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264A -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 Google Patents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264A
KR20190088264A KR1020180006590A KR20180006590A KR20190088264A KR 20190088264 A KR20190088264 A KR 20190088264A KR 1020180006590 A KR1020180006590 A KR 1020180006590A KR 20180006590 A KR20180006590 A KR 20180006590A KR 20190088264 A KR20190088264 A KR 20190088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case
self
battery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686B1 (ko
Inventor
송종섭
강성민
김준범
박병준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프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프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프로스
Priority to KR102018000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686B1/ko
Priority to PCT/KR2018/002609 priority patent/WO2019142970A1/ko
Publication of KR2019008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5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15/00Details concerning sensor power supp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스바의 온도를 자가 발전 방식으로 측정하여 열화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에 관한 것으로, 부스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해당 부스바를 1차측 권선과 같이 사용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의 출력을 기반으로 하는 자가 발전 전원 방식으로 대체하여 외부로부터의 별도 전원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센서와 전원의 일체형 케이스를 부스바에 적합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Self-Powered Smart Temperature Sensor for Bus-Bar}
본 발명은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스바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온도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해당 부스바를 (1차측 권선과 같이) 사용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의 출력을 기반으로 하는 자가 발전 전원 방식으로 대체하여 외부로부터의 별도 전원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부스바에 적합한 구조의 센서와 전원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는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한다.
각종 전력장치 중에서도 산업분야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인 분배전반은 인입한 전력을 다수의 분기회로로 전력을 분기하고 주전원과 분기회로 상의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는 전기적 안전장치로서,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각종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의 전기장치가 필요로 하는 전력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되고, 이때 높은 전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각종 부스바(Bus-bar)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부스바에는 고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항시 열화 발생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7983호 (2015.09.3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스바의 온도를 자가 발전 방식으로 측정하여 열화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부스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해당 부스바를 (1차측 권선과 같이) 사용하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의 출력을 기반으로 하는 자가 발전 전원 방식으로 대체하여 외부로부터의 별도 전원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센서와 전원의 일체형 케이스를 부스바에 적합한 구조로 제공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는, 부스바를 1차 권선으로 사용하고,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감긴 2차 권선을 포함하는 변류기와, 상기 변류기의 출력을 기초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전원부; 상기 부스바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소자를 포함하는) 온도센서부; 및 적어도 상기 자가발전전원부 및 상기 온도센서부를 내장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상기 자가발전전원부(의 변류기)를 내장하는 제1 케이스; 및 적어도 상기 온도센서부를 내장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부스바를 둘러싼 상기 변류기의 코어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리형의 박스로 형성되어 중앙으로 상기 부스바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부스바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부스바의 상면에 하면이 접하는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면에 상기 온도센서부의 적어도 온도센서소자가 상기 부스바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내부 나머지 공간에 나머지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 중심 상에 상기 온도센서부의 온도센서소자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소자의 하부 표면을 제외한 둘레를 둘러싸도록 절연/단열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 일측상에 고정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그 고정돌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 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로 2차 전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충방전제어부는 재생충전알고리즘을 탑재할 수 있으며, 상기 재생충전알고리즘은 주파수 스위핑 방식에 따라 배터리의 극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펄스를 검출하고, 재생충전 모드 시 상기 검출된 진동 펄스에 대응하는 재생 충전용 펄스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재생 충전용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변류기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재생 충전용 펄스 전압/전류를 배터리에 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필요 전력을 부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한 자가발전을 통해 생성/공급하면서 필요한 부스바의 온도 계측을 수행하고 필요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자가발전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계측 디바이스와 자가발전 디바이스를 둘 다 내장할 수 있는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하되, 부스바로부터 전력을 생산함과 아울러 부스바의 온도 계측을 동시에 수행하기 적합한 즉, 부스바에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로 해당 케이스를 형성하여 부스바용 온도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일원화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온도 센서의 전원 일체형 제품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부스바가 쓰이는 다양한 분야의 온도 계측용 스마트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재생충전 펄스를 생성하여 재생충전을 수행하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재생과 관련한 기존의 기술은 고압의 특정 주파수의 펄스를 이용하여 극판에 진동을 야기시키는데, 적절하지 않은 주파수의 펄스로 재생충전을 할 경우엔 극판의 진동이 원활하지 않아 재생효율이 떨어지고 시간과 전력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스위핑 알고리즘 방식에 따라 고유 진동주파수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극판이 진동하는 해당 주파수를 찾아서 펄스충전을 하므로 극판의 고유 진동수와 공명을 일으켜 진동하게 되어 재생효율이 월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가 부스바에 적용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3의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저면도 및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2-3의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및 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는 부스바(3), 자가발전전원부(11), 온도센서부(13), 및 통신부(15)를 포함할 수 있고, 시스템은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에 통신망(5)과 서버(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부스바(Bus-bar)(3)는 각종 전력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각종 전력장치 중에서도 산업분야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인 분배전반은 인입한 전력을 다수의 분기회로로 전력을 분기하고 주전원과 분기회로 상의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는 전기적 안전장치로서,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각종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의 전기장치가 필요로 하는 전력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높은 전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각종 부스바(3)가 사용될 수 있다.
