication of KR2019009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35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for circular cutters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에 대해 절단부를 적절히 고정하는 구성을 구
비하는 다기능 커팅머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형관재나 봉재 등의 배관을 씹게 해 고정시킨 후, 커터(cutting head)부가 배관 중 일면을 절삭하면서 배관의 주위를 회전해 배관을 절단 또는 베베링(bebeerine)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커팅머신{Multifunction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각종 산업자개를 커팅하는 다기능 커팅머신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에 대한 절단부를 고정하는 힘을 제한 가능하게 하는 다기능 커팅머신를 제공한다.
목재 등의 가공부재를 임의의 각도로 절단하기 위해서, 가공부재가 재치되는 펜스를 구비한 베이스와 베이스에 대해 회동 가능한 턴테이블(turn table)을 구비한 본체와 턴테이블(turn table)에 지지됨과 동시에 모터에 따라 회전하는 톱날을 구비한 절단부를 가지는 다기능 커팅머신가 알려져 있다.
이 다기능 커팅머신에 있어서는 톱날을 임의의 절단 각도로 설정하기 위해서, 최초로, 턴테이블(turn table)의 전방으로 설치된 핸들(car steering wheel)을 베이스에 대해 회전시켜 턴테이블(turn table)을 소망각도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핸들(car steering wheel)을 고정 방향에 회전시키고, 그 일단에 접속된 샤프트(shaft)의 선단을 베이스로 부딪히게 하는 것으로(air end), 베이스에대해서 턴테이블(turn table)을 고정해, 턴테이블(turn table)의 불의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베이스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의 고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핸들(car steering wheel)을 단단히 조이면, 샤프트(shaft)가 부딪히게 해(air end)가 지나치게 되어 베이스 변형이나 파손으로 연결되는 일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베이스에 대해 절단부를 적절히 고정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다기능 커팅머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원형관재나 봉재 등의 배관을 씹게 해 고정시킨 후, 커터(cutting head)부가 배관 중 일면을 절삭하면서 배관의 주위를 회전해 배관을 절단 또는 베베링(bebeerine) 할 수 있는 전용 기계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재치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에 지지되어 상기 재치면에 대해서 근접 및 이간 가능한 절단부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절단부의 절단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angular adjustment) 수단을 구비하는 다기능 커팅머신 이고,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절단부가 조정된 절단 각도로 절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절단부를 고정하는 힘을 제한 가능한 제한 수단을 가진다.
그리고 압압 부재는 상기 턴테이블(turn table)내 상기 베이스에 접촉해 갑압 가능한 선단부를 가지는 글자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한 수단은 상기 글자 부재의 기단부를 내주면측에 수용해 상기 글자 부재를 회전 가능한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글자 부재가 기단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 중 한편에는 경사가 다른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글자 부재가 기단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의 다른 쪽에는 상기 한편을 향해서 편향(付勢)되어 각각이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제2 경사부에 당접 가능한 복수의 조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가 상기 글자 부재의 고정 방향에 회전할 때, 토크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부가 상기 제 1 경사부에 당접해 상기군요 글자 부재는 상기 고정 방향에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기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를 갑압해, 상기 토크가 소정값을 넘으면, 상기 복수의 조부는 상기 제 1 경사부를 넘어 상기 본체부는 공전해, 상기 본체부가 반고정 방향에 회전할 때, 상기 복수의 조부가 상기 제 2 경사부에 당접해 상기 글자 부재를 반고정 방향에 회전한다.
