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131A -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 Google Patents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131A
KR20190091131A KR1020180010199A KR20180010199A KR20190091131A KR 20190091131 A KR20190091131 A KR 20190091131A KR 1020180010199 A KR1020180010199 A KR 1020180010199A KR 20180010199 A KR20180010199 A KR 20180010199A KR 20190091131 A KR20190091131 A KR 20190091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nit
moving
guide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9718B1 (en
Inventor
허종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718B1/en
Priority to PCT/KR2018/001284 priority patent/WO2019031669A1/en
Publication of KR2019009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7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Abstract

Disclosed is a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er system comprises: a guid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ccordance with a virtual load application line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a first mov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and reciprocating in parallel to the load application line; a second moving unit spaced from the first mov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and reciprocating in parallel to the load application line; a deformation unit made of shape memory alloy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moving units and extended or resto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ad application line; an operation unit pulling the second moving unit to allow the second moving unit to be distant from the first moving unit and pushing the first moving unit to allow the first moving unit to be distant from the second moving unit; a first elastic body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compressed and deformed when the operation unit pushes the first moving unit; and a second elastic body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compressed and deformed when the operation unit pulls the second moving unit, wherein the deformation unit is extended wh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units are separated. Accordingly, when each of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is applied to both ends of a damper device, the deformation unit is extended, such that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unit is easily predicted, thereby facilitating design of a damper device for shock absorption and vibration and deformation control and providing a damper device of a stable structure.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and self-heal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are included, thereby providing a damper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shock absorption and restoration effects.

Description

자동복원 및 자기치유가 가능한 스마트 소재 활용 댐퍼장치{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Damper system using smart materials capable of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본 발명은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 및 시설물에 설치되어 진동 저감 및 충격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원형으로 자동복원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mper device is installed in the structure and facilities to prevent damage to the structure due to vibration reduction and impact, while being capable of automatic restoration in a circular shape.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내진 설계(耐震設計)를 반드시 실시하고 있다. 특히 지진 발생시 구조물의 붕괴로 인한 피해는 막대하므로 지진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기둥 및 보와 같은 골조에 제진장치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강도 및 내진성을 보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In general, building structures must be seismically designed to protect from earthquakes. In particular, since the damage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structure is enormous when an earthquake occurs, it is essential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the seismic resistance of the structure by installing a vibration isolator in the framework such as columns and beams in order to resist the earthquake load.

따라서 건축구조물에는 내진보강을 위하여 제진장치를 포함하는 제진 시스템을 설치하게 되며, 제진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진장치는 주로 댐퍼(damper)와 가새(brace)로 이루어진다. 댐퍼는 마찰면의 상대이동에 의해 가새에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마찰 댐퍼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building structure, a vibration suppression system including a vibration suppression apparatus is installed for the seismic reinforcement, and the vibration suppression apparatus provided in the vibration suppression system mainly includes a damper and a brace. The damper is mainly used a friction damper that absorb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race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riction surface.

마찰 댐퍼는 하중-변위 이력 곡선의 면적에 비례하는 제진 성능을 발휘하며, 보통 제진장치에서 가장 변위가 크게 발생되는 영역에 설치된다. 즉, 마찰 댐퍼는 마찰면의 마찰력 및 상대이동거리가 클수록 에너지의 흡수능력이 커지므로, 마찰 댐퍼의 제작시에 마찰면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상대이동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Friction dampers exhibit a damping performance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load-displacement hysteresis curve, and are usually installed in the region where displacement is greatest in the damping device. That is, since the friction damper has a greater frictional force and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friction surface, the greater the energy absorption capability, so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frictional force and relative movement distance generated on the friction surface when the friction damper is manufactured.

한편, 종래의 마찰 댐퍼는 마찰면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상대이동거리가 고정된 값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건축구조물에 결합되는 가새는 그 결합되는 부위 및 결합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변위량도 서로 다르게 요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friction damper is manufactured to have a fixed value of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generated on the friction surface. However, the brace bonded to the building structure may be applied with a compressive force or a tensile force having a different size depending on the site and the coupling form to which the brace is coupled, a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may be required differently.

따라서 종래의 마찰 댐퍼는, 외력에 의해 마찰면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상대이동거리가 마찰 댐퍼마다 고정적으로 설정됨에 따라 실제 마찰 댐퍼에 요구되는 에너지 흡수량 또는 변위량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이를 조정할 수 없어서 그대로 설치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friction damper can be adjusted even when the friction force and relative movement distance generated on the friction surface by the external force are fixed for each friction damper, even when the difference is compared with the amount of energy absorption or displacement required for the actual friction damper. There was a problem that is installed as it is.

또한, 마찰 댐퍼는 가새에 인가되는 외력을 일단 흡수하면, 마찰면에 상대이동이 발생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마찰 댐퍼를 교환하거나 보수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riction damper once absorb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race, it maintains a state in which relative movement is generated on the friction surfac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uge cost is spent in the process of replacing or repairing the friction damper.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61758호(등록일: 2016.09.26)(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61758 (Registration Date: 2016.09.26)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24535호(등록일: 2017.04.03)(000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24535 (Registration Date: 2017.04.03)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후 원형으로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지고, 충격흡수, 진동 및 변위 제어가 우수하고, 마찰댐퍼로서 요구되는 에너지 흡수량의 제어가 용이하며,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댐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utomatically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after deformation occurs by the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excellent shock absorption, vibration and displacement control, easy to control the amount of energy absorption required as a friction damper, stable It is to provide a damper device having a structure.

상기 목적은,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하중작용라인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하게 왕복이동 가능한 제1 이동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과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유닛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하게 왕복이동 가능한 제2 이동유닛;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제2 이동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또한 회복되도록 이루어지는 변형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유닛이 멀어지도록 상기 제2 이동유닛을 당기고, 상기 제2 이동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유닛이 멀어지도록 상기 제1 이동유닛을 밀수 있게 이루어지는 작동유닛; 폴리우레탄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제1 이동유닛을 밀 때 압축변형되는 제1 탄성체; 및 폴리우레탄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제2 이동유닛을 당길 때 압축변형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유닛과 제2 이동유닛이 서로 멀어질 때, 상기 변형유닛은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 guid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n imaginary load action l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acts; A first mov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and reciprocating in parallel with the load action line; A second mov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ving unit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and reciprocating in parallel with the load action line; A deformation unit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to connect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second moving unit and to be tensioned and recover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An operation unit configured to pull the second mobile unit to move the second mobile unit away from the first mobile unit, and to push the first mobile unit to move the first mobile unit away from the second mobile unit; A first elastic body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compressively deformed when the operating unit pushes the first moving unit; And a second elastic body which is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which is compressively deformed when the operating unit pulls the second moving unit, and when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second moving unit move away from each other, It is achieved by a damp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에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측면이 상기 제1 이동유닛을 향하고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1 가이드벽과, 일측면이 상기 제2 이동유닛을 향하고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벽과 평행한 제1 이동벽과, 상기 제1 이동벽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2 이동유닛 쪽을 향하는 제1 내부면이 구비된 제1 내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제2 가이드벽과 평행한 제2 이동벽과, 상기 제2 이동벽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 내부면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제2 내부면이 구비된 제2 내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내부벽을 관통하는 이동로드와, 상기 제1 내부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로드 단부를 이루는 제1 가압플랜지와, 상기 제2 내부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로드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제2 가압플랜지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이동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고정핀; 및 일측이 상기 제2 이동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guide wall having a first guide hole having one side facing the first moving unit and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and one side moving the second guide wall. And a second guide wall facing the unit and having a second guide hole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wherein the first moving unit comprises: a first moving wall parallel to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first moving wall; And a first inner wall having a first inner surface that is bent at and directed toward the second moving unit, wherein the second moving unit comprises: a second moving wall parallel to the second guide wall and the second moving wall; A second inner wall that is bent at a wall and has a second inner surface facing parallel to the first inner surface, wherein the op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Moving rod through inner wall And a first pressing flange forming the end of the moving rod to press the first inner surface, and a second pressing flange having a diameter extending from the moving rod to press the second inner surface. A first fixing pin fixed to the moving wall and fitted to the first guide hol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irst guide hole; And a second fixing pin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and the other side slide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댐퍼장치에서,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 내부면의 반대쪽 면을 이루는 제1 외부면이 구비된 제1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제2 내부면의 반대쪽 면을 이루는 제2 외부면이 구비된 제2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벽과 직교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외부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1 탄성체가 개재되는 제1 고정벽; 상기 제2 가이드벽과 직교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탄성체가 개재되는 제2 고정벽; 및 상기 제1 고정벽에서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제2 외부벽 및 제2 고정벽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outer wall provided with a first outer surface forming an opposite surface to the first inner surface, and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second outer wall having a second outer surface forming an opposite surface to a second inner surface, coupl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wall, and interposing the first elastic body with the first outer wall; A first fixed wall; A second fixing wall coupled to orthogonal to the second guide wall and having the second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wall; And a fixed ro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in the first fixed wall, wherein the movable rod may pass through the second outer wall and the second fixed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에서, 상기 제1 이동벽 및 제2 이동벽 각각은, 2개, 3개 또는 4개로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 이동벽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고, 상기 변형유닛은 상기 제1 이동벽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moving wall and the second moving wall is provided with two, three or four orthogonal or parallel to each other, the guide unit is the number of the first moving wall and It is provided with the same or a large number of orthogonal or parallel to each other, the deformation unit is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first moving wall may be made orthogonal or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에서,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이동벽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핀의 직경이 확장된 헤드와 상기 제1 이동벽 사이에 상기 제1 가이드벽 일부가 개재되며, 상기 제2 고정핀은 상기 제2 이동벽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핀의 직경이 확장된 헤드와 상기 제2 이동벽 사이에 상기 제2 가이드벽의 일부가 개재되며, 상기 제1 고정핀과 상기 제1 가이드벽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2 고정핀과 상기 제2 가이드벽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in is screwed to the first moving wall,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wall between the head and the first moving wall, the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in is expanded Is interposed, the second fixing pin is screwed to the second moving wall, a portion of the second guide wall is interposed between the head and the second moving wall,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in is expanded, A friction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fixing pin and the first guide wall, and a friction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fixing pin and the second guide wall.

