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521A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521A
KR20190088521A KR1020197018438A KR20197018438A KR20190088521A KR 20190088521 A KR20190088521 A KR 20190088521A KR 1020197018438 A KR1020197018438 A KR 1020197018438A KR 20197018438 A KR20197018438 A KR 20197018438A KR 20190088521 A KR20190088521 A KR 2019008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data
transmission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766B1 (ko
Inventor
샤오잉 수
칭하이 젱
추팡 황
샤오샤오 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방법은: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함 - ;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앵커 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앵커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는, 서빙 기지국을 사용하여 그리고 단말기에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앵커 기지국에 전달되며, 이후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된다.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변경이나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그널링 및 인터페이스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데이터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2017년 1월 5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008537.6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위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병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단말 장치의 대중화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시나리오는 이제 일반화되었다. 모바일 폰과 같은 장치는 송신 또는 수신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가벼운 접속 상태/비활성 상태의 개념이 제안된다. 가벼운 접속 상태는 롱텀 에볼루션(LTE)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비활성 상태로 지칭되는 상태는 5G와 같은 새로운(무선 액세스 기술, RAT)에서 도입된다. 이 상태에서의 작동은 LTE의 가벼운 접속 상태에서의 작동과 유사한데, 단지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으로서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UE 데이터의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CN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가벼운 접속 상태/비활성 상태"에서 단말기(User Equipment,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가 RAN 노드(예컨대, 앵커 기지국 eNB1, 즉 이동 중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UE가 졉속된 기지국)에 앵커(anchor)된다. UE가 사전 정의된 영역(5G에서는 통지 영역, LTE에서는 페이징 영역으로 각각 지칭되는데, 즉 도 1에서의 eNB1의 트래킹 영역임)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UE는 기지국에 알릴 필요가 없다. 그러나, UE가 그 영역을 벗어나 eNB3의 트래킹 영역으로 이동하면, UE는 UE의 위치를 기지국 eNB3에게 알려야 하는데, 즉,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가벼운 접속 상태/비활성 상태"에 있는 UE가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고 데이터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 UE는 서빙 기지국에 대해 접속 복구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활성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서빙 기지국은 UE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제공하는 셀이 속하는 기지국이다. 서빙 기지국은, UE가 속하는 서빙 기지국 eNB3에 UE의 콘텍스트를 이주시키기 위해, 앵커 기지국에 UE에 대한 콘텍스트 요청을 개시한다; 동시에, UE에 대응하는 접속 경로 S1을 서빙 기지국으로 변경하기 위해, 경로 변경 요청이 코어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된다. 그 이후에야 비로소 UE의 데이터 전송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에서는, UE의 서빙 기지국이 변경될 때마다,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접속의 변경 및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되어야 하고, 앵커 기지국이 변경되어야 한다. 앵커 기지국의 변경은 UE 키 업데이트 및 콘텍스트 획득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UE의 이동 중의 상대적으로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야기한다. UE가 2개의 기지국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UE의 콘텍스트가 2개의 기지국 사이에서 빈번하게 이주되고, 기지국들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 오버헤드와 무선 인터페이스(air-interface)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높아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이동 중에 상대적으로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야기되고, 단말기가 2개의 기지국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2개의 기지국 사이에서 단말기의 콘텍스트가 빈번하게 이주되며,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 오버헤드와 무선 인터페이스 RRC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높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이는:
서빙 기지국이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앵커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가, 서빙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현재 단말기에 대해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앵커 기지국에 전달된다. 앵커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에서는 변경이나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인터페이스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데이터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 기지국에, IP 흐름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식별자 및/또는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음 -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에서 상기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수단에서는, 식별 정보가, 단말기가 속하는 앵커 기지국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즉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해 특별히 사용되는 구성된 식별 정보일 수 있거나, 또는 C-RNTI일 수 있다.
전술한 해결수단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이:
구성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non-scheduled)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retransmission redundancy version),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를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지속기간,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복조 참조 신호(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변조 및 코딩 계획(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MAC 계층 제어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수단에서, RLC 계층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유지되고, 구성 정보는 채널 구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앵커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RLC 데이터 또는 MAC 데이터이다.
위 해결수단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서빙 기지국이 물리 계층, MAC 계층 및 RLC 계층의 유지를 담당할 수 있고, 앵커 기지국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을 유지한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앵커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RLC 데이터이다. 다르게는, 서빙 기지국이 물리 계층과 MAC 계층의 유지를 담당할 수 있고, 앵커 기지국은 RLC 계층과 PDCP 계층을 유지한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앵커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MAC 데이터이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는 단순한 키 변경 지시 또는 구체적인 키 추정(deduction)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해결수단에서는, 단말기에 의해 이전에 사용된 키가 변경되어야 하면,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은, 단말기가 상기 키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추정 파라미터를 획득해야 한다.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추정 파라미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미리 구성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 파라미터가 획득되거나, 또는 앵커 기지국 또는 서빙 기지국이 단말기에 추정 파라미터를 송신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앵커 기지국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에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앵커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상기 앵커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수단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모두에서, 앵커 기지국은 대응하는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명령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 또는 RLC 엔티티를 구축하는 단계; 또는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구성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에서는,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 또는 RLC 엔티티가, 보통 충돌이 해결된 후에, 또는 앵커 기지국이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또는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송신되고 수신확인 메시지가 단말기에 회신된 후에야, 보통 구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이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송신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다.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기는, 미리 구성되어 있는 구성 정보 또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수신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송신대상 데이터와 함께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서빙 기지국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의 변경이나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자원이 절약되고,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구현들을 더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각각의 논리 채널의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가 저장되고,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이 재설정되거나; 또는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가 저장 또는 구성되고, RLC 엔티티 및/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이 재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PDCP와 RLC의 상태 정보와 구성 정보가 저장된다.
