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721A -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 Google Patents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721A
KR20190088721A KR1020180007155A KR20180007155A KR20190088721A KR 20190088721 A KR20190088721 A KR 20190088721A KR 1020180007155 A KR1020180007155 A KR 1020180007155A KR 20180007155 A KR20180007155 A KR 20180007155A KR 20190088721 A KR20190088721 A KR 20190088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folded
led
soft box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128B1 (ko
Inventor
유재균
Original Assignee
(주)현대포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포멕스 filed Critical (주)현대포멕스
Priority to KR102018000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1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방송영상 및 사진 촬영 시 사용하는 엘이디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LED 라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 후단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내삽 주머니와, 상기 내삽 주머니에 내삽되어 둘레부가 블록 구조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둘레부를 지지하며,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 케이블과,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둘레부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날개부, 및 서로 이웃한 날개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날개부가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LED 조명장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SOFT BOX FOR LED LIGHTING HAVING SUPERIOR PORTABILITY}
본 발명은 방송영상 및 사진 촬영 시 사용하는 엘이디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장치인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조명을 사용한 방송영상 및 사진 촬영 시 부드러운 빛을 얻기 위한 광량 조절이 용이하고, 편리한 휴대성을 갖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에 관한 것이다.
빛이 충분하지 않은 장소에서의 촬영이나, 색다른 분위기의 연출을 위해 영화나 영상분야에서는 영상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영상조명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일예로서, 방송영상 및 사진의 촬영을 위해 야외 또는 스튜디오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명장치는 그 광원으로서, 형광 램프(fluorescent lamp)나 할로겐 램프(halogen lamp), 방전 램프(discharge lamp), 메탈 핼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등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실내에서 인물을 촬영하는 경우 빛으로 인하여 눈부심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대비)가 심하여 영상물이 딱딱해 보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장치에는 강한 빛을 부드럽게 하는 소프트박스가 장착된다. 또한, 전술한 조명장치는 빛의 조사각도가 넓기 때문에 피사체의 노출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방송영상용 조명장치로는 기존 조명장치의 절반의 에너지 소비율과 10배 이상의 수명을 가질 수 있는 고효율의 엘이디(Light Emitted Diode :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점차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LED를 사용하는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은 구조가 사용된다. 상기 조명장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견고하고 평평한 하우징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평평한 하우징 내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는 다수개의 LED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LED 모듈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우징의 선단에는 투광패널이 설치된다.
전술한 조명장치들이 실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천정등의 조명을 보조하는 보조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실내 보조 조명등 이외에 실외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하여 배터리와 함께 주 조명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에서 방송영상 등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장치는 대체적으로 고정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높은 수준의 전광속을 유지해야 되기 때문에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LED 모듈이 설치됨으로써 전체적인 큰 외형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강한 빛을 부드럽게 하는 소프트박스가 장착된다. 또한, 전술한 조명장치는 빛의 조사각도가 넓기 때문에 피사체의 노출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운반 시에 탑차 등의 적재공간이 넓은 차량을 사용해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전술한 조명장치는 외형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확장이 쉽지 않으며, 높은 수준의 밝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를 함께 사용해야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0460호로 접을 수 있는 형태를 갖는 폴더블 타입의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폴더블 타입의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보관성, 운반성 및 휴대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정된 외형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박스나 반 도어 등의 다양한 조명 액세서리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8589호(2016.12.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5143호(2014.12.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935호(2011.05.1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 및 촬영 공간의 종류의 따라 사용자가 엘LED 조명장치에 간편하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 패널 구조의 LED 라이트가 포함된 LED 조명장치에 설치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LED 라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 후단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내삽 주머니와, 상기 내삽 주머니에 내삽되어 둘레부가 블록 구조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둘레부를 지지하며,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 케이블과,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둘레부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날개부, 및 서로 이웃한 날개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날개부가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LED 조명장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즉, 조명장치에 대한 소프트박스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진행되므로, 조명 환경에 적합한 조명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피사체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야외에서 사용 시 조명장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명장치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 시에 작은 부피를 차지하므로, 운반비용 및 보관비용이 최소화된다.
