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478A -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478A
KR20190090478A KR1020180009198A KR20180009198A KR20190090478A KR 20190090478 A KR20190090478 A KR 20190090478A KR 1020180009198 A KR1020180009198 A KR 1020180009198A KR 20180009198 A KR20180009198 A KR 20180009198A KR 20190090478 A KR20190090478 A KR 2019009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ardness
alveolar bone
artificial alveolar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475B1 (ko
Inventor
권순성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dentistry or or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있어서, 3D 프린팅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을 포함하며, 인조 치조골 블록은 복수의 가로살과 복수의 세로살로 구성되는 내부격자;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TOOTH MODEL FOR IMPLANT DRILL TRAINING}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현성있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이 가능한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뼈 밀도(Bone Density) 내지 치조골 밀도의 분류와 관련하여, Lekholm & Zarb Classification, Misch Bone Density Classification 등이 알려져 있다(Reference and Techniques used in Alveolar Bone Classification; JBR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Medicine and Dental Science, Seriwatanachai D, et al., J Interdiscipl Med Dent Sci 2015, 3:2).
도 1은 종래의 뼈 밀도 분류의 예를 나타내는 표로서, Lekholm & Zarb 분류에 따르면, 뼈 밀도는 4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Type 1은 균질한 골피질(Cortical bone)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내고, Type 2는 두꺼운 골피질과 해면골(Trabecular bone)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내며, Type 3은 얇은 골피질과 조밀한 해면골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내고, Type 4는 매우 얇은 골피질과 밀도가 낮은 해면골로 이루어진 뼈를 나타낸다. Misch 분류는 Lekholm & Zarb 분류에 비해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분류이며, D1은 떡갈나무나 단풍나무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내고, D2는 소나무나 가문비나무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내고, D3은 발사목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내며, D4는 스티로폼 정도의 밀도 내지 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해당 Misch 분류를 표시한 턱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악 전방(11)은 주로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드물게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악 후방(12)은 주로 D4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Sinus grafting 등의 경우에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악 전방(21)은 주로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resorbed anterior mandible에서는 25% 정도가 D1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악 후방(22)은 주로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며, 드물게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와 같이, 4개의 그룹(D1,D2,D3,D4)으로 분류되고 나무로 된 블록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드릴링을 실습하는 경우에, 턱뼈 내지 치조골의 실제 상태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D2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블록(예: 소나무 블록 또는 가문비나무 블록)에 드릴링을 행하는 경우에, D2의 밀도 내지 경도는 주로 하악 전방(21)에 해당하지만, 하악 후방(22)과 상악 전방(11)의 턱뼈의 일부도 여기에 해당하므로, 실습자가 이 블록을 턱뼈의 해당 부분 내지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와 매칭을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 D3의 밀도 내지 경도를 가지는 블록(예: 발사목 블록)에 드릴링을 행하는 경우에, D3의 밀도 내지 경도는 주로 상악 전방(11)과 하악 후방(22)에 해당하지만, 상악 후방(12)의 턱뼈의 일부도 여기에 해당하므로, 마찬가지로 실습자가 이 블록을 턱뼈의 해당 부분 내지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와 직관적으로 매칭을 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Misch 분류는 나무를 기준으로 뼈의 밀도 내지는 경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나무의 나이, 나무의 건조 상태, 나무의 부위(중심부냐 외측부냐) 등에 따라 일관된 특성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아, 실제 치조골에 드릴링할 때의 느낌을 실습의 과정에 느끼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즉, 지나치게 세분화되고, 또 이렇게 세분된 블록들이 재현성 내지 일관성을 갖지 않아, 실습의 과정에서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이들의 밀도 내지 경도를 느끼면서 드릴링을 실습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도 3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0314호에 제시된 치아 블록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치아 블록 생성 시스템(30)은 스캔 장치(31) 및 3D 프린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D 프린터(32)는 스캔 장치(31)가 스캐닝한 데이터를 이용해 투명 블록을 실물크기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투명 블록은 내부의 해부학 구조물이 보이도록 형성되어, 환자에게 설명용, 실습용, 수술 연습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의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른 드릴링을 실습할 때, 환자에 실습하는 것과 같이 도 3과 같은 투명 블록에 실습할 수 있다. 임플란트용 홀을 위해 드릴링을 연습할 치조골은 여러 번 드릴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하나의 재료로 형성된 투명 블록은 치조골 및 치아와 일체화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여러 번의 드릴링 실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있어서, 3D 프린팅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을 포함하며, 인조 치조골 블록은 복수의 가로살과 복수의 세로살로 구성되는 내부격자;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뼈 밀도 분류의 예를 나타내는 표,
도 2는 해당 Misch 분류를 표시한 턱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0314호에 제시된 치아 블록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인조 치조골 블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인조 치조골 블록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있어서,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은 베이스(100)와 인조 치조골 블록(200)을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사람의 구강형태로 치아, 잇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10) 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치아 및 잇몸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홈(110)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치아 및 잇몸이 형성될 수 있고, 홈(110)을 덮도록 잇몸이 형성될 수 있다. 홈(1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홈(110)은 입구(111)를 가질 수 있다.
