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334A - 생체 신호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334A
KR20190088334A KR1020180006755A KR20180006755A KR20190088334A KR 20190088334 A KR20190088334 A KR 20190088334A KR 1020180006755 A KR1020180006755 A KR 1020180006755A KR 20180006755 A KR20180006755 A KR 20180006755A KR 20190088334 A KR20190088334 A KR 2019008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easuring
subject
pulse wave
biological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267B1 (ko
Inventor
최창목
고병훈
김영수
이종욱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267B1/ko
Priority to US16/250,601 priority patent/US11786179B2/en
Publication of KR2019008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61Strain gau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on a specially adapted printed circuit bo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 측정부와, 상기 기판에 형성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고, 측정된 스트레인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와 상기 맥파 측정부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신호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고령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과 이에 따른 의료비 증가 등의 사회적 문제로 인해 헬스케어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병원이나 검사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료 기기뿐만 아니라,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소형 의료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소형 의료 기기는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혈압 등과 같은 심혈관계 건강 상태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형태로 보급되어, 사용자가 직접 심혈관계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혈압 등과 같은 심혈관계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의 소형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 측정부와, 상기 기판에 형성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고, 측정된 스트레인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와 상기 맥파 측정부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단부에서 구조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맥파 측정부와 수평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하부의 복수의 포인트에서 구조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복수의 포인트 사이의 기판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구조체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구조체와의 수평 방향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의 기판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부 표면이 상기 피검체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도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피검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피검체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상기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 측정부와, 상기 기판의 하부와 접촉하는 2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고, 측정된 스트레인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와 상기 맥파 측정부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150)의 휘어짐이 단축(uniaxial) 방향이 되도록 유도하는 2개의 홀(ho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홀은, 상기 2개의 볼록부 양 끝단 외측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부 표면이 상기 피검체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도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피검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피검체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상기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혈압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플레이트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플레이트가 휘어진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플레이트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플레이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의 A-A'의 단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B-B'의 단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모바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C-C'의 단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한편, 각 단계들에 있어,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즉,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구성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혈압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의 혈압 측정 장치(10)는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시계형, 손목 밴드형, 반지형, 벨트형, 목걸이형, 발목 밴드형, 허벅지 밴드형, 팔뚝 밴드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역시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혈압 측정 장치(10)는 생체 신호 측정부(11) 및 프로세서(12)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1)는 피검체의 맥파와, 피검체와 생체 신호 측정부(11) 사이의 접촉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맥파는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m, PPG)일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1)는 맥파 측정부(110)와 압력 측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맥파 측정부(110)는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11)는 피검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11)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피검체에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 목적 등에 따라서 발광부(111)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파장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111)는 반드시 단일의 발광체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다수의 발광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발광부(111)가 다수의 발광체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다수의 발광체는 측정 목적에 적합하도록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도 있고 모두 동일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부(111)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광부(112)는 피검체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광부(112)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또는 전자 결합 소자(charge-coupled device, CCD)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112)는 반드시 하나의 소자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다수의 소자들이 모여 어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압력 측정부(120)는 피검체가 맥파 측정부(120)를 누를 때 가해지는 압력에 기인한 기판 또는 플레이트(plate)의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고, 측정된 스트레인을 기반으로 피검체와 맥파 측정부(120) 사이의 접촉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력 측정부(120)는 기판 또는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측정부(120)는 압력과 기판 또는 플레이트의 스트레인 정도와의 관계를 정의한 압력-스트레인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맥파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맥파와 압력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접촉 압력을 기반으로 피검체의 혈압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는 가압/감압 시의 압력 신호를 측정한 뒤 압력 신호의 변화가 가장 큰 지점을 기준으로 혈압을 추정하는 오실로메트릭 기법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혈압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및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의 맥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맥파 측정부(110)는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11)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고, 수광부(112)는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피검체와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 및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의 단부는 구조체(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판(130)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기판(130)에 형성되어 기판(13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피검체(2)가 맥파 측정부(110)를 누를 때의 압력으로 기판(130)은 변형하게 되고 스트레인은 그 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므로, 기판(130)의 스트레인은 피검체(2)와 맥파 측정부(110)의 접촉 압력을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맥파 측정부(110)와 수평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 거리는 피검체(2)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맥파 측정부(110)의 위치와 기판(130)의 스트레인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구조체(1)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탑재되는 전자 장치의 구조물(예컨대, 본체 또는 본체의 하우징)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시계형, 손목 밴드형, 반지형, 벨트형, 목걸이형, 발목 밴드형, 허벅지 밴드형, 팔뚝 밴드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역시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피검체(2)는 생체 신호 측정 대상으로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맥파 측정부(110)와 접촉할 수 있는 생체 영역일 수 있으며, PPG(photoplethysmography)를 통한 맥파 측정이 용이한 인체 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체(20)는 손목 표면의 요골 동맥부와 인접한 인체 부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검체(2)는 기타 인체 내의 혈관 밀도가 높은 부위인 손가락, 발가락 또는 귓볼 등 인체의 말초 부위일 수도 있다.