도 1은 종래의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 및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설치된 소프트박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설치된 소프트박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의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이하, '소프트박스'라고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 및 LED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는 사각 패널 구조의 LED 라이트가 포함된 엘이디 조명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LED 라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100)와, 상기 둘레부(1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내삽 주머니(200)와, 상기 내삽 주머니(200)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 케이블(300)과, 상기 둘레부(10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날개부(400), 및 상기 날개부(400)에 구비되는 탈부착수단(50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설치된 소프트박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에 설치된 소프트박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는 둘레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둘레부(100)는 엘이디 조명장치의 LED 라이트가 발광하는 빛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LED 라이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며 상기 전방과 후방을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둘레부(100)는 직육면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 형성된 4개의 모서리 부분은 접거나 평평하게 펼칠 수 있도록 봉제 처리된다.
구체적으로, 둘레부(100)는 LED 라이트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110), 상기 상부(110)의 좌측 말단에 절곡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LED 라이트의 좌측면에 접촉되는 좌측부(120), 상기 상부(110)의 우측 말단에 절곡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LED 라이트의 우측면에 접촉되는 우측부(130), 및 상기 우측부(130)의 하단과 좌측부(120)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LED 라이트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1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 라이트의 테두리 부분에 접촉되어 LED 라이트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재(112)와, 상기 반사재(112)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반사재(112)의 외측면에서 반사재(112)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직물지(114), 및 상기 반사재(112)와 직물지(114) 사이의 내부 공간에 내삽되는 평판형 지지패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재(112)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은박지, 알루미늄박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직물지(114)는 반사재(112)의 테두리를 따라 재봉 등을 통해 반사재(112)에 부착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재(112)와 직물지(114)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좌우 방향으로 2등분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봉제처리된 접힘부(116)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판형 지지패널은 상기 접힘부(116)를 중심으로 좌측 내부 공간에 내삽되는 좌측 지지패널과, 접힘부를 중심으로 우측 내부 공간에 내삽되는 우측 지지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140)도 상부(110)와 동일하게 반사재(112)와 직물지(114) 및 평판형 지지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140)에는 상기 상부(110)의 제1 접힘부(116)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접힘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110)의 접힘부(116)가 제2 접힘부와 구분되도록 제1 접힘부라고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의 접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접힘부(116)를 중심으로 상부(110)의 좌측 지지패널이 좌측부(120)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가압하고 상부(110)의 우측 지지패널이 하부(140)의 좌측 지지패널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가압한 다음, 제1 접힘부(116)를 경계선으로 상부(110)를 접고 제2 접힘부(118)를 경계선으로 하부(140)를 접으면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박스가 "N"형 구조로 접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는 조명장치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도 6과 같이 부피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형태로 접을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제1 접힘부(116)와 제2 접힘부(118)가 구비된 둘레부(100)는 상부(110)와 하부(140)가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접힘부(116)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제1 휨방지부가 상부(110)에 구비되며, 제2 접힘부(118)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제2 휨방지부가 하부(14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휨방지부는 상부(110) 외측면의 제1 접힘부(116)에 구비되는 중앙 벨크로(150), 및 상부(110)가 펼쳐지면 상기 중앙 벨크로(150)에 부착되어 제1 접힘부(116)가 접혀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소프트박스를 접히면 중앙 벨크로(150)로부터 탈착되는 제1 휨방지판(160)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휨방지판(160)은 중앙 벨크로(150)에 접촉되는 경우에 중앙 벨크로(15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중앙 벨크로(150)와 마주보는 표면에 벨크로가 구비되며, 중앙 벨크로(150)의 표면에도 제1 휨방지판(160)과 결합될 수 있는 벨크로가 구비된다. 또한, 제1 휨방지판(160)은 일단이 중앙 벨크로(150)에 소정 거리, 예컨대 1 내지 5㎝로 이격된 상부(110)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상부(110)에 접촉되는 경우에 제1 휨방지판(160)이 중앙 벨크로(150)를 커버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휨방지부는 하부(140) 외측면의 제2 접힘부(118)에 구비되는 하부 벨크로, 및 하부(140)가 펼쳐지면 상기 하부 벨크로에 부착되어 제2 접힘부(118)가 접혀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소프트박스를 접히면 하부 벨크로로부터 탈착되는 제2 휨방지판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휨방지판은 하부 벨크로에 접촉되는 경우에 하부 벨크로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부 벨크로와 마주보는 표면에 벨크로가 구비되며, 하부 벨크로의 표면에도 제2 휨방지판과 결합될 수 있는 벨크로가 구비된다. 또한, 제2 휨방지판은 일단이 하부 벨크로에 소정 거리, 예컨대 1 내지 5㎝로 이격된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하부(140)에 접촉되는 경우에 제2 휨방지판이 하부 벨크로를 커버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휨방지부와 제2 휨방지부는 부직포 등의 합성섬유와 천 등의 천연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2~8㎜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는 내삽 주머니(200)를 포함한다.
