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700A -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700A
KR20190090700A KR1020190004500A KR20190004500A KR20190090700A KR 20190090700 A KR20190090700 A KR 20190090700A KR 1020190004500 A KR1020190004500 A KR 1020190004500A KR 20190004500 A KR20190004500 A KR 20190004500A KR 20190090700 A KR20190090700 A KR 2019009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payment
issuing
platform devic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025B1 (ko
Inventor
김택균
Original Assignee
김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균 filed Critical 김택균
Publication of KR2019009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릿 블록체인을 함께 지원하여 기업, 공공기관, 개인이 자기가 원하고자 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기능을 플랫폼 내에서 자유롭게 구현 가능토록 하며, 이를 통해 상호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트랜젝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Service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rocessor Hybrid Block Chain Platform}
본 실시예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암호화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IT 기술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일반적으로 기업과 기업 사이의 거래(B2B: Businessto Business), 기업과 개인 사이의 거래(B2C: Businessto Customer), 개인과 개인 사이의 거래(C2C: Customerto Customer)및 기업과 정부 사이의 거래(B2G: Businessto Government)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금전의 이동뿐만 아니라, 물건의 구매와 배송과 마케팅, 서비스 제공 등의 일련의 행위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상거래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가상의 전자 화폐 즉,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암호화 화폐로는 비트 코인, 이더리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비트 코인은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Satoshi Nakamoto)가 만든 전자 화폐로서, P2P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를 기반으로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지며, 공개 키 암호 방식 기반으로 거래를 수행한다.
최근, 정부 기관을 포함한 다양한 예산운영 주체는 암호화 화폐를 복지 분야를 포함한 폭 넓은 비즈니스 분야에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장치의 경우 대부분 퍼블릭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예산운영 주체가 추구하는 기밀성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곤란하다는 측면이 존재한다. 더욱이, 이러한 점을 악용하는 사용자들로 인해 암호화 화폐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릿 블록체인을 함께 지원하여 기업, 공공기관, 개인이 자기가 원하고자 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기능을 플랫폼 내에서 자유롭게 구현 가능토록 하며, 이를 통해 상호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트랜젝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릿 블록체인을 함께 지원하여 기업, 공공기관, 개인이 자기가 원하고자 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기능을 플랫폼 내에서 자유롭게 구현 가능토록 하며, 이를 통해 상호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트랜젝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하고, 상기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화폐 발행부; 상기 암호화 화폐의 배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배포 대상에 상응하는 사용자로의 상기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배분 절차를 수행하는 화폐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거래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거래 요청신호 및 상기 암호화 화폐의 상기 사용규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결제 절차의 수행을 제어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의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하고, 상기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과정; 상기 암호화 화폐의 배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배포 대상에 상응하는 사용자로의 상기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배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거래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거래 요청신호 및 상기 암호화 화폐의 상기 사용규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결제 절차의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릿 블록체인을 함께 지원하여 기업, 공공기관, 개인이 자기가 원하고자 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기능을 플랫폼 내에서 자유롭게 구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상호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트랜젝션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예산운영 주체에 따라 지급대상자와 사용처를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해 제한할 수 있고, 자급의 집행을 투명하게 감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하여 복지 및 기타 예산 지급을 투명하고 신뢰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의 암호화 화폐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지역 기반의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암호화 화폐는 실제의 화폐와 같이 실생활에서의 거래 시 사용가능한 전자 화폐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 화폐는 개인화된 지갑을 통하여 보관되며, 전세계 어디서나 제휴된 가맹점을 통하여 쉽고 용이하게 사용 가능토록 구현된다. 이러한, 암호화 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호화 화폐는 월렛 간의 거래가 가능한 자체 개발된 암호화 화폐(예컨대, Berith Coin)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는 이더리움, 비트코인과 같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암호화 화폐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기(100),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 거래소 서버장치(120), 유관기관 서버장치(130) 및 결제 서버장치(14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Phone)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AP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와 연동되며,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를 통해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화폐 서비스 기능은 암호화 화폐의 저장, 관리, 거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암호화 화폐에 대한 사용자 계좌에 해당하는 월렛을 탑재하여 암호화 화폐 서비스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월렛을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있으며,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단말기(100)가 피쳐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에 월렛이 탑재되는 형태에 설명하자면, 단말기(100)는 월렛을 임베디드(Embeded) 형태로 탑재한 상태로 구현되거나, 단말기(100) 내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월렛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단말기(10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단말기(100)에 탑재된 월렛은 단말기(100)에 탑재된 기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의 수행을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와 관련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동시 지원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허가자만 열람이 가능하며, 법적 책임을 지는 기관만 참여 가능하며, 1000TPS 이상의의 속도를 갖는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열람가능하며 누구나 트랜젝션 생성이 가능하며, 7~20TPS의 속도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함께 지원하여 기업, 공공기관, 개인이 자기가 원하고자 하는 기능 Dapp을 플랫폼 내에 구현 가능토록 동작한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기존 암호화 화폐들이 탈중앙화를 추구하는 화폐를 발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중앙화의 단점을 해결하며, 탈중앙화의 문제점을 보안하여 중앙화와 탈중앙화의 성격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중앙화의 문제점인 보안의 문제점과 불필요한 수수료와 지연시간에서 벗어나, 상호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트랜젝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간의 계약에 추가로 월렛과 암호화 화폐 자체에 룰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다양한 예산운영 주체에 따라 지급대상자와 사용처를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스마트 컨트랙트는 코인의 최대 발행량 등을 설정하거나, 개인 간에 계약 등에 사용하는 반면,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의 스마트 컨트랙트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 + 코인 또는 월렛에 룰을 정의하여 사용처를 제한하는 등의 방식(정부 복지 예산을 복지 예산에만 쓸 수 있게 하는 등)을 가진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와 사용처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하다.
