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107A -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107A
KR20190088107A KR1020180000398A KR20180000398A KR20190088107A KR 20190088107 A KR20190088107 A KR 20190088107A KR 1020180000398 A KR1020180000398 A KR 1020180000398A KR 20180000398 A KR20180000398 A KR 20180000398A KR 20190088107 A KR20190088107 A KR 2019008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visitor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8019B1 (en
Inventor
백경석
오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8000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019B1/en
Publication of KR2019008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1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including an IoT apparatus which an audience who purchased a ticket for stadium admission has;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which maps and store ticket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apparatus.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refers to the ticket information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apparatus to check a seat number when a finding seat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IoT apparatus, and transfers path information between a location of IoT apparatus and a location of the checked seat to the Io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a service for audience by using an IoT apparatus.

Description

IoT 장치를 이용한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adium audience service using an IoT device,

본 발명은 관객 서비스 제공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oT 장치를 이용하여 경기장에 입장한 관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ence service providing fiel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to an audience entering an arena using an IoT device.

취미 생활의 하나로 경기장에 방문하여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 야구장은 단순히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야구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방문하는 곳 뿐만 아니라, 가족 나들이 공간의 하나로서 기능하고 있다.As one of the hobbies, people are visiting the sports arena and watching sports games are increasing. For example, a baseball field is not only a place where people who love baseball visit to watch baseball games, but also functions as a space for family outing.

최근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IoT 기술을 이용하여 경기장에 방문한 관람객들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Despite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there is not yet a way to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to visitors who visited the stadium using IoT technology.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티켓을 구매하고, 티켓에 기재된 좌석을 찾아가 착석하고 경기를 관람한다. 경기 중 식사를 하거나 간식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경기장 내외부에서 음식을 미리 구매하여 가지고 가거나, 경기장에서 돌아다니는 판매인에게 음식을 구매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람 문화는 관람객들에게 불편을 끼칠 소지가 있으므로, IoT 기술을 접목시켜 관람객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For example, a user who wants to watch a sports game buys a ticket online or offline, seats on a ticket, seats and watches a game. In order to eat or snack during the game, we had to buy foo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adium in advance, or buy food from the stalling vendor. However, since this viewing culture may cause discomfort to viewers, it is necessary to dramatically improve visitor service by incorporating IoT technolog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은 IoT 장치를 이용하여 관람객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echnical Solu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uses a IoT device to drastically improve a visitor ser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은 경기장에 입장한 관람객들에게 좌석 찾기 서비스, 상품 주문 서비스, 주요 장면 다시 보기 서비스 등 다양한 고객 만족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customer satisfaction type services such as a seat finding service, a commodity order service, and a main scene re-viewing service to viewers entering the stadiu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은 각 관람객의 모바일 기기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없이 IoT 장치를 기반으로 관람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Further,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itor service system based on an IoT device without having to install a separate application in a mobile device of each visi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은,The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경기장의 입장을 위한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이 소지하는 IoT 장치; 및 상기 티켓 정보와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통합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부터 좌석 찾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티켓 정보를 참조하여 좌석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IoT 장치의 위치와 상기 확인된 좌석의 위치 사이의 경로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oT devices owned by the purchaser of tickets for stadium entry;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mapping and storing the ticket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wherein when the seat search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transmits a ticket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ransmits the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confirmed seat to the IoT device.

상기 IoT 장치는, 상기 경기장의 실내 맵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실내 맵 상에 상기 경로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IoT device may store the indoor map of the stadium in advance, and display the route information on the indoor map when the route information is received.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부터 소정 상품의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좌석 번호와 상기 소정 상품의 정보를, 상기 소정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매장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transmits the seat number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product to the terminal of the store selling the predetermined product when the purchase request of the predetermined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소정 상품의 구매가 완료되면, 상기 소정 상품의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티켓 정보에 매핑된 관람객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When the purchase of the predetermined merchandise is completed,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an perform settlement processing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sitor mapped to the ticket information with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of the predetermined merchandise.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부터 다음 경기 티켓의 예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티켓 정보에 매핑된 관람객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예매 승인을 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may, when receiving a reservation request for the next competition ticket from the IoT device, reserve the reservation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sitor mapped to the ticket information.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의 다시보기 요청에 따라 동영상 리스트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 리스트 중 상기 IoT 장치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may transmit the moving picture list to the IoT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viewing the IoT device again and may transmit the moving picture data selected by the IoT device to the IoT device.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의 시설 찾기 요청에 따라, 상기 경기장 내 시설들 각각에 대한 혼잡도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may transmit conges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acilities in the stadium to the IoT device in response to a facility search request of the IoT device.