일 구현에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SN 번호와 같은 보안 콘텍스트, HFN, 그리고 PDCP의 키가 저장되고, RLC 엔티티 및/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이 재설정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논리 채널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가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에서,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속하는 앵커 기지국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프로토콜 내에 미리 구성되어 있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거나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non-scheduled)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 MAC을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TTI 지속기간,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MAC 계층 제어 정보는: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전에 획득된 키 또는 계산을 통해 현재 획득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또는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이:
상기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키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 ;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키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면, 마지막에 획득된 키가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의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이: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키를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면, 마지막으로 수신된 추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에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는 상기 추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음 -
를 더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는:
앵커 기지국이,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해결수단은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 즉 단말기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마지막으로 접속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는, 단말기에게 현재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리고 서빙 기지국을 사용하여 앵커 기지국에 전달되고, 이후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된다.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에서는 변경 또는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인터페이스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데이터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상기 방법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면서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IP 흐름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식별자 및/또는 채널 유형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음 -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의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상태 정보 및/또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4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는:
서빙 기지국이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에서 상기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상기 단말기에 할당되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할당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단말기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은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현된다. 서빙 기지국은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링크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앵커 기지국을 사용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앵커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직접 수신하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달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자원이 절약되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5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는:
앵커 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에서 상기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상기 단말기에 할당되는 C-RNTI를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 앵커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곧바로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의 변경 또는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자원이 절약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6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앵커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앵커 기지국에, IP 흐름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식별자 -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음 - 및/또는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을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에서 상기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송신 모듈은: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구성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 MAC를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TTI 지속기간,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변조 및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MAC 계층 제어 정보는: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수신 모듈에 수신되는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는 RLC 데이터 또는 MAC 데이터이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에서의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는추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할당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앵커 기지국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에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앵커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상기 앵커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 또는 RLC 엔티티를 구축하도록 더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구성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7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각각의 논리 채널의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를 저장하고,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PDCP 엔티티를 저장 또는 구성하고, RLC 엔티티 및/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프로토콜 내에 미리 구성되어 있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거나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구성 정보는,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 MAC을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TTI 지속기간,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MAC 계층 제어 정보는: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송신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전에 획득된 키 또는 계산을 통해 현재 획득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또는 무결성 보호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에,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키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키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처리 모듈이 마지막에 획득된 키가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키를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처리 모듈은 마지막으로 수신된 추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키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 - 상기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는 상기 추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음 - 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8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면서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IP 흐름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식별자 -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음 - 및/또는 채널 유형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의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상태 정보 및/또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9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0 태양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서빙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1 태양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된다. 이 기지국은 단말기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수신기와 전송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기지국과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제1 태양 또는 제1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5 태양 또는 제5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2 태양에 따르면,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이 단말기는 수신기와 전송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기지국 또는 앵커 기지국과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제2 태양 또는 제2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3 태양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된다. 이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이 기지국은 수신기와 전송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기지국 또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제3 태양 또는 제3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4 태양 또는 제4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4 태양에 따르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1 태양 또는 제1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5 태양 또는 제5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5 태양에 따르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는 제2 태양 또는 제2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6 태양에 따르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3 태양 또는 제3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4 태양 또는 제4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7 태양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은 제1 태양 또는 제1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5 태양 또는 제5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8 태양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단말기는 제2 태양 또는 제2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9 태양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은 제3 태양 또는 제3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제4 태양 또는 제4 태양의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기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에, 단말기의 식별자와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는, 서빙 기지국을 사용하여, 그리고 단말기에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앵커 기지국에 전달되고, 이후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된다.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에 콘텍스트 이주나 변경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인터페이스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데이터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UE 데이터의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응용 아키텍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실시예 1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실시예 2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의 설계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의 다른 설계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1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2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3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4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5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이 변경될 때마다,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되어야 하고, 데이터 전송 중에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접속의 변경이 구현되어야 하며, 앵커 기지국은 변경되어야 한다. 앵커 기지국의 변경은 단말기 키 업데이트 및 콘텍스트 획득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야기한다. 또한, 단말기가 2개의 기지국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단말기의 콘텍스트가 2개의 기지국 사이에서 빈번하게 이주되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 오버헤드와 무선-인터페이스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높아진다.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단말기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의 변경을 필요로 함이 없이도,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오버헤드와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응용 아키텍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단말기가 일례로 사용된다. 단말기는 복수의 기지국(셀이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음)의 트래킹 영역들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수단에서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일례로서, 단말기가 활성 상태에 있을 때 단말기가 접속되는 앵커 기지국과 단말기가 이동한 후에 단말기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설명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실시예 1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도 2에 도시된 응용의 구성도에 기초하여,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01.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이 단계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다. 이 단말기는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측 장치, 예를 들면 모바일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이다.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하는 경우, 단말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획득 방식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식에서는, 단말기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제2 방식에서는 단말기가 프로토콜레서 미리 구성되어 있는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즉, 프로토콜로부터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제3 방식에서는, 단말기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제4 방식에서는,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단말기가 각각의 논리 채널의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를 저장하고,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한다. 단말기는 국부적으로(locally) 저장된 구성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다.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는 PDCP 엔티티 콘텍스트와 RLC 엔티티 콘텍스트를 각각 포함한다. MAC 엔티티는 MAC 엔티티 콘텍스트를 포함한다.