한편, 도 2는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및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1) 및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맥파 측정부(110)의 상부 표면이 피검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 및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의 단부는 구조체(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판(130)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기판(130)에 형성되어 기판(13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맥파 측정부(110)와 수평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 거리는 피검체(2)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맥파 측정부(110)의 위치와 기판(130)의 스트레인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4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4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및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1) 및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피검체와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 및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은 하부의 복수의 포인트에서 구조체(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판(130)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기판(130)에 형성되어 기판(13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구조체(1)가 연결된 복수의 포인트 사이의 기판(130)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5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5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및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1) 및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맥파 측정부(110)의 상부 표면이 피검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 및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은 하부의 복수의 포인트에서 구조체(1)와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판(130)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기판(130)에 형성되어 기판(13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구조체(1)가 연결된 복수의 포인트 사이의 기판(130)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6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6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기판(130), 및 복수의 지지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1) 및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피검체와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및 복수의 지지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기판(130)에 형성되어 기판(13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복수의 지지대(140) 사이의 기판(130)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40)는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판(130)과 구조체(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140)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600)가 구조체(1)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조체(1)와의 수평 방향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6는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7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7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기판(130), 및 복수의 지지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1) 및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맥파 측정부(110)의 상부 표면이 피검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및 복수의 지지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기판(130)에 형성되어 기판(13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복수의 지지대(140) 사이의 기판(130)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40)는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판(130)과 구조체(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140)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600)가 구조체(1)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조체(1)와의 수평 방향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기판(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8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8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기판(130), 및 플레이트(plate)(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1) 및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고 피검체와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기판(130)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플레이트(150)는 볼록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50)는 볼록부(151)를 통하여 기판(130)과 면 접촉하거나 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50)는 기판(130)에 작용하는 힘에 기인한 플레이트(150)의 휘어짐이 단축(uniaxial) 방향이 되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50)는 단부는 구조체(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플레이트(150)는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15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플레이트(150)에 형성되어 플레이트(15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피검체(2)가 맥파 측정부(110)를 누를 때의 압력은 볼록부(151)를 통해 기판(130)으로부터 플레이트(150)로 전달된다. 플레이트(150)로 전달된 힘에 의해 플레이트(150)는 변형하게 되고 스트레인은 그 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므로, 플레이트(150)의 스트레인은 피검체(2)와 맥파 측정부(110)의 접촉 압력을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볼록부(151) 사이의 플레이트(150)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플레이트(1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a는 플레이트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플레이트가 휘어진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9a의 플레이트(900)는 도 8의 플레이트(15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900)는 2개의 볼록부(151)와 2개의 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볼록부(151)는 소정 간격으로 플레이트(900)의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2개의 홀(152)은 플레이트(150)의 휘어짐이 단축(uniaxial) 방향이 될 수 있도록 2개의 볼록부(151) 양 끝단 외측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홀(152) 각각의 길이는 2개의 볼록부(151) 사이의 간격보다 길 수 있다.
도 10은 플레이트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플레이트(1000)는 도 8의 플레이트(150)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000)는 2개의 볼록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000)는 도 9의 플레이트(900)에서 2개의 홀(152)이 생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볼록부(151)를 통해 플레이트(150)에 힘이 전달되면, 플레이트(150)는 복수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플레이트(1000)가 도 8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800)에 적용되는 경우, 2개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플레이트(150)의 2개의 볼록부(1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121)를 사용함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 1개를 사용할 때보다 정확하게 스트레인의 방향성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피검체(2)와 맥파 측정부(110)의 접촉 압력을 더욱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플레이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플레이트(1100)는 도 8의 플레이트(150)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100)는 1개의 사각형의 볼록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사각형의 볼록부(151)를 통해 플레이트(150)에 힘이 전달되면, 플레이트(150)는 복수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1의 플레이트(1000)가 도 8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800)에 적용되는 경우, 2개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플레이트(150)의 볼록부(1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121)를 사용함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 1개를 사용할 때보다 정확하게 스트레인의 방향성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피검체(2)와 맥파 측정부(110)의 접촉 압력을 더욱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은 플에이트(1100)가 1개의 사각형의 볼록부(15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볼록부(151)의 모양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볼록부(151)는 원, 삼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의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1200)는 도 1의 생체 신호 측정부(11)의 또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측정 장치(800)는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기판(130), 및 플레이트(plate)(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피검체(2)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111) 및 피검체(2)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수광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맥파 측정부(110)는 상부 표면이 기판(130)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돌출되어 맥파 측정부(110)의 상부 표면이 피검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0)에는 맥파 측정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3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 있다.