또한 상기 변형유닛은, 상기 제1 이동벽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제1 가이드벽과 상기 제1 이동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변형판; 상기 제2 이동벽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제2 가이드벽과 상기 제2 이동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변형판; 및 상기 제1 변형판과 제2 변형판을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변형판 및 제2 변형판의 폭보다 좁은 제3 변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form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eformation plate fixed to the first moving wall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first moving wall; A second deformation plate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guide wall and the second moving wall; And a third deformation plate connecting the first deformation plate and the second deformation plate,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narrower than a width of the first deformation plate and the second deformation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장치의 양단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및 압축력이 작용할 때 변형유닛이 인장되도록 이루어져, 변형유닛의 변형 예측이 용이하여 충격흡수, 진동 및 변위 제어를 위한 댐퍼장치의 설계가 용이하고, 안정적인 구조의 댐퍼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및 자기치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여 완충효과, 충격흡수 및 복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댐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damper device and th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deformation unit is tensioned, the deformation prediction of the deformation unit is easy to design the damper device for shock absorption, vibration and displacement contro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amper device having a stable structure, and to provide a damper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a buffering effect, shock absorbing and restoring effect, including a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and a self-heal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댐퍼장치에서 가이드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댐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댐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mper device is installed in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unit separated from the damper device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amper device shown in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damp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amper device shown in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ress-strain diagram of a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연구는 2017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2017R1A2B2010120)의 결과입니다.(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2017R1A2B2010120))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asic Research Project (2017R1A2B2010120), funded by the Government of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in 2017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 Future Planning. (2017R1A2B201012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1)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댐퍼장치(1)에서 가이드유닛(10)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댐퍼장치(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댐퍼장치(1)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ruct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unit 10 separated from the damper device 1 shown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amper device 1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amper device 1 shown in FIG. 2, and FIG. 8 show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showing a stress-strain diagram of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원 및 자기치유가 가능한 스마트 소재 활용 댐퍼장치(이하, '댐퍼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02)와 기둥(101)이 결합된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되어 충격흡수, 진동 및 변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특히, 수평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후 원형으로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Smart material utilization damper device (hereinafter, 'damper device 1') capable of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frame 102 and the beam 101 is coupled It is installed on the structure so that the shock absorption, vibration and displacement control can be made, it is made to automatically restore in a circular shape after deformation occurs by the load (especially horizontal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는 도 1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조물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새(103)에 결합됨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으로 외력(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때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된 후 자동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 and (b), can be used coupled to the structure in a variety of forms, the external force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upling to the brace 103 Tensile force or compressive force) is deformed when applied, and is automatically restored after external forces are removed.

댐퍼장치(1)는 가새(103)에 결합됨에 있어서, 댐퍼장치(1)의 길이방향과 가새(103)의 길이방향은 동일선상에서 일직선을 이루며, 지진 등에 의한 외력의 발생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선분을 따라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댐퍼장치(1)에 가해지게 된다.Since the damper device 1 is coupled to the brace 103,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amper device 1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e 103 form a straight line on the same line, and along the line segment formed in this way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y an earthquake or the lik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act and thes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are applied to the damper device 1.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댐퍼장치(1)에 가해지는 외력 중 인장력 또는 압축력은 댐퍼장치(1)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작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며, 이러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정하여 설명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le force or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amper device 1 is described as acting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damper device 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le force or the compressive force act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xplain.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는 가이드유닛(10), 제1 이동유닛(20), 제2 이동유닛(30), 변형유닛(40), 작동유닛(50), 제1 탄성체(90) 및 제2 탄성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댐퍼장치(1)는 제1 고정핀(60) 및 제2 고정핀(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고정벽(110), 제2 고정벽(120) 및 고정로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unit 10, the first moving unit 20, the second moving unit 30, the deformation unit 40, the operation unit 50, the first elastic body 90 And a second elastic body 100. In addition, the damper device 1 includes a first fixing pin 60 and a second fixing pin 70, and includes a first fixing wall 110, a second fixing wall 120, and a fixing rod 130. It is made to include.

댐퍼장치(1)는 지진하중에 저항하면서 충격흡수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므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댐퍼장치(1)를 이루는 가이드유닛(10), 제1 이동유닛(20), 제2 이동유닛(30), 작동유닛(50), 제1 고정핀(60), 제2 고정핀(70), 제1 고정벽(110), 제2 고정벽(120) 및 고정로드(130)는 외력의 작용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금속성의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이들은 변형유닛(40)보다 고강도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변형유닛(40)보다 변형률(strain)이 낮게 이루어진다.Since the damper device 1 is to be shock absorbing while resisting the earthquake load, the damper device 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and includes a guide unit 10, a first moving unit 20, and a second device constituting the damper device 1. The moving unit 30, the operation unit 50, the first fixing pin 60, the second fixing pin 70, the first fixing wall 110, the second fixing wall 120 and the fixing rod 130 are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etallic high-strength material so that deformation is minimized when the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at least they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of higher strength than the deformation unit 40, the strain is lower than the deformation unit 40 .

즉,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에 좌우방향의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때, 변형유닛(40)에서는 변형(특히, 좌우방향의 길이변형)이 이루어지며, 변형유닛(40)을 제외한 가이드유닛(10), 제1 이동유닛(20), 제2 이동유닛(30), 작동유닛(50), 제1 고정핀(60) 및 제2 고정핀(70), 제1 고정벽(110), 제2 고정벽(120) 및 고정로드(130)는 변형(특히, 좌우방향의 길이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변형유닛(40)과 비교할 때 그 정도가 무시될 수 있을 정도의 변형만이 이루어진다.That is, when the tension force or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ts on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unit 40 is deformed (in particular, the longitudinal de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guide except the deformation unit 40 Unit 10, the first moving unit 20, the second moving unit 30, the operation unit 50,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second fixing pin 70, the first fixing wall 110 The second fixing wall 120 and the fixing rod 130 are not deformed (especially, longitudinal de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only deformed to the extent that the degree is negligible when compared with the deforming unit 40. .