제5 방식에서는,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와 콘텍스트를 저장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와 콘텍스트 및/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한다. 단말기는 국부적으로(locally) 저장된 구성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다.
제6 방식에서는,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를 저장 또는 구성하고, RLC 엔티티 및/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한다. PDCP 엔티티는 PDCP 엔티티 콘텍스트를 포함한다. MAC 엔티티는 MAC 엔티티 콘텍스트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구성 정보는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non-scheduled)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retransmission redundancy version),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를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MAC를 재설정할지에 관한 지시에서, 재설정이란, 저장되어 있는 MAC 계층 구성 정보를 해제하거나 삭제(zeroing out)하는 것, 예를 들면 MAC 계층에 대응하는 채널을 해제하거나 또는 MAC-계층 타이머를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RLC 재설정도 언급되는데, 이는, 예를 들면, RLC 계층에 대응하는 채널을 해제하거나, RLC-계층 타이머를 삭제하거나, 또는 RLC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 SN)를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지속기간,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복조 참조 신호(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변조 및 코딩 계획(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해결수단에서, 논-스케쥴링 전송이란, 단말기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 자원을 획득한 후에 1회 이상의 업링크 송신을 즉시 수행하는 것; 또는 단말기가, 전용 메시지를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 자원을 획득한 후에 1회 이상의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MAC 계층 제어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성 정보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즉, UE)는 이하의 설명에서 일례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RNA UE ID, 재개 ID(resume ID), C-RNTI,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된 단말기 식별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앵커 기지국이나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거나 송신될 수 있다.
S102.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 데이터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구성 정보를 획득한 후에, 단말기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을 위해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동일한 데이터에 위치시킨다.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이거나 또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이거나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일 수 있다.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앵커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할당되거나,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거나, 또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에 할당될 수 있다. 이는 본 해결수단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해결수단의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즉,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 다음의 식별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지 영역(RAN Notification Area, RNA) UE ID와 C-RNTI. RNA UE ID는 단말기가 속하는 기지국을 식별하고, 해당 기지국 하에서의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는 단말기에 C-RNTI를 할당한다. RNA가 단일 셀인 경우, C-RNTI는 단말기에 우선적으로 할당된다. RNA UE ID는 ID를 할당하는 앵커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추가로 해당 기지국 하에서의 단말기의 고유 단말기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단말기가 C-RNTI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된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기는 셀, 기지국 또는 C-RNTI를 할당하는 RNA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서빙 기지국은 셀, 기지국 또는 RNA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네트워크 관리 구성을 통해, 앵커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비활성 상태는 LTE에서의 유휴(idle)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 상태에서의 구성 파라미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저장된다. 이 경우, UE ID는 재개 ID일 수 있다.
구성 정보를 획득한 후, 단말기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사전에 획득된 키 또는 계산을 통해 획득된 키를 사용함으로써 송신 대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당 데이터를 단말기의 식별 정보 또는 다른 시그널링과 함께 서빙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기는,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식별자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논리 채널 식별자는 데이터 내에서 운반되거나 데이터 내에서 운반되지 않을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적어도 운반한다.
S103.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한다.
본 단계는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서빙 기지국은 데이터 내의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여,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를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한다.
본 해결수단의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할당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C-RNTI가 일례로서 사용된다. 단말기에 C-RNTI를 할당하기 위한 때라 함은: 데이터 전송 중(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데이터 전송 또는 경쟁-기반 데이터 전송), 셀 재선택 이후,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한 때, RNA 위치 업데이트 통지가 수신된 때 등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C-RNTI는 한 주기의 시간동안 보유된다. RNA 위치 업데이트 통지는, 단말기가, RNA가 변경된 때에 기지국에 단말기가 위치하는 RNA를 통지하는 것; 또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RNA를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통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RNA가 변경되거나 또는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앵커 기지국은 RNA ID 또는 재개 ID를 할당하고, 단말기에 그 RNA ID 또는 재개 ID를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에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예를 들어, C-RNTI)를 할당한 후에, 서빙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 그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통지하는데, 다시 말하면, 서빙 기지국은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단말기에 할당하고, 그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앵커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말기의 C-RNTI를 해제하는 때라 함은: 묵시적 또는 명시적 방식으로 단말기의 C-RNTI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C-RNTI는 비활성 타이머 또는 L2/L1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해제될 수 있다. 다르게는, C-RNTI가, 단말기가 유휴 상태로 진입하거나 또는 다른 셀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만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서빙 기지국은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앵커 기지국으로 하여금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앵커 기지국에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 해결수단에서, 앵커 기지국이 단말기 식별자 관리에 참여하지 않으면,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해제된 경우에 앵커 기지국에 통지할 필요가 없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앵커 기지국은 비활성 타이머에 기초하여 C-RNTI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앵커 기지국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비활성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한다.