플레이트(150)는 볼록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50)는 볼록부(151)를 통하여 기판(130)과 면 접촉하거나 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50)는 기판(130)에 작용하는 힘에 기인한 플레이트(150)의 휘어짐이 단축(uniaxial) 방향이 되도록 유도하는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50)는 단부는 구조체(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플레이트(150)는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플레이트(150)에 형성되어 플레이트(150)의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피검체(2)가 맥파 측정부(110)를 누를 때의 압력은 볼록부(151)를 통해 기판(130)으로부터 플레이트(150)로 전달된다. 플레이트(150)로 전달된 힘에 의해 플레이트(150)는 변형하게 되고 스트레인은 그 변형의 정도를 나타내므로, 플레이트(150)의 스트레인은 피검체(2)와 맥파 측정부(110)의 접촉 압력을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21)는 볼록부(151) 사이의 플레이트(150)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플레이트(1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의 A-A'의 단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14a는 도 2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탑재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14b는 도 6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600)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탑재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14c는 도 8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800)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탑재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3,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300)는 스트랩(1310) 및 본체(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310)은 본체(13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분리 형성되거나, 스마트 밴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310)은 본체(132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도록 손목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320)는 하우징(1324) 내부에 전술한 혈압 측정 장치(10) 및/또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를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24) 내부에 맥파 측정부(110)와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된 기판(130)을 포함하거나,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24) 내부에 맥파 측정부(110), 스트레인 게이지(121) 및 복수의 지지대(140)가 형성된 기판(130)을 포함하거나,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파 측정부(110)가 형성된 기판(130)과, 볼록부(151) 및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된 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a 내지 도 14c의 단면도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4a 내지 도 14c와 유사하게 전술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의 구조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도 14a 내지 도 14c는 맥파 측정부(110) 및 기판(130)이 하우징(1324)의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맥파 측정부(110) 및 기판(130)이 하우징(1324)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1324) 표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320)의 하우징(1324) 내부에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300), 혈압 측정 장치(10)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700, 800, 1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다양한 소자가 형성된 기판(1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맥파 측정부(110)는 본체(1320) 하부에 사용자의 손목을 향해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300)를 착용하면 자연스럽게 맥파 측정부(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맥파 측정부(110)가 본체(1320) 상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 이외의 영역에 장착될 수도 있다.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300)는 본체(1320)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1321)와 입력부(1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1)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300), 혈압 측정 장치(10)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처리 결과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321)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출력 수단뿐만 아니라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입력부(1322)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5는 모바일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B'의 단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16은 도 2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모바일 장치에 탑재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500)는 하우징(1520) 내부에 전술한 혈압 측정 장치(10) 및/또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를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20) 내부에 맥파 측정부(110)와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된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맥파 측정부(110)는 모바일 장치(1500)의 후면에 노출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의 단면도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6과 유사하게 전술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의 구조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은 맥파 측정부(110) 및 기판(130)이 하우징(1520)의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맥파 측정부(110) 및 기판(130)이 하우징(152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1520) 표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520) 내부에는 모바일 장치(1500), 혈압 측정 장치(10)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700, 800, 1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다양한 소자가 형성된 기판(1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500)는 디스플레이(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30)는 모바일 디바이스(1500), 혈압 측정 장치(10)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처리 결과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3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출력 수단뿐만 아니라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7은 모바일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C-C'의 단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18은 도 2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가 모바일 장치에 탑재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800)는 하우징(1720) 내부에 전술한 혈압 측정 장치(10) 및/또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를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720) 내부에 맥파 측정부(110)와 스트레인 게이지(121)가 형성된 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맥파 측정부(110)는 모바일 장치(1700)의 전면 중 디스플레이(1710)가 없는 영역에 노출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8의 단면도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8과 유사하게 전술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의 구조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은 맥파 측정부(110) 및 기판(130)이 하우징(1720)의 표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맥파 측정부(110) 및 기판(130)이 하우징(172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1720) 표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720) 내부에는 모바일 장치(1700), 혈압 측정 장치(10)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700, 800, 1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다양한 소자가 형성된 기판(1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700)는 입력부(1710)와 디스플레이(1730)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71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730)는 모바일 디바이스(1700), 혈압 측정 장치(10)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200, 300, 400, 500, 600, 700, 800, 1200)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처리 결과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73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출력 수단뿐만 아니라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혈압 측정 장치
