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981A -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981A
KR20190090981A KR1020180009849A KR20180009849A KR20190090981A KR 20190090981 A KR20190090981 A KR 20190090981A KR 1020180009849 A KR1020180009849 A KR 1020180009849A KR 20180009849 A KR20180009849 A KR 20180009849A KR 20190090981 A KR20190090981 A KR 20190090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olling
contact
refrigerator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비
구양렬
윤권철
홍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981A/ko
Priority to PCT/KR2019/001006 priority patent/WO2019147035A1/ko
Priority to US16/964,955 priority patent/US20210037972A1/en
Publication of KR2019009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05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having a single drawer slide centrally positioned under the drawer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08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having a roller on an intermediary slide rail between the cabinet rail and the drawer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1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having a roller on the intermediate drawer rai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18Buffers, stop blocks or latches for single drawe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 A47B2210/0035Balls cages therefor, e.g. for telescopic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47B2210/004Rollers cages therefor, e.g. for telescopic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6Guid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2/00Apparatus for lighting or heating
    • F16C2362/52Compressors of refrigerators, e.g. air-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48Ball or roller bearings with thin walled races, e.g. tracks of sheet metal

Abstract

서랍을 수납장치를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가 개시된다. 냉장고는 서랍수납실과, 서랍수납실에 수납되는 서랍과; 서랍이 서랍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한다. 레일은,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서랍을 지지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냉장고의 서랍 수납실에 지지되는 제2부재와,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나열되어,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제1부재와 제2부재에 구름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한다. 제2부재는,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과 한계 인입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전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접촉하여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전동체 중 상기 제1전동체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하중지지면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냉장고는 가이드 레일의 동작 시 전동체와 부재들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하여 가이드 레일의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Guide rail, and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을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을 포함하는 수납장치는 장착될 대상 기기에 마련된 서랍 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은 통상 서랍을 서랍 수납실에 대해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볼 또는 롤러와 같은 회전 가능한 전동체(rolling element)를 내부 부재들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전동체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서랍을 무거운 하중에 의한 높은 기계적 부하 하에서도 안정되게 안내하도록 종종 스틸로 형성된다. 그러나, 스틸 전동체는 롤링 시 큰 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롤링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플라스틱 전동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전동체는 롤링 동작 동안 가역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가역적인 변형은 초기에는 가이드 레일의 진동을 유발하다가 결국에는 주행 소음(예컨대, "덜컹거리는 소리")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내측 부재(inner member)와 중간 부재(middel member) 사이에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전동체를 혼합 수용하는 리테이너를 배치하는 가이드 레일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서랍이 서랍 수납실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가이드 레일은 서랍이 가벼울 때는 큰 직경의 전동체가 부재들과 접촉하여 서랍을 가이드하고, 서랍이 무거울 때는 서랍의 하중에 의해 내측 부재가 쳐져서 큰 직경 및 작은 직경의 전동체가 함께 내측 부재와 접촉하여 서랍을 가이드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이드 레일은 전동체의 직경 크기나 위치에 따라 전동체가 가이드 레일의 부재들과 접촉되는 위치나 접촉량이 다르므로, 가이드 레일의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다른 크기의 전동체의 추가 없이 동일 크기의 전동체를 사용하여 전동체와 내부 부재들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 및/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전동체가 서랍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서랍수납실과; 상기 서랍수납실에 수납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이 상기 서랍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냉장고의 서랍 수납실에 지지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나열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구름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과 한계 인입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상기 제1전동체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소정 갭 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하중 지지면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냉장고는 가이드 레일이 동작 시 제2부재의 구름 접촉면에서 전동체와 부재들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 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전동체가 구름 접촉면과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제2부재의 하중지지면과 더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서랍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동체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다른 크기의 전동체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이드 레일은 동일 크기의 전동체를 사용하여 제2부재의 구름 접촉면에서 제2전동체와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와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는 서로 다른 재질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는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전동체는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 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서랍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안정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하중지지면이 형성된 하중지지부가 상기 구름 접촉면이 형성된 구름 접촉부 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부재는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 