상기 내삽 주머니(200)는 상기 둘레부(100) 후단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 케이블(300)을 내삽시킬 수 있도록 관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내삽 주머니(200)는 원통형으로 말려진 직물지 등을 둘레부(100)의 내측면에 재봉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삽 주머니(2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부(100)의 상부(110)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 내삽 주머니(210)와, 둘레부(100)의 좌측부(120)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2 내삽 주머니(220)와, 우측부(130)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3 내삽 주머니(230)와, 하부(140) 내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4 내삽 주머니(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삽 주머니(210)의 좌측 말단과 제2 내삽 주머니(220)의 상측 말단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내삽 주머니(210)를 통과한 지지 케이블(300)이 제2 내삽 주머니(220)에 원활히 내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내삽 주머니(210)의 우측 말단과 제3 내삽 주머니(230)의 상측 말단도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 내삽 주머니(230)를 통과한 지지 케이블(300)이 제1 내삽 주머니(210)에 원활히 내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내삽 주머니(220)의 하측 말단과 제4 내삽 주머니(240)의 좌측 말단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내삽 주머니(220)를 통과한 지지 케이블(300)이 제4 내삽 주머니(240)에 원활히 내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3 내삽 주머니(230)의 하측 말단과 제4 내삽 주머니(240)의 우측 말단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4 내삽 주머니(240)를 통과한 지지 케이블(300)이 제3 내삽 주머니(230)에 원활히 내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제1 내삽 주머니(210), 제2 내삽 주머니(220), 제3 내삽 주머니(230), 제4 내삽 주머니(2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LED 라이트의 테두리에 구비된 보조 벨크로와 밀착되어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벨크로(2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는 지지 케이블(3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케이블(300)은 상기 내삽 주머니(200)에 내삽되어 둘레부(100)가 블록 구조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둘레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둘레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전방 이동도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 내삽 주머니(210)와 제 4 내삽 주머니(200)의 사이 간격은 LED 라이트의 상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내삽 주머니(220)와 제3 내삽 주머니(230)의 사이 간격은 LED 라이트의 좌우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케이블(300)은 둘레부(100)가 블록 구조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둘레부(100)를 지지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피복재로 피복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금속으로는 구리, 알루미늄, 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케이블(300)은 소프트박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LED 라이트로부터 발광된 빛의 통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므로, 그 크기는 둘레부(100)의 크기 및 지지 케이블(300)의 소재에 따라 변동될 수 있지만, 5 내지 15㎜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는 복수개의 날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400)는 상기 둘레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둘레부(100)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둘레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날개부(4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부(100)의 상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날개부(410)와, 둘레부(100)의 좌측부(1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날개부(420)와, 둘레부(100)의 우측부(13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날개부(430), 및 둘레부(100)의 하부(14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4 날개부(440)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날개부(410)와 상부(110) 사이의 경계선에는 제1 날개부(410)의 원활한 접힘을 위해 재봉선이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날개부(420)와 좌측부(120)의 경계선과, 제3 날개부(430)와 우측부(130)의 경계선, 및 제4 날개부(440)와 하부(140)의 경계선 사이에도 각각 재봉선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날개부(400)에는 서로 마주보는 날개부와의 당김력을 유지하고 LED 라이트의 후방 이동을 차단하는 날개부 당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 당김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개부(410)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제1 결합벨트(610,620)와, 제4 날개부(440)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제2 결합벨트(6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결합벨트와 제2 결합벨트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소프트박스의 내부로 LED 라이트가 내삽된 경우에 LED 라이트의 후방 이동을 차단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박스는 탈부착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수단(500)은 서로 이웃한 날개부(400)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날개부(400)가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복수개의 날개부(400)가 LED 라이트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한 날개부(400)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호간에 부착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탈부착수단(500)은 서루 