홈(110)에는 인조 치조골 블록(200)이 구비될 수 있다.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을 가지는 내부격자(210)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격자(210)의 외곽을 형성하는 벽(2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격자(210)는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 중 인접한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에 의해 홀(25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은 같은 넓이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 중 인접한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의 간격에 의해 홀(250)의 너비가 결정될 수 있다. 벽(230)은 내부격자(210)보다 치밀하게 형성되어, 내부격자(210)의 밀도보다 벽(230)의 밀도가 높다. 따라서 벽(230)은 내부격자(210)보다 단단하게 형성된다.
베이스(100)는 하악 전방, 상악 전방, 하악 후반, 상악 후방 등에 홈(110)이 골고루 형성되도록 하고, 하악 전방, 상악 전방, 하악 후반, 상악 후방 등에 형성된 홈(110)에 제1 블록(B1;도 5), 제2 블록(B2; 도 5) 및 제3 블록(B3; 도 5)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홈(110)의 위치에 의해 달라지는 해부학적인 뼈의 단단함에 따라서 제1 블록(B1), 제2 블록(B2) 및 제3 블록(B3)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인조 치조골 블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인조 치조골 블록의 예들은 도 4의 AA' 단면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내부격자(210)와 벽(230)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200;B1,B2,B3)은 제1 블록(B1), 제2 블록(B2) 그리고 제3 블록(B3)으로 나눠진다. 제1 블록(B1)은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제1 경도 범위는 85, 75를 포함하는 범위일 수 있다. 제1 경도 내지 제3 경도 범위는 인체와 유사한 경도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습모형의 경도를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제2 블록(B2)은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제2 경도 범위는 65, 50을 포함하는 범위일 수 있다. 제2 블록(B2)은 제1 블록(B1)보다 낮은 경도를 가진다. 제3 블록(B3)은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제3 경도 범위는 제2 경도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족하다(소프트한 재질의 경우 경도를 특정 값으로 표현하기 어려움). 제3 블록(B3)은 제2 블록(B2)보다 낮은 경도를 가진다. 경도 값은 Shore D 타입 경도계를 적용한 값이다.
홈(110)에 구비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제1 블록(B1), 제2 블록(B2) 그리고 제3 블록(B3)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내부격자(210)에 의해 강도가 달라진다. 내부격자(210)는 인접한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에 의해 형성되는 홀(250)의 크기에 의해서 달라진다. 강도가 강할수록 홀(250)의 크기는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가로살(211)의 너비(L)과 복수의 세로살(213)의 너비(W)는 0.5mm로 형성되고, 제1 블록(B1)의 홀(250)의 너비(W1)는 0.2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블록(B2)의 홀(250)의 너비(W2)는 0.5mm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블록(B3)의 홀(250)의 너비(W3)는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벽(230)은 해부학적으로 뼈의 피질골에 해당하며, 내부격자(210)는 뼈의 해면골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피질골은 뼈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빈 공간 없이 단단한 뼈 덩어리이고, 해면골은 피질골 내부에 구비되며, 작은 기둥 모양의 골 소주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에 지방 조직이나 조혈 조직을 가진다. 따라서, 벽(230)은 빈 공간 없이 형성되고, 내부격자(210)에는 홀(250)이 형성된다. 벽(230)은 내부격자(21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벽(230)은 내부격자(210)보다 단단하게 형성되면 되는데, 벽(230)은 빈 공간 없이 형성되기 때문에 같은 재질일 때에도 내부격자(210)보다 벽(230)은 단단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벽(230)과 내부격자(210)가 다른 재질일 때에는 벽(230)이 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벽(230)은 내부격자(210)에 형성된 홀(250)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홀을 가질 수 있다.
벽(230)과 내부격자(210)는 3D 프린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3D 프린팅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초기 프린팅 비용이 저렴하고, 내부격자(210)의 홀(250)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면서 내부격자(210)의 단단함을 조절가능하다.
