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589A - 지열보호와 혼자 설치 및 개폐 가능한 지열보호수단을 내장한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지열보호와 혼자 설치 및 개폐 가능한 지열보호수단을 내장한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589A
KR20190089589A KR1020180008328A KR20180008328A KR20190089589A KR 20190089589 A KR20190089589 A KR 20190089589A KR 1020180008328 A KR1020180008328 A KR 1020180008328A KR 20180008328 A KR20180008328 A KR 20180008328A KR 20190089589 A KR20190089589 A KR 20190089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thermal
support
guide rails
vinyl house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246B1 (ko
Inventor
승경선
하경현
Original Assignee
승경선
하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경선, 하경현 filed Critical 승경선
Priority to KR102018000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 Y02P60/1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A) 내에 나란히 일정 간격으로 두줄로 설치되는 지주(10);
지주(10) 상단에서 각 지주(10)를 나란하게 이어주며 지열 보온덮개 기능의 덮개부(30) 개폐 및 설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두줄의 안내레일(20); 및
각 안내레일(20)을 따라 각 지주 상면을 개폐 가능토록 덮으며 안내레일 사이의 폭방향을 지지하며 안내레일(20)의 일정 길이 마다 놓여지는 지지봉(31)과, 지지봉(31)의 상하면에서 일체로 융착되는 내,외피(32,34)와, 외피(34) 양단에서 지주 외측을 덮는 측면덮개(36)를 포함하여 지열을 보온하는 덮개부(30)를 포함하는 지열보호수단(100)을 가지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이다.

Description

지열보온 가능한 비닐하우스{Vinylhouse with an inner house for maintaining geotherm}
본 발명은 지열보온 가능한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이중 비닐하우스 방식이 국내특허등록1012453호로 개시된바 있고,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식 에어하우스가 국내특허등록10-1779695호가 개시되었으나, 이중 비닐을 사용하여 외부하우스와 내부하우스 간의 공기 순환을 유기적으로 한다는 기본적인 기능 구현에 집중한 것이다.
또한 외부하우스에 태양열을 이용한 하우스가 국내특허등록 10-1354454호로 개시되었으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야 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 보강되어야 하는 등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비닐하우스를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경우 재배 작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평균 12~15℃ 정도를 유지해줘야 하는데 농사용 면세유 값은 리터당 1000원 선으로 매년 10% 가량씩 올라가는 현상이고, 예를 들어 영하 10℃ 이하의 강추위 땐 3300㎡의 농장을 난방하는데 하루에만 기름 3백리터로 적용하면 30만원 정도의 난방비를 부담해야 되니 그 어려움이 많고, 연료비 절약을 위해 약 3~4℃ 가량 온도를 낮췄다가 냉해를 입은 시설농가들이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낮의 비닐하우스 바닥 지열을 모아서 지열보호수단으로 보호하여 비닐하우스 내에 별도의 추가 보온 없이도 밤이되어 외부 온도가 낮아져도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열보온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낮의 비닐하우스 바닥 지열을 모아서 지열보호수단으로 보호하여 비닐하우스 내에 별도의 추가 보온 없이도 밤이되어 외부 온도가 낮아져도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지주의 높이를 조절 가능토록 하여 식물이 성장하여도 지열을 보호하여 일정한 지열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열보호수단을 이루는 덮개부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봉은 레일을 따라서 개폐 가능토록 하고, 