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서랍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안정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하중지지면이 형성된 하중지지부가 상기 구름 접촉면이 형성된 구름 접촉부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제1부재와, 상기 구름 접촉면의 사이의 간격에 자유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어,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를 수용하는 이동 리테이너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하중지지면의 사이의 간격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를 수용하는 고정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하중지지면은 상기 고정 리테이너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구름 접촉면은 상기 이동 리테이너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리테이너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C자 형태를 가지고, 상기 이동 리테이너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C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전동체는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중지지면은, 상기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소정 갭 만큼의 깊이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하중지지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갭은 0.01mm 내지 0.1mm (±제조 공차)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소정 갭은 상기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부재로부터 압축력을 받았을 때 항복점을 넘지 않을 정도로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서랍 수납실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3부재와; 상기 제3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사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3전동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복수의 제3전동체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제3부재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레일의 제2부재는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 제3부재를 슬라이딩하면서 서랍 수납실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이 서랍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냉장고의 서랍 수납실에 지지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나열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구름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과 한계 인입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하중지지면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수납장치는 가이드 레일이 동작 시 제2부재의 구름 접촉면에서 전동체와 부재들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 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전동체가 구름 접촉면과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제2부재의 하중지지면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서랍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은 서랍이 서랍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냉장고의 서랍 수납실에 지지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나열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구름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과 한계 인입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하중지지면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은 동작 시 제2부재의 구름 접촉면에서 전동체와 부재들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 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전동체가 구름 접촉면과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제2부재의 하중지지면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서랍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적용된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적용된 냉장고에서 서랍이 서랍수납실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와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서랍식 저장부를 전방에서 바로 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가이드 레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선 VIII-VIII 및 선 IX-IX를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가이드 레일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을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가이드 레일의 이동 부재의 내면이 전동체와 접촉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중간 부재의 하중지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중간 부재의 일측 단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도 16은 서랍이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의 중간부재의 후단부가 전동체를 통해 고정 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적용된 냉장고(100)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00)는 본체 케이스(101) 내부에 분리 구획되는 냉동실(110), 냉장실(120), 및 서랍식 저장부(130)를 구비한다. 냉동실(110), 냉장실(120) 및 서랍식 저장부(130)는 식품의 투입 및 인출을 위해 일 면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며, 개방된 일 면은 냉동실 도어(129)와 냉장실 도어(140)에 의해 개폐된다.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선반이 구비되며, 냉동실 도어(129)와 냉장실 도어(140)에는 포켓식 저장부(135, 145)가 각각 구비된다.
서랍식 저장부(130)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치로, 서랍수납실(131)과, 서랍(133)과, 가이드 레일(200; 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서랍수납실(131)은 냉동실(110)과 냉장실(120) 하부에서 본체 케이스(101)의 내부에 복수 개가 구획 형성된다.
복수의 서랍수납실(131)의 각각에는 서랍(133)이 해당 서랍수납실(131)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서랍(133)은 각각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식품이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부(135)와, 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서랍(133)이 인출 또는 인입 되도록 구비된 손잡이(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서랍(133)의 좌, 우측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가이드 레일(200)이 고정 설치된다.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200)이 적용된 냉장고에서 서랍(133)이 서랍수납실(131)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와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서랍식 저장부를 전방에서 바로 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200)의 분해 사시도 및 개략 사시도이다.
각 서랍(133)의 좌, 우측 하단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200)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만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랍(133)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200)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200)은 서랍(133)이 서랍수납실(131)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레일(200)은 이동 부재(210)와, 전동체(245)와, 중간 부재(230)와, 고정 부재(250)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210)는 서랍(133)과 함께 이동하는 내측 부재(inner member)로, 서랍(133)을 지지하도록 서랍(133)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동 부재(210)는 서랍(133)을 인출 또는 인입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서랍(133)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동 부재(210)의 내부에는 중간 부재(230)의 상부부분이 이동하는 궤도를 형성하는 슬라이딩 공간(211)이 형성된다.
