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484A -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484A
KR20190088484A KR1020197015791A KR20197015791A KR20190088484A KR 20190088484 A KR20190088484 A KR 20190088484A KR 1020197015791 A KR1020197015791 A KR 1020197015791A KR 20197015791 A KR20197015791 A KR 20197015791A KR 20190088484 A KR20190088484 A KR 20190088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ction
electrically
contac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크레머
Original Assignee
이-세븐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매니지먼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븐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매니지먼트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세븐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매니지먼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8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01M2/105
    • H01M2/1077
    • H01M2/204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6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로 형성된, 배터리 셀(20)을 연결하기 위한 기판(1)으로, 상기 기판(1)은 모든 경우에서 제1 사이드(2) 위에 그리고 제2 사이드(15) 위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접촉 섹션(7)을 구비하고, 각 접촉 섹션(7) 서로는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사이드(15)를 형성하는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재료의 평탄한 커버(12)가 기판(1)의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 위에 배치되고, 커버(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사이드(15)의 접촉 섹션(7)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7)이 커버(12)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재료의 제1 사이드(2)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리드-스루 요소(17)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를 통해 연장하여, 리드-스루 요소(17)에 의해 제1 사이드(2) 위의 접촉 섹션(7)이 제2 사이드(15) 위의 접촉 섹션(7)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연결되고, 커버(12)에 의해 열류가 픽업되어 기판(1)으로부터 방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본 발명은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으로, 회로 기판이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회로 기판은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 위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접촉 섹션을 구비하며, 각 접촉 섹션은 서로가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이 있게 연결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내의 배터리 셀들이 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나 열적으로 서로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러한 기판에 의해 전류와 열이 배터리 내로 가능하면 고르게 분산되게 흐를 수 있다. 특히, 이는 배터리 작동에 특히 치명적인 고온의 열점들이 배터리 내에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작동 온도는 가능하면 낮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터리로부터의 열 유동을 방출하기에 적당한 기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기판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2 사이드를 형성하는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재료의 평탄한 커버가 기판의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 위에 배치되고, 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사이드의 접촉 섹션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이 커버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재료의 제1 사이드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리드-스루 요소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를 통해 연장하여, 리드-스루 요소에 의해 제1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이 제2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연결되고, 커버에 의해 열류가 픽업되어 기판으로부터 방출되게 구성된 기판에 의해 달성된다.
커버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이고 열적으로도 전도성인 재료로 제작된다. 전기적 전도성 재료는 종종 열적으로도 전도성이 높은 이점을 제공한다. 커버는 기판의 전기적 비전도성 재료 내에 배치된다. 커버는 평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커버는, 위에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가 배치되어 있는,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재료로 제작된 판(plate)일 수 있다.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는 평탄한 방식으로 커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커버가 반드시 평면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가 개별적으로 전도성 요소들 또는 전도성 요소들의 텍스쳐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일탈되는 것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리드-스루 요소(lead-through element)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와 코어를 관통한다. 이 리드-스루 요소는 기판 제1 사이드 위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들을 기판 제2 사이드 위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들에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한다. 리드-스루 요소는 2개의 접촉 섹션들을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추가의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요소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는 기판 또는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보통의 기판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접촉 섹션들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리드-스루 요소들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copper)이 특히 바람직하다. 동은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회로 기판 생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판이 적정한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커버가 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 내에 개구들이 없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정 가능한 구성에 따르면, 커버의 두께는 0.1 내지 0.5mm일 수 있다.
커버가 기판의 에지에서 인출되거나 에지 상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커버는 기판 사이드 바깥으로 열에너지를 전도하기에 적당하다. 커버는 기판 외부로 인출되거나 여러 에지들에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버가 열 전도성의 방열 요소에 열전도성으로 연결되거나, 커버가 열전도성의 방열 요소를 형성하고, 방열 요소는 기판 평면 내에서 연장하는 제1 평면 섹션을 구비하고, 및 방열 요소는 기판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다른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2 평면 섹션을 구비한다. 이러한 방열 요소는 배터리로부터 열류(heat flow)를 방출시키는 데에 특히 적당하다. 제1 평면 섹션은 기판이 배치되어 있는 배터리 셀 장치의 바깥으로 열류를 안내하는 데에 적당하다. 방열 요소의 제2 평면 섹션은 열 싱크로 열류를 방출하기에 적당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2 평면 섹션은 열 싱크에 대해 평탄하게 놓일 수 있다. 이 열 싱크는 안에 기판이 배치되어 있는 셀 장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일 수 있다. 그러나 열 싱크가 다른 냉각 요소일 수 있다. 방열 요소의 이 제2 평면 섹션은 평탄하기 때문에, 제2 평면 섹션을 통해 특히 대량의 열류가 열 싱크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의 커버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대부분의 금속들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 전도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가 동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커버가 다른 금속이나 금속 합금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커버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은 열 전도성이 우수하고 밀도가 작다. 이에 따라 기판이 특히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복수의 기판들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경량화에 특히 유리한 효과를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은,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에, 접촉 섹션을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들과 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하는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 연결 섹션이 배치되고, 및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이 연결 섹션과 관련하여 전기적으로 고정되도록, 전기 퓨즈가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들 각각에 할당되고,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이 그 접촉 섹션에 할당된 전기 퓨즈를 통해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각 접촉 섹션에 연결되어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기판이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이 배터리 셀 내의 폴트로 인해 붕괴되어(break down) 상당히 큰 전류가 이 배터리 셀을 통해 전도되므로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이 결함 있는 배터리 셀에 연결되어 있는 기판의 접촉 섹션에 할당된 전기 퓨즈가 트리거 된다. 이에 따라 과잉 전류가 결함 있는 배터리 셀로부터 접촉 섹션으로 흐를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기판의 추가의 접촉 섹션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인접하는 추가의 배터리 셀들은 결함 있는 배터리 셀로부터 보호된다.
