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912A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912A
KR20190087912A KR1020180006300A KR20180006300A KR20190087912A KR 20190087912 A KR20190087912 A KR 20190087912A KR 1020180006300 A KR1020180006300 A KR 1020180006300A KR 20180006300 A KR20180006300 A KR 20180006300A KR 20190087912 A KR20190087912 A KR 20190087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cpr
smartphone
aid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260B1 (ko
Inventor
김정기
유경진
Original Assignee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2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훈련대상자(E)의 머리에 착용되어지는 VR기기(10)를 구비하고 VR기기(10) 전방에는 스마트폰(20)을 연결되게 장착하되 스마트폰(20)에는 응급처치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21)에 설치되어 있고 화면에 관련 메뉴가 표시되어 입력부(23)를 통하여 실행되게 할 수 있으며,
훈련대상자(E)에 의하여 응급처치 훈련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20)의 카메라부(24)에서 촬영되는 배경화면이 VR기기(10)를 통하여 나타나도록 하되 카메라센서를 통하여 CPR 마네킹(30)을 인식하면 제어부(27)의 처리에 의하여 CPR 마네킹(30)이 3D입체로 된 사람을 형상의 증강현실(AR)로 구현되어 VR기기(10)를 통하여 보여지도록 하고 응급상황(사고현장)과 유사한 효과음을 음향출력부(25)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스마트폰(20)의 제어부(27)는 실제의 배경에 캐릭터(강사) 또는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가이드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22)로 나타나도록 하여 훈련대상자(E)는 응급처치의 전반적인 순서와 방법에 대하여 가이드용 컨텐츠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2) 영상을 보여주는 VR기기(10)를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용 컨텐츠의 안내를 바탕으로 CPR 마네킹(30)에 응급처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되, 훈련대상자(E)가 CPR 마네킹(30)에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및 인공호흡의 횟수와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결과를 포함하여 학습을 마친 후의 성공과 실패 여부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VR기기(10)로 텍스트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절차학습단계(A단계)와,
상기 스마트폰(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VR기기(10)에 실제 사고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보여지도록 하여 훈련대상자(E)로 하여금 실제상황을 느낄 수 있게 하되, 가상공간 내에는 환자아바타(50)가 정해진 위치에 나타나도록 하며,
훈련대상자(E)가 환자아바타(50)의 흉부위치에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를 위치시켜 CPR Cube(40)에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데이터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가상공간 안에서 훈련의 결과가 표시(피드백)되게 하여 VR기기(10)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전훈련단계(B단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FIRST AID TREATMENT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용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carid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란 심장이 정지된 환자에 대해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을 통해 인위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정지가 발생하여 순환이 정지되면, 뇌 조직 내의 산소가 1초 이내에 고갈되기 시작하여 6분이 경과하면서 포도당과 ATP(adenosinetriphosphate)의 결핍이 일어나므로, 4분 내지 10분 내에 순환정지상태가 교정되지 못하면 중추신경계를 포함하는 신경조직의 불가역적인 손상에 의해 생물학적 사망상태로 진행된다. 따라서 환자의 소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시간 내에 순환 및 호흡을 유지시켜 조직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즉, 최초 발견자의 적절한 응급처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최초 발견자의 응급처치로서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장려하고 있고 지원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심폐소생술 교육은 훈련용 인체모형(마네킹)을 이용하여 강사의 지지세 따라 절차를 학습하고 실제상황을 상상하면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식은 보통 일대 다수를 교육하는 환경으로 이루어져 교육대상자의 학습정도나 성과를 파악하기 어렵고 교육에 몰입하기도 어렵다. 또한 다양한 응급상황 및 여러 상황에 대응하는 절차의 제시가 어렵고, 심폐소생술 수행에 따른 정량적 피드백이 어렵다.