지지봉의 상하면은 외피와 내피를 이루어 이중으로 지열을 보호토록하고, 내피는 지지봉의 레일 접촉 면적에는 접촉이 않되도록 하여 개폐 및 설치가 용이하고 지열보호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는 레일로 지지되도록 하고, 지주의 입구 측에는 바닥에서 레일 상면으로 덮개부를 안내하는 경사레일과 경사레일 입구측의 끼움부를 두어 지퍼 결합하듯이 레일에 덮개부가 쉽게 결합이되도록 하여 노인도 쉽게 설치를 가능토록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내레일을 분리 가능토록 하여 덮개부를 개방하고 낮은 작물을 관리할 때 분리된 레일 을 통과하여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비닐하우스 내에 나란히 일정 간격으로 두줄로 설치되는 지주;
지주 상단에서 각 지주를 나란하게 이어주며 지열 보온덮개 기능의 덮개부 개폐 및 설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두줄의 안내레일; 및
각 안내레일을 따라 각 지주 상면을 개폐 가능토록 덮으며 안내레일 사이의 폭방향을 지지하며 안내레일의 일정 길이 마다 놓여지는 지지봉과, 지지봉의 상하면에서 일체로 융착되는 내,외피와, 외피 양단에서 지주 외측을 덮는 측면덮개를 포함하여 지열을 보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지열보호수단을 가지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한 낮의 비닐하우스 바닥 지열을 모아서 지열보호수단으로 보호하여 비닐하우스 내에 별도의 추가 보온 없이도 밤이되어 외부 온도가 낮아져도 한 낮의 지열을 그대로 모아서 보온하므로 별도의 추가 가열수단이 없어도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한 낮의 비닐하우스 바닥 지열을 모아서 지열보호수단으로 부호하여 비닐하우스 내에 별도의 추가 보온 없이도 밤이되어 외부 온도가 낮아져도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지주의 높이를 조절 가능토록 하여 식물이 성장하여도 지열을 보호하여 일정한 지열효과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열보호수단을 이루는 덮개부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봉은 레일을 따라서 개폐 가능토록 하고, 지지봉의 상하면은 외피와 내피를 이루어 지열을 이중으로 보호토록하고, 내피는 지지봉의 레일 접촉 면적에는 접촉이 않되도록 하여 개폐 및 설치가 용이하고 지열보호 기능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주는 레일로 지지되도록 하고, 지주의 입구 측에는 바닥에서 레일 상면으로 덮개부를 안내하는 경사레일과 경사레일 입구측의 끼움부를 두어 지퍼 결합하듯이 레일에 덮개부가 쉽게 결합이되도록 하여 노인도 쉽게 설치를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의 지열보호수단은 비닐하우스의 바닥에서 일정 폭으로 두줄 또는 그 이상 설치할 수도 있고, 각 지열보호수단은 한겹, 두겹, 또는 그 이상으로 이불 덮듯이 구성할 수도 있는바, 이는 옷을 여러겹 입어 내부온도를 유지하고 외기로부터의 온도 하강을 막아 온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내레일을 분리 가능토록 하여 덮개부를 개방하고 낮은 작물을 관리할 때 분리된 레일을 쉽게 통과하여 이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지주와 안내레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덮개부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지열보호수단을 3겹으로 예시한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로, 지주를 다축관과 높이조절구를 가진 상태로 나타낸 도면 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비닐하우스(A) 내에 나란히 일정 간격으로 두줄로 설치되는 지주(10);
지주(10) 상단에서 각 지주(10)를 나란하게 이어주며 지열 보온덮개 기능의 덮개부(30) 개폐 및 설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두줄의 안내레일(20); 및
각 안내레일(20)을 따라 각 지주 상면을 개폐 가능토록 덮으며 안내레일 사이의 폭방향을 지지하며 안내레일(20)의 일정 길이 마다 놓여지는 지지봉(31)과, 지지봉(31)의 상하면에서 일체로 융착되는 내,외피(32,34)와, 외피(34) 양단에서 지주 외측을 덮는 측면덮개(36)를 포함하여 지열을 보온하는 덮개부(30)를 포함하는 지열보호수단(100)을 기본 구성으로 가지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내레일(20)은 도 1 과 같은 니은형, 에이치형, 디귿형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고, 각지주(10) 상단에서 나란하게 설치하나, 중간 중간 분리형을 이루도록 하여 소위 게이트 역할을 하여 농부가 레일을 쉽게 통과하도록 하는것이 좋다. 이는 작물의 높이가 5~20센티라 하고 덮개부(30)를 개방한 경우 레일을 쉽게 통과하여 농사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나란한 지주(10)사이의 공간에 강도 보강용 보를 설치하면 강도 유지에 유리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이 경우의 보도 지주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지지봉(31) 상부의 외피(34)는 지지봉(31)의 상부면을 덮는 폭을 이루며,