상기 IoT 장치는, 미리 저장된 상기 실내 맵에서 상기 경기장 내 시설들 각각의 혼잡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IoT device may display the congestion information of each facility in the stadium in the pre-stored indoor map.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 이벤트 참여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IoT 장치의 이벤트 참여에 따라 이벤트에 당첨된 IoT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may provide event particip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and determine an IoT device that won the ev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the IoT device.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특정 IoT 장치를 소지한 관람객의 이벤트 당첨이 확인되면, 상기 관람객이 IoT 장치를 통해 구매 가능한 상품 및 다음 경기 티켓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할인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can discount the price of at least one of the goods that can be purchased through the IoT device and the next competition ticket when the visitor is confirmed to win an event of a particular IoT device.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 광고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IoT 장치를 소지한 관람객의 광고 시청이 확인된 경우, 상기 이벤트 참여 요청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may transmit the advertisement image to the IoT device, and may transmit the event particip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when the viewing of the advertisement of the visitor holding the IoT device is confi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경기장의 입장을 위한 티켓 정보와 해당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에게 배포된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매핑 관리부; 상기 IoT 장치로부터 좌석 찾기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티켓 정보를 참조하여 좌석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IoT 장치의 위치와 상기 확인된 좌석의 위치 사이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 mapping management unit for mapping and storing the ticket information for the entrance of the stadium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distributed to the visitor who purchased the ticket;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at search request from the IoT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firming a seat number by referring to the ticket information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confirmed seat, Path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은 IoT 장치를 이용하여 관람객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The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visitor service by using the Io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은 경기장에 입장한 관람객들에게 좌석 찾기 서비스, 상품 주문 서비스, 주요 장면 다시 보기 서비스 등 다양한 고객 만족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customer satisfaction type services such as a seat finding service, a commodity order service, and a main scene re-viewing service to viewers entering the stadiu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은 각 관람객의 모바일 기기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없이 IoT 장치를 기반으로 관람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iewer service based on the IoT devic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in the mobile device of each visitor.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the stadium audienc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람객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좌석 찾기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상품 주문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티켓 예매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다시보기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시설 찾기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이벤트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herein.
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dium visit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seat finding servic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goods order servic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a ticket advance servic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refresh service.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facility search servic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event ser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ponent represented by 'unit', 'module', or the like refers to a case where two or more components ar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 / RTI >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that the user is responsible for,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performed entirely by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람객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stadium visit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람객 서비스 시스템은 통합 관리 장치(100) 및 IoT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tadium visitor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nd an IOT device 200.

통합 관리 장치(100)는 IoT 장치(200)를 소지한 관람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통합 관리 장치(100)는 중앙 서버로 기능하여 IoT 장치(20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for providing services to the visitors who have the IOT apparatus 200. [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functions as a central server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IOT devices 200 via a network. Here, the network may include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may include various network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like.

통합 관리 장치(100)는 관람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부가 장치(300)들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장치(300)는 경기를 촬영하는 카메라(310), 소정 시설물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CCTV(320), IoT 장치(2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비콘 장치(3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소정 시설물에 설치되는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additional devices 300 to provide services to the viewer. The additional device 300 may include a camera 310 for shooting a game, a CCTV 320 for capturing a surrounding image of a predetermined facility, a beacon device 330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200, And a sensor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facility.

통합 관리 장치(100)는 부가 장치(300)들(또는 부가 장치(300)들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IoT 장치(200)를 소지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i) 좌석 찾기 서비스, ii) 상품 주문 서비스, iii) 티켓 예매 서비스, iv) 다시보기 서비스, v) 시설 찾기 서비스, vi) 이벤트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sends the service to the user carrying the IoT device 200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additional devices 300 (or an external device storing the data acquired by the additional devices 300) Lt; / RTI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s provided to the user include: i) seat finding service, ii) commodity ordering service, iii) ticket booking service, iv) review service, v) facility search service, vi) And each servic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은 통합 관리 장치(100)가 하나의 장치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통합 관리 장치(100)는 그 기능에 따라 복수의 장치로 구분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Although FIG. 1 shows that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is a single devic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its functions.

IoT 장치(200)는 경기장에 입장하고자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에게 배포된다. 관람객은 자신이 소지한 IoT 장치(200)에 기반하여 통합 관리 장치(100)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IoT device 200 is distributed to viewers who have purchased a ticket to enter the arena. The visitor can receive various services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based on the IoT device 200 owned by the visit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100)는 저장부(110), 통신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 통신부(130) 및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2, an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50. The storage unit 110,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operate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저장부(110)는 티켓 관리부(111), IoT 장치 관리부(112), 매핑 관리부(113), 위치 관리부(114), 동영상 관리부(115), 이벤트 관리부(116), 주문 관리부(117) 및 매장 관리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 포함된 구성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저장부(110)에 포함된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은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10 includes a ticket management unit 111, an IoT device management unit 112, a mapping management unit 113, a location management unit 114, a video management unit 115, an event management unit 116, an order management unit 117, And may include a management unit 118. Th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110 are only examples, and som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110 may be omitted or a configuration not shown may be added.