이웃한 날개부(400)의 접촉된 부분을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특정적으로는 벨크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500)은 제1 날개부(410)의 외부면에 구비된 중앙 벨크로(510)와, 제2 날개부(420)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 벨크로(510)와 결합되는 제2 벨크로(520)와, 제3 날개부(430)의 내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 벨크로(510)와 결합되는 제3 벨크로(530), 및 제4 날개부(440)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벨크로(520) 및 제3 벨크로(530)와 결합되는 제4 벨크로(5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벨크로(510)와 제4 벨크로(540)는 갈고리 모양의 보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벨크로(520)와 제3 벨크로(530)는 걸림고리 모양의 보풀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부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웃한 날개부(400)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는 LED 라이트(10)와 스탠드 어댑터(22.24,26) 및 스탠드(30)를 포함한다.
상기 LED 라이트(10)는 필요한 경우 적은 부피를 차지하도록 접을 수 있는 형태를 갖는 플렉서블한 구성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LED 라이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LED 라이트(10)는 기판부와, 전면덮개, 후면덮개, 및 전원공급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부는 각각 LED 모듈(14)이 실장된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동일선상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전선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방열을 위한 방열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동일선상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은 외력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접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다수개의 LED 모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열시킨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은 조명장치를 운반할 때에 접어서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상기 기판부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형식이 아니라, 플렉서블한 기판에 다수의 LED 칩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고 그 후면에 방열시트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덮개는 기판부의 전면에 부착되고 각 LED 모듈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각 LED 모듈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부와 함께 접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전면덮개는 외력에 의해 기판부와 함께 접어질 수 있도록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나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섬유와 면의 혼방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면덮개는 폴리에틸렌 65%와 면 35%로 구성된 혼방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전면덮개는 상기 기판부의 전면에 LED모듈과 기판을 보호하고 방수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합성수지가 코팅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면덮개는 기판부의 배면에 부착되어 기판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기판부 및 전면덮개와 함께 접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후면덮개로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나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섬유와 면의 혼방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합성섬유로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면덮개와 후면덮개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이나 접착제를 통해 접착가공으로 서로 부착되거나, 실을 이용한 재봉가공으로 서로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전면덮개나 후면덮개 또는 이들 모두는 방수를 위해 방수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LED 라이트는 그 배면에 방수원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전면덮개나 후면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기판부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공급수단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에 연결된 콘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콘센트와 소켓의 연결과 분리를 통해 LED 모듈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원공급수단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온/오프 버튼(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밍(dimming) 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판부와 전면덮개와 후면덮개 및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된 LED 라이트(10)는 도 2와 같이 사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어댑터는 LED 라이트(10)가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LED 라이트(10)가 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LED 라이트(10)를 스탠드(30)에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복수개의 테두리 블록(22)과 펼침 지지바(24) 및 지지바 결합블록(26)을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 블록(22)은 LED 라이트(10)의 테두리를 끼움 결합시키도록 LED 라이트(1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 것으로, LED 라이트(10)가 펼쳐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힘을 LED 라이트(1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테두리 블록(22)은 전방 하부(140)에 LED 라이트(10)가 내삽되는 라이트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라이트 결합홈은 LED 라이트(10)의 테두리의 일부가 테두리 블록(22)의 내부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LED 라이트(10)와 테두리 블록(22)을 결합시킨다.