리드-스루 요소들이 기판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을 기판 제2 사이드 위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하게 배치되어서, 제1 사이드 위의 각 접촉 섹션이 적어도 하나의 전기 퓨즈에 의해 기판 제1 사이드 위의 다른 각각의 접촉 섹션에 대해 그리고 기판 제2 사이드 위의 각 접촉 섹션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모든 접촉 섹션들이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불필요하게 많은 퓨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판의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의 접촉 섹션들을 연결하는 전도성 리드-스루 요소들이 퓨즈와 같은 크기로 될 필요가 없게 한다. 그러나 리드-스루 요소들이 퓨즈와 크기가 동일하게 하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스루 요소들이 연결 섹션 내에 배치되지 않고, 각각이 기판의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들을 서로 직접 연결하게 할 수도 있다.
연결 섹션이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에서 평탄하고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연결 섹션이 평탄한 층으로 형성되면,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이 상당히 높아져서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들 사이에서 전류 및 열류를 분산시키기에 특히 적당하다. 또는 연결 섹션이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및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는 도체 트랙의 복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체 트랙 복합체의 이점은 연결 섹션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재료를 덜 사용해도 된다는 것이다. 비전도성 재료 위에 배치될 수 있는 다른 부품들을 위한 추가 공간이 기판 위에 잔존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성에 따르면,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이 전기적 비전도성 재료를 통해 기판의 제2 사이드 위의 커버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이 제2 사이드 위의 접촉 영역에 접촉 요소를 통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방식으로 직접 연결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대신,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과 제2 사이드 위의 커버 사이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연결이 있을 수 있다. 커버에 의해 전류 및 열류가 기판의 제2 사이드 위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전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 내의 각 접촉 섹션 주위에, 복수의 리드-스루 요소들이 접촉 섹션과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드-스루 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전류 및 열류가 기판의 제1 사이드로부터 기판의 제2 사이드로 특히 잘 전도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리드-스루 요소들이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 내에서 접촉 섹션들 근방에 배치되면 유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접촉 섹션들 주위에 리드-스루 요소들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히 적당하다. 6개 내지 12개의 리드-스루 요소들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리드-스루 요소가 비전도성 재료를 관통하는 리드-스루 리세스의 내부 에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의 형상은 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스루 요소는 리드-스루 리세스의 내부 에지 위에 증발되거나 인쇄된 금속 층이면 바람직하다. 리드-스루 리세스는 비전도성 재료 내를 드릴 가공 또는 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리드-스루 요소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비전도성 재료를 통하는 리드-스루 리세스를 따라 리드-스루 요소가 배치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정 가능한 구성에 따르면, 리드-스루 요소가 비전도성 재료 내에 리벳 요소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 및/또는 기판의 제2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이 각각 기판의 제1 사이드 또는 제2 사이드의 면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대해 융기될 수 있다. 접촉 섹션의 융기된 요소는 평탄한 면 또는 배터리 셀의 단부 단자 형상에 적합한 릴리프 형상의 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촉 섹션과 배터리 셀의 접촉을 개선시킨다. 접촉 섹션은 기판의 제1 사이드 면이나 제2 사이드 면에 의해 각각 획정되는 평면으로부터 0.1mm 내지 0.3mm 사이로 돌출하는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섹션들이 융기된 접촉 포인트들을 구비하면 유리하다. 접촉 포인트들은 접촉 섹션들과 이웃 배터리 셀들 사이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연결을 확실하게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기판이 플렉서블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기판은 플렉서블 및/또는 탄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는 탄성 폴리머로 제작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는 폴리이미드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캡톤(Kapton)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톤은 내화학성이 높고 절연파괴 전계 강도(breakdown field strength)가 매우 높다. 기판의 접촉 섹션들, 기판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에 적용된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재료가 금속이면 충분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다. 