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605A -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605A
KR20190090605A KR1020180009512A KR20180009512A KR20190090605A KR 20190090605 A KR20190090605 A KR 20190090605A KR 1020180009512 A KR1020180009512 A KR 1020180009512A KR 20180009512 A KR20180009512 A KR 20180009512A KR 20190090605 A KR20190090605 A KR 2019009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olecule
sample
membrane structure
adhesi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256B1 (ko
Inventor
전상렬
김규남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메타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포어 filed Critical (주)메타포어
Priority to KR102018000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256B1/ko
Priority to PCT/KR2019/001101 priority patent/WO2019147070A1/ko
Publication of KR2019009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는,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통과시키는 미세 홀들을 가지는 멤브레인 구조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일 면 측에 위치하며,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를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에 접촉시키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타 면 측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수집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시료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체분자가 분리된 잔여 시료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과 접촉시키면서 상기 일 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1 유로를 포함하여, 생체분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생체분자 분리 과정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 이외의 물질에 의한 멤브레인 구조체의 폐색과 이로 인한 필터링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생체분자 수득률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Biomolecule filter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eparating biomolecul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미세 홀이 형성된 멤브레인 구조체를 이용하여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필터링하는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분자(biomolecule)는 핵산, 단백질, 미세 소포 등과 같이 생체를 구성하는 물질 또는 생체에서 유래된 물질을 말한다. 최근, 세포들 간 신호 전달 물질인 엑소좀(exosome)을 이용하여 암이나 알츠하이머 등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엑소좀과 같은 특정 생체분자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420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포 단백질에 달라붙는 항체를 마이크로 칩에 고정시켜 체액 내 소포를 분리하는 기존 기술은, 전처리 과정으로서 원심 분리 과정을 거쳐야 하며 항체를 고정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생체분자의 손상을 초래하고 생체분자 분리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051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은 다공막이 설치된 채널에 시료를 충전하여 정적인 상태의 시료에서 생체물질을 필터링하기 때문에, 시료에 포함된 다른 물질에 의해 다공막이 폐색되고 이로 인해 필터링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의 분리 과정에서 생체분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 이외의 물질에 의한 멤브레인 구조체의 폐색과 이로 인한 필터링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생체분자 수득률을 개선하는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는,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통과시키는 미세 홀들을 가지는 멤브레인 구조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일 면 측에 위치하며,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를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에 접촉시키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타 면 측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수집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시료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체분자가 분리된 잔여 시료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과 접촉시키면서 상기 일 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1 유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는, 지지 구조를 이루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윈도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윈도 셀은 각각,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구; 및 일정 크기 이하의 생체분자를 통과시키는 미세 홀들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를 커버하는 다공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유로는,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에 미앤더(meander) 형태의 시료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유로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를 연결하는 미앤더 형태의 제1 유로 홈부; 및 상기 제1 유로 홈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시료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1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고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고무 부재가 설치되는 설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유로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1 접착부를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벤트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에서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유로 홈부로 접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접착제 차단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를 통해 분리된 생체분자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 및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이동시켜 상기 제2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에서 나오는 생체분자의 이동을 일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부,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동된 생체분자를 수집하여 상기 제2 배출구로 전달하는 수집 홈부를 가지는 제2 유로 홈부; 및 상기 제2 유로 홈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생체분자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격벽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과 접착되는 제2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벤트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부는, 상기 제2 접착부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에서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유로 홈부로 접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접착제 차단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10)는,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 