티켓 관리부(111)는 관람객들에게 판매된 티켓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티켓 정보는 해당 티켓으로 관람할 수 있는 스포츠 경기 정보 및 착석하여야 할 좌석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티켓 관리부(111)는 경기장에서 진행될 예정인 다음 경기들을 위한 티켓들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The ticket management unit 111 stores information on tickets sold to the visitors. The ticket information may include sports game information that can be viewed on the ticket, and a seat number to be seated. In addition, the ticket management unit 111 may further store information of tickets for the next matches to be played in the stadium.

IoT 장치 관리부(112)는 관람객들에게 배포되는 IoT 장치(200)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IoT 장치(200)의 정보는 예를 들어, IoT 장치(200)의 MAC 주소 등과 같은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The IoT device management unit 112 store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distributed to the visitors. Th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such as the MAC address of the IoT device 200, for example.

매핑 관리부(113)는 특정 관람객이 구매한 티켓 정보와 특정 관람객에게 배포된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구현예에 따라서, 매핑 관리부(113)는 특정 관람객이 구매한 티켓 정보, 특정 관람객에게 배포된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 및 특정 관람객의 개인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관람객의 개인 정보는 관람객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결제 계좌 및 결제 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pping management unit 113 maps and stores the ticket information purchased by a specific view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distributed to a specific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pping management unit 113 may map and store ticket information purchased by a specific vie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distributed to a specific viewer, and personal information of a specific viewer.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ew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name, a telephone number, an address, a payment account and a payment card of a visitor.

위치 관리부(114)는 경기장 내에 있는 IoT 장치(200)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위치 관리부(114)는 실내 측위 방법에 따라 측정된 IoT 장치(200)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oT 장치(200)들 각각의 위치 정보는 IoT 장치(200)들 각각과 무선 통신하는 부가 장치(300)(예를 들어, 비콘 장치, 와이파이 장치 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소정 영역 내에서 특정 장치의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실내 측위 기술은 당업계에서 이용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ocation management unit 114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IoT devices 200 in the stadium. The location management unit 114 may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IoT devices 200 measured according to the indoor positioning metho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IoT devices 200 may be obtained by an additional device 300 (e.g., a beacon device, a Wi-Fi device, etc.)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IoT devices 200. Since the indoor positioning technique for measuring the indoor position of a specific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area is us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will be omitted.

또한, 위치 관리부(114)는 경기장 내 시설, 예를 들어, 화장실, 매장 등의 위치 정보와 함께 관람객들이 착석할 좌석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management unit 114 may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in the stadium, for example, a toilet, a store, etc., as well as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eat occupied by the spectators.

동영상 관리부(115)는 경기장에서 진행되는 스포츠 경기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 광고 영상을 더 저장할 수도 있다.The video management unit 115 may store at least one moving image of a sports game played on the stadium, and may further store the advertiseme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벤트 관리부(116)는 스포츠 경기의 관람을 위해 경기장에 입장한 관람객에게 제공될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event management unit 116 stores information on an event to be provided to a spectator who enters the stadium for watching a sporting event.

주문 관리부(117)는 각 관람객이 자신의 IoT 장치(200)에 기반하여 주문한 상품 정보 및 해당 관람객이 착석하고 있는 좌석 번호를 저장한다.The order management unit 117 stores product information ordered by each visitor based on his / her IoT device 200 and the seat number on which the visitor is seated.

매장 관리부(118)는 경기장의 각각의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 정보와 함께 각각의 매장에 위치한 또는 각각의 매장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매장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e manager 118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store terminals located in each store or managed by each store manager, together with the product information being sold in each store of the stadium.

통신부(130)는 각 관람객이 소지한 IoT 장치(200)들 및 부가 장치(300)들(또는 부가 장치(300)들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장치)과 통신을 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IoT devices 200 and the additional devices 300 (or an external device that stores data acquired by the additional devices 300) owned by each visitor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

제어부(150)는 저장부(110) 및 통신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통신부(130)를 통해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부(110)에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각 관람객의 IoT 장치(200)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IoT 장치(200)의 좌석 찾기 요청에 따라 관람객이 이동하여야 할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130)를 통해 경로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operations of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 service reques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provides a service to the IoT device 200 of each visi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d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generate route information to be traveled by a visitor according to a seat search request of the IoT device 200, and may transmit route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o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디스플레이(230), 통신부(250), 메모리(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50), 메모리(270) 및 제어부(29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210), 디스플레이(230), 통신부(250), 메모리(270) 및 제어부(290)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3, an Io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210, a display 230, a communication unit 250, a memory 270, and a control unit 290 . The communication unit 250, the memory 270 and the control unit 290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210, a display 230, a communication unit 250, a memory 270, May operate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memory 270. < RTI ID = 0.0 >

사용자 입력부(210)는 IoT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버튼, 키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3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230)가 사용자 입력부(210)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210 receives a user's operation input to the IoT device 200. The user input unit 210 may be implemented as a button or a keyboard and the display 230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210 when the display 230 is a touch screen.