이동 부재(210)는 아래쪽으로 오픈된 C자형 단면을 가지는 긴 부재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중간 부재(230)는 서랍(133)에 담긴 식품의 하중에 대한 이동 부재(210)와 고정 부재(2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 이동 부재(210) 아래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재(230)는 본 발명에 따라 구름 접촉부(231)와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를 구비한다.
구름 접촉부(231)는 서랍(133)이 서랍수납실(131)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구간에서 전동체(245)와 구름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부 구름접촉면(232)과 하부 구름접촉면(233)을 구비한다.
상부 구름접촉면(232)과 하부 구름접촉면(233)은 이동 부재(210)의 이동 슬라이딩 공간(211)과 고정 부재(250)의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 내에 각각 이동할 수 있게 삽입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구름접촉면(232, 233)은 각각, 대략 십자형 단면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4 방향, 즉, 상하부 양측에서 전동체(245)와 구름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2a 233a)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 구름접촉면(232, 233)은 각각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2a 233a)을 구비하는 대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세 모서리에 대응하는 3방향(예를 들면, 상부 양측 및 하부 일측)에서 전동체(245)와 구름 접촉하도록 3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2a'; 상부 구름접촉면의 궤도홈만 도시)을 구비하거나, 단면의 두 모서리에 대응하는 2방향(예를 들면, 상부 양측)에서 전동체(245)와 구름 접촉하도록 2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는 중간 부재(230)의 선단과 후단(도면 기준으로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에 대한 구조 설명은 제1하중 지지부(236)에 대해서만 하기로 한다.
제1하중 지지부(236)는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도 4 및 도 10 참조)에서 전동체(245)와 접촉하여 서랍(133)의 하중을 지지함과 함께 사용자의 인입 또는 인출동작 여하에 따라 전동체(245)와 구름 접촉도 가능한 부분으로, 상부 및 하부 하중지지면(237, 238)을 구비한다.
도 5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하중지지면(237, 238)은, 상부 및 하부 구름접촉면(232, 233)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 갭(G)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부 및 하부 구름접촉면(232, 233)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소정 갭(G)은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부 구름접촉면(232)에 대응하여 이동 슬라이딩 공간(211) 내에 위치한 전동체(245)가 서랍(133)의 하중에 의해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의 상부 구름접촉면(232)으로부터 압축력을 받았을 때 항복점을 넘지 않을 정도로 하는 크기를 가진다. 이때, 압축력은 상부 구름접촉면(232)에 대응하여 위치한 전동체(245) 뿐 아니라, 상부 하중지지면(237)에 대응하여 위치한 전동체(245)에도 함께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정 갭(G)은, 예를 들면, 0.01mm 내지 0.1mm (±제조 공차)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부 하중지지면(237)이 상부 구름접촉면(232)과 소정 갭(G)만큼의 단차를 가지기 때문에 서랍(233)이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이동 부재(210)가 서랍(133)의 하중에 의해 도 12의 점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미소하게 기울어진다. 따라서, 이동 부재(210)는 내면이 상부 구름접촉면(232)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체(245)와 상부 하중지지면(237)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체(245) 모두와 접촉한다. 그 결과, 상부 구름접촉면(232)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체(245)만 구름 접촉하고 상부 하중지지면(237)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체(245)는 소정 갭(G)을 두고 유지되는 구름 접촉 구간(도 8 및 도 9 참조)과 달리, 상부 하중지지면(237)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체(245)도 구름 접촉하며(도 11 참조), 그에 따라 서랍(133)의 하중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서랍(233)이 한계 인출 구간으로부터 다시 인입되기 시작할 때, 상부 하중지지면(237)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체(245)는 다시 상부 하중지지면(237) 및 이동 부재(210)의 내면과 구름 접촉하여 이동 부재(210)의 이동을 돕는다.