S104. 앵커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RLC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MAC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한 후에, 서빙 기지국은 추가로 IP 흐름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유형을 앵커 기지국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논리 채널과 IP 흐름 또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 사이의 1대1 맵핑 관계가 없는 경우, IP 흐름 정보가 앵커 기지국에 추가로 송신될 필요가 있다. IP 흐름 정보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MAC 계층 프로토콜 유닛, RLC 계층 프로토콜 유닛, 또는 PDCP 계층 프로토콜 유닛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 및/또는 논리 채널을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논리 채널은, 서빙 기지국에 의한 처리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도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RLC 엔티티가 앵커 기지국 상에 있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 MAC 패킷을 송신하거나; RLC 엔티티가 서빙 기지국 상에 있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 RLC 패킷을 송신한다. MAC 패킷과 RLC 패킷은 논리 채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기지국-수준 전송 링크가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경우, 단말기는 C-RNTI와 셀 식별자를 앵커 기지국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셀-수준 공통 전송 링크가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경우, 서빙 기지국은 해당 링크를 통해 C-RNTI를 앵커 기지국에 송신한다. 전용 단말기 링크가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경우, 단말기는 어떠한 단말기 ID도 앵커 기지국에 송신할 필요가 없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RNA UE ID 또는 재개 ID가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에서 송신되는 경우,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공통 베어러 또는 전용 베어러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적은 양의 데이터가 상태 변경 없이 전송되고, 많은 양의 데이터가 상태 변경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고려하여, 단말기가 송신 대상 데이터의 수량에 기초하여 사용될 방식을 결정하거나, 또는 서빙 기지국이 논-스케쥴링 데이터 내의 BSR 상태에 기초하여,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의 이주를 수행할지 또는 단말기를 활성 접속 상태로 변경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S105.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획득한다.
본 단계는 앵커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앵커 기지국은, 데이터에서 운반된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링크 정보란, 단말기가 앵커 기지국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앵커 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구축된 링크이자 단말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특별히 사용되는 링크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IP 흐름 정보 또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 정보이다.
S106.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단게에서는, 앵커 기지국은,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기 위해,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프로세스에서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의 변경이 수행될 필요가 없고,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콘텍스트를 획득할 필요도 없다. 즉,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가, 서빙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앵커 기지국과 단말기에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앵커 기지국에 전달되고, 앵커 기지국은 그 데이터를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송신한다.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변경이나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인터페이스 오버헤드가 감소되며, 데이터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실시예 2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단계들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201. 앵커 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단계에서, 코어-네트워크 장치가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그 이전에, 코어-네트워크 장치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와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 사이에 구축된 링크이자 단말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특히 사용되는 링크를 통해 앵커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앵커 기지국과 코어-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전용 베어러가 구축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응답을 수신한 후에, 앵커 기지국에 그 데이터만을 송신한다.
이 해결수단에서, 코어-네트워크 장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또는 게이트웨이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S202.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을 결정한다.
코어-네트워크 장치가 전용 베어러를 구축하면, 단계 S202에서 단말기의 식별자가 획득될 필요가 없고; 대신에 전용 베어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결정된다.
앵커 기지국이 C-RNTI를 가지지 않으면, 예를 들어, C-RNTI가 만료되었거나 또는 해제되었으면, 앵커 기지국은, 가까운 기지국 또는 서빙 기지국에 단말기를 페이징(paging)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페이징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가 앵커 기지국 또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페이징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의 일부 또는 전부, 예컨대 단말기의 식별자나 페이징 시기 계산 파라미터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페이딩 응답이 수신된 후에 S203이 수행된다.
앵커 기지국이 단말기의 유효한 C-RNTI를 가지면, S203이 수행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C-RNTI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와 관계 없이, 앵커 기지국은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자를 서빙 기지국에 송신한다.
S203.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앵커 기지국은 단말기에 현재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을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을 결정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서빙 기지국에 송신한다.
앵커 기지국이 단말기가 속하는 서빙 기지국을 결정할 수 없으면,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은, 페이징 응답을 수신한 이후에, 앵커 이지국에 통지한다.
일 구현에서,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에 단말-특정 전송 채널이 없으면, RNA UE 식별자 또는 재개 ID 식별자가 서빙 기지국에 송신된다.
일 구현에서, 앵커 기지국은 유효한 C-RNTI를 송신할 수 있다.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에 셀-수준 전용 전송 채널이 없으면, 서빙 셀의 식별자가 추가로 송신되고, 그 정보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앵커 기지국에 통지된다.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에 단말-특정 전송 채널이 있으면, 단말기의 식별자가 서빙 기지국에 송신되지 않는다.
S204. 단말기에 송신 대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단말기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기 위해,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송신 대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UE가 일례로서 사용된다. 단말기의 C-RNTI는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RNA UE 식별자 또는 재개 ID에 기초하여 발견되고, 데이터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에서 송신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RNA UE 식별자 또는 재개 ID에 기초하여, 데이터와 ID가 다운링크 전송 콘텐트(content)에 부가되고, 공통 RNTI, 예를 들어 P-RNTI, 또는 비활성 상태에 UE가 진입했을 때 UE에 할당되는 공통 RNTI를 사용함으로써 다운링크 송신이 수행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C-RNTI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에서 데이터가 송신된다.
본 해결수단에서, 업링크 데이터 정보에서와 유사하게,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에 관한 정보 또는 단말기에 할당되는 C-RNTI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이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현된다. 서빙 기지국은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링크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앵커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앵커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바로 수신하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달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자원이 절약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된다.
전술한 실시에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구현 프로세스에서,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은 MAC 계층 데이터 교환이거나 또는 RLC 계층 데이터 교환일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전송이 일례로서 사용된다.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의 설계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서빙 기지국은 물리 계층, MAC 계층, 그리고 RLC 계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앵커 기지국은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을 유지하며,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접속의 보안 및 유지를 책임진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앵커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RLC 데이터이다.
선택적으로, 일부의 RLC 계층 기능들은 서빙 기지국 상에 구성되고, 일부의 RLC 기능들은 앵커 기지국 상에 구성된다.