디스플레이(230)는 관람객이 선택 가능한 서비스 선택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 관람객의 메뉴 선택에 따라 통합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한다.The display 230 displays a service selection menu selectable by the viewer and display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menu selection of the viewer.

통신부(250)는 통합 관리 장치(100)와 통신을 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50)는 관람객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이를 통합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고, 통합 관리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50 communicates with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e communication unit 250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 service request of the visitor and receiv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request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

메모리(270)는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70)는 경기장의 실내 맵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70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Also, the memory 270 may store an indoor map of the stadium.

제어부(290)는 사용자 입력부(210), 디스플레이(230), 통신부(250) 및 메모리(2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operations of the user input unit 210, the display 230, the communication unit 250, and the memory 27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90 may configure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장치(100)가 IoT 장치(200)를 소지한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9,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service provid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visitor who possesses the IOT apparatus 200. FIG.

좌석 찾기 서비스Seating service

IoT 장치(200)를 배포받은 관람객은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서비스 선택 메뉴에서 좌석 찾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관람객의 좌석 찾기 서비스 선택에 따라 IoT 장치(200)는 통합 관리 장치(100)로 좌석 찾기 요청을 한다.The viewer who has been deployed in the IoT device 200 can select the seat search service from the servic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 The IoT device 200 requests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to search for a sea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seat search service by a visitor.

통합 관리 장치(100)는 좌석 찾기 요청을 한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티켓 정보를 참조하여 좌석 번호를 확인하고, 부가 장치(300)들과의 통신을 통해 좌석 찾기 요청을 한 IoT 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onfirms the seat number by referring to the ticket information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that requested the seat search request and transmits a seat search reques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additional devices 300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200 is confirmed.

통합 관리 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좌석 번호에 기초하여 관람객이 착석하여야 할 좌석의 위치를 식별하고, 좌석의 위치와 IoT 장치(200)의 위치 사이의 경로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seat to be occupied by the guest based on the confirmed seat number and transmits the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seat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200 to the IoT device 200 do.

IoT 장치(200)는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디스플레이(230)에 표시함으로써 관람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좌석을 찾기 위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The IoT device 200 can display the path information on the display 230 when the path information is received, thereby enabling the viewer to know in which direction to search for his or her sea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oT 장치(200)는 경기장의 실내 맵을 미리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데 있어 실내 맵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oT device 200 can store the indoor map of the stadium in advance, and can display the route information in an overlapping manner on the indoor map.

도 4는 좌석 찾기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화면(400)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내 맵에는 IoT 장치(200)의 현재 위치(410)와 관람객이 착석하여야 할 좌석의 위치(420)가 표시되고, IoT 장치(200)의 현재 위치(410)로부터 좌석의 위치(420)까지 어떻게 이동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430)가 중첩 표시될 수 있다.4 shows a screen 400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in accordance with the seat finding service. As shown in FIG. 4, the indoor map includ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oT device 200 410 and a seat position 420 where a visitor is to be seated is displayed and route information 430 indicating how to move from the current position 410 of the IoT device 200 to the seat position 420 is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

관람객은 자신이 소지한 IoT 장치(200)를 통해 자신의 자리로 어떻게 이동하여야 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The visitor can easily know how to move to his / her place through the IoT device 200 owned by him / her.

상품 주문 서비스Product order service

IoT 장치(200)를 배포받은 관람객은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서비스 선택 메뉴에서 상품 주문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관람객의 상품 주문 서비스 선택에 따라 IoT 장치(200)는 통합 관리 장치(100)로 상품 주문 요청을 한다.The viewer who has distributed the IoT device 200 can select the goods order service from the servic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 The IoT device 200 makes a product order request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product order service by a visitor.

도 5는 상품 주문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화면(5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이 상품 주문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는 경기장에서 주문 가능한 상품들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500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goods order service. As shown in FIG. 5, when a visitor selects the goods order service,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may display information of goods that can be ordered at the stadium.

관람객이 어느 하나의 상품의 구매를 선택한 경우, IoT 장치(200)는 관람객이 선택한 상품의 정보와 자신의 식별 정보를 통합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If the visitor selects to purchase one of the products, the IoT device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goods selected by the visitor and his / 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통합 관리 장치(100)는 관람객이 선택한 상품의 정보와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관람객이 앉아 있는 좌석 번호를 확인한다. 그리고, 관람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매장의 단말기로 관람객이 선택한 상품의 정보 및 좌석 번호를 전송한다.When the information of the goods selected by the visito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are received,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onfirms the seat number in which the visitor sit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200. [ Then, the information of the goods selected by the visitor and the seat number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shop which sells the goods selected by the visitor.