여기서, 상부 하중지지면(237)은 상부 구름접촉면(232)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 갭(G)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중지지면(237')은 상부 구름접촉면(232)에 대하여 단차 없이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전동체(245)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홈(23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홈(239)은 상부 구름접촉면(232) 및 상부 하중지지면(237')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 갭(G)에 대응하는 만큼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 하중지지면(237, 238)은 모두가 상부 및 하부 구름지지면(232, 233)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 갭(G)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상부 및 하부 하중지지면(237, 238) 중 상부 하중지지면(237) 만 상부 구름지지면(232)에 대하여 내측으로 소정 갭(G)만큼의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유는 도 10에 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하부 하중지지면(238)에 대해 구름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전동체(245)가 없기 때문이다.
제2하중 지지부(236')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하중 지지부(236)와 비교하여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2하중 지지부(236')는 서랍(133)이 최대로 인입되는 한계 인입 구간에서 하부 하중지지면(238)이 전동체(245)와 접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서랍(133)이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할 때, 이동 부재(210)에 전달되는 서랍(133)의 하중은 구름 접촉부(231)의 상부 구름접촉면(232)과 접촉하는 전동체(245)를 통해 도 16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하는 하부 구름접촉면(233)과 구름 접촉하는 전동체(245)에 전달된다. 그 결과, 중간 부재(230)는 하부 구름접촉면(233)과 구름 접촉하는 전동체(240)에 의해 구름 지지된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서랍(133)을 한계 인입 구간으로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서랍(133)의 선단에 순간적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한 경우, 중간 부재(230)는 이동 부재(21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도 1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도면의 우측단부)에서 앞쪽으로 미소하게 기울어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전동체(240)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이 해제되어 이동 부재(210)의 후단부가 수평상태로 원위치될 때까지 제2하중 지지부(236')의 하부 하중 지지면(238)과 고정 부재(250)의 내면 사이에서 해당 면들과 구름 접촉한다. 그 결과, 하부 구름접촉면(233)과 구름 접촉하는 전동체(24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부재(230)는 하나의 I자형 부재를 성형 또는 기계 가공하여 형성된다. 이때 후자의 경우 상부 및 하부 하중지지면(237, 238)이 형성된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는 상부 및 하부 구름접촉면(232, 233)이 형성된 구름 접촉부(231) 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열처리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중간 부재(230)는 별도로 가공된 구름 접촉부(231)와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를 접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는 구름 접촉부(231) 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가 구름 접촉부(231) 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중간 부재(230)는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 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서랍(133)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230)는 사용자에 의한 서랍(133)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이동 부재(210)가 이동할 때 이동 부재(210)의 제1 및 제2인터록커(interlocker)(247, 248)에 의해 이동 슬라이딩 공간(211)과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을 따라 이동한다.
제1 및 제2인터록커(247, 248)는 이동 부재(210)의 내면 좌,우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돌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인터록커(247, 248)는 이동 부재(210)가 좌 또는 우(도면 기준)로 이동할 때 각각 후술하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와 상부 고정 리테이터(260)과 맞물려서 이동 부재(210)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인터록커(247)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33)의 인출을 위해 이동 부재(210)가 좌측으로 이동할 때 이동 부재(210) 상에 설치된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와 접촉하여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가 후술하는 상부 고정 스톱퍼(273, 274)의 제2돌기(274)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가 제2돌기(274)에 의해 정지되면, 제1인터록커(247)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를 계속 밀어서 중간 부재(2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인터록커(248)는 서랍(133)의 인입을 위해 이동 부재(210)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 이동 부재(210) 상에 고정 설치된 상부 고정 리테이터(260)와 접촉하여 상부 고정 리테이터(260)를 통해 중간 부재(2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서랍(133)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가 서로 원활하게 상대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전동체(245)는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에 구름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체(245)는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전동체(245)는 이동 부재(210)의 이동 슬라이딩 공간(211) 내에서 상부 구름접촉면(232)의 궤도홈(232a) 및 제1하중 지지부(236)의 상부 하중지지면(237)의 궤도홈(237a)을 따라 배치된다.