수용부; 상기 시료 수용부와 상기 생체분자 필터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시료 공급관; 상기 생체분자 필터의 제1 배출구와 상기 시료 수용부를 연결하는 시료 회수관; 및 상기 시료 수용부에 수용된 시료를 시료 공급관, 생체분자 필터, 시료 회수관 및 시료 수용부의 순서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생체분자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생체분자를 수용하는 생체분자 수용부; 및 상기 생체분자 필터의 제2 배출관과 상기 생체분자 수용부를 연결하는 생체분자 수집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다공성 구조를 가진 멤브레인 구조체를 통해 필터링하는 방식으로 분리함으로써, 생체분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생체분자 분리 과정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멤브레인 구조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시료를 이동시키면서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필터링함으로써,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 이외의 물질에 의한 멤브레인 구조체의 폐색과 이로 인한 필터링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량의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며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필터링함으로써, 생체분자 확보에 필요한 시료의 양을 감소시키면서도 생체분자 수득률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구조체의 지지 구조를 이루는 기판에 복수의 윈도 셀을 형성하여 각각의 윈도 셀 단위로 다공막을 배치 및 지지함으로써, 다공막이 나노 사이즈 두께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다공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구조체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멤브레인 구조체의 취급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체분자 필터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생체분자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멤브레인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 하우징의 내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2 하우징의 내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체분자’는 핵산, 단백질, 미세 소포 등과 같이 생체를 구성하는 물질과 생체에서 유래된 물질은 물론, 이러한 물질들이 결합, 분해, 변형, 또는 변이되어 이루어진 모든 물질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100)가 전방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100)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멤브레인 구조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멤브레인 구조체의 일 면 측에 위치하며,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의 일 면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110)은 제1 배출구(111), 유입구(112) 및 제1 유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12)는, 제1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시료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유입구(112)는 제1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형성된 시료 공급관 삽입용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말단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면까지 연장된 관통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1)는, 유입구(112)로 유입된 시료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체분자가 분리된 잔여 시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배출구(111)는 제1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형성된 시료 회수관 삽입용 돌출부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면에서 상기 시료 회수관 삽입용 돌출부의 말단부까지 연장된 관통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1 하우징(110)의 제1 유로는,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의 일 면과 접촉시키면서 상기 일 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 후 제1 배출구(11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벤트 홀(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생체분자 필터(100)가 후방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100)의 제2 하우징(120)은, 멤브레인 구조체의 일 면 측에 위치한 제1 하우징(110)에 대응하여 멤브레인 구조체의 타 면 측에 위치하며, 멤브레인 구조체의 타 면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수집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하우징(120)은 제2 배출구(121) 및 제2 유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구(121)는, 멤브레인 구조체를 통해 분리된 생체분자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2 배출구(121)는 제2 하우징(120)의 외부면에 형성된 생체분자 수집관 삽입용 돌출부와,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내부면에서 상기 생체분자 수집관 삽입용 돌출부의 말단부까지 연장된 관통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2 하우징(120)의 제2 유로는,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수집하여 제2 배출구(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하우징(120)은 제2 하우징(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벤트 홀(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생체분자 필터(100)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일 면 측에 위치하며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상기 일 면과 결합되고, 제2 하우징(120)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타 면 측에 위치하며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상기 타 면과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멤브레인 구조체(1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멤브레인 구조체(130)를 수용하며, 상기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일 면과 결합되고 제2 하우징(120)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타 면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멤브레인 구조체(13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구조체(130)는 기판(132) 및 복수의 윈도 셀(13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32)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지지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132)은 실리콘 또는 실리콘 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32)은 잔류 응력으로 인한 기판의 변형이나 크랙(crack)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기판에 산화 실리콘(SiO2) 층을 적층한 적층 구조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윈도 셀(134)은, 기판(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행과 열을 가지는 격자 내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윈도 셀(134)은, 기판(110)을 관통하는 관통구, 및 일정 크기 이하의 생체분자를 통과시키는 나노 사이즈의 미세 홀들을 가지며 기판(110)에 적층되어 상기 관통구의 일 측 개구를 커버하는 다공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의할 점은, 시료에 포함된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는, 윈도 셀(134)의 관통구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관통구를 커버하고 있는 다공막에 형성된 미세 홀들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라는 점이다.