가이드유닛(10)은,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하중작용라인(L)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하중작용라인(L)은 좌우방향으로 직선인 선분을 이룬다.Guide unit 10 is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irtual load action line (L)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acts. The load action line L forms a straight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가이드유닛(10)은 하중작용라인(L)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유닛(10)은 제1 이동유닛(20) 및 제2 이동유닛(30)을 지지하고, 특히 제1 이동유닛(20) 및 제2 이동유닛(30)이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가이드유닛(10)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1 이동유닛(20) 및 제2 이동유닛(3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충분히 길게 이루어진다.(가이드유닛(10)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1 이동유닛(20)(또는 제2 이동유닛(30))의 좌우방향 길이의 3배~10배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unit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ad action line (L), the guide unit 10 supports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the second moving unit 30, in particular the first moving unit ( 20 and the second moving unit 30 is made to support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guide unit 10 is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the second moving unit 30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guide unit 10 is about 3 to 10 times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mobile unit 20 (or the second mobile unit 30). desirable.)

가이드유닛(10)은 제1 가이드벽(11) 및 제2 가이드벽(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가이드유닛(10)은 연결벽(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uide unit 10 includes a first guide wall 11 and a second guide wall 12, and the guide unit 10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wall 13.

제1 가이드벽(11)은 일측면이 제1 이동유닛(20)을 향하도록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가이드벽(11)에는 하중작용라인(L)과 평행한 제1 가이드홀(11a)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홀(11a)은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가이드벽(11)에서 제1 이동유닛(20)을 향하는 면이 평면을 이룬다.The first guide wall 1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the first guide wall 11 has a first guide hole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L. 11a) is formed. One or more first guide holes 11a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surface from the first guide wall 11 toward the first moving unit 20 forms a plane.

제2 가이드벽(12)은 일측면이 제2 이동유닛(30)을 향하도록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가이드벽(12)에는 하중작용라인(L)과 평행한 제2 가이드홀(12a)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홀(12a)은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2 가이드벽(12)에서 제2 이동유닛(30)을 향하는 면이 평면을 이룬다.The second guide wall 12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uch that one side thereof faces the second moving unit 30,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has a second guide hole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L. 12a) is formed. One or more second guide holes 12a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the surface from the second guide wall 12 toward the second moving unit 30 forms a plane.

제2 가이드벽(12)은 제1 가이드벽(1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guide wall 12 is coplanar with the first guide wall 11.

연결벽(13)은 제1 가이드벽(11)과 제2 가이드벽(12)을 연결하는 부분이고, 제1 가이드벽(11), 연결벽(13) 및 제2 가이드벽(12)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유닛(10)에서 연결벽(13)은 제1 가이드벽(11) 및 제2 가이드벽(12)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유닛(10)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루게 된다.The connecting wall 13 is a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guide wall 11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the first guide wall 11, the connecting wall 13,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are mutually connected. It is preferable to be made in one piece. In the guide unit 10, the connecting wall 13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first guide wall 11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thus the guide unit 10 may be generally flat. It forms a plate.

이와 달리, 연결벽(13)은 제1 가이드유닛(10) 및 제2 가이드유닛(10)과 동일 평면을 이루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연결벽(13)은, 제1 가이드벽(11) 및 제2 가이드벽(12)과 비교할 때 변형유닛(40)으로부터 더욱 이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necting wall 13 may not be coplanar with the first guide unit 10 and the second guide unit 10. In this case, the connecting wall 13 may include the first guide wall 11 and Compared to the second guide wall 12, it may be formed in a form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deformation unit 40.

제1 이동유닛(20)은 가이드유닛(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특히 하중작용라인(L)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가이드유닛(10) 일측에 결합된다.The first moving unit 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10, in particular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10 so as to reciproc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L).

이러한 제1 이동유닛(20)은 제1 이동벽(21) 및 제1 내부벽(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유닛(20)은 제1 외부벽(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moving unit 20 may include a first moving wall 21 and a first inner wall 22. In addition, the first moving unit 20 includes a first outer wall 23.

제1 이동벽(21)은 제1 가이드벽(11)과 평행한 형태를 이루고,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룬다. 특히 제1 이동벽(21)에서 제1 가이드벽(11)을 향하는 면이 평면을 이룬다.The first moving wall 21 forms a shape parallel to the first guide wall 11 and forms a flat plate as a whole. In particular, the surface from the first moving wall 21 toward the first guide wall 11 forms a plane.

제1 내부벽(22)은 제1 이동벽(21)에서 절곡되어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내부벽(22)은 제1 이동벽(21)과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부벽(22)에는 제2 이동유닛(30)을 향하는 제1 내부면(22a)이 구비되고, 제1 내부면(22a)은 하중작용라인(L)과 직교한다.The first inner wall 22 is bent from the first moving wall 21 to form a flat plate, and the first inner wall 22 is orthogonal to the first moving wall 21. The first inner wall 22 is provided with a first inner surface 22a facing the second moving unit 30, and the first inner surface 22a is perpendicular to the load action line L. As shown in FIG.

제1 내부벽(22)은 제1 이동벽(21)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별도로 이루어져 제1 이동벽(21)에 고정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inner wall 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moving wall 21, and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wall 21.

제1 외부벽(23)은 제1 이동벽(21)에서 절곡되어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외부벽(23)은 제1 이동벽(21)과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외부벽(23)에는 제1 내부면(22a)의 반대쪽 면을 이루는 제1 외부면(23a)이 구비되고, 제1 외부면(23a)은 하중작용라인(L)과 직교한다. 제1 내부면(22a)이 댐퍼장치(1)의 중심쪽을 향하는 면이라면 제1 외부면(23a)은 댐퍼장치(1)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에 해당된다.The first outer wall 23 is bent from the first moving wall 21 to form a flat plate, and the first outer wall 23 is preferably orthogonal to the first moving wall 21. The first outer wall 23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surface 23a which form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inner surface 22a, and the first outer surface 23a is perpendicular to the load action line L. If the first inner surface 22a is a surface facing the center of the damper device 1, the first outer surface 23a corresponds to a surface facing outward of the damper device 1.

제1 외부벽(23)은 제1 이동벽(21)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이루어져 제1 이동벽(21)에 고정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outer wall 2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moving wall 21,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wall 21.

제1 고정벽(110)은 제1 가이드벽(11)에서 직교하도록 결합되고, 제1 외부벽(23)과의 사이에 제1 탄성체(90)가 개재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고정벽(110)은 제1 가이드벽(11)의 단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벽(110)은 제1 가이드벽(11)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이루어져 제1 가이드벽(1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wall 110 is coupl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wall 11, and the first elastic body 9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wall 110 and the first outer wall 23. The first fixing wall 11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guide wall 11. The first fixing wall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guide wall 11,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upled to the first guide wall 11.

고정로드(130)는 좌우방향을 따라 긴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로드(130)는 하중작용라인(L)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길게 이루어져 제1 고정벽(110)에 고정되며 제1 고정벽(110)의 중앙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동로드(51)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ed rod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rod (ro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cross section may be made of a circular, polygonal or the like. The fixed rod 130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L) is fixed to the first fixed wall 110 and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fixed wall 110, the moving rod 51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ame line as).

제2 이동유닛(30)은 제1 이동유닛(20)과 이격된 상태에서 가이드유닛(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특히 하중작용라인(L)과 평행하게 왕복이동 가능하게 가이드유닛(10) 일측에 결합된다. 제1 이동유닛(20)이 가이드유닛(10)의 좌측에 결합되는 것이라면, 제2 이동유닛(30)은 가이드유닛(10)의 우측에 결합되는 것이다.The second moving unit 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10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in particular, the guide unit 10 is capable of reciprocating in parallel with the load action line L. Is coupled to one side. If the first mobile unit 20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guide unit 10, the second mobile unit 30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guide unit 10.

이러한 제2 이동유닛(30)은 제2 이동벽(31) 및 제2 내부벽(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유닛(30)은 제2 외부벽(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moving unit 30 may include a second moving wall 31 and a second inner wall 32. 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unit 30 includes a second outer wall 33.

제2 이동벽(31)은 제2 가이드벽(12)과 평행한 형태를 이루고,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룬다. 특히 제2 이동벽(31)에서 제2 가이드벽(12)을 향하는 면이 평면을 이룬다.The second moving wall 31 forms a shape parallel to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forms an overall flat plate shape. In particular, the surface from the second moving wall 31 toward the second guide wall 12 forms a plane.