그러나 적용되는 금속의 양은, 기판이 구부러져서 기판 섹션들의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이 감소되거나 없어질 때,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양이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라인이 기판 내에 제공되어 기판을 냉각시킨다. 냉각 라인은 기판으로 형성된 평면 내에서 기판을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냉각 라인들이 기판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라인은 기판의 커버를 관통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각 접촉 섹션 아래에, 접촉 섹션 위에 누르는 힘이 가해질 때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재료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재료는 접촉 섹션 아래의 비전도성 내료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력이 접촉 섹션에 가해지면, 접촉 섹션과 탄성 재료 모두가 변형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접촉 섹션과 배터리 셀 사이에 특히 우수한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배터리 셀들이 접촉 섹션들에 대해 압박되는 경우, 기판의 국부적인 변형으로 인해, 기판의 다른 섹션이 바람직하지 않게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기판이 손상된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도체 트랙의 상호연결부 위, 기판의 제1 사이드 위의 평탄하며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층 위 및/또는 기판의 제2 사이드 위의 커버 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접촉(contact)이 제공된다.  이러한 접촉은 배터리 셀에 의해 접촉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그러한 접촉에 연결되어서 예를 들면 기판에 인가되는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
기판 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접촉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접촉은 예를 들면 기판 위에 장착되어 있거나 기판 내에 제공되어 있는 측정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은 기판 위에 제공되어 있는 측정 장치를 판독 및/또는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버스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셀 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로, 셀 장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고, 셀 장치는 각각이 복수의 배터리 셀들로 이루어진 배터리 섹션을 적어도 두 개 포함하고, 배터리 섹션의 배터리 셀은, 각 배터리 섹션의 배터리 셀들의 단부 단자들이 공통의 제1 접촉 평면 내에 위치하고, 각 배터리 섹션의 배터리 셀들의 단부 단자들이 공통의 제2 접촉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정렬되고, 배터리 섹션들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모든 경우에서, 배터리 섹션의 제1 접촉 평면이 이웃하게 배치된 배터리 섹션의 제2 접촉 평면을 향하고, 접촉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를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전기적 전도성 및 열적 전도성인 연결판이 적어도 두 개의 연속된 배터리 섹션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든 경우에서, 연결판은 제1 사이드 위에 그리고 제2 사이드 위에 적어도 하나의 열적 및 전기적 전도성 접촉 섹션을 구비하고, 이 연결판의 제1 사이드를 향하는 단부 단자들은 제1 사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열적 및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고, 이 연결판의 제2 사이드를 향하는 단부 단자들은 이 제2 사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열적 및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고, 및 연결판의 접촉 섹션들은 연결판을 통해 서로가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에 있어서, 연결판이 전술한 바에 따른 기판으로 구성된 배터리에도 관한 것이다. 커버를 통해 열류가 픽업되어 셀 장치로부터 열 싱크로 방출될 수 있도록, 커버가 열 싱크에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는 각 배터리 섹션 내에 복수의 셀들을 포함한다. 배터리 셀들은 라운드 셀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특히 기계적 응력에 잘 견디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장치는 열전도성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하우징이 열전도성이므로, 열 싱크로서 셀 장치로부터 열을 흡수하기에 적당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열을 열 전도성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열 싱크들로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방열 요소가 하우지이에 열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 알루미늄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은 셀 장치를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적당하다. 하우징은 위에 압력판들이 위치하는 2개의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은 환기 슬롯으로 추가의 세장형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터리 섹션의 접촉 평면의 제1 단부 단자들이 제2 배터리 섹션의 접촉 평면의 제2 단부 단자들과 바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배터리 섹션의 모든 배터리 셀들이 이웃하는 배터리 섹션의 배터리 셀들과 정렬되어 배치되도록, 배터리 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섹션의 배터리 셀 그룹이 열을 지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배터리 섹션의 양의 단부 단자들이 이웃하는 배터리 섹션의 음의 단부 단자들에 바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인접하게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배터리 셀들이 기판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 셀들이 직렬로 연결된다. 셀 어레이 내의 기판들의 수가 소량인 경우에도 배터리 내에서 전류와 열 유동이 충분히 분배될 수 있다면, 이러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되는지는 배터리 셀의 전기용량 및 다른 특성으로 주로 결정된다.
