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636A - 문서 자동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문서 자동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636A
KR20190090636A KR1020180009579A KR20180009579A KR20190090636A KR 20190090636 A KR20190090636 A KR 20190090636A KR 1020180009579 A KR1020180009579 A KR 1020180009579A KR 20180009579 A KR20180009579 A KR 20180009579A KR 20190090636 A KR20190090636 A KR 20190090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unit
document
end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454B1 (ko
Inventor
권오병
배수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4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

Landscapes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자동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문서의 패턴을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서 패턴에 따라 수동으로 문서를 편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문서를 구성하는 단위 문장을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 등을 이용하여 문서를 구성하는 단위 문장을 인식함으로써 단위 문장별로 문서 패턴을 정확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문장을 구성하는 종결 어미를 판단하여 단위 문장을 서술형, 서술어 줄임형, 명사형 등 다양한 문서 패턴으로 변경할 수 있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서 자동 편집 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editing pattern of document}
본 발명은 문서 자동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문서의 패턴을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서 패턴에 따라 수동으로 문서를 편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문서를 구성하는 단위 문장을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 등을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단위 문장별로 문서 패턴을 정확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문장을 구성하는 종결 어미를 판단하여 단위 문장을 서술형, 서술어 줄임형, 명사형 등 다양한 문서 패턴으로 변경할 수 있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업이나 기관의 많은 업무에서 각기 다른 형식의 양식과 새로운 양식의 문서들이 발생하게 된다. 동일한 문서라고 하더라도 문서의 필요성에 따라 종결 어미를 명사형으로 작성한 문서, 종결 어미를 서술어 줄임말로 작성한 문서, 종결 어미를 서술어로 작성한 문서 등 다양한 패턴의 문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문서의 경우라도 필요에 따라 문장의 종결 어미를 명사형으로 편집하거나, 서술어로 편집하거나, 서술어 줄임말로 편집하는 등의 편집 작업을 수행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다양한 패턴의 문서들은 한컴오피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문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작성된다.
그러나 동일 문서를 다양한 패턴으로 편집하는 작업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동일 문서라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전자 문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서의 패턴을 변경하여 새로운 패턴의 문서로 편집하는데 많은 인원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문서 편집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문서의 패턴을 자동으로 편집할 수 있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문서를 구성하는 단위 문장을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 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인식하여 단위 문장 단위로 문서 패턴을 변경할 수 있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문장을 구성하는 종결 어미를 판단하여 단위 문장을 서술형, 서술어 줄임형, 명사형 등 다양한 문서 패턴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추가하여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이용하여 단위 문장에서 변경되는 어절에 따라 단위 문장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패턴별로 변경한 문장에서 특정 문구를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이용하여 설정한 문구로 자동 변경하여 변경한 문장에서 어색한 표현이나 잘못된 표현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은 기작성된 문서의 문서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와, 문서에 문장 인식 규칙을 적용하여 문서를 이루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여 각 단위 문장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고 패턴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변경하여 문서의 패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문서 패턴은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명사로 변경하는 명사 패턴,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서술어로 변경하는 서술어 패턴 및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서술어 줄임말로 변경하는 줄임말 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문장 인식 규칙은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에 기초하여 문서에서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 단위 문장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문서에서 기호 또는 숫자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문서에서 줄바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에 기초하여 문서에 존재하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여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위 문장을 구분하는 단계는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문장부호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며, 줄바꿈과 함께 기호 또는 숫자로 시작하는 경우 기호 또는 숫자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문장별로 패턴을 변경하는 단계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문서를 구성하는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일괄 변경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는 단계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어절에 해당하는 표준 어절을 표준 어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변경할 어절을 검색한 표준 어절로 변경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은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로부터 설정된 수의 어절로부터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문장별로 패턴을 변경하는 단계는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문구를 판단하는 단계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를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변경할 문구를 검색한 표준 문구로 변경하여 문구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장치는 기작성된 문서의 문서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문서에 문장 인식 규칙을 적용하여 문서를 이루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여 각 단위 문장으로 구분하는 문장 인식부와,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또는 문구 기반 문자 규칙을 적용하여 문서의 패턴을 변경하는 패턴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문장 인식부는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판단하는 문장부호 판단부와, 문서에서 기호 또는 숫자를 판단하는 기호 판단부와, 문서에서 줄바꿈을 판단하는 줄바꿈 판단부와,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에 기초하여 문서에 존재하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인식부는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문장부호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며, 줄바꿈과 함께 기호 또는 숫자로 시작하는 경우 기호 또는 숫자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패턴 변경부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문서를 