상부 구름접촉면(232)의 궤도홈(232a)에 배치되는 전동체(245)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에 의해 이동 부재(210)와 상부 구름 접촉면(232)의 궤도홈(232a) 사이의 간격에 자유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된다.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는 이동 부재(210)와 대응하게 C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동체(245)를 수용하는 복수의 홀(266)을 구비한다. 복수의 홀(266)은 예를 들면, 상부 구름접촉면(232)의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2a)에 각각 3 개씩 총 12 개의 전동체(245)를 수용하도록 1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266)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2a) 중, 예를들면, 상면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궤도홈(232a)에만 전동체(245)를 수용하도록 상면 양측의 두 개의 궤도홈(232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2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는 상부 구름접촉면(232)의 상면 우측에 형성된 상부 이동제한 스톱퍼(276)에 의해 이동 슬라이딩 공간(211) 외부로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 이동제한 스톱퍼(276)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하중 지지부(236)의 상부 하중지지면(237)의 궤도홈(237a)에 배치되는 전동체(245)는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에 의해 이동 부재(210)와 상부 하중지지면(237) 사이의 간격에 자유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된다.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와 마찬가지로, 이동 부재(210)와 대응하게 C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동체(245)를 수용하는 복수의 홀(266)을 구비한다. 복수의 홀(261)은 예를 들면, 상부 하중지지면(237)의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7a)에 각각 1 개씩 총 4 개의 전동체(245)를 수용하도록 4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266)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7a) 중 상면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궤도홈(237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7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는 상부 하중지지면(237)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고정 스톱퍼(273, 274)에 의해 이동 슬라이딩 공간(211) 내에 고정 유지된다. 상부 고정 스톱퍼(273, 274)는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좌,우측에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좌우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돌기(273, 27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동체(245)가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와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에 의해 유지됨에 따라, 전동체(245)는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45)와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이때, 전동체(245)들은 동일 직경의 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전동체(245)의 형태는 제한이 없으며, 롤러 등과 같은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200)은 다른 크기의 전동체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이드 레일(200)은 중간 부재(230)의 상부 구름 접촉면(232)에서 동일 크기의 전동체(245)를 사용하여 전동체(245)와 이동 부재(210)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95)와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45)는 플라스틱 볼로 구현되고,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95)는 스틸 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는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서랍(133)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하중지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250)는 중간 부재(230)를 슬라이딩하도록 수용하여 서랍수납실(131)에 지지하는 외측 부재(outer member)로, 프레임(280)을 통해 서랍수납실(131)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250)는 중간 부재(230)에 대응하여 서랍(133)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고정 부재(250)의 내부에는 중간 부재(230)의 하부부분이 이동하는 궤도를 형성하는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이 형성된다.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 내에는 중간 부재(230)의 구름 접촉부(231)의 하부 구름접촉면(233)과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의 하부 하중지지면(238)이 이동할 수 있게 삽입 배치된다.
고정 부재(250)는 위쪽으로 오픈된 C자형 단면을 가지는 긴 부재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랍(133)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중간 부재(230)와 고정 부재(250)가 서로 원활하게 상대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전동체(245)는 중간 부재(230)와 고정 부재(250)에 구름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체(245)는 중간 부재(230)와 고정 부재(2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전동체(245)는 고정 부재(250)의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 내에서 하부 구름접촉면(233)의 궤도홈(233a) 및 제2하중 지지부(236')의 하부 하중지지면(238)의 궤도홈(238a)을 따라 이동 할 수 있게 배치된다.
하부 구름접촉면(233)의 궤도홈(233a)에 배치되는 전동체(245)는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에 의해 고정 부재(250)와 하부 구름 접촉면(233)의 궤도홈(233a) 사이의 간격에 자유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된다.