즉, 윈도 셀(134)의 크기와 형태는,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의 크기와는 무관한 것이며, 윈도 셀(134)을 구성하는 다공막의 강도와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기판(110)이 50×50mm 사이즈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윈도 셀(134)은 1.2×1.2mm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윈도 셀(134)을 구성하는 다공막은 질화 실리콘(Si3N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공막이 DFR(dry film resist)이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이 아닌 질화 실리콘으로 구성되는 경우, 나노 사이즈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미세 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막은 50nm 이상 500nm 이하 범위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막 강도와 생체분자 분리 효율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다공막은 100nm 이상 300nm 이하 범위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공막에 형성된 미세 홀(h)의 크기는,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윈도 셀(134)의 다공막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 홀(h)은 10nm 이상 3000nm 이하 범위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가 엑소좀(exosome)인 경우, 윈도 셀(134)의 다공막에 형성되는 미세 홀(h)은 10nm 이상 300nm 이하 범위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제1 하우징(110)의 내부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은 제1 배출구(111), 유입구(112) 및 제1 유로(113)을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제1 접착부(114), 제1 접착제 수용 홈(115), 제1 벤트 홀(116), 제1 외벽부(11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입구(112)는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가 제1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배출구(111)는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시료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체분자가 분리된 잔여 시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유입구(112)와 제1 배출구(111)를 연결하는 제1 유로(113)는,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일 면과 접촉시키면서 상기 일 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 후 제1 배출구(11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유로(113)는 유입된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윈도 셀들과 충분히 접촉시킨 후 제1 배출구(111)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로(113)는 유입구(112)와 제1 배출구(111)를 연결하는 미앤더(meander) 형태의 시료 이동 경로를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일 면에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113)는 도 5와 같이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130) 상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1 배출구(111) 측으로 점진적으로 진행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113)는 제1 유로 홈부(113a) 및 제1 격벽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 홈부(113a)는, 유입구(112)와 제1 배출구(111)를 연결하는 홈 구조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앤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격벽부(113b)는, 제1 유로 홈부(113a)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1 유로 홈부(113a)에서의 시료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0)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일 면과 제1 유로(113)의 제1 격벽부(113b)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실링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는 접착성과 방수성을 가진 고분자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실링 부재는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일 면에 밀착되는 고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격벽부(113b)는 상기 고무 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설치 홈(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격벽부(113b)는 제1 유로 홈부(113a)와 후술되는 제1 접착부(114)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접착제 차단 홈(11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제 차단 홈(113d)은 제1 접착부(114)와 멤브레인 구조체(130)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에서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접착제가 제1 유로 홈부(113a)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착부(114)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분으로서,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일 면에 접착된다. 이 경우, 제1 접착부(114)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1 유로(113)의 제1 격벽부(113b)와 단차를 가지며 제1 격벽부(113b)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114)는 윈도 셀(134)이 형성되지 않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테두리 부분과 접착되도록 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제 수용 홈(115)은, 제1 접착부(114)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기본적으로 제1 접착부(114)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착제 수용 홈(115)은 제1 접착부(114)와 멤브레인 구조체(130)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며 멤브레인 구조체(130)와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착부(114)가 환형 구조로 구성될 경우, 제1 접착제 수용 홈(115)은 제1 접착부(114)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벤트 홀(116)은, 제1 접착부(114)를 제1 하우징(110)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제1 벤트 홀(116)은 제1 접착부(114)와 멤브레인 구조체(130) 간의 접착시 발생하는 가스나 잔량의 접착제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벤트 홀(116)은 제1 접착제 수용 홈(115)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부(117)는, 제1 하우징(110)의 최외각 구조로서,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멤브레인 