구성하는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는 종결 어미 판단부와,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일괄 변경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어미 변경부와,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는 어절 기반 규칙부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어절에 해당하는 표준 어절을 표준 어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변경할 어절을 검색한 표준 어절로 변경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어절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패턴 변경부는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문구를 판단하는 문구 기반 규칙부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를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변경할 문구를 검색한 표준 문구로 변경하여 문구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문구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문서의 패턴을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서 패턴에 따라 수동으로 문서를 편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은 문서를 구성하는 단위 문장을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 등을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단위 문장 단위로 문서 패턴을 정확하게 변경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은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문장을 구성하는 종결 어미를 판단하여 단위 문장을 서술형, 서술어 줄임형, 명사형 등 다양한 문서 패턴으로 변경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은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이용함으로써, 단위 문장에서 변경되는 어절에 따라 단위 문장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은 패턴별로 변경한 문장에서 특정 문구를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이용하여 설정한 문구로 자동 변경함으로써, 변경된 문장에서 어색한 표현이나 잘못된 표현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인식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 변경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문서 패턴의 일 예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문장의 구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한 문서에서 단위 문장을 구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패턴을 변환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단위 문장에서 변경 문구를 표준 문구로 변경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30)에는 사용자 단말기(10)와 편집 관리 서버(50)가 접속되어 있는데,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사용자 단말기(10)와 편집 관리 서버(5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거나 문서를 조회하거나 문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PDA, 스마트폰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문서를 작성하거나 기작성된 문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의 문서로 변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의 경우 문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수행되는 변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패턴의 문서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 등록 또는 저장된 문서를 편집 관리 서버(50)로 송신하고 편집 관리 서버(50)에서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된 문서 패턴의 선택 명령에 따라 문서를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패턴 변환한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에는 문서 패턴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애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데, 먼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기작성된 문서의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는 입력된 패턴 선택 명령에 따라 기작성된 문서의 패턴을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입력된 패턴 선택 명령에 따라 기작성된 문서의 패턴을 변경시 서술어 데이터베이스,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 문구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는데, 사용자 단말기(10)는 편집 관리 서버(50)에 접속하여 편집 관리 서버(50)가 제공하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 문구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등록 저장하거나, 기등록 저장된 서술어 데이터베이스,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 문구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는 문서 패턴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애플리케이션을 수행시 기작성된 문서를 선택하고 선택한 문서와 패턴 선택 명령을 함께 편집 관리 서버(50)로 송신한다. 편집 관리 서버(50)는 기작성된 문서를 서술어 데이터베이스,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 문구 기반 문장 규칙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패턴 선택 명령에 따라 문서의 패턴을 변경하고 변경한 패턴의 문서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기작성 문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과 기작성된 문서의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
문장 인식부(130)는 선택한 기작성 문서에서 문서를 구성하는 각 단위 문장을 문장부호, 기호, 숫자 또는 줄바꿈 등으로 인식하여 문서를 단위 문장으로 구분한다.
패턴 변경부(150)는 단위 문장별로 종결 어미를 판단하고 패턴 선택 명령에 따라 단위 문장의 패턴을 명사 패턴, 서술어 패턴 또는 서술어 줄임말 패턴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는데, 패턴 변경부(150)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종결 어미를 판단하거나, 어절 기반 문장 규칙에 따라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여 해당 변경 어절을 표준 어절로 변경하거나, 문구 기반 문장 규칙에 따라 변경할 문구를 판단하여 해당 변경 문구를 표준 문구로 변경한다.
여기서 서술어 종결 어미,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또는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은 데이터베이스부(170)에는 등록 저장되어 있는데, 패턴 변경부(15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서술어 종결 어미,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또는 문구 기반 문장 규칙에 기초하여 단위 문장별로 패턴을 변경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인식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문장부호 판단부(131)는 선택한 문서에 존재하는 문장부호를 판단하며, 기호 판단부(133)는 선택한 문서에 존재하는 기호 또는 숫자를 판단하며, 줄바꿈 판단부(135)는 선택한 문서에 존재하는 줄바꿈을 판단한다.
인식부(137)는 선택한 문서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에 기초하여 선택한 문서를 구성하는 단위 문장을 인식한다. 여기서 단위 문장이란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로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원칙이나 때로 이런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문장 부호란 온점(.), 물음표(?), 느낌표(!)를 포함하여 문장을 구분하는 문장 부호를 총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단위 문장은 끝에 ‘.’, ‘?’, ‘!’ 따위의 문장부호로 종결되거나, 서술어 줄임말로 종결되거나 명사로 종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 변경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결 어미 판단부(151)는 인식된 단위 문장별로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한다. 여기서 종결 어미는 단위 문장에서 동사에 해당하는 서술어, 서술어 줄임말, 명사형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종결 어미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어미 변경부(153)는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일괄 변경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한다. 즉,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은 선택한 문서 패턴, 예를 들어 서술어, 서술어 줄임말과 같이 단위 문장에서 서술어를 선택한 문서 패턴으로 변경한 단위 문장을 의미한다.