벽(230)은 홈(110)의 입구(111;도 5)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제로 치조골에 드릴링시 뼈의 치밀골을 뚫고 해면골을 드릴링하게 되는데 이를 재현하기 위해서 벽(230)이 홈(110)의 입구(111)측에 구비되어야 치밀골에 대응하는 벽(230)을 드릴링하고, 해면골에 대응하는 내부격자(210)를 드릴링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릴링 실습시 인조 치조골 블록(200)이 구비된 베이스(100)를 사용하면, 드릴링시 저항감이 느껴지는데, 이 저항감은 벽(230)과 내부격자(210)의 단단함이 다르기 때문에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또한, 하악전방, 상악전방, 하악후반, 상악 후방의 단단함이 다르기 때문에 단단한 정도가 다른 인조 치조골 블록(200)이 위치에 따라 다르게 구비되므로 위치에 따라서 인조 치조골 블록(200)을 다르게 구비하기 때문에 드릴링시 저항감이 다르게 느껴진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베이스(100)에 복수의 홈(110)이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홈(110)은 각각 다른 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조 치조골 블록(200)을 잘라서 넣을 수도 있고, 인조 치조골 블록(200)을 3D 프린트로 홈(110)의 크기 및 위치에 맞게 프린트하여 넣을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인조 치조골 블록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부격자(210)와 벽(230)을 포함하는 인조 치조골 블록(200;B1,B2,B3)은 제1 블록(B1), 제2 블록(B2) 그리고 제3 블록(B3)으로 나눠진다.
내부격자(210)는 인접한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의 두께 및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에 의해 형성되는 홀(250)의 크기에 의해서 달라진다. 도 7에서는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또한, 벽(230)은 드릴링시 내부격자(210)와 다른 저항감이 있도록 형성되면 된다. 즉, 벽(230)의 밀도가 내부격자(210)의 밀도보다 높거나, 벽(230)의 경도가 내부격자(210)의 경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벽(230)은 내부격자(210)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벽(230)에도 복수의 가로살(231)과 복수의 세로살(2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복수의 가로살(231)과 복수의 세로살(233)에 의해 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230)과 내부격자(210)가 같은 재료로 같은 두께의 가로살(211,231)과 같은 두께의 세로살(213,233)을 가지고 있다면 내부격자(210)의 홀(250)보다 벽(230)의 홀(235)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부격자(210)의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 사이의 홀(250)의 크기는 같고 복수의 가로살(211)과 복수의 세로살(213)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벽(2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블록(B1), 제2 블록(B2) 및 제3 블록(B3)의 내부격자(210)를 형성하는 강도가 다른 재료를 사용 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격자(210)의 구조가 서로 같더라도 재료가 다르기 때문에 강도의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는 벽(2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의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c)는 도 8(a)의 AA'단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베이스(100) 및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모두 3D 프린팅 될 수 있다. 베이스(100)에 인조 치조골 블록(200)이 구비되도록 3D 프린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베이스(100) 위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베이스(100)에는 홈(110)이 구비된다. 홈(110)에는 인조 치조골 블록(200)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상악 전방, 상악 후방 또는 하악 전방, 하악 후방의 복수의 경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인조 치조골 블록(200)이 형성되고, 홈(110)은 상악 또는 하악 모양으로 형성된 인조 치조골 블록(200)을 구비할 수 있도록 치조골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위치에 따라서 경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상악(270)과 하악(280)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상악(270)은 상악 전방(271), 상악 후방(273)의 경도에 따라서 경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하악(280)은 하악 전방(281), 하악 후방(283)의 경도에 따라서 경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악(280)의 경우, 도 8(a)의 인조 치조골 블록(200)과 같이 경도가 다른 하악 전방(281), 하악 후방(283)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환자의 잇몸 모양 및 치아 모양, 위치 등에 맞추어질 수 있고, 인조 치조골 블록(200)은 치조골에 해당되며, 치조골 모양 및 치조골 경도에 따라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치조골의 모양, 경도 및 환자의 치아 및 잇몸 모양에 맞추어 인조 치조골 블록(200) 및 베이스(100)를 3D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인조 치조골 블록(200)만 3D 프린팅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100)는 3D프린팅되지 않을 수 있어 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조 치조골 블록(200)만 3D 프린팅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있어서, 3D 프린팅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을 포함하며, 인조 치조골 블록은 복수의 가로살과 복수의 세로살로 구성되는 내부격자;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2) 인조 치조골 블록이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3) 베이스에 형성되며, 인조 치조골 블록이 구비되는 홈;이 형성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4) 인조 치조골 블록은 내부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5) 인조 치조골 블록은: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는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 중 하나인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6) 제1 블록, 제2 블록, 제3 블록의 경도는 인접한 복수의 가로살과 복수의 세로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홀의 크기에 의해 조절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7) 벽은 내부격자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의하면, 인조 치조골 블록은 강도가 조절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의하면, 드릴링시 재현성이 높은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을 가질 수 있다.