구조체(130)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외벽부(117)는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 부분과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외벽부(117)는 제1 접착부(114)나 제1 접착제 수용 홈(115)과 같이 미리 접착제로 도포되지 않아도, 제1 접착부(114)와 제1 접착제 수용 홈(115)이 멤브레인 구조체(130)와 접착되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접착제에 의해 멤브레인 구조체(130)와 접착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 3에 도시된 제2 하우징(120)의 내부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20)은 제2 배출구(121) 및 제2 유로(123)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제2 접착부(124), 제2 접착제 수용 홈(125), 제2 벤트 홀(126), 제2 외벽부(127)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배출구(121)는 멤브레인 구조체(130)를 통해 분리된 생체분자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유로(123)는,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타 면에서 각 윈도 셀(134)의 미세 홀들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이동시켜 제2 배출구(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유로(123)는 제2 유로 홈부(123a, 123b) 및 제2 격벽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 홈부(123a, 123b)는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타 면과 제2 배출구(121)를 연결하는 홈 구조로서, 복수의 가이드 홈부(123a) 및 수집 홈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홈부(123a)는,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타 면에서 각각의 윈도 셀(134)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의 이동을 일정 방향, 즉 수집 홈부(123b)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홈들로서,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윈도 셀들이 형성된 영역을 커버하도록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된 긴 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집 홈부(123b)는, 복수의 가이드 홈부(123a)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동된 생체분자를 수집하여 제2 배출구(121)로 전달하는 홈으로서, 각각의 가이드 홈부(123a)와 제2 배출구(12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격벽부(123c)는, 제2 유로 홈부(123a, 123b)의 주변에 형성되어 생체분자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하우징(120)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타 면과 제2 격벽부(123c)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는 접착성과 방수성을 가진 고분자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격벽부(123c)는 제2 유로 홈부(123a, 123b)와 후술되는 제2 접착부(124)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착제 차단 홈(12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제 차단 홈(123d)은 제2 접착부(124)와 멤브레인 구조체(130)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에서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접착제가 제2 유로 홈부(123a, 123b)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접착부(124)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분으로서,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타 면에 접착된다. 이 경우, 제2 접착부(124)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2 유로(123)의 제2 격벽부(123c)와 단차를 가지며 제2 격벽부(123c)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부(124)는 윈도 셀(134)이 형성되지 않은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테두리 부분과 접착되도록 환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제 수용 홈(125)은, 제2 접착부(124)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기본적으로 제2 접착부(124)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착제 수용 홈(125)은 제2 접착부(124)와 멤브레인 구조체(130)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며 멤브레인 구조체(130)와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접착부(124)가 환형 구조로 구성될 경우, 제2 접착제 수용 홈(125)은 제2 접착부(124)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벤트 홀(126)은, 제2 접착부(124)를 제2 하우징(120)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벤트 홀(126)은 제2 접착부(124)와 멤브레인 구조체(130) 간의 접착시 발생하는 가스나 잔량의 접착제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벤트 홀(126)은 제2 접착제 수용 홈(125)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벽부(127)는, 제2 하우징(120)의 최외각 구조로서,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멤브레인 구조체(130)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외벽부(127)는 멤브레인 구조체(130)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 부분과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외벽부(127)는 제2 접착부(124)나 제2 접착제 수용 홈(125)과 같이 미리 접착제로 도포되지 않아도, 제2 접착부(124)와 제2 접착제 수용 홈(125)이 멤브레인 구조체(130)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접착제에 의해 멤브레인 구조체(130)와 접착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10)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10)는, 상술한 여러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100)를 이용하여 시료가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동적 상태에서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분리해낸다. 이를 위해,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10)는 생체분자 필터(100)와 함께, 시료 수용부(200), 시료 공급관(300), 시료 회수관(400) 및 펌프(50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생체분자 수집관(600), 생체분자 수용부(7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료 수용부(200)는,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를 수용한다. 시료 수용부(200)는 수용된 시료를 시료 공급관(300)을 통해 생체분자 필터(100)로 공급하는 한편, 생체분자 필터(100)로부터 배출된 잔여 시료를 시료 회수관(400)을 통해 회수하여 다시 수용할 수 있다.
시료 공급관(300)은, 관 형태의 부재로서, 시료 수용부(200)와 생체분자 필터(100)의 유입구(112)를 연결하여, 시료 수용부(200)에 수용된 시료가 생체분자 필터(100)에 유입되도록 한다.