지지봉(31) 하부의 내피(32)는 안내레일(20)과 지지봉(31) 저면이 맞닿아 안내되도록 외피(34)보다 폭이 작도록 구성하며,
측면덮개(36)는 외피(34) 양단에서 상단이 융착되고 하단은 저면을 덮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주(10)는 도 7과 같이 식물의 성장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다축관(11,12)과, 높이 조절구(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높이조절구(14)는 높이조절나사와 고정공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일정 거리마다 고정후크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도 있고, 나사 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어 기존의 알려진 기술구조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높이조절구로만 표기한다. 본 발명의 다축관(11,12)은 도 7 ㅇ 2축을 나타내었으나, 다축으로 구성할 수 있고, 다축으로 구현할 수록 전체의 접은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낮은 작물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내레일(20)의 입구에는 바닥에서 지주(10) 상면까지 안내하는 경사형 경사레일(22)과, 경사레일(22) 입구의 테이퍼홈(25)을 가지는 테이퍼형 끼움부(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물론 안내레일(20)의 출구에도 경사레일(22)과, 경사레일(22) 출구의 테이퍼홈(25)을 가지는 테이퍼형 끼움부(24)의 동일한 구성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측면덮개(36)에는 개폐 조절용 높이조절수단(40)을 부가한다.
상기, 다축관(11,12)의 가장 중심관의 상단부에는 비닐하우스 폭 중앙을 향하는 만곡부(15)를 이룬다.
상기, 지주(10), 안내레일(20) 및 덮개부(30)로 이루어진 지열보호수단(100)내에 적어도 하나의 지열보호수단(100')을 더 이루도록 도 6 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지주(10)의 하단은 평면으로 표기하였으나 바닥에 잘 박히도록 뾰족부를 일체로 이루도록 하거나 뾰족 삽입수단을 추가로 사용하여 바닥에 고정할 수 있음은 알 수 있을 것이다. (35)는 내피(32)와 외피(34)가 지지봉(31)을 감싸면서 일체로 융착되는 융착부이다. (37)역시 측면덮개(36)를 외피(34) 테두리에 일체로 융착한 측면덮게융착부 이다.
본 발명에서의 내피(32) 및 외피(34)는 0.2내지10mm의 부직포, 폴리에틸렌비닐판, 폴리에틸렌필름, 뽁뽁이, 코팅피복, 코팅마대, 알루미늄혼입필름, 알루미늄증착필름, 반사필름, 압출발포시트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온도를 인식하는 온도계, 이를 통하여 통풍 윈도우를 여닫는 계페수단, 물을 공급하는 살수 수단 등의 일반적인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1 에 점선으로 나타낸 알려진 비닐하우스(A) 내부 바닥에 일정 거리 및 폭 간격으로 나란하게 지주(10)를 세우고, 지주(10)의 만곡부(15) 끝단에는 안내레일(20)을 설치하고, 안내레일(20)에는 덮개부(30)의 지지봉(31) 양단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안내레일(20)에 덮개부(30)를 지지하기 위하여는 초기 덮개부(30)가 예를 들어 폭이 9미터 정도 된다면, 덮개부(30)내의 지지봉(31) 길이는 9미터에 이르므로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지지봉(31)의 양단을 지지봉(31)과 외피(34)를 합한 공간의 삽입을 허용하는 끼움부(24)를 비닐하우스(A) 바닥면에서 끼워넣고 경사레일(220을 지나 상부 수평의 안내레일(20)에 걸치면서 뒤로 당겨 지주(10)의 상부면을 덮어준다.
마찬가지로 지주(10)의 상부면을 전부 또는 일부 개방할 때는 상기와 역순으로 하면된다.
이렇게 지주(10)의 상부면을 덮은 다음, 외피(34) 양단에 융착된 도 3과 같은 형태의 측면덮개(36)를 아래로 펼치면 도 4 와 같이 지주(10)의 외측면을 막아준다. 물론 측면덮개(36)는 비닐하우스(A) 바닥의 흙으로 외기와 차단하거나 끈 묶음으로 내기와 외기를 차단한다.