그리고 베이스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의 고정을 해제할 때는 작업자가 본체부를 반고정 방향에 회전하면, 복수의 조부가 제2 경사부와 당접해 나사부재는 반고정 방향에 회전한다. 조부는 제2 경사부를 넘지 않고, 본체부는요 글자 부재와 함께 반고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므로, 나사부재를 확실히 베이스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피가공재를 절단 가능한 절단칼날을 가지고, 상기 절단 각도는 상기 재치면과 상기 절단 날 측면(tooth side)에 의해 정해지는 각도이며,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절단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절단부를 상기 베이스를 향해서 기울어 움직임 가능하게 하는 기울어 움직임 수단을 가지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절단칼날이 변경된 절단 각도로 절단하기 위해서 상기 절단부를 상기 기울어 움직임 수단에 고정해, 상기 제한 수단은 상기 절단부를 상기 기울어 움직임 수단에 고정하는 힘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따라, 절단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절단부를 고정할 때의 힘이 제한되므로, 절단부가 조정된 절단각도로 절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할 경우에 베이스에 대한 지나친 힘의 작용(action of force)을 억제해 베이스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 베이스의 강도를 올리기 위한 리브(rib) 형성이나 베이스 그 자체의 두께 등의 증가가 불필요해지기 위해, 다기능 커팅머신의 경량화를 측정하는 것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turn table)을 베이스로 고정할 때의 힘을 제한할 수 있기 위해, 턴테이블(turn table)의 고정에 기인하는 베이스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turn table)을 통해 베이스에 갑압하는 압압 부재에 작용하는 힘이 제한되고 있으므로, 베이스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의 지나친 갑압이 억제되고, 베이스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절단 각도를 조정한 후 베이스에 대해서 턴테이블(turn table)을 고정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본체부를 나사부재가 단단히 조여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조부가 부세력에 따라 제1 경사부에 압접해 토크가 본체부로부터 나사부재에 작용하므로, 본체부는요 글자 부재를 고정 방향에 회전시켜 나사부재의 선단부가 베이스를 갑압한다. 나사부재가 고정 방향에 회전하는 것에 따라, 나사부재가 베이스를 갑압하는 힘이 증대해, 베이스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 고정력이 증가되어 간다.
그리고 나사부재 나진이 정지해, 베이스로의 턴테이블(turn table) 고정력 증가도 멈춘다. 따라서, 턴테이블(turn table)을 고정하기 위해서 베이스에 대해 지나친 힘이 작용 시키지 않고, 베이스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노브를 조작할 때 필요이상으로 나사부재를 단단히 조여 베이스에 대해 턴테이블(turn table)을 고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구조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기능 커팅머신 1은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목재 등의 피가공부재가 재치되는 베이스부 10과 베이스부 10에 지지되어 피가공재를 절단하는 절단부 20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 베이스부 10에 대해서 절단부 20이 설치되고 있는 측을 윗방향과 반대측을 아래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도 1에서 지면 우측을 전방과 반대측을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전방에서 본 좌우 방향을 각각 좌방향, 오른쪽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윗방향 등의 방향을 말하는 경우에는 완전한 윗방향만이 아니고, 대략 윗방향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베이스부 10은 작업대에 설치되는 베이스 11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11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담지된 턴테이블(turn table) 12와 베이스 11에 설치된 펜스 13을 가진다. 베이스 11 및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상면은 피가공재를 재치 가능하게 하는 재치면 11 a가 되고 있다.
베이스 11은 쌍을 이루는 왼쪽 베이스 11 A와 오른쪽 베이스 11 B에 의해 구성된다.
턴테이블(turn table) 12는 각도 조정(angular adjustment)수단으로서 왼쪽 베이스 11 A와 오른쪽 베이스 11 B와의 사이배치된다. 턴테이블(turn table) 12는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원전체가 약간 높고 평평한 모양의 턴테이블(turn table) 본체부12 A와 턴테이블(turn table) 본체부 12 A로부터 전방으로 늘어나는 연장부 12 B와 연장부 12 B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홀더를 지지하는 절단 지지부 12 C로 구성된다.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상면에는 절단 지지부 12 C부근으로부터 연장부 12 B에 걸쳐 구부 12 D가 형성되고 있다. 구부 12 D는 절단칼날이 하부로 요동해 턴테이블(turn table) 12로 교선 위치와 동일 위치에 있어, 절단칼날의 칼끝을 수용한다.
펜스 13은 왼쪽 펜스 13 A와 오른쪽 펜스 13 B로 구성되어 왼쪽 펜스 13 A는 왼쪽 베이스 11 A상에, 오른쪽 펜스 13 B는 오른쪽 베이스 11 B상에 고정된다. 왼쪽 펜스 13 A 및 오른쪽 펜스 13 B의 전면은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피가공재의 위치 결정(positioning)을 실시한다.