예컨대,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에서 정의되는 룰에 의하는 경우, 용돈을 피시방가는 것에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부여된 코인을 일정 사용처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월렛에 적용하여, 미성년자 소유의 월렛은 술, 담배 등의 미성년자가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트랜젝션 생성이 불가능하게 설정하도록 하는 등 사용자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 또한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가 제공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토록 한다.
거래소 서버장치(120)는 암호화 화폐를 생성 및 채굴하고, 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이러한, 거래소 서버장치(120)는 바람직하게는 가맹점, 카드사 및 유통사 등에서 암호화 화폐의 관리를 위하여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장치(120)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와의 연동을 통해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발행, 사용, 정산 등의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예컨대, 거래소 서버장치(120)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특정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의 발행과 관련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암호화 화폐에 대한 특정 사용자로의 배분과 관련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거래소 서버장치(120)가 암호화 화폐 서비스와 관련하여 지원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특정 프로세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거래소 서버장치(120)는 종래의 거래소 서버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은 동일하게 제공 가능토록 구현될 수 있다.
유관기관 서버장치(130)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운영 대상이 되는 유관기관들과 관련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관기관 서버장치(130)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의 운영과 관련한 예산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예산정보는 암호화 화폐와 관련한 지급 대상자, 총 지급 금액, 지급 목적, 지급처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예상정보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가 암호화 화폐에 적용되는 사용규칙 정보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기준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결제 서버장치(140)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와 가맹점 사이에 발생하는 요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비대면 주문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와 가맹점 사이에 발생하는 요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제 서버장치(140)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로부터 주문 정보와 관련한 결제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결제 요청신호에 기반한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서버장치(140)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의 결제 요청신호가 암호화 화폐의 사용규칙 정보에 매칭되는 거래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결제 요청신호인 경우에 한해서 상기의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결제 서버장치(140)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부터 검증이 완료된 결제 요청신호만을 선별적으로 수신토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결제 서버장치(140)가 사용자와 가맹점 사이의 요금 결제를 중개하는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통신부(210), 화폐 발행부(220), 화폐 관리부(230) 및 결제 처리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에 포함된 구성 요소는 각각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암호화 화폐 서비스와 관련한 필요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통신부(210)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210)는 단말기(100), 거래소 서버장치(120), 유관기관 서버장치(130) 및 결제 서버장치(140)와 통신을 수행하고, 각각의 장치로부터 거래 요청신호, 암호화 화폐 예산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화폐 발행부(220)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화폐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폐 발행부(220)는 거래소 서버장치(12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동시 지원한다. 이에, 화폐 발행부(220)는 암호화 화폐를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중 어느 하나의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암호화 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폐 발행부(22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암호화 화폐를 생성하는 경우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간의 계약에 추가로 월렛과 암호화 화폐 자체에 룰을 정의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화폐 발행부(220)가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활용하여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화폐 발행부(220)는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폐 발행부(220)는 암호화 화폐와 관련한 사업 운영자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 화폐 예산정보에 기반하여 상기의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할 수 있다. 한편, 화폐 발행부(220)가 입력받는 암호화 화폐 예산정보에는 암호화 화폐와 관련한 지급 대상자, 총 지급 금액, 지급 목적, 지급처 정보 및 사용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업 운영자가 지역 복지기관인 경우 노인, 30만원, 생활비, 복지과, 복지 매장 등의 정보가 암호화 화폐 예산정보 상에 포함될 수 있다.