자가발전전원부(11)는 부스바(3)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류기(111), 충방전제어부(112), 및 배터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111)는 전력발전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1차측 부스바(3)에 흐르는 전류를 2차측에서 유도하여 배터리(113)에 충전하기 위한 전류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부스바(1)를 1차 권선으로 사용하고, 그 부스바(3)를 둘러싸는 코어(미도시) 및 그 코어에 감긴 2차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충방전제어부(112)는 변류기(111)의 출력을 기초로 배터리(113)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충전알고리즘(112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재생충전알고리즘은 주파수 스위핑 방식에 따라 배터리(113)의 극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펄스를 검출하고, 재생충전모드 시 검출된 진동 펄스에 대응하는 재생 충전용 펄스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재생 충전용 펄스 신호에 따라 변류기(111)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재생 충전용 펄스 전압/전류를 배터리(113)에 인가할 수 있다.
물체가 공명을 일으키는 고유진동수는 물체의 길이, 두께,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공명을 일으키는 고유진동수를 모델링 해 본 결과 길이가 같은 막대라도 두께가 달라지면 고유진동수가 달라진다. 주파수는 파장에 반비례하는 값이므로 모델링 결과에 의하면 배터리(113) 극판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높은 주파수의 펄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공장에서 출하된 직후의 배터리(113)는 극판에 황산염이 거의 붙어 있지 않아 고유진동수가 10kHz라면 사용 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황산염이 달라붙으면서 극판이 공명을 일으키는 주파수가 11kHz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이런 경우엔 11kHz의 주파수의 펄스로 재생충전을 해야 가장 효율적이다.
즉, 배터리(113)는 제조사별, 배터리 용량별, 배터리 상태별로 극판의 조건이 다르므로 단일 주파수의 펄스로 재생충전을 할 경우 극판의 진동이 잘 일어나지 않아 효과가 현격히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배터리(113) 극판이 공명을 일으키는 고유진동주파수를 주파수 스위핑 알고리즘(Frequency Sweeping Algorithm) 등을 이용하여 찾아 해당 주파수의 펄스로 재생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113)의 극판에 붙어있는 황산염을 쉽게 떨어뜨릴 수 있다.
배터리(113)는 생성된 전력을 보관하고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슈퍼캡(대용량 캐패시터) 또는 2차전지로 구성할 수 있고, 2차전지를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 충방전제어부(24)에 재생충전알고리즘을 탑재할 수 있다.
온도센서부(13)는 부스바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1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온도센서부(13)를 통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망(5)을 통해 원격의 서버(7)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1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고, 서버(7)는 획득된 부스바의 온도 정보를 기초로 해당 부스바가 설치된 각종 전기장치의 상태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부스바 열화로 인한 문제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통신망(5)은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의 통신부(15)와 서버(7)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무방하다.