바람직하기로는, 각 배터리 셀은 양의 그리고 음의 단부 단자를 구비하고, 각 배터리 섹션의 배터리 셀들의 모든 양의 단부 단자들이 제1 접촉 평면 내에 놓이고, 각 배터리 섹션의 배터리 셀들의 모든 음의 단부 단자들이 제2 접촉 평면 내에 놓이도록 배터리 섹션들의 배터리 셀들이 정렬되고, 제1 사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 단자들은 연결판을 통해 서로가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고, 제2 사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 단자들은 연결판을 통해 서로가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고, 제1 사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 단자들은 연결판을 통해 제2 사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 단자들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서 배터리 셀들이 전기적으로 열적으로 병렬 및 직렬 회로로 서로에 대해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전류 및 열류가 셀 장치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배터리 섹션 내의 배터리 셀이 불량인 경우, 배터리 성능이 단지 조금만 손상되는데, 이는 배터리 섹션 내에 다른 정상 작동하는 배터리 셀들이 있기 때문이다. 양의 단부 단자 또는 음의 단부 단자는 각각 배터리 셀의 양극 또는 음극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배터리 시작 영역 및 배터리 종단 영역이 배터리의 2개의 외부 접촉 평면들 내에 위치하는 단부 단자들에 의해 획정될 때, 각 압력판이 배터리 시작 영역 및 배터리 종단 영역에 배치되고, 압력판들이 텐션 요소들을 통해 서로가 연결되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인접하는 배터리 셀들이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셀 장치 내 부품들이 함께 압박된다. 여기서, 압력판(pressure plate) 각각은 배터리 셀 상에 접촉력(contact force)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판은 배터리 시작 영역에서 또는 배터리 셀 바로 위의 배터리 종단 영역 위로 접촉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압력판은 배터리 셀들의 단부 단자들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또는, 압력판은 배터리 시작 섹션에서 또는 배터리 셀들 위에서 간접적으로 배터리 종단 섹션에 접촉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판과 배터리 셀 사이에 추가의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추가의 층은 전기적 비전도성으로 및/또는 탄성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판들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구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텐션 요소들은 각각이 압력판들에 연결되어 있다. 유리하기로는, 배터리 셀과 텐션 요소 사이에는 전기적 접속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텐션 요소들은 압력판들 사이에서 압력판에 긴장력(tensile force)을 가하게 클램핑되어 있다. 긴장력으로 인해, 압력판들은 궁극적으로 전술한 접촉력을 셀 장치에 가할 수 있다. 접촉력은 배터리 내 셀 장치의 모든 배터리 섹션들을 가로질러 전달된다. 이에 따라 두 전기적 및/또는 열적 접촉 요소들이 접촉력으로 인해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셀들이 셀 장치 내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특히 잘 접촉하게 된다.
텐션 요소들은 막대, 튜브 또는 다른 세장형 요소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막대는 금속 특히 강으로 제작된다. 또는, 막대는 특별히 안정적인 플라스틱이나 복합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압력판들이 금속판으로 구성되면 유리하다. 금속판들은 긴장력이 텐션 요소로부터 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히 안정적이다. 금속판들은 소망하는 긴장력에 따라 두께를 달리하여 제작될 수 있다. 큰 긴장력이 요구되는 경우라면, 금속판은 매우 두껍게 제작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금속판의 두께는 3 내지 20mm이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5mm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판은 동, 알루미늄 또는 다른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압력판을 금속으로 제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판이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텐션 요소들은 압력판 내의 텐션 요소 리세스를 관통하며, 텐션 요소들은 텐션 요소 리세스 내에서 볼트 체결되거나 및/또는 너트에 의해 압력판에 볼트 체결된다. 나사 연결을 하면 텐션 요소에 의해 압력판에 가해지는 긴장력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 요소들이 압력판 상에 긴장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텐션 요소들이 텐션 요소 리세스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른 고정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을 기판의 제1 사이드 상에서 바라 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기판을 기판의 제2 사이드 상에서 바라 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기판의 단면에서 리드-관통 리세스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탄성 재료를 구비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기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기판을 보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배터리의 셀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하우징을 구비하는 도 5 및 도 6에 따른 배터리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기판(1)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여기서, 기판(1)은 배터리 셀들이 제1 셀 평면(4)과 제2 셀 평면(5)(도시되어 있지 않음) 내에 오프셋 배치되어 있는 셀 장치(3)의 일부이다. 기판(1)은 7개의 제1 및 제2 셀 레벨(4, 5)을 구비하는 셀 장치(3)에 적당하며, 8개 및 7개의 배터리 셀들이 각각 제1 및 제2 레벨(4, 5)에 배치되어 있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기판(1)은 텐션 요소 리세스(6)를 구비하며, 텐션 요소(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이 리세스를 관통할 수 있다. 
기판(1)은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로 제작된다. 기판(1)의 제1 사이드 위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재료로 동(copper)이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에 평탄한 방식으로 도포된다. 동 재료는 복수의 접촉 섹션(7)을 구비한다. 이들 복수의 접촉 섹션(7)은 배터리 셀들의 단부 단자들을 접촉시키기에 적당하다. 이를 위해 접촉 섹션(7)들은 융기되어 있다. 접촉 섹션(7)들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로 제작되는 절연 섹션(8)들에 의해 연결 섹션(9)과 단절되어 있다. 연결 섹션(9)은 평탄하다. 연결 섹션(9)은 접촉 섹션(7)들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서로 연결한다. 퓨즈로 크기가 정해져 있는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도체 트랙(10)이 각 절연 섹션(8)을 관통한다. 이에 따라 접촉 섹션(7)들이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고정된다.