시료 회수관(400)은, 관 형태의 부재로서, 생체분자 필터(100)의 제1 배출구(111)와 시료 수용부(200)를 연결하여, 생체분자 필터(100)에서 배출되는 잔여 시료가 시료 수용부(200)에 반환되도록 한다.
펌프(500)는, 시료에 압력을 작용시켜 시료 수용부(200)에 수용된 시료를 시료 공급관(300), 생체분자 필터(100), 시료 회수관(400) 및 시료 수용부(200)의 순서로 이동 또는 순환시킨다. 이 경우, 펌프(500)는 시료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만큼 반복 순환시킬 수 있다. 펌프(500)는 도 7과 같이 시료 공급관(300) 라인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시료에 압력을 가하여 시료를 순환시킬 수 있다면, 펌프(500)의 종류, 형태, 설치 위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분자 필터(100)는 시료 공급관(300)과 연결된 제1 하우징(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시료가 유입되면, 유입된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130) 상에 형성된 미앤더 형태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필터링하고, 생체분자가 필터링된 잔여 시료를 시료 회수관(400)을 통해 시료 수용부(200)로 반환한다.
한편, 생체분자 필터(100)는 멤브레인 구조체(130)를 통해 필터링된 생체분자를 제2 하우징(120)의 제2 배출구(121)를 통해 배출한다.
생체분자 수용부(700)는 생체분자 필터(100)를 통해 필터링된 생체분자를 수용한다. 생체분자 수집관(600)은 관 형태의 부재로서, 생체분자 필터(100)의 제2 배출구(121)과 생체분자 수용부(700)를 연결하여, 생체분자 필터(100)에 의해 필터링되어 배출되는 생체분자가 생체분자 수용부(700)에 수용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10)는 복수의 생체분자 필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생체분자 필터(100)는 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선순위 생체분자 필터(100)의 제2 배출구(121)가 그 다음 차순위 생체분자 필터(100)의 유입구(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생체분자 필터(100)는 멤브레인 구조체(130)에 형성된 미세 홀의 크기가 작아지는 순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생체분자 필터(100)가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10)는 각 생체분자 필터(100)의 제1 배출구(111)에서 배출되는 잔여 시료가 모두 시료 수용부(200)로 회수되도록 구성되거나, 생체분자 필터(100)별로 분리되어 별도로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다수의 미세 홀이 형성된 멤브레인 구조체를 통해 필터링하는 방식으로 분리함으로써, 생체분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생체분자 분리 과정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멤브레인 구조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시료를 이동시키면서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필터링함으로써,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 이외의 물질에 의한 멤브레인 구조체의 폐색과 이로 인한 필터링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량의 시료를 멤브레인 구조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며 시료에 포함된 생체분자를 필터링함으로써, 생체분자 확보에 필요한 시료의 양을 감소시키면서도 생체분자 수득률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구조체의 지지 구조를 이루는 기판에 복수의 윈도 셀을 형성하고 각각의 윈도 셀 단위로 다공막이 배치 및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다공막이 나노 사이즈 두께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다공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 구조체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취급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생체분자 필터 110 : 제1 하우징
111 : 제1 배출구 112 : 유입구
113 : 제1 유로 114 : 제1 접착부
115 : 제1 접착제 수용 홈 116 : 제1 벤트 홀
117 : 제1 외벽부 120 : 제2 하우징
121 : 제2 배출구 123 : 제2 유로
124 : 제2 접착부 125 : 제2 접착제 수용 홈
126 : 제2 벤트 홀 127 : 제2 외벽부
130 : 멤브레인 구조체 132 : 기판
134 : 윈도 셀

Claims (14)

  1.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통과시키는 미세 홀들을 가지는 멤브레인 구조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일 면 측에 위치하며,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를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에 접촉시키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타 면 측에 위치하며,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수집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시료에서 적어도 일부의 생체분자가 분리된 잔여 시료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시료를,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과 접촉시키면서 상기 일 면 상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는,
    지지 구조를 이루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윈도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윈도 셀은 각각,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구; 및
    일정 크기 이하의 생체분자를 통과시키는 미세 홀들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를 커버하는 다공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유로는,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에 미앤더(meander) 형태의 시료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제1 유로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를 연결하는 미앤더 형태의 제1 유로 홈부; 및