도 1의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에 따르면, 자가발전전원부(111)를 통해 부스바(3)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력을 전원으로 사용하여 부스바의 온도 계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원을 기존의 내장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 방식에서 자가발전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3)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재생충전 펄스를 생성하여 재생충전을 수행하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재생과 관련한 기존의 기술은 고압의 특정 주파수의 펄스를 이용하여 극판에 진동을 야기시키는데, 적절하지 않은 주파수의 펄스로 재생충전을 할 경우엔 극판의 진동이 원활하지 않아 재생효율이 떨어지고 시간과 전력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스위핑 알고리즘 방식에 따라 고유 진동주파수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극판이 진동하는 해당 주파수를 찾아서 펄스충전을 하므로 극판의 고유 진동수와 공명을 일으켜 진동하게 되어 재생효율이 월등이 좋아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의 외관 사시도로, 도 1의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의 모든 구성이 내장된 케이스(2)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를 내장한 도 2의 케이스(2)가 부스바(3)에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3을 보면, 케이스(2)는 일체로 형성된 제1 케이스(21)와 제2 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21)는 적어도 도 1의 자가발전전원부(11)의 변류기(111)를 내장하도록 형성되고, 제2 케이스(22)는 적어도 도 1의 온도센서부(13) 및 나머지 구성(112, 113, 15)를 내장하도록 제1 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21)는 부스바(3)를 둘러싸는 변류기(111)의 코어(미도시)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리형의 박스로 형성되어 중앙에 부스바(3)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1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21a)을 통해 부스바(3)의 표면에 접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제2 케이스(22)는, 도 3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21)의 상부에서 부스바(3)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부스바(3)의 상면에 바닥면이 접하는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해당 바닥면 상에 온도센서부(13)의 적어도 온도센서소자(도 4-7의 13a)가 부스바(3)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내부 나머지 공간에 나머지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3의 케이스(2)에 따르면 온도 계측 디바이스와 자가발전 디바이스를 둘 다 내장할 수 있는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온도 계측을 위한 디바이스(예컨데, 온도센서부(13))와 자가발전 디바이스(예컨데, 자가발전전원부(11)를 둘 다 내장할 수 있는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하되, 부스바(3)로부터 전력을 생산함과 아울러 부스바(3)의 온도 계측을 동시에 수행하기 적합한 즉, 부스바(3)에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로 해당 케이스를 형성하여 부스바용 온도센서와 전원공급장치를 일원화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온도 센서의 전원 일체형 제품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부스바가 쓰이는 다양한 분야의 온도 계측용 스마트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3의 케이스(2)의 일 예를 나타낸 저면도 및 정면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2)의 저면 중앙부 상에 온도센서부(13)의 온도센서소자(13a)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절연/단열패드(13b)가 온도센서소자(13a)의 하부 표면을 제외한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부스바(3)를 제1 케이스(21)의 관통공(21a)에 삽입하면 온도센서소자(13a)의 하부 표면이 부스바(3)의 상부 표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2-3의 케이스(2)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저면도 및 정면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22)의 저면 중앙부 중심상에 온도센서부(13)의 온도센서소자(13a)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절연/단열패드(13b)가 온도센서소자(13a)의 하부 표면을 제외한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케이스(22)의 저면 중앙부 일측상에 고정돌기(22a)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부스바(3)에는 고정돌기(22a)에 대응하여 고정돌기(2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또는 홈)(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스바(3)를 제1 케이스(21)의 관통공(21a)에 삽입하면 제2 케이스(22)의 고정돌기(22a)가 부스바(3)의 고정홀(3a)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위치가 정확히 조정되므로, 온도센서소자(13a)의 하부 표면이 부스바(3)의 상부 표면 중앙부에 정확히 접하면서 도 1의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1)가 고정홀(3a)로 마킹된 부스바(3)의 원하는 위치에 안전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 센서
2: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 센서의 케이스
3: 부스바
5: 통신망
7: 서버
11: 자가발전전원부
13: 온도센서부
15: 통신부
111: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112: 충방전제어부
112a: 재생충전알고리즘
113: 배터리(Battery)

Claims (7)

  1. 부스바를 1차 권선으로 사용하고, 상기 부스바를 둘러싸는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감긴 2차 권선을 포함하는 변류기와, 상기 변류기의 출력을 기초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방전제어부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전원부;
    상기 부스바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부; 및
    적어도 상기 자가발전전원부 및 상기 온도센서부를 내장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상기 자가발전전원부의 변류기를 내장하는 제1 케이스; 및 적어도 상기 온도센서부를 내장하고 상기 제1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부스바를 둘러싼 상기 변류기의 코어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리형의 박스로 형성되어 중앙으로 상기 부스바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부스바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부스바의 상면에 하면이 접하는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면에 상기 온도센서부의 온도센서소자가 상기 부스바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내부 나머지 공간에 나머지 구성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 상에 상기 온도센서부의 온도센서소자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소자의 하부 표면을 제외한 둘레를 둘러싸도록 절연/단열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 중심 상에 상기 온도센서부의 온도센서소자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소자의 하부 표면을 제외한 둘레를 둘러싸도록 절연/단열패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케이스의 저면 중앙부 일측상에 고정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그 