그리고 종래에 개발된 응급처지 훈련장치는 컴퓨터와 연결된 장치와 훈련용 마네킹이 필요하여 공간과 비용의 문제가 생기며 다수를 대상으로 교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04633호“AR기반 양방향 CPR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응급구조 요원이나 학생을 포함한 일반인들이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을 수행하고 그 결과가 피드백 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응급처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로 인하여 응급처치가 필요한 실제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심폐소생술 훈련용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훈련대상자(E)의 머리에 착용되어지는 VR기기(10)를 구비하고 VR기기(10) 전방에는 스마트폰(20)을 연결되게 장착하되 스마트폰(20)에는 응급처치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21)에 설치되어 있고 화면에 관련 메뉴가 표시되어 입력부(23)를 통하여 실행되게 할 수 있으며,
훈련대상자(E)에 의하여 응급처치 훈련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20)의 카메라부(24)에서 촬영되는 배경화면이 VR기기(10)를 통하여 나타나도록 하되 카메라센서를 통하여 CPR 마네킹(30)을 인식하면 제어부(27)의 처리에 의하여 CPR 마네킹(30)이 3D입체로 된 사람을 형상의 증강현실(AR)로 구현되어 VR기기(10)를 통하여 보여지도록 하고 응급상황(사고현장)과 유사한 효과음을 음향출력부(25)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스마트폰(20)의 제어부(27)는 실제의 배경에 캐릭터(강사) 또는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가이드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22)로 나타나도록 하여 훈련대상자(E)는 응급처치의 전반적인 순서와 방법에 대하여 가이드용 컨텐츠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2) 영상을 보여주는 VR기기(10)를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용 컨텐츠의 안내를 바탕으로 CPR 마네킹(30)에 응급처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되, 훈련대상자(E)가 CPR 마네킹(30)에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및 인공호흡의 횟수와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결과를 포함하여 학습을 마친 후의 성공과 실패 여부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VR기기(10)로 텍스트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절차학습단계(A단계)와,
상기 스마트폰(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VR기기(10)에 실제 사고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보여지도록 하여 훈련대상자(E)로 하여금 실제상황을 느낄 수 있게 하되, 가상공간 내에는 환자아바타(50)가 정해진 위치에 나타나도록 하며,
훈련대상자(E)가 환자아바타(50)의 흉부위치에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를 위치시켜 CPR Cube(40)나 흉부압박장치에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데이터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가상공간 안에서 훈련의 결과가 표시(피드백)되게 하여 VR기기(10)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전훈련단계(B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통해 응급처치의 방법과 절차를 공간의 제한 없이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가상현실에서는 응급처치 훈련대상자(교육생)들에게 실제와 유사한 응급상황을 제공하여 실감나는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실습한 결과가 피드백 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응급처치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응급처치가 필요한 실제 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 공간에서 다수의 교육을 진행할 때 효율적인 실습 교육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VR기기와 스마트폰의 결합상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폰의 카메라센서에 의해 CPR 마네킹(30)이 3D입체로 된 사람을 형상의 증강현실(AR)로 구현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가이드용 컨텐츠의 일 예시도,
도 5는 CPR 마네킹(30)에 대하여 응급처치 학습시 행한 결과가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 되는 일 예시도,
도 6은 가상현실로 구현되는 응급처치상황 예시 및 그 가상현실 내에 환자아바타의 쓰러진 모습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
도 7은 가상현실 속의 환자아바타의 흉부 흉부위치에 CPR Cube(40)를 위치시켜 실전훈련을 하는 구성도,
도 8은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CPR 마네킹(30)에 대하여 응급처치 학습시 행한 결과가 표시되는 일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응급구조 요원이나 학생을 포함한 일반인들이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을 수행하고 그 결과가 피드백 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응급처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로 인하여 응급처치가 필요한 실제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토록 하는 응급처치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장치(2)는 먼저 훈련대상자(E)의 머리에 착용되어지는 VR기기(10)와, 상기 VR기기(10) 전방에 연결장착되며 응급처치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22)에 관련 메뉴가 표시되어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20)을 구비한다.