각 절연 섹션(8) 주위 이에 따라 각 접촉 섹션(7) 주위에, 복수의 리드-스루 리세스(11)들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리드-스루 리세스(11) 내에, 리드-스루 요소(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리드-스루 요소는 동으로 제작되며, 기판(1)의 제1 사이드(2)의 연결 섹션(9)을 기판(1)의 제2 사이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로부터 접촉 섹션(7)으로 흐르는 전류가 도체 트랙(10)과 연결 섹션을 통과하여 기판(1)의 제2 사이드로 흐를 수 있게 된다. 기판(1) 제1 사이드(2) 상의 접촉 섹션(7)들이 연결 섹션(9)에 대해 전기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섹션(7)들은 기판(1)의 제2 사이드 상의 연결 섹션들(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대해서도 고정되어 있다.
기판(1)의 제2 사이드(도시되어 있지 않음) 위에, 동으로 제작된 커버(12)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 커버(12)의 일부는 횡 방향으로 기판(1) 외부 영역으로 연장하고 있다. 기판(1)의 외부 영역에서, 커버(12)는 방열 요소(13)를 형성한다. 4개의 방열 요소(13)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 방열 요소(13)는 제1 평면 섹션(14)을 구비한다. 각 방열 요소(13)에 제2 평면 섹션도 존재한다. 다만 제2 평면 섹션은 도시되어 있는 시각으로 인해 보이지는 않는다.
도 2는 기판(1)의 제2 사이드(15) 위에서 바라 본, 도 1에 따른 기판(1)의 개략도이다. 기판(1)의 제2 사이드(15) 위에 커버(12)가 평탄하게 배치되어 있다. 커버(12) 내에, 접촉 섹션(7)들이 배치되어 있고, 이 배터리 셀들의 단부 단자들과 접촉하기 적당하다. 각 접촉 섹션(7) 주위에 복수의 리드-스루 리세스(11)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리드-스루 요소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리드-스루 리세스(11) 내에서 기판(1)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이 제1 평면 섹션(14)을 구비하는 4개의 방열 요소(13)를 또한 볼 수 있다. 또한, 기판(1)의 제2 사이드 위에, 텐션 요소 리세스(6)를 볼 수 있으며, 텐션 요소들이 텐션 요소 리세스(6)를 관통한다.
도 3은 리드-스루 리세스(11)를 구비하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기판(1)의 개략 단면도이다. 기판(1)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기판 재료(16)를 포함한다. 기판 재료(16) 위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커버(12)가 배치되어 있다.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에, 동 층이 연결 섹션(9)을 형성한다. 리드-스루 리세스(11)가 기판(1)을 관통하고 있다. 리드-스루 리세스(11)는 연결 섹션(9), 기판 재료 및 커버(12)를 관통한다. 동으로 제작된 리드-스루 요소(17)가 리드-스루 리세스(11) 내에서 평탄한 방식으로 기판 재료(16)에 박층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류와 열이 기판 재료(16)를 관통하여 커버(12)를 통해 기판(1)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도 4는 탄성 재료(18)를 구비하는 도 1에 따른 기판(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기판(1)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기판 재료(16) 및 커버(12)를 포함한다.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에 동 층이 연결 섹션(9)을 형성한다. 기판(1)의 제2 사이드(15) 위에, 동 층이 커버(12)를 형성한다. 기판(1)의 제1 사이드(2) 및 제2 사이드(15)는 융기된 접촉 섹션(7)을 구비한다.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접촉 섹션(7) 주위에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절연 섹션(8)이 배치되어 있다. 접촉 섹션(7)들 사이에서 기판(1) 내부에 탄성 재료(18)가 배치되어 있다. 접촉 섹션(7)에 접촉력이 가해지면, 접촉 섹션(7)과 탄성 재료(18) 모두가 변형된다. 이는 기판(1)의 안정성(stability)에 기여한다.
도 5는 기판(1)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9)의 셀 장치(3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셀 장치(3) 내에, 복수의 배터리 셀(20)들이 배터리 섹션(21) 내에 서로 이웃하며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섹션(21)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배터리 셀(20)들은 병렬로 연결된다. 평행하게 상호 연결된 배터리 셀(20)들은 셀 장치(3)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판(1)들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 셀(20)들의 단부 단자들은 전기적 그리고 열적 전도성으로 기판(1)에 연결된다. 기판(1)들은 2개의 배터리 섹션(21)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웃하는 배터리 섹션(21)들의 배터리 셀(20)들은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기판(1)들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셀 장치(3) 내의 배터리 셀(20)들은 서로 직렬로 그리고 병렬로 연결된다.
배터리 시작 영역(22) 및 배터리 종단 영역(23) 각각은 배터리(19) 내에서 양의 단부 단자와 음의 단부 단자로 형성된다. 배터리 시작 영역(22) 및 배터리 종단 영역(23)은 외부 기판(1)에 연결되어 있다. 외부 기판(1)은 배터리 셀(20)들의 단부 단자들을 전기적 및 열적으로 전도성이 되게 연결한다. 압력판(24)이 각각 배터리 시작 영역(22) 및 배터리 종단 영역(23)으로부터 멀어지게 외부 기판(1) 사이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압력판(24)은 동으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열 전도성이 특히 높다. 압력판(24)은 기판(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단절되어서 배터리(19)가 작동하는 중에 압력판(24)은 전류를 전달하지 않는다.