매장 관리자는 통합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관람객이 주문한 상품을 관람객에게 직접 배달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r can deliver the goods ordered by the viewer to the viewer directl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

통합 관리 장치(100)는 관람객의 상품 구매가 완료되면, 관람객이 주문한 상품의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저장된 관람객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결제 계좌 또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When the purchase of the goods of the visitor is completed,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store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of the goods ordered by the visitor on the basi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payment account or the payment card) Processing can be performed.

구현예에 따라서, 관람객의 상품 구매가 완료되면, 통합 관리 장치(100)에 의해 결제가 처리되는 대신 관람객이 주문한 상품의 가격 정보가 IoT 장치(2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관람객이 여러 상품을 구매한 경우, 여러 상품의 누적 가격 정보가 IoT 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IoT 장치(200)에 저장된 가격 정보는 관람객이 경기장을 퇴장할 때, 경기장 관리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고, 관람객은 현금 또는 카드 등을 통해 IoT 장치(200)에 저장된 가격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purchase of the visitor is completed, the price of the goods ordered by the visitor may be stored in the IoT device 200 instead of being process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 If the viewer purchases a plurality of products, the cumulative pric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roducts can be stored in the IoT device 200. The pr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IoT device 200 may be confirmed by the stadium manager when the viewer leaves the stadium and the viewer may settl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stored in the IoT device 200 through cash or a card It is possible.

티켓 예매 서비스Ticket booking service

IoT 장치(200)를 배포받은 관람객은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서비스 선택 메뉴에서 티켓 예매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관람객의 티켓 예매 서비스 선택에 따라 IoT 장치(200)는 통합 관리 장치(100)로 티켓 예매 요청을 한다.A visitor who has been distributed to the IoT device 200 can select a ticket booking service from the servic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 The IoT device 200 makes a ticket booking request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the visitor's ticket advance service selection.

도 6은 티켓 예매 서비스의 선택에 따라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화면(6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이 티켓 예매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는 경기장에서 진행될 다음 스포츠 경기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600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 ticket advancement service. As shown in FIG. 6, when a visitor selects a ticket advancement service ,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next sports game to be played in the stadium.

관람객이 어느 하나의 다음 스포츠 경기를 선택한 경우, IoT 장치(200)는 관람객이 선택한 경기의 정보를 통합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티켓 예매 요청을 하고, 통합 관리 장치(100)는 IoT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관람객의 개인 정보를 확인한 후, 티켓의 예매 승인을 한다.When the spectator selects any one of the next sports games, the IoT device 200 transmits a ticket selection request while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of the competition selected by the visitor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ransmits the ticket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200) and confirm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sitor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icket.

통합 관리 장치(100)는 다음 경기 티켓의 예매가 완료되면, 관람객이 예약한 티켓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저장된 관람객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결제 계좌 또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then store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icket reserved by the visitor on the basi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ew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payment account or the payment card) stored in advanc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구현예에 따라서, 관람객의 티켓 예매가 완료되면, 통합 관리 장치(100)에 의해 결제가 처리되는 대신 관람객이 예약한 티켓의 가격 정보가 IoT 장치(2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IoT 장치(200)에 저장된 가격 정보는 관람객이 경기장을 퇴장할 때, 경기장 관리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고, 관람객은 현금 또는 카드 등을 통해 IoT 장치(200)에 저장된 가격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ticket pre-purchase of the visitor is completed, the price of the ticket reserved by the spectator may be stored in the IoT device 200 instead of the payment being processed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 The pr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IoT device 200 may be confirmed by the stadium manager when the viewer leaves the stadium and the viewer may settl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stored in the IoT device 200 through cash or a card It is possible.

다시보기 서비스Back view service

IoT 장치(200)를 배포받은 관람객은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서비스 선택 메뉴에서 다시보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관람객의 다시보기 서비스 선택에 따라 IoT 장치(200)는 통합 관리 장치(100)로 다시보기 요청을 한다.The viewer who has distributed the IoT device 200 can select the re-view service from the servic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 The IoT device 200 requests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o view the view according to the view selection service of the visitor.

도 7은 다시보기 서비스의 선택에 따라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화면(7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이 다시보기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는 경기장에서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카메라(310)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700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viewing service.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may display at least one moving image list photographed by the camera 310 during the sports competition in the stadium.