하부 구름접촉면(233)의 궤도홈(233a)은 상부 구름접촉면(232)의 궤도홈(233a)과 마찬가지로, 하부 구름접촉면(233)의 단면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3a)으로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궤도홈(233a)은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3a)으로 구성되는 대신, 하부 구름접촉면(233)의 단면의 세 모서리에 대응하는 3방향에서 전동체(245)와 구름 접촉하도록 3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거나, 단면의 두 모서리에 대응하는 2방향에서 전동체(245)와 구름 접촉하도록 2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는 고정 부재(210)와 대응하게 위쪽으로 오픈된 C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전동체(245)를 수용하는 복수의 홀(271)을 구비한다. 복수의 홀(271)은 예를 들면, 하부 구름접촉면(233)의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3a)에 각각 3 개씩 총 12 개의 전동체(245)를 수용하도록 1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271)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3a) 중 하면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궤도홈(233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3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는 고정 부재(250)의 내면과 하부 구름 접촉면(233)의 궤도홈(233a) 사이에서 구름 접촉하는 해당 전동체(245)에 의해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 내에서 전후로(도면의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는 고정 부재(250)의 내면 좌측에 형성된 하부 이동제한 스톱퍼(278)에 의해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의 좌측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부 이동제한 스톱퍼(278)는 고정 부재(250)의 내면 좌측에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돌출 형성된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하중 지지부(236')의 하부 하중지지면(238)의 궤도홈(238a)에 배치되는 전동체(245)는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에 의해 고정 부재(250)와 하부 하중지지면(238) 사이의 간격에 자유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된다.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는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와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250)와 대응하게 C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동체(245)를 수용하는 복수의 홀(276)을 구비한다. 복수의 홀(276)은 예를 들면, 하부 하중지지면(238)의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8a)에 각각 1 개씩 총 4 개의 전동체(245)를 수용하도록 4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276)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8a) 중 상면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궤도홈(238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4 개의 길이방향 궤도홈(238a) 각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는 하부 하중지지면(238)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고정 스톱퍼(273', 274'; 도 7 및 도 10 참조)에 의해 고정 슬라이딩 공간(251) 내에 고정 유지된다. 하부 고정 스톱퍼(273', 274')는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좌우측에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좌우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돌기(273', 27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동체(245)가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와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에 의해 유지됨에 따라, 전동체(245)는 고정 부재(250)와 중간 부재(230)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의 전동체(245)와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전동체(245)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95) 및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이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200)은 다른 크기의 전동체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이드 레일(200)은 중간 부재(230)의 하부 구름 접촉면(233)에서 동일 크기의 전동체(245)를 사용하여 전동체(245)와 고정 부재(250)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의 전동체(245)는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전동체(245)와 서로 다른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의 전동체(245)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45)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볼로 구현되고,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전동체(245)는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와 마찬가지로 스틸 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위에서 도 16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랍(133)을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서랍(133)의 선단에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더라도,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전동체(245)는 서랍(133)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하중지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200)은 중간 부재(230)가 고정 부재(250)를 통해 서랍수납실(131)에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가이드 레일(20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고정 부재(250)를 포함하지 않고 중간 부재(230)가 바로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 부재(230)는 구름 접촉부(231)와 제1 및 제2하중 지지부(236, 236')에서 하부 구름접촉면(233)과 하부 하중접촉면(238)을 생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200)이 적용된 냉장고(100)의 서랍 인출 및 인입 동작을 도 2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서랍(133)의 손잡이(137)를 잡고 앞으로 당기면, 서랍(133)이 고정된 이동 부재(210)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동 부재(21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부재(210)의 내면 우측에 위치한 제1인터록커(24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10) 상에 설치된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와 접촉하여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서랍(133)의 무게 중심이 이동수납실(131) 내에서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 사이에 위치한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에 작용하므로,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45)는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와 구름 접촉하고(도 8 참조),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는 이동 부재(210)와 접촉하지 않고 소정 갭(G)만큼 일정 간격을 둔 상태로 유지된다(도 9 참조).