제2 내부벽(32)은 제2 이동벽(31)에서 절곡되어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내부벽(32)은 제2 이동벽(31)과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내부벽(32)에는 제1 이동유닛(20)을 향하는 제2 내부면(32a)이 구비되고, 제2 내부면(32a)은 하중작용라인(L)과 직교한다.The second inner wall 32 is bent from the second moving wall 31 to form a flat plate, and the second inner wall 32 is preferably orthogonal to the second moving wall 31. The second inner wall 32 is provided with a second inner surface 32a facing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is perpendicular to the load action line L.

제2 내부벽(32)은 제2 이동벽(31)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별도로 이루어져 제2 이동벽(31)에 고정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inner wall 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moving wall 31, and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wall 31.

제2 외부벽(33)은 제2 이동벽(31)에서 절곡되어 편평한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외부벽(33)은 제2 이동벽(31)과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외부벽(33)에는 제2 내부면(32a)의 반대쪽 면을 이루는 제2 외부면(33a)이 구비되고, 제2 외부면(33a)은 하중작용라인(L)과 직교한다. 제2 내부면(32a)이 댐퍼장치(1)의 중심쪽을 향하는 면이라면 제2 외부면(33a)은 댐퍼장치(1)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에 해당된다.The second outer wall 33 is bent from the second movable wall 31 to form a flat plate, and the second outer wall 33 is preferably orthogonal to the second movable wall 31. The second outer wall 33 is provided with a second outer surface 33a which form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33a is orthogonal to the load action line L. As shown in FIG. If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is a surface facing toward the center of the damper device 1, the second outer surface 33a corresponds to a surface facing outward of the damper device 1.

제2 외부벽(33)은 제2 이동벽(31)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별도로 이루어져 제2 이동벽(31)에 고정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outer wall 3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moving wall 31, and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wall 31.

제2 고정벽(120)은 제2 가이드벽(12)에서 직교하도록 결합되고, 제2 외부벽(33)과의 사이에 제2 탄성체(100)가 개재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고정벽(120)은 제2 가이드벽(12)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벽(120)은 제2 가이드벽(12)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이루어져 제2 가이드벽(12)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wall 120 is coupled to be orthogonal to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the second elastic body 10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wall 120 and the second outer wall 33. The second fixing wall 120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guide wall 12. The second fixing wall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guide wall 12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wall 12.

변형유닛(40)은 제1 이동유닛(20)과 제2 이동유닛(30)을 연결하고, 하중작용라인(L)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또한 회복되도록 이루어진다.The deforming unit 40 connects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the second moving unit 30 and is tensioned and restor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L.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이동유닛(20)과 제2 이동유닛(30)이 서로 멀어질 때 변형유닛(40)은 인장되며, 작동유닛(50)이 제2 이동유닛(30)을 당기거나 제1 이동유닛(20)을 밀 때 변형유닛(40)은 인장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mobile unit 20 and the second mobile unit 30 are far from each other, the deformation unit 40 is tensioned, the operation unit 50 pulls the second mobile unit 30 or When pushing the first mobile unit 20, the deformation unit 40 is tensioned.

변형유닛(40)은, 댐퍼장치(1) 상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외력(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때 인장되고 이러한 외력이 제거된 후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에서 변형유닛(40)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ormation unit 4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tensioned when an external forc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damper device 1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such external force is removed, in particular, In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unit 40 is preferably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먼저 형상기억합금은 마텐사이트 상태의 형상기억합금이 하중에 의해 변형을 일으키고, 하중을 제거하면 잔류변형이 남게된다. 이러한 잔류변형은 가열에 의해서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변위(Forward Transformation)가 발생하고 원래의 모양을 회복하게 된다. 즉, 잔류변형이 없어지게 되는 형상기억효과(Shape Memory Effect)의 거동을 보인다. 또한, 고온상태의 오스텐나이트의 형상기억합금은 하중에 의해서 마텐사이트 상태로 변하게 되고 하중을 제거하게 되면 역으로 변환(Reverse Transformation)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발생된 변형이 회복(Recentering)하게 되는 초탄성 거동(Superelastic Behavior)을 보인다. 이는 가새 시스탬이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거동을 실시할 때 운동에너지로 인하여 연결부재에 발생되는 열으로부터 두가지 특이 거동을 효과적으로 발생하여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려고 하는 형상기억합금은 Ni-Ti(Nitinol: 니티놀)형태이며, 니티놀 형태의 합금은 고가이므로 가격을 낮추기 위해 철 또는 구리 합금을 사용한다. 니티놀합금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이고 초탄성 거동, 대변형 회복력 및 부식저항능력이 뛰어난 가장 적합한 형상기억합금이다. First, the shape memory alloy is deformed by the load of the shape memory alloy in the martensite state, and the residual strain remains when the load is removed. When the residual deformation exceeds a certain temperature by heating, forward transformation occurs and the original shape is restored. That is, the shape memory effect (Shape Memory Effect) is shown that the residual strain disappears. In addition, the shape memory alloy of austenite in the high temperature state is changed to the martensite state by the load, and when the load is removed, reverse transformation occurs. In this process, the superelastic behavior of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load is recentered. This provides a restoring force by effectively generating two specific behaviors from the heat generated in the connecting member due to the kinetic energy when the brace system performs the behavior from the external load. The shape memory alloy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Ni-Ti (Nitinol: Nitinol), and the alloy of the Nitinol form is expensive, so iron or copper alloys are used to lower the price. Nitinol alloy is the most commonly used shape memory alloy and is the most suitable shape memory alloy with excellent elastic modulus, large deformation recovery and corrosion resistance.

이처럼 변형유닛(40)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superelasticity shape memory alloy, 超彈性 形狀記憶合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은 소성변형이 가해지고 난 후에 열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실온에서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는 금속이고, 따라서 변형유닛(40)은 외력에 의해 인장변형된 후 열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Thus, the deformation unit 40 may be made of a superelasticity shape memory alloy (superelasticity shape alloy), the superelastic shape memory alloy is inherently at room temperature even if heat is not applied after plastic deformation is applied. It is a metal having a property of restoring to the shape of, so that the deformation unit 4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elf even if heat is not applied after tensile deformation by an external force.

제1 탄성체(90)는 폴리우레탄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작동유닛이 제1 이동유닛을 밀때 압축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탄성체(90)는 제1 외부벽(23)과 제1 고정벽(110) 사이에서 밀착되게 개재되며,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90 is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is made to compressively deform when the operating unit pushes the first mobile unit. The first elastic body 90 is interpos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outer wall 23 and the first fixing wall 11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제2 탄성체(100)는 폴리우레탄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작동유닛이 제2 이동유닛을 당길때 압축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탄성체(100)는 제2 외부벽(33)과 제2 고정벽(120) 사이에서 밀착되게 개재되며,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100 is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it is made to compressively deform when the operating unit pulls the second mobile unit. The second elastic body 100 is interpos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second outer wall 33 and the second fixing wall 12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이처럼, 제1 탄성체(90) 및 제2 탄성체(100)는 폴리우레탄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자기치유특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자기치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the first elastic body 9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100 may be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in particular,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self-heal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having self-healing properties.

자기치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의 우수한 가공성과 가황 고무의 유연함과 탄성을 동시에 발현하는 소재로써, 우수한 가공성 및 재활용성과 고무탄성, 굴곡 피로저항성, 내화학성, 내열성 등의 특성이 있다. 무수말레산이 0.5 ~ 2.0 중량% 그래프트되어 있으며, 5 ~ 10%의 결정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고무에, 아민기를 포함하는 수소결합 형성제를 용융 혼합한다. 이러한 용융 혼합은, 수소결합 형성제의 종류에 따라 160 ~ 20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수소결합 형성제에 있는 아민기는 폴리올레핀 고무에 그래프트 된 무수말레산과 반응하여 형상기억특성 및 고분자간의 광범위한 수소결합을 가져온다. 이러한 방법으로 부여된 형상기억특성과 광범위한 수소결합이 조합됨으로써 분자 간 사슬의 강한 결합력을 가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가 자기치유특성을 가지게 한다.Self-heal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is a material that simultaneously expresses the excellent processabil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the flexibility and elasticity of the vulcanized rubber. The self-heal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excellent processability, recyclability, rubber elasticity, bending fatigue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The hydrogen bond former containing an amine group is melt-mixed to the polyolefin rubber which is 0.5 to 2.0 weight% grafted with maleic anhydride, and has 5 to 10% crystallinity. Such melt mix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60 to 200 ° C. depending on the type of hydrogen bond former. In this process, the amine group in the hydrogen bond former reacts with maleic anhydride grafted onto the polyolefin rubber, resulting in shape memory characteristics and a wide range of hydrogen bonds between polymers. Combining the shape memory properties imparted in this way with a wide range of hydrogen bonds has a strong binding force between the intermolecular chains, thereby making the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have self-healing properti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체(90) 및 제2 탄성체(100)는 자기치유특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기치유특성은, 손상된 재료를 외부 간섭 없이도 자율적으로 치유하는 능력을 말하며, 이러한 특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는 한국등록특허 제1682047호, 미국공개특허 제2015-0045496호 등에서도 소개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astic body 9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self-healing properties, and the self-healing property may autonomously heal damaged materials without external interference. The polymer material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s also introduced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682047, US Patent Publication No. 2015-0045496, and the like.