절단부 20은 턴테이블(turn table) 12에 접속되는 홀더 21과 홀더 21에 장착된 하우징(housing) 22와 모터(비도면 표시)와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피가공재를 절단하는 원반상의 절단칼날 23을 구비하고 있다. 절단부 20은 출력축과 평행에 설치된 요동축 24를 중심으로 베이스부 10에 대해서 요동 가능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절단부 20은 절단칼날 23이 베이스부 10으로부터 가장 이간한 이간 위치와 절단칼날 23이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근접 위치와의 사이를 요동 가능이다.
홀더 21은 각도 조정(angular adjustment) 수단으로서 베이스 11에 대해 전방에서 봐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임 가능하게,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절단 지지부 12 C에 대해 지지 되고 있다.
다음으로, 각도 잘라(마이타 절단)에 대비해 턴테이블(turntable) 12의 절단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angular adjustment) 수단으로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도절을 할 때의 「절단 각도」란, 좌우의 펜스에 대한 절단칼날 23의 기울기이며, 왼쪽 펜스 13 A 및 오른쪽 펜스 13 B의 전면과 절단칼날 23의 측면 23 A에 의해 정해지는 각도이다.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연장부 12 B에는 선단부에, 작업자에 의해서 파지되는 핸들(car steeringwheel)부 30이 설치되고 있다. 핸들(car steering wheel)부 30에 의해서, 턴테이블(turn table) 12를 베이스 11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핸들(car steering wheel)부 30은 턴테이블(turn table) 12를 베이스 11에 대해서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도 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car steering wheel)부 30은 대략 원통형의 본체부 31과 본체부 31으로부터 돌출해 베이스 11을 갑압하는군 글자 부재 32와 본체부 31의 회전을 나사부재 32에 전달하기 위해서 래칫(ratchet) 기어 33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 31의 외주면은 형상이 작업자에 의해서 파지 가능한 노브에 형성되고 있다. 또, 본체부 31의 내주면에는 탄성변형 가능한(elastic deformation) 6개의 조부 31 A가 원주 방향(circumferencial direction)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본체부 31중심으로 향해 돌출하고 있다.
나사부재 32는 긴 방향(longer direction)에 늘어나는 봉상 부재이며, 압압 부재의 일례이다. 나사부재 32는 선단부 32 A부근에 말이야 글자산 32 B가 형성되고 있다. 선단부 32 A는 본체부 31의 개구 31 a를 삽통한 후, 도 3에 나타나는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계지부 12 E에 나합되고, 턴테이블(turn table)12에 고정된 판 용수철 14를 통해 베이스 11을 갑압한다. 판 용수철 14는 나사부재 선단부 32 A의 면적보다도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어 나사부재 선단부 32 A가 베이스 11에 작용시키는 압압력을 분산시키고, 베이스 11의 파손?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나사부재 선단부 32 A의 턴테이블(turn table) 12로의 나합과 베이스 11으로의 갑압에 의하고, 턴테이블(turn table) 12는 베이스 11에 대해 고정된다. 즉, 판 용수철14는 탄성 수단의 일례이다.
래칫(ratchet) 기어 33은 수지로 이루어져, 일단측이 개구 한 대략 통상부재이며,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조부 33 A(도 6)에 의해서 나사부재 32의 기단부 32 C에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기단부 32 C는 외주가 육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어 래칫(ratchet) 기어 33은 그 내부에 육각형의 오목부를 가진다.
래칫(ratchet) 기어 33의 일단측(개구측)으로부터 기단부 32 C를 삽입하면 육각 형상에서의 요철 감합을 한다. 한층 더 삽입을 계속하면 조부 33 A를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시키면서 기단부32 C가 조부 33 A를 넘고 복원력에 의해서 돌아온 조부 33 A에 의해서 기단부 32 C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래칫(ratchet) 기어 33에 기단부 32 C가 고정된다. 나사부재 32는 베이스 11으로의 꽉 눌러 부재 때문에, 금속제로서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래칫(ratchet) 기어 33은 수지제 때문에 가볍고, 본체부 31의 회전력을 나사부재 32에 전달한다. 또, 래칫(ratchet) 기어 33은 수지제 때문에 탄성력을 가진 조부 33 A를 일체 형성할 수 있다.
래칫(ratchet) 기어 33은 이빨의 각각이 제1 경사부 33 B와 경사가 제1 경사부 33 B의 경사와는 다른 제2 경사부 33 C로 이루어지는 6개의 이빨이 원주 방향(circumferencial direction)으로 형성되고 있다.