어절 기반 규칙부(155)는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고, 어절 변경부(157)는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어절에 해당하는 표준 어절을 표준 어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변경할 어절을 검색한 표준 어절로 변경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패턴 변경부는 문구 기반 규칙부(158)와 문구 변경부(159)를 더 포함하는데, 문구 기반 규칙부(158)는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문구를 판단하며, 문구 변경부(159)는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를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변경할 문구를 검색한 표준 문구로 변경하여 문구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자동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다수의 문서 중 패턴을 변경하고자 하는 문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고(S110), 또한 다수의 문서 패턴 중 선택한 문서의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S130).
도 6은 문서 패턴의 일 예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문서 패턴은 서술어 패턴, 서술어 줄임말 패턴, 명사형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서술어 패턴은 서술어 종결 어미가 "~다.", "~까?" 등으로 끝나는 문장 패턴을 의미하며, 서술어 줄임말 패턴은 서술어 종결 어미가 "~임", "~함", "~음" 등과 같이 서술어 종결 어미가 "ㅁ"으로 끝나는 문장 패턴을 의미하며, 명사형 패턴은 서술어에 해당하는 명사로 끝나는 문장 패턴을 의미한다.
다시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택한 문서에서 선택한 문서를 구성하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여 선택한 문서를 다수의 단위 문장으로 구분하며(S150),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서술어 패턴, 서술어 줄임말 패턴 또는 명사형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단위 문장을 변경하여 선택한 문서의 패턴을 변경한다(S17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문장의 구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택한 문서를 순차적으로 스캔하며(S151) 스캔 과정에서 문서 중 문장 부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52).
문장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문장 부호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 그룹을 인식한다(S153). 즉, 문서의 스캔 과정에서 문장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현재 문장 부호와 이전 문장 부호 사이를 단위 문장 그룹으로 인식하게 된다.
단위 문장 그룹에 기호 또는 숫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155), 단위 문장 그룹에 기호 또는 숫자가 존재하는 경우 기호 또는 숫자의 이전에 줄바꿈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156). 여기서 기호는 ●, ○, ◎, ◆, ▶ 등과 같이 문서를 작성시 새로 시작하는 문장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를 의미하며, 숫자는 1, 1), ①, ⅰ, Ⅰ 등과 같이 문서를 작성시 새로 시작하는 문장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호 또는 다양한 종류의 숫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단위 문장 그룹에서 기호 또는 숫자가 존재하며 동시에 기호 또는 숫자의 이전에 줄바꿈이 발생한 경우 기호 또는 숫자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한다(S157).
한편, 단위 문장 그룹에서 기호 또는 숫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기호 또는 숫자가 존재하더라도 동시에 기호 또는 숫자의 이전에 줄바꿈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문장 부호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한다(S158).
기호 또는 숫자를 기준으로 인식한 단위 문장과 문장 부호를 기준으로 인식한 단위 문장에 기초하여 선택한 문서를 다수의 단위 문장으로 구분한다(S159).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한 문서에서 단위 문장을 구분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한 문서에서 문장 부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문장 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현재 문장 부호(.)와 이전 문장 부호(.) 사이를 단위 문장 그룹으로 인식하게 된다.
단위 문장 그룹에서 1, 2, 3, 4의 숫자가 존재하며 동시에 숫자 이전에 줄바꿈이 발생한 경우 각 숫자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한다.
한편,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위 문장 그룹에서 ◆의 기호가 존재하며 동시에 기호 이전에 줄바꿈이 발생한 경우 각 기호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패턴을 변환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식한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한다(S171). 단위 문장에는 반드시 종결어가 포함하는데, 종결어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종결어의 종결 어미를 판단한다.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는 "~다.", "~까?" 등으로 끝나는 서술어 종결 어미, "~임", "~함", "~음" 등으로 끝나는 서술어 줄임말 종결 어미, 명사 형태의 명사형 종결 어미 등 다양한 종결 어미 형태의 종결어가 저장되어 있다.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한 경우, 선택한 문서에 존재하는 모든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선택한 패턴에 따라 일괄 변경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한다(S173).