변형유닛(40)은 제1 변형판(41), 제2 변형판(42) 및 제3 변형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formation unit 40 may include a first deformation plate 41, a second deformation plate 42, and a third deformation plate 43.

제1 변형판(41)은 제1 이동벽(21)에 밀착고정되고, 제1 가이드벽(11)과 제1 이동벽(21) 사이에 개재된다. 제1 변형판(41)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가이드벽(11) 및 제1 이동벽(21)과 평행한 면을 이룬다.The first deforming plate 41 is tightly fixed to the first moving wall 21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11 and the first moving wall 21. The first deformable plate 41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s a whole and forms a plane parallel to the first guide wall 11 and the first moving wall 21.

제2 변형판(42)은 제2 이동벽(31)에 밀착고정되고, 제2 가이드벽(12)과 제2 이동벽(31) 사이에 개재된다. 제2 변형판(42)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가이드벽(12) 및 제2 이동벽(31)과 평행한 면을 이룬다.The second deforming plate 42 is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31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the second moving wall 31. The second deformable plate 42 has a flat plate shape as a whole and forms a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the second moving wall 31.

제3 변형판(43)은 제1 변형판(41)과 제2 변형판(42)을 일체로 연결하고, 제1 변형판(41) 및 제2 변형판(42)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편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 변형판(43)은 그 폭(변형유닛(40)이 이루는 면 중 하중작용라인(L)과 직교하는 방향의 너비)이 제1 변형판(41) 및 제2 변현판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 변형판(43)은 하중작용라인(L)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며 단부에서 폭이 확장되면서 제1 변형판(41) 및 제2 변형판(42)과 연결된다.The third deformation plate 43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as to integrally connect the first deformation plate 41 and the second deformation plate 42 and form the same plane as the first deformation plate 41 and the second deformation plate 42. desirable. And the width of the third deformation plate 43 (the width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ad action line L of the surface formed by the deformation unit 40)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deformation plate 41 and the second deformation plate Preferably, the third deformation plate 43 is connected to the first deformation plate 41 and the second deformation plate 42 while the third deformation plate 43 has a constant width along the load action line L and the width thereof is expanded at an end thereof.

따라서, 변형유닛(40)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제3 변형판(43) 부분에서 변형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deformation unit 40, deformation is concentrated in the third deformation plate 43 portion.

제1 고정핀(60)은 변형유닛(40)의 제1 변형판(41)을 제1 이동유닛(20)의 제1 이동벽(21)에 고정시키고, 아울러 제1 이동유닛(20)을 가이드유닛(10)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The first fixing pin 60 fixes the first deformation plate 41 of the deformation unit 40 to the first movement wall 21 of the first movement unit 20, and guides the first movement unit 20. The unit 10 is reciprocally coupled.

이러한 제1 고정핀(60)은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볼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제1 이동벽(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in 6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olt or rivet, and in particular, may be screwed to the first moving wall 21 in the form of a bolt.

제1 고정핀(60)은 제1 가이드홀(11a)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제1 고정핀(60)의 직경은 제1 가이드홀(11a)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ixing pin 60 is fitt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first guide hole 11a,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in 6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hole 11a. It is preferable.

제1 고정핀(60)의 직경이 확장되는 헤드(61)는 제1 가이드벽(11)의 외측에서 노출되며, 제1 고정핀(60)이 제1 이동벽(21)에 결합됨으로써 제1 이동벽(21) 외측면에 제1 변형판(41) 및 제1 가이드벽(11)이 적층되어 결합되게 된다.The head 61 having an enlarged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in 60 is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guide wall 11, and the first fixing pin 60 is coupled to the first moving wall 21 so that the first 61 is fixed. The first deformation plate 41 and the first guide wall 11 are stack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wall 21.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에서 제1 고정핀(60)과 제1 가이드벽(11) 간에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제1 고정핀(60)의 헤드(61)와 제1 가이드벽(11)의 외측면이 밀착되면서 강한 마찰이 이루어지고, 제1 고정핀(60)이 제1 이동판에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1 고정핀(60)과 제1 가이드벽(11)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핀(60)의 헤드(61)와 제1 가이드벽(11)의 외측면 간의 밀착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는 마찰댐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In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iction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first guide wall 11, in particular, the head 61 and the first of the first fixing pin 60. As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wall 11 is in close contact, strong friction is made, and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first guide wall (adjust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fixing pin 60 is screwed to the first moving plate). 11) The friction force acting on the liver can be adjusted. That is, the friction forc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head 61 of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11. Accordingly,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as a friction damper.

제2 고정핀(70)은 변형유닛(40)의 제2 변형판(42)을 제2 이동유닛(30)의 제2 이동벽(31)에 고정시키고, 아울러 제2 이동유닛(30)을 가이드유닛(10)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The second fixing pin 70 fixes the second deformation plate 42 of the deformation unit 40 to the second movement wall 31 of the second movement unit 30, and guides the second movement unit 30. The unit 10 is reciprocally coupled.

이러한 제2 고정핀(70)은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볼트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제2 이동벽(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in 7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olt or rivet, and in particular, may be screwed to the second moving wall 31 in the form of a bolt.

제2 고정핀(70)은 제2 가이드홀(12a)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 고정핀(70)의 직경은 제2 가이드홀(12a)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ixing pin 7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12a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in 7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hole 12a. It is preferable.

제2 고정핀(70)의 직경이 확장되는 헤드(71)는 제2 가이드벽(12)의 외측에서 노출되며, 제2 고정핀(70)이 제2 이동벽(31)에 결합됨으로써 제2 이동벽(31) 외측면에 제2 변형판(42) 및 제2 가이드벽(12)이 적층되어 결합되게 된다.The head 71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in 70 is expanded is expos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the second fixing pin 70 is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wall 31 so that the second The second deformable plate 42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are stack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wall 31.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에서 제2 고정핀(70)과 제2 가이드벽(12) 간에는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제2 고정핀(70)의 헤드(71)와 제2 가이드벽(12)의 외측면이 밀착되면서 강한 마찰이 이루어지고, 제2 고정핀(70)이 제2 이동판에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2 고정핀(70)과 제2 가이드벽(12)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핀(70)의 헤드(71)와 제2 가이드벽(12)의 외측면 간의 밀착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는 마찰댐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In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in particular, the head 71 and the second of the second fixing pin 70. As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wall 12 is in close contact, strong friction is achieved, and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the second guide wall (by adjusting the degree of screwing the second fixing pin 70 to the second moving plate) 12) The friction force acting on the liver can be adjusted. That is, the friction forc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head 71 of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wall 12. Accordingly,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as a friction damper.

본 발명에서는, 제2 고정핀(70)과 제2 가이드벽(12)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정지마찰력 및 운동마찰력)과 제1 고정핀(60)과 제1 가이드벽(11)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정지마찰력 및 운동마찰력)을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이를 조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force (static friction force and movement fri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and the fri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first guide wall 11. (Static friction and motion friction) can be adjusted to be made the same, as well as can be mad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변형유닛(40)의 변형(인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1 고정핀(60)은 제1 가이드홀(11a)에서 제2 가이드홀(12a)과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또한 제2 고정핀(70)은 제2 가이드홀(12a)에서 제1 가이드홀(11a)과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한다.When the deformation (tensile) of the deformation unit 40 is not made at all, the first fixing pin 60 is located on the side closest to the second guide hole 12a in the first guide hole 11a, and also the second fixing The pin 70 is located on the side closest to the first guide hole 11a from the second guide hole 12a.