RLC 기능들은: 자동 반복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ARQ) 기능, 분할(segmentation) 및 재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운링크 RLC 기능은 서빙 기지국 상에 구성되고, 업링크 RLC 기능은 앵커 기지국 상에 구성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서빙 기지국은 분배된 유닛(distributed unit, DU)이고, 앵커 기지국은 중앙집중화 유닛(centralized unit, CU)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앵커 기지국과 서빙 기지국의 다른 설계의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서빙 기지국은 선택적으로 물리 계층 및 MAC 계층을 유지할 책임이 있을 수 있고, 앵커 기지국은 RLC 계층과 PDCP 계층을 유지한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앵커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MAC 데이터이다. 이는, 앵커 기지국이 RLC 계층과 PDCP 계층을 유지하고, ARQ, 분할 등과 보안을 책임지며, 서빙 기지국이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과 MAC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 경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앵커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는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MAC 데이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는, 앵커 기지국의 일부의 RLC 기능들은 MAC에 하향 이동될 수 있고, 앵커 기지국의 일부의 RLC 기능들은 서빙 기지국의 PDCP에 상향 이동될 수 있다.
구성 관리: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한 후에 또는 단말기의 셀이 변경된 후에, 단말기는 MAC와 PHY를 재설정하고, 활성 상태에 전용되는 RLC, RB/논리 채널 및 흐름 식별자(흐름 ID) 사이의 관계를 디폴트로 유지한다. 상태 변경이 있으면, 네트워크는 단말기로 하여금 일부 베어러를 삭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단말기의 셀이 변경되지 않으면, 단말기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식별 정보(예를 들어, C-RNTI)를 송신한다. 셀이 변경된 후에는, 단말기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RNA UE ID/(C-RNTI를 할당한 셀에 관한 정보와 C-RNTI)를 송신한다.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빙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오리지널 gNB, 즉 앵커 기지국을 결정한다. gNB가 변경된 이후에는,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에, MAC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 데이터와 논리 채널/흐름 ID, 즉 RNA UE ID를 송신한다.
본 해결수단의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서빙 기지국이 앵커 기지국으로부터 RLC 구성 파라미터를 획득하는데, 즉 서빙 기지국이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구성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RLC 엔티티를 구축한다.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는, RLC 엔티티가 해제된다. 보통,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수신된 때 비활성 타이머가 시작되거나 재시작된다.
선택적인 구현에서, 경쟁-기반 송신 충돌이 해결된 후에,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가 완료되거나 경쟁-기반 논-스케쥴링 전송이 완료된 후에, 또는 앵커 기지국이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판정된 때에, 또는 단말기의 업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송신되고 수신확인 메시지가 단말기에 회신된 후에,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 또는 MAC 엔티티를 선택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전술한 2개의 구현들에서, 복수의 논리 채널이 있으면, 복수의 논리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RLC 엔티티가 구축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오직 하나의 논리 채널만이 있으면, 오직 하나의 RLC 엔티티만이 존재한다.
단말기가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는 경쟁-기반 방식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데이터가 RACH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쟁-기반 데이터 송신이 일례로서 사용된다. 단말기는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논리 채널, 흐름 식별자 및 단말기의 식별 정보(예컨대, RNA UE ID)를 포함함)를 송신하고,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RNA ID와 할당된 C-RNTI를 운반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즉, 단말기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함). RNA ID는 오리지널 셀 ID이거나 또는 오리지널 셀에 의해 할당되는 C-RNTI일 수 있다. 흐름 ID와 논리 채널 사이의 맵핑이 결정되면, 단말기는 흐름 ID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가 유효한 C-RNTI를 가지고, 단말기가 C-RNTI를 할당한 셀에서 업링크 송신을 추가로 수행하는 경우, C-RNTI는 RNA UE ID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기가 복수의 UE ID를 지원하면, 송신된 식별자의 유형이 지시된다(indicated). 예를 들어, RNA UE ID 또는 C-RNTI가 사용되는지 여부가 지시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의 오리지널 C-RNTI와 오리지널 셀 ID가 RNA UE ID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의 셀이 변경된 후, RLC, MAC 및 PHY가 재설덩된다. 업링크 송신 충돌이 해결된 후, 기지국은 RLC 엔티티와 MAC 엔티티를 구축한다.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서빙 기지국이, RNA ID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속하는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고; 앵커 기지국이 변경된 후, RLC SDU 데이터, 논리 채널/흐름 ID 및 RNA UE ID를 앵커 기지국에 전달한다. 암호해독 및/또는 무결성 보호 프로세싱을 수행한 후에, 앵커 기지국은 대응하는 흐름에서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한다.
기지국들 사이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앵커 기지국이 다운링크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C-RNTI, RAN UE ID, 또는 재개 ID)를 서빙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말기 콘텍스트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다: 서빙 기지국은 C-RNTI 및 RNA UE ID(또는 오리이널 C-RNTI 및 오리지널 셀 ID)를 데이터와 함께 앵커 기지국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서빙 기지국은 수신확인 응답을 수신한다. 다르게는, 기지국들 사이의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통해, 앵커 기지국은, C-RNTI를 할당한 셀과 RNA UE ID에 대응하는 C-RNTI를 업데이트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기지국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관리의 구체적인 케이스는 다음과 같다: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에 공통 또는 전용 베어러가 구축된다. 공통 베어러는 셀 그래뉼래러티(granularity) 또는 기지국 그래뉼래러티에 기초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이전에, 공통 또는 전용 베어러의 구축이 트리거된다. 셀 또는 기지국에 기초한 공통 베어러의 구축은 데이터 송신 전에 트리거될 수 있다.