관람객이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한 경우, IoT 장치(200)는 관람객이 선택한 동영상의 정보를 통합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고, 통합 관리 장치(100)는 관람객이 선택한 동영상의 파일을 IoT 장치(200)로 전송한다. 관람객은 경기 진행 중에 자신이 놓친 장면을 다시보기 서비스를 통해 시청할 수 있으므로, 경기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계속 경기에 집중할 수 있다.When the viewer selects one of the moving images, the IoT device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moving image selected by the viewer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ransmits the file of the moving image selected by the visitor to the IoT device 200). Visitors can watch the scenes they missed while watching the game through the service, so that they can focus on the game without missing the flow of the game.

시설 찾기 서비스Facility Finder Service

IoT 장치(200)를 배포받은 관람객은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서비스 선택 메뉴에서 시설 찾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관람객의 시설 찾기 서비스 선택에 따라 IoT 장치(200)에는 시설들의 종류가 표시되고, 관람객이 어느 하나의 시설을 선택한 경우, IoT 장치(200)는 관람객이 선택한 시설의 종류를 통합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면서 시설 찾기 요청을 한다. 관람객이 시설 찾기 요청을 할 수 있는 시설은 예를 들어, 화장실, 양호실, 편의점, 식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sitor who has distributed the IoT device 200 can select the facility search service from the servic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The IoT device 200 displays the type of the facilities and when the visitor selects one of the facilities, the IoT device 200 displays the type of facility selected by the visitor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nd requests a facility search. Facilities that a visitor can request for facility search may include, for example, a toilet, a nursing room, a convenience store, a restaurant, and the like.

시설 찾기 요청이 수신되면, 통합 관리 장치(100)는 부가 장치(300), 예를 들어, CCTV 및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람객이 찾기 요청한 시설들 각각의 혼잡도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관람객이 화장실의 찾기 요청을 한 경우, 통합 관리 장치(100)는 경기장 내 여러 화장실들 각각의 혼잡도를 CCTV 영상이나, 인체 감지 센서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장치(100)는 특정 시설에 설치된 CCTV 영상에서 다수의 인체가 감지되거나, 인체 감지 센서의 센싱 데이터로부터 각 시설에 입장한 다수의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시설의 혼잡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facility search request is received,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confirms the congestion degree of each of the facilities requested by the viewer based on the data generated by the additional device 30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CCTV and the sensor . Specifically, when the visitor requests the toilet,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e congestion degree of each of the various toilets in the stadium based on the CCTV image or the sensing data of the human body sensor.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judges that the congestion degree of the facility is high when a large number of human bodies are detected in the CCTV image installed in the specific facility or a plurality of human bodies entering each facility are detected from the sensing data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

도 8은 시설 찾기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화면(8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관람객이 화장실의 찾기 요청을 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는 실내 맵이 표시되고, 실내 맵에서 IoT 장치(200)의 현재 위치(810) 및 화장실들(p1, p2, p3, p4)이 식별될 수 있고, 또한, 실내 맵에서 식별된 각 화장실(p1, p2, p3, p4)의 혼잡 정도가 실내 맵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p1 화장실은 혼잡, p2 화장실은 한산, p3 화장실은 매우 혼잡, p4 화장실은 매우 혼잡으로 혼잡도 정보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관람객이 실내 맵에서 어느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한 경우, IoT 장치(200)는 통합 관리 장치(100)로부터 관람객이 선택한 화장실과 관련되어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800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acility search service. 8, the indoor ma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and the current position 810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oT device 200 are displayed on the indoor map, The toilets p1, p2, p3 and p4 can be identified and the congestion degree of each toilet p1, p2, p3, p4 identified in the indoor map can be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indoor map. 8, the p1 toilet is congested, the p2 toilet is hansan, the p3 toilet is very congested, and the p4 toilet is very congested. When the viewer selects one of the restrooms in the indoor map, the IoT device 200 can receive and reproduce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CTV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toilet selected by the viewer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관람객은 실내 맵에 표시된 혼잡도 정보에 따라 어느 화장실을 가는 것이 유리할 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visitor can confirm which toilets are advantageous to go to according to the conges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door map.

관람객이 혼잡도가 낮은 어느 하나의 화장실을 선택하며 길 찾기 요청을 한 경우, 통합 관리 장치(100)는 관람객이 소지한 IoT 장치(200)의 현재 위치와 관람객이 선택한 화장실의 위치 사이의 경로 정보를 IoT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When the visitor selects a toilet with a low degree of congestion and requests a route search,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transmits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oT device 200 owned by the visitor and the location of the toilet selected by the visitor IoT device 200 as shown in FIG.

이벤트 제공 서비스Event Service

통합 관리 장치(100)는 IoT 장치(200)를 소지한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리 장치(100)는 IoT 장치(200)들로 이벤트 참여 요청을 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an event to visitors who have the IoT device 200. [ Specifically,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request an event participation to the IoT devices 200.