즉 VR기기(10)에 스마트폰(20)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20)의 디스플레이부(22)의 영상이 VR기기(10)로 보여지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20)의 디스플레이(20)부는 좌우로 화면이 절반을 나뉘어져 좌우 동일한 영상이 각각 VR기기(10)의 양측 렌즈로 투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응급처치훈련을 함에 있어서 증강현실을 통한 응급처치 절차학습단계(A단계)와 가상현실을 통한 실전훈련단계(B단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20)에는 데이터베이스(21)에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되며 이와 더불어 디스플레이부(22)에는 관련 메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입력부(23)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실행을 비롯하여 기타 필요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절차학습단계(A단계)를 위해서 스마트폰(20)에는 카메라부(24)가 구성되어 카메라부(24)에서 촬영되는 배경화면이 VR기기(10)를 통하여 나타나도록 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4)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바탕으로 카메라센서가 CPR 마네킹(30)을 인식하면 제어부(27)의 처리에 의하여 CPR 마네킹(30)이 3D입체로 된 사람 형상으로 증강현실(AR)로 구현되어 VR기기(10)를 통하여 보여지도록 한다.
아울러 응급상황(사고현장)과 유사한 효과음을 음향출력부(25)로 출력하여 실제와 비슷한 환경에 가깝도록 실감나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음향출력부(25)는 스마트폰(20)의 스피커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훈련대상자(E)가 이어폰을 사용하여 귀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CPR 마네킹(30)은 훈련대상자(E)가 직접 흉부에 대하여 응급처치를 실시 함에 따라 응급처치에 대한 절차학습단계(A단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절차학습단계(A단계)에서 스마트폰(20)의 제어부(27)는 실제의 배경에 캐릭터(강사) 또는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가이드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22)로 나타나도록 하는바, 도 4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훈련대상자(E)는 응급처치의 전반적인 순서와 방법에 대하여 가이드용 컨텐츠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2) 영상을 보여주는 VR기기(10)를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가이드용 컨텐츠는 VR기기(10)에 장착된 자이로센서 또는 스마트폰(20)의 카메라센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훈련대상자(E)가 정면을 주시하면 나타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훈련대상자(E)는 가이드용 컨텐츠의 안내를 바탕으로 CPR 마네킹(30)에 응급처치 학습을 할 수 있다. 훈련대상자(E)는 CPR 마네킹(30)에 대하여 응급처치 학습시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및 인공호흡의 횟수와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결과를 포함하여 학습을 마친 후의 성공과 실패 여부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도 5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텍스트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며, 그 표시된 내용은 훈련대상자(E)가 VR기기(10)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CPR 마네킹(30)에 대한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등에 대한 측정은 VR기기(10)에 내장된 자이로센서(12)에 의하여 훈련대상자(E)의 흔들리는 머리의 수직 이동거리와 속도로 측정함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CPR 마네킹(30) 내의 스프링장치에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성하여 측정함으로 이루어지며 그 데이터를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22)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인공호흡의 경우는 CPR 마네킹(30)의 입 부분에 공기주입호스 및 가슴 내부에 튜브형태의 공기주머니가 연결되게 하여 공기주머니의 내의 공기의 압력에 의거하여 인공호흡 실시 결과를 측정하고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훈련대상자(E)는 스마트폰(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실전훈련단계(B단계)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훈련대상자(E)가 프로그램 실행시 VR기기(10)에 실제 사고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보여지도록 하여 훈련대상자(E)로 하여금 실제상황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의 상황 예시를 참고하면 사람이 공원에서 걸어가다가 갑자기 쓰러지는 상황 부여할 수 있으며, 훈련대상자(E)가 그 상황에서 직접 응급처치를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도 응급상황(사고현장)과 유사한 효과음을 음향출력부(25)로 출력하여 실제와 비슷한 환경에 가깝도록 실감나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스마트폰(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VR기기(10)로 보여지는 가상공간 내에는 환자아바타(50)가 정해진 위치에 나타나 설정된 모션(걷다가 쓰러지는 행위)을 하거나 바닥에 쓰러져 있도록 구현한다.