즉, 6개의 제1 경사부 33 B와 6개의 제2경사부 33 C가 원주 방향(circumferencial direction)에 교대로 배치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태에서는 래칫(ratchet) 기어 33에 설치되는 이빨의 개수는 6개이지만, 적당의 개수의 이빨을 설치할 수 있다.
래칫(ratchet) 기어 33은 본체부 31의 내주면에 수용되어 본체부 31의 조부 31 A가, 제1 경사부 33 B 및 제2 경사부 33 C의 한편에 당접한다. 덧붙여 조부 31 A는 제1 경사부 33 B 및 제2경사부 33 C의 양쪽과 동시에 당접하지 않게 설치되고 있다.
또, 래칫(ratchet) 기어 33은 본체부 31에 설치된 구멍 31 b에 삽통된 핀 34에 의해서, 본체부 31내에서의 위치가 규제된다
(도 4). 즉, 래칫(ratchet) 기어 33은 본체부 31에 대해서 나사부재 32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나사부재 32 나진방향에 있어서 래칫(ratchet) 기어 33은 본체부 31과 일체로 움직인다.
래칫(ratchet) 기어 33은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본체부 31이 나사부재 32의 고정 방향에 회전할 때, 본체부 31으로부터 작용하는 토크에 따라 조부 31 A가 제1 경사부 33 B에 당접해 고정방향에 갑압하므로, 본체부 31과 함께 고정 방향에 회전한다.
래칫(ratchet) 기어 33의 고정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나사부재 32는 나진 하므로,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베이스 11으로의 압압력이 서서히 증대한다.
턴테이블(turn table)의 베이스로의 압압력이 증대하는 것에 따라, 나사부재를 나진 시키는 힘의 모토이가 되는 본체부 31으로 부터 래칫(ratchet) 기어 33에 작용하는 토크도 증가한다. 토크가 소정값을 넘으면, 제1 경사부 33 B가 조부 31 A에 가세하는 힘이 증대해, 조부 31 A가 본체부 3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한다. 즉, 본체부 31에 일정 이상의 토크를 더하면, 조부 31 A가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한다. 그러자면, 조부 31 A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하면서 제1 경사부 33 B에 대해 접동해 제1 경사부 33 B를 넘으므로, 본체부 31은 래칫(ratchet) 기어 33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고정 방향에 공전한다. 이 때문에 글자부재 32 나진도 멈추어,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베이스 11으로의 새로운 갑압도 정지한다. 즉, 베이스 11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압압력을 제한할 수 있다.
조부 31 A에 의한 제1 경사부 33 B가 넘어가 생길 때의 토크의 값은 제1 경사부 33 B의 경사 정도나 형상, 치수, 또, 조부 31A 형상이나 부세력에 따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 31으로 래칫(ratchet) 기어 33이라는 것은 절단칼날 23을 지지하는 턴테이블(turn table) 12를 베이스 11에 대해 고정하는 힘을 제한하는 제한 수단을 구성한다.
한편, 본체부 31이 나사부재 32의 반고정 방향에 회전할 때, 도8에 나타난 것처럼 토크에 따라 조부 31 A는 제2 경사부 33 C에 당접해 래칫(ratchet) 기어 33으로 서로 맞물리므로, 래칫(ratchet) 기어 33은 본체부 31과 함께 반고정 방향에 회전한다.
래칫(ratchet) 기어 33의 반고정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나사부재 32는 베이스 11보다 후퇴해,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베이스 11에 대한 갑압은 해제된다. 제2 경사부 33 C는 본체부31의 조부 31 A를 넘을 수 없는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경사부 33 C는 조부 31 A의 측면에 해당되므로, 본체부 3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하는 조부 31 A에 대해서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하는 힘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반고정 방향에 본체부 31을 회전시킬 때에는 조부 31 A는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하지 않기 때문에, 제2 경사부 33 C가 조부 31 A를 넘을 것은 없다. 즉, 제한 수단은 본체부 31을 반고정 방향에 회전시키는(고정력을 감소시킨다) 때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신속히 베이스 11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 12 고정력 해제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 31에 의해서 행해지는 래칫(ratchet) 기어33의 회전은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베이스 11에 대한 오시츠케에 대해, 원웨이 클러치(clutch)로서의 기능을 완수한다.