이 상태에서, 이동 부재(210)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가 제1인터록커(247)에 의해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상부 고정 스토퍼(273, 274)의 제2돌기(274)에 접촉할 때까지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 부재(210)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45)를 통해 중간 부재(230)와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중간 부재(230)는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의 전동체(245)를 통해 고정 부재(250)와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그후,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가 제2 고정 스토퍼(273, 274)의 제2돌기(274)에 접촉하면,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제1인터록커(247)에 의해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에 작용하는 힘은 중간 부재(230)에 전달된다. 그 결과, 중간 부재(230)는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때,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는 하부 고정 스토퍼(273', 274')의 제2돌기(274')와 접촉하여 제2돌기(274')에 의해 중간 부재(230)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중간 부재(230)의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가 도 10과 같이 하부 이동제한 스톱퍼(278)와 접촉하여 이동이 제한되면, 즉,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에 도달하면, 이동 부재(210)와 중간 부재(230)는 이동을 정지한다.
이때, 서랍(133)의 하중이 이동 부재(210)의 선단쪽에 작용하는 힘(F)은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에 가까워질수록 커지고, 한계 인출 구간에 도달하는 순간 최대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중간 부재(230)의 제1하중 지지부(236)가 구름 접촉부(231)와 소정 갭 만큼 단차를 가지기 때문에, 이동 부재(210)은 도 12와 같이 미소하게 기울어져 선단쪽 하면이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 및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45)와 동시에 접촉한다. 그 결과, 서랍(133)의 하중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후, 사용자가 서랍(133)의 손잡이(137)를 잡고 밀어 넣음에 따라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으로부터 다시 서랍수납실(131)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 제1하중 지지부(236)의 상부 하중지지면(237)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체(245)는 다시 상부 하중지지면(237) 및 이동 부재(21)의 내면과 구름 접촉하여 이동 부재(210)의 이동을 돕는다.
이후, 사용자의 서랍 인입 동작에 의해 이동 부재(210)의 선단쪽에 작용하는 힘(F)이 제거됨에 따라, 이동 부재(210)의 선단의 내면은 상부 고정 리테이너(260)의 전동체(245)로부터 떨어져 다시 수평위치로 원위치 되고, 그 결과, 상부 이동 리테이너(265)의 전동체(245)만 이동 부재(210) 및 중간 부재(230)와 구름 접촉한다.
서랍(133)에 고정된 이동 부재(210)가 계속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부재(210)의 내면 좌측에 형성된 제2 인터록커(248)는 이동 부재(210) 상에 고정 설치된 상부 고정 리테이터(260)와 접촉하여 중간 부재(23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하부 이동 리테이너(270)는 하부 구름접촉면(233)과 구름 접촉하는 전동체(245)에 의해 중간 부재(230)와 함께 이동된다. 이후, 사용자가 서랍(133)을 완전히 한계 인입 위치에 위치시키면, 서랍(133)의 인입 동작은 완료된다.
이때, 사용자가 서랍(133)을 한계 인입 구간으로 위치시키는 동안 서랍(133)의 선단에 순간적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가하더라도(도 16), 하부 고정 리테이너(275)의 전동체(240)가 제2하중 지지부(236')의 하부 하중 지지면(238)과 고정 부재(250)의 내면 사이에서 해당 면들과 구름 접촉한다. 따라서, 하부 구름접촉면(233)과 구름 접촉하는 전동체(24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200)과, 그것을 구비하는 서랍식 저장부(130) 및 냉장고(100)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200)이 동작 시 전동체(245)와 부재들(210,230) 사이의 접촉량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동작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서랍(133)이 한계 인출 구간 및/또는 한계 인입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전동체(245)가 구름 접촉부(231)의 상부 구름 접촉면(232)과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제1하중 지지부(236)의 상부 하중지지면(237) 및 제2하중 지지부(236')의 하부 하중지지면(238)과 더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서랍(133)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냉장고 130: 서랍식 저장부
131: 서랍수납실 133: 서랍
200: 가이드 레일 210: 이동 부재
230: 중간 부재 245: 전동체
250: 고정부재 260: 상부 고정 리테이너
265: 상부 이동 리테이너 270: 하부 이동 리테이너
275: 하부 고정 리테이너 280; 프레임

Claims (17)

  1. 냉장고에 있어서,
    서랍수납실과;
    상기 서랍수납실에 수납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이 상기 서랍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냉장고의 서랍 수납실에 지지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나열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구름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과 한계 인입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상기 제1전동체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하중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동체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는 서로 다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하중지지면이 형성된 하중지지부가 상기 구름 접촉면이 형성된 구름 접촉부 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하중지지면이 형성된 하중지지부가 상기 구름 접촉면이 형성된 구름 접촉부와 별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제1부재와, 상기 구름 접촉면의 사이의 간격에 자유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어,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를 수용하는 이동 리테이너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하중지지면의 사이의 간격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를 수용하는 고정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면은 상기 고정 리테이너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 접촉면은 상기 이동 리테이너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테이너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C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리테이너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C자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면은, 상기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상기 소정 갭만큼의 깊이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갭은 0.01mm 내지 0.1mm (±제조 공차)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갭은 상기 서랍이 상기 한계 인출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부재로부터 압축력을 받았을 때 항복점을 넘지 않을 정도로 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수납실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3부재와;
    상기 제3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사이에 나열되는 복수의 제3전동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복수의 제3전동체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제3부재를 슬라이딩하는 냉장고.