11: 생체 신호 측정부
12: 프로세서
110: 맥파 측정부
111: 발광부
112: 수광부
120: 압력 측정부
121: 스트레인 게이지

Claims (19)

  1.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 측정부;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고, 측정된 스트레인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와 상기 맥파 측정부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인,
    생체 신호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단부에서 구조체와 연결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맥파 측정부와 수평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하부의 복수의 포인트에서 구조체와 연결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복수의 포인트 사이의 기판 영역에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구조체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구조체와의 수평 방향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의 기판 영역에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부 표면이 상기 피검체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현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도출되어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피검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피검체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상기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수광부;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2. 기판;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맥파 측정부;
    상기 기판의 하부와 접촉하는 2 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스트레인(strain)을 측정하고, 측정된 스트레인을 기반으로 상기 피검체와 상기 맥파 측정부의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디스플레이 기판인,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150)의 휘어짐이 단축(uniaxial) 방향이 되도록 유도하는 2개의 홀(hole); 을 더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홀은,
    상기 2개의 볼록부 양 끝단 외측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부 표면이 상기 피검체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현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도출되어 형성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측정부는,
    상기 피검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피검체로부터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여 상기 피검체의 맥파를 측정하는 수광부;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0180006755A 2018-01-18 2018-01-18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58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755A KR102580267B1 (ko) 2018-01-18 2018-01-18 생체 신호 측정 장치
US16/250,601 US11786179B2 (en) 2018-01-18 2019-01-17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755A KR102580267B1 (ko) 2018-01-18 2018-01-18 생체 신호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334A true KR20190088334A (ko) 2019-07-26
KR102580267B1 KR102580267B1 (ko) 2023-09-19

Family

ID=6721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755A KR102580267B1 (ko) 2018-01-18 2018-01-18 생체 신호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86179B2 (ko)
KR (1) KR102580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396A (en) * 2022-09-14 2024-03-20 Carelight Ltd Real time opto-physiological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635A (ko) * 2005-05-11 2006-11-15 정동근 맥파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100660349B1 (ko) 2005-01-07 2006-12-21 메디게이트(주) 광혈류 측정신호를 이용한 이동형 혈압 감시장치
KR20160004829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검출 장치
KR20170006106A (ko) * 2015-07-07 201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374A (ja) 2006-02-07 2007-08-23 Citizen Holdings Co Ltd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0871230B1 (ko) * 2007-03-12 200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장치와 연동되는 비가압적이고 비침습적인 손목형혈압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09066042A (ja) 2007-09-11 2009-04-02 Mitsuba Corp 脈波計測装置
JP2009201895A (ja) 2008-02-29 2009-09-10 Seiko Instruments Inc 脈波検出装置及び脈波検出方法
US8364220B2 (en) * 2008-09-25 2013-01-29 Covidien Lp Medical sensor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KR101033472B1 (ko) 2009-01-13 2011-05-12 강재민 동잡음 제거를 위한 광전용적맥파 계측용 센서모듈의 형태 및 방법
US8761853B2 (en) 2011-01-20 2014-06-24 Nitto Denko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optical physiological measurements
US8700116B2 (en) * 2011-09-29 2014-04-15 Covidien Lp Sensor system with pressure application
JP5847202B2 (ja) 2012-01-17 2016-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脈圧計測システム
JP2015192702A (ja) 2014-03-31 2015-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脈波検出装置
US10285645B2 (en) * 2015-09-28 2019-05-14 Apple Inc. Sensing contact force related to user wearing an electronic device
US10874348B1 (en) * 2015-09-30 2020-12-29 Apple Inc. Force sensing for PPG heart-rate performance enhancement and contact det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349B1 (ko) 2005-01-07 2006-12-21 메디게이트(주) 광혈류 측정신호를 이용한 이동형 혈압 감시장치
KR20060116635A (ko) * 2005-05-11 2006-11-15 정동근 맥파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20160004829A (ko) * 2014-07-04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검출 장치
KR20170006106A (ko) * 2015-07-07 201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267B1 (ko) 2023-09-19
US11786179B2 (en) 2023-10-17
US20190216399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564B (zh) 可穿戴脉搏压力波感测设备
JP2022066442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て身体機能測定値を得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2040338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て身体機能測定値を得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BR112019013859A2 (pt) sistema e método para fornecer feedback de usuário sobre a qualidade de posicionamento e contato do sensor de pressão arterial
US114195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signal
US202003836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KR20180024867A (ko) 웨어러블 측정 장치
US106677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10667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11083380B2 (en) Bio-signal acquiring apparatus, bio-signal acquiring method, and bio-information estimating method
US11382520B2 (en)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JP2013000540A (ja) 脈波検出装置、及び脈波検出システム
EP3818930A1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20220265158A1 (en) Sphygmomanometer
KR102580267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20200110116A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564544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05899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210093209A1 (en) Optical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and methods
EP42013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lood pressure, and sensor for estimating the same
CN215272735U (zh) 一种血压测量装置
EP424987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optical-based force
KR20230119810A (ko) 체온 추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