100: 베이스 110: 홈 200: 인조 치조골 블록 210: 내부격자 211: 복수의 가로살 213: 복수의 세로살 230: 벽 250: 홀

Claims (7)

  1.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에 있어서,
    3D 프린팅되는 인조 치조골 블록;을 포함하며,
    인조 치조골 블록은 복수의 가로살과 복수의 세로살로 구성되는 내부격자;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조 치조골 블록이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에 형성되며, 인조 치조골 블록이 구비되는 홈;이 형성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인조 치조골 블록은 내부격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인조 치조골 블록은:
    하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1 경도 범위를 가지는 제1 블록;
    하악 후방의 경도 및 상악 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2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1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블록; 그리고,
    상악 후방의 경도에 대응하는 제3 경도 범위를 가지며, 제2 블록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3 블록; 중 하나인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블록, 제2 블록, 제3 블록의 경도는 인접한 복수의 가로살과 복수의 세로살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홀의 크기에 의해 조절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7. 청구항 4에 있어서,
    벽은 내부격자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KR1020180009198A 2018-01-25 2018-01-25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KR10205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98A KR102051475B1 (ko) 2018-01-25 2018-01-25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98A KR102051475B1 (ko) 2018-01-25 2018-01-25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478A true KR20190090478A (ko) 2019-08-02
KR102051475B1 KR102051475B1 (ko) 2019-12-04

Family

ID=6761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98A KR102051475B1 (ko) 2018-01-25 2018-01-25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6046A (zh) * 2019-08-09 2019-12-10 西安交通大学 一种双网络结构三维组织模型及其灌流一体化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61U (ja) * 1992-09-03 1994-04-08 須弥也 保母 歯科教育訓練用顎模型
KR200202252Y1 (ko) * 2000-06-08 2000-11-15 서호정 의치이식을 연습하기 위한 실습교재
JP2016504148A (ja) * 2013-01-23 2016-02-12 チェー,ヒョン−ジン 口腔装置
JP6113868B2 (ja) * 2014-02-05 2017-04-12 三井化学株式会社 義歯床用材料、義歯床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有床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61U (ja) * 1992-09-03 1994-04-08 須弥也 保母 歯科教育訓練用顎模型
KR200202252Y1 (ko) * 2000-06-08 2000-11-15 서호정 의치이식을 연습하기 위한 실습교재
JP2016504148A (ja) * 2013-01-23 2016-02-12 チェー,ヒョン−ジン 口腔装置
JP6113868B2 (ja) * 2014-02-05 2017-04-12 三井化学株式会社 義歯床用材料、義歯床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有床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6046A (zh) * 2019-08-09 2019-12-10 西安交通大学 一种双网络结构三维组织模型及其灌流一体化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475B1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chida et al. A cadaveric study of maxillary sinus size as an aid in bone grafting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Asbell A brief history of orthodontics
Huang et al. Biomechanical effects of a maxillary implant in the augmented sinu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brahams Anatomy of the jaw revisited with a dental CT software program.
KR101256655B1 (ko) 임플란트 수술, 재생 수술 및 수술 술기 교육을 위한 치아 모형
CN109717971B (zh) 一种植骨导板及其制作方法
Garver et al. Vital root retention in humans: a final report
CN115398510A (zh) 用于实践牙外科学技术的颌模型、牙齿模型以及系统
KR102051475B1 (ko)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용 치아모형
CN110236712A (zh) 自体牙移植预备牙槽窝的手术导板及其制作方法以及应用
US20090291416A1 (en) Dental impression matrix tray and method of fabrication for temporary dental prostheses
Hudieb et al. Biomechanical effect of an exposed dental implant’s first thread: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study
CN111630581B (zh) 用于种植体钻孔训练的人造牙槽骨块组
Stegaroiu et al. Peri-implant stress analysis in simulation models with or without trabecular bone structure.
Suenaga et al.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denture foundation area and resorption of alveolar ridge in the edentulous mandible
KR102051473B1 (ko)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을 위한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US20090292379A1 (en) Automated machining of dental block grafts and machining of biocompatible material for bone augmentation
Awuti et al. Morphological comparison of artificial teeth position utilising denture space in glossectomy patients
JP7471318B2 (ja) カスタム歯科用膜
KR102022465B1 (ko) 임플란트 드릴링 실습을 위한 인조 치조골 블록 세트
US11881118B2 (en) Complete denture patient simul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oyal et al. History of impression, impression materials and impression techniques in complete dentures
Wada et al. Implant placement with a guided surgery system based on stress analyses utilizing the bone density: a clinical case report.
ES2971922T3 (es) Método y sistema de fabricación de réplicas de diente con el correspondiente sistema de canales
GB2237138A (en) Model simulating parts of the mou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