다음으로, 비스듬히 잘라(베벨 절단(bevel cutting))에 대비해 홀더 21의 절단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angular adjustment) 수단으로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경사절를 할때의 「절단 각도」, 이른바 「기울어 움직임 각도」는 베이스 11의 재치면 11 a와 절단칼날 23의 측면 23 A에 의해 정해지는 각도이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홀더 21은 턴테이블(turn table)12에 절단 지지부 12 C를 통해 기울어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절단 지지부 12 C는 홀더 21의 기울어 움직임 중심을 포함한 기울어 움직임축부 121과 턴테이블(turn table) 12에 설치되어 홀더 21을 기울어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 지지부 122를 가지고 있다. 기울어 움직임축부 121으로 틸팅 지지부 122라는 것은 기울어 움직임 수단의 일례이다.
기울어 움직임축부 121은 기울어 움직임 중심이 재치면 11 a와 동일 면상에 위치해, 턴테이블(turn table) 12위의 구부 12 D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틸팅 지지부 122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해 기울어 움직임축부 121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긴 구멍122 a가 형성되고 있다. 긴 구멍 122 a내에는 홀더 21에 나합계지되는 클램프부(clamp) 130이 삽입된다. 홀더 21은 클램프부(clamp) 130을 느슨하게하는 것에 의해서 기울어 움직임축부 12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임 가능하다. 클램프부(clamp) 130은 홀더 21의 기울어 움직임에 수반해 긴 구멍 122 a내를 이동한다. 홀더 21을 베이스 11에 대해 소망 각도에 기울어 움직임 시킨 후, 클램프부(clamp) 130을 홀더 21에 대해 단단히 조이면, 홀더 21은 틸팅 지지부 122에 고정된다.
도 10으로부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부(clamp)130은 대략 원통형의 본체부 131과 본체부 131으로부터 돌출해 홀더 21으로 나합 계지되는군 글자 부재 132와 본체부 131의 회전을 나사부재 132에 전달하기 위해서 래칫(ratchet) 기어 133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 131은 작업자에 의한 조작을 용이하게하기 위해서, 외주면에 레버 13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본체부 131의 내주면에는 중심으로 향하여 용수철 등의 도시 시키지 않는 부세부재에 따라 돌출하는 6개의 조부 131 A가 원주 방향(circumferencial direction)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있다.
나사부재 132는 긴 방향(longer direction)에 늘어나는 봉상 부재이며, 조임부재의 일례이다. 나사부재 132는 선단부 132 A부근에 말이야 글자산 132 B가 형성되고 있다. 선단부 132 A는 본체부 131의 개구 131 a를 삽통한 후, 도 10에 나타나도록 washer 135를 통해 틸팅 지지부 122의 긴 구멍 122 a를 통과해, 홀더 21에 나합 계지된다. 나사부재 132가 베이스 11에 대해서 나진 해 나가면, washer 135를 통해 홀더 21에 압압력이 더해져, 턴테이블(turn table) 12로 본체부 131(washer 135)으로 홀더 21을 사이에 두는 힘이 증대해 홀더 21이 턴테이블(turn table) 12에 대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나사부재 132의 턴테이블(turn table) 12로의 나합에 의해서, 홀더 21은 원하는 기울어 움직임 각도로 틸팅 지지부 122에 고정된다.
래칫(ratchet) 기어 133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대략 통상부재이며,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조부 133 A(도 13)에 의해서 나사부재 132의 기단부 132 C에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이 설치 구조는 나사부재 32로 기단부 32 C와의 설치 구조와 같다.
래칫(ratchet) 기어 133으로 나사부재 132라는 것은 압입이나 접착에 따라 일체화되어도 좋고, 또는 일체 성형(integral molding) 되고 있어도 좋다. 래칫(ratchet) 기어 133은 이빨의 각각이 제1 경사부 133 B와 경사가 제1 경사부의 경사와는 다른 제2 경사부 133 C로 이루어지는 6개의 이빨이 원주 방향(circumferencial direction)으로 형성되고 있다. 즉, 6개의 제1 경사부 133 B와 6개의 제2 경사부 133 C가 원주 방향(circumferencial direction)에 교대로 배치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형태에서는 래칫(ratchet) 기어 133에 설치되는 이빨의 개수는 6개이지만, 적당의 개수의 이빨을 설치할 수 있다.