작동유닛(50)은 제1 이동유닛(20)으로부터 제2 이동유닛(30)이 멀어지도록 제2 이동유닛(30)을 당기고, 또한 제2 이동유닛(30)으로부터 제1 이동유닛(20)이 멀어지도록 제1 이동유닛(20)을 밀수 있게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unit 50 pulls the second mobile unit 30 so that the second mobile unit 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obile unit 20, and also the first mobile unit 20 from the second mobile unit 30. The first moving unit 20 is pushed so as to move away.

이를 위하여 작동유닛(50)은 이동로드(51), 제1 가압플랜지(52) 및 제2 가압플랜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operation unit 50 may include a moving rod 51, a first pressure flange 52, and a second pressure flange 53.

이동로드(51)는 좌우방향을 따라 긴 막대(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로드(51)는 제2 내부벽(32)을 관통하며 제2 이동유닛(30)을 상대로 좌우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oving rod 51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rod (ro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ts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 circle or a polygon. The moving rod 51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inner wall 32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moving unit 30 in a reciprocating manner from side to side.

아울러 이동로드(51)는 제2 외부벽(33) 및 제2 고정벽(120)을 관통하면서 좌우로 왕복이동한다.In addition, the moving rod 51 reciprocates from side to side while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outer wall 33 and the second fixing wall 120.

제1 가압플랜지(52)는 이동로드(51)의 단부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내부면(22a)에 밀착되거나 제1 내부면(22a)에서 이격된다.The first pressing flange 52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expanded at the end of the moving rod 5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22a 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22a.

제2 가압플랜지(53)는 이동로드(51)의 중앙 부분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내부면(32a)에 밀착되거나 제2 내부면(32a)에서 이격된다.The second press flange 53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diameter is expan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ing rod 5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or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변형유닛(40)의 변형(인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1 가압플랜지(52)는 제1 내부면(22a)에 밀착되고 이때 제2 가압플랜지(53)는 제2 내부면(32a)에 밀착되게 된다.When the deformation unit 40 is not deformed (tensioned) at all, the first pressurizing flange 5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surface 22a, and the second pressurizing flange 53 is at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Close to)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에서, 제1 이동벽(21) 및 제2 이동벽(31)은 각각 1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이동유닛(20)은 1개의 제1 이동벽(21)과 제1 내부벽(22)과 제1 외부벽(23)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에서, 제1 이동벽(21) 및 제2 이동벽(31)은 각각 2개 또는 4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moving wall 21 and the second moving wall 31 may be provided. That is, the first moving unit 20 is composed of one first moving wall 21, the first inner wall 22, and the first outer wall 23, so that the entire cross section may have a C shape. However, in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oving wall 21 and the second moving wall 31 are provided with two or four, respectively.

제1 이동벽(21)과 제2 이동벽(31)이 각각 2개로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제1 이동벽(21)과 제2 이동벽(31) 각각은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한 쌍의 제1 이동벽(21)과 제2 이동벽(31) 각각은 서로 평행(도 5 참조)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이동유닛(20)과 제2 이동유닛(30) 각각은 단면이 ㅁ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도 5 참조)When two first moving walls 21 and two second moving walls 31 are provided, each of the pair of first moving walls 21 and the second moving walls 31 may be perpendicular to or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pair of first moving walls 21 and the second moving walls 31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ee FIG. 5), and accordingly,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the second moving unit Each of the units 30 has a cross-sectional shape (see Fig. 5).

이때, 댐퍼장치(1)에서 가이드유닛(10)과 변형유닛(40)은 각각 2개씩 구비되며, 제1 이동벽(21)과 제2 이동벽(31) 쪽에 결합되고, 대칭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도 5 참조)At this time, in the damper device 1, two guide units 10 and two deformation units 40 are provided,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moving wall 21 and the second moving wall 31 to form a symmetrical shape. (See Fig. 5).

제1 이동벽(21)과 제2 이동벽(31)이 각각 4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이동벽(21)과 제2 이동벽(31) 각각은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유닛(20)과 제2 이동유닛(30) 각각은 육면체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때, 댐퍼장치(1)에서 가이드유닛(10)과 변형유닛(40)은 각각 4개씩 구비되며, 제1 이동판과 제2 이동판 쪽에 결합되고, 상하 및 전후방향에서 대칭된 형태를 이룬다.(도 2 내지 도 4 참조)When four first moving walls 21 and two second moving walls 31 are provided, each of the first moving walls 21 and the second moving walls 31 may be perpendicular to or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mobile unit 20 and the second mobile unit 30 has a hexahedral shape. In this case, the damper device 1 is provided with four guide units 10 and four deformation units 40, each coupled to the first moving plate and the second moving plate, and symmet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FIGS. 2-4)

또한, 이때 가이드유닛(10)은 사각의 파이프 형태를 이루면서 제1 이동유닛(20) 및 제2 이동유닛(30)의 이동과 변형유닛(40)의 변형시 이들을 지지하며, 안정된 변형 및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10 forms a square pipe shape and supports them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units 20 and 30 and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unit 40, and stable deformation and operation are performed. To be done.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6 and 7, the operation of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가 상술한 고정로드(13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댐퍼장치(1)는 양 단부가 프레임 구조물에 결합되며, 가이드유닛(10)의 일측 단부와 작동유닛(50)의 일측 단부가 프레임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벽(11)의 외측 단부(제2 가이드벽(12)에서 먼쪽)가 프레임 구조물의 가새(103)에 결합되고, 작동유닛(50)의 외측 단부(제1 가압플랜지(52)에서 먼쪽)가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가새(103)에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he above-described fixing rod 130, the damper device 1 is coupled to the frame structure at both ends, one end of the guide unit 10 and the operation unit 50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frame structure. Specifically, the outer end (distant from the second guide wall 12) of the first guide wall 11 is coupled to the brace 103 of the frame structure, and the outer end of the operating unit 50 (first press flange) 52) may be coupled to other brace 103 of the fram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가 고정로드(130)를 구비하는 경우, 댐퍼장치(1)는 역시 양 단부가 프레임 구조물에 결합되며, 고정로드(130)의 일측 단부와 작동유닛(50)의 일측 단부가 프레임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로드(130)의 외측 단부(이동로드(51)에서 먼쪽, 이하, '제1 지점(A)')가 프레임 구조물의 가새(103)에 결합되고, 작동유닛(50)의 외측 단부(제1 가압플랜지(52)에서 먼쪽, 이하, '제2 지점(B)')가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가새(103)에 결합된다.When the dam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rod 130, the damper device 1 is also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rame structure, one end of the fixed rod 130 and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50 Can be coupled to the frame structure. Specifically, the outer end of the fixed rod 130 (distant from the moving rod 51, hereinafter 'first point A') is coupled to the brace 103 of the frame structure, the outer side of the operating unit 50 An end (distant from the first pressing flange 52, hereinafter 'second point B') is coupled to the other brace 103 of the frame structure.

이하에서는 고정로드(130)가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case where the fixed rod 130 is provided.

댐퍼장치(1)에 인장력(F11)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지점(A)과 제2 지점(B) 간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F11)이 작용하게 된다.When the tension force F11 acts on the damper device 1, the external force F11 act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oint A and the second point B. FIG.

이때, 작동유닛(50)의 제2 가압플랜지(53)는 제2 내부면(32a)을 가압하며 제1 이동유닛(20)으로부터 제2 이동유닛(30)이 멀어지도록 제2 이동유닛(30)을 당긴다. 그리고 변형유닛(40)이 인장되면서 제2 이동유닛(30)은 제1 이동유닛(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고 제2 고정핀(70)은 제2 가이드홀(12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가압플랜지(52)는 제1 내부면(22a)과 이격되게 된다.(도 6(a) 참조)At this time, the second pressurizing flange 53 of the operation unit 50 presses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and moves the second moving unit 30 away from the first moving unit 20. Pull). As the deformation unit 40 is tensioned, the second moving unit 30 sli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oving unit 20, and the second fixing pin 70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hole 12a. do. In addition, the first pressing flange 5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22a) (see Fig. 6 (a)).