CN과 기지국 사이의 접속/베어러의 변경 및 콘텍스트 이주는 다음과 같다: 서빙 기지국은, BSR 및 네트워크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콘텍스트의 획득, CN과 RAN 사이의 접속의 변경, 및 업데이트 키와 추정 파라미터의 획득을 트리거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서빙 기지국(RNA)이 단일 셀이면, 이 아키텍처가 사용되고, C-RNTI가 할당되어 유지된다. C-RNTI가 해제될 필요가 있으면, 선택적으로는, 앵커 기지국 및/또는 단말기는 C-RNTI를 해제하도록 명시적으로 명령을 받는다.
단말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가 단말기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업링크 전송에서는, 서빙 기지국이 앵커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며; 다운링크 전송에서는, 앵커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서빙 기지국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에 전달한다. 이 해결수단에서, 서빙 기지국과 앵커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은 RLC 데이터이거나 또는 MAC 데이터일 수 있다. 업링크 전송 프로세스에서, 코어 네트워크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의 변경이나 콘텍스트 이주가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자원이 절약되고,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전술한 실시에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 전송이 일례로서 사용된다.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단말기는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후 사전에 획득된 키 또는 계산을 통해 현재 획득되어 있는 키를 사용함으로써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프로세싱 및/또는 무결성 보호를 구행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키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비활성 상태에 진입한 후에, 단말기는 이전의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키를 저장하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는 후속의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그 키를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추정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키를 획득할 수 있고, 기지국 측에 키의 업데이트를 명령할 수 있다.
키를 변경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구현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기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키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키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면, 단말기는 마지막에 획득된 카가 계속 사용될 수 있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키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단말기가 마지막에 수신된 추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키를 획득하고;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서빙 기지국으로 하여금 키를 변경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에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는 추정을 통해 새로운 키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는 추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다음의 경우에는 키를 변경하지 않는다:
네트워크가 단말기에,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이 CU-DU 분리/안전(CU-DU separated/secure)인 것을 통지한 경우; 이 경우에는, 단말기는 셀에서 수신된 키가 안전한 것으로 간주하고, 후속의 업링크 송신에서, 단말기는 항상 그 키를 사용자-평면 또는 제어-평면 데이터의 보호를 포함하는 보안성 보호에 사용한다;
단말기가 서빙 기지국에, 사용된 키가 안전하다는 것을 지시한 경우; 또는 단말기가 서빙 기지국에,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이 CU-DU 분리인지의 여부를 통지하거나 서빙 기지국에 오리지널 셀에 관한 정보만을 통지하여, 이에 따라 서빙 기지국이 단말기가 키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경우; 또는
서빙 기지국이 단말기가 속하는 오리지널 셀이 CU-DU 분리이고 키가 안전한 것으로 결정하여, 단말기에 키를 변경하도록 명령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는 다음의 경우들(키가 셀이 변경될 때마다 변경되거나; 키가 단말기에 의해 마지막으로 사용된 셀이 CU-DU 분리가 아니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셀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지시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 키를 변경한다:
단말기가 마지막으로 수신된 추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추정을 수행하고, 키가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네트워크에 지시하며, 선택적으로는 네트워크에 그 사용된 추정 파라미터를 통지하는 경우; 또는
단말기가, 보호를 위해, 마지막으로 사용된 키를 계속 사용하고, 앵커 셀에 관한 정보와 키가 안전하지 않다거나 또는 앵커 셀이 CU-DU 분리가 아니라는 것을 서빙 기지국에 통지하고; 그리고 네트워크가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 키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면, 네트워크는 키를 변경하도록 단말기에 명령하는데, 예를 들면 단말기에 마지막으로 송신된 추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키 추정을 수행하도록 명령하거나; 또는 단말기에 추정 파라미터를 송신하고, 단말기가 수신확인을 하는 경우.
이 구현에서, 단말기의 키가 안전하면, 그 키는 업데이트될 필요가 없다. 이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의 키 업데이트에 의해 야기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1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데이터 전송 장치 10은: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11 -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12; 및
앵커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13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프로세스에서의 서빙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수신 모듈 11은,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송신 모듈 13은, 앵커 기지국에, 논리 채널 식별자 - 논리 채널 식별자는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음 - 및/또는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을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수신 모듈 11에 의해 수신되는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에서의 단말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송신 모듈 13은: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구성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더 구성된다.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 MAC를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TTI 지속기간,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변조 및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MAC 계층 제어 정보는: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수신 모듈 11에 의해 수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는 RLC 데이터, MAC 데이터 또는 RLC 데이터나 MAC 데이터의 일부이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는추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처리 모듈 12는, 단말기에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할당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송신 모듈 13은, 단말기에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앵커 기지국에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처리 모듈 12는,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에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송신 모듈 13은, 앵커 기지국으로 하여금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앵커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처리 모듈 12는, 단말기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 또는 RLC 엔티티를 구축하도록 더 구성되거나; 또는
수신 모듈 11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로서,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구성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서빙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2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 데이터 전송 장치 20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21; 및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22 - 데이터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단말기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처리 모듈 21은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각각의 논리 채널의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를 저장하고,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하거나;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PDCP 엔티티를 저장 또는 구성하고, RLC 엔티티 및/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처리 모듈 21은, 프로토콜 내에 미리 구성되어 있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거나; 또는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서빙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거나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23을 더 포함하며,
구성 정보는,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 MAC을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TTI 지속기간,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MAC 계층 제어 정보는: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서빙 기지국에 송신되기 전에, 처리 모듈 21이: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전에 획득된 키 또는 계산을 통해 현재 획득되는 키를 사용하여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또는 무결성 보호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송신 대상 데이터가 획득되기 전에, 수신 모듈 23이: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키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 ;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키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면, 처리 모듈 21이 마지막에 획득된 키가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키를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면, 처리 모듈 21은 마지막으로 수신된 추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키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송신 모듈 22은, 서빙 기지국에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 -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는 추정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음 - 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처리 모듈 21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단말기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3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데이터 전송 장치 30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31 -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32; 및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33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앵커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수신 모듈 31이,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면서 또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논리 채널 식별자 - 논리 채널 식별자는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음 - 및/또는 채널 유형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수신 모듈 31이,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의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수신 모듈 31이,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처리 모듈 32가,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에 따라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더 구성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송신 모듈 33이, 서빙 기지국에,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상태 정보 및/또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앵커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4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데이터 전송 장치 40은: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41 -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및
송신 대상 데이터를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42
을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에서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서빙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실시예 5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데이터 전송 장치 50은: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51 -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52; 및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53
을 포함한다.