이렇게 사용하다가 온도가 상승하면 온도 조절을 위하여 원하는 아래공간을 예를들어 도 5 와 같이 접은 상태를 이루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는 측면덮개(36)를 원하는 높이로 접은다음 높이조절수단(40)을 이루는 수매직테이프(41)와 암매직테이프(42)와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붙이면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A) 내부 온도와 지열보호수단(100)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만약 비닐하우스(A) 외부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는 본 발명의 지열보호수단(100)을 적어도 하나더 이중으로 도 6 과 같이 지열보호수단(100) 내에 다른 지열보호수단(100')을 겹치도록 사용할 수도 있는바, 이는 외기로부터의 내부 온도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본 발명의 지열보호수단(100,100')이 낮은 작물에 적합하도록 지주 높이가 주로 30~100cm 정도이므로, 통상의 비닐하우스는 300~700cm 임을 감안하면, 270~600cm는 난방에 직접 관리를 할 필요가 없어 실제로 난방비가 30 내지 70% 절감된다. 아울러 3층의 지열보호수단(100)(100') 구조인 경우, 해당 지주는 3개가 인접하는데, 조립의 편리를 위하여 해당 지주 위치에 3개의 지주를 동시에 고정하는 3개의 고정공을 가지는 별도의 고정구를 매설하여 사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지주(10)의 안내레일(20)을 따라 이동하여 개폐하는 덮개부(30)와 작물 의 상단 높이 사이는 5~10cm 간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지열효과에 좋다. 이를 위하여 작물이 성장함에따러 높이조절구(14)를 사용하여 다축관(12)의 높이를 더 높게 조절하여 열효율을 지속적으로 높여준다. 또한 작물의 높이가 예를들어 5~20센티 일 경우, 덮개부(30)를 개방하고 작업하는 경우 안내레일(20)의 일부를 분리 개방하면 쉽게 레일 부근을 통과하여 작업 하기 쉽고, 다축관(12)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를 지속적으로 조절하여 농작물의 높이상단과 덮개부(30) 사이가 항상 5~10cm의 안정적인 간격을 유지하여 작물 성장 조건을 최적화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높여준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지주(10)는 도 7 과 같이 다축관(11,12)으로 사용하되, 상부의 중앙축을 이루는 다축관(12) 상단에는 폭방향 중앙을 향하도록 만곡부(15)를 이루도록 하면 측면덮개(36)의 덮개로의 펼침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에 지열을 모으기 쉽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다축관(11,12)을 사용하고 높이 조절은 높이조절구(14)를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므로 식물의 종류와 성장 시기에 상관없이 필요시마다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기능한다.
A;비닐하우스 10;지주 11,12;다축관 14;높이조절부 15;만곡부 20;안내레일 22;경사레일 24;끼움부 25;테이퍼홈 30;덮개부 31;지지봉 32;내피 34;외피 35;융착부 36;측면덮개 37;측면덮개융착부 40;높이조절수단 41;수매직테이프 42;암매직테이프

Claims (7)

  1. 비닐하우스(A) 내에 나란히 일정 간격으로 두줄로 설치되는 지주(10);
    지주(10) 상단에서 각 지주(10)를 나란하게 이어주며 지열 보온덮개 기능의 덮개부(30) 개폐 및 설치를 안내하는 적어도 두줄의 안내레일(20); 및
    각 안내레일(20)을 따라 각 지주 상면을 개폐 가능토록 덮으며 안내레일 사이의 폭방향을 지지하며 안내레일(20)의 일정 길이 마다 놓여지는 지지봉(31)과, 지지봉(31)의 상하면에서 일체로 융착되는 내,외피(32,34)와, 외피(34) 양단에서 지주 외측을 덮는 측면덮개(36)를 포함하여 지열을 보온하는 덮개부(30)를 포함하는 지열보호수단(100)을 가지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봉(31) 상부의 덮개부(30)를 이루는 외피(34)는 지지봉(31)의 상부면을 덮는 폭을 이루며,
    지지봉(31) 하부의 내피(32)는 안내레일(20)과 지지봉(31) 저면이 맞닿아 안내되도록 외피(34)보다 폭이 작도록 구성하며,
    측면덮개(36)는 외피(34) 양단에서 상단이 융착되고 하단은 저면을 덮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
  3. 제 1항에 있어서, 지주(10)는 식물의 성장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다축관(11,12)과, 높이 조절구(1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
  4. 제 1항에 있어서, 안내레일(20)의 입구에는 바닥에서 지주(10) 상면까지 안내하는 경사형 경사레일(22)과, 경사레일(22) 입구의 테이퍼형 끼움부(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
  5. 제 2항에 있어서, 측면덮개(36)에는 개폐 조절용 높이조절수단(40)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
  6. 제 3항에 있어서, 다축관(11,12)의 가장 중심관의 상단부에는 비닐하우스 폭 중앙을 향하는 만곡부(15)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
  7. 제 1항에 있어서, 지주(10), 안네레일(20) 및 덮개부(30)로 이루어진 지열보호수단(100)내에 적어도 하나의 지열보호수단(100')을 더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보호 가능한 비닐하우스.
