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488A - 스틱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스틱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488A
KR20190090488A KR1020180009239A KR20180009239A KR20190090488A KR 20190090488 A KR20190090488 A KR 20190090488A KR 1020180009239 A KR1020180009239 A KR 1020180009239A KR 20180009239 A KR20180009239 A KR 20180009239A KR 20190090488 A KR20190090488 A KR 2019009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stick
cosmetic container
guide
typ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924B1 (ko
Inventor
김규진
Original Assignee
김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진 filed Critical 김규진
Priority to KR102018000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9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재의 전면에 회전되는 다이얼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몸체부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다이얼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부재의 내부에 저장된 고상의 내용물로 이루어진 데오드란트 타입의 화장품을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틱형 화장품 용기{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는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공간부(110)와 연통되는 통공부(120)가 형성되는 몸체부재(100);와, 상기 통공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얼부재(200);와,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되되, 고상의 내용물(10)이 저장되고,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하강수단(300);과, 상기 몸체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데오드란트, 립스틱과 같이 고형 타입의 내용물이 수용되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고형 타입의 내용물이 삽입,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다양한 구조로 생산되고 있으며, 그 일시예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퍼프 일체형 고상 화장품 용기(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0138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퍼프 일체형 고상 화장품 용기”는 고상 또는 반고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휴대형 용기에 있어서, 깔때기형 밑면과 상부에 돌기형 노즐로 구성되는 화장품 토출부와 본 토출부의 노즐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뚫린 퍼프(스폰지)가 노즐 상부에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고상의 선스틱과 같은 화장품을 피부에 바름과 동시에 손에 묻히지 않고 문질러 줄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뿐 아니라 골프, 테니스와 같은 레포츠 활동 시에 손에 화장품이 묻어 미끈거리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퍼프 일체형 고상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바디부(30)을 잡은 상태에서 바디부(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조절나사를 다른 한손으로 회전시켜야 고상의 화장품이 바디부(30)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반드시 양 손을 사용하여야 고상 화장품의 사용이 가능했고,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한 손을 사용하여도 고상 화장품의 사용이 가능한 제품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013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재의 전면에 회전되는 다이얼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몸체부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다이얼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부재의 내부에 저장된 고상의 내용물로 이루어진 데오드란트 타입의 화장품을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상부는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공간부(110)와 연통되는 통공부(120)가 형성되는 몸체부재(100);와, 상기 통공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얼부재(200);와,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되되, 고상의 내용물(10)이 저장되고,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하강수단(300);과, 상기 몸체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후면에는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로 이루어진 제1 기어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300),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기어부(210)와 맞물리는 제2 기어부(311)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하나 이상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312)를 포함하는 회전축부재(310)와,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안내돌기(312)와 맞물리는 나사탭(321a)이 형성되는 연결로드(321)와, 상기 연결로드(3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의 하부가 끼워지는 저장용기부(322)를 포함하는 내용물저장부재(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100)의 상부에는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수단이 승하강시, 상기 저장용기부(322)에 안착된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내용물이동가이드부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1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홈(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얼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돌기(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재의 전면에 회전되는 다이얼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몸체부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검지손가락으로 다이얼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몸체부재의 내부에 저장된 고상의 내용물로 이루어진 데오드란트 타입의 화장품을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정면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구성 중 다이얼부재의 회전시 고상의 내용물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구성 중 다이얼부재의 회전시 고상의 내용물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1)는 크게, 몸체부재(100), 다이얼부재(200), 승하강수단(300) 및 커버부재(400)로 구성된다.
먼저, 몸체부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재(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다이얼부재(200), 승하강수단(300) 및 커버부재(400)와 결합되고, 고상의 내용물(10)을 보관하는 일종의 하우징으로서, 공간부(110), 통공부(120), 내용물이동가이드부재(130) 및 회전가이드홈(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부(110)는 상부가 개구된 상기 몸체부재(100)의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승하강수단(300)이 위치된다.
상기 통공부(120)는 상기 몸체부재(100)의 전면에 상기 공간부(110)와 연통되도록 통공형성되는 일종의 구멍으로서, 상기 다이얼부재(20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부재(200)와 상기 승하강수단(300)이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내용물이동가이드부재(130)는 상기 몸체부재(100)의 상부 둘레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수단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후술할 저장용기부(322)에 안착된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이 한쪽으로 기울여진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으로 올바르게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홈(140)은 상기 몸체부재(100)의 내측 하부에 함몰형성되는 홈으로서, 후술할 회전축부재(310)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재(310)가 제자리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다이얼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이얼부재(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통공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수단(300)과 연결되어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승하강수단(30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하강수단(30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기어부(210) 및 미끄럼방지돌기(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기어부(210)는 도 2, 도 4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후면에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로 이루어진 일종의 톱니바퀴로서, 상기 제1 기어부(210)는 후술할 제2 기어부(311)와 맞물려 상기 다이얼부재(200)를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축부재(310)가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축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돌기(220)는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요철형태의 돌기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얼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승하강수단(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하강수단(300)은 도 2, 도 4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을 지지하고,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부재(200)와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여부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어 상기 몸체부재(100)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축부재(310) 및 내용물저장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부재(31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부가 상기 회전가이드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부재(200)와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축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 기어부(311)와 안내돌기(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기어부(311)는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일종의 톱니바퀴로서, 상기 제1 기어부(210)와 기어결합되도록 맞물려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부재(3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돌기(312)는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안내돌기(312)는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후술할 연결로드(321)의 나사탭(321a)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10)가 축회전하는 경우, 상기 안내돌기(312)를 따라 상기 연결로드(32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내용물저장부재(320)는 상기 회전축부재(310)와 결합되고,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연결로드(321)와 저장용기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로드(321)는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일종의 축(軸)으로서, 상기 연결로드(321)의 외측면에는 사선방향으로 꼬아진 형상의 나사탭(321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10)가 축회전하는 경우, 상기 나사탭(321a)과 연결된 상기 안내돌기(312)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32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저장용기부(322)는 상기 연결로드(3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의 하부가 끼워져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이 상기 내용물저장부재(320)에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커버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재(4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재(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재(100)의 내측에 있는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에 이물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용기(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몸체부재(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재(100)의 전면에 위치한 상기 다이얼부재(2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 기어부(210)와 맞물려 연결된 상기 제2 기어부(311)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재(310)가 축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안내돌기(312)에 의해 상기 안내돌기(312)와 연결된 상기 나사탭(321a)에 의해 상기 내용물저장부재(320)가 상승하여 상기 내용물저장부재(320)에 지지된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이 상기 몸체부재(100) 밖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얼부재(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이 상기 몸체부재(10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스틱형 화장품 용기
10: 내용물
100: 몸체부재 110: 공간부
120: 통공부 130: 내용물이동가이드부재
140: 회전가이드홈
200: 다이얼부재 210: 제1 기어부
220: 미끄럼방지돌기
300: 승하강수단
310: 회전축부재 311: 제2 기어부
312: 안내돌기
320: 내용물저장부재 321: 연결로드
321a: 나사탭 322: 저장용기부
400: 커버부재