이 해결수단에서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앵커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상세한 내용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된다. 이 기지국은 단말기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 기지국은 전술한 해결수단들에서의 서빙 기지국이다. 이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수신기와 전송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서빙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기지국과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이 단말기는 수신기와 전송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단말기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기지국 또는 앵커 기지국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13 태양에 따르면, 기지국이 제공된다. 이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이 기지국은 수신기와 전송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앵커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기지국 또는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그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전술한 다양한 구현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서빙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앵커 기지국에 대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서빙 기지국 측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단말기는 전술한 다양한 구현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은 전술한 다양한 구현들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의 앵커 기지국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기 또는 기지국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함으로써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메모리(저장 매체)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isk),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들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 것에 불과하며,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Claims (38)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서빙 기지국이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앵커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 기지국에, IP 흐름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식별자 및/또는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유형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음 -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에서 상기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구성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non-scheduled)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retransmission redundancy version),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를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지속기간,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복조 참조 신호(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변조 및 코딩 계획(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MAC 계층 제어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RLC 데이터, 또는 MAC 데이터, 또는 RLC 데이터의 일부 또는 MAC 데이터의 일부인,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단말기에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앵커 기지국에 상기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에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 상기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 또는 RLC 엔티티를 구축하는 단계; 또는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의 구성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앵커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도록 명령하기 위해,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상기 앵커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송신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각각의 논리 채널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를 저장하고,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PDCP 엔티티를 저장 또는 구성하고, RLC 엔티티 및/또는 MAC 엔티티 및/또는 물리 채널 구성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액세스-네트워크 통지 영역 내의 단말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또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또는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할당되는 식별자
    를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프로토콜 내에 미리 구성되어 있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서빙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거나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 논-스케쥴링(non-scheduled) 전송 구성 정보, MAC 계층 제어 정보 및 채널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또는 재전송 구성 정보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 재전송 리던던시 버전(retransmission redundancy version),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를 재설정할지에 관한 정보, 피드백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시간-주파수 자원, 업링크 송신부터 다운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및 다운링크 송신부터 업링크 피드백까지의 타이밍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 계층 파라미터 구성 정보는,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지속기간,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길이,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및 물리 채널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논-스케쥴링 전송 구성 정보는, 논-스케쥴링 업링크 블라인드 재전송의 횟수, 논-스케쥴링 자동 재전송 간격, 기지국에 의해 예측되는 논-스케쥴링 전송 신호 수신 전력, 논-스케쥴링 전송 전력 부스트 스텝,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복조 참조 신호(DRMS) 목록 및 논-스케쥴링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변조 및 코딩 계획(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MAC 계층 제어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CSI 보고 클래스,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보고 여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PHR 보고,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의 보고 여부, BSR 보고 포맷 및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BSR 보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구성 정보는, 서비스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구성, 서비스 채널과 흐름 식별자 사이의 대응관계 및 제어 채널에 대응하는 RLC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전에 획득된 키 또는 계산을 통해 현재 획득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및/또는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키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 ;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키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면, 마지막에 획득된 키가 계속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키를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면, 마지막으로 수신된 추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기지국에 키 업데이트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앵커 기지국이,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면서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IP 흐름 식별자 및/또는 논리 채널 식별자 및/또는 채널 유형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논리 채널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음 -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의 새로운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식별자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의 상태 정보 및/또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4.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서빙 기지국이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5.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앵커 기지국이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앵커 기지국이 상기 서빙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6.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앵커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앵커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7.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서빙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8.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9.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앵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0.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코어-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 상기 데이터는 단말기에 송신될 송신 대상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서빙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서빙 기지국에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1.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기지국.
  32.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가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단말기.
  33.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이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기지국.
  34.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이 제24항 또는 제25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는,
    기지국.