그러면 훈련대상자(E)는 환자아바타(50)의 흉부위치에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를 위치시켜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 대하여 앞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응급처치를 실행한다.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는 훈련대상자(E)의 손바닥 크기에 준하여 제작되는 박스(BOX)형태로서 박스 내에는 스프링장치에 압력센서를 부착하여 압력이 감지되면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20)으로 전달되어 가상공간 안에서 표시(피드백)되게 함으로써 실전훈련단계(B단계)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훈련대상자(E)가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에 대하여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데이터를 토대로 결과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도 8에 도시된 일 예시와 같이 가상공간 안에서 훈련실시 결과가 표시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장치(2)는 증강현실을 통해 응급처치의 방법과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 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가상현실에서는 응급처치 훈련대상자(교육생)들이 실제와 유사한 응급상황을 제공하여 실감나는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을 수행하고 실습한 결과가 피드백 되도록 함으로써 응급처치가 필요한 실제 상황에서 능동적인 대응이 되도록 하고, 한 공간에서 다수의 교육을 진행할 때 효율적인 실습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장치
(10)--VR기기 (12)--자이로센서
(20)--스마트폰 (21)--데이터베이스
(22)--디스플레이부 (23)--입력부
(24)--카메라부 (25)--음향출력부
(26)--통신부 (27)--제어부
(30)--CPR 마네킹 (40)--CPR Cube
(50)--환자아바타

Claims (5)

  1.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훈련대상자(E)의 머리에 착용되어지는 VR기기(10)를 구비하고 VR기기(10) 전방에는 스마트폰(20)을 연결되게 장착하되 스마트폰(20)에는 응급처치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21)에 설치되어 있고 화면에 관련 메뉴가 표시되어 입력부(23)를 통하여 실행되게 할 수 있으며,
    훈련대상자(E)에 의하여 응급처치 훈련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20)의 카메라부(24)에서 촬영되는 배경화면이 VR기기(10)를 통하여 나타나도록 하되 카메라센서를 통하여 CPR 마네킹(30)을 인식하면 제어부(27)의 처리에 의하여 CPR 마네킹(30)이 3D입체로 된 사람을 형상의 증강현실(AR)로 구현되어 VR기기(10)를 통하여 보여지도록 하고 응급상황(사고현장)과 유사한 효과음을 음향출력부(25)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스마트폰(20)의 제어부(27)는 실제의 배경에 캐릭터(강사) 또는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가이드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22)로 나타나도록 하여 훈련대상자(E)는 응급처치의 전반적인 순서와 방법에 대하여 가이드용 컨텐츠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22) 영상을 보여주는 VR기기(10)를 보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용 컨텐츠의 안내를 바탕으로 CPR 마네킹(30)에 응급처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되, 훈련대상자(E)가 CPR 마네킹(30)에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및 인공호흡의 횟수와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결과를 포함하여 학습을 마친 후의 성공과 실패 여부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VR기기(10)로 텍스트 또는 표식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절차학습단계(A단계)와,
    상기 스마트폰(2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VR기기(10)에 실제 사고 현장과 유사한 환경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보여지도록 하여 훈련대상자(E)로 하여금 실제상황을 느낄 수 있게 하되, 가상공간 내에는 환자아바타(50)가 정해진 위치에 나타나도록 하며,
    훈련대상자(E)가 환자아바타(50)의 흉부위치에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 중 어느 하나를 위치시켜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에 행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등에 의한 실시간 데이터가 스마트폰(20)의 통신부(26)와의 통신으로 제어부(27)에 전달되어 가상공간 안에서 훈련의 결과가 표시(피드백)되게 하여 VR기기(10)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전훈련단계(B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절차학습단계(A단계)에서의 CPR 마네킹(30)에 대한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 등에 대한 측정은 VR기기(10)에 내장된 자이로센서(12)에 의하여 훈련대상자(E)의 흔들리는 머리의 수직 이동거리와 속도로 측정함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CPR 마네킹(30) 내의 스프링장치에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성하여 측정함으로 이루어지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절차학습단계(A단계)에서의 스마트폰(20)의 제어부(27)는 실제의 배경에 캐릭터(강사) 또는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가이드용 컨텐츠는 VR기기(10)에 장착된 자이로센서 또는 스마트폰(20)의 카메라센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훈련대상자(E)가 정면을 주시하면 나타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실전훈련단계(B단계)에서의 CPR Cube(40) 또는 흉부압박장치는 훈련대상자(E)의 손바닥 크기에 준하여 제작되는 박스(BOX)형태로서 박스 내에는 스프링장치에 압력센서를 부착하여 압력이 감지되면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20)으로 전달되어 가상공간 안에서 표시(피드백)되게 하는 실전훈련단계(B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5. 훈련대상자(E)의 머리에 착용되어지는 VR기기(10)와,