KR1020180008328A 2018-01-23 2018-01-23 지열보호와 혼자 설치 및 개폐 가능한 지열보호수단을 내장한 비닐하우스 KR102008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28A KR102008246B1 (ko) 2018-01-23 2018-01-23 지열보호와 혼자 설치 및 개폐 가능한 지열보호수단을 내장한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28A KR102008246B1 (ko) 2018-01-23 2018-01-23 지열보호와 혼자 설치 및 개폐 가능한 지열보호수단을 내장한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589A true KR20190089589A (ko) 2019-07-31
KR102008246B1 KR102008246B1 (ko) 2019-10-23

Family

ID=6747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28A KR102008246B1 (ko) 2018-01-23 2018-01-23 지열보호와 혼자 설치 및 개폐 가능한 지열보호수단을 내장한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675Y1 (ko) * 2005-03-08 2005-05-17 오태돈 비닐하우스 보온 덮개
KR20080043075A (ko) * 2006-11-13 2008-05-16 이민기 조립식 미니텃밭
KR20120121945A (ko) * 2011-04-27 2012-11-07 송병은 소형비닐하우스용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소형비닐하우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675Y1 (ko) * 2005-03-08 2005-05-17 오태돈 비닐하우스 보온 덮개
KR20080043075A (ko) * 2006-11-13 2008-05-16 이민기 조립식 미니텃밭
KR20120121945A (ko) * 2011-04-27 2012-11-07 송병은 소형비닐하우스용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소형비닐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46B1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9522A (en) Greenhouse
WO2015170853A1 (ko) 비닐하우스의 서냉장치
KR101755540B1 (ko) 비닐하우스용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US20140047765A1 (en) Suspended portable garden with greenhouse
US4047328A (en) Greenhouse
KR101292628B1 (ko) 온도조절 하이브리드 하우스 시스템
KR101305406B1 (ko) 옥상용 식물재배 하우스
CN109076830A (zh) 一种温室
KR100969563B1 (ko) 농업용 가림막의 설치 높이 조정장치
KR20190089589A (ko) 지열보호와 혼자 설치 및 개폐 가능한 지열보호수단을 내장한 비닐하우스
JP2628028B2 (ja) 栽培床およびそれを用いた栽培棚
US20090235580A1 (en) Garden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70902A (ko) 사계절용 이중 수막형 버섯재배사
CN205511189U (zh) 一种金线莲种植大棚
CN205431264U (zh) 太阳能植物工厂温室
KR101246210B1 (ko) 팽창형 열 커튼을 구비하는 비닐 하우스
KR20150029260A (ko)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는 온실의 난방시스템
JP2001299101A (ja) 高設栽培装置
KR20160124040A (ko) 비닐하우스의 치마부용 온열매트 설비기구
RU25309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0923590B1 (ko) 멀티 플렉스 하우스 구조물
KR20200143619A (ko) 식물재배시스템
KR101742979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을 위한 재배통
KR101699544B1 (ko) 비닐하우스의 치마부용 온열매트 설비기구
KR20150073511A (ko) 치마부용 보온덮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