압력판(24)들은 텐션 요소(25)들에 의해 서로가 연결되어 있다. 텐션 요소(25)들이 압력판(24) 위에 긴장력을 가하도록 텐션 요소(25)들이 압력판(24)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이는 셀 장치(3)를 압박한다. 특히 배터리 셀(20)들이 기판(1)에 대해 가압된다. 이는 배터리 셀(20)의 단부 단자들과 기판(1)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서, 배터리 셀(20)들과 기판(1)들 사이에서 전류 및 열류가 더 잘 분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셀 장치(3) 전체에 걸쳐 더 잘 분산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19) 내에 국부적인 열적 핫스폿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텐션 요소(25)들 및 압력판(24)들에 의해 셀 장치(3)가 압박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9)는 기계적 응력에 특히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배터리 셀(20)들이 셀 장치(3) 내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배터리 셀(20)들은 복수의 위치설정 판(26)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위치설정 판(26)들은 형상-맞춤 방식으로 배터리 섹션(21) 내의 배터리 셀(20)들을 둘러싼다. 배터리 셀(20)들의 단부 단자들이 기판(1)에 필수적으로 정밀하게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위치설정 판(26)들은 기판(1)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1)들 각각은 측 방향으로 기판(1)들로부터 인출되는 커버(12)를 구비한다. 기판(1) 외부에서, 커버(12)는 방열 요소(13)를 형성한다. 방열 요소(13)를 통해 셀 장치(3)로부터 열이 배출될 수 있다. 방열 요소(13)는 기판(1)의 평면 내에서 연장하는 제1 평면 섹션(14)과 기판(1) 평면과 직각 방향을 이루는 다른 평면 내에서 연장하는 제2 평면 섹션(27)을 구비한다. 제2 평면 섹션(27)은 하우징(도시되어 있지 않음) 또는 열 싱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열을 전달하기에 적당해서, 기판(1)으로부터 하우징이나 열 싱크 각각으로 열류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배터리(19)의 셀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배터리 셀(20)들은 제1 셀 레벨(4)과 제2 셀 레벨(5)로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셀(20)들은 서로에 대해 바로 인접해 있다. 제2 셀 레벨(5) 각각은 제1 셀 레벨(4)보다 배터리 셀(20)을 하나 적게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통로 섹션(28)이 형성된다. 텐션 요소(25)들이 외부 통로 섹션(28)들을 관통할 수 있다. 외부 통로 섹션(28)들은 가능하면 많은 배터리 셀(20)들이 셀 장치(3) 위에서 가능하면 최소의 단면적 위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텐션 요소(25)를 배터리 섹션(21)의 가장자리 영역 내에 삽입하기 위해, 배터리 셀(20) 전체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그 대신 하나의 배터리 셀(20)만이 제2 셀 레벨(5)에서 제거된다. 제2 셀 레벨(5)에서 하나의 배터리 셀(20)을 제거함으로써 2개의 외부 통로 섹션(28)이 형성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텐션 요소(25)가 각 외부 통로 섹션(28)을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텐션 요소(25)가 각 외부 통로 섹션(28)을 관통한다. 그러나 셀 장치(3)의 균일한 안정화를 이루기 위해, 배터리 셀(20)이 배치되지 않는 내부 통로 섹션(29)도 제공된다. 텐션 요소(25)는 내부 통로 섹션(29)을 관통한다.
배터리 셀(20)들은 배터리 섹션(21) 내에서 위치설정 판(2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텐션 요소 리세스(6)가 위치설정 판(26) 내에 제공되며, 텐션 요소 리세스(6)를 통해 텐션 요소(25)들이 외부 통로 섹션(28) 및 내부 통로 섹션(29) 내로 관통된다.
도 7은 하우징(30)을 구비하는 본 발명 배터리(19)의 개략도이다. 하우징(30)은 철로 제작되며, 기판(1)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장치(3)를 둘러싼다. 하우징(30) 내부에서, 방열 요소(13)가 하우징(30)에 연결되어, 셀 장치(3)로부터 하우징(30)으로 열류가 방출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열 싱크로 기능하는 장착판(31)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압력판(24)은, 압력판(24)이 하우징(30) 내부에서 셀 장치(3)의 냉각을 보조하도록 냉각 핀(32)들을 구비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텐션 요소(25)들이 압력판(24)을 관통하여 너트(33)에 의해 압력판(24)에 고정된다.