상기 테두리 블록(22)은 LED 라이트(10)가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 경우, 사각형의 꼭짓점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두리 블록(22)은 LED 라이트(10)가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 경우, 각 꼭짓점에 구비될 수 있도록 'L'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테두리 블록(22)은 전방 상부(110)에 거치대 걸이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대 걸이홈은 LED 라이트(10)가 펼쳐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외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LED 라이트(10)가 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LED 라이트(10)를 스탠드에 연결시키는 스탠드 어댑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 걸이홈은 반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펼침 지지바(24)는 복수개의 테두리 블록(22)이 LED 라이트(10)의 각 꼭짓점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테두리 블록으로 이루어진 경우, 'X'자형을 형성하도록 테두리 블록(22)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펼침 지지바(24)는 제1 단부가 제1 테두리 블록의 거치대 걸이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단부에 대향되는 제2 단부가 상기 제1 테두리 블록(22)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제2 테두리 블록의 거치대 걸이홈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펼침 지지바(24)는 제3 단부가 제1 테두리 블록(22)에 이웃한 제3 테두리 블록(22)의 거치대 걸이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3 단부에 대향되는 제4 단부가 상기 제3 테두리 블록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제4 테두리 블록의 거치대 걸이홈에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펼침 지지바(24)는 LED 라이트(10)의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도록 폐곡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 결합블록(26)은 펼침 지지바(24)의 중앙 지점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펼침 지지바(24)의 중앙 지점에는 지지바 결합블록(26)의 외경에 대응된 내경을 갖는 원형 구조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 결합블록(26)은 스탠드에 직접 결합되거나 스탠드를 연결하는 스탠드 연결구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부(110) 및 하부(140)에 나사골이 형성된 스탠드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 결합블록(26)은 2종류 이상의 스탠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110)와 하부(140)에 구비된 스탠드 결합홈이 서로 다른 내경을 갖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둘레부 110 : 상부
120 : 좌측부 130 : 우측부
140 : 하부 150 : 중앙 벨크로
160 : 제1 휨방지부 200 : 내삽 주머니
210 : 제1 내삽 주머니 220 : 제2 내삽 주머니
230 : 제3 내삽 주머니 240 : 제4 내삽 주머니
300 : 지지 케이블 400 : 날개부
410 : 제1 날개부 420 : 제2 날개부
430 : 제3 날개부 440 : 제4 날개부
500 : 탈부착수단

Claims (6)

  1. 사각 패널 구조의 LED 라이트가 포함된 LED 조명장치에 설치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LED 라이트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둘레부;
    상기 둘레부 후단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내삽 주머니;
    상기 내삽 주머니에 내삽되어 둘레부가 블록 구조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둘레부를 지지하며,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 케이블;
    상기 둘레부의 내부에 배치된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둘레부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날개부; 및
    서로 이웃한 날개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한 날개부가 LED 라이트의 배면에 접촉되도록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상기 LED 라이트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상기 상부의 좌측 말단에 절곡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LED 라이트의 좌측면에 접촉되는 좌측부;
    상기 상부의 우측 말단에 절곡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LED 라이트의 우측면에 접촉되는 우측부; 및
    상기 우측부의 하단과 좌측부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LED 라이트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LED 라이트의 테두리 부분에 접촉되어 LED 라이트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재;
    상기 반사재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이 마련되도록 반사재의 외측면에서 반사재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직물지; 및
    상기 반사재와 직물지 사이의 내부 공간에 내삽되는 평판형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내부 공간이 좌우 방향으로 2등분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봉제 처리된 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형 지지패널은 상기 접힘부를 중심으로 좌측 내부 공간에 내삽되는 좌측 지지패널과, 접힘부를 중심으로 우측 내부 공간에 내삽되는 우측 지지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는