고정돌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2차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 2차 전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충방전제어부는 재생충전알고리즘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충전알고리즘은 주파수 스위핑 방식에 따라 배터리의 극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펄스를 검출하고, 재생충전 모드 시 상기 검출된 진동 펄스에 대응하는 재생 충전용 펄스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재생 충전용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변류기의 출력을 스위칭하여 재생 충전용 펄스 전압/전류를 배터리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방식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KR1020180006590A 2018-01-18 2018-01-18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KR10201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590A KR102013686B1 (ko) 2018-01-18 2018-01-18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PCT/KR2018/002609 WO2019142970A1 (ko) 2018-01-18 2018-03-06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590A KR102013686B1 (ko) 2018-01-18 2018-01-18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264A true KR20190088264A (ko) 2019-07-26
KR102013686B1 KR102013686B1 (ko) 2019-08-23

Family

ID=6730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590A KR102013686B1 (ko) 2018-01-18 2018-01-18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3686B1 (ko)
WO (1) WO201914297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393B1 (ko) * 2020-03-31 2020-08-18 권오주 각형 및 밴딩 코어를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의 전력설비용 무선소형센서장치와 그 부착방법
KR102308420B1 (ko) * 2021-02-09 2021-10-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용 온도센서를 포함한 모니터링시스템(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308421B1 (ko) * 2021-02-09 2021-10-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모니터링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623469B1 (ko) 2023-06-21 2024-01-11 삼십오도씨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센서하우징의 분리여부 감지 및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708B1 (ko) 2023-07-20 2023-11-23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인공 지능 기반 수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1864A (ja) * 2011-06-02 2012-12-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流検出装置
KR101557983B1 (ko) 2014-09-15 2015-10-08 지투파워 (주) 비접촉 적외선 온도변화를 이용한 지능형 열화 감시진단기능의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20170034087A (ko) * 2015-09-18 2017-03-28 (주)파서블에너지 전력설비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센서 및 그를 위한 시스템
JP2017175736A (ja) * 2016-03-22 2017-09-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機構、二次電池の充電装置、および、二次電池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904B1 (ko) * 2011-09-26 2013-09-10 이수미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무선 감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647456B1 (ko) * 2015-06-02 2016-08-10 (주)탑솔루션 직접 접촉식 부스바 온도 측정 장치
KR101625423B1 (ko) * 2016-01-21 2016-05-30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전기설비 통합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1864A (ja) * 2011-06-02 2012-12-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流検出装置
KR101557983B1 (ko) 2014-09-15 2015-10-08 지투파워 (주) 비접촉 적외선 온도변화를 이용한 지능형 열화 감시진단기능의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20170034087A (ko) * 2015-09-18 2017-03-28 (주)파서블에너지 전력설비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센서 및 그를 위한 시스템
JP2017175736A (ja) * 2016-03-22 2017-09-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機構、二次電池の充電装置、および、二次電池パッ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393B1 (ko) * 2020-03-31 2020-08-18 권오주 각형 및 밴딩 코어를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의 전력설비용 무선소형센서장치와 그 부착방법
KR102308420B1 (ko) * 2021-02-09 2021-10-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수배전반용 온도센서를 포함한 모니터링시스템(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308421B1 (ko) * 2021-02-09 2021-10-0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모니터링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623469B1 (ko) 2023-06-21 2024-01-11 삼십오도씨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센서하우징의 분리여부 감지 및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686B1 (ko) 2019-08-23
WO2019142970A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8264A (ko) 부스바용 자가발전 스마트 온도센서
US7667482B2 (en) Inductively powered power bus apparatus
US9983254B2 (en) Wireless power line sensor
US9172246B2 (en) Phase balancing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130043833A1 (en) Inductively chargeable power pack
MX2011003764A (es) Dispositivo de comunicacion de sobrecarga.
US20140312859A1 (en) Phase balancing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140300486A1 (en) Wireless sensor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120022813A1 (en) End user electricity network, use, method and assembly
CN108562849B (zh) 用于开关设备的自供电的检测装置
CN102842967B (zh) 输电线路自取电装置
JP2015076955A (ja) 無線センサ端末
JP2014020966A (ja) 電力計測装置
CN104991153A (zh) 制冷设备及制冷设备的断电报警装置
KR102565466B1 (ko) 퓨즈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컷 오프 스위치
KR20080035198A (ko) 압전발전기를 이용한 전력용 변압기 감시시스템
KR101621632B1 (ko) 전기기기의 상태감시장치
KR20170124835A (ko) 직류전송환경에서 유도전류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2439342B1 (ko) 컷아웃 스위치에 체결되는 감지 장치
KR20140036695A (ko) 전기차량용 무선충전시스템
JP2015220873A (ja) 蓄電装置
KR20090000484U (ko) 전력 데이터 지그비 무선 통신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