1      기판(board)
2      제1 사이드(first side of the board)
3      셀 장치(cell arrangement)
4      제1 셀 레벨(first cell level)
5      제2 셀 레벨(second cell level)
6      텐션 요소 리세스(tension element recess)
7      접촉 섹션(contacting section)
8      절연 섹션(insulation section)
9      연결 섹션(connecting section)
10     도체 트랙(conductor track)
11     리드-스루 리세스(lead-through recess)
12     커버(covering)
13     방열 요소(heat dissipation element)
14     방열 요소의 제1 평면 섹션(first planar se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element)
15     제2 사이드(second side of the board)
16     기판 재료(substrate material)
17     리드-스루 요소(lead-through element)
19     배터리(battery)
20     배터리 셀(battery cell)
21     배터리 섹션(battery section)
22     배터리 시작 영역(battery start section)
23     배터리 종단 영역(battery end section)
24     압력판(pressure plate)
25     텐션 요소(tension element)
26     위치설정 판(positioning plate)
27     방열 요소의 제2 평면 섹션(second planar se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element)
28     외부 통로 섹션(outer passage section)
29     내부 통로 섹션(inner passage section)
30     하우징(housing)
31     장착판(mounting plate)
32     냉각핀(cooling fin)
33     너트(nut)

Claims (18)

  1.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로 형성된, 배터리 셀(20)을 연결하기 위한 기판(1)으로, 상기 기판(1)은 모든 경우에서 제1 사이드(2) 위에 그리고 제2 사이드(15) 위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접촉 섹션(7)을 구비하고, 각 접촉 섹션(7) 서로는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에 있어서,
    제2 사이드(15)를 형성하는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는 재료의 평탄한 커버(12)가 기판(1)의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 위에 배치되고,
    커버(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사이드(15)의 접촉 섹션(7)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7)이 커버(12)로부터 멀어지게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재료의 제1 사이드(2)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인 리드-스루 요소(17)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를 통해 연장하여, 리드-스루 요소(17)에 의해 제1 사이드(2) 위의 접촉 섹션(7)이 제2 사이드(15) 위의 접촉 섹션(7)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연결되고, 커버(12)에 의해 열류가 픽업되어 기판(1)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커버가 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12)가 기판(1)의 에지에서 인출되거나 에지 상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12)가 열 전도성의 방열 요소(13)에 열전도성으로 연결되거나, 커버(12)가 열전도성의 방열 요소(13)를 형성하고,
    방열 요소(13)는 기판(1) 평면 내에서 연장하는 제1 평면 섹션(14)을 구비하고, 및
    방열 요소(13)는 기판(1)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다른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2 평면 섹션(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12)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커버(12)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에, 접촉 섹션(7)을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접촉 섹션(7)들과 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하는 전기 전도성 및 열 전도성 연결 섹션(9)이 배치되고, 및
    기판(1)의 제1 사이드 위의 접촉 섹션(7)이 연결 섹션(9)과 관련하여 전기적으로 고정되도록, 전기 퓨즈가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접촉 섹션(7)들 각각에 할당되고,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연결 섹션(9)이 그 접촉 섹션(7)에 할당된 전기 퓨즈를 통해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각 접촉 섹션(7)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리드-스루 요소(18)들이 기판(1) 제1 사이드 위의 연결 섹션(9)을 기판(1) 제2 사이드 위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7)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하게 배치되어서, 제1 사이드(2) 위의 각 접촉 섹션(7)이 적어도 하나의 전기 퓨즈에 의해 기판(1) 제1 사이드(2) 위의 다른 각각의 접촉 섹션(7)에 대해 그리고 기판(1) 제2 사이드(15) 위의 각 접촉 섹션(7)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연결 섹션(9)이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에서 평탄하고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연결 섹션(9)이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및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는 도체 트랙의 복합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연결 섹션(9)이 전기적 비전도성 재료를 통해 기판(1)의 제2 사이드(15) 위의 커버(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연결 섹션(9) 내의 각 접촉 섹션(7) 주위에, 복수의 리드-스루 요소(17)들이 접촉 섹션(7)과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드-스루 요소(17)가 비전도성 재료를 관통하는 리드-스루 리세스(11)의 내부 에지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1)의 제1 사이드(2) 위의 접촉 섹션(7) 및/또는 기판(1)의 제2 사이드(15) 위의 접촉 섹션(7)이 각각 기판(1)의 제1 사이드(2) 또는 제2 사이드(15)의 면에 의해 획정되는 평면에 대해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섹션(7)들이 융기된 접촉 포인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1)이 플렉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접촉 섹션(7) 아래에, 접촉 섹션(7) 위에 누르는 힘이 가해질 때 탄성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재료(18)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기판.