래칫(ratchet) 기어 133은 본체부 131의 내주면에 수용되어 본체부 131의 조부 131 A가, 제1 경사부 133 B 및 제2 경사부 133 C의 한편에 당접한다. 덧붙여 조부 131 A는 제1 경사부 133 B 및 제2 경사부 133 C의 양쪽과 동시에 당접하지 않게 설치되고 있다. 또, 래칫(ratchet) 기어 133은 본체부 131에 설치된 구멍 131 b에 핀 136을 삽통하는 것에 의해서, 본체부 131내에서의 위치가 규제된다(도 12).
홀더 21의 틸팅 지지부 122로의 고정이 진행하는 것에 따라, 나사부재 132를 나진 시키는 힘의 모토이가 되는 본체부 131으로부터 래칫(ratchet) 기어 133에 작용하는 토크도 증가한다. 토크가 소정값을 넘으면, 조부 131 A는 제1 경사부 133 B에 대해 접동해 제1 경사부 133 B를 넘으므로, 본체부 131은 래칫(ratchet) 기어 133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고정 방향에 공전한다. 이 때문에군요 글자 부재 132의 홀더 21으로의 나진도 정지한다.
조부 131 A에 의한 제1 경사부 133 B가 넘어가 생길 때의 토크의 값은 제1 경사부 133 B의 경사 정도나 형상, 치수, 또, 조부 131 A 형상이나 부세력에 따라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 131으로 래칫(ratchet) 기어 133이라는 것은 절단칼날 23을 지지하는 홀더 21을 턴테이블(turn table) 12에 대해 고정하는 힘을 제한하는 제한 수단을 구성한다.
한편, 본체부 131이 나사부재 132의 반고정 방향에 회전할 때,도 15에 나타난 것처럼 토크에 따라 조부 131 A는 제2 경사부133 C에 당접해 래칫(ratchet) 기어 133으로 서로 맞물리므로, 래칫(ratchet) 기어 133은 본체부 131과 함께 반고정 방향에 회전한다.
래칫(ratchet) 기어 133의 반고정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나사부재 132는 홀더 21보다 후퇴하므로, 홀더 21의 틸팅 지지부 122로의 고정은 해제된다. 제2 경사부 133 C는 본체부 131의 조부 131 A를 통해 작용하는 토크의 값에 관계없이제2 경사부 133 C를 넘어 불능인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 131에 의해서 행해지는 래칫(ratchet) 기어133의 회전은 홀더 21의 틸팅 지지부 122에 대한 고정에 대해, 원웨이 클러치(clutch)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 본체부 131과 틸팅 지지부 122와의 사이에는 washer 135가 삽입되고 있으므로, 클램프부(clamp) 130으로부터 틸팅 지지부 122에 작용하는 힘이 분산해 작용하므로, 틸팅 지지부 122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car steering wheel)부 30을 반고정 방향에 회전시켜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베이스 11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이 때, 본체부 31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부 31 A가 제2경사부 33 C에 당접해 래칫(ratchet) 기어 33으로 서로 맞물려 반고정 방향에 회전하고, 나사부재 32가 베이스 11보다 후퇴한다. 본체부 31으로 래칫(ratchet) 기어 33과의 맞물림은 본체부 31으로부터 래칫(ratchet) 기어 33에 작용하는 토크의 값의 대소에 따라 빗나가는 것은 없다. 이 동작에 따라, 턴테이블(turn table) 12는 베이스 11에 대해서 회동 가능인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핸들(car steering wheel)부 30의 본체부 31을 고정 방향에 회전하면, 본체부 31으로 래칫(ratchet) 기어 33이 함께 회전하므로, 나사부재 32가 나진 해 그 선단부 32 A가 베이스 11을 갑압해, 턴테이블(turn table) 12를 베이스 11에 대해 고정한다. 나사부재 32가 단단히 조여의 진행에 수반해 베이스 11에 대하는군 글자 부재 32의 압압력이 증가하면, 본체부 31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도 증가한다. 토크가 소정값을 넘으면 본체부 31은 래칫(ratchet) 기어 33에 대해 공전하고, 나사부재 32 나진이 멈춘다. 본체부 31의 공전이 개시하면, 작업자는 베이스 11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고정이 적절히 행해진 것을 알 수 있어 설정한 절단 각도로 피가공부재의 마이타 절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베이스 11에 대한 턴테이블(turn table) 12의 오시츠케 하중이 지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나사부재 32가 당접하는 부근의 베이스 11 두께나 리브(rib)를 줄일 수 있어 베이스 11 파손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베이스 11의 경량화도 가능해진다.