도 9는 이벤트 서비스에 따라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화면(900)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관리 장치(100)로부터 이벤트 참여 요청이 수신되면, IoT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는 이벤트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승리팀을 맞추는 이벤트에 대한 것으로서, 관람객은 A팀 및 B팀 중 승리할 팀을 선택할 수 있다.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reen 900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vent service. As shown in FIG. 9, when an event particip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 The contents of the ev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IOT device 200. [ FIG. 9 is for an event to match a winning team, and the viewer can select a winning team among the A team and the B team.

관람객이 이벤트에 참여를 하면, 통합 관리 장치(100)는 이벤트에 참여한 IoT 장치(200)들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정답을 맞추거나, 추첨을 통해 선택된 IoT 장치(200)의 소지자를 이벤트 당첨자로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visitor participates in the ev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s 200 participating in the event, sets the correct answer, or holds the holder of the IoT device 200 selected by lottery as an event winner You can decide.

통합 관리 장치(100)는 이벤트 당첨자에게 마일리지, 상품 등을 제공하거나 또는, 관람객이 구매 가능한 상품이나 티켓의 가격을 할인해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상품 주문 서비스에서 통합 관리 장치(100)는 이벤트 당첨자에 대해 상품 가격을 할인해 줄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mileage, merchandise, and the like to the event winner, or may discount the price of the goods or the ticket that the visitor can purchase. For example, in the commodity ordering ser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discount the commodity price for the event winner.

구현예에 따라서, 통합 관리 장치(100)는 IoT 장치(200)들로 광고 영상을 전송하고, 관람객의 광고 시청이 확인된 IoT 장치(200)들로만 이벤트 참여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통합 관리 장치(100)는 IoT 장치(200)들로 광고 영상을 전송하고, 관람객의 광고 시청이 확인된 IoT 장치(200)들의 소지자에게 상품이나 티켓의 가격을 할인해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an advertisement image to the IoT devices 200, and may transmit an event participation request only to the IoT devices 200 whose advertisement viewing of the visitor is confirmed. Alternatively, th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the advertisement image to the IOT devices 200, and may discount the price of the goods or the ticket to the holder of the IoT devices 200 whose advertisement viewing of the visitor is confirm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in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the created program can be stored in a medium.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dium may be one that continues to store computer executable programs, or temporarily store them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a variety of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 single hardware or a plurality of hardware, bu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omputer system, but may be dispers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As another example of the medium, a recording medium or a storage medium managed by a site or a server that supplies or distributes an application store or various other software to distribute the application may be mentioned.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통합 관리 장치
110: 저장부
111: 티켓 관리부
112: IoT 장치 관리부
113: 매핑 관리부
114: 위치 관리부
115: 동영상 관리부
116: 이벤트 관리부
117: 주문 관리부
118: 매장 관리부
130: 통신부
150: 제어부
200: IoT 장치
210: 사용자 입력부
230: 디스플레이
250: 통신부
270: 메모리
290: 제어부
300: 부가 장치
310: 카메라
320: CCTV
330: 비콘 장치
100: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10:
111: Ticket management section
112: IoT device manager
113:
114:
115:
116: Event management unit
117: Order management section
118: Store manager
130:
150:
200: IoT device
210: user input
230: Display
250:
270: Memory
290:
300: additional device
310: camera
320: CCTV
330: Beacon device

Claims (12)