  18. 셀 장치(3)를 구비하는 배터리(20)로,
    셀 장치(3)는 복수의 배터리 셀(20)들을 포함하고,
    셀 장치(3)는 각각이 복수의 배터리 셀(20)들로 이루어진 배터리 섹션(21)을 적어도 두 개 포함하고,
    배터리 섹션(21)의 배터리 셀(20)은, 각 배터리 섹션(21)의 배터리 셀(20)들의 단부 단자들이 공통의 제1 접촉 평면 내에 위치하고, 각 배터리 섹션(21)의 배터리 셀(20)들의 단부 단자들이 공통의 제2 접촉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정렬되고,
    배터리 섹션(21)들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고,
    모든 경우에서, 배터리 섹션(21)의 제1 접촉 평면이 이웃하게 배치된 배터리 섹션(21)의 제2 접촉 평면을 향하고,
    접촉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제1 사이드(2) 및 제2 사이드(15)를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전기적 전도성 및 열적 전도성인 연결판이 적어도 두 개의 연속된 배터리 섹션(21)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든 경우에서, 연결판은 제1 사이드(2) 위에 그리고 제2 사이드(15) 위에 적어도 하나의 열적 및 전기적 전도성 접촉 섹션(7)을 구비하고,
    이 연결판의 제1 사이드(2)를 향하는 단부 단자들은 제1 사이드(2)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7)에 열적 및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고,
    이 연결판의 제2 사이드(15)를 향하는 단부 단자들은 이 제2 사이드(15)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7)에 열적 및 전기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고, 및
    연결판의 접촉 섹션(21)들은 연결판을 통해 서로가 전기적으로 그리고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에 있어서,
    연결판이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판(1)으로 구성되고,
    커버(12)를 통해 열류가 픽업되어 셀 장치(3)로부터 열 싱크로 방출될 수 있도록, 커버(12)가 열 싱크에 열적으로 전도성 있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KR1020197015791A 2016-11-02 2017-11-01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KR201900884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0834.5 2016-11-02
DE102016120834.5A DE102016120834A1 (de) 2016-11-02 2016-11-02 Platine zur Verbindung von Batteriezellen
PCT/EP2017/077981 WO2018083132A1 (de) 2016-11-02 2017-11-01 Platine zur verbindung von batteriezel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484A true KR20190088484A (ko) 2019-07-26

Family

ID=6047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791A KR20190088484A (ko) 2016-11-02 2017-11-01 배터리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260004A1 (ko)
EP (1) EP3535804B1 (ko)
JP (1) JP6694551B2 (ko)
KR (1) KR20190088484A (ko)
CN (1) CN110168800A (ko)
DE (1) DE102016120834A1 (ko)
WO (1) WO20180831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69A1 (ko) 2019-07-22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312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3095107A1 (en) * 2021-11-29 2023-06-01 Abishek Hosangady Metal conductors with electromechanical flaps for energy storage cell interconnection in battery pack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2578B (zh) * 2011-09-22 2016-05-18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组的安全结构
US9419259B2 (en) * 2011-11-30 2016-08-16 Atieva, Inc. High thermal conductivity battery assembly
DE102012213273B4 (de) * 2012-07-27 2021-08-05 Hydac Technology Gmbh Energiespeichervorrichtung
EP2744033B1 (de) * 2012-12-07 2015-02-18 Obrist Powertrain GmbH Batterie
DE102013218248A1 (de) * 2013-09-12 2015-03-12 Robert Bosch Gmbh Elektrochemischer Energiespeicher
US20160014878A1 (en) * 2014-04-25 2016-01-14 Rogers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circuit materials,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DE102014210097A1 (de) * 2014-05-27 2015-12-17 Robert Bosch Gmbh Batterieeinheit mit einer Mehrzahl von Batteriezellen sowie Batteriemodul mit einer Mehrzahl solcher Batterieeinheiten
CN105552289A (zh) * 2016-01-29 2016-05-04 苏州安靠电源有限公司 具有安全保护功能的并联网和使用该并联网的大容量电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69A1 (ko) 2019-07-22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60004A1 (en) 2019-08-22
CN110168800A (zh) 2019-08-23
JP2020502724A (ja) 2020-01-23
DE102016120834A1 (de) 2018-05-03
WO2018083132A1 (de) 2018-05-11
JP6694551B2 (ja) 2020-05-13
EP3535804A1 (de) 2019-09-11
EP3535804B1 (de)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2097B (zh) 用于连接电池单格的板以及电池
US10910623B2 (en) Board for electrically secured connection of battery cells and battery
EP2525632B1 (en) Systems for circuit board heat transf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190260004A1 (en) Board for connecting battery cells
JP6463550B2 (ja) 蓄電池モジュール
US10573937B2 (en) Battery arrangement
JP6776379B2 (ja) 電池
AU2017320782B2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necting battery cells and battery
DE102016120835A1 (de) Platine zur Verbindung von Batteriezellen
CN112701425A (zh) 电池单元接触接通装置以及蓄电器
JP7461792B2 (ja) 蓄電デバイスモジュール
CN110993843B (zh) 电池组模块的触点接通和接线
US11081828B2 (en) Power module housing
US20150125978A1 (en) Method For Increasing Heat Conductivity In Systems That Use High Power Density LEDs
WO2015037561A1 (ja) 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