  35.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36.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37.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38.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24항 또는 제25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97018438A 2017-01-05 2017-11-2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24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08537.6 2017-01-05
CN201710008537.6A CN108616988B (zh) 2017-01-05 2017-01-05 通信方法和装置
PCT/CN2017/112527 WO2018126812A1 (zh) 2017-01-05 2017-11-23 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521A true KR20190088521A (ko) 2019-07-26
KR102224766B1 KR102224766B1 (ko) 2021-03-05

Family

ID=6278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438A KR102224766B1 (ko) 2017-01-05 2017-11-2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284346B2 (ko)
EP (2) EP4120788A3 (ko)
JP (2) JP7096252B2 (ko)
KR (1) KR102224766B1 (ko)
CN (2) CN111541513B (ko)
BR (1) BR112019013820A2 (ko)
MX (1) MX2019008188A (ko)
RU (1) RU2768363C2 (ko)
WO (1) WO2018126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976B (zh) * 2018-02-12 2022-10-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方式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CN110380814B (zh) * 2018-04-12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586709A (zh) * 2019-02-15 2020-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映射方法、节点、通信装置及存储介质
CN116113075A (zh) * 2019-03-29 2023-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1031013A1 (zh) * 2019-08-16 2021-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1035711A1 (zh) * 2019-08-30 2021-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10572842B (zh) * 2019-09-20 2022-04-0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非连续接收drx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079560A (zh) 2020-01-03 2021-07-06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触发和取消功率余量报告的方法和设备
WO2021207902A1 (zh) * 2020-04-13 2021-10-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210144213A (ko) * 2020-05-21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016452A1 (en) * 2020-07-23 2022-01-27 Zte Corporation Data forwarding for user equipment with data transmission
CN112204909B (zh) * 2020-08-27 2023-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盲重传方法和装置、盲重传指示方法和装置
US20230397201A1 (en) * 2020-10-21 2023-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re users in a multicast group
CN117156500A (zh) * 2022-05-24 2023-12-01 荣耀终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2527B2 (en) * 2002-11-08 2010-09-07 Ntt Docomo, Inc. Wireless network handoff key
CN100574276C (zh) * 2006-08-22 2009-1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分同步码分多址系统增强上行链路随机接入的控制方法
CN101772028A (zh) * 2009-01-05 201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管理的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及系统
JP5620484B2 (ja) * 2009-07-06 2014-11-05 ロックスタービーアイディーシーオー,エルピー 無線通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360866A1 (en) *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using resource assignments
WO2013012264A2 (ko) * 2011-07-19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전송 포인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08125B2 (en) * 2012-07-05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Aggregation of data bearers for carrier aggregation
KR101925764B1 (ko) * 2012-08-23 2018-12-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시스템에서의 다중 스케줄러들을 이용한 동작
CN104041102A (zh) * 2012-11-13 2014-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ES2841004T3 (es) * 2013-02-07 2021-07-07 Huawei Tech Co Ltd Método y aparato de transmisión de datos
WO2015041408A1 (en) * 2013-09-23 2015-03-26 Lg Electronics Inc. Forwarding a buffer status report for dual connectivity
CN110300438B (zh) * 2014-10-23 2020-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控制rrc消息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5591721A (zh) * 2014-10-24 2016-05-18 杭州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上行协作的方法和基站
CN107409422B (zh) * 2015-03-03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设备、节点和方法以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70215117A1 (en) * 2015-04-07 2017-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CN106470491B (zh) * 2015-08-14 2022-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中继用户设备控制方法、装置及用户设备
CN106612551A (zh) * 2015-10-22 2017-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ue的c-rnti的管理方法及接入网节点
KR20170123236A (ko) * 2016-04-28 2017-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볼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
CN105979592A (zh) * 2016-05-06 2016-09-28 清华大学 一种对用户设备接入流程的优化方法
WO2018045573A1 (zh) * 2016-09-09 2018-03-15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终端移动性管理的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06788912B (zh) * 2016-11-04 2019-06-07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基站、用户设备及上行数据传输方法
KR102582554B1 (ko) * 2017-01-03 2023-09-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light connection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2, Meeting #95bis, R2-166922, 2016.10.1* *
3GPP TSG SA WG3, Meeting #85, S3-161657, 2016.10.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16988A (zh) 2018-10-02
CN111541513A (zh) 2020-08-14
KR102224766B1 (ko) 2021-03-05
JP2022141660A (ja) 2022-09-29
EP3550904A1 (en) 2019-10-09
US11284346B2 (en) 2022-03-22
JP2020504530A (ja) 2020-02-06
RU2019124525A3 (ko) 2021-04-27
RU2768363C2 (ru) 2022-03-24
EP4120788A2 (en) 2023-01-18
JP7096252B2 (ja) 2022-07-05
RU2019124525A (ru) 2021-02-05
BR112019013820A2 (pt) 2020-01-21
EP3550904B1 (en) 2022-07-20
WO2018126812A1 (zh) 2018-07-12
CN108616988B (zh) 2020-04-14
EP4120788A3 (en) 2023-03-08
EP3550904A4 (en) 2019-12-04
CN111541513B (zh) 2024-04-09
US20190327680A1 (en) 2019-10-24
US11805482B2 (en) 2023-10-31
US20220286963A1 (en) 2022-09-08
MX2019008188A (es) 201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548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6633780B2 (ja) 基地局及び方法
CN10939206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00982B1 (ko) Ue의 상태 전환 방법 및 장치
CN107645779B (zh) 一种数据发送、传输方法及装置
US9326179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
EP4007414A1 (en) Data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CN107231623B (zh) 一种数据调度方法、基站及系统
US20210022201A1 (en) Rrc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US2015031294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Control Plane Signaling
US10973080B2 (en) Radio terminal, processor, and base station
CN112913296A (zh)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
KR102415627B1 (ko) 무선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무선 단말 제어 방법
JP7319474B2 (ja) 通信制御方法
CN117177387A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