클램프부(clamp) 130을 반고정 방향에 회전시켜 홀더 21의 틸팅 지지부 122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이 때, 본체부 131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부 131 A가 제2 경사부 133 C에 당접해 래칫(ratchet) 기어 133으로 서로 맞물려 반고정 방향에 회전하고, 나사부재 132가 홀더 21보다 후퇴한다. 본체부 131으로 래칫(ratchet) 기어 133과의 맞물림은 본체부 131으로부터 래칫(ratchet) 기어 133에 작용하는 토크의 값의 대소에 따라 빗나가는 것은 없다. 이 동작에 따라, 홀더 21은 틸팅지지부 122에 대해서 기울어 움직임 가능한 상태가 된다.

Claims (1)

  1. 재치면을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요동 가능에 지지되어 상기 재치면에 대해서 근접 및 이간 가능한 절단부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절단부의 절단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angular adjustment) 수단을 구비하는 다기능 커팅머신 이고, 상기 각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절단부가 조정된 절단 각도로 절단 가능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절단부를 고정하는 힘을 제한 가능한 제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팅머신..
KR1020180010275A 2018-01-26 2018-01-26 다기능 커팅머신 KR20190091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75A KR20190091168A (ko) 2018-01-26 2018-01-26 다기능 커팅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75A KR20190091168A (ko) 2018-01-26 2018-01-26 다기능 커팅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68A true KR20190091168A (ko) 2019-08-05

Family

ID=6761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75A KR20190091168A (ko) 2018-01-26 2018-01-26 다기능 커팅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1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2345A (zh) * 2019-10-15 2020-01-14 施卫杰 一种pe管道切割机
KR102143090B1 (ko) 2019-12-17 2020-08-10 김진만 다목적 커팅기 테이블
KR20230130180A (ko) 2022-03-02 2023-09-12 김성욱 커팅머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2345A (zh) * 2019-10-15 2020-01-14 施卫杰 一种pe管道切割机
KR102143090B1 (ko) 2019-12-17 2020-08-10 김진만 다목적 커팅기 테이블
KR20230130180A (ko) 2022-03-02 2023-09-12 김성욱 커팅머신
KR20230171411A (ko) 2022-03-02 2023-12-20 김성욱 커팅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1168A (ko) 다기능 커팅머신
EP1708857B1 (en) Bevel and depth of cut detent system
US5622035A (en) Quick blade attachment structure for mowers
US9242361B2 (en) Universal accessories for oscillating power tools
US8651198B2 (en) Spindle lock devices for screwdrivers
US8246025B2 (en) Vise assembly and bench circular sawing machine
US5433008A (en) Circular saw with variable adjustment stops
US20090205472A1 (en) Mountings for riving knives of table saws
JP5059230B2 (ja) タング無し螺旋状コイルインサート挿入工具
US4762035A (en) Depth adjusting device for screwdrivers
US8366366B2 (en) Fixing device for rotary blade
EP2404693A1 (en) Portable cutting machine
US8359959B2 (en) Cutting devices
US20130149943A1 (en) Device for preventing removal of a fixing member of a whetstone cover in a disc grinder
US7121775B2 (en) Portable electric tool
CN102006960B (zh) 速换刀轴、孔刀及方法
JPH0445818Y2 (ko)
JPS62236682A (ja) 電動工具装置
US7093522B2 (en) Torque indicating wrench
JP2017213780A (ja) 卓上切断機
US20030088988A1 (en) Tool guard attachment for a rotary hand tool
US4952159A (en) Chamfering machine
JP2007021686A (ja) 管の切断・面取機
JP6610979B2 (ja) 丸鋸
JP2001047401A (ja) スライドロッ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