그리고 제2 고정핀(70)과 제2 가이드벽(12)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In addition,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또한 제2 이동유닛(30)이 이동하면서 제2 외부벽(33)과 제2 고정벽(120) 사이에서 제2 탄성체(100)가 눌려 압축변형되면서 자기치유 복원력을 형성한다.In addition, while the second moving unit 30 moves, the second elastic body 100 is pressed between the second outer wall 33 and the second fixing wall 120 to deform and compressively form a self-healing restoring force.

이처럼 댐퍼장치(1)에 인장력(F11)이 작용하는 경우,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변형유닛(40)이 에너지를 소산시키고, 또한 제2 고정핀(70)에 의해 에너지가 소산되며, 자기치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제2 탄성체(100)가 추가적으로 에너지를 소산시킨다.When the tensile force F11 acts on the damper device 1 as described above, the deformation unit 40 made of the shape memory alloy dissipates energy, and the energy is dissipated by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self-healing thermoplastic The second elastic body 100 made of polyurethane further dissipates energy.

외력으로서 인장력(F11)의 작용시 본 발명의 댐퍼장치(1)의 한 일(도 8(d))은 변형유닛(40)의 변형-복원 응력과 상대이동거리에 의한 일(도 8(a)), 제2 고정핀(70)과 제2 가이드벽(12) 간 마찰력과 상대이동거리에 의한 일(도 8(b)) 및 제2 탄성체(100)의 복원력과 상대이동거리에 의한 일(도 8(c))의 합으로 수치화되어 질 수 있으며, 이는 하중-변위 이력 곡선에 의해 도시화될 수 있다.(도 8 참조)One action (FIG. 8 (d)) of the damper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action of the tensile force F11 as the external force is the work due to the deformation-restoration stress and the relative travel distance of the deformation unit 40 (FIG. 8 (a). )), Work by friction force and relative movement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the second guide wall 12 (FIG. 8 (b)) and work by the restoring force and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100. It can be quantified by the sum of (Fig. 8 (c)), which can be shown by the load-displacement hysteresis curve (see Fig. 8).

한편, 댐퍼장치(1)에 압축력(F22)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지점(A)과 제2 지점(B) 간에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F22)이 작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pressive force F22 acts on the damper device 1, the external force F22 acts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oint A and the second point B. FIG.

이때, 작동유닛(50)의 제1 가압플랜지(52)는 제1 내부면(22a)을 가압하며 제2 이동유닛(30)으로부터 제1 이동유닛(20)이 멀어지도록 제1 이동유닛(20)을 민다. 그리고 변형유닛(40)이 인장되면서 제1 이동유닛(20)은 제2 이동유닛(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고 제1 고정핀(60)은 제1 가이드홀(11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가압플랜지(53)는 제2 내부면(32a)과 이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pressing flange 52 of the operation unit 50 presses the first inner surface 22a and moves the first moving unit 20 away from the second moving unit 30. ). And as the deformation unit 40 is tensioned, the first moving unit 20 sli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moving unit 30 and the first fixing pin 60 moves along the first guide hole 11a. do. 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flange 53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surface 32a.

그리고 제1 고정핀(60)과 제1 가이드벽(11)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In addition,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first guide wall 11.

또한 제1 이동유닛(20)이 이동하면서 제1 외부벽(23)과 제1 고정벽(110) 사이에서 제1 탄성체(90)가 압축변형되면서 자기치유 복원력을 형성한다.In addition, as the first moving unit 20 moves, the first elastic body 90 is compression-deformed between the first outer wall 23 and the first fixing wall 110 to form a self-healing restoring force.

이처럼 댐퍼장치(1)에 인장력(F22)이 작용하는 경우,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변형유닛(40)이 에너지를 소산시키고, 또한 제1 고정핀(60)에 의해 에너지가 소산되며, 자기치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제1 탄성체(90)가 추가적으로 에너지를 소산시킨다.When the tensile force F22 acts on the damper device 1 as described above, the deformation unit 40 made of the shape memory alloy dissipates the energy, and the energy is dissipated by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self-healing thermoplastic The first elastic body 90 made of polyurethane further dissipates energy.

외력으로서 압축력(F22)의 작용시 본 발명의 댐퍼장치(1)의 한 일(도 8(d))은 변형유닛(40)의 변형-복원 응력과 상대이동거리에 의한 일(도 8(a)), 제1 고정핀(60)과 제1 가이드벽(11) 간 마찰력과 상대이동거리에 의한 일(도 8(b)) 및 제1 탄성체(90)의 복원력과 상대이동거리에 의한 일(도 8(c))의 합으로 수치화되어 질 수 있으며, 이는 하중-변위 이력 곡선에 의해 도시화될 수 있다.(도 8 참조)One action (FIG. 8 (d)) of the damper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action of the compressive force F22 as the external force is the work due to the deformation-restoration stress and the relative travel distance of the deformation unit 40 (FIG. 8 (a). )), The work by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in 60 and the first guide wall 11 (FIG. 8 (b)) and the work by the restoring force and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elastic body 90. It can be quantified by the sum of (Fig. 8 (c)), which can be shown by the load-displacement hysteresis curve (see Fig. 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1)에 의하면, 댐퍼장치(1)의 양단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및 압축력이 작용할 때 변형유닛(40)이 인장되도록 이루어져, 변형유닛(40)의 변형 예측이 용이하여 충격흡수, 진동 및 변위 제어를 위한 댐퍼장치(1)의 설계가 용이하고, 또한 제1 고정핀(60)과 제1 가이드벽(11) 및 제2 고정핀(70)과 제2 가이드벽(1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역시 충격흡수, 진동 및 변위 제어를 위한 댐퍼장치(1)의 설계가 용이하고, 안정적인 구조의 댐퍼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amper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tion unit 40 is tensioned when a tension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damper device 1 and a compression force is applied, thereby deforming the deformation unit 40. It is easy to predict the design of the damper device 1 for shock absorption, vibration and displacement control, and also the first fixing pin 60, the first guide wall 11 and the second fixing pin 70 and 2 It is made to facilitate the adjustment of the fri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guide wall 12, it is also easy to design the damper device (1) for shock absorption, vibration and displacement control, to provide a damper device (1) of a stable structure Can b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댐퍼장치
10 : 가이드유닛 11 : 제1 가이드벽
12 : 제2 가이드벽 13 : 연결벽
20 : 제1 이동유닛 21 : 제1 이동벽
22 : 제1 내부벽 23 : 제1 외부벽
30 : 제2 이동유닛 31 : 제2 이동벽
32 : 제2 내부벽 33 : 제2 외부벽
40 : 변형유닛 41 : 제1 변형판
42 : 제2 변형판 43 : 제3 변형판
50 : 작동유닛 51 : 이동로드
52 : 제1 가압플랜지 53 : 제2 가압플랜지
60 : 제1 고정핀 70 : 제2 고정핀
90 : 제1 탄성체 100 : 제2 탄성체
110 : 제1 고정벽 120 : 제2 고정벽
130 : 고정로드
1: Damper device
10: guide unit 11: the first guide wall
12: second guide wall 13: connecting wall
20: first moving unit 21: first moving wall
22: first inner wall 23: first outer wall
30: second moving unit 31: second moving wall
32: second inner wall 33: second outer wall
40: deformation unit 41: first deformation plate
42: second modified plate 43: third modified plate
50: operating unit 51: moving rod
52: first pressure flange 53: second pressure flange
60: first fixing pin 70: second fixing pin
90: first elastic body 100: second elastic body
110: first fixing wall 120: second fixing wall
130: fixed rod