    상기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가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접힘부에 탈부착되는 제1 휨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휨방지부는
    상기 상부 외측면의 접힘부에 구비되는 중앙 벨크로; 및
    상기 상부가 펼쳐지면 상기 중앙 벨크로에 부착되어 접힘부가 접혀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고 상부가 접히면 중앙 벨크로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일단이 중앙 벨크로에 소정 거리로 이격된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 벨크로를 커버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 벨크로와 마주보는 표면에 벨크로가 구비된 제1 휨방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KR1020180007155A 2018-01-19 2018-01-19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KR10208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55A KR102085128B1 (ko) 2018-01-19 2018-01-19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55A KR102085128B1 (ko) 2018-01-19 2018-01-19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721A true KR20190088721A (ko) 2019-07-29
KR102085128B1 KR102085128B1 (ko) 2020-03-05

Family

ID=6748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155A KR102085128B1 (ko) 2018-01-19 2018-01-19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0328B (zh) * 2020-06-05 2021-06-22 南阳理工学院 一种摄影用可调节柔光伞
KR20210155299A (ko) 2020-06-15 2021-12-22 송창환 접힘 및 확장이 가능한 플렉시블 led 조명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9Y1 (ko) * 2006-01-26 2006-04-07 왕민호 스트로보에 장착하는 개량 구조를 가진 확산조명용 소프트박스
KR101034935B1 (ko) 2009-07-30 2011-05-17 박상희 방송 및 사진 촬영용 엘이디 조명장치
US20110255851A1 (en) * 2010-03-26 2011-10-20 David Honl Collapsible softbox for photography lighting
KR101475143B1 (ko) 2013-04-25 2014-12-22 장경 방송용 led 조명 장치
KR101688589B1 (ko) 2015-08-28 2016-12-22 (주)현대포멕스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JP2017059351A (ja) * 2015-09-15 2017-03-23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29Y1 (ko) * 2006-01-26 2006-04-07 왕민호 스트로보에 장착하는 개량 구조를 가진 확산조명용 소프트박스
KR101034935B1 (ko) 2009-07-30 2011-05-17 박상희 방송 및 사진 촬영용 엘이디 조명장치
US20110255851A1 (en) * 2010-03-26 2011-10-20 David Honl Collapsible softbox for photography lighting
KR101475143B1 (ko) 2013-04-25 2014-12-22 장경 방송용 led 조명 장치
KR101688589B1 (ko) 2015-08-28 2016-12-22 (주)현대포멕스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JP2017059351A (ja) * 2015-09-15 2017-03-23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128B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589B1 (ko)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US9395068B2 (en) Flexible LED light source panel, and flexible LED lighting device for taking image by using the same panel
US9464796B2 (en) Illumination device
US10208500B2 (en) Illumination tent pole and tent frame having same
US20200012174A1 (en) Illumination device
US5890793A (en) Portable luminescent lighting system
US8500293B2 (en) Personal video lighting system
US20190178479A1 (en) Set Light Fixture and Application of Same
US8313203B1 (en) Inflatable device for the diffusion and direction of light
JP6588451B2 (ja) 照明装置
US2016009118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ghting an area
KR20190088721A (ko) 휴대가 간편한 엘이디 조명용 소프트박스
US20220364712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475143B1 (ko) 방송용 led 조명 장치
US20140268777A1 (en) Flexible LED Lighting Material and Frame Assembly for Use with Same
US10734441B1 (en) Selectively adjustable lighting system
US6719434B1 (en) Foldable light diffusion box with frame assembly
CN216561351U (zh) 一种用于柔光箱的照明装置
US9109746B1 (en) Mount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7178337U (zh) 充气灯
US7434966B2 (en) Soft projected lighting device using multiple par lamps
WO2018070560A1 (ko) 조명품질 개선을 위한 조명 액세서리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CN205427412U (zh) 一种便携的静物摄影箱
KR20160103572A (ko) 플렉시블 조명 패널
US20240176212A1 (en) Inflatabl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