    VR기기(10) 전방에 연결장착되며 응급처치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22)에 관련 메뉴가 표시되어 실행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20)과,
    가슴압박이 가능토록 구현되는 CPR 마네킹(30)과 CPR Cube(4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스마트폰(20)은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 응급처치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하여 화면에 관련 메뉴가 표시되어 실행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훈련대상자(E)에 의하여 응급처치 훈련 실행시 상기 스마트폰(20)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배경화면이 VR기기(10)를 통하여 나타나도록 하고, 카메라센서를 통하여 CPR 마네킹(30)을 인식하면 CPR 마네킹(30)이 3D입체로 된 사람을 형상의 증강현실(AR)로 구현되어 VR기기(10)로 보여지도록 구성하며,
    CPR 마네킹(30) 및 CPR Cube(40)는 훈련대상자(E)에 의하여 실시되는 압박의 강도, 압박의 횟수, 압박의 깊이, 압박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성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폰(20)으로 무선 전송하여 표시(피드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응급처치 훈련용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180006300A 2018-01-17 2018-01-17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4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00A KR102045260B1 (ko) 2018-01-17 2018-01-17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00A KR102045260B1 (ko) 2018-01-17 2018-01-17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912A true KR20190087912A (ko) 2019-07-25
KR102045260B1 KR102045260B1 (ko) 2019-12-02

Family

ID=6746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300A KR102045260B1 (ko) 2018-01-17 2018-01-17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26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4343A (zh) * 2019-08-16 2019-12-31 深圳前海小萌文化科技有限公司 挖掘机互动模拟设备
CN110675682A (zh) * 2019-09-24 2020-01-10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事故应急救援模拟协同训练装备
CN111091732A (zh) * 2019-12-25 2020-05-01 塔普翊海(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r技术的心肺复苏指导器及指导方法
CN112164271A (zh) * 2020-11-04 2021-01-01 楼子豪 一种以弓箭习射为载体的教学方法
KR102216312B1 (ko) 2019-11-14 2021-02-17 빠 왼 아웅 빠 Vr을 이용한 가상 시나리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29445A (ko) 2019-09-06 2021-03-1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영상을 이용한 응급처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WO2021125547A1 (ko) * 2019-12-20 2021-06-24 주식회사 테트라시그넘 가상현실 기반의 심폐소생술 교육 시스템
WO2021085912A3 (ko) * 2019-10-30 2021-07-01 주식회사 뉴베이스 응급환자 처치 훈련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1161302A1 (en) * 2020-02-14 2021-08-19 Simbionix Ltd. Airway management virtual reality training
KR20220098321A (ko) * 2020-11-11 2022-07-12 주식회사 유토비즈 확장현실형 응급처지 가이드 정보에 따른 응급처치자 교육형 의료 시스템
KR20230071876A (ko) * 2021-11-16 2023-05-24 (주)일렉콤 홀로렌즈와 3차원공간에서의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356A (ko) 2021-11-30 2023-06-07 파콤 주식회사 확장현실을 이용한 응급상황 훈련 시스템용 맥박밴드
KR20230126913A (ko) 2022-02-24 2023-08-31 마예원 Vr기반의 낙상 응급 조치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4696B1 (ko) * 2022-04-22 2024-05-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 돌봄 능력 증진을 위한 돌봄 훈련 보조 로봇의 통증 표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돌봄 훈련 보조 로봇 시스템
KR102628586B1 (ko) 2023-09-20 2024-01-25 그리다텍 주식회사 의료소모품 낙하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KR102640592B1 (ko) 2023-09-20 2024-02-27 그리다텍 주식회사 도뇨세트를 감싸는 멸균포의 개폐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33B1 (ko) 2013-07-16 2015-03-23 주식회사 아이엠랩 Ar 기반 양방향 cpr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스템
KR101554429B1 (ko) * 2014-06-26 2015-09-21 (주)나눔테크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KR20160026557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9808B1 (ko) * 2015-01-12 2016-04-06 주식회사 제이피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636759B1 (ko) * 2013-12-09 2016-07-20 주식회사 아이엠랩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70024946A (ko) * 2015-08-26 2017-03-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기기와 센서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33B1 (ko) 2013-07-16 2015-03-23 주식회사 아이엠랩 Ar 기반 양방향 cpr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스템