    상기 제1 유로 홈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시료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1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과 상기 격벽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고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고무 부재가 설치되는 설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유로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일 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제1 접착부를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 벤트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에서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유로 홈부 측으로 접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접착제 차단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를 통해 분리된 생체분자를 배출하는 제2 배출구; 및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을 통해 나오는 생체분자를 이동시켜 상기 제2 배출구로 전달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에서 나오는 생체분자의 이동을 일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홈부,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동된 생체분자를 수집하여 상기 제2 배출구로 전달하는 수집 홈부를 가지는 제2 유로 홈부; 및
    상기 제2 유로 홈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생체분자의 누출을 방지하는 제2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격벽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의 상기 타 면과 접착되는 제2 접착부; 및
    상기 제2 접착부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2 벤트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부는, 상기 제2 접착부와 상기 멤브레인 구조체 간의 접착 시 해당 접착면에서 유출되는 잔량의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유로 홈부 측으로 접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접착제 차단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필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생체분자 필터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로서,
    필터링 대상 생체분자를 포함한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 수용부;
    상기 시료 수용부와 상기 생체분자 필터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시료 공급관;
    상기 생체분자 필터의 제1 배출구와 상기 시료 수용부를 연결하는 시료 회수관; 및
    상기 시료 수용부에 수용된 시료를 시료 공급관, 생체분자 필터, 시료 회수관 및 시료 수용부의 순서로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분자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생체분자를 수용하는 생체분자 수용부; 및
    상기 생체분자 필터의 제2 배출관과 상기 생체분자 수용부를 연결하는 생체분자 수집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KR1020180009512A 2018-01-25 2018-01-25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KR10213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12A KR102139256B1 (ko) 2018-01-25 2018-01-25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PCT/KR2019/001101 WO2019147070A1 (ko) 2018-01-25 2019-01-25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12A KR102139256B1 (ko) 2018-01-25 2018-01-25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05A true KR20190090605A (ko) 2019-08-02
KR102139256B1 KR102139256B1 (ko) 2020-07-29

Family

ID=6761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12A KR102139256B1 (ko) 2018-01-25 2018-01-25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664B1 (ko) * 2020-08-20 2022-06-24 (주)메타포어 생체분자 분리용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956B1 (ko) * 2015-08-21 2017-01-23 한국기계연구원 세포의 분리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 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956B1 (ko) * 2015-08-21 2017-01-23 한국기계연구원 세포의 분리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256B1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73606A1 (en) Polymer microfiltration devices,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e uses of the microfiltration devices
US4895706A (en) Multi-well filter strip and composite assemblies
JP2010193891A (ja) マイクロチャネル装置を用いた標的分子の検出、分離または単離
JP4964955B2 (ja) 核酸増幅による液体サンプル分析用使い捨て装置
KR102065649B1 (ko)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의 피스톤
CN111542591A (zh) 核酸提取用提取盒
US5409832A (en) Membrane holder for use in an assay device
CN115254219B (zh) 一种离心式微流控检测系统及其检测控制方法
KR102056938B1 (ko) 매트릭스 구조를 가진 멤브레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필터
KR20190090605A (ko)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EP3048163B1 (en) Particle filtering device and particle filtering method
JP4794582B2 (ja) 多機能真空マニフォールド
US20030226796A1 (en) Modular system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liquid sample
CN115400806A (zh) 一体化核酸提取微流控芯片盒和核酸提取及检测方法
KR102056939B1 (ko) 진동자를 가진 생체분자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 동적 분리 장치
CN1331575C (zh) 微射流系统中的微射流部件的实现
CN220040471U (zh) 一种微流控芯片
CN217766050U (zh) 一种多重检测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