생성한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어절을 판단한다(S175).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어절에 해당하는 표준 어절을 표준 어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변경할 어절을 검색한 표준 어절로 변경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한다(S176). 변경할 어절은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의 종결어로부터 설정된 변경수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어절 기반 문장 규칙에서 변경수를 3으로 설정하는 경우 종결어로부터 3개의 어절을 사용자가 선택한 패턴에 따라 변경한다. 바람직하게 변경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8년 평창 올림픽에 참가할 스키팀을 30세 이하의 선수를 중심으로 구성한다"라는 단위 문장이 존재하며 해당 단위 문장을 명사형 패턴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종결어인 "구성한다"에서 서술어 종결 어미(~한다)를 제거하여 명사형 패턴인 "구성"으로 변경하며 종결어로부터 변경수인 3개의 어절에 해당하는 어절 "선수를", "중심으로"도 조사를 제거한 표준 어절의 명사형으로 함께 변경한다. 따라서 어절 기반 문장 규칙에 따라 변경된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은 "2018년 평창 올림픽에 참가할 스키팀을 30세 이하의 선수 중심 구성"과 같이 변경된다.
한편, "2018년 평창 올림픽에 참가할 스키팀을 30세 이하의 선수 중심 구성"라는 단위 문장이 존재하며 해당 단위 문장을 서술어 패턴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종결어인 "구성"에서 서술어 종결 어미를 추가한 표준 어절의 서술어 패턴인 "구성한다"로 변경하며, 종결어로부터 변경수인 3개 어절에 해당하는 어절 "선수", "중심"에 조사를 추가한 표준 어절로 변경하여 어절 기반 문장 규칙에 따라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은 "2018년 평창 올림픽에 참가할 스키팀을 30세 이하의 선수를 중심으로 구성한다"와 같이 변경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서술어 패턴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서술어의 시제를 현재, 과거 또는 미래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시제에 따라 종결어의 서술어 시제가 변경된다.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문구를 판단하며(S177),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변경할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를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변경할 문구를 검색한 표준 문구로 변경하여 문구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한다(S179).
도 10은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수의 어절로 이루어진 변경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가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며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 문구가 존재하는 변경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를 검색하여 해당 변경 문구를 표준 문구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단위 문장에서 "높일 수 있음"이라는 변경 문구는 "향상 가능"이라는 표준 문구로 변경된다.
도 11은 단위 문장에서 변경 문구를 표준 문구로 변경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위 문장을 서술어 패턴, 서술어 줄임말 패턴, 명사형 패턴으로 상호 변경되는 과정에서 어색한 표현이나 잘못된 표현이 존재하는 경우, 문구 기반 문장 규칙에 따라 재차 단위 문장을 변경함으로써, 문서 패턴의 변경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색한 표현이나 잘못된 표현을 사용자의 추가적인 작업없이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30: 네트워크
50: 편집 관리 서버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문장 인식부 150: 패턴 변경부
170: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4)

  1. 기작성된 문서의 문서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문서에 문장 인식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문서를 이루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여 각 단위 문장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고 상기 패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변경하여 상기 문서의 패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패턴은
    상기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명사로 변경하는 명사 패턴, 상기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서술어로 변경하는 서술어 패턴 및 상기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서술어 줄임말로 변경하는 줄임말 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인식 규칙은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에서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규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문장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서 기호 또는 숫자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서 줄바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 기호, 숫자, 줄바꿈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에 존재하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여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문장을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문장부호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며,
    줄바꿈과 함께 기호 또는 숫자로 시작하는 경우 기호 또는 숫자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문장별로 패턴을 변경하는 단계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를 구성하는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일괄 변경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상기 변경할 어절에 해당하는 표준 어절을 표준 어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변경할 어절을 검색한 표준 어절로 변경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은
    상기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로부터 설정된 수로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문장별로 패턴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문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상기 변경할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를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변경할 문구를 검색한 표준 문구로 변경하여 문구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방법.