Claims (5)

  1. 상부는 개구되고, 내측에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공간부(110)와 연통되는 통공부(120)가 형성되는 몸체부재(100);
    상기 통공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얼부재(200);
    상기 공간부(110)에 위치되되, 고상의 내용물(10)이 저장되고,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승하강수단(300);
    상기 몸체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후면에는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로 이루어진 제1 기어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300),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기어부(210)와 맞물리는 제2 기어부(311)가 형성되며, 내측면에 하나 이상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312)를 포함하는 회전축부재(310)와,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면에 상기 안내돌기(312)와 맞물리는 나사탭(321a)이 형성되는 연결로드(321)와, 상기 연결로드(3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의 하부가 끼워지는 저장용기부(322)를 포함하는 내용물저장부재(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0)의 상부에는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하강수단이 승하강시, 상기 저장용기부(322)에 안착된 상기 고상의 내용물(1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내용물이동가이드부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1).
  4.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부재(3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홈(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1).
  5.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재(2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얼부재(2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돌기(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1)


KR1020180009239A 2018-01-25 2018-01-25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09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239A KR102093924B1 (ko) 2018-01-25 2018-01-25 스틱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239A KR102093924B1 (ko) 2018-01-25 2018-01-25 스틱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488A true KR20190090488A (ko) 2019-08-02
KR102093924B1 KR102093924B1 (ko) 2020-03-26

Family

ID=6761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239A KR102093924B1 (ko) 2018-01-25 2018-01-25 스틱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65B1 (ko) * 2019-08-05 2020-10-19 주식회사 노바텍 버튼 타입 화장품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99Y2 (ko) * 1981-07-28 1988-02-27
JPH10262729A (ja) * 1997-03-24 1998-10-06 Yoshino Kogyosho Co Ltd 棒状化粧品繰り出し容器
KR20080000138U (ko) 2008-01-10 2008-02-04 조덕현 퍼프 일체형 고상 화장품 용기
KR100931968B1 (ko) * 2009-03-06 2009-12-15 장용운 화장품 용기
KR101666012B1 (ko) * 2015-04-28 2016-10-14 (주)연우 스틱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99Y2 (ko) * 1981-07-28 1988-02-27
JPH10262729A (ja) * 1997-03-24 1998-10-06 Yoshino Kogyosho Co Ltd 棒状化粧品繰り出し容器
KR20080000138U (ko) 2008-01-10 2008-02-04 조덕현 퍼프 일체형 고상 화장품 용기
KR100931968B1 (ko) * 2009-03-06 2009-12-15 장용운 화장품 용기
KR101666012B1 (ko) * 2015-04-28 2016-10-14 (주)연우 스틱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65B1 (ko) * 2019-08-05 2020-10-19 주식회사 노바텍 버튼 타입 화장품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924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239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1756977B1 (ko)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는 콤팩트 용기
US8109280B2 (en) Cosmetic product compact having pivoting sections
EP3542666B1 (en) Rotating open-and-closed type cosmetic container
KR200443668Y1 (ko) 화장용브러쉬
KR102476664B1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를 갖는 콤팩트용기
KR200478937Y1 (ko) 화장품 용기
KR20210097018A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1791682B1 (ko)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어 잔량을 방지하는 콤팩트 용기
CN111386058B (zh) 用于以预定角度控制旋转体的旋转角度的杆状化妆品容器
KR200352880Y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JP2000516481A (ja) 化粧料容器及び格納装置
KR20190090488A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US10799008B2 (en) Low profile medicament container
KR102009375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051023B1 (ko) 화장품 용기
KR101931509B1 (ko) 화장품 용기
KR10207665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고형 내용물 승강장치
KR102019460B1 (ko) 화장 도구
KR20200005141A (ko) 수평회전 틸트 개방형 화장품 수납 용기
JPH10262729A (ja) 棒状化粧品繰り出し容器
KR102005894B1 (ko) 화장품 용기
JPS6120982Y2 (ko)
KR102464088B1 (ko) 화장품 용기
CN216135616U (zh) 一种带防尘罩的多功能化妆品收纳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