  16. 수납장치에 있어서,
    서랍과;
    상기 서랍이 서랍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냉장고의 서랍 수납실에 지지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나열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구름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과 한계 인입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상기 제1전동체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하중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17. 서랍이 서랍수납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대응하여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냉장고의 서랍 수납실에 지지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나열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 또는 인입 시에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구름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서랍이 한계 인출 구간과 한계 인입 구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전동체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서랍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전동체 중 상기 제1전동체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전동체가 구름 접촉하는 구름 접촉면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소정 갭만큼의 단차를 가지는 하중지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
KR1020180009849A 2018-01-26 2018-01-26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KR20190090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49A KR20190090981A (ko) 2018-01-26 2018-01-26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PCT/KR2019/001006 WO2019147035A1 (ko) 2018-01-26 2019-01-24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US16/964,955 US20210037972A1 (en) 2018-01-26 2019-01-24 Guide rail, and storage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49A KR20190090981A (ko) 2018-01-26 2018-01-26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981A true KR20190090981A (ko) 2019-08-05

Family

ID=6739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849A KR20190090981A (ko) 2018-01-26 2018-01-26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37972A1 (ko)
KR (1) KR20190090981A (ko)
WO (1) WO2019147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069A (zh) * 2020-08-25 2020-11-03 东莞市帝格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滑轨组件及包括其的柜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145A (ko) * 1999-03-12 2000-10-16 구자홍 김치전용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JP4561208B2 (ja) * 2004-07-13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DE102008053504B4 (de) * 2008-10-28 2023-01-26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für Möbel
DE102012106751A1 (de) * 2012-07-25 2014-01-30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für relativ zueinander bewegbare Möbelteile
DE102014108854A1 (de) * 2014-06-25 2015-12-31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für relativ zueinander bewegbare Möbel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7035A1 (ko) 2019-08-01
US20210037972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6804B2 (en) Rail assembly for furniture parts
US9945416B2 (en) Three-sectional hidden sliding rail mechanism
US20110007988A1 (en) Sliding track assembly
KR20230113714A (ko) 냉장고
KR101398126B1 (ko)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KR20130036913A (ko) 차량용 수납장치
KR20110015352A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JP6516601B2 (ja) 冷蔵庫の引出装置
KR20190090981A (ko)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TWI685315B (zh) 抽屜拉出引導件
EP3877710B1 (en)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KR200202232Y1 (ko) 김치냉장고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CN101523139B (zh) 用于冰箱的轨道组件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KR20230018667A (ko) 서랍식 침대 프레임
KR200341131Y1 (ko) 서랍형 공구함
KR102136282B1 (ko) 슬라이드형 3단 레일
CN109900038B (zh) 制冷器具
JP6178100B2 (ja) 冷蔵庫
KR20210153868A (ko) 슬라이드 장치
KR101161874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JP2020118327A (ja) スライド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冷蔵庫
JP2919454B1 (ja) 家具などの収納ガイド装置
KR200280316Y1 (ko) 가구용 서랍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