화폐 발행부(220)는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한다. 즉, 화폐 발행부(220)는 상기의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암호화 화폐의 사용자, 사용 매장, 사용 한도금액, 사용 물품 및 사용 지역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한다. 예컨대, 화폐 발행부(220)는 지급 대상자가 학생인 경우, 서점에서만 그 사용이 가능토록 설정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폐 발행부(220)는 지급 대상자의 등급에 따라 동일한 지급 대상자라도 상이한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예컨대, 지급 대상자가 학생인 경우 학생의 성적, 가정 환경 등에 따라 상이한 사용규칙 정보를 암호화 화폐 상에 적용할 수 있다.
화폐 발행부(220)는 암호화 화폐와 관련한 발행 옵션 정보를 거래소 서버장치(120)로 전송하고, 거래소 서버장치(120)로부터 이와 관련하여 채굴된 암호화 화폐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폐 발행부(220)는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특정 지급 대상자에 상응하는 월렛에 대하여 암호화 화폐의 사용과 관련하여 상기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화폐 발행부(220)는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에 근거하여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중 어느 하나의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화폐 발행부(220)는 특정 그룹의 사용자들에 한해서 블록체인 내의 정보를 확인 가능토록 동작할 수 있다.
화폐 관리부(230)는 화폐 발행부(220)에서 발행한 암호화 화폐의 배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배포 대상에 상응하는 사용자로의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배분 절차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부(230)는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에 근거하여 암호화 화폐의 배포 대상을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폐 관리부(230)는 거래소 서버장치(120)와의 연동을 통해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배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화폐 관리부(230)는 배포 대상이 선별되는 경우 배포 대상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월렛으로 암호화 화폐가 발행되도록 거래소 서버장치(120)로 관련 요청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래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와 관련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결제 처리부(240)는 결제 절차의 수행을 위해 거래소 서버장치(120) 및 유관기관 서버장치(130) 등과 연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처리부(240)는 승인된 거래 요청신호에 한해서 사용자가 소지한 암호화 화폐를 결제수단으로서 활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승인된 거래 요청신호는, 거래 요청신호에 포함된 결제 관련정보와 암호화 화폐 상에 적용된 사용규칙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와의 사이에 매칭이 이루어진 거래 요청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의 암호화 화폐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와 관련하여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한다(S302). 단계 S302에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암호화 화폐와 관련한 사업 운영자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 화폐 예산정보에 기반하여 상기의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단계 S302에서 설계한 발행 옵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한다(S304). 단계 S304에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단계 S302에서 설계한 발행 옵션에 암호화 화폐의 사용자, 사용 매장, 사용 한도금액, 사용 물품 및 사용 지역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한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단계 S304에서 발행한 암호화 화폐의 배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배포 대상으로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배분절차를 수행한다(S306).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거래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308), 해당 거래 요청신호와 관련한 결제 처리 과정에서 암호화 화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한다(S310). 단계 S310에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거래 요청신호에 포함된 결제 관련정보와 암호화 화폐 상에 적용된 사용규칙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와의 사이에 매칭 여부에 따라 암호화 화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는 단계 S310의 판별결과에 따라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S312).