Claims (6)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한 가상의 하중작용라인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하게 왕복이동 가능한 제1 이동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과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유닛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하게 왕복이동 가능한 제2 이동유닛;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이동유닛과 상기 제2 이동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또한 회복되도록 이루어지는 변형유닛;
상기 제1 이동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유닛이 멀어지도록 상기 제2 이동유닛을 당기고, 상기 제2 이동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유닛이 멀어지도록 상기 제1 이동유닛을 밀수 있게 이루어지는 작동유닛;
폴리우레탄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제1 이동유닛을 밀 때 압축변형되는 제1 탄성체; 및
폴리우레탄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유닛이 상기 제2 이동유닛을 당길 때 압축변형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유닛과 제2 이동유닛이 서로 멀어질 때, 상기 변형유닛은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A guid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n imaginary load acting l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acts;
A first mov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and reciprocating in parallel with the load action line;
A second mov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ving unit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unit and reciprocating in parallel with the load action line;
A deformation unit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to connect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second moving unit and to be tensioned and recover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An operation unit configured to pull the second mobile unit to move the second mobile unit away from the first mobile unit, and to push the first mobile unit to move the first mobile unit away from the second mobile unit;
A first elastic body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compressively deformed when the operating unit pushes the first moving unit; And
A second elastic body made of a polyurethane elastic body and compressively deformed when the operating unit pulls the second moving unit,
And the deformation unit is tensioned wh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units move away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측면이 상기 제1 이동유닛을 향하고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1 가이드벽과, 일측면이 상기 제2 이동유닛을 향하고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 가이드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벽과 평행한 제1 이동벽과, 상기 제1 이동벽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2 이동유닛 쪽을 향하는 제1 내부면이 구비된 제1 내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제2 가이드벽과 평행한 제2 이동벽과, 상기 제2 이동벽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 내부면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제2 내부면이 구비된 제2 내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내부벽을 관통하는 이동로드와, 상기 제1 내부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로드 단부를 이루는 제1 가압플랜지와, 상기 제2 내부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이동로드에서 직경이 확장되는 제2 가압플랜지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제1 이동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 가이드홀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고정핀; 및
일측이 상기 제2 이동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가이드홀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guide wall having one side facing the first moving unit and having a first guide hole parallel to the load acting line, and one side facing the second moving unit and parallel to the load acting line. A second guide wall having a second guide hole formed therein;
The first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wall parallel to the first guide wall, and a first inner wall having a first inner surface bent from the first moving wall and facing toward the second moving unit. ,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second inner wall having a second moving wall parallel to the second guide wall and a second inner surface bent from the second moving wall and facing in parallel to the first inner surface. Including,
The actuating unit includes a moving rod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ner wall to reciproc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and a first pressing flange forming the end of the moving rod to press the first inner surface; A second pressing flange having a diameter extending from the moving rod to press the second inner surface,
A first fixing pin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first moving wall and the other side slideably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And
A damp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econd guide hole to be slidably fit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제1 내부면의 반대쪽 면을 이루는 제1 외부면이 구비된 제1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제2 내부면의 반대쪽 면을 이루는 제2 외부면이 구비된 제2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벽과 직교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외부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1 탄성체가 개재되는 제1 고정벽;
상기 제2 가이드벽과 직교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외부벽과의 사이에 상기 제2 탄성체가 개재되는 제2 고정벽; 및
상기 제1 고정벽에서 상기 하중작용라인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드는 상기 제2 외부벽 및 제2 고정벽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oving unit includes a first outer wall provided with a first outer surface forming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inner surface,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second outer wall provided with a second outer surface forming a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inner surface,
A first fixing wall coupled to orthogonal to the first guide wall and having the first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first outer wall;
A second fixing wall coupled to orthogonal to the second guide wall and having the second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wall; And
And a fixing ro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ad action line in the first fixing wall.
And the moving rod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outer wall and the second fixing w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벽 및 제2 이동벽 각각은, 2개 또는 4개로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 이동벽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하고,
상기 변형유닛은 상기 제1 이동벽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직교하거나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irst moving wall and the second moving wall is provided with two or four, orthogonal or parallel to each other,
The guide unit is provided with the same or greater numb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movable wall to be perpendicular or parallel to each other,
The deformation unit is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first moving wall damp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rthogonal or parallel to each other.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이동벽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핀의 직경이 확장된 헤드와 상기 제1 이동벽 사이에 상기 제1 가이드벽 일부가 개재되며,
상기 제2 고정핀은 상기 제2 이동벽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핀의 직경이 확장된 헤드와 상기 제2 이동벽 사이에 상기 제2 가이드벽의 일부가 개재되며,
상기 제1 고정핀과 상기 제1 가이드벽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2 고정핀과 상기 제2 가이드벽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first fixing pin is screwed to the first moving wall,
A part of the first guide wall is interposed between the head of which the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in is extended and the first moving wall.
The second fixing pin is screwed to the second moving wall,
A part of the second guide wall is interposed between the head and the second moving wall of which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in is extended,
And a frictional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fixing pin and the first guide wall, and a frictional force acts between the second fixing pin and the second guide wa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유닛은,
상기 제1 이동벽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제1 가이드벽과 상기 제1 이동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변형판;
상기 제2 이동벽에 밀착고정되고, 상기 제2 가이드벽과 상기 제2 이동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변형판; 및
상기 제1 변형판과 제2 변형판을 연결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변형판 및 제2 변형판의 폭보다 좁은 제3 변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deformation unit,
A first deformation plate fixedly adhered to the first moving wall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first moving wall;
A second deformation plate fixed to the second moving wall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guide wall and the second moving wall; And
And a third deformable plate connecting the first deformed plate and the second deformed plate, at least a part of which is narrower than a width of the first deformed plate and the second deformed plate.
KR1020180010199A 2017-08-07 2018-01-26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KR1020197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99A KR102019718B1 (en) 2018-01-26 2018-01-26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PCT/KR2018/001284 WO2019031669A1 (en) 2017-08-07 2018-01-30 Automatically restorable brace damper device and damper device using automatically restorable and self-healable smart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99A KR102019718B1 (en) 2018-01-26 2018-01-26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131A true KR20190091131A (en) 2019-08-05
KR102019718B1 KR102019718B1 (en) 2019-09-09

Family

ID=6761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99A KR102019718B1 (en) 2017-08-07 2018-01-26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7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291A (en) * 2018-10-10 2018-12-07 中南大学 A kind of novel steel bar metallic damper
CN115262790A (en) * 2022-06-28 2022-11-01 清华大学 Shape memory alloy dam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3B1 (en) * 2019-10-10 2020-08-26 (주)대성스텐 Vibration Isolation for C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4308A (en) * 2006-08-09 2008-03-21 Matsui Hitoshi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368653B1 (en) * 2013-03-05 2014-03-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riction damper for self restoration
KR101661758B1 (en) 2015-01-12 2016-09-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dissipation damper of original form restoration
KR101724535B1 (en) 2015-11-27 2017-04-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e damper for energy dissip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4308A (en) * 2006-08-09 2008-03-21 Matsui Hitoshi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368653B1 (en) * 2013-03-05 2014-03-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riction damper for self restoration
KR101661758B1 (en) 2015-01-12 2016-09-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dissipation damper of original form restoration
KR101724535B1 (en) 2015-11-27 2017-04-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e damper for energy dissip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291A (en) * 2018-10-10 2018-12-07 中南大学 A kind of novel steel bar metallic damper
CN115262790A (en) * 2022-06-28 2022-11-01 清华大学 Shape memory alloy damper
CN115262790B (en) * 2022-06-28 2023-12-22 清华大学 Shape memory alloy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718B1 (en) 201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718B1 (en) Automatic Restoration and Self-Healing Damper System Utilizing Smart Material
US8250818B2 (en) Self-centering energy dissipative brace apparatus with tensioning elements
US11448280B2 (en) Bi-linear energy dissipating and shock absorbing device for cable subjected to tension
Kalali et al. Hysteretic performance of SPSWs with trapezoidally horizontal corrugated web-plates
JP6694195B1 (en) Spring type damping damper
KR101724535B1 (en) Brace damper for energy dissipation
US9447597B2 (en) Variable stiffness bracing device
JP2020153106A (en) Spring type seismic damper
KR101994893B1 (en) Self restoring type brace damper
KR20180046558A (en) Damper for earthquake proof of structure
KR101319698B1 (en) Steel damper using cantilever behavior
KR101368653B1 (en) Friction damper for self restoration
Yan et 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y of a lead extrusion and friction composite damper
KR20180065144A (en) Bracing device for vibration control reinforcement of structure having elastic coefficient
KR101665073B1 (en) Multi-action Hybrid Damping Device for Mitigation of Building Vibration
JP2011042929A (en) Damper for structure
KR101525930B1 (en) Self restoring type passive damper
KR101541845B1 (en) Brace damper for energy dissipation
KR101406485B1 (en)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US20190360196A1 (en) Self-centering damping column and damping brace
JP5199687B2 (en) Damping device, damping structure, and damping panel
JP6796817B2 (en) Seismic isolation mechanism
JP5911743B2 (en) Damping damper and damping structure
JP2020180547A (en) Vibration control device
KR102303110B1 (en) Vibration control damper for seismic retrofitting of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