KR101636759B1 (ko) * 2013-12-09 2016-07-20 주식회사 아이엠랩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54429B1 (ko) * 2014-06-26 2015-09-21 (주)나눔테크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KR20160026557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9808B1 (ko) * 2015-01-12 2016-04-06 주식회사 제이피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70024946A (ko) * 2015-08-26 2017-03-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기기와 센서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4343A (zh) * 2019-08-16 2019-12-31 深圳前海小萌文化科技有限公司 挖掘机互动模拟设备
KR20210029445A (ko) 2019-09-06 2021-03-1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영상을 이용한 응급처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0675682A (zh) * 2019-09-24 2020-01-10 中国安全生产科学研究院 事故应急救援模拟协同训练装备
WO2021085912A3 (ko) * 2019-10-30 2021-07-01 주식회사 뉴베이스 응급환자 처치 훈련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915613B2 (en) 2019-10-30 2024-02-27 Newba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ining for treating emergency patients
US11615712B2 (en) 2019-10-30 2023-03-28 Newba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ining for treating emergency patients
KR102216312B1 (ko) 2019-11-14 2021-02-17 빠 왼 아웅 빠 Vr을 이용한 가상 시나리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1125547A1 (ko) * 2019-12-20 2021-06-24 주식회사 테트라시그넘 가상현실 기반의 심폐소생술 교육 시스템
CN111091732B (zh) * 2019-12-25 2022-05-27 塔普翊海(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r技术的心肺复苏指导器及指导方法
CN111091732A (zh) * 2019-12-25 2020-05-01 塔普翊海(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r技术的心肺复苏指导器及指导方法
WO2021161302A1 (en) * 2020-02-14 2021-08-19 Simbionix Ltd. Airway management virtual reality training
US11468793B2 (en) 2020-02-14 2022-10-11 Simbionix Ltd. Airway management virtual reality training
US11651706B2 (en) 2020-02-14 2023-05-16 Simbionix Ltd. Airway management virtual reality training
CN112164271A (zh) * 2020-11-04 2021-01-01 楼子豪 一种以弓箭习射为载体的教学方法
KR20220098321A (ko) * 2020-11-11 2022-07-12 주식회사 유토비즈 확장현실형 응급처지 가이드 정보에 따른 응급처치자 교육형 의료 시스템
KR20230071876A (ko) * 2021-11-16 2023-05-24 (주)일렉콤 홀로렌즈와 3차원공간에서의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260B1 (ko) 201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260B1 (ko)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용 응급처치 시뮬레이션 방법
CN111465970B (zh) 用于教导患者护理的增强现实系统
CN109731292B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平衡能力测试与训练系统及方法
KR101445978B1 (ko)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US20180203238A1 (en) Method of education and simulation learning
JP5754708B2 (ja) 聴診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模擬聴診器
KR101609808B1 (ko) 심폐소생술 교육용 마네킹,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N105096670A (zh) 一种用于鼻胃管操作实训的智能沉浸式教学系统及装置
KR20150066988A (ko) 심폐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91027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심폐소생술 교육 시스템
Wattanasoontorn et al. A kinect-based system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A pilot study
JP7082384B1 (ja) 学習システム及び学習方法
KR20160020136A (ko) 가상현실과 rpg을 활용한 재난상황 대처 교육 시스템
US20240153407A1 (en) Simulated reality technologies for enhanced medical protocol training
KR101960815B1 (ko) 증강 현실과 가상 현실을 이용한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TWM597960U (zh) 基於手勢動作的混合實境評量系統
JP2018180503A (ja) パブリックスピーキング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97343A (ko) 심폐 소생술 훈련 시스템
KR102045272B1 (ko)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반 다중접속 가능한 cpr 훈련용 흉부 압박장치
KR102312298B1 (ko)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한 cpr 및 aed ar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4429B1 (ko)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KR20180097334A (ko) 심폐 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CN111047935A (zh) 运动康复智能交互式教学培训系统
KR100445846B1 (ko) 대인 공포증 치료를 위한 가상 연설 시뮬레이터
KR102444058B1 (ko) 인체모형 및 침술 콘트롤러를 이용한 혼합현실 침술 훈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