여기서, 단계 S302 내지 S312는 앞서 설명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암호화 화폐 서비스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지역 기반의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4에서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의 기능을 편의상 지역화폐 플랫폼 운영자와 지갑 및 가상화폐 지급 시스템으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를 매개로 하여 지역 주민을 위한 암호화 화폐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예산 및 기금 목적에 따라 정부기관을 포함한 다양한 예산운영 주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역내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하여 소상공인 가맹점서비스, 의료서비스, 교육서비스, 교통서비스, 주택관리비 등으로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확장 운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예산운영 주체에 따라 지급대상자와 사용처를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해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은 자급의 집행을 투명하게 감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하여, 투명하고 신뢰성있게 복지 및 기타 예산 지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암호화 화폐 서비스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110)를 구현/운영하여, 지역복지를 확산하고 지역자금의 외부 유출을 막으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120: 거래소 서버장치 130: 유관기관 서버장치
140: 결제 서버장치 210: 통신부
220: 화폐 발행부 230: 화폐 관리부
240: 결제 처리부

Claims (9)

  1.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하고, 상기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화폐 발행부;
    상기 암호화 화폐의 배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배포 대상에 상응하는 사용자로의 상기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배분 절차를 수행하는 화폐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거래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거래 요청신호 및 상기 암호화 화폐의 상기 사용규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결제 절차의 수행을 제어하는 결제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폐 발행부는,
    상기 암호화 화폐와 관련한 사업 운영자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 화폐 예산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화폐 예산정보는,
    상기 암호화 화폐와 관련한 지급 대상자, 총 지급 금액, 지급 목적, 지급처 정보 및 사용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폐 발행부는,
    상기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의 사용자, 사용 매장, 사용 한도금액, 사용 물품 및 사용 지역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상기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상기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폐 발행부는,
    상기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특정 지급 대상자에 상응하는 월렛에 대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의 사용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폐 발행부는,
    상기 발행 옵션에 근거하여 퍼블릭 블록체인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 중 어느 하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상기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거래 요청신호에 포함된 결제 관련정보와 상기 사용규칙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와의 사이에 매칭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승인된 거래 요청신호에 한해서 상기 암호화 화폐에 기반한 결제 절차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
  8.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장치의 암호화 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암호화 화폐의 발행 옵션을 설계하고, 상기 발행 옵션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규칙 정보가 적용된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과정;
    상기 암호화 화폐의 배포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배포 대상에 상응하는 사용자로의 상기 암호화 화폐에 대한 배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거래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거래 요청신호 및 상기 암호화 화폐의 상기 사용규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결제 절차의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거래 요청신호에 포함된 결제 관련정보와 상기 사용규칙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와의 사이에 매칭여부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따라 승인된 거래 요청신호에 한해서 상기 암호화 화폐에 기반한 결제 절차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 화폐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90004500A 2018-01-25 2019-01-14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70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265 2018-01-25
KR20180009265 2018-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700A true KR20190090700A (ko) 2019-08-02
KR102170025B1 KR102170025B1 (ko) 2020-10-26

Family

ID=6761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500A KR102170025B1 (ko) 2018-01-25 2019-01-14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07B1 (ko) * 2021-03-02 2021-09-01 주식회사 에이아이댑스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1852B2 (ja) * 2008-04-04 2013-07-10 株式会社三共 電子マネー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サーバ
JP2013235399A (ja) * 2012-05-08 2013-11-21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ポイント処理システム、ポイント処理方法およびポイント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27239A (ko) * 2015-08-26 2017-03-09 (주)에스엔씨씨 커뮤니티 내에서 가치를 공유하고 거래하는 기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1852B2 (ja) * 2008-04-04 2013-07-10 株式会社三共 電子マネー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サーバ
JP2013235399A (ja) * 2012-05-08 2013-11-21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ポイント処理システム、ポイント処理方法およびポイント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27239A (ko) * 2015-08-26 2017-03-09 (주)에스엔씨씨 커뮤니티 내에서 가치를 공유하고 거래하는 기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07B1 (ko) * 2021-03-02 2021-09-01 주식회사 에이아이댑스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025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1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token transaction processing
US20210351915A1 (en) Multi-blockchain digital transaction information segregation system
KR101852935B1 (ko) 전자 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75623A1 (en) Distributed ledger based system and method for the settlement and transfer of title to real estate
US20150046337A1 (en) Offline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US11978084B2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ebit network as an intermediary between distributed ledgers
KR101908701B1 (ko)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478287A (zh) 分发令牌和管理令牌关系的方法
CN109478282A (zh) 通过交易装置进行数字资产分发
KR101879353B1 (ko)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1194A (ko) 비트코인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CA3007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token transaction processing
KR102182072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US11893601B2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loyalty points payments using distributed ledgers
KR102387543B1 (ko) 포인터 환원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중개 및 유통시스템
KR102290481B1 (ko) 블록 체인 기반 부동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70025B1 (ko)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19394A (ko) 블록체인원장시스템을 이용한 부동산 안전거래 제공방법
KR102180919B1 (ko) 디지털 자산관리를 위한 전자지갑 암호화 시스템
CN113762951A (zh) 同一用户的多个支付端支持离线支付额度的方法、服务端及系统
KR20180089188A (ko) 가상화폐의 환전 및 현금정산 시스템 및 방법
Joy The Future of Crypto-Currency in the Absence of Regulation, Social and Legal Impact
KR20190115297A (ko) 블록체인 거래장부 등록을 위한 부동산거래정보 생성시스템
KR20200088958A (ko) 사용자 의향정보를 이용한 토큰 제공 방법
KR20200004975A (ko) 블록 체인 기반 지불 통합 결제방법 및 결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