  9. 기작성된 문서의 문서 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문서에 문장 인식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문서를 이루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여 각 단위 문장으로 구분하는 문장 인식부;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 또는 문구 기반 문자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문서의 패턴을 변경하는 패턴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패턴은
    상기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명사로 변경하는 명사 패턴, 상기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서술어로 변경하는 서술어 패턴 및 상기 단위 문장의 종결 어미를 서술어 줄임말로 변경하는 줄임말 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 인식부는
    상기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판단하는 문장부호 판단부;
    상기 문서에서 기호 또는 숫자를 판단하는 기호 판단부;
    상기 문서에서 줄바꿈을 판단하는 줄바꿈 판단부; 및
    상기 문장부호, 기호, 숫자, 줄바꿈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에 존재하는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문서에서 문장부호가 존재하는 경우 문장부호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며,
    줄바꿈과 함께 기호 또는 숫자로 시작하는 경우 기호 또는 숫자를 기준으로 단위 문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변경부는
    서술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를 구성하는 각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판단하는 종결 어미 판단부;
    상기 단위 문장에서 종결 어미를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일괄 변경하여 어미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어미 변경부;
    상기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 어절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어미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어절을 판단하는 어절 기반 규칙부;
    상기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상기 변경할 어절에 해당하는 표준 어절을 표준 어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변경할 어절을 검색한 표준 어절로 변경하여 어절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어절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변경부는
    상기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 문구 기반 문장 규칙을 적용하여 상기 어절 변경 단위 문장에서 변경할 문구를 판단하는 문구 기반 규칙부; 및
    상기 선택한 문서 패턴에 따라 상기 변경할 문구에 해당하는 표준 문구를 표준 문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변경할 문구를 검색한 표준 문구로 변경하여 문구 변경 단위 문장을 생성하는 문구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자동 편집 장치.
KR1020180009579A 2018-01-25 2018-01-25 문서 자동 편집 방법 KR10201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79A KR102015454B1 (ko) 2018-01-25 2018-01-25 문서 자동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79A KR102015454B1 (ko) 2018-01-25 2018-01-25 문서 자동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36A true KR20190090636A (ko) 2019-08-02
KR102015454B1 KR102015454B1 (ko) 2019-08-28

Family

ID=6761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79A KR102015454B1 (ko) 2018-01-25 2018-01-25 문서 자동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4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790A1 (en) * 2020-09-30 2022-04-07 Mimos Berhad System and method for text processing
KR20220046771A (ko) * 2020-10-08 2022-04-15 (주)에어사운드 문장 구두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2177156A1 (ko) * 2021-02-18 2022-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917A (ko) * 2008-09-09 2010-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체 변환 장치, 문체 변환 방법, 저장 매체, 자동 대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8474A (ko) * 2009-10-08 2011-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장경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10103580A (ko) * 2010-03-15 2011-09-21 한국과학기술원 형태소 분석을 통한 한국어 문장 유형 자동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70030434A (ko) * 2016-09-05 2017-03-17 주식회사 위버플 문장 추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917A (ko) * 2008-09-09 2010-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체 변환 장치, 문체 변환 방법, 저장 매체, 자동 대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8474A (ko) * 2009-10-08 2011-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장경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10103580A (ko) * 2010-03-15 2011-09-21 한국과학기술원 형태소 분석을 통한 한국어 문장 유형 자동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70030434A (ko) * 2016-09-05 2017-03-17 주식회사 위버플 문장 추출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Shim et al., Integrated multi-strategic web document pre-processing for sentence and word boundary detection, Information p. & m. Vol.38, Elsevier science Ltd, (200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790A1 (en) * 2020-09-30 2022-04-07 Mimos Berhad System and method for text processing
KR20220046771A (ko) * 2020-10-08 2022-04-15 (주)에어사운드 문장 구두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2177156A1 (ko) * 2021-02-18 2022-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454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0029B2 (en) Reply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807098B (zh) 模型训练方法和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WO2019184217A1 (zh) 热点事件分类方法、装置及存储介质
TWI437449B (zh) 多重模式輸入方法及輸入方法編輯器系統
US20160188569A1 (en) Generating a Table of Contents for Unformatted Text
CN109033244B (zh) 搜索结果排序方法和装置
CN103777774B (zh) 终端装置及输入法的文字纠错方法
JP2010518534A (ja) 文脈上の入力方法
KR102015454B1 (ko) 문서 자동 편집 방법
CN112541095B (zh) 视频标题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WO2009087996A1 (ja) 情報抽出装置及び情報抽出システム
CN112988784B (zh) 数据查询方法、查询语句生成方法及其装置
CN112966081A (zh) 处理问答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7493937B2 (ja) 文書における見出しのシーケンスの識別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11602129B (zh) 针对注释和墨迹的智能搜索
US8244732B2 (en) Named entity marking apparatus, named entity mark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JP2010134922A (ja) 類似語決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5260396A (zh) 字词检索方法和装置
CN111046627A (zh) 一种中文文字显示方法及系统
JP7054731B2 (ja) 対話システム
CN105512335B (zh) 一种摘要搜索方法和装置
CN107908792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CN110967030A (zh) 一种用于车载导航的信息处理方法及其装置
KR20220054753A (ko) 음성 검색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컴퓨터 판독 가능 한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4297381A (zh) 文本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