경기장의 입장을 위한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이 소지하는 IoT 장치; 및
상기 티켓 정보와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통합 관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부터 좌석 찾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티켓 정보를 참조하여 좌석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IoT 장치의 위치와 상기 확인된 좌석의 위치 사이의 경로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IoT devices owned by the purchaser of tickets for stadium entry; And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mapping and storing the ticket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Wherein when the seat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the seat number is identified by referring to the ticket information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identified seat is stored in the IoT To the apparatus. ≪ RTI ID = 0.0 > 8.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상기 경기장의 실내 맵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실내 맵 상에 상기 경로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device includes:
Stores the indoor map of the stadium in advance, and when the route information is received, displays the route information on the indoor map in a superimposed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부터 소정 상품의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좌석 번호와 상기 소정 상품의 정보를, 상기 소정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매장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nd transmits the seat number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product to the terminal of the store selling the predetermined product when the purchase request of the predetermined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Audience service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소정 상품의 구매가 완료되면, 상기 소정 상품의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티켓 정보에 매핑된 관람객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Wherein the settlement processing unit performs a settlement process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of a visitor who is mapped to the ticket information with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ice of the predetermined commodity when the purchase of the predetermined commodity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부터 다음 경기 티켓의 예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티켓 정보에 매핑된 관람객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예매 승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nd when a reservation request for a next competition ticket is received from the IoT device, reservation is approved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of a visitor mapped to the ticke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의 다시보기 요청에 따라 동영상 리스트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 리스트 중 상기 IoT 장치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Wherein the IoT device transmits a moving picture list to the IoT device in response to a request to view the IoT device, and transmits the moving picture data selected by the IoT device to the Io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의 시설 찾기 요청에 따라, 상기 경기장 내 시설들 각각에 대한 혼잡도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nd the congestion degre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acilities in the stadium is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according to a facility search request of the IoT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미리 저장된 상기 실내 맵에서 상기 경기장 내 시설들 각각의 혼잡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oT device includes:
And displays the conges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facilities in the stadium in the pre-stored indoor m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 이벤트 참여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IoT 장치의 이벤트 참여에 따라 이벤트에 당첨된 IoT 장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Wherein the IoT device provides the event particip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IoT device that won the event according to the event participation of the IoT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특정 IoT 장치를 소지한 관람객의 이벤트 당첨이 확인되면, 상기 관람객이 IoT 장치를 통해 구매 가능한 상품 및 다음 경기 티켓 중 적어도 하나의 가격을 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Wherein when an event winner of a visitor having a specific IoT device is confirmed, the visitor discounts the price of at least one of a product that can be purchased through the IoT device and a next competition tick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장치는,
상기 IoT 장치로 광고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IoT 장치를 소지한 관람객의 광고 시청이 확인된 경우, 상기 이벤트 참여 요청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객 서비스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Transmits the advertisement image to the IoT device, and transmits the event particip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when the advertisement viewing of the visitor holding the IoT device is confirmed.
경기장의 입장을 위한 티켓 정보와 해당 티켓을 구매한 관람객에게 배포된 IoT 장치의 식별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하는 매핑 관리부;
상기 IoT 장치로부터 좌석 찾기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티켓 정보를 참조하여 좌석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IoT 장치의 위치와 상기 확인된 좌석의 위치 사이의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IoT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관리 장치.
A mapping management unit for mapping and storing the ticket information for the entrance of the stadium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distributed to the visitor who purchased the ticket;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at search request from the IoT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firming a seat number by referring to the ticket information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identified sea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IoT device.
KR1020180000398A 2018-01-02 2018-01-02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KR1020680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98A KR102068019B1 (en) 2018-01-02 2018-01-02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398A KR102068019B1 (en) 2018-01-02 2018-01-02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07A true KR20190088107A (en) 2019-07-26
KR102068019B1 KR102068019B1 (en) 2020-01-20

Family

ID=6746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398A KR102068019B1 (en) 2018-01-02 2018-01-02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01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431A (en) * 2002-08-30 2004-03-25 Dainippon Printing Co Lt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visitor
KR20040075462A (en) * 2003-02-21 2004-08-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tadium Portal Service by Using Wireless Internet
KR20120007590A (en) * 2010-07-15 2012-0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sharing picture of sport, server thereof, terminal thereof,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20170018395A (en) * 2014-07-16 2017-02-17 소니 주식회사 Applying mesh network to stadium ser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431A (en) * 2002-08-30 2004-03-25 Dainippon Printing Co Lt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visitor
KR20040075462A (en) * 2003-02-21 2004-08-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tadium Portal Service by Using Wireless Internet
KR20120007590A (en) * 2010-07-15 2012-01-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sharing picture of sport, server thereof, terminal thereof,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20170018395A (en) * 2014-07-16 2017-02-17 소니 주식회사 Applying mesh network to stadium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019B1 (en)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4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816597B2 (en) Interactive and dynamic digital event program
US20210073859A1 (en) Mobile device link system and service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US201602859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047057A1 (en) Distributed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80270163A1 (en) System, program and method for experientially inducing user activity
US8655694B2 (en) Dynamic group purchases using barcodes
US11640590B2 (en) Venue management system for during event peer-to-peer ticket exchange
US201400468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ent Related Commerce Utiliz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5505084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image display time to customers in public facilities
WO2003032215A1 (en) System and business method for offering seat upgrades to patrons at a public facility
JP2005505083A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products to customers in public facilities
KR101742907B1 (en) System for ordering and delivering food using seat number of baseball stadium and method thereof
KR102068019B1 (en)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to visitors of stadium by us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WO2022232791A1 (en) Interactive and dynamic digital event program
KR102303636B1 (en) Advertisement platform system
JP2018142080A (en) Service provision in system in athletic field
WO2004003852A1 (en) Sightseeing tour system via the internet
TW201411518A (en) Cloud advertising system
KR102303637B1 (en)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platform service
WO2021002126A1 (en) Control device, optica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3212113A1 (en) Data aggregation
JP2023157580A (en) People flow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people flow control system
KR20220133251A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355667B2 (en) Providing device, providing method, providing program, calculating device, calculating method, and calculat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